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731B1 -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731B1
KR102661731B1 KR1020210128593A KR20210128593A KR102661731B1 KR 102661731 B1 KR102661731 B1 KR 102661731B1 KR 1020210128593 A KR1020210128593 A KR 1020210128593A KR 20210128593 A KR20210128593 A KR 20210128593A KR 102661731 B1 KR102661731 B1 KR 102661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er
dough
gypsum
crafts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827A (ko
Inventor
홍현주
장순덕
Original Assignee
홍현주
장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주, 장순덕 filed Critical 홍현주
Priority to KR1020210128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7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04B24/085Higher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4Substitutes for natural stone, artistic material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2072498)는 석고를 주원료로 하여 반죽을 만들어 방향제 등이 함유되는 꽃모양, 인형 등 다양한 형태의 공예품을 만드는데 있어, 공예품을 만들 때 마다 석고반죽을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사전에 석고반죽(페이스트)을 미리 만들어 놓고 보관하다가 공예품을 만들 때마다 즉석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석고반죽을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석고반죽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완성한 제품들이 균열이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진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장기간 보관이 용이한 석고반죽을 제공하고 이 석고반죽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할 경우 장기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석고반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MOULDING PLAST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2072498)는 석고를 주원료로 하여 반죽을 만들어 방향제 등이 함유되는 꽃모양, 인형 등 다양한 형태의 공예품을 만드는데 있어, 공예품을 만들 때 마다 석고반죽을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사전에 석고반죽(페이스트)을 미리 만들어 놓고 보관하다가 공예품을 만들 때마다 즉석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석고반죽을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석고반죽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완성한 제품들이 균열이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진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장기간 보관이 용이한 석고반죽을 제공하고 이 석고반죽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제작할 경우 장기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석고반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공예품이라 함은 실용적인 물건에 장식적인 요소를 부가함으로써 그 가치를 높이려고 하는 물품이다. 이러한 공예품에는 그 재료에 따라 한지공예품, 도자기 공예품, 금속공예품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최근에는 석고반죽으로 꽃모양이나 인형 등을 제작하여 장식 및 방향제를 겸한 석고공예품이 등장하면서 석고공예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석고공예품의 경우 제작하고자 하는 공예품 모양의 틀을 만들어 묽은 석고반죽을 주입하기도 하고, 굳어진 석고덩어리를 깎아서 제작하기도 하지만, 진흙처럼 반죽된 석고반죽을
점토공예 하듯이 주물러서 만드는 경우도 있다.
한편, 석고는 황산칼슘(CaSO4)을 주성분으로 하는 매우 부드러운 황산염 광물로서, 황산칼슘의 2수염(CaSO4·2H20)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석고는 석고에 들어 있는 결정수의 함량에 따라 이수석고,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로 구분되는데, 그들 중 석고공예에 사용되는 반수석고(CaSO4·1/2H20)는 노천광 또는 지하광산으로부터 채굴된 천연석고인 이수석고(CaSO4·2H20)에 열을 가하여 탈수함으로 제조된다. 반수석고는 이수석고에 대한 탈수조건에 따라 알파(α)형 또는 베타(β)형 반수석고로 구분되는데, 건조한 상태에서 이수석고를 탈수하면 베타형 반수석고로 되고, 습식으로 이수석고를 탈수하면 알파형 반수석고로 된다. 알파형 반수석고는 베타형 반수석고 보다 강도가 10배 이상 뛰어나고 초기 경화시간이 짧아 건축용, 치과용, 금형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석고공예의 경우에도 주로 알파형 반수석고가 사용된다.
이렇게 석고가 다양하게 이용되는 것은 물과 쉽게 반응하여 굳어지는 화학적 특성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석고는 황산칼슘(CaSO4)과 물이 결합한 것인데, 이수석고(CaSO4·2H20)를 가열하면 쉽게 수분을 잃게 되어 반수석고(CaSO4·1/2H20)로 되며, 반대로 분말형태로 된 반수석고(CaSO4·1/2H20)에 물을 첨가하면 물과 반응해서 결정수를 거두어들여 안정된 이수석고(CaSO4·2H20)로 되어 단단한 형태로 된다.
