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935B1 -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Google Patents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6935B1 KR102666935B1 KR1020217031550A KR20217031550A KR102666935B1 KR 102666935 B1 KR102666935 B1 KR 102666935B1 KR 1020217031550 A KR1020217031550 A KR 1020217031550A KR 20217031550 A KR20217031550 A KR 20217031550A KR 102666935 B1 KR102666935 B1 KR 102666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assembly
- electric
- belt
- connecting ro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9056 active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057 passiv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6—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2—Cable grippers; Haulage cl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2—Cable grippers; Haulage clips
- B61B12/122—Cable grippers; Haulage clips for aerial ropeway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 설비로서 삭도로프를 따라 주행하는 수송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수송장치는 활주조정기구, 전동기구, 및 풀암을 포함한다. 활주조정기구와 전동기구는 각자 풀암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활주조정기구는 풀암에 설치되어 있고 활주조정기구의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제3전동조립부가 둘러싸여 클램프 구역을 형성하고 있다. 삭도로프가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에 있을 때 삭도로프와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제3전동조립부를 클램핑 하여 수송장치가 삭도로프를 따라 자유 활주하도록 한다. 활주조정기구에 제1승강조립부가 설치되어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이 여러가지 다른 규격의 삭도로프를 적용할 수 있게 되고 순조롭게 삭도로프 연결부와 삭도 지지대 회전부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수송장치의 적용성을 높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송장비, 특히 삭도의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에 관한 것이다.
삭도는 크레인, 케이블카 또는 유롱(움직이는 바구니)(케이블카는 케이블 레일이라고도 한다)라고도 하며, 일종의 교통수단으로서 기구, 험준한 언덕의 산길 위아래로 승객이나 물품을 운반, 수송하는 것을 지칭한다. 삭도는 공중에 걸린 와이어, 받침 및 견인 객차나 화물차를 이용한다. 역 밖에 통상 일정 거리를 두고 중간에 와이어를 받치는 지지대를 세우며 케이블카는 와이어에 걸어 놓는다.
현재 케이블카는 2가지 종류가 있다. 첫번째 종류는 케이블카를 삭도 아래에 걸어 두는 것인데 이는 구동기가 스트랜드로프를 구동하고, 스트랜드로프가 삭도를 따라 객차를 견인하며 물건이나 사람을 수송하는 방식이다. 주로 광산 지역, 도시 또는 관광 명소의 교통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와이어로프의 견인으로 케이블카를 주행하는 종류의 케이블카는 주행거리와 주행궤적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복잡하고 긴 거리의 수송은 삭도에서 주행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두번째 종류는 케이블카 자체에 구동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케이블카를 삭도 아래에 걸어 놓는 방식이다. 케이블카가 스트랜드로프에 의해 견인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카가 스트랜드로프에서 셀프 추진되어 이동되며 회전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노정이 복잡하고 긴 거리의 삭도에서 운행 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현재의 셀프 추진식 케이블카의 구동 장치는 비교적 복잡하다. 예) 케이블카는 고무타이어의 구동에 의해 삭도를 따라 활주한다. 고무타이어 동작은 우선 내연 기관으로 유압 펌프를 구동한 후 유압 펌프가 고무타이어를 구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대량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 게다가 유압 펌프가 고장 나기 쉬워서 구동장치의 동작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예) 케이블카는 크롤러 클립으로 삭도에 집게로 고정되어 크롤러와 삭도 사이에 마찰력이 생성되는데 내연기가 크롤러를 구동할 때 케블카가 삭도에서 주행되며 케이블카의 셀프 추진식 이동이 실현된다. 그러나 내연기가 구동하는 고무타이어 집게 혹은 크롤러의 수량이 제한되어 대량 탑재 운송에 불리 하고 유압 시스템 및 크롤러 클립의 보수유지가 쉽지 않아 삭도 케이블카의 운송 비용이 증가된다.
본 출원인은 2018년 6월 30일에 특허청에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에 대한 특허출원을 하였다. 위 아래 팔구조식으로 되어 있어서 주행 과정 중 수송장비의 회전에 있어 회전이 원활 하지 못하고 유닛 당 2개의 구동휠과 삭도로프와의 접촉면적이 부족 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삭도를 따라 셀프 추진식으로 주행하고, 원활하게 회전하는, 간편하고 신뢰성 있는 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일종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설비로서 최소 하나의 삭도로프를 따라 주행하는 수송장치를 포함하며, 상술한 수송장치는 활주조정기구와 전동기구 및 풀암을 포함한다. 활주조정기구와 전동기구는 각각 풀암과 가동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활주조정기구는 제1승강조립부,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제3전동조립부, 제1커넥팅로드, 제2커넥팅로드, 제3커넥팅로드 및 제4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술한 제1승강조립부는 가동 방식으로 제1전동조립부에 걸려져 있고, 제1승강조립부는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제1활주블록을 포함한다. 상술한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는 각각 제1전동조립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제2전동조립부와 제1전동조립부는 제1커넥팅로드에의해 연결되고, 제2전동조립부와 제1활주블록은 제2커넥팅로드에 의해 연결되고, 제3전동조립부와 제1전동조립부는 제3커넥팅로드로 연결되고, 제3전동조립부와 제1활주블록은 제4커넥팅로드에의해 연결된다. 상술한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는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을 형성한다. 상술한 제1승강조립부는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거나 혹은 삭도로프 연결구역 및 회전구역에서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제2구동휠과 제3구동휠을 삭도로프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시켜 제1구동휠만을 사용하여 활주조정기구가 삭도로프 연결구역을 원활하게 통과하거나 회전하도록 한다. 상술한 전동기구에 의해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는 회전, 구동되며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의 회전 방향은 제1전동조립부의 회전 방향과 반대이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활주조정기구는 풀암에 설치되어 있고, 활주조정기구의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가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을 둘러싸고 있어서 삭도로프가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 안에 위치할 때, 삭도로프는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로 클램핑되어 수송장치가 삭도로프를 따라 자유롭게 활주하도록 한다.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와 제3전동조립부 전부 풀암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송장치가 단일 암 형태로 삭도로프에 걸려져 있는 방법을 실현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수송장치의 활주 및 회전이 원활하게 되고 주행속도가 증가한다. 게다가 활주조정기구는 제1승강조립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는 제1승강조립부를 통해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의 클램핑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이 다양한 사이즈의 삭도로프에 적응하여 수송장치의 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조치를 채택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상술한 활주조정기구는 제4전동조립부 및 제5전동조립부를 포함하고, 제4전동조립부 및 제5전동조립부는 제1전동조립부 아래에 위치하며, 제1전동조립부 및 전동기구 사이에는 제4전동벨트가 설치되고 전동기구는 제1전동벨트를 거쳐 제1전동조립부를 회전 구동 하고, 제1전동조립부 및 제4전동조립부 사이에 제2전동벨트가 설치되어 있고, 제1전동조립부는 제2전동벨트를 거쳐 제4전동조립부를 회전 구동 하고, 제4전동조립부와 제5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와 제3전동조립부 사이에 제3전동벨트를 설치하고 제4전동조립부는 제3전동벨트를 거쳐 제2전동조립부, 제3전동조립부, 제5전동조립부를 회전 구동 한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전동기구는 제1전동조립부가 제1전동벨트 통해 회전 구동하고, 제1전동조립부가 제2전동벨트를 통해 제4전동조립부를 회전 구동하고, 제4전동조립부는 제3전동벨트를 통해 제2전동조립부와 제3전동조립부를 구동한다. 제4전동조립부와 제5전동조립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3전동벨트는 제4전동조립부와 제5전동조립부의 작용으로 제2전동조립부와 제3전동조립부의 회전 방향을 바꾸어 제2전동조립부와 제3전동조립부 회전 방향이 제1전동조립구의 회전 방향과 반대가 되어 제1전동조립부가 삭도로프 위에 설치되고 제2전동조립부와 제3전동조립부는 삭도로프 아래에 설치되며 3개의 전동조립부가 같은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하여 수송장치가 자유롭게 삭도로프를 따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확장장치를 더 포함한다. 인접한 두 개의 수송장치가 확장장치에 의해 연결된다. 확장장치는 제6전동조립부, 제7전동조립부, 제8전동조립부, 제2승강조립부, 제5커넥팅로드, 제6커넥팅로드, 제7커넥팅로드 및 제8커넥팅로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2승강조립부는 제6전동조립부에 가동식으로 걸려 있고, 제2승강조립부는 위아래로 승강 할 수 있는 제2활주블록을 포함한다. 상술한 제7전동조립부 및 제8전동조립부는 제6전동조립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앞 수송장치의 제3전동조립부와 확장장치의 제6전동조립부는 제5커넥팅로드를 통해 연결된다. 상술한 뒤 수송장치의 제3전동조립부와 확장장치의 제2활주블록은 제6커넥팅로드를 통해 연결되고, 뒤 수송장치의 제2전동조립부와 확장장치의 제6전동조립부는 제7커넥팅로드를 통해 연결되며, 뒤 수송장치의 제2전동조립부와 확장장치의 제2활주블록은 제8커넥팅로드를 통해 연결된다. 상술한 제2승강조립부는 앞 수송장치의 제3구동휠을 조정하여 확장장치의 제4구동휠과 뒤 수송장치의 제2구동휠 사이에 형성된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의 죄임도를 조정한다.
