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650B1 - 유리 롤, 유리 롤의 제조 방법 및 품질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롤, 유리 롤의 제조 방법 및 품질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650B1
KR102665650B1 KR1020207007114A KR20207007114A KR102665650B1 KR 102665650 B1 KR102665650 B1 KR 102665650B1 KR 1020207007114 A KR1020207007114 A KR 1020207007114A KR 20207007114 A KR20207007114 A KR 20207007114A KR 102665650 B1 KR102665650 B1 KR 10266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length
measurement length
rol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451A (ko
Inventor
히로키 모리
코이치 모리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7Forming glass sheets combined with thermal conditioning of th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8Means for providing the drawing force, e.g. traction or draw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28Wound package of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 B65H23/18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connection with running-web
    • B65H23/188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connection with running-web and controlling longitudinal register of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0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out flanges, e.g. cop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35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7Cutting armoured, multi-layered, coated or laminated, glass products
    • C03B33/074Glass products comprising an outer layer or surface coating of non-glas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9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 C03B33/091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using at least one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bea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6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1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60Details of processes or procedures
    • B65H2557/64Details of processes or procedures for detecting type or properties of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롤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주름(5)이 형성된 띠형상 유리 필름(2)이 롤형상으로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유리 롤(1)로서, 띠형상 유리 필름(2)이 폭 방향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2g)와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2h)가 평행하게 연장된 구간이고, 또한 그 선두부(6a) 및 최후부(6b)의 각각이 띠형상 유리 필름(2)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유효 구간(6)을 구비하고, 유효 구간(6)의 표면(2f)을 따른 선두부(6a)로부터 최후부(6b)까지의 길이를 띠형상 유리 필름(2)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2g)를 따르는 제 1 위치(P1) 및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2h)를 따르는 제 2 위치(P2)의 각각을 따라 측정한 경우에, 측정된 제 1 측정 길이(L1) 및 제 2 측정 길이(L2)의 양 측정 길이(L1, L2)의 차가 양 측정 길이(L1, L2)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400ppm 이하이다.

Description

유리 롤, 유리 롤의 제조 방법 및 품질 평가 방법
본 발명은 유리 롤, 유리 롤의 제조 방법 및 품질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최근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PC 등의 모바일 기기는 경량인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당해 기기에 채용되는 유리 기판에 있어서는 박판화가 추진되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이 결과로서, 유리 기판을 필름형상으로까지 박판화(예를 들면, 두께가 300㎛ 이하)한 유리 필름이 개발, 제조되기에 이르고 있다.
유리 필름은 그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사람 손에 의해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가요성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성형한 띠형상 유리 필름을 권심의 주위에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유리 롤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 유리 롤에 대해서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에 각종 처리(예를 들면, 불요부의 분단 등)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롤·투·롤의 형태란 유리 롤로서 제 1 권심의 주위에 권취된 띠형상 유리 필름을 제 1 권심으로부터 감아 빼서 반송하면서 처리를 실시한 후, 처리 후의 띠형상 유리 필름을 제 1 권심과는 다른 제 2 권심의 주위에 권취하여 다시 유리 롤로 하는 형태이다.
일본 특허 공개 2017-077995호 공보
그런데, 상기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기와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었다.
즉,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함에 있어서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 유리 필름(100)을 견인하여 제 2 권심(도시생략)으로 유도하기 위한 띠형상의 리더(200)를 테이프(300)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100)과 연결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띠형상 유리 필름(100)에 대한 처리를 적절하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선행하는 리더(200)가 통과한 통과 라인을 후속의 띠형상 유리 필름(100)이 어긋나지 않게 통과하는 것이 이상이다. 그러나,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 유리 필름(100)의 부당한 사행(동 도면에서 흰색 화살표로 나타냄)에 기인하여 당해 띠형상 유리 필름(100)의 통과 라인이 폭 방향으로 어긋나서 리더(200)의 통과 라인(동 도면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냄)과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 결과로서 처리를 적절하게 실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권심(400)으로부터 제 2 권심(500)에 이르는 띠형상 유리 필름(100)의 반송 경로 상에 당해 띠형상 유리 필름(100)을 두께 방향으로 협지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닙 롤러(600)가 배치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띠형상 유리 필름(100)의 느슨함에 기인한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 상의 닙 롤러(600)의 직상류측에서 띠형상 유리 필름(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한쪽에만 느슨함(이하, 새깅으로 표기)이 발생함과 아울러, 이 새깅이 점차적으로 악화되어 가서, 이윽고 띠형상 유리 필름(100)이 파손에 이르러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롤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사행이나 새깅이 발생하는 요인은 띠형상 유리 필름에 형성된 주름에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에 존재하는 주름과 다른쪽측 단부에 존재하는 주름 사이에 있어서,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나쁜 경우에, 사행이나 새깅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지견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주름은 띠형상 유리 필름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는 띠형상 수지 필름에도 존재할 수 있지만, 띠형상 수지 필름에 대해서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다고 해도 사행이나 새깅은 발생하기 어렵다. 이것은 수지가 신축성이 풍부하여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할 때에 띠형상 수지 필름에 장력을 부하하면 주름이 늘어나기 때문에, 상기 밸런스가 나빠도 그 영향이 작기 때문이다. 한편, 띠형상 유리 필름에 형성된 주름은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했을 때의 장력에 의해서도 거의 늘어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 밸런스가 나쁜 경우에는 주름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없어 사행이나 새깅이 발생하기 쉬워져버린다.
이 지견에 의거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은 주름이 형성된 띠형상 유리 필름이 롤형상으로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유리 롤로서, 띠형상 유리 필름이 폭 방향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와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가 평행하게 연장된 구간이고, 또한 그 선두부 및 최후부의 각각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유효 구간을 구비하고, 유효 구간의 표면을 따른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띠형상 유리 필름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를 따르는 제 1 위치 및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를 따르는 제 2 위치의 각각을 따라 측정한 경우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따라 각각 측정된 제 1 측정 길이 및 제 2 측정 길이의 양 측정 길이의 차가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400ppm 이하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본 유리 롤에 대해서, 제 1 측정 길이 및 제 2 측정 길이의 양 측정 길이는 모두 띠형상 유리 필름에 구비된 유효 구간의 표면을 따라 당해 유효 구간의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측정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표면을 따라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으로써 양 측정 길이의 측정 결과에는 주름에 의한 표면의 요철의 영향이 반영되고,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유효 구간의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 사이에 존재하는 주름의 수의 다과나 크기의 대소가 측정 길이의 장단으로서 반영된다. 여기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는 각각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를 따르는 위치 및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를 따르는 위치이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양 측정 길이의 차를 산출함으로써 당해 차의 대소에 의거해서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의 양부가 판명된다. 그리고, 양 측정 길이의 차가 작을수록 밸런스가 양호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양 측정 길이의 차가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400ppm 이하인 유리 롤에 대해서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면,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상의 점에서, 본 유리 롤에 의하면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유리 롤에 대하여는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와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가 평행하게 연장된 구간이고, 또한 그 선두부 및 최후부의 각각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유효 구간을 대상으로 하여 제 1 측정 길이 및 제 2 측정 길이의 양 측정 길이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의 양부뿐만 아니라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서의 단부 자체의 길이(띠형상 유리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의 차이까지도 양 측정 길이의 차로서 반영되어버리는 것을 회피한다. 예를 들면, 본 유리 롤에 대한 것과는 달리, 유효 구간이 아니라 띠형상 유리 필름의 표면을 따른 당해 띠형상 유리 필름의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의 각각을 따라 측정하고, 양 측정 길이로 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서 단부 자체의 길이가 다른 경우, 가령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양호했다고 해도, 상기 양 측정 길이의 차는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의 길이의 차만큼 가산되어 커져버린다. 그 때문에, 양 측정 길이의 차로부터 밸런스의 양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을 우려가 생긴다. 이와 같은 우려를 배제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 구간을 대상으로 해서 양 측정 길이를 측정한다.
상기 유리 롤에 있어서, 양 측정 길이의 차가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2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더욱 좋게 된다. 이 때문에,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더욱 유리해진다.
상기 유리 롤에 있어서, 양 측정 길이의 차가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1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보다 한층 좋게 된다. 이 때문에,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보다 한층 유리해진다.
상기 유리 롤에 있어서, 제 1 측정 길이 및 제 2 측정 길이에 추가하여 제 3 측정 길이로서 유효 구간의 표면을 따른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주름이 없는 폭 방향 중심선 상을 따라 측정한 경우에, 제 1 측정 길이와 제 3 측정 길이의 차와, 제 2 측정 길이와 제 3 측정 길이의 차 중, 큰 쪽의 차가 제 1 측정 길이∼제 3 측정 길이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5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에 처리를 실시함에 있어서는 당해 처리를 적합하게 실행하는데 있어서 띠형상 유리 필름에 형성된 주름의 수나 크기가 가급적으로 억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측정 길이 및 제 2 측정 길이의 측정 결과에는 유효 구간의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 사이에 존재하는 주름의 수의 다과나 크기의 대소가 측정 길이의 장단으로서 반영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 3 측정 길이는 주름이 없이 평탄한 폭 방향 중심선 상을 따라 유효 구간의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측정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제 3 측정 길이의 측정 결과에는 주름에 의한 표면의 요철의 영향이 없게 된다. 이들 점에서, 제 1 측정 길이와 제 3 측정 길이의 차와, 제 2 측정 길이와 제 3 측정 길이의 차를 각각 산출한 경우, 이들 차가 작을수록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에 각각 존재하는 주름의 수나 크기가 억제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이들 2개의 차 중, 큰 쪽의 차가 제 1 측정 길이∼제 3 측정 길이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500ppm 이하인 유리 롤에 대해서,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면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하여 적합하게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상에 의해, 본 유리 롤에 의하면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하여 적합하게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유리해진다.
