KR100475821B1 - 연료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821B1
KR100475821B1 KR10-2002-0078569A KR20020078569A KR100475821B1 KR 100475821 B1 KR100475821 B1 KR 100475821B1 KR 20020078569 A KR20020078569 A KR 20020078569A KR 100475821 B1 KR100475821 B1 KR 100475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suction pipe
fuel tan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630A (ko
Inventor
김진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8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3Tank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충분하지 않은 채로 차량이 경사길에 오랜 시간 주차되는 경우에 탱크의 일측으로 연료가 쏠림으로서 엔진으로 연료공급이 차단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료가 저장되는 탱크의 내부에 연료 펌프가 장착되고, 상기 연료 펌프의 하측으로 연료가 유입되기 위한 흡입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한 흡입 파이프는 그 도중이 양측으로 분지되어 연료가 흡입되는 입구가 탱크의 양측 저부에 위치되도록 서로 교차된 형태로 절곡되어지되, 차량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었을 경우에 입구가 높게 위치되는 파이프의 출구가 자동으로 막히도록 하기 위한 볼이 그 분지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 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Fuel pipe}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충분하지 않은 채로 차량이 경사길에 오랜 시간 주차되는 경우에 탱크의 일측으로 연료가 쏠림으로서 엔진으로 연료공급이 차단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연료를 연소시켜 운전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일측에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 탱크가 장착되어진다. 그리고 연료 탱크 내부에는 저장된 연료를 고압의 상태로 엔진의 딜리버리 파이프로 공급하여 인젝터에서 실린더 내부로 연료가 분사되도록 하는 연료 펌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펌프의 하부에는 연료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연료 펌프 내부로 이송되지 않게 하여 이물질에 의한 내구성 문제 및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료 탱크의 단면도로서, 소정 용적의 저장공간을 갖는 연료 탱크(10)의 상부 일측에는 연료 펌프(11)에서 펌핑된 연료가 엔진측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연료 라인(12)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잉여된 연료가 연료 탱크(10) 측으로 복귀되도록 안내하는 리턴 라인(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연료 탱크(10)의 내부 하측에는 연료의 유동을 줄이기 위한 배플(14)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배플(14)에 의해서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충분하지 않은 채로 경사길을 주행하더라도 연료의 쏠림으로 인한 연료공급이 차단되는 현상은 어느 정도 방지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연료 탱크(10)의 구조에서는 연료 탱크(10) 내에 연료가 충분히 저장되지 않은 채로 차량을 경사길에 오랜 시간 동안 주차해 놓은 상태가 되는 경우에 연료가 탱크의 일측으로 쏠리게 되어 시동시 연료공급이 차단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충분하지 않은 채로 차량이 경사길에 오랜 시간 주차되는 경우에 탱크의 일측으로 연료가 쏠림으로서 엔진으로 연료공급이 차단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료가 저장되는 탱크의 내부에 연료 펌프가 장착되고, 상기 연료 펌프의 하측으로 연료가 유입되기 위한 흡입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한 흡입 파이프는 그 도중이 양측으로 분지되어 연료가 흡입되는 입구가 탱크의 양측 저부에 위치되도록 서로 교차된 형태로 절곡되어지되, 차량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었을 경우에 입구가 높게 위치되는 파이프의 출구가 자동으로 막히도록 하기 위한 볼이 그 분지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료 탱크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연료 탱크의 단면도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 흡입 파이프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연료 탱크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한 흡입 파이프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연료 탱크(20)의 내부에는 종래와 같이 연료를 펌핑하기 위한 연료 펌프(21)가 장착되고, 연료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배플(22)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연료 펌프(21)의 하측에는 연료가 흡입되는 흡입 파이프(30)가 연결되는데, 상기 흡입 파이프(30)는 그 도중이 양측으로 분지되어 연료가 양측에서 흡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양측으로 분지된 파이프(31,32)의 입구(31a,32a)가 탱크의 양측 저부에 위치되어 차량이 일측으로 쏠리더라도 어느 일측의 파이프(31,32)를 통해서 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양측으로 배치되는 파이프(31,32)는 서로 교차된 상태가 되도록 대략 '8'자 모양으로 절곡되는데, 이를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분지부(33)의 오른쪽에 연결된 파이프(32)의 입구(32a)는 탱크의 좌측 저부에 위치되고, 상기 분지부(33)의 왼쪽에 연결된 파이프(31)의 입구(31a)는 탱크의 우측 저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분지부(33)는 볼(35)의 수용을 위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볼(35)은 차량이 일측으로 쏠리는 경우에 타측의 파이프(31,32) 출구(31b,32b)는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여 연료 펌프(2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볼(35)은 차량이 평지를 주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분지부(33)의 오목한 중앙에 위치되어 양측의 파이프 출구(31b,32b)를 모두 개방하게 되므로서 양측의 파이프(31,32)를 통해 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충분히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을 경사로에 오랜 시간동안 주차하게 되면, 상기 연료 탱크 내에 저장된 연료는 일측으로 쏠리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연료 탱크(20)는 흡입 파이프(30)가 양측으로 배치되므로서 오랜 시간동안의 경사면 주차로 인해서 연료가 어느 일측으로 쏠리게 되더라도 연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즉, 연료 탱크(20)가 일측으로 쏠림과 동시에 분지부(33)에 수용된 볼(35)이 탱크의 쏠림방향으로 이동되어 일측의 파이프 출구(31b,32b)를 막게 된다. 따라서 출구(31b,32b)가 막힌 파이프(31,32)를 통해서는 연료의 흡입이 차단되고, 출구(31b,32b)가 개방된 파이프(31,32)를 통해서만 연료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20)가 일측으로 쏠린 상태가 되더라도 입구(31a,32a)가 낮은 측에 위치되는 파이프(31,32)를 통해서 연료가 공급되므로서 엔진이 시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반대편의 파이프는 그 출구(31b,32b)가 볼(35)에 의해서 닫히게 되므로서 연료 펌프(2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흡입 파이프(30)에 의해서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하거나 급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는 연료의 공급차단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내에 연료가 충분하지 않을 채로 차량이 경사로에 오랜 시간동안 주차되더라도 연료의 쏠림으로 인한 연료의 공급차단으로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서 경사로에서의 엔진 시동성이 개선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연료 탱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 흡입 파이프의 작동상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연료 탱크 21 : 연료 펌프
22 : 배플 30 : 흡입 파이프
31,32 : 파이프 31a,32a : 입구
31b,32b : 출구 33 : 분지부
35 : 볼