본 발명에서, 인접한 2개의 수송장치는 확장장치로 연결되고, 확장장치는 앞 수송장치의 동력을 뒤 수송장치로 전동한다. 사용자는 적재량에 따라 삭도에 걸어 놓는 수송장치의 수량을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여러 개의 수송장치는 하나의 동력원을 공유함으로써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수송장치의 적용효율을 높인다.
더 나아가, 제7전동조립부, 제8전동조립부, 앞 수송장치의 제3전동조립부 및 뒤 수송장치의 제2전동조립부 사이에 제4전동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앞 수송장치의 제3전동조립부는 제4전동벨트를 통해 제7전동조립부, 제8전동조립부 및 뒤 수송장치의 제2전동조립부의 회전을 구동하여 뒤 수송장치의 제2전동조립부의 동력을 형성하고, 제2전동조립부는 제2전동벨트, 제3전동벨트를 통해 후속 수송장치에 순차적으로 동력을 전동하며 이 과정을 반복한다. 상술한 제6전동조립부와 제7전동조립부 사이에 제5전동벨트가 설치되고, 제7전동조립부는 제5전동벨트를 통해 제6전동조립부의 회전을 구동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전동기구는 프레임, 제9전동조립부, 제10전동조립부 및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를 포함하고, 프레임의 한쪽에 개구부부가 설치되어 있고, 풀암은 풀업암과 풀다운암을 포함한다. 상술한 풀업암의 상단은 제1전동조립부에 가동하도록 걸려져 있고, 풀업암의 하단과 풀다운암의 상단은 회전 연결되도록 한다. 풀다운암의 하단부를 개구부부에 삽입하고 더 나아가 밖으로 연장된 부분에 물체 혹은 동력원을 걸어 놓을 후크를 설치한다. 상술한 제9전동조립부는 회전 방식으로 프레임의 한 측에 설치하고 제9전동조립부는 개구부를 통화하여 풀암과 연결한다. 풀암은 제9전동조립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개구부부는 풀암의 회전각도를 한정한다. 상술한 제10전동조립부는 회전방식으로써 프레임 다른 측에 설치한다.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는 회전방식으로써 프레임 중심부에 설치하고 프레임 안에 위치한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는 각각 제9전동조립부와 제10전동조립부와 연결하고 프레임 밖에 연장된 전동방향 전환조립부의 끝단은 뒤 수송장치의 전동방향 전환축과 연결한다.
본 발명에서, 전동방향 전환조립부의 양단은 각각 뒤 수송장치의 전동기구에 연결되고,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는 각각 제9전동조립부 및 제10전동조립부에 맞물리게 결합된다. 제10전동조립부는 동력을 전동방향 전환조립부에 전하고,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는 제9전동조립부 및 뒤 수송장치에 동력을 전동한다.
제1전동벨트는 제9전동조립부와 제1전동조립부 사이에 설치되고, 제9전동조립부는 제1전동벨트를 통해 제1전동조립부를 구동하여 회전한다.
더 나아가, 동력원을 포함하며 수송장치는 동력원과 연결되어 능동 수송장치를 형성한다. 동력원은 후크에 걸려져 있고 제10전동조립부와 동력원 사이에 제6전동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동력원은 제6전동벨트를 통해 제10전동조립부, 전동방향 전환조립부 및 제9전동조립부에 동력을 전동한다. 수송장치는 동력원과 연결되지 않아 수동 수송장치를 형성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상술한 제1승강조립부는 제1기판, 제1가이드레일, 제1활주블록, 제1스크류 및 제1너트를 포함한다. 제1기판은 제1전동조립부에 가동식으로 걸려져 있고 제1가이드레일과 제1스크류는 제1기판에 설치되어 있고,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은 제1활주블록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1활주블록은 제1기판에 설치되어 있다. 제1가이드레일과 제1스크류는 제1활주블록을 통과하고 제1활주블록은 제1가이드레일 따라 활주하고, 제1너트는 제1스크류에 씌워져 제1스크류를 따라 활주한다. 제1너트가 제1스크류를 중심으로 회전 활주하는 과정에 제1활주블록을 구동하여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위아래로 승강 한다.
제4전동조립부는 제4전동축, 제4전방벨트휠 및 제4후방벨트휠을 포함하고, 제4전동축은 제1기판에 회전 설치되고, 제4전방벨트휠과 제4후방벨트휠은 제4전동축에 고정된다. 제5전동조립부는 제5전동축 및 제5고무벨트휠을 포함하고, 제5전동축은 제1기판에 회전 설치되고 제5고무벨트휠은 제5전동축에 고정된다.
제1전동조립부는 제1구동휠, 제1전동축, 제1전방벨트휠 및 제1후방벨트휠을 포함하고, 제1구동휠은 축방향으로 제1전동축의 전단에 활주 설치된다. 제1전방벨트휠은 제1전동축의 중간에 고정되고, 제1후방벨트휠은 제1전동축의 후단에 고정된다. 제2전동조립부는 제2구동휠, 제2전동축, 제2전방벨트휠 및 제2후방벨트휠을 포함하고, 제2구동휠은 제2전동축의 전단부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전방벨트휠 및 제2후방벨트휠은 제2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제3전동조립부는 제3구동휠, 제3전동축, 제3전방벨트휠 및 제3후방벨트휠을 포함하고, 제3구동휠은 축방향으로 제3전동축의 전단부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전방벨트휠 및 제3후방벨트휠은 제3전동축 후단부에 고정된다.
제1커넥팅로드의 전단부는 제1전동축에 연결되고, 제1커넥팅로드의 후단부는 제2전동축에 연결된다. 제2커넥팅로드의 전단은 제1활주블록의 제1회전축에 연결되고, 제2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제2전동축에 연결된다. 제3커넥팅로드의 전단부는 제1전동축에 연결되고, 제3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제3전동축에 연결된다. 제4커넥팅로드의 전단은 제1활주블록의 제2회전축에 연결되고, 제4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제3전동축에 연결된다.
제1구동휠, 제2구동휠 및 제3구동휠은 삭도로프의 클램프 구역을 둘러싼다. 상술한 제2전동벨트는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제2전동벨트는 제1전방벨트휠과 제4전방벨트휠에 씌운다. 상술한 제3전동벨트도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제3전동벨트는 제2전방벨트휠, 제3전방벨트휠, 제4후방벨트휠, 제5후방벨트휠에 씌운다.
더 나아가, 제2승강조립부는 제2기판, 제2가이드레일, 제2활주블록, 제2스크류 및 제2너트를 포함하고, 제2기판은 제6전동조립부에 가동식으로 걸려 있다. 제2가이드레일과 제2스크류는 제2기판에 설치되고, 제2활주블록 양측에 각각 제3회전축 및 제4회전축을 설치한다. 제2활주블록은 제2기판에 위치하고, 제2가이드레일과 제2스크류는 제2활주블록을 통과하고, 제2활주블록은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활주한다. 제2너트는 제2스크류에 씌워지고 제2스크류를 따라 활주한다. 제2너트가 제2스크류를 중심으로 회전 활주하는 과정은 제2활주블록이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동한다.
제7전동조립부는 제7전동축, 제7전방벨트휠 및 제7후방벨트휠을 포함한다. 제7전동축은 제2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제7전방벨트휠 및 제7후방벨트휠은 제7전동축에 고정된다. 제8전동조립부는 제8전동축과 제8고무벨트휠을 포함하고, 제8전동축은 제2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8고무벨트휠은 제8전동 축에 고정된다.