상기 유리 롤에 있어서, 큰 쪽의 차가 제 1 측정 길이∼제 3 측정 길이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3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에 각각 존재하는 주름의 수나 크기가 더욱 억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하여 적합하게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더욱 유리해진다.
상기 유리 롤에 있어서, 큰 쪽의 차가 제 1 측정 길이∼제 3 측정 길이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2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에 각각 존재하는 주름의 수나 크기가 보다 한층 억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하여 적합하게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보다 한층 유리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은 성형체에 의해 용융 유리를 띠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리본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하면서 냉각되어 굳어지게 함으로써 주름이 형성된 띠형상 유리 필름을 얻는 성형 공정과,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존재하는 양 불요부를 양 불요부 상호간에 위치하는 유효부로부터 분단하는 분단 공정과, 유효부로 이루어지는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을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유리 롤로 하는 권취 공정을 구비한 유리 롤의 제조 방법이고, 또한 유효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구간이고, 또한 그 선두부 및 최후부의 각각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피계측 구간에 대해서 피계측 구간의 표면을 따른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유효부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의 각각을 따라 계측하는 계측 공정을 구비하고,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를 따라 각각 계측된 제 1 계측 길이 및 제 2 계측 길이의 양 계측 길이의 차가 양 계측 길이 중 긴 쪽의 계측 길이의 4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 양 계측 길이의 차가 작아지도록 조절하는 제 1 조절 공정을 실행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본 방법에 의하면, 계측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서 권취되는 유효부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의 양부가 제 1 계측 길이 및 제 2 계측 길이의 양 계측 길이의 차로서 산출된다. 그리고, 양 계측 길이의 차가 양 계측 길이 중 긴 쪽의 계측 길이의 400ppm을 초과하는 경우, 즉 밸런스가 나쁜 경우에는 제 1 조절 공정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양 계측 길이의 차가 작아지도록 조절하여 밸런스를 개선한다. 그 결과, 밸런스가 좋은 유효부로 이루어지는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을 권취하여 유리 롤을 제조할 수 있고, 이 유리 롤에 대해서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는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적절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제 1 조절 공정이 유효부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와 각각 늘어선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의 양자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유효부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악화하는 것은 유효부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와 각각 늘어선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의 양자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에 차가 있는 것이 요인인 것을 발견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양 계측 길이의 차가 양 계측 길이 중 긴 쪽의 계측 길이의 4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 1 조절 공정을 실행하여 유리 리본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하면 상기 밸런스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양 계측 길이의 차가 긴 쪽의 계측 길이의 4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 계측 공정과 제 1 조절 공정의 양 공정을, 계측 공정을 실행할 때마다 피계측 구간을 새로운 구간으로 변경하면서 양 계측 길이의 차가 긴 쪽의 계측 길이의 400ppm 이하로 될 때까지 교대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서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좋은 유효부를 확실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이 밸런스가 좋은 유효부로 이루어지는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을 권취한 유리 롤을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계측 공정에 있어서 제 1 계측 길이 및 제 2 계측 길이에 추가하여 제 3 계측 길이로서 피계측 구간의 표면을 따른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유효부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주름이 없는 중앙부를 따라 계측하고, 제 1 계측 길이와 제 3 계측 길이의 차와, 제 2 계측 길이와 제 3 계측 길이의 차의 2개의 차 중 적어도 한쪽이 제 1 계측 길이∼제 3 계측 길이 중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 2개의 차 중,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한 차가 작아지도록 조절하는 제 2 조절 공정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계측 공정의 실행에 따라 제 1 계측 길이와 제 3 계측 길이의 차와, 제 2 계측 길이와 제 3 계측 길이의 차를 산출할 수 있고, 2개의 차에 의거해서 유효부(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의 각각에서 주름의 수나 크기가 억제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명된다. 그리고, 2개의 차 중 적어도 한쪽이 제 1 계측 길이∼제 3 계측 길이 중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하는 경우, 즉 주름의 수나 크기가 충분히 억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조절 공정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차 중,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한 차가 작아지도록 조절하여 주름의 수나 크기를 억제한다. 그 결과,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에 존재하는 주름의 수나 크기가 가급적으로 억제된 유효부를 성형할 수 있고, 이 유효부로 이루어지는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을 권취한 유리 롤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유리 롤에 대해서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는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한 처리를 적합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제 2 조절 공정이 유리 리본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와, 양단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중앙부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유효부의 한쪽측 단부나 다른쪽측 단부에서 주름의 수나 크기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것은 유리 리본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와, 양단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중앙부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에 차가 있는 것이 요인인 것을 발견했다. 그 때문에, 상기 2개의 차 중 적어도 한쪽이 제 1 계측 길이∼제 3 계측 길이 중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 2 조절 공정을 실행하여 유리 리본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와, 중앙부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하면 주름의 수나 크기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2개의 차 중 적어도 한쪽이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 계측 공정과 제 2 조절 공정의 양 공정을, 계측 공정을 실행할 때마다 피계측 구간을 새로운 구간으로 변경하면서 2개의 차의 쌍방이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 이하로 될 때까지 교대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서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좋은데다가, 이들 양단부에 존재하는 주름의 수나 크기 자체도 충분히 억제된 유효부를 확실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이 유효부로 이루어지는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 구성된 고품질의 유리 롤을 확실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각 계측 길이의 계측에 계측 수단을 이용하여 계측 수단이 피계측 구간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주름에 의한 피계측 구간의 표면의 요철을 따라 피계측 구간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하고, 회전체가 피계측 구간의 표면 상에 전동한 거리에 의거해서 각 계측 길이를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계측 수단에 구비된 회전체가 피계측 구간의 표면의 요철을 따라 피계측 구간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각 계측 길이를 계측할 때에 주름에 대하여 부하되는 힘에 의해 주름이 압박되어 찌그러져버리는 바와 같은 우려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계측 길이의 계측 결과에 주름에 의한 표면의 요철의 영향을 정확하게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각 계측 길이의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피계측 구간을 유효부로부터 분단하여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계측 수단에 구비된 회전체와의 접촉에 의해 표면이 오염되어 있을 우려가 있는 피계측 구간이 유리 롤을 구성하는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유효부)의 일부가 되는 일 없이 폐기된다. 그 때문에, 표면이 청정한 상태로 있는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만으로 구성되는 유리 롤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법에서는 유리 리본의 한쪽측 단부, 다른쪽측 단부, 및 양단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각각 가열 가능한 3기의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각 부위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리본의 한쪽측 단부, 다른쪽측 단부, 및 중앙부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보다 고품질의 유리 롤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유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롤의 품질 평가 방법은 동일 조건 하에서 제작된 복수의 유리 롤로부터 샘플 유리 롤을 발취하는 발취 공정과, 샘플 유리 롤을 구성하는 주름이 형성된 띠형상 유리 필름에 구비된 폭 방향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와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가 평행하게 연장 구간이고, 또한 그 선두부 및 최후부의 각각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유효 구간에 대해서, 유효 구간의 표면을 따른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면서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의 각각을 따라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를 따라 각각 측정된 한쪽측 측정 길이 및 다른쪽측 측정 길이의 양 측정 길이의 차에 의거해서 샘플 유리 롤을 제외한 복수의 유리 롤의 품질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본 방법에서는 측정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샘플 유리 롤을 구성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의 양부가 한쪽측 측정 길이 및 다른쪽측 측정 길이의 양 측정 길이의 차로 해서 산출된다. 그리고, 양 측정 길이의 차가 작을수록 밸런스가 좋게 되고,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사행이나 새깅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샘플 유리 롤은 발취 공정에 의해 복수의 유리 롤로부터 발취된 것임과 아울러 복수의 유리 롤은 동일 조건 하에서 제작된 것이다. 즉, 샘플 유리 롤과, 당해 샘플 유리 롤을 제외한 복수의 유리 롤의 각각은 대략 같은 유리 롤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샘플 유리 롤이 상기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샘플 유리 롤을 제외한 복수의 유리 롤의 각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의 점에서, 본 방법에 의하면 상기 양 측정 길이의 차에 의거한 판정 공정의 실행에 따라 복수의 유리 롤의 품질을 적합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판정 공정에 있어서 양 측정 길이의 차가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400ppm 이하인 경우에, 샘플 유리 롤을 제외한 복수의 유리 롤의 품질을 합격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판정 공정에 의해 품질이 합격으로 판정된 복수의 유리 롤에 대해서, 이들 각각을 구성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은 그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충분히 좋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유리 롤의 각각을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는 유리 롤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측정 공정에 있어서 한쪽측 측정 길이 및 다른쪽측 측정 길이에 추가하여, 중앙 측정 길이로서 유효 구간의 표면을 따른 선두부로부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면서 띠형상 유리 필름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주름이 없는 중앙부를 따라 측정하고, 판정 공정에 있어서 양 측정 길이의 차가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400ppm 이하이고, 또한 한쪽측 측정 길이와 중앙 측정 길이의 차와, 다른쪽측 측정 길이와 중앙 측정 길이의 차 중, 큰 쪽의 차가 한쪽측 측정 길이, 다른쪽측 측정 길이, 및 중앙 측정 길이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500ppm 이하인 경우에, 샘플 유리 롤을 제외한 복수의 유리 롤의 품질을 우량 합격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판정 공정에 의해 품질이 우량 합격으로 판정된 복수의 유리 롤에 대해서, 이들 각각을 구성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은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충분히 좋은 것에 추가하여,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에 각각 존재하는 주름의 수나 크기가 충분히 억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유리 롤의 각각을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하여 적합하게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유리 롤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각 측정 길이의 측정에 측정 수단을 이용하고, 측정 수단이 유효 구간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주름에 의한 유효 구간의 표면의 요철을 따라 유효 구간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하고, 회전체가 유효 구간의 표면 상에 전동한 거리에 의거해서 각 측정 길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측정 길이의 측정 결과에 주름에 의한 표면의 요철의 영향을 정확하게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각 측정 길이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을 구성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해서 그 전체 길이를 가상적으로 권심으로부터 감아 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을 구성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해서 그 전체 길이를 가상적으로 권심으로부터 감아 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에 대해서 제 1∼제 3 측정 길이를 측정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에 대해서 제 1∼제 3 측정 길이를 측정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에 대해서 제 1∼제 3 측정 길이를 측정하는 양태를 롤러 인코더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에 대해서 제 1∼제 3 측정 길이를 측정하는 양태를 롤러 인코더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에 대해서 제 1∼제 3 측정 길이를 측정하는 양태를 롤러 인코더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의 품질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종래의 유리 롤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b는 종래의 유리 롤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a는 종래의 유리 롤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b는 종래의 유리 롤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 유리 롤의 제조 방법 및 품질 평가 방법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유리 롤>
최초로, 유리 롤부터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롤(1)은 가요성을 구비한 띠형상 유리 필름(2)과, 띠형상 유리 필름(2)을 상처 등의 발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요성을 구비한 띠형상 보호 시트(3)가 겹쳐진 상태에서 권심(4)의 주위에 롤형상으로 감겨져서 이루어진다. 또한, 띠형상 유리 필름(2)은 그 전체 폭이 대략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의 일례로서는 300㎛ 이하이다. 또한,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전체 길이는 일례로서 100m 이상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 보호 시트(3)의 쪽이 띠형상 유리 필름(2)보다도 폭 치수가 커지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양자 2, 3의 폭 치수는 동일해도 좋고,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쪽이 띠형상 보호 시트(3)보다도 폭 치수가 커도 좋다.
