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321B1 -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 - Google Patents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321B1
KR100929321B1 KR1020070128203A KR20070128203A KR100929321B1 KR 100929321 B1 KR100929321 B1 KR 100929321B1 KR 1020070128203 A KR1020070128203 A KR 1020070128203A KR 20070128203 A KR20070128203 A KR 20070128203A KR 100929321 B1 KR100929321 B1 KR 10092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ction port
cap
tank
fu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259A (ko
Inventor
구병준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3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3Mounting pumps on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션 포트의 단부에 캡을 장착하여 사용 불가능한 연료의 높이를 낮춰 경사로 등에서의 차량의 시동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내에 장착된 연료 펌프의 일측에 형성되는 석션 포트에 있어서, 상기 석션 포트에는 단부에 캡이 씌워져 연료 흡입시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연료 수면이 석션 포트보다 아래로 내려가더라도 연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한 것이다.
석션 포트, 캡, 연료펌프, 연료탱크

Description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Suction Port Structure for Fuel Supplying}
본 발명은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션 포트의 단부에 캡을 장착하여 사용 불가능한 연료의 높이를 낮춰 경사로 등에서의 차량의 시동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 장치에는 일정량의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연료탱크와, 연료탱크로부터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연료펌프는 연료탱크의 상단이나 측면에 장착되고 흡입관을 연료탱크 내부로 삽입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타입과, 연료탱크의 내부에 연료펌프를 장착하여 탱크 내부에서 연료를 공급해 주는 타입이 있다.
연료펌프가 연료탱크 내부에 장착된 형태인 경우,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흡입하기 위해 연료펌프에 밑면 또는 일측에 석션 포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 석션 포트는 연료 탱크 내의 잔여 연료량이 많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연료탱크의 중앙에 바닥면과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변 환경의 영향 등으로 생긴 물이 연료탱크의 저부에 고이기 때문에, 연료와 함께 고인 물이 석션되지 않도록 연료탱크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연료펌프를 연료탱크의 내부에 설치하더라도 석션 포트가 연료탱크의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거나 연료펌프를 연료탱크의 외부에 장착한 경우는 이러한 위치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관을 이용하거나 석션포트를 연장하는 방법을 통해 탱크의 중앙, 바닥면 가까이 위치하도록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석션 포트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석션 포트의 위치를 아무리 연료탱크의 중앙에 바닥면과 맞닿도록 설계를 하더라도 남아 있는 연료 수면이 석션 포트보다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석션 포트와 함께 공기가 유입되어, 가솔린 엔진의 경우, 시동이 잘 걸리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2) 특히, 이러한 현상은 차량이 경사로에 주차하였다가 시동을 거는 경우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3)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석션 포트의 위치 설계 등을 고려하더라도 석션 포트보다 낮은 연료 수면에서는 그 이상의 연료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석션 포트의 단부에 캡을 장착하여 사용 불가능한 연료의 높이를 낮춰 경사로 등에서의 차량의 시동성 및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내에 장착된 연료 펌프의 일측에 형성되는 석션 포트에 있어서,
상기 석션 포트에는 단부에 캡이 씌워져 연료 흡입시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연료 수면이 석션 포트보다 아래로 내려가더라도 연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한 것이다.
또한, 캡은 석션 포트의 단부를 1/3~1/2만큼 마감하도록 하여, 기존의 연료펌프에 적용하더라도 연료 공급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은 일단이 밀폐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된 단부에는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흡입구가 절개 성형되고, 이 흡입구가 탱크 바닥면을 향하도록 석션 포트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연료탱크의 바닥면 저면을 마주하는 흡입구를 통해 연료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연료량이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공급할 연료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연료탱크의 잔여 연료량을 거의 모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2) 특히, 차량이 경사지 등에 주차되어 연료펌프가 기울어져서 석션 포트의 단부가 연료 수면으로부터 들리더라도 캡이 석션 포트의 단부를 마감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 공급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이에 따라, 연료량이 부족하여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시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은 통상의 연료탱크를, 10은 연료 탱크 내부에 장착되는 연료펌프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100) 내에 장착되는 연료펌프(10)에 구성되는 석션 포트에 캡(20)을 장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료펌프(10)는 연료탱크(100)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장착되며, 특히 상기 연료펌프(10)의 일측에는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석션포트(11)가 형성되어 있다.
석션포트(11)는 일종의 관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탱크(100)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석션포 트(11)는 연료탱크(100)의 바닥면에 장착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연료탱크 내의 수분 등을 고려하여 연료탱크(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시켜서 연료펌프(1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석션포트(11)의 단부에 캡(20)을 씌워 석션포트(11)의 끝단이 연료 수면의 위로 돌출되더라도 돌출된 부위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 송출할 수 있는 연료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캡(20)은 일단이 밀폐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개구된 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흡입구(21)가 절개되어 있다.
흡입구(21)는 캡(20)의 길이 전체에 따라 절개하여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2에서와 같이 캡(20)의 밀폐된 단부 앞까지 절개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흡입구(21)는 캡(20)의 길이 전체에 따라 절개하여 사용하는 경우, 석션포트(11)의 개구된 단부를 1/3~1/2만큼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석션포트(11)가 캡(20)에 의해 씌워져서 캡(20)이 대기 상에 노출되더라도 연료펌프(10)를 통해 연료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캡(20)은 흡입구(21)가 연료탱크(100)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석션포트(11)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은 차량이 평지에 있을 때의 흡입할 수 있는 연료의 수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료의 수면이 석션포트(11)의 윗부분까지 있다고 가정할 때, 종래의 구조로는 점선과 같이 연료수면이 석션포트(11)의 입구단 부분, 즉 석션포트(11)로 공기가 유입되기 전까지만 연료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캡(11)에 의해 석션포트(11)의 단부가 막혀 있기 때문에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실선으로 표시한 선까지 연료의 석션이 가능하게 된다.
도 3b는 차량이 경사로 등에 세워져서 차량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이다. 이 경우, 연료의 잔류량은 한쪽으로 쏠리게 되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석션포트(11)의 단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연료 석션이 가능하게 된다.
도 3c는 도 3b와 반대로 좌측으로 쏠린 경우로, 이 때에도 잔류 연료는 연료탱크(100)의 왼쪽부분으로 쏠리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따른 캡(20)이 종래의 구성과 비교해 볼 때 연료 수면 위로 노출되는 위치가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낮기 때문에 그만큼 더 많은 연료 석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차량의 상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캡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 도 3a는 차량이 평지에 있을 때를, 도 3b는 차량이 우측으로 기울었을 때를, 그리고 도 3c는 차량이 좌측으로 기울었을 때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펌프
11 : 석션 포트
20 : 캡
21 : 흡입구
100 : 연료탱크