제6전동조립부는 제4구동휠, 제6전동축 및 제6고무벨트휠을 포함한다. 제4구동휠은 제6전동축의 전단부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6고무벨트휠은 제6전동축 후단부에 고정된다. 제5커넥팅로드의 전단은 앞 수송장치의 제3전동축에 연결되고, 제5커넥팅로드의 후단은 확장장치의 제6전동축에 연결된다. 제6커넥팅로드의 전단은 앞수송장치의 제3전동축에 연결되고, 제6커넥팅로드의 후단은 확장장치의 제2활주블록의 제3회전축에 연결된다. 제7커넥팅로드의 전단은 뒤 수송장치의 제2전동축에 연결되고 제7커넥팅로드의 후단은 확장장치의 제6전동축에 연결된다. 제8커넥팅로드의 전단은 뒤 수송장치의 제2전동축에 연결되고 제8커넥팅로드의 후단은 확장장치의 제2활주블록의 제4회전축에 연결된다.
제4전동벨트는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제4전동벨트는 앞 수송장치의 제3후방벨트휠, 제7뒷 고무벨트휠, 제8고무벨트휠과 뒤 수송장치의 제2후방벨트휠에 씌운다. 제5전동벨트도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제5전동벨트는 제6고무벨트휠과 제7전방벨트휠에 씌운다.
더 나아가, 상술한 제1구동휠, 제2구동휠 및 제3구동휠은 모두 삭도로프 클램핑홈이 있는 공기압타이어 또는 삭도로프 클램핑홈이 있는 고무타이어다. 공기압타이어 또는 고무타이어의 양단에는 삭도로프가 작동 중 공기압타이어 또는 타이어에서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보호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게다가 고무타이어와 공기압타이어의 압축 변형은 삭도로프와 고무타이어 또는 공기압 사이에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제1구동휠, 제2구동휠 및 제3구동휠은 공기압타이어를 적용하고, 클램핑 홈과 공기압타이어의 압축 변형을 통해 삭도로프와 공기압타이어의 접촉면적을 높이고, 제1구동휠, 제2구동휠, 제3구동휠과 삭도로프 사이의 마찰력을 높인다. 사용자는 제1구동휠, 제2구동휠의 마찰력을 조정하기위해 공기압타이어의 공기충전 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휠, 제2구동휠 및 제3구동휠의 마찰력을 조정하여 삭도로프와 제1구동휠, 제2구동휠, 제3구동휠간의 조임 도를 조정한다. 이로써 수송장치와 삭도로프가 탈착하지 않음을 보장하고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풀암은 풀업암 및 풀다운암을 포함하고, 풀업암은 빔, 제1축슬리브 및 제2축슬리브를 포함하고,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는 각각 빔 양쪽 아래에 고정된다. 풀다운암의 중간에 축 구멍이 열리고 풀다운암의 하단에는 물품 또는 동력원을 걸기 위한 후크가 설치되며 풀업암 과 풀다운암은 회전방식으로 연결된다. 활주조절기구는 풀업암에 가동식으로 설치되고, 전동기구는 풀다운암에 가동식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활주조정기구는 풀암에 설치되고, 활주조정기구의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는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을 에워싼다. 삭도로프가 클램프 구역에 있을 때, 삭도로프는 수송장치가 삭도로프를 따라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와 조이게 된다.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는 모두 풀암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송장치가 단일 암 형태로 삭도에 걸려 있음으로써 수송장치가 보다 원활하게 활주 및 회전되고 수송장치의 주행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활주조정기구에 있는 제1승강조립부는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의 클램핑 조임 정도를 변경하여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이 다양한 규격 사이즈의 삭도로프에 적용할 수 있어 수송장치의 적용능력이 향상된다. 삭도로프 연결부분 혹은 회전부분을 통과할 때 수동 혹은 자동으로 제2전동조립부와 제3전동조립부를 낮추어 일시적으로 삭도로프에서 분리하고 제1전동조립부만 사용하여 삭도로프 연결부분을 통과하거나 회전을 실행한다. 통과 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2전동조립부와 제3전동조립부를 높여 구동력을 회복한다.
본 발명의 인접하는 2개의 수송장치는 확장장치로 연결되며, 확장장치는 앞 수송장치의 동력을 다음 수송장치로 전동하며, 사용자는 적재량에 따라 삭도에 걸린 수송장치의 개수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러 수송장치가 하나의 동력원을 공유하므로 사용자가 작동하기 편리하고 수송장치의 적용 가능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전동방향 전환조립부의 양단은 각각 뒤 수송장치의 전동기구에 연결되며,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는 각각 제9전동조립부 및 제10전동조립부와 맞물리고, 제10전동조립부는 동력을 전동방향 전환조립부에 전동한다.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는 동력을 따로 제9전동조립부 및 뒤 수송장치에 전동한다.
본 발명의 제1구동휠, 제2구동휠 및 제3구동휠은 공기압타이어를 적용하여 제1구동휠, 제2구동휠 및 제3구동휠과 삭도로프 사이의 마찰력을 높인다. 사용자가 공기압타이어의 공기 충전 량을 조정하여 제1, 제2 및 제3구동휠의 마찰력을 높여 삭도로프와 제1, 제2 및 제3구동휠 간의 클램핑 조임 도를 조정하여 수송장비와 삭도로프 간의 탈착을 방지하고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실용성을 높인다.
도면 1은 실시예 1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단일 수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2는 실시예 1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3은 실시예 1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4는 실시예 1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활주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5는 직선형 삭도로프에서 활주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6은 삭도 지지대에서 우회전하여 활주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7은 삭도 지지대에서 좌회전하여 활주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8은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가 삭도 지지대에서 극적으로 회전할 때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를 하강시켜 활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9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용 로프 클램핑홈이 있는 공기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10은 실시예 2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여러 수송장치의 탠덤조합)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11은 실시예 3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단일 수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12는 실시예 4(확장 조합)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13은 실시예 4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치의 활주조정기구와 확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14는 실시예 4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치의 활주조정기구와 확장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15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풀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16은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구동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2는 실시예 1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3은 실시예 1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4는 실시예 1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활주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5는 직선형 삭도로프에서 활주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6은 삭도 지지대에서 우회전하여 활주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7은 삭도 지지대에서 좌회전하여 활주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8은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가 삭도 지지대에서 극적으로 회전할 때 제2전동조립부 및 제3전동조립부를 하강시켜 활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9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용 로프 클램핑홈이 있는 공기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10은 실시예 2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여러 수송장치의 탠덤조합)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11은 실시예 3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단일 수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12는 실시예 4(확장 조합)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13은 실시예 4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치의 활주조정기구와 확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14는 실시예 4의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치의 활주조정기구와 확장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15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풀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16은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구동휠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와 같이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면 1-4를 결합하여 보면,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는 수송장치(1)를 포함하고, 수송장치(1)는 활주조절기구(2), 전동기구(3) 및 풀암(4)을 포함한다.
도면 15를 보면, 풀암(4)은 풀업암(41) 및 풀다운암(42)을 포함한다. 풀업암(41)은 빔(411), 제1축슬리브(412) 및 제2축슬리브(413)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2축슬리브(413)는 빔(411)의 양측 하단에 각각 고정되고, 풀다운암(42)의 중앙에는 축홀(421)이 열려져 있다. 풀다운암(42)의 하부에는 물체나 동력원(5)을 걸기 위한 후크(43)가 설치되고 활주조절기구(2)는 풀업암(41)에 가동식으로 설치되고, 전동기구(3)는 풀다운암(42)에 가동식으로 설치된다.
활주조절기구(2)는 제1승강조립부(20), 제1전동조립부(21), 제2전동조립부(22), 제3전동조립부(23), 제4전동조립부(24), 제5전동조립부(25), 제1커넥팅로드(26) 및 제2커넥팅로드(27), 제3커넥팅로드(28) 및 제4커넥팅로드(29)를 포함한다.
도면 14를 보면, 제1승강조립부(20)는 제1기판(201), 제1가이드레일(202), 제1활주블록(203), 제1스크류(204) 및 제1너트(205)를 포함한다. 제1기판(201)은 가동식으로 제1전동조립부(21)에 걸려 있고 제1가이드레일(202)과 제1스크류(204)는 제1기판(201)에 설치되고, 제1회전축(206)과 제2회전축(207)은 제1활주블록(20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1활주블록(203)은 제1기판(201)에 설치되고, 제1가이드레일(202) 및 제1스크류(204)는 제1활주블록(203)을 통과하고, 제1활주블록(203)은 제1가이드레일(202)을 따라 활주하고, 제1너트(205)는 제1스크류(204)에 씌워져 제1스크류(204)를 따라 활주한다. 제1너트(205)는 제1스크류(204)를 중심으로 회전 활주할 때 제1활주블록(203)이 제1가이드레일(202)을 따라 위아래로 승강 한다.