유리 롤(1)을 구성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전체 길이를 가상적으로 권심(4)으로부터 감아 뺀 상태를 나타내면 도 2a와 같이 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띠형상 유리 필름(2)에서는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부인 선두부(2a) 및 타단부인 최후부(2b)의 각각이 당해 띠형상 유리 필름(2)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띠형상 유리 필름(2)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용융 유리를 띠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리본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하면서 냉각되어 굳어지게 하여 성형한 유리이다. 단, 성형에 따라 폭 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핸들부(다른 부위보다도 두께가 큰 부위)는 분단되어 제거되어 있다. 이 띠형상 유리 필름(2)은 후술의 제 1 위치(P1)를 포함한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2c)와, 후술의 제 2 위치(P2)를 포함한 다른쪽측 단부(2d)와, 폭 방향 중심선(CL)을 포함함과 아울러, 양단부(2c, 2d)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중앙부(2e)를 갖는다. 한쪽측 단부(2c) 및 다른쪽측 단부(2d)에는 주름(5)이 형성되어 표면(2f)에 요철이 존재한다. 이것에 대해, 중앙부(2e)에는 주름(5)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표면(2f)이 평탄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 유리 필름(2)의 한쪽측 단부(2c), 다른쪽측 단부(2d), 및 중앙부(2e)의 3개의 부위 중, 한쪽측 단부(2c) 및 다른쪽측 단부(2d)에 주름(5)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3개의 부위 중, 1개의 부위에만 주름(5)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한쪽측 단부(2c)에만, 또는 다른쪽측 단부(2d)에만 주름(5)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2)은 후술하는 제 1 측정 길이(L1)∼제 3 측정 길이(L3)가 측정되는 대상이 되는 유효 구간(6)을 구비하고 있다. 유효 구간(6)은 띠형상 유리 필름(2)에서 폭 방향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2g)와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2h)가 평행하게 연장된 구간이고, 또한 그 선두부(6a) 및 최후부(6b)의 각각이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구간이다. 즉, 띠형상 유리 필름(2)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유효 구간(6)은 직사각형을 이룬다. 이것에 의해, 도 2a에 나타내는 띠형상 유리 필름(2)에서 유효 구간(6)을 가장 길게 취하면,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전체 길이가 유효 구간(6)이 된다. 이 경우에는,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선두부(2a)와 유효 구간(6)의 선두부(6a), 및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최후부(2b)와 유효 구간(6)의 최후부(6b)가 각각 일치한다.
여기서, 상기 유효 구간(6)의 정의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선두부(2a) 및 최후부(2b)의 각각 이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효 구간(6)은 가장 길게 취했다고 해도, 크로스 해치를 실시하여 나타내는 부위를 제외한 구간이 된다. 이 경우,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선두부(2a)와 유효 구간(6)의 선두부(6a), 및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최후부(2b)와 유효 구간(6)의 최후부(6b)는 모두 일치하지 않게 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유효 구간(6)의 길이(띠형상 유리 필름(2)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는 임의의 길이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유효 구간(6)의 길이를 20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측정 길이(L1), 제 2 측정 길이(L2), 및 제 3 측정 길이(L3)는 유효 구간(6)의 표면(2f)을 따른 선두부(6a)로부터 최후부(6b)까지의 길이가 각각 띠형상 유리 필름(2)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2g)를 따르는 제 1 위치(P1),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2h)를 따르는 제 2 위치(P2), 및 폭 방향 중심선(CL) 상을 따라 측정된 길이이다. 이와 같이, 각 측정 길이(L1∼L3)가 표면(2f)을 따라 측정됨으로써 제 1 측정 길이(L1) 및 제 2 측정 길이(L2)의 측정 결과에는 주름(5)에 의한 표면(2f)의 요철의 영향이 반영되고, 주름(5)의 수의 다과나 크기의 대소가 측정 길이의 장단으로서 반영된다. 이것에 대해, 제 3 측정 길이(L3)의 측정 결과에는 주름(5)에 의한 표면(2f)의 요철의 영향이 없다.
제 1 위치(P1) 및 제 2 위치(P2)는 각각 한쪽측 끝 가장자리(2g) 및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2h)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50㎜ 어긋난 위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위치(P1) 및 제 2 위치(P2)를 따라 각각 측정되는 제 1 측정 길이(L1) 및 제 2 측정 길이(L2)는 모두 후술하는 롤러 인코더(7)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이 때문에, 롤러 인코더(7)를 이용한 측정의 장해가 되는 장해물이 상기 50㎜ 어긋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대신에 장해물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제 1 위치(P1) 및 제 2 위치(P2)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장해물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10㎜ 어긋난 위치를 제 1 위치(P1) 및 제 2 위치(P2)로 한다. 또한, 장해물의 예로서는 띠형상 유리 필름(2)의 보강을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2f)에 점착된 보강 테이프 등이 예시된다.
상기 제 1 측정 길이(L1) 및 제 2 측정 길이(L2)의 양 측정 길이(L1, L2)의 차(L1-L2의 절대값)는 양 측정 길이(L1, L2)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400ppm 이하로 되어 있다. 이 조건을 충족하면, 띠형상 유리 필름(2)의 한쪽측 단부(2c)와 다른쪽측 단부(2d) 사이에 있어서의 주름(5)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2)에 사행이나 새깅을 발생시키지 않는데 있어서 양호해진다. 또한, 양 측정 길이(L1, L2)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긴 쪽의 측정 길이의 200pp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긴 쪽의 측정 길이의 100ppm 이하이다.
또한, 제 1 측정 길이(L1)와 제 3 측정 길이(L3)의 차(L1-L3의 절대값)와, 제 2 측정 길이(L2)와 제 3 측정 길이(L3)의 차(L2-L3의 절대값) 중, 큰 쪽의 차는 제 1 측정 길이(L1)∼제 3 측정 길이(L3) 중 가장 긴 측정 길이의 500ppm 이하로 되어 있다. 이 조건을 충족하면, 띠형상 유리 필름(2)의 한쪽측 단부(2c) 및 다른쪽측 단부(2d)에 각각 존재하는 주름(5)의 수나 크기가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2)에 대하여 적절하게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충분히 억제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큰 쪽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최장의 측정 길이의 300pp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장의 측정 길이의 200ppm 이하이다.
<제 1 측정 길이∼제 3 측정 길이의 측정 양태>
이하, 제 1 측정 길이(L1)∼제 3 측정 길이(L3)의 측정 양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 1 측정 길이(L1)∼제 3 측정 길이(L3)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롤(1)에 대해서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즉, 상기 권심(4)을 제 1 권심(8)으로 해서 유리 롤(1)을 구성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2)을 제 1 권심(8)으로부터 감아 빼서 반송하면서, 그 반송 경로 상의 측정 위치(MP)에서 각 측정 길이(L1∼L3)를 측정해 간다. 그 후, 측정 위치(MP)를 통과한 띠형상 유리 필름(2)을 제 1 권심(8)과는 다른 제 2 권심(9)의 주위에 권취하여 다시 유리 롤(10)로 한다.
또한,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선두부(2a)는 띠형상 유리 필름(2)에 선행하여 제 2 권심(9)의 주위에 권취되어 가는 띠형상의 리더(도시생략)의 최후부와 연결되어 있다. 즉, 띠형상 유리 필름(2)은 리더에 견인됨으로써 반송되어 간다.
유리 롤(1)에서 띠형상 유리 필름(2)과 겹쳐 있었던 띠형상 보호 시트(3)는 띠형상 유리 필름(2)과 함께 제 1 권심(8)으로부터 감아 뺀 후, 띠형상 유리 필름(2)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제 1 시트 롤(11)로 해서 회수한다. 또한, 측정 위치(MP)를 통과한 띠형상 유리 필름(2)은 제 2 시트 롤(12)로부터 공급되는 띠형상 보호 시트(13)와 겹친 상태에서 제 2 권심(9)의 주위에 권취한다.
