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643B1 -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643B1
KR102661643B1 KR1020187007975A KR20187007975A KR102661643B1 KR 102661643 B1 KR102661643 B1 KR 102661643B1 KR 1020187007975 A KR1020187007975 A KR 1020187007975A KR 20187007975 A KR20187007975 A KR 20187007975A KR 102661643 B1 KR102661643 B1 KR 102661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queous secondary
particulate polyme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078A (ko
Inventor
노리카즈 야마모토
히로시 코바야시
줄리앙 델마스
카요코 타키자와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94191A external-priority patent/JP64815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9418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77398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형성 가능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90 질량% 초과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0.6 ㎛ 이상 2.5 ㎛ 이하인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0.01 ㎛ 이상 0.5 ㎛ 이하인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본 발명은,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비수계 이차 전지(이하, 간단히 「이차 전지」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소형이며 경량, 또한 에너지 밀도가 높고, 나아가 반복 충방전이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어, 폭넓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근년에는, 비수계 이차 전지의 가일층의 고성능화를 목적으로 하여, 전극 등의 전지 부재의 개량이 검토되고 있다.
여기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이차 전지용의 전극은, 통상, 집전체와, 집전체 상에 형성된 전극 합재층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극 합재층은, 예를 들어, 전극 활물질과, 결착재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등을 분산매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근년에는, 이차 전지의 가일층의 성능 향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극 합재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바인더 조성물의 개량이 시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입자경이 다른 2종류의 입자상 중합체를 결착재로서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전극 활물질 등의 전극 합재층을 구성하는 성분끼리의 결착성 및 전극 합재층과 집전체의 결착성(필 강도)을 높여, 이차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1차 입자의 최빈 입자경이 0.01 ㎛ 이상 0.25 ㎛ 미만인 입자상 중합체와, 1차 입자의 최빈 입자경이 0.25 ㎛ 이상 3 ㎛ 미만인 입자상 중합체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결착재를 사용함으로써, 전극의 필 강도를 높이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0298호
그러나, 근년에는 이차 전지의 가일층의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는 바, 상기 종래의 바인더 조성물에는,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높이면서, 당해 전극을 구비하는 비수계 이차 전지의 전지 특성(예를 들어, 사이클 특성 등)을 더욱 향상시킨다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형성 가능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클 특성 등의 전지 특성이 우수한 비수계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소정의 조성 및 평균 입자경을 갖는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소정의 조성 및 평균 입자경을 갖는 제2 입자상 중합체를 결착재로서 병용함으로써, 결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90 질량% 초과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0.6 ㎛ 이상 2.5 ㎛ 이하인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0.01 ㎛ 이상 0.5 ㎛ 이하인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조성 및 체적 평균 입자경을 갖는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소정의 조성 및 체적 평균 입자경을 갖는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함유시키면, 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체적 평균 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법으로 측정한 입자경 분포(체적 기준)에 있어서, 소경측으로부터 계산한 누적 체적이 50%가 되는 입자경(D50)을 가리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상기 제2 입자상 중합체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의 비율로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입자상 중합체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으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비수계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상기 제1 입자상 중합체가 천연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입자상 중합체로서 천연 고무를 사용하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비수계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입자상 중합체가 천연 고무인 경우,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단백질을 더 함유하고, 상기 단백질의 함유량이, 상기 제1 입자상 중합체 100 질량부당 4.0 × 10-4 질량부 이상 5.0 × 10-3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량의 단백질을 함유시키면, 비수계 이차 전지에 더욱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단백질의 함유량」은, 켈달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단백질의 함유량」의 측정에 있어서, 측정 대상의 조성물 중에 단백질 이외의 질소분을 포함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어,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를 갖는 입자상 중합체가 측정 대상의 조성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단백질의 함유량」은, 당해 성분을 제거하고 나서 측정함으로써, 혹은, 당해 성분에서 유래하는 질소분을 별도 측정하여 감산함으로써, 켈달법으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상기 제1 입자상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상기 제2 입자상 중합체의 합계 함유량의 2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하면,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전극의 필 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전극 활물질과, 상술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함유시키면, 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상기 전극 활물질의 탭 밀도가 1.1 g/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활물질의 탭 밀도가 1.1 g/cm3 이하이면, 비수계 이차 전지의 충방전에 따른 스웰링이 발생하기 어려운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통상, 탭 밀도가 낮은 전극 활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한 전극은 필 강도가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으나,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면, 전극의 필 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탭 밀도」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은, 상술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한 전극 합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전극 합재층을 형성하면, 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는, 정극, 부극, 전해액 및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정극 및 부극의 적어도 일방이 상술한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사용하면, 사이클 특성 등의 전지 특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형성 가능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한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클 특성 등의 전지 특성이 우수한 비수계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제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비수계 이차 전지의 전극을 형성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는,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비수계 이차 전지의 부극을 형성할 때에 특히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서로 조성이 다른 제1 입자상 중합체 및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고, 임의로, 이차 전지의 전극에 배합될 수 있는 그 밖의 성분을 더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통상, 물 등의 분산매를 더 함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제1 입자상 중합체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90 질량% 초과의 비율로 함유하고, 제2 입자상 중합체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이 0.6 ㎛ 이상 2.5 ㎛ 이하이고,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이 0.01 ㎛ 이상 0.5 ㎛ 이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소정의 조성 및 체적 평균 입자경을 갖는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소정의 조성 및 체적 평균 입자경을 갖는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쌍방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전극의 전극 합재층의 형성에 사용하였을 때에, 전극 활물질끼리 및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를 양호하게 결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면, 필 강도가 우수한 전극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1 입자상 중합체 및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전극을 사용하면,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전지 특성, 특히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입자상 중합체로는 천연 고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제1 입자상 중합체로서 천연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소정량의 단백질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입자상 중합체가 천연 고무인 경우에 소정량의 단백질을 함유시키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제한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을 높여 양호한 전극 합재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이차 전지 중에 있어서 단백질에서 기인한 부반응(예를 들어, 단백질의 분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입자상 중합체>
제1 입자상 중합체는,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제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집전체 상에 전극 합재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한 전극에 있어서, 전극 합재층에 포함되는 성분이 전극 합재층으로부터 탈리하지 않도록 유지한다(즉, 결착재로서 기능한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조성]
그리고, 제1 입자상 중합체는, 반복 단위로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임의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 이외의 단량체 단위(이하, 「그 밖의 단량체 단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더 함유한다.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
여기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는, 1,3-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이 바람직하고, 이소프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제1 입자상 중합체 중의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제1 입자상 중합체 중의 전체 반복 단위의 양을 100 질량%로 한 경우에, 90 질량% 초과 100 질량% 이하일 필요가 있고, 9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90 질량% 초과로 함으로써,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는, 통상, 중합 반응에 의해 적어도 시스-1,4 결합, 트랜스-1,4 결합 및 비닐 결합의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3-부타디엔은, 통상, 중합 반응에 의해 시스-1,4 결합, 트랜스-1,4 결합 및 1,2 결합(비닐 결합)의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소프렌은, 통상, 중합 반응에 의해 시스-1,4 결합 및 트랜스-1,4 결합의 단량체 단위, 그리고, 1,2 결합 및 3,4 결합(비닐 결합)의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에 있어서는, 시스-1,4 결합의 비율이 90 몰% 이상 10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9 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100 몰%) 중의 시스-1,4 결합의 단량체 단위의 비율이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당해 전극을 사용한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 중의 시스-1,4 결합의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JIS K6239의 IR법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그 밖의 단량체 단위]]
