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7106A -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7106A KR20240077106A KR1020220159241A KR20220159241A KR20240077106A KR 20240077106 A KR20240077106 A KR 20240077106A KR 1020220159241 A KR1020220159241 A KR 1020220159241A KR 20220159241 A KR20220159241 A KR 20220159241A KR 20240077106 A KR20240077106 A KR 202400771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bstacle
- mirror housing
- mirror
- vehicle
- are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 하우징과 미러 하우징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는, 차량 측방에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 주변의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 영역 내의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장애물이 위치하는 분할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사이에서 상기 장애물의 위치 변화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장애물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감지 시점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미러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의 제1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가까운 제2 분할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는, 차량 측방에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 주변의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 영역 내의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장애물이 위치하는 분할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사이에서 상기 장애물의 위치 변화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장애물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감지 시점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미러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의 제1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가까운 제2 분할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 하우징과 미러 하우징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인사이드 미러가 설치되고, 차량의 양측 프론트 도어에 아웃 사이드 미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자는 인사이드 미러와 아웃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를 통해 차량의 후진, 추월 및 차선 변경 등과 같은 상황에서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을 파악하게 된다.
이 중에서 아웃 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도어락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시 접히거나 펴질 수 있으며, 좁은 도로와 같이 일시적으로 아웃 사이드 미러를 접어야 하는 경우 운전자는 수동으로 아웃 사이드 미러를 접어 놓거나 차량 내에서 자동으로 아웃 사이드 미러를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아웃 사이드 미러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확인하지 못하여 아웃 사이드 미러를 미리 접지 못하는 경우 아웃 사이드 미러와 장애물이 충돌하여 아웃 사이드 미러의 파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아웃 사이드 미러 주변의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아웃 사이드 미러가 접히도록 하여 아웃 사이드 미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러 하우징의 주변에서 감지되는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미러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장애물로서 차체 또는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감지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미러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는, 차량 측방에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 주변의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 영역 내의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장애물이 위치하는 분할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사이에서 상기 장애물의 위치 변화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장애물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감지 시점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미러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의 제1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가까운 제2 분할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미러 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 각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시점에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상기 미러 하우징과 충돌 가능성이 있는 유효한 장애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영역은, 상기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분할 영역; 및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가까운 제4 분할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시점에 상기 제3 분할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을 상기 미러 하우징과 충돌 가능성이 없는 무효한 장애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시점에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4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 감지부 또는 그 부근에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 분할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과 상기 장애물의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분할 영역에서 상기 제2 분할 영역으로 진입한 이후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미러 하우징에 대한 운전자의 조작 명령이 미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분할 영역에서 상기 제2 분할 영역으로 진입한 이후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 차량의 긴급 제동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진입한 장애물로 인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한 장애물이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과 먼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은, 차량 측방에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미러 하우징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미러 하우징과 일정 거리 이상의 제1 분할 영역에서 최초로 장애물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과 가까운 제2 분할 영역에 진입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진입된 경우, 상기 언폴딩된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영역 사이의 제3 분할 영역에서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의 언폴딩 상태가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에 가까운 제4 분할 영역에서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의 감지를 위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에 설치되는 장애물 감지부 또는 그 주변에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는 단계는, 상기 미러 하우징과 상기 감지되는 장애물의 충돌 경고가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충돌 경고 출력 이후,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미러 하우징에 대한 운전자의 조작 명령이 