제 1 권심(8)으로부터 감아 빼서 제 2 권심(9)을 향해 반송 중인 띠형상 유리 필름(2)은 반송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롤러(14)에 걸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복수의 롤러(14)는 모두 띠형상 유리 필름(2)의 폭 방향을 따라 축선이 연장된 롤러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롤러(14)의 각각은 구동원(예를 들면, 모터 등)과 접속된 구동 롤러인 경우도 있다면, 프리 롤러인 경우도 있다.
복수의 롤러(14) 중, 측정 위치(MP)에 배치된 롤러(15)는 당해 측정 위치(MP)를 평평하게 놓은 자세로 통과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2)을 롤러 인코더(7)에 구비된 롤러(7a)와 함께 두께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롤러(15)가 띠형상 유리 필름(2)에 대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접촉하고, 롤러(7a)가 띠형상 유리 필름(2)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롤러(15)의 지름은 롤러(7a)의 지름과 비교해서 커지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롤러(15)가 띠형상 유리 필름(2)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접촉하고, 롤러 인코더(7)에 구비된 롤러(7a)가 띠형상 유리 필름(2)에 대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롤러 인코더(7)는 상기 각 측정 길이(L1∼L3)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롤러 인코더(7)에 구비된 회전체로서의 롤러(7a)는 유효 구간(6)의 표면(2f)에 항상 접촉한 상태에서 표면(2f)과의 마찰에 의해 미끄럼없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롤러(7a)가 표면(2f) 상을 전동한 거리에 의거해서 각 측정 길이(L1∼L3)가 측정된다. 또한, 롤러(7a)에서 표면(2f)과 접촉하는 회전 둘레부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표면(2f)과 회전 둘레부의 미끄럼에 기인하여 상기 각 측정 길이(L1∼L3)가 부정확하게 측정될 우려를 배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둘레부의 재질로서 미끄럼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인코더(7)는 제 1 위치(P1), 제 2 위치(P2), 및 폭 방향 중심선(CL) 상의 각각을 따라 측정되는 제 1 측정 길이(L1), 제 2 측정 길이(L2), 및 제 3 측정 길이(L3)의 각각의 측정용으로서 3기가 배치되어 있다. 3기의 롤러 인코더(7)에 각각 구비된 3개의 롤러(7a)는 띠형상 유리 필름(2)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띠형상 유리 필름(2)의 반송 경로 상에 있어서의 동일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도 5a∼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롤러 인코더(7)에 구비된 롤러(7a)는 주름(5)에 의한 유효 구간(6)의 표면(2f)의 요철을 따라 유효 구간(6)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7a)가 띠형상 유리 필름(2)의 반송에 따라 측정 위치(MP)까지 도달한 주름(5)을 타고 넘을 때에는 도 5b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초기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롤러(7a)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초기 위치」란 롤러(7a)가 유효 구간(6)에 있어서의 주름(5)이 없는 평탄한 부위 상을 전동하고 있는 경우의 위치이다. 또한, 롤러(7a)는 유효 구간(6)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하중(띠형상 유리 필름(2)의 두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부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중의 크기는 롤러(7a)와 표면(2f)이 항상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주름(5)을 찌그러뜨려 평탄화시키는 일이 없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롤러(7a)가 유효 구간(6)에 대하여 부하하는 하중의 크기를 롤러(7a)가 주름(5)을 찌그러뜨려 평탄화시키는 정도의 크기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측정 길이(L1), 제 2 측정 길이(L2), 및 제 3 측정 길이(L3)를 문제없이 측정할 수 있다.
각 롤러 인코더(7)에 구비된 롤러(7a)가 각각 제 1 위치(P1), 제 2 위치(P2), 및 폭 방향 중심선(CL) 상에 있어서 유효 구간(6)의 표면(2f)을 따라 선두부(2a)로부터 최후부(2b)까지 전동하고 나면, 상기 각 측정 길이(L1∼L3)가 측정된다. 그 결과, 상기 양 측정 길이(L1, L2)의 차, 제 1 측정 길이(L1)와 제 3 측정 길이(L3)의 차, 및 제 2 측정 길이(L2)와 제 3 측정 길이(L3)의 차가 판명되게 된다.
<유리 롤의 제조 방법>
이하, 상기 유리 롤(1)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조 방법은 성형체(16)에 의해 용융 유리(17)를 띠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리본(18)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하면서 냉각되어 굳어지게 함으로써 주름(5)이 형성된 띠형상 유리 필름(19)을 얻는 성형 공정과, 띠형상 유리 필름(19)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존재하는 양 불요부(19a, 19a)를 양 불요부(19a, 19a)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유효부(19b)로부터 분단하는 분단 공정과, 유효부(19b)로 이루어지는 분단 후의 띠형상 유리 필름(2)을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유리 롤(1)로 하는 권취 공정과, 유효부(19b)에 구비된 피계측 구간(S)(도 7에서 사선을 실시하여 나타내는 구간)에 대해서, 표면(2f)을 따른 선두부(Sa)로부터 최후부(Sb)까지의 길이를 유효부(19b)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2c), 다른쪽측 단부(2d), 및 양단부(2c, 2d)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중앙부(2e)의 각각을 따라 계측하는 계측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제조 방법에서는 계측 공정의 결과에 따라 유효부(19b)의 한쪽측 단부(2c) 및 다른쪽측 단부(2d)와 각각 늘어선 유리 리본(18)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18a) 및 다른쪽측 단부(18b)의 양단부(18a, 18b)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하는 제 1 조절 공정을 실행한다. 또한, 계측 공정의 결과에 따라 유리 리본(18)의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와, 양단부(18a, 18b)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중앙부(18c)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하는 제 2 조절 공정을 실행한다.
여기서, 유리 리본(18)의 부위와 부위 사이에서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를 좁힌다」란 유리 리본(18)이 통과하는 경로 상에 있어서 한쪽의 부위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지점과, 다른쪽의 부위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지점의 경로를 따른 거리(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을 따른 거리)를 좁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양 부위 사이에서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0이면 양 부위는 유리 리본(18) 이 통과하는 경로 상의 동일 지점에서 냉각되어 굳어지게 된다.
성형 공정의 실행에는 주로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용의 성형체(16)와, 성형체(16)로부터 유하하는 유리 리본(18)을 표리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면서 아래쪽으로의 견인이 가능한 상하 복수단으로 배치된 롤러 쌍으로 이루어지는 롤러군(20)과, 유하 중인 유리 리본(18)의 양단부(18a, 18b), 및 중앙부(18c)를 각각 가열 가능한 가열 수단으로서의 3기의 히터(21a, 21b, 21c)로 이루어지는 히터군(21)을 이용한다. 또한, 성형 공정에 사용되는 3자(16, 20, 21) 중, 성형체(16)나 롤러군(20)은 그 구성이나 동작이 이미 공지로 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히터군(21)에 대해서만 상세를 설명한다.
히터군(21)은 유리 리본(18)을 변형점 이하의 온도까지 서냉하기 위한 서냉로(도시생략)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히터군(21)을 구성하는 히터(21a, 21b, 21c)는 유리 리본(18)이 유하하는 경로 상의 동일 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즉, 히터(21a, 21b, 21c)는 서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다. 히터(21a, 21b, 21c)는 각각 유리 리본(18)에 부여하는 열 에너지의 대소를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리본(18)의 한쪽측 단부(18a), 다른쪽측 단부(18b), 및 중앙부(18c)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리본(18)이 유하하는 경로 상에 히터군(21)을 하나만 배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유리 리본(18)이 유하하는 경로를 따라 복수의 히터군(21)을 상하 복수단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유리 리본(18)의 부위와 부위 사이에서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를 변경할 수 있으면, 반드시 히터(21a, 21b, 21c)의 3기를 배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3기 중의 히터(21c)만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유리 리본(18)의 한쪽측 단부(18a)에는 냉각되어 굳어진 후에 띠형상 유리 필름(19)의 불요부(19a)로 되는 부위와, 띠형상 유리 필름(19)의 유효부(19b)에 있어서의 한쪽측 단부(2c)로 되는 부위가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해서, 다른쪽측 단부(18b)에는 냉각되어 굳어진 후에 띠형상 유리 필름(19)의 불요부(19a)로 되는 부위와, 띠형상 유리 필름(19)의 유효부(19b)에 있어서의 다른쪽측 단부(2d)로 되는 부위가 포함된다. 또한, 유리 리본(18)의 중앙부(18c)는 냉각되어 굳어진 후에 유효부(19b)의 중앙부(2e)로 된다.
성형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띠형상 유리 필름(19)은, 예를 들면 그 두께가 300㎛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띠형상 유리 필름(19)의 불요부(19a)에는 다른 부위와 비교해서 두께가 큰 핸들부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띠형상 유리 필름(19)에 주름(5)이 형성되는 양태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여기서는 띠형상 유리 필름(19)의 양 불요부(19a, 19a)와, 유효부(19b)의 한쪽측 단부(2c) 및 다른쪽측 단부(2d)에 주름(5)이 형성되고, 유효부(19b)의 중앙부(2e)에는 주름(5)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19)을 성형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슬롯 다운드로우법이나 리드로우법 등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19)을 성형해도 좋다.
성형 후에 연직 아래쪽으로 반송되는 띠형상 유리 필름(19)은 만곡된 반송 궤도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롤러로 되는 롤러군(22)에 의해, 그 반송 방향을 연직 아래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컨베이어(23), 판상체(24), 및 컨베이어(25)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19)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띠형상 유리 필름(19)으로 반송 경로 상의 계측 위치(X), 분단 위치(Y)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 유리 필름(19)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 띠형상 유리 필름(19)이 수평 방향으로 반송되는 구간 내에 계측 위치(X)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띠형상 유리 필름(19)이 연직 아래 방향으로 반송되는 구간 내에 계측 위치(X)를 배치해도 좋다.