제1 입자상 중합체가 함유할 수 있는, 상술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 이외의 그 밖의 단량체 단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기지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밖의 단량체 단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단량체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여기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스티렌술폰산 및 그 염, α-메틸스티렌, 부톡시스티렌, 그리고, 비닐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펜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헵틸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노닐메타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로는, 친수성기를 갖는 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 술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모노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나, 디카르복실산 및 그 산 무수물 그리고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모노카르복실산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로는, 2-에틸아크릴산, 이소크로톤산, α-아세톡시아크릴산, β-trans-아릴옥시아크릴산, α-클로로-β-E-메톡시아크릴산, β-디아미노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으로는,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로는, 메틸말레산, 디메틸말레산, 페닐말레산, 클로로말레산, 디클로로말레산, 플루오로말레산이나, 말레산메틸알릴, 말레산디페닐, 말레산노닐, 말레산데실, 말레산도데실, 말레산옥타데실, 말레산플루오로알킬 등의 말레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의 산 무수물로는, 무수 말레산, 아크릴산 무수물, 메틸 무수 말레산, 디메틸 무수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가수분해에 의해 카르복실기를 생성하는 산 무수물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말레산모노에틸, 말레산디에틸, 말레산모노부틸, 말레산디부틸, 푸마르산모노에틸, 푸마르산디에틸, 푸마르산모노부틸, 푸마르산디부틸, 푸마르산모노시클로헥실, 푸마르산디시클로헥실, 이타콘산모노에틸, 이타콘산디에틸, 이타콘산모노부틸, 이타콘산디부틸 등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 다가 카르복실산의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도 들 수 있다.
술폰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비닐술폰산, 메틸비닐술폰산, (메트)알릴술폰산, (메트)아크릴산-2-술폰산에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 3-알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판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알릴」이란, 알릴 및/또는 메탈릴을 의미한다.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인산-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메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에틸-(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또는 메타크릴로일을 의미한다.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트)알릴알코올, 3-부텐-1-올, 5-헥센-1-올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알코올;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말레산디-2-하이드록시에틸, 말레산디-4-하이드록시부틸, 이타콘산디-2-하이드록시프로필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칸올에스테르류; 일반식: CH2=CR1-COO-(CqH2qO)p-H(식 중, p는 2~9의 정수, q는 2~4의 정수,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어지는 폴리알킬렌글리콜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류; 2-하이드록시에틸-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탈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숙시네이트 등의 디카르복실산의 디하이드록시에스테르의 모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2-하이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2-하이드록시프로필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메트)알릴-2-하이드록시에틸에테르, (메트)알릴-2-하이드록시프로필에테르, (메트)알릴-3-하이드록시프로필에테르, (메트)알릴-2-하이드록시부틸에테르, (메트)알릴-3-하이드록시부틸에테르, (메트)알릴-4-하이드록시부틸에테르, (메트)알릴-6-하이드록시헥실에테르 등의 알킬렌글리콜의 모노(메트)알릴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알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알릴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모노(메트)알릴에테르류; 글리세린모노(메트)알릴에테르, (메트)알릴-2-클로로-3-하이드록시프로필에테르, (메트)알릴-2-하이드록시-3-클로로프로필에테르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할로겐 및 하이드록시 치환체의 모노(메트)알릴에테르; 유게놀, 이소유게놀 등의 다가 페놀의 모노(메트)알릴에테르 및 그 할로겐 치환체; (메트)알릴-2-하이드록시에틸티오에테르, (메트)알릴-2-하이드록시프로필티오에테르 등의 알킬렌글리콜의 (메트)알릴티오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제1 입자상 중합체의 그 밖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10 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그 밖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10 질량% 미만이면,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조성을 갖는 제1 입자상 중합체는, 상술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인공적으로 중합함으로써 조제한 중합체여도 되고, 천연 고무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전극의 필 강도 및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제1 입자상 중합체는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인더 조성물은, 물 등의 분산매 중에 천연 고무 입자가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천연 고무의 라텍스 등을 사용하여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량체 조성물을 인공적으로 중합함으로써 제1 입자상 중합체를 조제하는 경우에는, 단량체 조성물 중의 각 단량체의 비율은, 통상, 원하는 중합체에 있어서의 각 단량체 단위의 비율과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중합 양식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괴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어느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중합 반응으로는, 이온 중합, 라디칼 중합, 리빙 라디칼 중합 등의 부가 중합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합에 사용되는 유화제, 분산제, 중합 개시제, 중합 조제 등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할 수 있다.
[체적 평균 입자경]
또한, 제1 입자상 중합체는, 체적 평균 입자경이 0.6 ㎛ 이상 2.5 ㎛ 이하일 필요가 있고,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0.7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이 상기 범위 내이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입자상 중합체로서 천연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침강 분리나 분급 등을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을 인공적으로 중합함으로써 제1 입자상 중합체를 조제하는 경우에는,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유화제의 사용량 등의 중합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제2 입자상 중합체>
제2 입자상 중합체는,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제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집전체 상에 전극 합재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한 전극에 있어서, 전극 합재층에 포함되는 성분이 전극 합재층으로부터 탈리하지 않도록 유지한다(즉, 상술한 제1 입자상 중합체와 함께 결착재로서 기능한다.).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조성]
그리고, 제2 입자상 중합체는, 반복 단위로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임의로,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이외의 단량체 단위(이하, 「임의의 단량체 단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적어도 일방을 더 함유한다. 한편, 제2 입자상 중합체는,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
여기서,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는, 상술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형성하는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는, 1,3-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이 바람직하고, 1,3-부타디엔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제2 입자상 중합체 중의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제2 입자상 중합체 중의 전체 반복 단위의 양을 100 질량%로 한 경우에,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일 필요가 있고, 2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하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당해 전극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특히,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25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55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여기서, 제2 입자상 중합체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상술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그 밖의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2 입자상 중합체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형성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및 스티렌술폰산염이 바람직하고, 스티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제2 입자상 중합체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7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8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하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하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임의의 단량체 단위]]
제2 입자상 중합체가 함유할 수 있는, 상술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이외의 임의의 단량체 단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기지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단량체 단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임의의 단량체 단위로는,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 단위가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단량체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입자상 중합체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및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로는, 상술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그 밖의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및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2 입자상 중합체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형성하는 친수성기 함유 단량체로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 및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이타콘산 및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임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임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10 질량% 이하이면,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조성을 갖는 제2 입자상 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량체 조성물 중의 각 단량체의 비율은, 통상, 원하는 중합체에 있어서의 각 단량체 단위의 비율과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중합 양식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괴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어느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중합 반응으로는, 이온 중합, 라디칼 중합, 리빙 라디칼 중합 등의 부가 중합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합에 사용되는 유화제, 분산제, 중합 개시제, 중합 조제 등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할 수 있다.