제1전동조립부(21)는 제1전동축(211), 제1구동휠(212), 제1전방벨트휠(213) 및 제1후방벨트휠(214)을 포함한다. 제1전동축(211)은 가동 방식으로 풀업암(41)의 제1축슬리브(412)와 제2축슬리브(413)를 통과하여 제1전동축(211)과 풀업암(41)을 가동식으로 연결하고, 제1구동휠(212)은 제1전동축(211)의 앞단부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전방벨트휠(213)은 제1전동축(211)의 중간에 고정된다. 제1후방벨트휠(214)이 제1전동축(211)의 후단에 고정되고. 제2전동조립부는 제2전동축(221), 제2구동휠(222), 제2전방벨트휠(223) 및 제2후방벨트휠(224)을 포함한다. 제2구동휠(222) 축 방향 활주는 제2전동축(221) 전단에 설치된다. 제2전방벨트휠(223)과 제2후방벨트휠(224)은 제2전동축(221)의 후단에 고정된다. 제3전동조립부(23)는 제3전동축(231), 제3구동휠(232), 제3전방벨트휠(233) 및 제3후방벨트휠(234)을 포함한다. 제3구동휠(232)은 제3전동축(231)의 전단부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전동축(231)의 후단에는 제3전방벨트휠(233)과 제3후방벨트휠(234)이 고정된다. 제4전동조립부(24)는 제4전동축(241), 제4전방벨트휠(242) 및 제4후방벨트휠(243)을 포함하며, 제4전방벨트휠(242)과 제4후방벨트휠(243)은 제4전동축(241)에 고정된다. 제5전동조립부(25)는 제5전동축(251)과 제5구동휠(252)을 포함하고, 제5구동휠(252)은 제5전동축(251)에 고정된다.
제1기판(201)은 제1전동축(211)에 걸려져 있고, 제4전동조립부(24)와 제5전동조립부(25)는 제1기판(2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전동조립부(22)는 제1전동조립부(21)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3전동조립부(23)는 제1전동조립부(21)의 우측에 위치하며, 제1커넥팅로드(26)의 전단은 제1전동축(211)에 연결되고, 제1커넥팅로드 (26) 뒷단부는 제2전동축(221)에 연결되어 제2전동조립부(22)와 제1전동조립부(21) 사이의 연결을 실현한다. 제2커넥팅로드(27)의 앞단부는 제1활주블록(203)의 제1회전축(206) 및 제2커넥팅로드(27) 후단부는 제2전동축(221)에 연결되어 제2전동조립부(22)와 제1승강조립부(20) 사이의 연결을 실현한다. 제3커넥팅로드(28) 전단은 제1전동축(211)에 연결되고, 제3커넥팅로드(28)의 후단은 제3전동축(231)에 연결되고 제3전동조립부(23)는 제1전동조립부(21)와 연결된다. 제4커넥팅로드(29)는 제1활주블록(203)의 제2회전축(207)에 연결되고, 제4커넥팅로드(29)의 후단은 제3전동축(231)에 연결되고, 제3전동조립부(23)와 제1승강조립부(20)를 연결하여 제1삭도로프 클램핑 조임도 조정기구를 형성한다.
도면 16을 보면, 제1구동휠(212), 제2구동휠(222) 및 제3구동휠(232)은 모두 삭도로프 클램핑홈(6)을 구비한 공기압타이어 또는 삭도로프 클램핑홈(6)이 구비된 고무 타이어이므로, 공기압타이어 또는 고무타이어에는 주행 과정에서 삭도로프가 공기압타이어 또는 고무타이어에서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금속 보호 커버(61)가 장착되어 있으며, 고무타이어와 공기압타이어의 압축 변형이 삭도로프와 고무타이어 또는 공기압타이어 사이에 충분한 접촉 면적을 보장한다.
제1전방벨트휠(213)과 제4전방벨트휠(242) 사이에는 제2전동벨트(12)가 구비되고, 제2전동벨트(12)는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제2전동벨트(12)는 제1전방벨트휠(213)과 제4전방벨트휠(242)에 씌워져 제1전동조립부(21) 및 제4전동조립부(24)의 동시 회전을 실현한다.
제2후방벨트휠(224), 제4후방벨트휠(243), 제5구동휠(252) 및 제3후방벨트휠(234) 사이에는 제3전동벨트(13)가 설치 되어있고, 제3전동벨트(13)는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제3전동벨트(13)는 제2후방벨트휠(224), 제4후방벨트휠(243), 제5구동휠(252) 및 제3후방벨트휠(234)에 씌워져 제4전동조립부(24)가 제2전동조립부(22), 제3전동조립부(23) 및 제5전동조립부(25)를 가동하여 동시 회전하도록 한다.
제2전동조립부(22)는 제1전동조립부(21)의 좌측에 위치하므로, 제3전동조립부(23)는 제1전동조립부(21)의 우측에 위치하고, 제4전동조립부(24)와 제5전동조립부(25)는 제1전동조립부의 아래에 위치하므로, 제1전동조립부(21)와 제4전동조립부(24)는 제2전동벨트(12)에 의해 구동되고, 제1전동조립부(21)와 제4전동조립부(24)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게 된다. 제2전동조립부(22) 및 제3전동조립부(23)는 제3전동벨트(13), 제4전동조립부(24) 및 제5전동조립부(25)를 거쳐 회전 방향을 조정하여 제2전동조립부(22)와 제3전동조립부(23)의 회전 방향이 다르게 된다.
전동기구(3)는 프레임(31), 제9전동조립부(32), 제10전동조립부(33), 및 전동방향 전환조립부(34)를 포함한다. 프레임(31)은 중공프레임을 말한다. 프레임(31)의 한쪽에는 개구부(311)를 설치하고, 풀다운암(42)을 개구부(311)에 삽입한다. 제9전동조립부(32)는 프레임(31)의 한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9전동조립부(32)는 제9전동축(321), 제9구동휠(322) 및 제1전동기어(323)를 포함한다. 제9전동축(321)은 개구부(311)를 관통하여 풀다운암(42)의 축홀(421)으로 연장되어 제9전동축(321)과 풀다운암(42) 사이의 가동 연결을 실현한다. 상술한 제9전동축(321)의 전단은 상술한 프레임(31)의 내부 공동으로 연장되어 상술한 제1전동기어(323)와 연결되고, 제9전동축(321)의 후단은 프레임(31) 외부로 연장되어 제9구동휠(322)에 연결되며, 풀암(4)은 제9전동축(3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개구부(311)는 풀암(4)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제10전동조립부(33)는 프레임(31)의 다른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0전동조립부(33)는 제10전동축(331), 제10구동휠(332) 및 제2전동기어(333)를 포함한다. 제10전동축(331)은 프레임(31)을 관통한다. 상술한 제10전동축(331)의 전단은 프레임(31)으로 연장되어 제2전동기어(333)에 연결되고, 제10전동축(331)의 후단은 프레임(31) 외부로 연장되어 제10구동휠(332)과 연결되며, 전동방향 전환조립부(34)는 회전 방식으로 프레임(31)에 설치된다. 전동방향 전환조립부(34)는 전동방향 전환축(341), 전동방향 전환기어(342) 및 유니버셜조인트(343)를 포함하고, 전동방향 전환축(341)은 프레임(31)을 통과하고, 전동방향 전환기어(342)는 프레임(31)의 전동방향 전환축(341)에 고정되고, 전동방향 전환기어(342)는 제1전동기어(323) 및 제2전동기어(333)와 맞물리고, 전동방향 전환축(341)의 양단은 외부로 연장되어 유니버셜조인트(343)의 한쪽 끝에 연결된다. 유니버셜조인트(343) 다른 한쪽 끝은 뒤 수송장치(1)의 전동방향 전환축(341)에 연결된다.
수송장치(1)후크에 동력원(5)(내연 기관 또는 전기 모터)이 걸려 있고, 동력원(5)과 제10전동조립부(33) 사이에 제6전동벨트(16)가 설치되고, 제6전동벨트(16)는 전동고무벨트나 체인을 말한다. 제6전동벨트(16)는 제10구동휠(332)과 동력원(5)에 씌우고, 동력원(5)은 제6전동벨트(16)를 통해 제10전동조립부(33)에 동력을 전동한다. 제10전동조립부(33)는 전동방향 전환조립부(34)를 통해 각각 제9전동조립부(32) 및 다음 수송장치(1)에 동력을 전동한다. 제1전동벨트(11)는 제9전동조립부(32)와 제1전동조립부(21) 사이에 설치되고, 제1전동벨트(11)는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제1전동벨트(11)는 제9구동휠(322)과 제1후방벨트휠(214)에 씌우고, 제9전동조립부(32)는 제1전동조립부가 제1전동벨트(11)를 통해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제1승강조립부(20)는 수동 또는 스마트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다.