계측 위치(X)에서 실행하는 계측 공정에서는 각각이 계측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3기의 롤러 인코더(26)를 이용하여, 유효부(19b)의 한쪽측 단부(2c), 다른쪽측 단부(2d), 및 중앙부(2e)를 따라 각각 계측되는 제 1 계측 길이(이하, 제 1 계측 길이(LL1)로 표기), 제 2 계측 길이(이하, 제 2 계측 길이(LL2)로 표기), 및 제 3 계측 길이(이하, 제 3 계측 길이(LL3)로 표기)를 계측한다. 또한, 유효부(19b)의 「중앙부(2e)」란 유효부(19b)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폭 200㎜의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유효부(19b)의 「한쪽측 단부(2c)」 및 「다른쪽측 단부(2d)」란 각각 중앙부(2e)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각 계측 길이(LL1∼LL3)는 한쪽측 단부(2c), 다른쪽측 단부(2d), 및 중앙부(2e)의 각각의 폭 내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서 계측된다.
각 계측 길이(LL1∼LL3)를 계측되는 대상이 되는 피계측 구간(S)은 띠형상 유리 필름(19)의 유효부(19b)의 길이 방향을 따른 구간이고, 또한 그 선두부(Sa) 및 최후부(Sb)의 각각이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구간이다. 즉, 띠형상 유리 필름(19)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피계측 구간(S)은 직사각형을 이룬다. 또한, 피계측 구간(S)의 길이(띠형상 유리 필름(19)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는 임의의 길이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피계측 구간(S)의 길이를 20m 이상으로 한다.
각 계측 길이(LL1∼LL3)는 각각 피계측 구간(S)의 표면(2f)을 따라 계측하기 때문에 제 1 계측 길이(LL1) 및 제 2 계측 길이(LL2)의 계측 결과에는 주름(5)에 의한 표면(2f)의 요철의 영향이 반영되고, 주름(5)의 수의 다과나 크기의 대소가 계측 길이의 장단으로서 반영된다. 이것에 대해, 제 3 계측 길이(LL3)의 계측 결과에는 주름(5)에 의한 표면(2f)의 요철의 영향이 없다.
계측 공정의 실행에 사용하는 각 롤러 인코더(26)는 상기 <제 1 측정 길이∼제 3 측정 길이의 측정 양태>의 항목에서 설명한 롤러 인코더(7)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동작이 가능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각 롤러 인코더(26)에 구비된 회전체로서의 롤러(26a)가 각각 유효부(19b)의 한쪽측 단부(2c), 다른쪽측 단부(2d), 및 중앙부(2e)에서 피계측 구간(S)의 표면(2f)을 따라 선두부(Sa)로부터 최후부(Sb)까지 전동하고 나면, 상기 각 계측 길이(LL1∼LL3)의 계측이 완료된다.
계측 공정의 결과, 제 1 계측 길이(LL1) 및 제 2 계측 길이(LL2)의 양 계측 길이(LL1, LL2)의 차(LL1-LL2의 절대값)가 양 계측 길이(LL1, LL2) 중 긴 쪽의 계측 길이의 4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 1 조절 공정을 실행한다. 이 제 1 조절 공정은 단독으로 실행하는 경우도 있고, 후술하는 제 2 조절 공정과 함께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계측 길이(LL1)가 제 2 계측 길이(LL2)보다도 길고, 양 계측 길이(LL1, LL2)의 차가 제 1 계측 길이(LL1)의 400ppm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유효부(19b)의 한쪽측 단부(2c)에서는 다른쪽측 단부(2d)와 비교해서 주름(5)의 수가 부당하게 많은 상태나, 주름(5)이 부당하게 큰 상태로 되어 있으며, 양단부(2c, 2d) 사이에서 주름(5)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악화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유효부(19b)의 한쪽측 단부(2c)와 다른쪽측 단부(2d) 사이에서 주름(5)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악화하는 것은 유리 리본(18)의 중앙부(18c)와 한쪽측 단부(18a) 사이에서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와, 중앙부(18c)와 다른쪽측 단부(18b) 사이에서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의 밸런스가 나쁜 것이 요인인 것을 발견했다. 또한, 통상 중앙부(18c)는 양단부(18a, 18b) 중 어느 쪽으로부터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가 빠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부(18c)와 한쪽측 단부(18a) 사이에서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중앙부(18c)와 다른쪽측 단부(18b) 사이에서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에 대하여 부당하게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시정하기 위해, 히터(21a, 21b, 21c)를 사용하여 유리 리본(18)의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한다. 그 결과로서, 유리 리본(18)의 중앙부(18c)와 한쪽측 단부(18a) 사이에서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와, 중앙부(18c)와 다른쪽측 단부(18b) 사이에서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의 밸런스를 개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0이 되도록 조절하고, 유리 리본(18)이 유하하는 경로 상의 동일 지점에서 양단부(18a, 18b)가 냉각되어 굳어지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A), (B) 중 어느 하나의 조작을 행한다. (A) 한쪽측 단부(18a)와 다른쪽측 단부(18b)의 한쪽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쪽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한쪽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에 가깝게 한다. 구체예로서는, 다른쪽측 단부(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한쪽측 단부(18a)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빠르게 한다. (B) 한쪽측 단부(18a) 및 다른쪽측 단부(18b)의 쌍방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변경하면서 양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가깝게 한다. 구체예로서는, 한쪽측 단부(18a) 및 다른쪽측 단부(18b)의 쌍방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양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가깝게 한다.
제 1 조절 공정을 실행한 후에는, 상기 피계측 구간(S)과는 다른 구간을 새로운 피계측 구간(S)으로 해서 다시 계측 공정을 실행한다. 또한, 「새로운 피계측 구간(S)」이란 제 1 조절 공정의 실행 후에 성형된 유효부(19b)의 길이 방향을 따른 구간이다.
그리고, 다시 실행한 계측 공정의 결과, 상기 양 계측 길이(LL1, LL2)의 차가 제 1 계측 길이(LL1)의 400ppm 이하로 되어 있으면, 상기 밸런스가 개선된 것으로 간주하고, 히터(21a, 21b, 21c)의 가동의 상태를 제 1 조절 공정 후의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다시 실행한 계측 공정의 결과, 양 계측 길이(LL1, LL2)의 차가 아직 제 1 계측 길이(LL1)의 400ppm을 초과하고 있으면, 계측 공정과 제 1 조절 공정의 양 공정을, 계측 공정을 실행할 때마다 피계측 구간(S)을 새로운 구간으로 변경하면서 양 계측 길이(LL1, LL2)의 차가 제 1 계측 길이(LL1)의 400ppm 이하로 될 때까지 교대로 실행한다.
또한, 계측 공정의 결과, 제 1 계측 길이(LL1)와 제 3 계측 길이(LL3)의 차(LL1-LL3의 절대값)와, 제 2 계측 길이(LL2)와 제 3 계측 길이(LL3)의 차(LL2-LL3의 절대값)의 2개의 차 중 적어도 한쪽이 제 1 계측 길이(LL1)∼제 3 계측 길이(LL3) 중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 2 조정 공정을 실행한다. 이 제 2 조절 공정은 단독으로 실행하는 경우도 있고, 상기 제 1 조절 공정과 함께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계측 길이(LL1)와 제 3 계측 길이(LL3)의 차와, 제 2 계측 길이(LL2)와 제 3 계측 길이(LL3)의 차의 2개의 차의 쌍방이 제 1 계측 길이(LL1)∼제 3 계측 길이(LL3) 중 최장인 제 1 계측 길이(LL1)의 500ppm을 초과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유효부(19b)의 한쪽측 단부(2c) 및 다른쪽측 단부(2d)의 쌍방에 있어서 주름(5)의 수나 크기가 충분히 억제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유효부(19b)의 한쪽측 단부(2c)나 다른쪽측 단부(2d)에 있어서, 주름(5)의 수나 크기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것은 유리 리본(18)의 중앙부(18c)와 한쪽측 단부(18a) 사이나, 중앙부(18c)와 다른쪽측 단부(18b) 사이에서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큰 것이 요인인 것을 발견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부(18c)에 대하여 한쪽측 단부(18a) 및 다른쪽측 단부(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가 부당하게 늦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시정하기 위해, 히터(21a, 21b, 21c)를 사용하여 유리 리본(18)의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와, 중앙부(18c)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와, 중앙부(18c)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0으로 되도록 조절하고, 유리 리본(18)이 유하하는 경로 상의 동일 지점에서 양단부(18a, 18b)와, 중앙부(18c)가 냉각되어 굳어지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C), (D) 중 어느 하나의 조작을 행한다. (C)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와, 중앙부(18c)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한쪽을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쪽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한쪽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에 가깝게 한다. 구체예로서는, 중앙부(18c)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빠르게 한다. 또한, 다른 구체예로서는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중앙부(18c)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느리게 한다. (D)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와, 중앙부(18c)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쌍방을 변경하여 쌍방의 속도를 가깝게 한다. 구체예로서는,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빠르게 함과 아울러, 중앙부(18c)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느리게 하여 쌍방의 속도를 가깝게 한다.
제 2 조절 공정을 실행한 후에는, 상기 피계측 구간(S)과는 다른 구간을 새로운 피계측 구간(S)으로서 다시 계측 공정을 실행한다. 또한, 「새로운 피계측 구간(S)」이란 제 2 조절 공정을 실행 후에 성형된 유효부(19b)의 길이 방향을 따른 구간이다.