[체적 평균 입자경]
또한, 제2 입자상 중합체는, 체적 평균 입자경이 0.01 ㎛ 이상 0.5 ㎛ 이하일 필요가 있고,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0.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4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당해 전극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유화제의 사용량 등의 중합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입자상 중합체의 함유 비율>
그리고,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중의 제1 입자상 중합체의 함유량은,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제2 입자상 중합체의 합계 함유량의 2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5 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더 바람직하고, 65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9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5 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제2 입자상 중합체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함유량의 비율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극의 필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함유량의 비율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상술한 제1 입자상 중합체 및 제2 입자상 중합체 이외의 임의의 중합체를 결착재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분산매>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이 함유하는 분산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들 수 있다. 한편, 분산매는, 임의의 화합물의 수용액이나, 소량의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액이어도 된다.
<단백질>
상술한 제1 입자상 중합체가 천연 고무인 경우에 바인더 조성물이 함유할 수 있는 단백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천연 고무 입자에서 유래하는 단백질 등의,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시에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단백질을 들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조성물이 함유하는 단백질은,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단백질 및 합성 단백질 등의 바인더 조성물에 대하여 의도적으로 첨가된 단백질이어도 된다.
[단백질 함유량]
그리고, 바인더 조성물 중의 단백질의 함유량은, 제1 입자상 중합체(천연 고무) 100 질량부당, 4.0 × 10-4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 10-4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10-4 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0 × 10-4 질량부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1.5 × 10-3 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5.0 × 10-3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 10-3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 10-3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백질의 함유량이 4.0 × 10-4 질량부 이상이면,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제한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당해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전극 합재층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의 필 강도 및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의 함유량이 5.0 × 10-3 질량부 이하이면,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전극 합재층 중에 포함되는 단백질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여, 이차 전지 중에 있어서 단백질에서 기인한 부반응(예를 들어, 단백질의 분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단백질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하는 천연 고무 입자의 정제, 또는, 바인더 조성물로의 단백질의 첨가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보강재, 레벨링제, 점도 조정제, 전해액 첨가제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은, 전지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2/115096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 방법>
그리고,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액과,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액과, 임의의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한편, 입자상 중합체의 분산액을 사용하여 바인더 조성물을 조제하는 경우에는, 분산액이 함유하고 있는 액분을 그대로 바인더 조성물의 분산매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단백질을 함유하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을 조제하는 경우에는, 임의로, 단백질 함유량을 조정하는 조작(단백질의 첨가 또는 정제에 의한 단백질의 제거)을 실시할 수도 있다.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전극 활물질과, 상술한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고, 임의로 단백질 및/또는 그 밖의 성분을 더 함유한다. 즉,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통상, 전극 활물질과, 상술한 제1 입자상 중합체 및 제2 입자상 중합체와, 분산매를 함유하고, 임의로 단백질 및/또는 그 밖의 성분을 더 함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상술한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극의 전극 합재층의 형성에 사용하였을 때에, 전극 활물질끼리 및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를 양호하게 결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면, 필 강도가 우수한 전극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전극을 사용하면,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전지 특성, 특히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하기의 일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 활물질>
전극 활물질은, 이차 전지의 전극에 있어서 전자를 주고받는 물질이다.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의 부극 활물질로는, 통상은, 리튬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의 부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탄소계 부극 활물질, 금속계 부극 활물질, 및 이들을 조합한 부극 활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탄소계 부극 활물질이란, 리튬을 삽입(「도프」라고도 한다.) 가능한, 탄소를 주골격으로 하는 활물질을 말하며, 탄소계 부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탄소질 재료와 흑연질 재료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탄소질 재료로는, 예를 들어, 이(易)흑연성 탄소나, 유리상 탄소로 대표되는 비정질 구조에 가까운 구조를 갖는 난(難)흑연성 탄소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이흑연성 탄소로는, 예를 들어, 석유 또는 석탄으로부터 얻어지는 타르 피치를 원료로 한 탄소 재료를 들 수 있다. 구체예를 들면, 코크스, 메소카본 마이크로 비즈(MCMB), 메소페이즈 피치계 탄소 섬유, 열 분해 기상 성장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난흑연성 탄소로는, 예를 들어, 페놀 수지 소성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 섬유, 의사등방성 탄소, 푸르푸릴알코올 수지 소성체(PFA), 하드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흑연질 재료로는, 예를 들어, 천연 흑연, 인조 흑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인조 흑연으로는, 예를 들어, 이흑연성 탄소를 포함한 탄소를 주로 2800℃ 이상에서 열처리한 인조 흑연, MCMB를 2000℃ 이상에서 열처리한 흑연화 MCMB, 메소페이즈 피치계 탄소 섬유를 2000℃ 이상에서 열처리한 흑연화 메소페이즈 피치계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계 부극 활물질이란, 금속을 포함하는 활물질로, 통상은, 리튬의 삽입이 가능한 원소를 구조에 포함하고, 리튬이 삽입된 경우의 단위질량당의 이론 전기 용량이 500 mAh/g 이상인 활물질을 말한다. 금속계 부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리튬 금속, 리튬 합금을 형성할 수 있는 단체 금속(예를 들어, Ag, Al, Ba, Bi, Cu, Ga, Ge, In, Ni, P, Pb, Sb, Si, Sn, Sr, Zn, Ti 등) 및 그 합금, 그리고, 그들의 산화물, 황화물, 질화물, 규화물, 탄화물, 인화물 등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금속계 부극 활물질로는, 규소를 포함하는 활물질(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고용량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규소(Si),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 SiO, SiOx, Si 함유 재료를 도전성 카본으로 피복 또는 복합화하여 이루어지는 Si 함유 재료와 도전성 카본의 복합화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전극 활물질의 성상]
그리고, 전극 활물질은, 탭 밀도가 1.1 g/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g/cm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3 g/cm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극 활물질은 충방전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데, 전극 활물질의 탭 밀도를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하면, 충방전에 따른 스웰링이 발생하기 어려운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극 활물질의 탭 밀도는, 통상 0.7 g/cm3 이상이고, 0.75 g/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g/cm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탭 밀도가 낮은 전극 활물질은, 일반적으로, 미세한 요철을 갖는 것이 많다. 그 때문에, 결착재로서 입자경이 작은 입자상 중합체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탭 밀도가 낮은 전극 활물질의 오목부 내에 입자상 중합체가 들어가 버려, 전극 활물질을 양호하게 결착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으로, 결착재로서 입자경이 큰 입자상 중합체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전극 활물질과 입자상 중합체의 접촉 면적이 감소해 버려, 전극 활물질을 양호하게 결착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은, 상술한 소정의 조성 및 체적 평균 입자경을 갖는 제1 입자상 중합체 및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탭 밀도가 낮은 전극 활물질을 사용한 경우라도, 필 강도가 우수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바인더 조성물>
바인더 조성물로는, 상술한 제1 입자상 중합체 및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 조성물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극 활물질 100 질량부당, 고형분 환산으로, 제1 입자상 중합체 및 제2 입자상 중합체의 합계량이 0.5 질량부 이상 4.0 질량부 이하가 되는 양으로 할 수 있다.