작동 원리:
수송장치(1)는 삭도로프에 걸려 있고, 삭도로프는 제1구동휠(212), 제2구동휠(222), 제3구동휠(232)의 클램핑홈(6)에 설치되어 삭도로프가 수송장치(1)의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 내에 견고하게 클램핑 되도록 한다. 동력원(5)이 시동된 후, 동력원(5)은 제6전동벨트(16)를 통해 제10전동조립부(33)를 구동 회전하고, 제10전동조립부(33)는 전동방향 전환조립부(34)를 통해 제9전동조립부(32)에 동력을 전동한다.
제9전동조립부(32)는 제1전동벨트(11)를 거쳐 제1전동조립부(21)를 구동하여 제1구동휠(212)을 회전시키고, 제1전동조립부(21)는 제2전동벨트(12)를 통해 제4전동조립부(24)를 회전 구동하고, 제4전동조립부(24)는 제3전동벨트(13)를 통해 제5전동조립부(25), 제2전동조립부(22) 및 제3전동조립부(23)를 구동하여 제2전동조립부(22)의 제2구동휠(222)과 제3전동조립부(23)의 제3구동휠(232)을 회전시킨다. 제2구동휠(222) 및 제3구동휠(232)과 제1구동휠(212)의 회전 방향은 다르다.
제2구동휠(222)과 제3구동휠(232)은 삭도로프의 아래에 위치하고, 삭도로프 위의 제1구동휠(212)의 회전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삭도로프의 클램프 구역에 동일 방향의 작용력이 형성되어 수송장치(1)가 삭도로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가 다양한 지형에 적용될 수 있도록 삭도로프의 방향과 각도를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삭도로프는 다음과 같은 4가지 경우가 있다. 즉 동일한 높이의 두 삭도로프 지지대 사이의 삭도로프, 높이가 다른 두 개의 삭도로프 지지대 사이에 경사된 삭도로프, 삭도 지지대에서의 회전 및 삭도 지지대에서의 극단적 회전 등 경우가 있다.
동일한 높이의 2개의 삭도로프 지지대 사이의 삭도로프: 도면 5를 보면, 삭도로프의 자연스러운 매달림 형태로 주행 과정 중 삭도로프는 항상 제1구동휠(212), 제2구동휠(222), 제3구동휠(232)의 클램핑홈(6)에 있고 삭도로프가 수송장치(1)의 삭도 클램프 구역에 단단히 클램핑 되어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는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작동한다.
높이가 다른 두 개의 삭도로프 지지대 사이에 경사된 삭도: 삭도로프의 경사진 모양으로 인해 작동 중 풀암과 활주조절기구(2)는 가동식으로 연결된다. 풀암은 아래쪽에 걸려진 동력원이나 화물의 중력으로 인해 일관되게 지면과 수직이 되어 삭도로프와 활주조절기구(2)의 경사각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삭도로프는 항상 제1구동휠(212), 제2구동휠(222) 및 제3구동휠(232)의 클램핑홈(6)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삭도로프는 수송장치(1)의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에 견고하게 클램핑되고,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주행을 보다 더 안전하고 원활하게 한다.
삭도 지지대 선회 삭도로프: 도면 6 및 도면 7을 보면, 선회 또는 연결점이 큰 아크 각도로 주행하는 중, 제1구동휠(212)이 제1전동축(211) 축방향을 따라 활주 위치를 조정하고, 제2구동휠(222)은 제2전동축(221)의 축방향을 따라 활주하여 위치를 조정하고, 제3구동휠(232)은 제3전동축(231)의 축을 따라 활주하여 위치를 조정하여 삭도로프가 단단히 수송장치1의 삭도로프 클램프 구역에 고정되도록 하여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주행을 더 안전하고 원활하게 한다.
삭도 지지대에서의 극적 선회: 도면 8을 보면, 선회가 작은 아크 각이므로 작업자는 수동으로 또는 스마트 장비를 통해 제1승강조립부(20)를 조정하여 제2구동휠(222)과 제3구동휠(232)을 하강시켜 삭도로프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한다. 그리하여 삭도로프는 제1구동휠(212)의 클램핑홈(6)에만 설치되어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주행을 더 안전하고 원활하게 한다.
더 나아가, 도면 9를 보면, 제1구동휠(212), 제2구동휠(222) 및 제3구동휠(232)은 모두 삭도로프 클램핑홈(6)을 가지고 있는 공기압 타이어이기 때문에 클램핑홈(6)의 내벽은 모두 탄성 내벽이다. 이는 클램핑홈(6)이 삭도로프를 단단히 감쌀 수 있도록 하고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삭도로프 탈착을 방지하고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2, 도면 10를 보면, 실시예 2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다수의 수송장치(1)가 삭도로프에 걸려 있고 동력원(5)(내연기 또는 전동모터)이 걸려져 있는 수송장치(1)는 능동 수송장치(1)이고 화물이 걸린 수송장치(1)는 수동형 수송장치(1)이다. 이로 인해 삭도로프에 여러 개의 수송장치(1)가 결려져 있다. 수송장치(1)와 수송장치(1)는 유니버셜조인트(343)에 의해 연결되고 유니버셜조인트(343)의 한쪽 끝은 앞 수송장치(1)의 전동방향 전환축(341)에 연결되고, 유니버셜조인트(343)의 다른 끝은 뒤 수송장치(1)의 전동방 전환축(341)에 연결된다.
실시예 2에서, 능동 수송장치(1)의 동력원(5)은 제6전동벨트(16)를 통해 제10전동조립부(33)를 구동하여 회전하고, 제10전동조립부(33)는 전동방향 전환조립부(34)를 통해 다음 두 경로를 따라 동력을 전동한다.
제1경로: 제10전동조립부(33)는 전동방향 전환조립부(34)를 통해 제9전동조립부(32)에 동력을 전동하고, 제9전동조립부(32)는 제1전동벨트(11)를 통해 제1전동조립부(21)를 구동하여 제1구동휠(212)을 회전시키고, 제1전동조립부(21)는 제2전동벨트(12)를 통해 제4전동조립부(24)를 구동하여 회전시키고, 제4전동조립부(24)는 제3전동벨트(13)를 통해 제5전동조립부(25), 제2전동조립부(22), 제3전동조립부(23)를 구동하여 회전시켜 제2전동조립부의 제2구동휠(222) 및 제3전동조립부의 제3구동휠(232)을 회전시킨다. 또한 제2구동휠(222) 및 제3구동휠(232)은 제1구동휠(212)의 회전 방향과 다르다. 삭도로프 아래에 위치한 제2구동휠(222)과 제3구동휠(232)의 회전 방향이 삭도로프 위에 위치한 제1구동휠(212)의 회전 방향과 다르기 때문에 삭도로프의 클램프 구역이 동일 방향으로 작용력이 형성되어, 수송장치(1)가 삭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2경로: 제10전동조립부(33)는 전동방향 전환축(341)에 동력을 전동하고, 전동 방향 전환축(341)은 유니버셜조인트(343)를 통해 동력을 다른 수송장치(1)의 전동방향 전환축(341)에 전동하고, 전동방 전환축(341)은 제9전동조립부(32)에 동력을 전동한다. 제9전동조립부(32)는 제1전동벨트(11)를 통해 제1전동조립부(21)를 구동하여 회전시켜 제1구동휠(212)을 회전시키고, 제1전동조립부(21)는 제2전동 벨트를 통해 제4전동조립부(24)를 회전 구동시키고, 제4전동조립부(24)는 제3전동벨트(13)를 통해 제5전동조립부(25), 제2전동조립부(22) 및 제3전동조립부(23)를 회전시켜 제2전동조립부(22)의 제2구동휠(222)과 제3전동조립부의 제3구동휠(232)을 회전시킨다. 제2구동휠(222)과 제3구동휠(232)은 삭도로프 아래에 위치하고 삭도로프 위에 위치한 제1구동휠(212)의 회전 방향과 다르기 때문에 삭도로프의 클램프 구역이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력이 형성되어, 수송장치(1이 삭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력을 다음 수송장치(1)에 전동시켜 다중 수송장치(1)가 동시 주행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3과 도면 11을 볼 때 실시예 3과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3의 전동기구는 동력원(5)만 있고 상술한 동력원(5)은 풀암(4) 아래에 걸려져 있다. 동력원 (5)와 수송장치(1)의 제1전동조립부(21) 사이에 제1전동벨트(11)를 설치하였다. 제1전동벨트(11)는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전동기구(3)는 제1전동벨트(11)를 통해 제1전동조립부(21)를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실시예 4, 도면 12와 도면 13를 볼 때 실시예 4와 실시예 3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4는 확장장치(7)를 구비하고 2개의 인접한 수송장치(1)는 확장장치(7)에 의해 연결된다. 확장장치(7)는 제2승강조립부(71), 제6전동조립부(72), 제7전동조립부(73), 제8전동조립부(74), 제5커넥팅로드(75), 제6커넥팅로드(76), 제7커넥팅로드(77) 및 제8커넥팅로드(78)를 포함한다. 제7전동조립부(73) 및 제8전동조립부(74)는 제6전동조립부(72) 아래에 위치된다.