미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는 단계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일 때 차량의 긴급 제동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 분할 영역 보다 먼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폴딩된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미러 하우징 주변의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에 접근할 때 운전자의 조작 없이도 미러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미러 하우징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러 하우징 주변의 장애물이 아닌 차체 또는 탑승자의 신체 일부가 장애물로서 감지되는 경우 미러 하우징의 폴딩 또는 언폴딩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미러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지 않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도시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부의 감지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는 보행자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하우징의 전방에서 이동하여 동작 영역에 위치한 보행자가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효 영역 내에서 감지되는 장애물이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는 고정 설치물이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이동에 의해 동작 영역에 위치한 미러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는 고정 설치물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도시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부의 감지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는 보행자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하우징의 전방에서 이동하여 동작 영역에 위치한 보행자가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효 영역 내에서 감지되는 장애물이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는 고정 설치물이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이동에 의해 동작 영역에 위치한 미러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는 고정 설치물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1)는 장애물 감지부(100), 위치 판단부(200), 구동부(300), 제어부(400) 및 경고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1)는 도 2와 같이 미러 하우징(10)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10)에 가까워지는 경우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도록 하고, 도 3과 같이 미러 하우징(10) 주변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않거나 미러 하우징(10)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미러 하우징(10)이 언폴딩되도록 하여 미러 하우징(10)이 장애물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러 하우징(10)에 미러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러 하우징(10)에는 미러 대신 카메라가 구비될 수도 있고, 미러 하우징(10)에 카메라가 구비되는 경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차량 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1)는 미러 하우징(10)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운전자의 조작 없이도 미러 하우징(10)이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장애물은 미러 하우징(10) 주변에 위치하는 고정 설치되는 설치물 등과 같은 고정 객체와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과 같은 이동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10)에 가까워지도록 접근한다는 것은 차량이 정지 상태일 때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1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와 장애물이 정지 상태일 때 차량이 장애물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와 같이 차량과 장애물 중 적어도 하나가 상대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상호 간에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차량용 구동 장치(1)는 미러 하우징(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미러 하우징(10)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상황 이외에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 사이의 충돌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조작 없이도 미러 하우징(10)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구동 장치(1)는 차량 양측의 미러 하우징(10)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 양측의 미러 하우징(10)이 서로 개별적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미러 하우징(10)은 도어락 잠금 여부, 시동 온/오프, 운전자의 조작 명령 등에 따라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반면, 장애물과의 충돌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하여 운전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지 않게 되어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이 충돌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러 하우징(10)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일반적인 상황이 아닌 미러 하우징(10) 주변에 장애물이 위치하여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조작 명령이 없더라도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도록 하여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이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여 미러 하우징(1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장애물 감지부(100)는 미러 하우징(10)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으며, 장애물 감지부(100)는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라이다 센서, 적외선 센서, 카메라 센서 등과 같이 미러 하우징(10)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존재 여부와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장애물 감지부(100)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부의 감지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로서, 도 4는 차량 양측 중 좌측에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10)의 일 예로서 우측에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부(100)는 미러 하우징(10)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 각도 범위 내의 감지 영역(A) 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으며, 도 4는 장애물 감지부(100)가 미러 하우징(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설정 각도 범위 내의 감지 영역(A) 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이때, 설정 각도 범위는 미러 하우징(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10)의 전방에 접근하거나 미러 하우징(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10)의 후방에 접근하는 경우 미러 하우징(10)과 충돌이 예상되는 범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설정 각도 범위는 장애물 감지부(100)의 규격이나 설치 방향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위치 판단부(200)는 장애물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되는 장애물의 위치를 판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위치 판단부(200)는 장애물 감지부(100)에 의한 감지 영역(A)을 제1 분할 영역(A1), 제2 분할 영역(A2), 제3 분할 영역(A3) 및 제4 분할 영역(A4)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분할 영역(A1, A2, A3, A4) 