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098B1 - 소스 구조를 갖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 - Google Patents

소스 구조를 갖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098B1
KR102655098B1 KR1020217030923A KR20217030923A KR102655098B1 KR 102655098 B1 KR102655098 B1 KR 102655098B1 KR 1020217030923 A KR1020217030923 A KR 1020217030923A KR 20217030923 A KR20217030923 A KR 20217030923A KR 102655098 B1 KR102655098 B1 KR 10265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source
layer
source contacts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708A (ko
Inventor
원샹 수
웨이 수
판 황
핑 얀
중량 훠
원빈 저우
지 시아
Original Assignee
양쯔 메모리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쯔 메모리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양쯔 메모리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29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ide, e.g. S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01L21/022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deposition by cyclic CVD, e.g. ALD, ALE, pulsed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16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01L21/7683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in via holes or trenches, e.g. non-conductive sidewall l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01L21/7683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formation of thin insulating films on the sidewalls or on top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75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interconnection or wiring or contact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1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3차원(3D)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들 및 방법들의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일 예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메모리 스택, 복수의 채널 구조들 및 소스 구조를 포함한다. 메모리 스택은, 기판 위에 있으며,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층들 및 복수의 절연 층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 구조들은 메모리 스택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소스 구조는 메모리 스택에서 연장된다. 소스 구조는, 각각 개개의 절연 구조 내에 있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은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소스 구조를 갖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감소된 저항의 소스 구조들을 갖는 3차원(3D)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3D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평면형 메모리 셀들은, 프로세스 기술, 회로 설계, 프로그래밍 알고리즘 및 제작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더 작은 사이즈들로 스케일링된다. 그러나, 메모리 셀들의 피처(feature) 사이즈들이 하한(lower limit)에 접근함에 따라, 평면형 프로세스 및 제작 기법들은 난제시되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그 결과, 평면형 메모리 셀들에 대한 메모리 밀도는 상한(upper limit)에 접근한다.
3D 메모리 아키텍처는 평면형 메모리 셀들의 밀도 제한을 해결할 수 있다. 3D 메모리 아키텍처는, 메모리 어레이 및 메모리 어레이로의 그리고 메모리 어레이로부터의 신호들을 제어하기 위한 주변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3D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3D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의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일 예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메모리 스택, 복수의 채널 구조들 및 소스 구조를 포함한다. 메모리 스택은, 기판 위에 있으며, 인터리빙된(interleaved) 복수의 전도체 층들 및 복수의 절연 층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 구조들은 메모리 스택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소스 구조는 메모리 스택에서 연장된다. 소스 구조는 각각 개개의 절연 구조에 있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은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다른 예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메모리 스택, 복수의 채널 구조들 및 복수의 소스 구조들을 포함한다. 메모리 스택은, 기판 위에 있으며,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층들 및 복수의 절연 층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 구조들은 메모리 스택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소스 구조들은 메모리 스택에서 측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된다. 복수의 소스 구조들은 각각, 각각 개개의 절연 구조에 있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 측 방향을 따라 각각 인접한 절연 구조들과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 구조들, 및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연결 층을 포함한다.
추가 예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동작들을 포함하는 3D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먼저, 절단 구조가 스택 구조에 형성되며, 스택 구조는, 인터리빙된 복수의 초기 희생층들 및 복수의 초기 절연 층들을 포함한다. 절단 구조에 인접한 스택 구조의 부분들이 제거되어 슬릿 구조 및 초기 지지 구조가 형성되며, 초기 지지 구조는 슬릿 구조를 복수의 슬릿 개구들로 분할한다. 지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슬릿 개구들을 통해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이 형성된다. 복수의 슬릿 개구들 각각에 소스 콘택이 형성된다.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은, 복수의 슬릿 개구들 중 인접한 슬릿 개구들에서 소스 콘택들과 접촉하고 소스 콘택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연결 층의 제2 부분은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과 접촉하고 제1 부분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본원에 통합되며 그리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설명과 함께, 추가로,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설명하고 그리고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을 구성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감소된 저항의 소스 구조들을 갖는 예시적인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D 방향을 따른 도 1a에 예시된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c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A-B 방향을 따른 도 1a에 예시된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작 프로세스의 하나의 스테이지에서의 예시적인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D 방향을 따른 도 2a에 예시된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작 프로세스의 다른 스테이지에서의 예시적인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D 방향을 따른 도 3a에 예시된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4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작 프로세스의 다른 스테이지에서의 예시적인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4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D 