<단백질>
여기서, 상술한 바인더 조성물로서, 제1 입자상 중합체가 천연 고무이고, 또한, 단백질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당해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은,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제1 입자상 중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게 된다.
그리고, 슬러리 조성물이,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제1 입자상 중합체와 단백질을 함유하는 경우, 슬러리 조성물 중의 단백질의 함유량은, 슬러리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분 100 질량부당, 6.0 × 10-6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 10-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 10-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 10-4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10-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백질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당해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전극 합재층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의 필 강도 및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전극 합재층 중에 포함되는 단백질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여, 이차 전지 중에 있어서 단백질에서 기인한 부반응(예를 들어, 단백질의 분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슬러리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그 밖의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그 밖의 성분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슬러리 조성물은, 카본 블랙 등의 도전재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한편, 그 밖의 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
상술한 슬러리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을 물 등의 분산매 중에 분산 또는 용해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 밀, 샌드 밀, 비즈 밀, 안료 분산기, 뇌궤기, 초음파 분산기, 호모게나이저, 플래네터리 믹서, 필 믹스 등의 혼합기를 사용하여 상기 각 성분과 분산매를 혼합함으로써,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성분과 분산매의 혼합은, 통상 실온~80℃의 범위에서, 10분~수 시간 행할 수 있다. 또한,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하는 분산매로는, 바인더 조성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하는 분산매에는, 바인더 조성물이 함유하고 있던 분산매도 포함될 수 있다.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은, 상기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전극 합재층을 구비하는 것으로, 통상은, 집전체와, 집전체 상에 형성된 전극 합재층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극 합재층에는, 적어도, 전극 활물질과, 제1 입자상 중합체 및 제2 입자상 중합체에서 유래하는 중합체가 함유되어 있다. 한편, 전극 합재층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 성분은, 상기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중에 포함되어 있던 것으로, 그들 각 성분의 호적한 존재비는, 슬러리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호적한 존재비와 동일하다. 또한, 제1 입자상 중합체 및 제2 입자상 중합체는, 슬러리 조성물 중에서는 입자 형상으로 존재하지만,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전극 합재층 중에서는, 입자 형상이어도 되고, 그 밖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에서는,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전극 합재층과 집전체가 양호하게 결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은 필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은,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있으므로, 당해 전극을 사용하면, 사이클 특성 등의 전지 특성이 우수한 이차 전지가 얻어진다.
<전극의 제조 방법>
한편,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은, 예를 들어, 상술한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공정(도포 공정)과, 집전체 상에 도포된 슬러리 조성물을 건조하여 집전체 상에 전극 합재층을 형성하는 공정(건조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도포 공정]
상기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포 방법으로는, 닥터 블레이드법, 딥법, 리버스 롤법, 다이렉트 롤법, 그라비아법, 익스트루전법, 브러시 도포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의 편면에만 도포해도 되고, 양면에 도포해도 된다. 도포 후 건조 전의 집전체 상의 슬러리막의 두께는, 건조하여 얻어지는 전극 합재층의 두께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슬러리 조성물을 도포하는 집전체로는, 전기 도전성을 갖고, 또한, 전기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있는 재료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집전체로는, 예를 들어, 철, 구리,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리스강, 티탄, 탄탈, 금, 백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재료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건조 공정]
집전체 상의 슬러리 조성물을 건조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온풍, 열풍, 저습풍에 의한 건조법, 진공 건조법, 적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한 건조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전체 상의 슬러리 조성물을 건조함으로써, 집전체 상에 전극 합재층을 형성하여, 집전체와 전극 합재층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건조 공정 후, 금형 프레스 또는 롤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전극 합재층에 가압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가압 처리에 의해, 전극 합재층과 집전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 합재층이 경화성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극 합재층의 형성 후에 상기 중합체를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계 이차 전지)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는, 정극과, 부극과, 전해액과,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정극 및 부극의 적어도 일방으로서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는,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이클 특성 등의 전지 특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는,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부극으로서 사용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이차 전지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하기의 일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이, 정극 및 부극의 적어도 일방으로서 사용된다. 즉,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정극이 본 발명의 전극이고 부극이 다른 기지의 부극이어도 되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이 본 발명의 전극이고 정극이 다른 기지의 정극이어도 되며,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정극 및 부극의 양방이 본 발명의 전극이어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이외의 기지의 전극으로는, 기지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집전체 상에 전극 합재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전해액>
전해액으로는, 통상, 유기 용매에 지지 전해질을 용해한 유기 전해액이 사용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지지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리튬염이 사용된다. 리튬염으로는, 예를 들어, LiPF6, LiAsF6, LiBF4, LiSbF6, LiAlCl4, LiClO4, CF3SO3Li, C4F9SO3Li, CF3COOLi, (CF3CO)2NLi, (CF3SO2)2NLi, (C2F5SO2)NLi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매에 녹기 쉬워 높은 해리도를 나타내므로, LiPF6, LiClO4, CF3SO3Li가 바람직하고, LiPF6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전해질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통상은, 해리도가 높은 지지 전해질을 사용할수록 리튬 이온 전도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지지 전해질의 종류에 의해 리튬 이온 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해액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는, 지지 전해질을 용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디메틸카보네이트(DMC), 에틸렌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부틸렌카보네이트(B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등의 카보네이트류; γ-부티로락톤, 포름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1,2-디메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술포란,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함황 화합물류; 등이 호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용매의 혼합액을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유전율이 높고, 안정적인 전위 영역이 넓으므로, 카보네이트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해액 중의 전해질의 농도는 적당히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5~15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13 질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10 질량%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해액에는, 기지의 첨가제, 예를 들어 비닐렌카보네이트,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 에틸메틸술폰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4303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세퍼레이터 전체의 막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차 전지 내의 전극 활물질의 비율을 높게 하여 체적당의 용량을 높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폴리올레핀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염화비닐)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다공막이 바람직하다.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비수계 이차 전지는, 예를 들어, 정극과 부극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중첩하고, 이것을 필요에 따라 전지 형상에 따라 감기, 접기 등을 하여 전지 용기에 넣고, 전지 용기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봉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차 전지의 내부의 압력 상승, 과충방전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퓨즈, PTC 소자 등의 과전류 방지 소자, 익스팬드 메탈, 리드판 등을 설치해도 된다. 이차 전지의 형상은, 예를 들어, 코인형, 버튼형, 시트형, 원통형, 각형, 편평형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양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그리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 부극 활물질의 탭 밀도, 바인더 조성물 및 슬러리 조성물의 단백질 함유량,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 부극의 필 강도, 그리고,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 및 평가하였다.