중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장애물이 위치하는 분할 영역을 판단하고, 복수의 분할 영역(A1, A2, A3, A4) 사이에서 장애물의 위치 변화를 판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장애물의 최초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장애물 감지부(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의 제1 분할 영역(A1)에 위치하는 장애물은 미러 하우징(10)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유효한 장애물이고, 제1 분할 영역(A1)에 비하여 장애물 감지부(100)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2 분할 영역(A2)에 위치하는 장애물은 미러 하우징(10)과 충돌되는 장애물이고, 제1 분할 영역(A1)과 제2 분할 영역(A2)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분할 영역(A3)에 위치하는 장애물은 차체 또는 탑승자의 신체 일부 등에 의한 것으로서 미러 하우징(10)과 충돌 가능성이 낮은 무효한 장애물이며, 제2 분할 영역(A2)에 비하여 장애물 감지부(100)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4 분할 영역(A4)에 위치하는 장애물은 실제 장애물이 아닌 장애물 감지부(100) 또는 그 주변의 오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제3 분할 영역(A3)에서 최초로 감지되는 장애물은 차량의 도어가 열리거나 탑승자의 팔 등과 같이 신체 일부가 차체 외부에 위치하여 감지되는 장애물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분할 영역(A2)에 위치하는 장애물은 제2 분할 영역(A2)에서 최초로 감지되는 장애물 뿐만 아니라 제1 분할 영역(A1)에서 최초로 감지된 이후 제2 분할 영역(A2)으로 진입하도록 이동되는 장애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4 분할 영역(A4)에 위치하는 장애물은 장애물 감지부(100) 또는 그 주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장애물로서, 실제 장애물이 아닌 눈, 비, 흙탕물 등에 의한 오염으로 인하여 장애물로 감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위치 판단부(200)가 감지되는 장애물의 위치 변화를 판단한다는 것은 복수의 분할 영역(A1, A2, A3, A4) 중 어느 하나에서 최초로 감지되는 장애물이 다른 하나로 이동되는 것을 판단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러 하우징(10)의 전방에 대응되는 감지 영역(A)의 설정 각도 범위와 미러 하우징(10)의 후방에 대응되는 감지 영역(A)의 설정 각도가 범위가 동일하고, 미러 하우징(10)의 전방과 후방 각각의 제1 내지 제4 분할 영역(A1, A2, A3, A4)이 동일한 거리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러 하우징(1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의 제1 내지 제4 분할 영역(A1, A2, A3, A4)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각도 범위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질 수도 있다.
구동부(300)는 후술할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미러 하우징(10)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위치 판단부(2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미러 하우징(10)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이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가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언폴딩된 상태의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이 충돌하는 것은 주로 미러 하우징(10)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제어부(400)가 위치 판단부(2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위치 판단부(200)에 의해 제1 장애물(510)로서 보행자가 미러 하우징(10) 전방의 제1 분할 영역(A1)에서 최초로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위치 판단부(200)의 판단 결과 도 6과 같이 제1 장애물(510)이 제1 분할 영역(A1)에서 제3 분할 영역(A3)을 거쳐 제2 분할 영역(A2)에 진입하도록 이동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제1 장애물(510)이 미러 하우징(10)에 충돌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제1 장애물(510)과 미러 하우징(10)이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위치 판단부(200)에 의해 제2 장애물(520)이 미러 하우징(10) 후방의 제3 분할 영역(A3)에서 최초로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제어부(400)는 제2 장애물(520)이 차량의 도어나 탑승자의 신체 일부 등과 같이 유효하지 않은 장애물이라 판단하여 미러 하우징(10)이 언폴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미러 하우징(10)이 불필요하게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위치 판단부(200)에 의해 제3 장애물(530)로서 기둥과 같은 고정 설치물이 미러 하우징(10) 전방의 제1 분할 영역(A1) 내에서 최초로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위치 판단부(200)의 판단 결과 도 9와 같이 제3 장애물(530)이 제3 분할 영역(A3)을 거쳐 제2 분할 영역(A2)에 진입하도록 이동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전술한 도 2와 같이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도록 하여 미러 하우징(10)과 제3 장애물(530)이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에 의해 언폴딩된 상태의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된 이후, 장애물이 제2 분할 영역(A2)에 비하여 미러 하우징(10)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되도록 이동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폴딩된 상태의 미러 하우징(10)이 다시 언폴딩되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장애물 감지부(1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도록 하기 이전에 경고부(500)를 통해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의 충돌 경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경고부(500)는 음성, 문자 뿐만 아니라 미러 하우징(10)에 장착되는 미러(미도시)를 통해 장애물을 표시하는 BSD(Blind Spot Detection) 기능을 통해 운전자에게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의 충돌을 경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충돌 경고 이후 설정 시간 동안 운전자의 미러 하우징(10)에 대한 조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조작 명령 없이도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위치 판단부(200)의 판단 결과 제4 분할 영역(A4) 내에서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경우 실제 장애물이 아닌 장애물 감지부(100) 또는 그 주변의 오염으로 인하여 장애물로서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으로 열선 동작이나 세척 경고가 출력되도록 하여 미러 하우징(10)이 불필요하게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미러 하우징(10) 주변의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10)을 향하여 접근하는 경우와 차량의 이동에 의해 미러 하우징(10) 주변의 고정 설치물이 미러 하우징(10)을 향하여 접근하는 경우를 각각 별도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과 장애물 중 적어도 하나가 상대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차량의 ECU 등으로 차량의 긴급 제동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여 차량의 긴급 제동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여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의 ECU는 차량이 기준 속도 이하일 때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긴급 제동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차량이 기준 속도를 초과하여 주행하는 도중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는 경우 오히려 운전자의 사각 지대가 발생하여 차량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10은 차량이 정지 상태인 상태에서 제1 분할 영역(A1) 내에서 최초로 감지되는 장애물이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10)에 접근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은, 먼저 장애물 감지부(100)가 미러 하우징(10)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한다(S110).