방향을 따른 도 4a에 예시된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5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작 프로세스의 다른 스테이지에서의 예시적인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5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D 방향을 따른 도 5a에 예시된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작 프로세스의 다른 스테이지에서의 예시적인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D 방향을 따른 도 6a에 예시된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7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3D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제작 프로세스에서 다양한 구조들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패턴 세트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7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7a에 도시된 패턴 세트의 일부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도 8은 변형된 게이트 라인 슬릿(GLS; gate line slit)들을 갖는 기존의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감소된 저항의 소스 구조들을 갖는 3D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작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특정 구성들 및 어레인지먼트들이 논의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들로만 이루어진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성들 및 어레인지먼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이 또한 다양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일부 실시예들" 등의 참조들은, 설명된 실시예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매 모든 실시예이 그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반드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더욱이, 그러한 문구들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때, 명시적으로 설명되든 아니든,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그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업자의 지식 내에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어는 맥락에서의 사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이라는 용어는, 맥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임의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단수 의미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특징들, 구조들의 조합들을 복수 의미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수 표현의 용어들은 재차, 문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단수형 어법을 전달하거나 복수형 어법을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가하여, "~에 기반한"이라는 용어는, 배타적인 팩터들의 세트를 전달하도록 반드시 의도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될 수 있고, 대신에, 재차, 맥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반드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가적인 팩터들의 존재를 허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공칭/명목상"이라는 용어는, 원하는 값 초과 및/또는 미만의 값들 범위와 함께, 제품 또는 프로세스의 설계 단계 동안 설정되는, 컴포넌트 또는 프로세스 동작에 대한 특성 또는 파라미터의 원하는 또는 목표 값을 지칭한다. 값들 범위는 제작 프로세스들 또는 허용오차(tolerance)들의 약간의 변동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about)"이라는 용어는, 대상 반도체 디바이스와 연관된 특정 기술 노드에 기반하여 변할 수 있는 정해진 수량의 값을 지시한다. 특정 기술 노드에 기반하여, "약"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값의 10-30%(예를 들어, 값의 ±10%, ±20%, 또는 ±30%) 내에서 변하는 정해진 수량의 값을 지시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층계 구조는, (예를 들어, x-y 평면을 따른) 적어도 2개의 수평 표면들 및 (예를 들어, z-축을 따른) 적어도 2개의(예를 들어, 제1 및 제2) 수직 표면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수평 표면이 수평 표면의 제1 에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표면에 인접하고 수평 표면의 제2 에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 표면에 인접하게 하는 한 세트의 표면들을 지칭한다. "계단(step)"또는 "층계(staircase)"는 한 세트의 인접한 표면들의 높이에서의 수직 시프트를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층계"라는 용어 및 "계단"이라는 용어는, 층계 구조의 하나의 레벨을 지칭하며, 이 용어들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수평 방향은, 기판(예를 들어, 기판 위에 구조들의 형성을 위한 제작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판)의 최상부 표면과 평행한 방향(예를 들어, x-축 또는 y-축)을 지칭할 수 있고, 그리고 수직 방향은 구조의 최상부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어, z-축)을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전자 제품들에서 널리 사용되는 NAN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은, 저전력 소비 및 양호한 성능의 비-휘발성이고 경량인 디바이스들이다. 현재, 평면형 NAN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은 그의 저장 한계에 도달하였다. 저장 용량을 추가로 증가시키고 비트 당 저장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3D NAND 메모리 디바이스들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3D NAND 메모리 디바이스는 종종,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을 포함한다.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은 종종, ACS(array common source)가 형성되는 GLS에 의해 분리된다. 기존의 3D NAND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제작 방법에서, 증가된 수의 레벨들(또는 전도체/절연체 쌍들)로 인해, GLS들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 프로세스가 난제시 된다. 예를 들어, GLS들은 변형, 예를 들어 피처 사이즈의 변동에 더 민감하여, GLS들에 이웃한 메모리 블록들이 변형되거나 심지어 붕괴되게 할 수 있다. 3D NAND 메모리 디바이스의 성능이 영향받을 수 있다.
도 8은 변형된 GLS들 및 변형된 메모리 블록을 갖는 기존의 3D 메모리 디바이스(800)를 예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스택(811)이 기판(802) 위에 형성된다. 복수의 GLS(예를 들어, 806-1 및 806-2)는 기판(802)을 노출시키기 위해 메모리 스택(811)을 통해 연장된다. 복수의 채널 구조들(804)은 GLS들(806-1 및 806-2) 사이의 메모리 블록에 배열된다. 변형으로 인해, GLS(예를 들어, 806-1 또는 806-2)의 측방향 치수(예를 들어, 직경(D))는, 수직 방향(예를 들어, z-방향)을 따라 변하여, 메모리 블록 및 채널 구조들(804)이 그들의 원하는 포지션/배향으로부터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변형들은, GLS들에서 ACS들을 형성하는 후속 제작 프로세스들에서 포토리소그래피 오정렬 및 전기 누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감소된 저항을 갖는 소스 구조들을 갖는 3D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3D NAND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3D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공한다.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슬릿 구조를, 소스 콘택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 개구들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들을 이용한다. 지지 구조들은 각각,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과 접촉하여, 전도체 층들/부분들 및 소스 콘택들의 형성 동안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전체 구조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그러면,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제작 프로세스 동안 변형 또는 손상들에 덜 민감해진다.