<체적 평균 입자경>
고형분 농도 0.1 질량%로 조정한 입자상 중합체의 수분산액에 대하여, 레이저 회절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베크만 쿨터사 제조, 제품명 「LS-230」)에 의해 입자경 분포(체적 기준)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입자경 분포에 있어서 소경측에서부터 계산한 누적 체적이 50%가 되는 입자경을 구하여, 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D50)으로 하였다.
<탭 밀도>
부극 활물질의 탭 밀도는, 파우더 테스터(등록상표)(호소카와 미크론사 제조, 제품명 「PT-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측정 용기에 충전한 부극 활물질의 분체를 용기 상면에서 평평하게 밀었다. 이어서, 측정 용기에 측정기 부속의 캡을 장착하고, 장착한 캡의 상연까지 부극 활물질의 분체를 추가 충전하여, 높이 1.8 cm에서 180회 반복 낙하시킴으로써, 태핑을 행하였다. 태핑 종료 후에 캡을 벗기고, 용기 상면에서 부극 활물질의 분체를 다시 평평하게 밀었다. 태핑 후에 평평하게 민 시료를 칭량하고, 이 상태의 부피 밀도를 다짐 부피 밀도, 즉 탭 밀도(g/cm3)로서 측정하였다.
<단백질 함유량>
바인더 조성물에 대해서는, 켈달법으로 구한 질소 함유량을 단백질량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바인더 조성물을 습도 50%, 온도 23~25℃의 환경 하에서 3일간 건조시켜, 두께 3±0.3 mm의 필름으로 성막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켈달법을 이용하여 질소 함유량을 측정하고, 단백질 함유량을 구하였다.
또한, 슬러리 조성물에 대해서는, 바인더 조성물의 단백질 함유량 및 바인더 조성물의 배합량으로부터 단백질 함유량을 산출하였다.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바인더 조성물을 첨가하기 전의 혼합액의 점도 M0(mPa·s)과, 바인더 조성물을 첨가한 후의 혼합액의 점도 M1(mPa·s)을 측정하였다. 한편, 점도의 측정은, B형 점도계(토키 산업사 제조, 제품명 「TV-25」)를 사용하여, 온도: 25℃, 로터: No.4, 로터 회전수: 60 rpm의 조건 하에서 행하였다.
그리고, 점도 변화율 ΔM(= M1/M0(배))을 산출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점도 변화율 ΔM의 값이 작을수록, 바인더 조성물을 첨가하였을 때에 증점되기 어려워,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A: 점도 변화율 ΔM이 1.1배 미만
B: 점도 변화율 ΔM이 1.1배 이상 1.5배 미만
C: 점도 변화율 ΔM이 1.5배 이상 1.8배 미만
D: 점도 변화율 ΔM이 1.8배 이상
<필 강도>
제작한 부극을 길이 100 mm, 폭 10 mm의 장방형으로 잘라내어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 시험편을, 부극 합재층의 표면을 아래로 하여, 부극 합재층의 표면에 셀로판 테이프를 첩부하였다. 이 때, 셀로판 테이프로는 JIS Z1522로 규정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셀로판 테이프는 시험대에 고정해 두었다. 그 후, 집전체의 일단을 연직 상방으로 인장 속도 50 mm/분으로 잡아당겨 벗겼을 때의 응력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을 3회 행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고, 당해 평균값을 필 강도로 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필 강도가 클수록, 부극 합재층의 집전체에 대한 결착력이 큰 것, 즉, 밀착 강도가 큰 것을 나타낸다.
A: 필 강도가 24 N/m 이상
B: 필 강도가 19 N/m 이상 24 N/m 미만
C: 필 강도가 14 N/m 이상 19 N/m 미만
D: 필 강도가 14 N/m 미만
<사이클 특성>
제작한 용량 800 mAh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25℃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시켰다. 그 후, 25℃의 환경 하에서, 1 C의 충전 레이트로 4.35 V까지 충전하고, 1 C의 방전 레이트로 3.0 V까지 방전하는 충방전의 조작을 행하여, 초기 용량 C0을 측정하였다. 또한, 45℃ 환경 하에서 동일한 충방전의 조작을 반복하고, 300 사이클 후의 용량 C1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용량 유지율 ΔC = (C1/C0) × 100(%)을 산출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 용량 유지율의 값이 높을수록, 방전 용량의 저하가 적어,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A: 용량 유지율 ΔC가 80% 이상
B: 용량 유지율 ΔC가 75% 이상 80% 미만
C: 용량 유지율 ΔC가 70% 이상 75% 미만
D: 용량 유지율 ΔC가 70% 미만
(실시예 1)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준비>
제1 입자상 중합체로서 체적 평균 입자경이 0.9 ㎛인 천연 고무(NR)의 입자를 함유하는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 고형분 농도 62%)를 준비하였다.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의 1,3-부타디엔 33 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의 스티렌 62 부,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로서의 이타콘산 4 부, 연쇄 이동제로서의 tert-도데실메르캅탄 0.3 부, 유화제로서의 라우릴황산나트륨 0.3 부의 혼합물을 넣은 용기 A로부터 내압 용기 B로 혼합물의 첨가를 개시함과 동시에, 중합 개시제로서의 과황산칼륨 1 부의 내압 용기 B로의 첨가를 개시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한편, 반응 온도는 75℃를 유지하였다.
또한, 중합 개시로부터 4시간 후(혼합물의 70%를 내압 용기 B에 첨가한 후)에,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로서의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1 부를 1시간 30분에 걸쳐 내압 용기 B에 첨가하였다.
중합 개시로부터 5시간 30분 후에, 상술한 단량체의 전량의 첨가가 완료되었다. 그 후, 다시 85℃로 가온하여 6시간 반응시켰다.