한편 석고반죽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경우, 석고가 물과 쉽게 반응하여 굳어지는 화학적 특성 때문에 공예품을 제작하기 직전에 석고반죽을 만들어야 하므로, 공예품을 제작할 때마다 그때그때 석고반죽을 만들어 써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뿐만 아니라, 점토공예처럼 손으로 직접 주물러서 석고공예품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직접 주무르는 과정에서 석고반죽이 손에 달라붙어서 공예품 제작에 어려움이 많기도 하며, 건조과정에서 표면이 부석해져서 분진이 쉽게 떨어지거나 심지어는 표면이 변색되거나 갈라지기도 하는 등 공예품의 완성품질을
유지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뿐만 아니라, 주물러서 형태를 만드는 방법이기 때문에 석고반죽의 유연성이 어느 정도는 유지되어야 하는데, 그러다 보니 가늘거나 얇은 부분의 경우에는 형태를 만들어 놔도 굳기 전에
무너져 내리거나 변형되는 등 제작과정에서 형태유지가 잘 안되기 때문에 섬세하고 디테일한 표현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를 해결할 양으로 종래(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2072498)특허 청구항 1항에서, 석고가루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젤라틴, 정제수, 물엿, 비누베이스 및 프래그런스 오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청구하였다.
종래는 상기 젤라틴의 반응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석고반죽의 수화반응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여 석고반죽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해준 다. 일반적으로 반수석고를 물에 혼합하면 수화반응을 일으키면서 단시간 내에 응결되어 경화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석고반죽은 이렇게 굳는 현상 때문에 장기간 보관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페이스트에서는 적정량의 젤라틴이 첨가되기 때문에 석고반죽의 수화반응이 지연되어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그러나 적정량을 넘어서는 과도한 분량의 젤라틴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수화반응이 너무 늦어지거나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공예품을 제작하더라도 경화되지 않거나 경화되기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젤라틴 자체의 향이 과도하게 발현되기 때문에 공예품을 통하여 발현하고자 향료의 향을 압도하게 되어 의도치 않은 향을 발현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젤라틴을 적정분량보다 적게 첨가하는 경우 수화반응이 너무 빨리 일어나게 되어 석고반죽의 장기간 보관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업급한 바와 같이 적당량을 이용한다는 것은 초보 공예품 재작자들에게 어려운 일이다.
상기 젤라틴을 사용함으로 인해 반죽이 석고와 다른 재료들이 믹스되었을때 오히려 석고가 세밀한 작업을 할 수 없게 약간의 갈라짐과 마름 현상이 일어나거나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석고가 쉽게 굳어버리기 때문에 조금만 밀봉을 잘못해도 돌처럼 굳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의 조성물중에서 이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성분을 빼고
다음과 같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반죽하면 성형한 공예품이 장시간 시간이 흘러도 균열이 가지않고 미리 반죽한 반죽이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굳지 않는다.
따라서 후술에서 밝혀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첨부한 도면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석고가루, cmc, 물, 화이트비누베이스 시어버터, 쇼트닝, 옥수수전분, 물엿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석고가루 100g, cmc5g, 물 25ml, 화이트비누베이스 4g, 시어버터 2g, 쇼트닝 2g, 옥수수전분 2g, 물엿 15g 이루어진다.
실시예, 석고 100g, cmc5g, 물 25ml, 화이트비누베이스 4g, 시어버터 2g, 쇼트닝 2g, 옥수수전분 2g, 물엿 15g을 포함하여 준비하는 조성물준비단계; S1
(도 1, 2참조)
상기 조성물준비단계(S1) 후 석고가루와 CMC를 섞어주는 석고가루와 CMC섞는단계; S2(도 1,3참조)
상기 석고가루와 CMC섞는단계(S2) 후 시어버티와, 쇼트닝, 비누베이스를 서로 혼합하여 가열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면서 중탕시켜 액체화하는 시어버티 쇼트닝 비누베이스 액체화단계; S3(도 1,4참조)
상기 시어버티 쇼트닝 비누베이스 액체화단계(S3) 후 시어버티 쇼트닝 비누베이스 액체에 물 소량(설정량)과 물엿 소량(설정량)을 넣고 교반하는 물과물엿교반단계: S4(도 1,5,6참조)
상기 물과물엿교반단계 후 작업자가 장갑을 끼고서 액체화된 시어버티, 쇼트닝, 비누베이스, 물, 물엿의 혼합 액화액과, 석고가루와 CMC섞는단계(S2)에서 상기 석고가루와 CMC섞은 분말과 혼합하는 분말과 액화액과 교반하는 분말과 액화액교반단계;S5 (도 1,7참조)
상기 분말과 액화액교반단계(S5) 후 교반한 분말과 액화액에 옥수수분말을 넣고 반죽하는 옥수수분말반죽단계; S6 (도 1,8참조)
상기 옥수수분말반죽단계(S6)후(도,1,9참조) 반죽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해 밀폐용기에 밀봉하여 보관단계; S7로( 도 1,10참조)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석고, cmc, 물, 화이트비누베이스 시어버터, 쇼트닝, 옥수수전분, 물엿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반죽하면 성형한 공예품이 장시간 시간이 흘러도 균열이 가지않고 미리 반죽한 반죽이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굳지않는다.