도면 14를 보면, 제2승강조립부(71)는 제2기판(712), 제2가이드레일(713), 제2활주블록(711), 제2스크류(714) 및 제2너트(715)를 포함한다. 제6전동조립부(72)에는 제2기판(712)이 가동 방식으로 걸려져 있고 제2가이드레일(713)과 제2스크류(714)가 제2기판(712)에 설치되어 있다. 제2활주블록(711)의 양측에 각각 제3회전축(7111)과 제4회전축(7112)이 설치되어 있고, 제2활주블록(711)은 제2기판(712)에 설치되어 있고 제2가이드레일(713)과 제2스크류(714)가 제2활주블록(711)을 통과하고, 제2활주블록(711)이 제2가이드레일(713)을 따라 활주하고, 제2너트(715)는 제2스크류(714)에 슬리빙되어 제2스크류(714)를 따라 활주하고, 제2너트(715)는 제2스크류(714)에 씌워져 제2스크류(714)를 따라 활주하고, 제2너트(715)는 제2스크류(714)를 중심으로 회전활주 하면서 제2활주블록(711)을 구동하여 제2가이드레일(713)을 따라 위아래로 승강 하도록 한다.
제6전동조립부(72)는 제6구동휠(721), 제6전동축(722) 및 제6구동휠(723)을 포함하고, 제6구동휠(721)은 제6전동축(722)의 앞쪽 끝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6구동휠(723)은 제6전동축(722)의 뒤쪽 끝에 고정된다. 제7전동조립부(73)는 제7전동축(731), 제7전방벨트휠(732) 및 제7후방벨트휠(733)을 포함한다. 제7전동축(731)은 제2기판(7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7전방벨트휠(732)과 제7후방벨트휠(733)은 제7전동축(731)에 고정시킨다. 제8전동조립부(74)는 제8전동축(741)과 제8구동휠(742)을 포함하고, 제8전동축(741)은 제2기판(7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8구동휠(742)은 제8전동축(741)에 고정된다.
확장장치(7)는 인접한 두 개의 수송장치(1) 사이에 위치하며, 제5커넥팅로드(75)의 전단은 앞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3전동축(231)에 연결되고, 제5커넥팅로드(75)의 후단은 제6전동축(722)과 연결되고, 앞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3전동조립부(23)와 확장장치(7)의 제6전동조립부(72)를 연결하고, 제6커넥팅로드(76)의 전단은 앞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3전동축(231)과 연결한다. 제6커넥팅로드(76) 후단은 제2활주블록(711)에 연결되어 앞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3전동조립부(23)와 확장장치(7)의 제2승강조립부(71) 사이의 연결을 실현하고, 제7커넥팅로드(77)의 전단은 뒤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2전동축(221)에 연결된다. 제7커넥팅로드(77)의 후단은 제6전동축(722)에 연결되어 뒤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2전동조립부(22)와 확장장치(7)의 제6전동조립부(72)를 연결한다. 제8커넥팅로드(78) 전단은 뒤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2전동축(221)에 연결되고, 제8커넥팅로드(78)의 후단은 제2활주블록(711)과 연결되어 뒤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2전동조립부(22)와 확장장치(7)의 제2승강조립부(71)의 연결을 실현하여 제2삭도로프 클램핑 조임도의 조정기구를 형성한다.
앞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3구동휠(232), 제6구동휠(721) 및 뒤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2구동휠(222)이 둘러싸여 제2삭도로프 클램핑 구역을 형성하고 제6구동휠(721), 제2구동휠(222) 및 제3구동휠(232)은 모두 로프 클램핑홈(6)을 갖고 있는 공기압타이어다.
앞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3전동조립부(23), 제7전동조립부(73), 제8전동조립부(74) 및 다음 수송장치(1)의 제2전동조립부(22) 사이에 제4전동벨트(14)가 설치된다. 제4전동벨트(14)는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제4전동벨트(14)는 앞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3후방벨트휠(234), 제7후방벨트휠(733), 제8구동휠(742) 및 뒤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2후방벨트휠(224)에 씌워지고 앞에 있는 제3전동조립부(23)가 제4전동벨트(14)를 통해 제7전동조립부(73), 제8전동조립부(74) 및 위에 있는 수송장치(1)의 제2전동조립부(22)를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제5전동벨트(15)는 제6전동조립부(72)와 제7전동조립부(73) 사이에 설치된다. 제5전동벨트(15)는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제5전동벨트(15)는 제6구동휠(723)과 제7전방벨트휠(732)에 씌워지고, 제7전동조립부(73)는 제5전동벨트(15)를 통해 제6전동조립부(72)를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전동기구(3)는 동력원(5)일 뿐이고, 동력원(5)은 풀암(4)의 후크(43)에 걸려져 있고, 동력원(5)은 수송장치(1)의 제1전동조립부(21) 사이에 제1전동벨트(11)가 설치된다. 제1전동벨트(11)는 전동고무벨트를 말한다. 전동기구(3)는 제1전동벨트(11)를 통해 제1전동조립부(21)를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더 나아가, 수송장치(1)와 수송장치(1) 사이는 확장장치(7)를 통해 연결되어 삭도에 걸린 다수의 수송장치(1)가 서로 연결된다. 앞에 있는 수송장치(1)의 동력이 확장장치(7)를 통해 뒤에 있는 수송장치(1)에 전동되어 화물 또는 사람의 적재량에 따라 사용자가 수송장치(1)의 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여러 수송장치(1)가 하나의 동력원(5)을 공유하여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의 실시예 1-4에서, 삭도로프 연결 또는 회전부위에는 스위치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수송장치(1)가 삭도 연결지점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수송장치(1)가 회전하고 경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의 적용 범위를 넓힌다.
