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161B1 -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161B1
KR101500161B1 KR20130119709A KR20130119709A KR101500161B1 KR 101500161 B1 KR101500161 B1 KR 101500161B1 KR 20130119709 A KR20130119709 A KR 20130119709A KR 20130119709 A KR20130119709 A KR 20130119709A KR 101500161 B1 KR101500161 B1 KR 10150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lass
folding
spr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수
배종식
최찬묵
이창석
장동영
이경준
정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엠알풍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엠알풍정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161B1/ko
Priority to US14/508,803 priority patent/US951171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6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for rotating or oscillating mirr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0Movable or disengageable on impact or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글래스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차량의 실내에서 하우징 및 글래스의 각도를 레버 조작에 의하여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과 글래스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하우징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를 차량의 실내에 설치하여, 차량의 실내에서 레버 조작만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주시각에 맞게 하우징의 각도(즉, 글래스의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Outside mirror having rotary type housing}
본 발명은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글래스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차량의 실내에서 하우징 및 글래스의 각도를 레버 조작에 의하여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선 변경 및 후방 차량 주시 등을 위하여 주행시 없어서는 안되는 안전 부품 중 하나이다.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에 포함된 글래스(미러 글래스)의 각도 조절 방법은 차량의 실내에서 버튼 조작으로 글래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액츄에이터 모듈을 이용한 전동조절 방식과, 차량 내부에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글래스 각도를 조절하는 케이블 조절 방식과, 운전자가 외부에서 직접 손으로 글래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동조절 방식 등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접이 방식도 전동유닛을 이용한 전동식 폴딩 방법과, 샤프트 및 스프링 등을 이용한 수동식 폴딩 방법으로 대별되고 있다.
대부분의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실내에서 버튼 조작으로 각도 조절 가능한 전동조절 방식을 채택하여 편의성을 도모하고 있지만, 일부 저가형 차량 또는 상용 차량 등에는 수동 조절 방식의 아웃사이드 미러가 적용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수동 조절 방식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을 지시하고, 도면부호 2은 하우징(1)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글래스를 나타낸다.
상기 하우징(1)의 개방부에 글래스(2)가 안착되며, 하우징(1)은 글래스를 파손 및 외부 장애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은 360˚조절되는 구조로 상하 좌우 조절 가능하게 차체(도어패널)쪽의 커버체(3)에 장착된다.
즉, 하우징(1)의 저면에는 오목한 볼 체결구를 갖는 캡(4)이 형성되고, 커버체(3)의 상면에는 캡(4)의 볼 체결구내에 삽입 체결되는 볼록한 볼 형상의 브라켓(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의 캡(4)과, 커버체(3)의 브라켓(5)은 볼트 체결 방식의 샤프트(6)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샤프트(6)의 상단과 캡(4)의 상단면 사이에는 스프링(7)이 압축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은 커버체(2)에 대하여 스프링(7)의 장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태가 되고, 스프링(7)의 장력은 샤프트(6)를 체결하는 볼트의 조임 토크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차량 외부에서 하우징(1)내의 글래스(2)를 운전자가 직접 움직이면서 운전자의 시야에 맞게 각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와의 충돌 시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힘의 크기에 따라 하우징(1)이 회전되어 폴딩이 되거나 언폴딩될 수 있다.