이와 같은 효과를 뒷받침하는 내용은 구체적인 내용에 밝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의 구성도,
도, 2,3,4,5,6,7,8,9,10은 본 발명의 반죽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재차 살펴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석고, cmc, 물, 화이트비누베이스 시어버터, 쇼트닝, 옥수수전분, 물엿으로 이루어진다.
석고 100g, cmc5g, 물 25ml, 화이트비누베이스 4g, 시어버터 2g, 쇼트닝 2g, 옥수수전분 2g, 물엿 15g 이루어진다.
실시예, 석고 100g, cmc5g, 물 25ml, 화이트비누베이스 4g, 시어버터 2g, 쇼트닝 2g, 옥수수전분 2g, 물엿 15g을 포함하여 준비하는 조성물준비단계; S1
(도 1, 2참조)
이와 같은 조성물은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준비단계(S1) 후 석고가루와 CMC를 섞어주는 석고가루와 CMC섞는단계; S2(도 1,3참조) 이 단계는 첨부한 도 3과 같이 섞어두면 된다.
상기 석고가루와 CMC섞는단계(S2) 후 시어버티와, 쇼트닝, 비누베이스를 서로 혼합하여 가열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면서 중탕시켜 액체화하는 시어버티 쇼트닝 비누베이스 액체화단계; S3(도 1,4참조) 이 단계는 첨부한 도 4와 같이 가열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면서 액체화하는 것이다.
상기 시어버티 쇼트닝 비누베이스 액체화단계(S3) 후 시어버티 쇼트닝 비누베이스 액체에 물 소량(설정량)과 물엿 소량(설정량)을 넣고 교반하는 물과물엿교반단계: S4(도 1,5,6참조) 이 단계는 물엿에 비누베이스 액체와 물을 붓과 저어주는 과정이다.
상기 물과물엿교반단계 후 작업자가 장갑을 끼고서 액체화된 시어버티 쇼트닝 비누베이스, 물, 물엿의 혼합 액화액과 석고가루와 CMC섞는단계(S2)에서 상기 석고가루와 CMC섞은 분말과 혼합하는 분말과 액화액과 교반하는 분말과 액화액교반단계;S5 (도 1,7참조)이 단계는 상기 액화액과 석고가루와 CMC섞은 분말과 섞어준다.
상기 분말과 액화액교반단계(S5) 후 교반한 분말과 액화액에 옥수수분말을 넣고 반죽하는 옥수수분말반죽단계; S6 (도 1,8참조)
상기 옥수수분말반죽단계(S6)후(도,1,9참조) 반죽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해 밀폐용기에 밀봉하여 보관단계; S7로( 도 1,10참조) 이루어진다.
상기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는 증점제, 호료, 광택제, 증량제 등으로 사용되는 고분자물질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석고가루에 첨가되는 성분들 사이의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 증대와 점착력 강화를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CMC는 상기 석고가루에 대하여 내마모성을 증진시키고, 적정한 점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상기 석고가루를 유동화 시켜도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고 점착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CMC로 인하여 상기 페이스트(석고반죽)는 마치 껌과 같이 점성 및 탄성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공예품의 세밀한 부분을 만들기 위해 얇게 늘여도 잘 안 찢어지는 성질을 갖게 된다. 그러나 적정량을 벗어나서 과도한 분량을 첨가하는 경우 접착력이 너무 강해져서 반죽 및 가공이 어렵게 되며, 적정량보다 너무 적게 첨가하는 경우 접착력이 너무 약해져서 얇게 늘일 경우 잘 찢어지게 된다.
상기 물의 경우 상기 석고가루와 반응하여 수화반응을 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첨가비율은 반수석고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달라지겠지만, 알파형 반수석고인 경우 상기 석고가루 중량부에 대하여 설정 중량부로 한다.
상기 시어버터란 순 식물성 지방으로 보습효과가 뛰어나서 피부 보습제나 연화제로도 사용이 된다.
상기 시어버터는 시어나무의 열매에서 채취한 천연 식물성 지방으로 보습효과가 좋다(시어버터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참조할 수 있다)
즉, 천연제품이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페이스트 반죽을 만질때도 보습효과까지 기대할수 있으며, 특히 중요한점은 반죽의 갈라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시어버터를 첨가하는 것이다.