중합 전화율이 97%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고, 반응을 정지시켜,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이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그 후, 가열 감압 증류에 의해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를 행하였다. 그리고, 냉각하여, 체적 평균 입자경이 0.15 ㎛인 제2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분산액(고형분 농도: 40%)을 얻었다.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
천연 고무 라텍스와 수분산액을,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제2 입자상 중합체가, 고형분 비율로 제1 입자상 중합체:제2 입자상 중합체 = 70:30이 되도록 용기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쓰리원 모터에 의해 1시간 교반하여,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바인더 조성물의 단백질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
디스퍼 장착의 플래네터리 믹서에, 부극 활물질로서의 인조 흑연(히타치 화성사 제조, 제품명 「MAG-E」) 70 부 및 천연 흑연(닛폰 카본사 제조, 제품명 「604A」) 25.6 부, 도전재로서의 카본 블랙(TIMCAL사 제조, 제품명 「Super C65」) 1 부, 점도 조정제로서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닛폰 제지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MAC-350HC」)의 2% 수용액을 고형분 상당으로 1.2 부 첨가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을 이온 교환수로 고형분 농도 60%로 조정한 후, 25℃에서 60분간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이온 교환수로 고형분 농도 52%로 조정한 후, 다시 25℃에서 15분간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액에,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을 고형분 상당으로 2.2 부, 및 이온 교환수를 넣어, 최종 고형분 농도가 48%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다시 10분간 혼합한 후, 감압 하에서 탈포 처리함으로써, 유동성이 좋은 비수계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한편, 사용한 부극 활물질의 탭 밀도(인조 흑연 및 천연 흑연의 실측값)는 0.85 g/cm3였다.
그리고,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슬러리 조성물의 단백질 함유량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부극의 제작>
얻어진 비수계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콤마 코터로, 집전체인 두께 20 ㎛의 구리박 상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150 ㎛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이 건조는, 구리박을 0.5 m/분의 속도로 60℃의 오븐 내를 2분간에 걸쳐 반송함으로써 행하였다. 그 후, 120℃에서 2분간 가열 처리하여, 프레스 전의 부극 원단을 얻었다. 이 프레스 전의 부극 원단을 롤 프레스로 압연하여, 부극 합재층의 두께가 80 ㎛인 프레스 후의 부극을 얻었다.
그리고, 부극의 필 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정극의 제작>
정극 활물질로서의 체적 평균 입자경 12 ㎛의 LiCoO2를 100 부와, 도전재로서의 아세틸렌 블랙(덴키 화학 공업사 제조, 제품명 「HS-100」)을 2 부와, 결착재로서의 폴리불화비닐리덴(쿠레하사 제조, 제품명 「#7208」)을 고형분 상당으로 2 부와, 용매로서의 N-메틸피롤리돈을 혼합하여 전체 고형분 농도를 70%로 하였다. 이들을 플래네터리 믹서에 의해 혼합하여, 비수계 이차 전지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비수계 이차 전지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콤마 코터로, 집전체인 두께 20 ㎛의 알루미늄박 상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150 ㎛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이 건조는, 알루미늄박을 0.5 m/분의 속도로 60℃의 오븐 내를 2분간에 걸쳐 반송함으로써 행하였다. 그 후, 120℃에서 2분간 가열 처리하여, 정극 원단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정극 원단을, 롤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압연함으로써, 정극 합재층을 구비하는 정극을 얻었다.
<세퍼레이터의 준비>
단층의 폴리프로필렌제 세퍼레이터(셀가드사 제조, 제품명 「셀가드 2500」)를, 120 cm × 5.5 cm로 오려냈다.
<이차 전지의 제작>
얻어진 프레스 후의 정극을 49 cm × 5 cm의 장방형으로 잘라내어 정극 합재층측의 표면이 상측이 되도록 두고, 그 정극 합재층 상에 120 cm × 5.5 cm로 잘라낸 세퍼레이터를, 정극이 세퍼레이터의 길이 방향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얻어진 프레스 후의 부극을 50 cm × 5.2 cm의 장방형으로 잘라내고, 세퍼레이터 상에, 부극 합재층측의 표면이 세퍼레이터와 마주보도록, 또한, 부극이 세퍼레이터의 길이 방향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적층체를 권회기에 의해 권회하여, 권회체를 얻었다. 이 권회체를 전지의 외장으로서의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으로 감싸고, 전해액(용매: 에틸렌카보네이트/디에틸카보네이트/비닐렌카보네이트 = 68.5/30/1.5(체적비), 전해질: 농도 1 M의 LiPF6)을 공기가 남지 않도록 주입하고, 또한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의 개구를 150℃의 히트 시일로 폐구하여, 용량 800 mAh의 권회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제1 입자상 중합체(폴리이소프렌)의 라텍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
이소프렌 고무(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Nipol IR2200」)를 톨루엔에 용해하여, 농도 25%의 이소프렌 고무 용액을 준비하였다.
계속해서,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알킬폴리옥시에틸렌술폰산나트륨, 알킬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나트륨을 1:1:1로 혼합한 것을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전체 고형분 농도 2%의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이소프렌 고무 용액 500 g과 상기 수용액 500 g을 탱크 내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예비 혼합을 행하였다. 계속해서, 얻어진 예비 혼합액을 탱크 내로부터 정량 펌프로 100 g/분의 속도로 마일더(타이헤이요 기공사 제조, 제품명 「MDN303V」)로 이송하고, 회전수 20000 rpm으로 교반하여, 유화(전상 유화)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유화액 중의 톨루엔을 로터리 이배퍼레이터로 감압 증류 제거한 후, 콕 장착의 크로마토 칼럼 중에서 1일 정치 분리시키고, 분리 후의 하층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농축을 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층 부분을 100 메시의 철망으로 여과하여, 제1 입자상 중합체로서 폴리이소프렌(IR)의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폴리이소프렌의 라텍스의 고형분 농도는 60%, 체적 평균 입자경은 1.2 ㎛였다.
(실시예 3)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라텍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
부타디엔 고무(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Nipol BR1220」)를 톨루엔에 용해하여, 농도 25%의 부타디엔 고무 용액을 준비하였다.
계속해서,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알킬폴리옥시에틸렌술폰산나트륨, 알킬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시네이트나트륨을 1:1:1로 혼합한 것을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전체 고형분 농도 2%의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부타디엔 고무 용액 500 g과 상기 수용액 500 g을 탱크 내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예비 혼합을 행하였다. 계속해서, 얻어진 예비 혼합액을 탱크 내로부터 정량 펌프로 100 g/분의 속도로 마일더(타이헤이요 기공사 제조, 제품명 「MDN303V」)로 이송하고, 회전수 20000 rpm으로 교반하여, 유화(상전환 유화)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유화액 중의 톨루엔을 로터리 이배퍼레이터로 감압 증류 제거한 후, 콕 장착의 크로마토 칼럼 중에서 1일 정치 분리시키고, 분리 후의 하층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농축을 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층 부분을 100 메시의 철망으로 여과하여, 제1 입자상 중합체로서 폴리부타디엔(BR)의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폴리부타디엔의 라텍스의 고형분 농도는 60%, 체적 평균 입자경은 1.1 ㎛였다.
