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000U - 자동차 승하차시의 승객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승하차시의 승객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000U
KR19990027000U KR2019970039565U KR19970039565U KR19990027000U KR 19990027000 U KR19990027000 U KR 19990027000U KR 2019970039565 U KR2019970039565 U KR 2019970039565U KR 19970039565 U KR19970039565 U KR 19970039565U KR 19990027000 U KR19990027000 U KR 199900270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ssenger
door
ultrasonic sensor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9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000U/ko
Publication of KR19990027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000U/ko

Links

Landscapes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의 우발사고 또는 교통위난의 경우 승객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승객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후방 물체 검출 장치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제어모듈 장치(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승객의 안전을 위해 자동차의 승하차 도어을 잠그는 도어 락 모듈 장치(100)를 구비한 자동차에서의 승객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방 물체 검출 장치는, 그 차량이 정차한 차선의 옆차선으로 주행하는 다른 후방 이동물체를 검출할 수 있도록 그 차량의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원거리용 초음파 센서(200)로 하며; 상기 전자제어모듈 장치(300)는, 상기 원거리용 초음파 센서로 검출된 후방 옆쪽 물체의 위치가 단위 시간당 소정 수치 이상으로 계속 줄어드는 경우에 상기 경고 장치(400)를 구동하고, 승객이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상기 도어 락 모듈 장치(1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데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승하차시의 승객 보호 장치(A car with device of protecting a passenger getting off)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의 우발사고 또는 교통위난의 경우 승객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주로 차량 전용도로를 다니므로, 탑승자가 승하차하는 장소가 인도 인근 도로인 경우가 많다. 즉, 승하차시에 승객이 우발적인 교통위난을 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정차된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를 열고 하차하려는 경우에 뒤따라오는 오토바이 등과 충돌하는 사례가 종종 있어왔다.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를 보기 위한 장치로는 시각적 및 광학적 수단인 백미러와 사이드 미러가 있는데, 하차하려는 승객은 이들 광학적 거울을 이용하여 후방에 빠른 속도로 접근하는 위험 물체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자동차의 전후방 장애물 감지 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그 대표적인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94-23709 호가 있다. 이 기술은, 기록에 따르면, 자동차의 앞범퍼 및 좌우측에 설치되고 일정 거리 이내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전원을 스위칭 시키는 제 1 감지 센서(들)의 장애물 감지 출력에 의하여 여자되는 릴레이와, 자동차의 뒷범퍼 좌우측에 설치되고 일정 거리 이내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전원을 스위칭 시키는 제 2 감지 센서(들)과, 상기 감지 센서(들)의 장애물 감지 출력에 의하여 여자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여자시 접속되어 램프를 점등시키는 릴레이 스위치와, 상기 릴레이의 여자시 접속되어 버저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자동차 후방에 물체가 있으면, 경고 표시를 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기술들은, 자동차의 전후진 시에 유용한데, 승객이 승하차할 때의 위험에 대한 직접적인 대비는 없다.
그리고, 승하차시 승객의 안전을 위한 시스템(방법 포함)에 관한 선행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96-1398 호가 있다. 이 기술은, 기록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를 자동 안전 잠금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뒤따라오는 차량을 감지하게 되는 제 1 센서와, 아웃사이드 미러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후방 차량의 전방 진로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와, 상기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차량근접 신호들을 수령하여 후방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속도가 소정 속도를 초과할 때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니트와, 상기 제어 유니트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는 작동기 및, 상기 작동기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어 도어를 잠그게 되는 도어 잠금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기술은, 후방 차량이 있는지와 그 진로 방향을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하고, 제어 유니트는 후방 차량의 속도를 산출한다.
본 고안은, 승객이 내리고자 할 때에 우발적인 교통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후진 시에 이용하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뒤에서 다가오는 차량을 검출하여, 적절한 경고 신호를 승객에게 보내며 도어 락을 하는 승하차시 승객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기 위한 자동차의 제어시스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이 가정하는 후방 물체 접근 상황 및 그 초음파 센서의 부착 위치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도어 락 모듈 200 : 초음파 센서
300 : 전자제어모듈(ECM) 400 : 경고 장치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방 물체 검출 장치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제어모듈 장치(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승객의 안전을 위해 자동차의 승하차 도어을 잠그는 도어 락 모듈 장치(100)를 구비한 자동차에서의 승객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방 물체 검출 장치는, 그 차량이 정차한 차선의 옆차선으로 주행하는 다른 후방 이동물체를 검출할 수 있도록 그 차량의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원거리용 초음파 센서(200)로 하며; 상기 전자제어모듈 장치(300)는, 상기 원거리용 초음파 센서로 검출된 후방 옆쪽 물체의 위치가 단위 시간당 소정 수치 이상으로 계속 줄어드는 경우에 상기 경고 장치(400)를 구동하고, 승객이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상기 도어 락 모듈 장치(1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기 위한 자동차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자동차의 각종 동작 사항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모듈(300)과, 상기 전자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승객의 안전을 위해 자동차의 승하차 문을 잠그며 혹은 승객이 하차하려고 도어 스위칭 장치를 조작한 경우에 그 스위칭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모듈로 출력하는 도어 락 모듈 장치(100)와,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가 있는 경우에 탑승자에게 소정의 경고 표시를 하기 위한 경고 장치(400)와, 자동차의 후방 부위(옆)에 있는 물체를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모듈(300)로 출력하는 원거리용 초음파 센서(20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고안이 가정하는 후방 물체 접근 상황 및 그 초음파 센서의 부착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일 예로 뒷범퍼 우측에 초음파 센서(200)가 부착된 자동차와, 상기 초음파 센서가 후방 물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범위(빗금친 부분)와, 가상적인 후방 접근 물체(자전거)가 도시되어 있다.
후방에 있는 물체를 검출하는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초음파 센서가 이용되고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특히 원거리용 초음파 센서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초음파 센서가 사용된 이유는 차량 후진 시에 장애물 탐지를 위한 것으로 주로 근거리용이었음에 비해, 본 고안에서 상정하는 상황은 원거리에서 비교적 빠른 속도로 다가오는 이동물체(차량, 자전거 등)를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초음파 센서는, 발사된 초음파가 대상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온 시간을 통해 그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알 수 있는 감지 센서이다. 따라서, 대상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가장 멀리까지도 검출할 수 있는 각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직선 범위이라고 할 수 있는 좌우 8°이내이다. 이 정도의 각도 범위에 후방 옆 차선(길어깨 포함.)이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초음파 센서(200)는 자동차 뒷범퍼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음파 센서(200)로부터 후방 접근 물체의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상기 전자제어모듈(300)은, 본 고안에서는, 승객이 하차할 경우에 후방에 있는 물체가 승객과 충돌할만한 시간 이내에 그 하차 위치로 접근하는 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즉, 빠른 속도로 후방 옆차선으로 접근해오는 지를 판별하여야 한다.
즉, 전자제어모듈은, 초음파가 반사되어 오는 데에 소요된 시간(이것이 대상물체와의 거리와 비례한다.)이 일정 시간마다(예를 들어, 0.3초마다) 어느 정도로 짧아지는 지를 내장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체크한다. 짧아지는 정도가 소정 기준치를 넘으면, 예를 들어 후방 접근 물체의 속력이 초속 10m를 넘으면, 상기 도어 락 모듈(100) 및 경고 장치(400)를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락 모듈(100)이 구동됨에 있어서, 항상 옆 차선으로 차량이 빠르게 다가오는 경우에 도어를 락 했다가 해제하면 그 전기제어 회로 부품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승객이 하차 하려는 때에만 도어를 잠금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승객이 도어를 열기 위해서 소정의 도어 스위치(일반적으로는 당김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에 그 조작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 스위칭 신호와, 상기 전자제어모듈이 출력하는 도어 락 구동 신호가 모두 있을 때(즉, 앤드 게이트를 이용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잠금 되도록 한다. 당업자라면 쉽게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기존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 및 전자제어모듈의 간단한 비교 회로 수단을 이용하여 후방 접근 물체에 의한 승객의 승하차시의 우발적인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후방 물체 검출 장치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제어모듈 장치(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승객의 안전을 위해 자동차의 승하차 도어을 잠그는 도어 락 모듈 장치(100)를 구비한 자동차에서의 승객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방 물체 검출 장치는, 그 차량이 정차한 차선의 옆차선으로 주행하는 다른 후방 이동물체를 검출할 수 있도록 그 차량의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원거리용 초음파 센서(200)로 하며;
    상기 전자제어모듈 장치(300)는, 상기 원거리용 초음파 센서로 검출된 후방 옆쪽 물체의 위치가 단위 시간당 소정 수치 이상으로 계속 줄어드는 경우에 상기 경고 장치(400)를 구동하고, 승객이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상기 도어 락 모듈 장치(1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 장치.
KR2019970039565U 1997-12-22 1997-12-22 자동차 승하차시의 승객 보호 장치 KR199900270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565U KR19990027000U (ko) 1997-12-22 1997-12-22 자동차 승하차시의 승객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565U KR19990027000U (ko) 1997-12-22 1997-12-22 자동차 승하차시의 승객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000U true KR19990027000U (ko) 1999-07-15