그리고, 다시 실행한 계측 공정의 결과, 제 1 계측 길이(LL1)와 제 3 계측 길이(LL3)의 차와, 제 2 계측 길이(LL2)와 제 3 계측 길이(LL3)의 차의 2개의 차의 쌍방이 최장인 제 1 계측 길이(LL1)의 500ppm 이하로 되어 있으면, 한쪽측 단부(2c)와 다른쪽측 단부(2d)의 쌍방에서 주름(5)의 수나 크기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었던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히터(21a, 21b, 21c)의 가동의 상태를 제 2 조절 공정 후의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다시 실행한 계측 공정의 결과, 상기 2개의 차 중 적어도 한쪽이 아직 최장인 제 1 계측 길이(LL1)의 500ppm을 초과하고 있으면, 계측 공정과 제 2 조절 공정의 양 공정을, 계측 공정을 실행할 때마다 피계측 구간(S)을 새로운 구간으로 변경하면서 2개의 차의 쌍방이 최장인 제 1 계측 길이(LL1)의 500ppm 이하로 될 때까지 교대로 실행한다.
또한, 1회 또는 복수회 실행되는 계측 공정에서 유효부(19b) 중 피계측 구간(S)이 된 구간은 롤러 인코더(26)에 구비된 롤러(26a)와의 접촉에 의해 표면(2f) 이 오염되어 있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유효부(19b)에 있어서의 권취의 대상이 되는 구간으로부터 분단하여 폐기한다. 또한, 유효부(19b) 중, 상기 양 계측 길이(LL1, LL2)의 차가 긴 쪽의 계측 길이(여기서는, 제 1 계측 길이(LL1))의 400ppm 이하로 되기 전에 성형된 구간에 대해서도, 유효부(19b)에 있어서의 권취의 대상이 되는 구간으로부터 분단하여 불량품으로서 폐기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계측 위치(X)를 통과한 후, 분단 위치(Y)에 도달한 띠형상 유리 필름(19)에 대하여는 분단 공정을 실행하고, 유효부(19b)와 양 불요부(19a, 19a)의 각각의 경계선(B1, B2)을 따라 레이저(27)를 이용한 절단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유효부(19b)로부터 양 불요부(19a, 19a)를 분단한다. 레이저(27)를 이용한 절단은, 예를 들면 이미 공지로 되어 있는 레이저 할단법 등에 의해 실행이 가능하다. 또한, 분단 후의 양 불요부(19a, 19a)는 컨베이어(25)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시켜 폐기한다.
양 불요부(19a, 19a)로 분단됨과 아울러, 분단 위치(Y)를 통과한 유효부(19b)(분단 후의 띠형상 유리 필름(2))는 유효부(19b)를 아래쪽으로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반송하는 느슨한 반송 위치(Z)를 통과시켜 권심(4)에 도달시킨다. 또한, 느슨한 반송 위치(Z)를 통과시켜 권심(4)에 도달시키는 것은 상기 피계측 구간(S)이 된 구간, 및 불량품이 된 구간을 제외한 유효부(19b)이다. 불량품이 된 구간, 및 피계측 구간(S)이 된 구간은 권심(4)으로 도달시키는 일 없이 권취의 대상이 되는 구간으로부터 분단한 후, 느슨한 반송 위치(Z)에서 아래쪽으로 낙하시켜 폐기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폐기의 대상이 되는 구간 이외로 이루어지는 유효부(19b)를 권심(4)의 주위에 권취하여 소망의 길이의 권취가 완료되면 유리 롤(1)이 완성된다. 또한, 유효부(19b)를 권심(4)의 주위에 권취할 때에는 제 3 시트 롤(28)로부터 공급한 띠형상 보호 시트(3)와 중첩시킨 상태로 권취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절 공정으로서 유리 리본(18)의 한쪽측 단부(18a) 및 다른쪽측 단부(18b)의 양단부(18a, 18b)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을 행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조절 공정은 양 계측 길이(LL1, LL2)의 차가 작아지도록 조절하는 한에서, 본 실시형태와는 다른 형태로 실행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조절 공정으로서 유리 리본(18)의 양단부(18a, 18b)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와, 양단부(18a, 18b)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중앙부(18c)의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을 행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조절 공정은 (LL1-LL3의 절대값)과 (LL2-LL3의 절대값)의 2개의 차 중, LL1∼LL3 중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한 차가 작아 지도록 조절하는 한에서, 본 실시형태와는 다른 형태로 실행해도 좋다.
<유리 롤의 품질 평가 방법>
이하, 상기 유리 롤(1)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평가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유리 롤>, <제 1 측정 길이∼제 3 측정 길이의 측정 양태>, 및 <유리 롤의 제조 방법>의 항목에서 이미 설명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양 항목의 설명에서 붙인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본 평가 방법의 흐름을 도 9에 나타낸다. 본 평가 방법에서는 우선 동일 조건 하에서 제작된 복수의 유리 롤(1)로부터 샘플 유리 롤(1a)을 발취하는 발취 공정을 실행한다. 복수의 유리 롤(1)은, 예를 들면 상기 <유리 롤의 제조 방법>에 따라 동일한 성형 조건(히터(21a, 21b, 21c)의 가동 상태도 동일), 동일한 분단 조건, 동일한 권취 조건으로 제작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샘플 유리 롤(1a)로서 유리 롤(1)을 하나만을 발취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유리 롤(1)을 2개 이상 발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샘플의 수가 증가한만큼 후술하는 판정 공정에 있어서의 판정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례로서 샘플 유리 롤(1a)을 하나만 발취하는 경우의 발취의 빈도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롤의 제조일의 3일당 1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일당 1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일당 1개이다.
발취 공정에서 발취한 샘플 유리 롤(1a)에 대하여는 측정 공정을 실행한다. 측정 공정에서는 샘플 유리 롤(1a)을 구성하는 주름(5)이 형성된 띠형상 유리 필름(2)에 대해서, 유효 구간(6)의 표면(2f)을 따른 선두부(2a)로부터 최후부(2b)까지의 길이를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면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유효 구간(6)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2c), 다른쪽측 단부(2d), 및 양단부(2c, 2d)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중앙부(2e)의 각각을 따라 상기 길이를 측정하고, 각각의 측정 결과를 한쪽측 측정 길이(이하, 한쪽측 측정 길이(ML1)로 표기), 다른쪽측 측정 길이(이하, 다른쪽측 측정 길이(ML2)로 표기), 및 중앙 측정 길이(이하, 중앙 측정 길이(ML3)로 표기)로 한다.
여기서, 유효 구간(6)의 「중앙부(2e)」란 유효 구간(6)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폭 200㎜의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유효 구간(6)의 「한쪽측 단부(2c)」 및 「다른쪽측 단부(2d)」란 각각 중앙부(2e)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한쪽측 측정 길이(ML1), 다른쪽측 측정 길이(ML2), 및 중앙 측정 길이(ML3)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양태는 상기 제 1 측정 길이(L1), 제 2 측정 길이(L2), 및 제 3 측정 길이(L3)를 측정하는 양태(도 3∼도 5c)와 대략 동일하므로, 제 1 측정 길이(L1)∼제 3 측정 길이(L3)의 측정 양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제 1 측정 길이(L1), 제 2 측정 길이(L2), 및 제 3 측정 길이(L3)는 각각 상기 제 1 위치(P1), 제 2 위치(P2), 및 폭 방향 중심선(CL)을 따라 측정된 길이이다. 이것에 대해, 한쪽측 측정 길이(ML1), 다른쪽측 측정 길이(ML2), 및 중앙 측정 길이(ML3)는 각각 한쪽측 단부(2c)의 폭 내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 다른쪽측 단부(2d)의 폭 내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 중앙부(2e)의 폭 내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를 따라 측정되는 길이이다. 즉, 이들 3개의 임의의 위치는 각각 제 1 위치(P1), 제 2 위치(P2), 및 폭 방향 중심선(CL)과 일치하고 있어도, 달라도 상관없다.
측정 공정이 완료되면, 이어서 한쪽측 측정 길이(ML1) 및 다른쪽측 측정 길이(ML2)의 양 측정 길이(ML1, ML2)의 차에 의거해서 샘플 유리 롤(1a)을 제외한 복수의 유리 롤(1)의 품질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실행한다.
여기서, 샘플 유리 롤(1a)과, 이것을 제외한 복수의 유리 롤(1)의 각각은 동일 조건에서 제작된 것이며, 대략 같은 유리 롤(1)로 간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샘플 유리 롤(1a)이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2)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면 복수의 유리 롤(1)의 각각에 대해서도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샘플 유리 롤(1a)이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하여 적합하게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면 복수의 유리 롤(1)의 각각에 대해서도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판정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양 측정 길이(ML1, ML2)의 차(ML1-ML2의 절대값)가 양 측정 길이(ML1, ML2)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400ppm 이하(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ppm 이하)인 경우에, 샘플 유리 롤(1a)을 제외한 복수의 유리 롤(1)의 품질을 합격으로 판정한다. 즉,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2)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롤(1)로 판정한다.