Claims (11)
- 삭도로프를 따라 주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송장치를 포함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로서,
상기 수송장치는 풀암과 상기 풀암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활주조절기구 및 전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활주조절기구는 제1승강조립부, 제1전동조립부, 제2전동조립부, 제3전동조립부, 제1커넥팅로드, 제2커넥팅로드, 제3커넥팅로드 및 제4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조립부는 제1전동조립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승강조립부는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제1활주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동조립부 및 상기 제3전동조립부는 각각 상기 제1전동조립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동조립부와 상기 제1전동조립부는 상기 제1커넥팅로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전동조립부와 상기 제1활주블록은 상기 제2커넥팅로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3전동조립부와 상기 제1전동조립부는 상기 제3커넥팅로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3전동조립부와 상기 제1활주블록은 상기 제4커넥팅로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전동조립부, 상기 제2전동조립부 및 상기 제3전동조립부는 삭도로프 클램핑 구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승강조립부는 상기 삭도로프 클램핑 구역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거나, 삭도연결 부분 및 회전부분에서 상기 제2전동조립부와 상기 제3전동조립부를 하강시키고, 상기 제2전동조립부에 구비되는 제2구동휠과 상기 제3전동조립부에 구비되는 제3구동휠을 일시적으로 삭도로프로부터 분리시키면서 상기 제1전동조립부에 구비되는 제1구동휠만을 이용하여 상기 활주조절기구가 상기 삭도연결 부분을 통과하게하거나, 상기 회전부분에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제1전동조립부, 상기 제2전동조립부 및 상기 제3전동조립부를 회전구동시키고,
상기 제2전동조립부 및 상기 제3전동조립부의 회전방향은 상기 제1전동조립부의 회전 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조절기구는 제4전동조립부와 제5전동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전동조립부와 상기 제5전동조립부는 상기 제1전동조립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동조립부와 상기 전동기구 사이에는 제1전동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제1전동벨트를 구동하여 상기 제1전동조립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1전동조립부와 상기 제4전동조립부의 사이에는 제2전동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전동조립부는 상기 제2전동벨트를 통해 상기 제4전동조립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4전동조립부, 상기 제5전동조립부, 상기 제2전동조립부 및 상기 제3전동조립부의 사이에는 제3전동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4전동조립부는 상기 제3전동벨트를 통해 상기 제2전동조립부, 상기 제3전동조립부 및 상기 제5전동조립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제2항에 있어서,
확장장치를 더 포함하고,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송장치는 상기 확장장치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확장장치는 제6전동조립부, 제7전동조립부, 제8전동조립부, 제2승강조립부, 제5커넥팅로드, 제6커넥팅로드, 제7커넥팅로드 및 제8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조립부는 상기 제6전동조립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승강조립부는 제2활주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7전동조립부와 상기 제8전동조립부는 상기 제6전동조립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수송장치의 상기 제3전동조립부와 상기 확장장치의 상기 제6전동조립부는 상기 제5커넥팅로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수송장치의 상기 제3전동조립부와 상기 확장장치의 상기 제2활주블록은 상기 제6커넥팅로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수송장치의 상기 제2전동조립부와 상기 확장장치의 상기 제6전동조립부는 상기 제7커넥팅로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수송장치의 상기 제2전동조립부와 상기 확장장치의 상기 제2활주블록은 상기 제8커넥팅로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승강조립부는 상기 수송장치의 제3구동휠을 조정하여, 상기 확장장치의 제6구동휠 및 상기 수송장치의 제2구동휠 사이에 형성되는 삭도로프 클램핑 구역의 조임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7전동조립부, 상기 제8전동조립부, 인접한 두 수송장치 중 앞에 위치한 수송장치의 제3전동조립부와 뒤에 위치한 수송장치의 제2전동조립부의 사이에는 제4전동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앞에 위치한 수송장치의 제3전동조립부는 상기 제4전동벨트를 통해 상기 제7전동조립부, 상기 제8전동조립부 및 상기 뒤에 위치한 수송장치의 제2전동조립부를 구동 회전시키고,
상기 제2전동조립부는 상기 제2전동벨트와 상기 제3전동벨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구동력을 후속 수송장치로 반복하여 전동하고,
상기 제6전동조립부와 상기 제7전동조립부 사이에는 제5전동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7전동조립부는 상기 제5전동벨트를 통해 상기 제6전동조립부를 구동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는 프레임, 제9전동조립부, 제10전동조립부 및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한쪽 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풀암은 풀업암 및 풀다운암을 포함하고, 상기 풀업암의 상단은 상기 제1전동조립부에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풀업암의 하단과 상기 풀다운암의 상단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풀다운암의 하단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개구부의 밖으로 연장된 외측 끝단부에는 물체 또는 동력원을 걸기 위한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9전동조립부는 상기 프레임의 한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9전동조립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풀암과 연결되고,
상기 풀암은 상기 제9전동조립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풀암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게고,
상기 제10전동조립부는 상기 프레임의 다른 한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위치한 상기 전동방향 전환조립부는 각각 상기 제9전동조립부와 상기 제10전동조립부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연장되는 상기 전동방향 전환조립부의 끝단은 다른 수송장치의 전동방향 전환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동벨트는 상기 제9전동조립부와 상기 제1전동조립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9전동조립부는 상기 제1전동벨트로 상기 제1전동조립부를 구동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제6항에 있어서,
동력원을 포함하고,
상기 수송장치는 능동 수송장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동력원과 연결되고,
상기 동력원은 상기 후크에 매달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0전동조립부와 상기 동력원의 사이에는 제6전동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동력원은 상기 제6전동벨트를 통해 상기 제10전동조립부, 상기 전동방향 전환조립부 및 상기 제9전동조립부에 동력을 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조립부는 제1기판, 제1가이드레일, 제1스크류 및 제1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제1전동조립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스크류는 상기 제1기판의 위에 설치되고,
상기 제1활주블록의 양측에는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1활주블록은 상기 제1기판에 안착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스크류는 상기 제1활주블록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활주블록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활주하고,
상기 제1너트는 상기 제1스크류에 끼워져 상기 제1스크류를 따라 활주하고, 상기 제1너트는 상기 제1스크류를 중심으로 회전해 활주하면서 상기 제1활주블록을 구동하여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고,
상기 제4전동조립부는 제4전동축, 제4전방벨트휠 및 제4후방벨트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4전동축은 상기 제1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5전동조립부는 제5전동축과 제5구동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5전동축은 상기 제1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5구동휠은 상기 제5전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1전동조립부는 제1전동축, 제1전방벨트휠 및 제1후방벨트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휠은 상기 제1전동축의 전단부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전방벨트휠은 상기 제1전동축의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제1후방벨트휠은 상기 제1전동축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전동조립부는 제2전동축, 제2전방벨트휠 및 제2후방벨트휠으르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휠은 상기 제2전동축의 전단부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전방벨트휠은 상기 제2전동축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3전동조립부는 제3전동축, 제3전방벨트휠 및 제3후방벨트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구동휠은 상기 제3전동축의 전단부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전방벨트휠과 상기 제3후방벨트휠은 상기 제3전동축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커넥팅로드의 전단은 상기 제1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상기 제2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커넥팅로드의 전단은 상기 제1활주블록의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상기 제2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3커넥팅로드의 전단은 상기 제1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3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상기 제3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4커넥팅로드의 전단은 상기 제1활주블록의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4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상기 제3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휠, 상기 제2구동휠 및 상기 제3구동휠은 서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삭도로프 클램핑 구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전동벨트는 전동고무벨트이고, 상기 제1전방벨트휠과 상기 제4전방벨트휠에 끼워지고,
상기 제3전동벨트는 전동고무벨트이고, 상기 제2전방벨트휠, 상기 제3전방벨트휠, 상기 제4후방벨트휠 및 상기 제5구동휠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조립부는 제2기판, 제2가이드레일, 제2스크류 및 제2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6전동조립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스크류는 상기 제2기판의 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활주블록의 양측에는 제3회전축과 제4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2활주블록은 상기 제2기판에 안착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스크류는 상기 제2활주블록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활주블록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활주하고,