즉, 차량 외부에서 하우징(1)에 직접 외압이 가해지면, 하우징(1)이 샤프트(6)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폴딩 또는 언폴딩되고, 이때 캡(4)과 브라켓(5)은 상호 볼 조인팅된 상태이므로, 캡(4)이 브라켓(5)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 접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아웃사이드 미러의 수동 조절 방식은 차량의 외부에서 운전자가 직접 글래스의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운전자가 직접 손으로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또는 언폴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의 도어 윈도우를 오픈시킨 다음, 운전자가 팔을 쭉 뻗어 글래스의 각도를 조절해야 하거나, 또는 차량에서 운전자가 내려서 글래스의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글래스를 손으로 직접 만지게 되므로 글래스의 표면이 지문 등에 의하여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글래스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하우징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를 차량의 실내에 설치하여, 차량의 실내에서 레버 조작만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주시각에 맞게 하우징의 각도(즉, 글래스의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면서 차체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되는 레버와, 레버와 연결봉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면서 커버 플레이트의 외면에 상하좌우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하좌우 각도조절체와, 상하좌우 각도조절체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과 연결되는 폴딩 지지체으로 구성되는 스테이와; 상기 폴딩 지지체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하좌우 각도조절체에 의하여 상하좌우 각도 조절되는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상하좌우 각도조절체는 내측으로 볼록한 반구형 볼로 채택되고, 반구형 볼이 볼조인팅되도록 커버 플레이트의 내면에는 오목한 반구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특히,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된 장착단의 저면과 상기 폴딩 지지체의 상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폴딩 지지체의 저부로부터 하우징의 장착단까지 하우징의 회전 중심점이 되는 폴딩샤프트가 삽입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딩 지지체의 저부에는 스프링 체결홈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 체결홈내에는 폴딩샤프트의 머리부에 의하여 압축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스프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딩 지지체의 상면에는 제1안착돌기가 120°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장착단 저면에는 제1안착돌기의 사이에 놓이는 제2안착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폴딩 지지체의 제1안착돌기의 외주부에는 하우징의 폴딩 각도를 제한하는 제1폴딩 제한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2안착돌기의 외주부에는 제1폴딩 제한돌기의 사이에 놓이는 제2폴딩 제한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하여 아웃사이드 미러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하좌우 각도 조절 가능하게, 그리고 폴딩 및 언폴딩 가능하게 장착하고, 차량 실내에는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과 연동하는 레버를 배치하여, 실내에서 운전자가 레버의 조작 만으로 하우징의 각도 즉, 글래스의 주시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정차시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킬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접촉 사고시의 외부력에 의해서도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이 폴딩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래스와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제작함에 따라, 기존의 하우징에 글래스를 별도로 조립시키기 위하여 하우징에 형성되던 글래스 홀더 및 서포트 등과 같은 부품을 삭제 가능하여, 부품수 절감 및 중량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동 조절 방식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선을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의 상하좌우 각도 조절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의 C-C 선을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각도 제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의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면부호 30은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을 나타낸다.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은 기존의 하우징에 글래스를 별도로 장착하기 위하여 하우징내에 글래스 취부를 위한 홀더 내지 서포트가 형성되는 구조와 달리, 하우징의 개방부쪽에 글래스를 단순히 일체로 접착 고정시킨 구조로 구비되어 부품수 절감 및 중량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내측면에는 폴딩 및 언폴딩을 위한 장착단(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에는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상하좌우 각도 조절을 비롯하여 폴딩 및 언폴딩 작동을 위한 기구로서 스테이(20)가 연결된다.
첨부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20)는 차량의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면서 차체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커버 플레이트(10)의 내측 및 외측에 걸쳐 배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테이(20)는 커버 플레이트(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운전자가 차량 실내에서 조작할 수 있는 레버(22)와, 레버(22)에 일체로 연결되어 커버 플레이트(10)를 관통하는 연결봉(24)과, 연결봉(24)의 외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상하좌우 각도 조절을 가능케 하는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와,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장착단(32)과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딩 지지체(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는 내측으로 볼록한 반구형 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의 내면에는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 즉, 반구형 볼 형상이 삽입되어 볼조인팅되도록 오목한 반구형 홈(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20) 전체를 차량의 실내방향으로 당겨주는 동시에 스테이(20)의 각도조절체(26)를 커버 플레이트(10)의 반구형 홈(12)에 밀착시켜주기 위하여, 도 2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스테이(20)의 연결봉(24)에는 부쉬(53), 제1스프링(27) 및 스프링 지지판(25)이 차례로 끼워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판(25)은 그 뒷쪽에서 연결봉(24)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 장착홈(55)에 체결되는 지지판고정용 클립(54)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27)은 커버 플레이트(10)의 외면에 밀착되는 부쉬(53)와 연결봉(24)에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판(25) 사이에서 양단 지지되면서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프링(27)의 인장력이 연결봉(24)의 스프링 지지판(25)에 작용하여, 스테이(20) 전체가 차량의 실내방향으로 당겨지는 동시에 스테이(20)의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가 커버 플레이트(10)의 내면에 형성된 반구형 홈(12) 표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스테이(20)의 폴딩 지지체(28)에는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장착단(32)이 폴딩 및 언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장착단(32)의 저면과 상기 폴딩 지지체(28)의 상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폴딩 지지체(28)의 저부로부터 하우징(30)의 장착단(32)까지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폴딩 및 언폴딩시 회전 중심점이 되는 볼트 타입의 폴딩샤프트(34)가 삽입 체결된다.