Family

ID=6969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565U KR19990027000U (ko) 1997-12-22 1997-12-22 자동차 승하차시의 승객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0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41B1 (ko) * 2007-05-09 2008-10-07 홍종운 차량용 승객 보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41B1 (ko) * 2007-05-09 2008-10-07 홍종운 차량용 승객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90321B (zh) 智慧型车辆侧边防撞警示系统及其方法
CN109455139B (zh) 一种基于汽车开门的警示保护装置
CN109334597B (zh) 基于磁流变阻尼器的汽车开门防撞装置及方法
GB2474932A (en) Avoidance of a collision with a door of a stationary vehicle
CN111284403A (zh) 车门开启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201201552Y (zh) 汽车车门开启警示装置以及应用该警示装置的汽车
KR19990027000U (ko) 자동차 승하차시의 승객 보호 장치
KR0140497Y1 (ko) 자동차의 하차시 충돌위험 방지장치
KR970074291A (ko) 자동차 하차시의 사고 방지장치
CN213619552U (zh) 一种车辆安全辅助系统
JPH05290299A (ja) 車両の障害物検知装置
KR19980047796A (ko)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장치
KR0138008Y1 (ko) 차량용 룸미러
JPH05139227A (ja) 自動車走行安全確認装置
KR0133976Y1 (ko) 자동차의 전후방 물체 경보장치
KR100405357B1 (ko) 차량간 및 장애물과의 추돌 방지장치
KR100372716B1 (ko) 차량의사고방지장치및방법
KR100412435B1 (ko)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보장치
KR19980053879A (ko) 자동차의 안전장치
KR19980048035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보호장치
KR100260186B1 (ko) 후부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77106A (ko)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9980010780U (ko) 도어 자동 록킹 시스템
CA2120638A1 (en) Blind spot warning device
KR20230119916A (ko) 개문사고 방지를 위한 버튼식 잠금장치가 탑재된 차량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