(실시예 4)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라텍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를 고형분 농도가 10%가 될 때까지 희석하고, 30일간 정치하였다. 그 후, 전체의 15%의 양의 상청을 제거하고, 제1 입자상 중합체로서 체적 평균 입자경이 2.3 ㎛인 천연 고무(NR)의 입자를 함유하는 라텍스를 얻었다.
(실시예 5)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시에, 1,3-부타디엔의 양을 24 부로 변경하고, 스티렌의 양을 71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시에, 1,3-부타디엔의 양을 53 부로 변경하고, 스티렌의 양을 42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시에, tert-도데실메르캅탄의 양을 0.4 부로 변경하고, 라우릴황산나트륨의 양을 0.5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시에, tert-도데실메르캅탄의 양을 0.2 부로 변경하고, 라우릴황산나트륨의 양을 0.1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10)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시에, 천연 고무 라텍스와 수분산액의 혼합 비율을, 각각, 제1 입자상 중합체:제2 입자상 중합체 = 55:45(실시예 9), 제1 입자상 중합체:제2 입자상 중합체 = 90:10(실시예 10)이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라텍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를 고형분 농도가 10%가 될 때까지 희석하고, 30일간 정치하였다. 그 후, 전체의 15%의 양의 상청을 제거하고, 제1 입자상 중합체로서 체적 평균 입자경이 2.1 ㎛인 천연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수분산액을 얻었다.
또한,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를, 원심 분리기(주식회사 코쿠산사 제조, 제품명 「H-2000B」)를 사용하여 회전수 10000 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그 후, 상청을 채취하고, 채취한 상청으로부터 천연 고무 라텍스에 함유되어 있던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진 체적 평균 입자경 2.1 ㎛의 천연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수분산액에 대하여 추출한 단백질을 첨가하여, 천연 고무 입자 100 부당의 단백질의 함유량을 3.0 × 10-3 부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12)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 대신에 체적 평균 입자경이 0.85 ㎛인 천연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천연 고무 라텍스(스미토모 고무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SELATEX1101, 고형분 농도 60%」)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라텍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를, 원심 분리기(주식회사 코쿠산사 제조, 제품명 「H-2000B」)를 사용하여 회전수 10000 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그 후, 상청을 채취하고, 채취한 상청으로부터 천연 고무 라텍스에 함유되어 있던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단백질의 추출 조작을 행하지 않은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에 대하여 추출한 단백질을 첨가하여, 천연 고무 입자 100 부당의 단백질의 함유량을 4.8 × 10-3 부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14)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시에, 1,3-부타디엔의 양을 60 부로 변경하고, 스티렌의 양을 35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천연 고무 라텍스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라텍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를 고형분 농도가 10%가 될 때까지 희석하고, 30일간 정치하였다. 그 후, 전체의 20%의 양의 상청을 제거하고, 제1 입자상 중합체로서 체적 평균 입자경이 3.0 ㎛인 천연 고무(NR)의 입자를 함유하는 라텍스를 얻었다.
(비교예 2)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시에, 1,3-부타디엔의 양을 15 부로 변경하고, 스티렌의 양을 80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시에, 1,3-부타디엔의 양을 70 부로 변경하고, 스티렌의 양을 25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시에 제1 입자상 중합체를 사용하지 않고 제2 입자상 중합체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천연 고무 라텍스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라텍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의 1,3-부타디엔 95 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의 스티렌 5 부, 연쇄 이동제로서의 tert-도데실메르캅탄 0.3 부, 유화제로서의 라우릴황산나트륨 0.2 부의 혼합물을 넣은 용기 A로부터 내압 용기 B로 혼합물의 첨가를 개시함과 동시에, 중합 개시제로서의 과황산칼륨 1 부의 내압 용기 B로의 첨가를 개시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한편, 반응 온도는 75℃를 유지하였다.
중합 개시로부터 5시간 30분 후에, 상술한 단량체의 전량의 첨가가 완료되었다. 그 후, 다시 85℃로 가온하여 6시간 반응시켰다.
중합 전화율이 97%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고, 반응을 정지시켜,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이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그 후, 가열 감압 증류에 의해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를 행하였다. 그리고, 냉각하여, 제1 입자상 중합체로서 체적 평균 입자경이 0.25 ㎛인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R)의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액(고형분 농도: 40%)을 얻었다.
(비교예 6)
제2 입자상 중합체로서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제2 입자상 중합체(폴리이소프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조성물,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2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
이소프렌 고무(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Nipol IR2200」)를 톨루엔에 용해하여, 농도 25%의 이소프렌 고무 용액을 준비하였다.
계속해서,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알킬폴리옥시에틸렌술폰산나트륨, 알킬폴리옥시에틸렌디나트륨을 1:1:1로 혼합한 것을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전체 고형분 농도 2%의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이소프렌 고무 용액 500 g과 상기 수용액 500 g을 탱크 내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예비 혼합을 행하였다. 계속해서, 얻어진 예비 혼합액을 탱크 내로부터 정량 펌프로 100 g/분의 속도로 마일더(타이헤이요 기공사 제조, 제품명 「MDN303V」)로 이송하고, 회전수 20000 rpm으로 교반하여, 유화(전상 유화)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유화액 중의 톨루엔을 로터리 이배퍼레이터로 감압 증류 제거한 후, 콕 장착의 크로마토 칼럼 중에서 1일 정치 분리시키고, 분리 후의 하층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농축을 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층 부분을 100 메시의 철망으로 여과하여, 제2 입자상 중합체로서 폴리이소프렌(IR)의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폴리이소프렌의 라텍스의 고형분 농도는 60%, 체적 평균 입자경은 1.2 ㎛였다.
(비교예 7)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 대신에 체적 평균 입자경이 0.9 ㎛인 천연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천연 고무 라텍스(스미토모 고무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SELATEX5101」, 고형분 농도 60%)를 사용하고, 제2 입자상 중합체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 고무 라텍스(스미토모 고무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SELATEX5101」)를 그대로 바인더 조성물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한 제1 입자상 중합체의 라텍스를 사용하고, 제2 입자상 중합체를 사용하지 않고 제1 입자상 중합체의 라텍스를 그대로 바인더 조성물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슬러리 조성물, 부극, 정극,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제1 입자상 중합체의 조제>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를, 원심 분리기(주식회사 코쿠산사 제조, 제품명 「H-2000B」)를 사용하여 회전수 10000 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그 후, 상청을 채취하고, 채취한 상청으로부터 천연 고무 라텍스에 함유되어 있던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단백질의 추출 조작을 행하지 않은 천연 고무 라텍스(무사시노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LA 타입」)에 대하여 추출한 단백질을 첨가하여, 천연 고무 입자 100 부당의 단백질의 함유량을 8.0 × 10-3 부로 조정하였다.