이때, 장애물 감지부(100)는 미러 하우징(10)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미러 하우징(10)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위치 판단부(200)의 판단 결과 장애물 감지부(100)에 의해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시점에 제1 분할 영역(A1) 내에 위치되고, 감지되는 장애물이 제1 분할 영역(A1)으로부터 제3 분할 영역(A3)을 거쳐 제2 분할 영역(A2)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20), 제어부(400)는 경고부(500)를 통해 장애물 충돌 경고를 출력하게 된다(S130).
충돌 경고 이후, 설정 시간 내에 운전자로부터 미러 하우징(10)의 폴딩을 위한 조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S140), 제어부(400)는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언폴딩 상태의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도록 하게 된다(S150).
미러 하우징(10)의 폴딩 이후, 제어부(400)는 위치 판단부(200)의 판단 결과 장애물이 제2 분할 영역(A2)에 비하여 먼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전술한 S110 내지 S15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10)으로부터 제2 분할 영역(A2)에 비하여 먼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S160), 미러 하우징(10)이 언폴딩되도록 하게 된다(S17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11은 고정 설치되는 장애물이 제1 분할 영역(A1) 내에서 최초로 감지된 이후 차량이 이동하여 장애물에 접근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은, 먼저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S210), 장애물 감지부(100)가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게 된다(S220).
이때, 장애물 감지부(100)가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일 때 장애물을 감지하는 것은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할 때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는 경우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위치 판단부(200)의 판단 결과 장애물 감지부(100)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는 시점에 제1 분할 영역(A1) 내에 위치되고, 감지되는 장애물이 제1 분할 영역(A1)에서 제3 분할 영역(A3)을 거쳐 제2 분할 영역(A2)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230), 제어부(400)는 경고부(500)를 통해 장애물 충돌 경고를 출력하게 된다(S240).
충돌 경고 이후, 설정 시간 내에 운전자로부터 미러 하우징(10)의 폴딩을 위한 조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S250), 제어부(400)는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미러 하우징(10)이 폴딩되도록 하게 된다(S260).
제어부(400)는 미러 하우징(10)의 폴딩 이후, 차량의 ECU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차량의 긴급 제동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게 된다(S270).