상기 제2너트는 상기 제2스크류에 끼워져 상기 제2스크류를 따라 활주하고, 상기 제2너트는 상기 제2스크류를 중심으로 회전해 활주하면서 상기 제2활주블록을 구동하여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고,
상기 제7전동조립부는 제7전동축, 제7전방벨트휠 및 제7후방벨트휠을 포함하고, 제7전동축은 상기 제2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7전방벨트휠과 상기 제7후방벨트휠은 상기 제7전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8전동조립부는 제8전동축과 제8구동휠를 포함하고, 상기 제8전동축은 상기 제2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8구동휠은 상기 제8전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6전동조립부는 제6구동휠, 제6전동축 및 제6구동휠를 포함하고, 상기 제6구동휠은 상기 제6전동축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6구동휠은 상기 제6전동축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5커넥팅로드의 전단은 앞에 위치한 수송장치의 제3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5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상기 확장장치의 상기 제6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6커넥팅로드의 전단은 앞에 위치한 수송장치의 제3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6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상기 확장장치의 상기 제2활주블록의 상기 제3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7커넥팅로드의 전단은 뒤에 위치한 수송장치의 제2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7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상기 확장장치의 상기 제6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8커넥팅로드의 전단은 뒤에 위치한 수송장치의 제2전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8커넥팅로드의 후단은 상기 확장장치의 상기 제2활주블록의 상기 제4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4전동벨트는 전동고무벨트이고, 앞에 위치한 수송장치의 제3후방벨트휠, 제7후방벨트휠, 제8구동휠과 뒤에 위치한 수송장치의 제2후방벨트휠에 끼워지고,
상기 제5전동벨트는 전동고무벨트이고, 상기 제6구동휠과 상기 제7전방벨트휠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휠, 상기 제2구동휠 및 상기 제3구동휠은 삭도로프 클램핑홈이 구비된 공기압타이어 또는 삭도로프 클램핑홈이 구비된 고무타이어이고,
상기 공기압타이어 또는 상기 고무타이어의 양측에는 주행 중 삭도로프가 공기압타이어 혹은 고무타이어를 이탈하는 것을 피하도록 금속보호 케이스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암은 풀업암와 풀다운암을 포함하고,
상기 풀업암은 빔, 제1축슬리브, 제2축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축슬리브와 상기 제2축슬리브는 상기 빔의 양 측 아래에 고정되고,
상기 풀다운암의 중간부에는 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풀다운암의 하부에는 물품 또는 동력원을 거는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풀업암과 상기 풀다운암은 회전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활주조절기구는 상기 풀업암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풀다운암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910200590.5A CN110001668B (zh) | 2019-03-16 | 2019-03-16 | 索道自行式运输设备 |
CN201910200590.5 | 2019-03-16 | ||
PCT/CN2019/087415 WO2020186618A1 (zh) | 2019-03-16 | 2019-05-17 | 索道自行式运输设备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2711A KR20210132711A (ko) | 2021-11-04 |
KR102666935B1 true KR102666935B1 (ko) | 2024-05-21 |
Family
ID=6716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31550A KR102666935B1 (ko) | 2019-03-16 | 2019-05-17 |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185342A1 (ko) |
EP (1) | EP3943356A4 (ko) |
JP (1) | JP7161080B2 (ko) |
KR (1) | KR102666935B1 (ko) |
CN (1) | CN110001668B (ko) |
WO (1) | WO20201866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182541A (zh) * | 2024-04-09 | 2024-06-14 | 浙江集英智能农机装备有限公司 | 一种小型机动低空铁链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98236A (en) | 1968-03-12 | 1970-03-03 | Lonnie E Meek | Self-propelled cable supported carriage |
KR101281774B1 (ko) | 2004-12-21 | 2013-07-02 | 다니엘 커틀러 | 커버링 시스템 |
CN108749823A (zh) | 2018-06-16 | 2018-11-06 | 郭延巍 | 索道自行式运输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361382A (de) * | 1958-07-18 | 1962-04-15 | Wyssen Jakob | Transporteinrichtung zum Senkrechtbewegen von Lasten und Verfahren derselben längs eines Tragseils |
CH456671A (de) * | 1965-12-08 | 1968-07-31 | Anton Ott Seilbahnen Und Seilt | Seilbahn mit selbstfahrender Kabine, für Personentransport |
US3429279A (en) * | 1966-12-20 | 1969-02-25 | Jean Pomagalski | Device for supporting and guiding the cable of an aerial cableway |
CH461565A (de) * | 1967-06-14 | 1968-08-31 | Jakob Wyssen Seilbahnen | Seilschwebebahn |
US4590863A (en) * | 1983-12-30 | 1986-05-27 | Lozen Franklin R | Ski lift and lubricant trap assembly |
ZM4889A1 (en) * | 1989-12-29 | 1990-05-28 | Giuseppe Raimo Zambia | Cableway transportation |
JPH0659183U (ja) * | 1993-01-26 | 1994-08-16 |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 自動循環式索道の搬器移送用の駆動力取出装置 |
JP3498295B2 (ja) * | 1994-10-05 | 2004-02-16 | 日本レック株式会社 | 救助装置 |
DE19713500C1 (de) * | 1997-03-17 | 1998-09-24 | Mannesmann Ag | Fahrwerk einer schienenverfahrbaren Hebevorrichtung |
CA2299662A1 (fr) * | 2000-02-22 | 2001-08-22 | Serge Montambault | Chariot teleopere d'inspection et d'intervention pour reseau electrique sous tension |
ITBZ20030005A1 (it) * | 2003-01-30 | 2004-07-31 | High Technology Invest Bv | Dispositivo pressore per la conduzione di fune in sistemi di trasporto a trazione di fune. |
US6910425B2 (en) * | 2003-02-28 | 2005-06-28 | Transol Corporation | Trolley with tractor drive for use in curved enclosed track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GB2421520A (en) * | 2004-12-21 | 2006-06-28 | Daniel Cutler | Moveable cover or awning |
WO2008066710A2 (en) * | 2006-11-28 | 2008-06-05 | Cylvick Eric S | Dynamically controllable, trolley brake |
US8393277B2 (en) * | 2009-11-04 | 2013-03-12 | John Johnston | Automatic carriage return for exhaust removal system |
CN101966850B (zh) * | 2010-09-19 | 2012-08-29 | 湖南路桥建设集团公司 | 轨索车 |
JP2012196179A (ja) | 2011-03-22 | 2012-10-18 |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 レール式薬剤散布装置 |
TW201420402A (zh) * | 2012-11-23 | 2014-06-01 | Yu-Lun Peng | 一種可控速及急轉彎的大眾纜車 |
CN103274310B (zh) * | 2013-06-13 | 2015-04-08 | 扬州市振东电力器材有限公司 | 自提升式索道运输装置 |
AT514815B1 (de) * | 2013-09-26 | 2016-05-15 | Innova Patent Gmbh | Seilbahnanlage zur Beförderung von Personen bzw. Gütern |
CN204055773U (zh) * | 2014-09-03 | 2014-12-31 | 湘潭市恒欣实业有限公司 | 无极绳连续牵引车 |
FR3037304B1 (fr) * | 2015-06-12 | 2018-07-27 | Poma | Dispositif d'accouplement d'un vehicule a un cable tracteur, vehicule equipe d'un tel dispositif, et installation de transport par cable tracteur comprenant un tel vehicule |
CN207274666U (zh) * | 2017-08-15 | 2018-04-27 | 广州智网联运物流有限公司 | 一种索道穿梭机 |
CN211918646U (zh) * | 2019-03-16 | 2020-11-13 | 郭延巍 | 索道自行式运输设备 |
-
2019
- 2019-03-16 CN CN201910200590.5A patent/CN110001668B/zh active Active
- 2019-05-17 WO PCT/CN2019/087415 patent/WO2020186618A1/zh unknown
- 2019-05-17 US US17/439,413 patent/US20220185342A1/en active Pending
- 2019-05-17 KR KR1020217031550A patent/KR1026669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5-17 EP EP19919868.0A patent/EP3943356A4/en active Pending
- 2019-05-17 JP JP2022502316A patent/JP7161080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98236A (en) | 1968-03-12 | 1970-03-03 | Lonnie E Meek | Self-propelled cable supported carriage |
KR101281774B1 (ko) | 2004-12-21 | 2013-07-02 | 다니엘 커틀러 | 커버링 시스템 |
CN108749823A (zh) | 2018-06-16 | 2018-11-06 | 郭延巍 | 索道自行式运输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43356A1 (en) | 2022-01-26 |
EP3943356A4 (en) | 2022-11-30 |
US20220185342A1 (en) | 2022-06-16 |
KR20210132711A (ko) | 2021-11-04 |
CN110001668B (zh) | 2023-05-30 |
CN110001668A (zh) | 2019-07-12 |
JP2022525262A (ja) | 2022-05-11 |
JP7161080B2 (ja) | 2022-10-25 |
WO2020186618A1 (zh) | 2020-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19741C2 (ru) | Воздушная сеть питания для подвижных горных машин | |
CN111332319B (zh) | 索道自行式运输设备 | |
CN204905767U (zh) | 一种电缆敷设装置 | |
CN104742111A (zh) | 一种电缆隧道巡检机器人行走机构 | |
CN108749823B (zh) | 索道自行式运输设备 | |
CN106005932A (zh) | 一种多用途自动转运机构 | |
KR102666935B1 (ko) | 삭도 셀프 추진식 수송장비 | |
CN106348142A (zh) | 驱动装置集中固定布置在端部的防爆机舱行车 | |
JP4922864B2 (ja) | 移動台車装置及び移動方法 | |
CN107792085B (zh) | 一种吊厢式滑车轨道变轨机构及索道网系统 | |
CN203419138U (zh) | 新型高架桥事故清障轨道车 | |
CN104443082A (zh) | 一种牵引车 | |
CN205469056U (zh) | 轻型快装货用索道动力行走系统 | |
JPH05131920A (ja) | 軌条走行併用ハイブリツド型循環式索道 | |
CN108290581A (zh) | 空中运输装备 | |
JP3135963B2 (ja) | 支索走行及び軌条走行併用懸垂式輸送設備 | |
KR20110129895A (ko) | 횡방향 견인 로프에 걸리는 수동 차량을 구비한 컨베이어 시설 | |
CN206915549U (zh) | 具有整段多配重结构的多角度斜行电梯 | |
CN206915548U (zh) | 具有分段式配重系统的多角度斜行电梯 | |
JP3135962B2 (ja) | 支索及び軌条走行併用懸垂式輸送設備 | |
CN204323512U (zh) | 一种牵引车 | |
CN106904518A (zh) | 一种具有分段式配重系统的多角度斜行电梯 | |
CN214648233U (zh) | 一种过障碍爬绳滑车 | |
JP3233960B2 (ja) | 支索及び軌条走行併用の懸垂式輸送設備 | |
CN201901402U (zh) | 一种钢丝绳牵引台车输送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