또한, 상기 한쪽측 측정 길이(ML1)와 중앙 측정 길이(ML3)의 차(ML1-ML3의 절대값)와, 다른쪽측 측정 길이(ML2)와 중앙 측정 길이(ML3)의 차(ML2-ML3의 절대값) 중, 큰 쪽의 차가 3개의 측정 길이(ML1, ML2, ML3)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500ppm 이하(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인 경우에는 샘플 유리 롤(1a)을 제외한 복수의 유리 롤(1)의 품질을 우량 합격으로 판정한다. 즉,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2)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띠형상 유리 필름(2)에 대하여 적절하게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유리 롤(1)로 판정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효과의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하기 [표 1]에 나타낸 8종의 유리 롤(실시예: 6종, 비교예: 2종), 및 [표 2]에 나타낸 8종의 유리 롤(실시예: 5종, 비교예: 3종)의 각각에 대해서,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했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각 유리 롤은 두께가 100㎛인 띠형상 유리 필름이 롤형상으로 감겨져서 이루어지고, [표 2]에 나타낸 각 유리 롤은 두께가 50㎛인 띠형상 유리 필름이 롤형상으로 감겨져서 이루어진다.
본 검증에 있어서는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함에 있어서 띠형상 유리 필름과 동일한 폭 치수를 갖는 리더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을 견인하여 반송했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에 전혀 사행이 발생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선행하는 리더의 폭 방향 단부가 통과한 통과 라인을 후속의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단부가 어긋나지 않게 통과하게 된다.
또한, 본 검증에 있어서는 반송 경로 상에 띠형상 유리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협지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닙 롤러(도시생략)를 배치했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에 허용 범위를 초과하여 사행이 발생하면 닙 롤러의 직상류측에서 띠형상 유리 필름의 새깅이 악화되어 띠형상 유리 필름이 파손에 이를 우려가 높아지게 된다.
[표 1] 및 [표 2]의 계산 결과의 항목에 있어서의 「계산 결과 1」이란 제 1 측정 길이(L1)와 제 2 측정 길이(L2)의 차(L1-L2의 절대값)와, 양 측정 길이(L1, L2)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계산 결과(1)의 값이 작아 질수록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와 다른쪽측 단부 사이에서 주름의 수나 크기의 밸런스가 좋게 된다.
[표 1] 및 [표 2]의 계산 결과의 항목에 있어서의 「계산 결과 2」란 제 1 측정 길이(L1)와 제 3 측정 길이(L3)의 차(L1-L3의 절대값)와, 제 1∼제 3 측정 길이(L1, L2, L3)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계산 결과 3」이란 제 2 측정 길이(L2)와 제 3 측정 길이(L3)의 차(L2-L3의 절대값)와, 제 1∼제 3 측정 길이(L1, L2, L3)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계산 결과 2와 계산 결과 3 중 상대적으로 큰 쪽의 값이 작아질수록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에 각각 존재하는 주름의 수나 크기가 억제되어 있게 된다.
[표 1] 및 [표 2]의 롤·투·롤 결과의 항목에 있어서의 「사행량」은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한 값이다. 즉, 띠형상 유리 필름의 반송 경로 상의 정점에 있어서 선행하는 리더의 폭 방향 단부가 통과한 통과 라인에 대해 후속의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단부가 통과한 통과 라인이 폭 방향으로 최대로 얼마만큼 어긋났는지를 측정한 값이다.
[표 1] 및 [표 2]에 검증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각 값은 제 3 측정 길이(L3)의 30000㎜당(30m당)의 값이다.
[표 1]
[표 2]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계산 결과 1의 값이 400ppm 이하인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비교예와는 달리 띠형상 유리 필름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이 이해된다. 이것은 각 실시예에서는 각 비교예에 대하여 매우 사행량이 억제되어 있어 새깅의 발생을 대략 개무로 할 수 있었던 것에 의한 것으로 상정된다. 또한, [표 1]의 실시예 6, 및 [표 2]의 실시예 7, 10, 11에 있어서는 약간 느슨함이 발생했지만, 띠형상 유리 필름을 손상에 이르게 하는 정도까지 악화하는 것은 회피할 수 있었다. 이상의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롤에 의하면,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한 경우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사행이나 새깅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는 것으로 추인된다.
1: 유리 롤   1a: 샘플 유리 롤  
2: 띠형상 유리 필름   2c: 한쪽측 단부  
2d: 다른쪽측 단부   2e: 중앙부  
2f: 표면 2g: 한쪽측 끝 가장자리  
2h: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   5: 주름
6: 유효 구간 6a: 선두부
6b: 최후부 7: 롤러 인코더
7a: 롤러   16: 성형체
17: 용융 유리 18: 유리 리본
18a: 한쪽측 단부 18b: 다른쪽측 단부
18c: 중앙부 19: 띠형상 유리 필름
19a: 불요부 19b: 유효부
21: 히터군 21a∼21c: 히터
26: 롤러 인코더 26a: 롤러
CL: 폭 방향 중심선 L1: 제 1 측정 길이
L2: 제 2 측정 길이 L3: 제 3 측정 길이
P1: 제 1 위치 P2: 제 2 위치
S: 피계측 구간 Sa: 선두부
Sb: 최후부

Claims (19)

  1. 주름이 형성된 띠형상 유리 필름이 롤형상으로 감겨져서 이루어지고, 상기 주름이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주름이며, 또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장력을 작용시켜도 늘어나지 않는 주름인 유리 롤로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이 폭 방향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와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가 평행하게 연장된 구간이고, 또한 그 선두부 및 최후부의 각각이 당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유효 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유효 구간의 표면을 따른 상기 선두부로부터 상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의 상기 한쪽측 끝 가장자리를 따르는 제 1 위치 및 상기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를 따르는 제 2 위치의 각각을 따라 측정한 경우에,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를 따라 각각 측정된 제 1 측정 길이 및 제 2 측정 길이의 양 측정 길이의 차가 당해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4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정 길이의 차가 당해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2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정 길이의 차가 당해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1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 길이 및 상기 제 2 측정 길이에 추가하여, 제 3 측정 길이로서 상기 유효 구간의 표면을 따른 상기 선두부로부터 상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주름이 없는 폭 방향 중심선 상을 따라 측정한 경우에, 상기 제 1 측정 길이와 상기 제 3 측정 길이의 차와, 상기 제 2 측정 길이와 상기 제 3 측정 길이의 차 중, 큰 쪽의 차가 상기 제 1 측정 길이∼상기 제 3 측정 길이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5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큰 쪽의 차가 상기 제 1 측정 길이∼상기 제 3 측정 길이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3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큰 쪽의 차가 상기 제 1 측정 길이∼상기 제 3 측정 길이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2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
  7. 성형체에 의해 용융 유리를 띠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리본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하면서 냉각되어 굳어지게 함으로써,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또한 장력을 작용시켜도 늘어나지 않는 주름이 형성된 띠형상 유리 필름을 얻는 성형 공정과,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존재하는 양 불요부를 양 불요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유효부로부터 분단하는 분단 공정과, 상기 유효부로 이루어지는 분단 후 띠형상 유리 필름을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유리 롤로 하는 권취 공정을 구비한 유리 롤의 제조 방법으로서,
    추가로, 상기 분단 공정 이전에, 상기 유효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구간이고, 또한 그 선두부 및 최후부의 각각이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피계측 구간에 대해서, 당해 피계측 구간의 표면을 따른 상기 선두부로부터 상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상기 유효부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의 각각을 따라 계측하는 계측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한쪽측 단부 및 상기 다른쪽측 단부를 따라 각각 계측된 제 1 계측 길이 및 제 2 계측 길이의 양 계측 길이의 차가 당해 양 계측 길이 중 긴 쪽의 계측 길이의 4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 당해 양 계측 길이의 차가 작아지도록 조절하는 제 1 조절 공정을 상기 성형 공정 중에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절 공정이,
    상기 유효부의 상기 한쪽측 단부 및 상기 다른쪽측 단부와 각각 연결된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의 양자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양 계측 길이의 차가 상기 긴 쪽의 계측 길이의 4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계측 공정과 상기 제 1 조절 공정의 양 공정을, 상기 계측 공정을 실행 할 때마다 상기 피계측 구간을 새로운 구간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양 계측 길이의 차가 상기 긴 쪽의 계측 길이의 400ppm 이하로 될 때까지 교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 1 계측 길이 및 상기 제 2 계측 길이에 추가하여, 제 3 계측 길이로서 상기 피계측 구간의 표면을 따른 상기 선두부로부터 상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상기 유효부의 상기 한쪽측 단부와 상기 다른쪽측 단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상기 주름이 없는 중앙부를 따라 계측하고,
    상기 제 1 계측 길이와 상기 제 3 계측 길이의 차와, 상기 제 2 계측 길이와 상기 제 3 계측 길이의 차의 2개의 차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제 1 계측 길이∼상기 제 3 계측 길이 중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2개의 차 중, 상기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한 차가 작아지도록 조절하는 제 2 조절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절 공정이,
    상기 유리 리본의 상기 한쪽측 단부 및 상기 다른쪽측 단부와, 당해 양단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중앙부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의 차가 좁혀지도록 조절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차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계측 공정과 상기 제 2 조절 공정의 양 공정을, 상기 계측 공정을 실행할 때마다 상기 피계측 구간을 새로운 구간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2개의 차의 쌍방이 상기 최장의 계측 길이의 500ppm 이하로 될 때까지 교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각 계측 길이의 계측에 계측 수단을 이용하고,
    상기 계측 수단이 상기 피계측 구간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당해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주름에 의한 상기 피계측 구간의 표면의 요철을 따라 당해 피계측 구간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하고, 당해 회전체가 상기 피계측 구간의 표면 상을 전동한 거리에 의거해서 각 계측 길이를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측 구간을 상기 유효부로부터 분단하여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15.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리본의 상기 한쪽측 단부, 상기 다른쪽측 단부, 및 양단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각각 가열 가능한 3기의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각 부위가 냉각되어 굳어지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 방법.