Claims (3)

  1. 연료 탱크 내에 장착된 연료 펌프의 일측에 형성되는 석션 포트에는 단부에 캡이 씌워져 연료 흡입시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일단이 밀폐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된 단부에는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흡입구가 절개 성형되고, 이 흡입구가 탱크 바닥면을 향하도록 석션 포트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석션 포트의 단부를 1/3~1/2만큼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
  3. 삭제
KR1020070128203A 2007-12-11 2007-12-11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 KR100929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203A KR100929321B1 (ko) 2007-12-11 2007-12-11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203A KR100929321B1 (ko) 2007-12-11 2007-12-11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59A KR20090061259A (ko) 2009-06-16
KR100929321B1 true KR100929321B1 (ko) 2009-11-27

Family

ID=4099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203A KR100929321B1 (ko) 2007-12-11 2007-12-11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3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475B1 (ko) * 1996-12-30 1999-09-15 정몽규 자동차의 연료 흡입파이프 구조
JP2004143970A (ja) * 2002-10-22 2004-05-20 Nissan Motor Co Ltd 燃料供給装置
KR20050113981A (ko) * 2004-05-31 2005-12-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펌프 취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475B1 (ko) * 1996-12-30 1999-09-15 정몽규 자동차의 연료 흡입파이프 구조
JP2004143970A (ja) * 2002-10-22 2004-05-20 Nissan Motor Co Ltd 燃料供給装置
KR20050113981A (ko) * 2004-05-31 2005-12-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펌프 취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59A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458B1 (ko) 필터장치
JP3521449B2 (ja) インタンク式燃料ポンプ
US6176133B1 (en) Fuel sending unit having a fuel filter combined with a fuel float
US8561596B2 (en) Low fuel engine restarting
US20080296395A1 (en) Fuel Extraction System for an Auxiliary Heating Unit
KR100929321B1 (ko) 원활한 연료 공급을 위한 석션 포트 구조
JPS623312B2 (ko)
CN104603008B (zh) 直升机的气化系统的排放方法和清除收集器
JP2008155890A (ja) 燃料タンク構造
CN103261653B (zh) 用于内燃机的空气滤清器
US6203286B1 (en) Electric fuel pump which is self-filling at low fuel levels in a fuel tank
US20050172937A1 (en) Device for supplying fuel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475821B1 (ko) 연료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JPH0636287Y2 (ja) 外気導入吸気管の水抜き構造
KR100488554B1 (ko) 연료탱크의 연료공급구조
JP2007069747A (ja) 燃料タンク装置
FR2621353A1 (fr) Carter de filtre a ai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KR100570012B1 (ko) 연료탱크의 연료 석션장치
KR100506782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피드 파이프 구조
KR101271931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JPH0226737Y2 (ko)
KR200463165Y1 (ko) 옥상물탱크의 잔수배수용 펌프.
JP2002070680A (ja) 内燃機関用燃料供給装置
KR0134655Y1 (ko) 내연기관용 오일펌프의 오일스트레이너
KR19980021604U (ko) 자동차 엔진의 연료흡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