이때, 상기 폴딩 지지체(28)의 저부에는 스프링 체결홈(29)이 형성되는 바, 이 스프링 체결홈(29)내에는 폴딩샤프트(34)에 삽입되어 폴딩샤프트(36)의 머리부(36)에 의하여 압축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스프링(38)이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의 실외에서 운전자가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을 잡고 폴딩 및 언폴딩시키면, 첨부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장착단(32)이 폴딩샤프트(34)를 회전점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결국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차량의 실내에서 운전자가 레버(22)를 잡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스테이(20)의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인 반구형 볼 형상부가 커버 플레이트(10)의 내면에 형성된 반구형 홈(12)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동시에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와 일체로 된 폴딩 지지체(28)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폴딩 지지체(28)에 장착단(32)을 매개로 연결된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도 운전자가 원하는 후방 주시각에 맞게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도 조절된다.
한편,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폴딩 및 언폴딩시,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이 계속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일정한 각도마다 정지하여 안착되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첨부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지지체(28)의 상면에는 제1안착돌기(41)가 120°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0)의 장착단(32) 저면에는 제1안착돌기(41)의 사이에 놓이는 제2안착돌기(4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폴딩 또는 언폴딩시, 장착단(32)의 제2안착돌기(42)가 폴딩 지지체(28)의 제1안착돌기(41)를 타고 넘어가서, 그 다음의 제1안착돌기(41) 사이에 놓여 락킹되도록 함으로써,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폴딩 또는 언폴딩시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이 계속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원하는 각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단(32)의 제2안착돌기(42)가 폴딩 지지체(28)의 제1안착돌기(41)를 타고 넘어갈 때, 장착단(32)에 체결된 폴딩샤프트(34)가 제2스프링(38)을 압축시키며 위로 당겨지게 되므로, 제2안착돌기(42)가 제1안착돌기(41)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폴딩 또는 언폴딩시,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폴딩 및 언폴딩 각도를 제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폴딩 지지체(28)의 제1안착돌기(41)의 외주부에는 하우징(30)의 폴딩 각도를 제한하는 제1폴딩 제한돌기(5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0)의 장착단(32)에 형성된 제2안착돌기(42)의 외주부에는 제1폴딩 제한돌기(51)의 사이에 놓이는 한 쌍의 제2폴딩 제한돌기(5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폴딩 또는 언폴딩시, 장착단(32)의 제2폴딩 제한돌기(52)가 폴딩 지지체(28)의 제1폴딩 제한돌기(51)에 막혀서 더 이상 각회전되지 않게 차단하는 상태가 되므로, 첨부한 도 10에서 보듯이 제한된 폴딩 각도 범위내에서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폴딩 또는 언폴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하여 아웃사이드 미러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하좌우 각도 조절 가능하게, 그리고 폴딩 및 언폴딩 가능하게 장착하고, 차량 실내에는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배치하여, 실내에서 운전자가 레버의 조작 만으로 하우징의 각도 즉, 글래스의 주시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정차시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킬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접촉 사고시의 외부력에 의해서도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이 폴딩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10 : 커버 플레이트
12 : 반구형 홈
20 : 스테이
22 : 레버
24 : 연결봉
25 : 스프링 지지판
26 : 상하좌우 각도조절체
27 : 제1스프링
28 : 폴딩 지지체
29 : 스프링 체결홈
30 :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
32 : 장착단
34 : 폴딩샤프트
36 : 머리부
38 : 제2스프링
41 : 제1안착돌기
42 : 제2안착돌기
51 : 제1폴딩 제한돌기
52 : 제2폴딩 제한돌기
53 : 부쉬
54 : 지지판고정용 클립
55 : 클립 장착홈

Claims (7)

  1. 차량의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면서 차체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10);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레버(22)와, 레버(22)와 연결봉(24)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면서 커버 플레이트(10)의 외면에 상하좌우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와,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과 연결되는 폴딩 지지체(28)으로 구성되는 스테이(20);
    상기 폴딩 지지체(28)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에 의하여 상하좌우 각도 조절되는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