Claims (2)

  1. 연료가 저장되는 탱크의 내부에 연료 펌프가 장착되고, 상기 연료 펌프의 하측으로 연료가 유입되기 위한 흡입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한 흡입 파이프(30)는 그 도중이 양측으로 분지되어 연료가 흡입되는 입구(31a,32a)가 탱크의 양측 저부에 위치되도록 서로 교차된 형태로 절곡되어지되, 차량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었을 경우에 입구(31a,32a)가 높게 위치되는 파이프(31,32)의 출구(31b,32b)가 자동으로 막히도록 하기 위한 볼(35)이 그 분지부(33)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지부(33)는 볼(35)의 수용을 위해 그 저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KR10-2002-0078569A 2002-12-11 2002-12-11 연료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KR100475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569A KR100475821B1 (ko) 2002-12-11 2002-12-11 연료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569A KR100475821B1 (ko) 2002-12-11 2002-12-11 연료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630A KR20040051630A (ko) 2004-06-19
KR100475821B1 true KR100475821B1 (ko) 2005-03-10

Family

ID=3734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569A KR100475821B1 (ko) 2002-12-11 2002-12-11 연료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09B1 (ko) * 2006-12-15 2008-07-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봄베 연료 공급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5153B2 (ja) * 2004-08-25 2009-03-11 愛三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6323U (ja) * 1983-03-04 1984-09-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JPH01178021A (ja) * 1987-12-29 1989-07-14 Handoothe- Kogyo Kk 土工用等の作業車における燃料タンク
JPH0450520U (ko) * 1990-09-06 1992-04-28
KR19980040125U (ko) * 1996-12-21 1998-09-15 김영귀 자동차 연료탱크의 유면 조절장치
KR19980077911A (ko) * 1997-04-24 1998-11-16 김영귀 연료 탱크용 챔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6323U (ja) * 1983-03-04 1984-09-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JPH01178021A (ja) * 1987-12-29 1989-07-14 Handoothe- Kogyo Kk 土工用等の作業車における燃料タンク
JPH0450520U (ko) * 1990-09-06 1992-04-28
KR19980040125U (ko) * 1996-12-21 1998-09-15 김영귀 자동차 연료탱크의 유면 조절장치
KR19980077911A (ko) * 1997-04-24 1998-11-16 김영귀 연료 탱크용 챔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09B1 (ko) * 2006-12-15 2008-07-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봄베 연료 공급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630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6296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из накопительного резервуара в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автомобиля
KR20020041408A (ko) 연료 공급 유니트
KR100475821B1 (ko) 연료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JP7362347B2 (ja) 内燃機関用燃料ポンプ
JP2961994B2 (ja) 燃料供給装置
JP4370528B2 (ja) 燃料供給装置
KR100488554B1 (ko) 연료탱크의 연료공급구조
KR20060019728A (ko) 연료탱크의 연료 석션 장치
KR20040089856A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JPH0560100A (ja) 燃料供給装置
KR100435774B1 (ko) 차량의 불순물 유입방지 연료공급장치
KR100319268B1 (ko) 자동차 연료탱크 크리닝 장치
KR200160774Y1 (ko) 차량용 연료공급장치의 연료펌프 모듈
US10876499B2 (en) Purge ejector assembly for a vehicle
JPS60104760A (ja) デイ−ゼルエンジン車の燃料循環装置
KR100570012B1 (ko) 연료탱크의 연료 석션장치
KR100453650B1 (ko) 리턴 연료 온도 저감장치
KR100461443B1 (ko) 연료펌프의 연료 필터 구조
KR100314459B1 (ko) 잔류연료의사용량을증가하는연료탱크
KR100929321B1 (ko)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
KR101222015B1 (ko) 연료펌프모듈
KR19980060428A (ko) 자동차 연료 탱크의 리저버 컵 구조
KR0134655Y1 (ko) 내연기관용 오일펌프의 오일스트레이너
KR19990025280U (ko) 케니스터의 에어포트
KR19990003284U (ko) 차량용 연료공급장치의 연료펌프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