상기 쇼트닝은 과자나 빵의 바삭바삭한 맛과 부드러운 질감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식물성 기름이라고 할 수 있다.(쇼트닝은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참조할 수 있다)
버터 크림과 같이 부드러워서 구하기도 쉽고 그 특유의 부드러움이 페이스트 반죽을 더욱 부드럽게 해주며,
석고의 특성상 쉽게 굳어버리는 특성이 있는데, 쉽게 굳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자는 쇼트닝을 첨가하게 된다.
상기 옥수수분말(탄수화물입자)을 넣는 이유는, 예를들어 우리가 집에서 튀김이나 감자전을 해 먹을때도 전분가루를 넣어주면 반죽이나 튀김옷이 쫄깃거리고'
더욱더 바삭해지는 원리에서 착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옥수수분발을 조금 첨가해 줌으로 인해서 석고 페이스트 반죽이 작품을 만들었을 때 쫄깃한 감이 있다. 약간의 탄성을 가지게 되어 페이스트 반죽으로 공예작품을 만들기에 더욱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비누베이스는 석고반죽을 손으로 주물러서 공예품을 제작할 때 석고반죽이 손에 달라붙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과 더불어 석고반죽의 표면의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누베이스는 상기 석고 가루 100g 중량부에 대하여 4g 중량부의 비율로 섞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누베이스의 비율이 부족하게 되면 상기 석고반죽을 손으로 주무를 때 손에 잘 달라붙게 되며, 상기 석고반죽에서 촉촉한 감이 사라지고 딱딱 해지며, 비누베이스가 너무 많게 되면 상기 석고반죽이 너무 미끄러워지고 굳는 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중량분을 정확하게 비율을 맞추기 번거러워 2g 내지는 10g중량분 시어버터와 쇼트닝 옥수수전분을 혼합함으로서 석고반죽을 손으로 주무를 때 손에 잘 달라붙지 않게 한 것이다.

Claims (2)

  1. 석고가루, cmc, 물, 화이트비누베이스 시어버터, 쇼트닝, 옥수수전분, 물엿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석고가루 100g, cmc5g, 물 25ml, 화이트비누베이스 4g, 시어버터 2g, 쇼트닝 2g, 옥수수전분 2g, 물엿 15g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KR1020210128593A 2021-09-29 2021-09-29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KR102661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593A KR102661731B1 (ko) 2021-09-29 2021-09-29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593A KR102661731B1 (ko) 2021-09-29 2021-09-29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827A KR20230045827A (ko) 2023-04-05
KR102661731B1 true KR102661731B1 (ko) 2024-04-26

Family

ID=8588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593A KR102661731B1 (ko) 2021-09-29 2021-09-29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7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2032A (ja) 1995-12-20 2000-02-22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軽量石膏の製造用組成物、使用される発泡剤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
KR102072498B1 (ko) 2018-08-23 2020-02-03 백혜나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9665A1 (de) * 1991-06-14 1992-12-17 Bayer Ag Verbesserte werkstoffe auf gipsbasis,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1890132B1 (ko) * 2015-10-21 2018-08-23 (주)엔코스 석고미용시트를 활용한 석고미용팩의 제조방법 및 그 석고미용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2032A (ja) 1995-12-20 2000-02-22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軽量石膏の製造用組成物、使用される発泡剤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
KR102072498B1 (ko) 2018-08-23 2020-02-03 백혜나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827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498B1 (ko)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661731B1 (ko) 장기간 보관 및 가공이 용이한 석고공예용 조성물
ATE549T1 (de) Trockene chipsartige nahrungs- oder genussmittelscheib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H09501467A (ja) 澱粉を基本成分とする分解性の肉薄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383895B1 (ko) 다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RU96122320A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с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опинамбура
JP3842831B2 (ja) 塩成型品の製造方法
TWI626267B (zh) 矽橡膠黏土及其製作方法
JPS5550858A (en) Soft chewing gum
JPH0659181B2 (ja) そば麺の製造方法
JPS605950B2 (ja) 粘土細工用組成物
KR100439378B1 (ko) 설탕 함유 공예 재료
JPH0636718B2 (ja) 複合チユ−インガムおよびその製法
KR850000369B1 (ko) 꽃 과자의 제조방법
AU2015100660A4 (en) Decoration, Decorative Bas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900002025B1 (ko) 설탕과자의 성형 제조방법
KR100653901B1 (ko) 해리성이 없는 식이섬유 인공미
JPS6135816B2 (ko)
JPH0620394Y2 (ja) 組合せ菓子
US1399336A (en) Intesiok decobativs finish
US1199251A (en) Plastic composition.
JP2851070B2 (ja) 工作用粘土の製造法
AU2017201484A1 (en) Decoration, Decorative Base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S59196050A (ja) 粳米による餅様食品の製造方法
KR860000365B1 (ko) 장식 초콜렛 과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