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584A -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584A
KR19980015584A KR1019960034968A KR19960034968A KR19980015584A KR 19980015584 A KR19980015584 A KR 19980015584A KR 1019960034968 A KR1019960034968 A KR 1019960034968A KR 19960034968 A KR19960034968 A KR 19960034968A KR 19980015584 A KR19980015584 A KR 19980015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vehicle
obstacle
distanc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7083B1 (ko
Inventor
서광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3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083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083B1/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차를 주차하거나 또 다른 목적으로 자동차를 후진시킬 때 후방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의 제어방법은 전원의 공급상태를 판단하는 전원공급 판단과정과, 자동차가 후진하는지를 판단하는 자동차 후진 판단과정과,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장애물 거리감지과정과,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지 판단하는 브레이크 작동판단과정과,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작동과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은 제어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부와, 자동차 뒷 바퀴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후진을 감지하는 후진 감지센서와, 자동차의 후방범퍼에 장착되어 후방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센서 및 브레이크 유압라인에 장착되어 후방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센서 및 브레이크 유압라인에 장착되어 브레이크의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유압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브레이크 유압라인에 결합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으로 운전자가 미처 확인하지 못하였거나 인지하지 못한 장애물과의 충돌을 미리 감지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접촉사고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과 인사사고 등을 방지한다.
또한 브레이크 유압센서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장애물을 확인하고 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데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고 브레이크를 작동시킴으로 인한 불 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고, 또한 운전자가 취향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 흐름도
*도면의 중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 스위치부2 : 후진 감지센서
3 : 거리 감지센서4 : 브레이크 유압센서
5 : 제어부6 : 액츄에이터
100 : 브레이크 유압라인
본 발명은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차를 주차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자동차를 후진시킬 때 후방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자동차를 후진시킬 때 후사경이나 후방유리를 통하여 후방을 주시하며 후진을 실시한다.
그런데 후사경과 후방유리를 통하여 운전자가 확인하는 후방의 시야는 일부에 불과하고, 후방범퍼의 상태는 전혀 확인할 수 없으며, 특히 우천시나 야간에는 감각에 의존하여 후진을 실시할 수밖에는 없다.
그러므로 많은 운전자들이 후진 중 범퍼가 손상되거나 다른 차량에 피해를 주며 인사사고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자동차가 후진시 장애물이 있을 경우 자동차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제어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전원의 공급상태를 판단하는 전원공급 판단과정과, 자동차가 후진하는지를 판단하는 자동차 후진 판단과정과,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장애물 거리감지과정과,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지 판단하는 브레이크 작동 판단과정과,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작동과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은 제어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부와, 자동차 뒷 바퀴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후진을 감지하는 후진 감지센서와, 자동차의 후방범퍼에 장착되어 후방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센서 및 브레이크 유압라인에 장착되어 브레이크의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유압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브레이크 유압라인에 결합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으로 상술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 구성도 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 흐름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전원의 공급상태를 판단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동작을 종료하고 전원이 공급되면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전원공급 판단과정과, 전원이 공급된 본 발명이 동작할 때 자동차가 주행상태 즉 전진상태인지 후진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자동차가 후진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하고 후진 중 이면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자동차 후진 판단과정과, 후진시 후방의 장애물과 범퍼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장애물과의 거리가 근접하지 않으면 자동차 후진 판단과정으로 되돌려 보내고 장애물과의 거리가 근접하여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장애물 거리감지과정과, 후방에 장애물이 근접했을 때 운전자가 이를 알고 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지를 감지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켰으면 동작을 종료하고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하지 않았으면 다음과정으로 진행하는 브레이크 작동 판단과정과,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하지 않았을 때 이 브레이크 유압라인(100)에 유압을 발생시켜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작동과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범퍼와 후방장애물과의 거리가 근접했을 때 이를 판단하여 자동차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6)를 구동시키는 제어부(5)는 운전자가 본 발명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부(1)와, 자동차가 주행상태 즉 전진 상태인지 후진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뒷 바퀴에 장착되어 자동차가 후진하면 신호를 보내는 후진 감지센서(2)와, 자동차가 후진시 범퍼와 후방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후방범퍼에 장착되어 후방범퍼와 후방장애물과의 거리가 근접하면 신호를 보내는 거리 감지센서(3) 및 자동차가 후진 중 후방장애물과 충돌할 위험이 있을 때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유압라인(100)에 장착되어 브레이크의 작동 유무를 감지하여 브레이크 유압라인(100)에 압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신호를 보내는 브레이크 유압센서(4)에서 신호가 입력될 때 동작한다.