한편, 이하에 나타내는 표 1 중,
「NR」은, 천연 고무를 나타내고,
「IR」은, 폴리이소프렌을 나타내고,
「BR」은, 폴리부타디엔을 나타내고,
「SBR」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나타내고,
「IP」는, 이소프렌 단위를 나타내고,
「BD」는, 1,3-부타디엔 단위를 나타내고,
「ST」는, 스티렌 단위를 나타내고,
「IA」는, 이타콘산 단위를 나타내고,
「2-HEA」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나타낸다.
표 1~2로부터,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90 질량% 초과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0.6 ㎛ 이상 2.5 ㎛ 이하인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0.01 ㎛ 이상 0.5 ㎛ 이하인 제2 입자상 중합체를 병용한 실시예 1~14에서는, 필 강도가 우수한 부극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이차 전지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로부터, 체적 평균 입자경이 2.5 ㎛보다 큰 제1 입자상 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1에서는,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로부터,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외인 제2 입자상 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2 및 3, 제2 입자상 중합체만을 사용한 비교예 4, 체적 평균 입자경이 0.6 ㎛보다 작은 제1 입자상 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5, 그리고, 체적 평균 입자경이 0.5 ㎛보다 크고 또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외인 제2 입자상 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6에서는, 부극의 필 강도가 저하되는 동시에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로부터, 제1 입자상 중합체만을 사용한 비교예 7 및 8에서는,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형성 가능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및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수계 이차 전지에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한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클 특성 등의 전지 특성이 우수한 비수계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90 질량% 초과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0.6 ㎛ 이상 2.5 ㎛ 이하인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의 비율로 더 함유하며,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0.01 ㎛ 이상 0.5 ㎛ 이하인 제2 입자상 중합체,
    를 포함하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자상 중합체가 천연 고무인,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단백질을 더 함유하고,
    상기 단백질의 함유량이, 상기 제1 입자상 중합체 100 질량부당 4.0 × 10-4 질량부 이상 5.0 × 10-3 질량부 이하인,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자상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제1 입자상 중합체와 상기 제2 입자상 중합체의 합계 함유량의 2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인,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5. 전극 활물질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활물질의 탭 밀도가 1.1 g/cm3 이하인,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7. 제5항에 기재된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전극 합재층을 구비하는,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8. 정극, 부극, 전해액 및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정극 및 부극의 적어도 일방이 제7항에 기재된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인, 비수계 이차 전지.
  9. 삭제
KR1020187007975A 2015-09-30 2016-09-27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KR102661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4191A JP6481581B2 (ja) 2015-09-30 2015-09-30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JP2015194187A JP6477398B2 (ja) 2015-09-30 2015-09-30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JPJP-P-2015-194187 2015-09-30
JPJP-P-2015-194191 2015-09-30
PCT/JP2016/004360 WO2017056489A1 (ja) 2015-09-30 2016-09-27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078A KR20180063078A (ko) 2018-06-11
KR102661643B1 true KR102661643B1 (ko) 2024-04-26

Family

ID=5842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975A KR102661643B1 (ko) 2015-09-30 2016-09-27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93948B2 (ko)
EP (1) EP3358661B1 (ko)
KR (1) KR102661643B1 (ko)
CN (1) CN108140838B (ko)
HU (1) HUE055448T2 (ko)
PL (1) PL3358661T3 (ko)
WO (1) WO2017056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9711B2 (ja) * 2018-03-14 2022-04-26 Tdk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7405081B2 (ja) * 2018-08-31 2023-12-2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全固体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全固体二次電池電極合材層用スラリー組成物、全固体二次電池固体電解質層用スラリー組成物、および全固体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9169B2 (ja) * 1999-07-01 2009-09-0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およびその利用
JP4273687B2 (ja) * 2001-09-21 2009-06-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および二次電池
US20060153972A1 (en) * 2003-02-25 2006-07-13 Yoshitsugu Hirokawa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device
JP5470817B2 (ja) * 2008-03-10 2014-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用電極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池、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103460453A (zh) * 2011-02-15 2013-12-18 Jsr株式会社 蓄电设备用电极、电极用浆料、电极用粘结剂组合物以及蓄电设备
US20130330622A1 (en) 2011-02-23 2013-12-12 Zeon Corporat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secondary cell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 and method of producing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JP5617725B2 (ja) 2011-03-28 2014-11-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極、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
CN105448677A (zh) * 2011-07-25 2016-03-30 日立化成株式会社 半导体基板及其制造方法、太阳能电池元件、以及太阳能电池
JP4957932B1 (ja) * 2011-08-30 2012-06-20 Jsr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蓄電デバイス電極用スラリー、蓄電デバイス電極、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6245173B2 (ja) * 2012-07-17 2017-12-1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用負極及び二次電池
KR101615940B1 (ko) * 2013-08-19 2016-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이를 사용한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5129408A1 (ja) * 2014-02-27 2015-09-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多孔膜用バインダー組成物、二次電池多孔膜用スラリー、二次電池用多孔膜及び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6489A1 (ja) 2017-04-06
EP3358661A4 (en) 2019-03-20
CN108140838A (zh) 2018-06-08
CN108140838B (zh) 2021-07-23
US20180261845A1 (en) 2018-09-13
PL3358661T3 (pl) 2021-09-27
US10593948B2 (en) 2020-03-17
KR20180063078A (ko) 2018-06-11
HUE055448T2 (hu) 2021-11-29
EP3358661A1 (en) 2018-08-08
EP3358661B1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7457B2 (en)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electrode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US10044026B2 (en) Paste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use, composite particles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use,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use,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us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11046797B2 (en) Binder composition for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device
JP6798545B2 (ja)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JP7176522B2 (ja)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KR102407600B1 (ko)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KR102369487B1 (ko)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WO2019181871A1 (ja) 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二次電池電極用導電材ペースト、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の製造方法、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二次電池
JP6481581B2 (ja)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KR102661643B1 (ko)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JP6477398B2 (ja)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WO2022113860A1 (ja) 非水系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非水系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溶液、非水系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系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並びに非水系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WO2019181870A1 (ja) 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二次電池電極用導電材ペースト、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の製造方法、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二次電池
KR20240037234A (ko)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WO2021200350A1 (ja) 非水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二次電池
KR20230124911A (ko) 비수계 이차 전지 부극용 바인더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부극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비수계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