  16.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또한 장력을 작용시켜도 늘어나지 않는 주름이 형성된 띠형상 유리 필름이 롤형상으로 감겨져서 이루어지는 유리 롤의 품질 평가 방법으로서,
    동일 조건 하에서 제작된 복수의 유리 롤로부터 샘플 유리 롤을 발취하는 발취 공정과,
    상기 샘플 유리 롤을 구성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에 구비된 폭 방향의 한쪽측 끝 가장자리와 다른쪽측 끝 가장자리가 평행하게 연장된 구간이고, 또한 그 선두부 및 최후부의 각각이 당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유효 구간에 대해서, 당해 유효 구간의 표면을 따른 상기 선두부로부터 상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면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측 단부 및 다른쪽측 단부의 각각을 따라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상기 한쪽측 단부 및 상기 다른쪽측 단부를 따라 각각 측정된 한쪽측 측정 길이 및 다른쪽측 측정 길이의 양 측정 길이의 차에 의거해서 상기 샘플 유리 롤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유리 롤의 품질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품질 평가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양 측정 길이의 차가 당해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400ppm 이하인 경우에, 상기 샘플 유리 롤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유리 롤의 품질을 합격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품질 평가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공정에 있어서 상기 한쪽측 측정 길이 및 상기 다른쪽측 측정 길이에 추가하여, 중앙 측정 길이로서 상기 유효 구간의 표면을 따른 상기 선두부로부터 상기 최후부까지의 길이를 롤·투·롤의 형태를 이용하면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의 상기 한쪽측 단부와 상기 다른쪽측 단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상기 주름이 없는 중앙부를 따라 측정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양 측정 길이의 차가 당해 양 측정 길이 중 긴 쪽의 측정 길이의 400ppm 이하이고, 또한 상기 한쪽측 측정 길이와 상기 중앙 측정 길이의 차와, 상기 다른쪽측 측정 길이와 상기 중앙 측정 길이의 차 중, 큰 쪽의 차가 상기 한쪽측 측정 길이, 상기 다른쪽측 측정 길이, 및 상기 중앙 측정 길이 중 최장의 측정 길이의 500ppm 이하인 경우에, 상기 샘플 유리 롤을 제외한 상기 복수의 유리 롤의 품질을 우량 합격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품질 평가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측정 길이의 측정에 측정 수단을 이용하고,
    상기 측정 수단이 상기 유효 구간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당해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주름에 의한 상기 유효 구간의 표면의 요철을 따라 당해 유효 구간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하고, 당해 회전체가 상기 유효 구간의 표면 상을 전동한 거리에 의거해서 각 측정 길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품질 평가 방법.
KR1020207007114A 2018-01-31 2019-01-29 유리 롤, 유리 롤의 제조 방법 및 품질 평가 방법 KR102665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5106 2018-01-31
JPJP-P-2018-015106 2018-01-31
PCT/JP2019/002961 WO2019151246A1 (ja) 2018-01-31 2019-01-29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品質評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451A KR20200115451A (ko) 2020-10-07
KR102665650B1 true KR102665650B1 (ko) 2024-05-14

Family

ID=6747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114A KR102665650B1 (ko) 2018-01-31 2019-01-29 유리 롤, 유리 롤의 제조 방법 및 품질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64894B2 (ko)
JP (1) JP7324424B2 (ko)
KR (1) KR102665650B1 (ko)
CN (1) CN111417600B (ko)
DE (1) DE112019000619T5 (ko)
TW (1) TWI763974B (ko)
WO (1) WO2019151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3179B2 (en) * 2019-03-29 2024-01-16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conveying glass film composite
JP7486044B2 (ja) * 2020-03-17 2024-05-1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帯状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2040755A (ja) * 2020-08-31 2022-03-1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7634A1 (en) 2010-02-18 2011-08-18 Michiharu Eta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glass film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WO2012070442A1 (ja) 2010-11-25 2012-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WO2012157639A1 (ja) 2011-05-19 2012-11-2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20160168003A1 (en) * 2013-08-28 2016-06-1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film ribbon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film ribbon manufacturing device
US20170001898A1 (en) * 2014-03-13 2017-01-05 Schott Ag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camber in thin glasses
WO2017147223A1 (en) 2016-02-25 2017-08-31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dge surface inspection of a moving glass web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8936A1 (de) * 1999-04-27 2000-11-02 Schott Gla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Einzelglasscheiben
US6895782B2 (en) * 2002-08-08 2005-05-24 Richard B. Pitbladdo Overflow downdrawn glass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8397539B2 (en) * 2010-02-18 2013-03-19 Corning Incorporated Non-contact dancer mechanisms, web isol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WO2011158594A1 (ja) * 2010-06-18 2011-12-2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薄膜ガラスの搬送装置、及び薄膜ガラスの搬送方法
JP5645063B2 (ja) * 2010-07-23 2014-12-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5617556B2 (ja) * 2010-11-22 2014-11-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帯状ガラスフィルム割断装置及び帯状ガラスフィルム割断方法
JP5783443B2 (ja) * 2011-03-14 2015-09-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US9790121B2 (en) * 2011-03-30 2017-10-17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fabricating a glass ribbon
US8713972B2 (en) * 2011-05-31 2014-05-06 Corning Incorporated Precision glass roll forming process and apparatus
WO2012169025A1 (ja) * 2011-06-08 2012-12-1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状ガラスの切断方法及びその切断装置
TWI586612B (zh) * 2011-11-18 2017-06-11 康寧公司 用於修整移動玻璃帶之設備及方法
JP5831212B2 (ja) * 2011-12-26 2015-12-0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帯状ガラスの製造方法
JP5859405B2 (ja) * 2012-08-27 2016-02-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ラスフィルム搬送装置
JP2014053134A (ja) * 2012-09-06 2014-03-20 Sony Corp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池パックおよび電動車両
KR20150084758A (ko) * 2012-11-13 2015-07-22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판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20140367030A1 (en) * 2013-06-17 2014-12-18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to process flexible glass laminates
JP6237371B2 (ja) * 2014-03-20 2017-11-2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洗浄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の洗浄装置
US20150344347A1 (en) * 2014-05-29 2015-12-03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es for steering flexible glass web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DE102014113149A1 (de) * 2014-09-12 2016-03-17 Schott Ag Dünnglas-Roll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20170305777A1 (en) * 2014-09-24 2017-10-26 Corning Incorporated Volatile filtration systems for fusion draw machines
WO2016052615A1 (ja) * 2014-09-30 2016-04-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ロール状体、合わせガラス、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ロール状体の製造方法
US10088339B2 (en) * 2015-02-13 2018-10-02 Azbil Corporatio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ive edges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other objects using multiple sensors
WO2016171129A1 (ja) * 2015-04-20 2016-10-2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
CN106477858A (zh) * 2015-08-31 2017-03-08 安瀚视特控股株式会社 玻璃基板的制造方法及玻璃基板的制造装置
TW201725184A (zh) * 2015-09-24 2017-07-16 康寧公司 用於製造玻璃的方法及設備
JP6579374B2 (ja) 2015-10-21 2019-09-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ロール
CN108698916A (zh) * 2015-12-01 2018-10-23 科立视材料科技有限公司 强化溢流在线涂布玻璃板装置及方法
JP6772663B2 (ja) * 2016-08-23 2020-10-21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ロールツーロール方式による長尺基材の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成膜装置
WO2018105489A1 (ja) * 2016-12-06 2018-06-1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帯状ガラスフィルムの品質検査方法、及び、ガラスロール
JP6720900B2 (ja) * 2017-03-14 2020-07-0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TWI664419B (zh) * 2017-07-28 2019-07-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用於檢測光學膜之缺陷的裝置及方法
US20220013857A1 (en) * 2020-07-10 2022-01-13 Polyplus Battery Company Methods of making glass construc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7634A1 (en) 2010-02-18 2011-08-18 Michiharu Eta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glass film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WO2012070442A1 (ja) 2010-11-25 2012-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WO2012157639A1 (ja) 2011-05-19 2012-11-2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20160168003A1 (en) * 2013-08-28 2016-06-1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film ribbon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film ribbon manufacturing device
US20170001898A1 (en) * 2014-03-13 2017-01-05 Schott Ag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camber in thin glasses
WO2017147223A1 (en) 2016-02-25 2017-08-31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dge surface inspection of a moving glass w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451A (ko) 2020-10-07
DE112019000619T5 (de) 2020-10-15
US20210163333A1 (en) 2021-06-03
JP7324424B2 (ja) 2023-08-10
WO2019151246A1 (ja) 2019-08-08
TWI763974B (zh) 2022-05-11
CN111417600A (zh) 2020-07-14
CN111417600B (zh) 2022-08-02
TW201936521A (zh) 2019-09-16
US11964894B2 (en) 2024-04-23
JPWO2019151246A1 (ja)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5650B1 (ko) 유리 롤, 유리 롤의 제조 방법 및 품질 평가 방법
CN104936908B (zh) 对连续玻璃带进行加工的方法
CN109311736B (zh) 玻璃膜的制造方法
WO2017208677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1900100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a flexible glass ribbon
WO2022114021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1545999A (zh) 玻璃板之製造方法及玻璃板
JP6323716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1536529A (zh) 拉伸薄膜的製造方法及薄膜拉伸設備
US11511461B2 (en) Glass film manufacturing method
WO2021187144A1 (ja) 帯状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107337A (ja) 未加硫ゴムシートの生産方法
WO2022044798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KR20110105719A (ko) 필름 연신 장치 및 방법
JP5749470B2 (ja) ポリマーフィルムの延伸設備
JP4942056B2 (ja) 溶液製膜方法及び流延装置
JP7404815B2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7384046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404491B2 (ja) 溶液製膜方法
TWI842974B (zh) 玻璃膜的製造方法
WO2022149415A1 (ja) ロール体の製造方法
JP6619492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JP2015107499A (ja) 熱延鋼帯の巻取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