    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좌우 각도조절체(26)는 내측으로 볼록한 반구형 볼로 채택되는 동시에 반구형 볼이 볼조인팅되도록 커버 플레이트(10)의 내면에는 오목한 반구형 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20)의 연결봉(24)에는 부쉬(53), 제1스프링(27) 및 스프링 지지판(25)이 차례로 끼워지게 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 지지판(25)은 연결봉(24)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스프링(27)이 커버 플레이트(10)의 외면에 밀착되는 부쉬(53)와 연결봉(24)에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판(25) 사이에서 양단 지지되면서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일체형 하우징(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장착단(32)의 저면과 상기 폴딩 지지체(28)의 상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폴딩 지지체(28)의 저부로부터 하우징(30)의 장착단(32)까지 하우징(30)의 회전 중심점이 되는 폴딩샤프트(34)가 삽입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딩 지지체(28)의 저부에는 스프링 체결홈(29)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 체결홈(29)내에는 폴딩샤프트(34)의 머리부(36)에 의하여 압축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스프링(38)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딩 지지체(28)의 상면에는 제1안착돌기(41)가 120°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0)의 장착단(32) 저면에는 제1안착돌기(41)의 사이에 놓이는 제2안착돌기(4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7. 삭제
KR20130119709A 2013-10-08 2013-10-08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KR10150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709A KR101500161B1 (ko) 2013-10-08 2013-10-08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US14/508,803 US9511713B2 (en) 2013-10-08 2014-10-07 Side view mirror having rotatable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709A KR101500161B1 (ko) 2013-10-08 2013-10-08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161B1 true KR101500161B1 (ko) 2015-03-06

Family

ID=5277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709A KR101500161B1 (ko) 2013-10-08 2013-10-08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11713B2 (ko)
KR (1) KR101500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9892B1 (en) * 2016-04-11 2021-09-22 Electronic Controls Company Ball-and-socket joint module for mirror head
US10017120B1 (en) 2017-05-02 2018-07-10 Moses Brown Side-view vehicle mirr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574A (ja) * 1995-11-16 1997-05-27 Ishizaki Honten:Kk 車両用ミラー
JP2001301529A (ja) * 2000-04-25 2001-10-31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6045A (en) * 1983-09-01 1987-01-13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Manual adjusting device for tiltable outer mirror
JP2768378B2 (ja) * 1987-05-04 1998-06-25 ブリタックス レインスフォーズ プロプライエタリ リミティッド 分離型バック・ミラー・アッセンブリー
KR19990032000A (ko) 1997-10-15 1999-05-06 양재신 회전식 자동차 아웃 사이드 미러
WO2004035351A1 (en) 2002-10-15 2004-04-29 Schefenacker Vision Systems France S.A. Rearview mirror assembly
KR20050009450A (ko) 2003-07-16 2005-01-25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조립체의 미러 조정기구
JP2005254969A (ja) 2004-03-11 2005-09-22 Ichikoh Ind Ltd 手動格納式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574A (ja) * 1995-11-16 1997-05-27 Ishizaki Honten:Kk 車両用ミラー
JP2001301529A (ja) * 2000-04-25 2001-10-31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11713B2 (en) 2016-12-06
US20150098144A1 (en)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0571B1 (en) Left/right rearview device for a vehicle
WO2007034853A1 (ja)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US7954875B2 (en) Sun visor for a motor vehicle
KR101500161B1 (ko)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US10843534B2 (en) Remotely operated sun visor
US5412511A (en) Holding device for interior mirrors in vehicles
KR101481353B1 (ko)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KR102576957B1 (ko) 자동차용 모니터 전동 개폐 장치
WO2016157810A1 (ja) インナーミラー
JP4756972B2 (ja)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JP3119612U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KR100283354B1 (ko) 차량에 장착되는 룸미러의 보강구조
KR20040019920A (ko) 상용차용 외부 리어 뷰 미러
KR0126222Y1 (ko) 자동차의 처짐방지 룸미러
US20230061443A1 (en) Automatic sunvisor assembly
KR200258919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0412191Y1 (ko) 차량용 룸미러
JP2003034138A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KR0128668B1 (ko) 차량용 수상기 설치방법 및 그 장치
KR200153380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이동장치
JP4680732B2 (ja)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KR101416255B1 (ko) 전방주시용 에이필러 설치 거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이필러 어셈블리
KR19990026345U (ko) 다방향 유동기능을 갖는 차량용 선바이저
KR100793746B1 (ko) 철도차량용 무인 동차 운전 좌석
JP2007203979A (ja) ドアバイザーおよび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