또한 제어부(5)에 의하여 구동되는 액츄에이터(6)는 브레이크 유압라인(100)에 결합되어 유압을 발생시켜 각 바퀴의 휠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작용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전원스위치부(1), 후진 감지센서(2), 거리 감지센서(3), 브레이크 유압센서(4)로부터 신호를 받아 액츄에이터(6)를 구동시키는 제어부(5)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서 운전자가 주차 또는 다른 목적으로 자동차를 후진시킬 때 운전자가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 상태이면 후진 감지센서(2)는 자동차가 후진하는지를 감지한다.
이 때 자동차가 후진하지 않으면 본 발명을 동작을 종료하고 자동차가 후진하면 거리 감지센서(3)가 후방범퍼와 후방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확인하지 못하는 후방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장애물이 근접하면 제어부(5)에 신호를 보낸다.
신호를 받은 제어부(5)는 운전자가 후사경이나 후방유리를 통하여 후방장애물을 확인하고 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지 브레이크 유압센서(4)를 통하여 브레이크 유압라인(100)상의 유압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았으면 브레이크 유압라인(100)에 장작된 액츄에이터(6)에 전원을 공급하여 액츄에이터(6)를 구동시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므로 운전자가 미처 확인하지 못한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운전자가 마치 확인하지 못하였거나 인지하지 목한 장애물과의 충돌을 미리 감지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접촉사고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과 인사사고 등을 방지한다.
또한 브레이크 유압센서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장애물을 확인하고 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데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고 브레이크를 작동시킴으로 인한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고, 또한 운전자가 취향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전원의 공급상태를 판단하는 전원공급 판단과정과,
    자동차가 후진하는지를 판단하는 자동차 후진 판단과정과,
    후방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장애물 거리감지과정과,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켰는지 판단하는 브레이크 작동 판단과정과,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작동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2. 제어부(5)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부(1)와, 자동차 뒤 바퀴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후진을 감지하는 후진 감지센서(2)와, 자동차의 후방범퍼에 장착되어 후방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센서(3) 및 브레이크 유압라인(100)에 장착되어 브레이크를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유압센서(4)로부터 신호를 받아 브레이크 유압라인(100)에 결합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6)를 구동시키는 제어부(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장치.
KR1019960034968A 1996-08-23 1996-08-23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 KR017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968A KR0177083B1 (ko) 1996-08-23 1996-08-23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968A KR0177083B1 (ko) 1996-08-23 1996-08-23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584A true KR19980015584A (ko) 1998-05-25
KR0177083B1 KR0177083B1 (ko) 1999-04-01

Family

ID=1947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968A KR0177083B1 (ko) 1996-08-23 1996-08-23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419B1 (ko) * 2000-10-02 2003-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419B1 (ko) * 2000-10-02 2003-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방경고 자동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7083B1 (ko)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4753B1 (en) Collision protection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projecting motor vehicle parts
CN102030038B (zh) 停放车辆辅助系统
JPH09240502A (ja) 車両操舵装置
KR19980015584A (ko) 자동차 후진시 충돌방지 제어방법 및 장치
KR19990021740A (ko) 자동차의 자동주차제어방법
JPH0891159A (ja) 車両用接触事故防止装置
KR19980023404U (ko) 자동차의 접촉방지 경고장치
KR0142539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73236Y1 (ko) 차량의 사각지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드미러 장치
WO2008065396A1 (en) Electronic braking system
KR19980027765U (ko) 차량용 보조 제동장치
KR100191912B1 (ko) 차량의 후진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5139227A (ja) 自動車走行安全確認装置
KR19980076788A (ko) 후진시 충돌방지장치
KR100187432B1 (ko) 자동차의 접촉사고 방지장치
KR200262478Y1 (ko) 차량의 사각지대 안전경보장치
KR0173410B1 (ko) 후시경 각도 자동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33591B1 (ko) 자동차의 충돌시 회전방지장치
CN114834350A (zh) 汽车警示装置及警示方法
KR200154441Y1 (ko) 자동차 충돌 방지장치
GB2435919A (en) Vehicle lamp assembly with variable illuminating direction
KR19980045825A (ko) 인공지능 사이드 미러 시스템
KR0168330B1 (ko) 차량의 후진 제어장치
KR19990027000U (ko) 자동차 승하차시의 승객 보호 장치
KR19990032593A (ko) 후진 자동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