제어부(400)는 차량의 긴급 제동 이후, 장애물이 제2 분할 영역(A2)에 비하여 미러 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질 때까지 전술한 S210 내지 S27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장애물이 미러 하우징(10)으로부터 제2 분할 영역(A2)에 비하여 먼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S280), 제어부(400)는 미러 하우징(10)이 언폴딩되도록 하는 동시에 차량으로 긴급 제동 기능이 해제되도록 하게 된다(S29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은 일반적으로 미러 하우징(10)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상황 이외에 미러 하우징(10)과 장애물의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ECU 제어가 없더라도 미러 하우징(10)이 독립적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미러 하우징(10) 주변의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라도 미러 하우징(1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장애물 감지부
200: 위치 판단부
300: 구동부
400: 제어부
500: 경고부
200: 위치 판단부
300: 구동부
400: 제어부
500: 경고부
Claims (16)
- 차량 측방에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 주변의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 영역 내의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장애물이 위치하는 분할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사이에서 상기 장애물의 위치 변화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장애물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감지 시점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미러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의 제1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이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가까운 제2 분할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도록 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미러 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 각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시점에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상기 미러 하우징과 충돌 가능성이 있는 유효한 장애물로 판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영역은,
상기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분할 영역; 및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가까운 제4 분할 영역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시점에 상기 제3 분할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을 상기 미러 하우징과 충돌 가능성이 없는 무효한 장애물로 판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시점에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4 분할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 감지부 또는 그 부근에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 분할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과 상기 장애물의 충돌 위험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분할 영역에서 상기 제2 분할 영역으로 진입한 이후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미러 하우징에 대한 운전자의 조작 명령이 미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도록 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분할 영역에서 상기 제2 분할 영역으로 진입한 이후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 차량의 긴급 제동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진입한 장애물로 인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한 장애물이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과 먼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되도록 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 차량 측방에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미러 하우징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미러 하우징과 일정 거리 이상의 제1 분할 영역에서 최초로 장애물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과 가까운 제2 분할 영역에 진입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진입된 경우, 상기 언폴딩된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영역 사이의 제3 분할 영역에서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의 언폴딩 상태가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비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에 가까운 제4 분할 영역에서 장애물이 최초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의 감지를 위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에 설치되는 장애물 감지부 또는 그 주변에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는 단계는,
상기 미러 하우징과 상기 감지되는 장애물의 충돌 경고가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충돌 경고 출력 이후,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미러 하우징에 대한 운전자의 조작 명령이 미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는 단계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일 때 차량의 긴급 제동 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장애물이 상기 제2 분할 영역 보다 먼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폴딩된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의 구동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9241A KR20240077106A (ko) | 2022-11-24 | 2022-11-24 |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9241A KR20240077106A (ko) | 2022-11-24 | 2022-11-24 |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7106A true KR20240077106A (ko) | 2024-05-31 |
Family
ID=9133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9241A KR20240077106A (ko) | 2022-11-24 | 2022-11-24 |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7710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0161B1 (ko) | 2013-10-08 | 2015-03-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
-
2022
- 2022-11-24 KR KR1020220159241A patent/KR2024007710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0161B1 (ko) | 2013-10-08 | 2015-03-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35920B2 (en) |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 |
US7586402B2 (en) | Process and device for avoiding collision while opening vehicle doors | |
JP6036724B2 (ja) | 車両周辺状況認識装置および車両制御装置 | |
JP6760867B2 (ja) | 車両用周辺監視装置 | |
US11040693B2 (en) | Vehicular protection device and vehicle | |
CN209904702U (zh) | 用于门碰撞检测的装置及系统 | |
JP6011791B2 (ja) | 車両用後方監視装置 | |
CN112384407A (zh) | 包括开门报警系统的车辆 | |
KR20070067241A (ko) | 레이다 센서 및 비젼 센서를 갖는 센서 시스템 | |
JP2008531388A (ja) | 車両の車線変更時の衝突回避方法及び装置 | |
CN108016353B (zh) | 车用开门预先检测系统 | |
US20060091653A1 (en) | System for sensing impending collision and adjusting deployment of safety device | |
US2011014159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a collision of an object with a first vehicle door of a stationary vehicle | |
JP2011037308A (ja) | 車両用乗員保護システム | |
CN110869247B (zh) | 后部防撞闪烁危险灯系统 | |
JP2017200791A (ja) | 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 |
TWM595068U (zh) | 車輛警示系統 | |
CN110803104A (zh) | 车门盲区监测系统、监测方法及车辆 | |
US20240144699A1 (en) | Vehicle | |
CN109080546A (zh) | 用于折入机动车辆外后视镜的方法 | |
JP6143036B2 (ja) | 車両用後方監視装置 | |
JP2021000988A (ja) | 車両用周辺監視装置 | |
KR20240077106A (ko) | 차량용 미러의 구동 장치 및 방법 | |
JP5119045B2 (ja) | 乗員保護装置、乗員保護方法 | |
CN115520131A (zh) | 下车支援装置、下车支援方法、以及非瞬时性存储介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