3D 메모리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은, 텅스텐과 같은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연결 층과 접촉하고 연결 층을 통해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소스 구조에서 하나 이상의 쌍들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은, 연결 층과 접촉하고 연결 층에 의해 함께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개개의 콘택 플러그를 사용하여 복수의 소스 콘택들 각각 상에 소스 전압을 인가하는 대신, 연결 층(들)을 통해 소스 콘택들(예를 들어, 연결 층과 접촉하는 소스 콘택들)에 소스 전압이 인가되어, 콘택 플러그들의 사용을 줄이거나 없앤다. 소스 구조의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연결 층과 소스 콘택 사이의 접촉 영역은, 소스 구조의 저항을 추가로 감소시키도록 충분히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은 소스 구조의 모든 소스 콘택들과 접촉하고 모든 소스 콘택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되어, 소스 구조의 저항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3D 메모리 디바이스(100)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b는, C-D 방향을 따른 도 1a에 도시된 3D 메모리 디바이스(10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c는, A-B 방향을 따른 도 1a에 도시된 3D 메모리 디바이스(10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예를 들어, 한 쌍의 소스 구역들(22)이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코어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구조는 각각의 소스 구역(22)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구역들(21)은 한 쌍의 소스 구역들(22)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메모리 블록은 각각의 블록 구역(2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a-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기판(102), 및 기판(102) 위의 스택 구조(111)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구역들(21)에서, 스택 구조(111)는, 기판(102) 위에 인터리빙되는 복수의 전도체 층들(123) 및 복수의 절연 층들(124)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구역들(21)에서, 스택 구조(111)는 또한, 수직 방향(예를 들어, z-방향)을 따라 기판(102) 내로 스택 구조(111)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 구조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채널 구조(110)는, 최하부 부분의 에피택셜 부분, 최상부 부분의 드레인 구조, 및 에피택셜 부분과 드레인 구조 사이의 반도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채널은 메모리 막, 반도체 층 및 유전체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에피택셜 부분은 기판(102)과 접촉하고 기판(102)에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 채널은 드레인 구조 및 에피택셜 부분과 접촉하고 드레인 구조 및 에피택셜 부분에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 채널들 및 제어 전도체 층들에 의해 복수의 메모리 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 구조는 x-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소스 구역(22)에 형성될 수 있다. 소스 구조는 각각 개개의 절연 구조(미도시)에 있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10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소스 구역(22)에(예를 들어, 동일한 소스 구조 내에서) 형성된 소스 콘택들(104) 및 개개의 절연 구조들은 x-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소스 구조들 각각은 스택 구조(111)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기판(102)과 접촉할 수 있다. 소스 전압은 소스 구조 및 기판(102)을 통해 메모리 셀들에 인가될 수 있다.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x-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그리고 소스 구조를 각각 개개의 절연 구조 내에 있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104)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구조(220)는 절단 구조(114), 및 절단 구조(114)와 기판(102) 사이의 부분 스택(221)을 포함한다. 부분 스택(221)은, 기판(102) 위에, 인터리빙되는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223) 및 절연 부분들(22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 구조(220)는 y-방향을 따라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또는 블록 영역들(21))과 접촉할 수 있고, x-방향을 따라 개개의 소스 구조의 인접한 절연 구조들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 구조(220)는 소스 구조들 및 전도체 층들(123)의 형성 동안 3D 메모리 디바이스(100)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과 접촉하고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연결 층(108), 및 연결 층(108)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유전체 캡 층(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캡 층(115)은, 소스 콘택들(104)과 접촉하며 이들을 커버하는 연결 층(108)의 부분들을 커버할 수 있고,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 사이의 연결 층(108)의 부분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소스 전압을 전도성으로 인가하기 위한 콘택 플러그들(미도시)이 연결 층(108)의 노출된 부분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은 소스 구조의 모든 소스 콘택들(104) 위에 있고 모든 소스 콘택들(104)과 접촉하여, 소스 전압이 연결 층(108)을 통해 소스 구조의 모든 소스 콘택들(104) 상에 인가될 수 있다. 개개의 콘택 플러그를 사용하여 각각의 소스 콘택(104) 상에 소스 전압을 인가하는 것과 비교하여, 소스 구조의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은 또한, 블록 구역(2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은 블록 구역(21) 내의 모든 채널 구조들(110)을 커버한다. 드레인 전압을 전도성으로 인가하기 위한 콘택 플러그들(미도시)이 유전체 캡 층(115)을 통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채널 구조들(110)과의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블록 구역(21) 내의 유전체 캡 층(115)의 커버리지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1a-도 1c에 예시된 각각의 구조의 세부사항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기판(102)은 실리콘(예를 들어, 단결정질 실리콘), 실리콘 게르마늄(SiGe), 갈륨 비소(GaAs), 게르마늄(Ge), SOI(silicon on insulator), GOI(germanium on insulator),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판(102)은 연삭(grinding), 에칭,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박형화된(thinned), 박형화된 기판(예를 들어, 반도체 층)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판(102)은 실리콘을 포함한다.
채널 구조들(110)은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은 기판(102) 위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채널 구조(110)는 전도체 층(123) 및 절연 층(124)(본원에서 "전도체/절연 층 쌍들"로 지칭됨)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쌍들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수평 방향(예를 들어, x-방향 및/또는 y-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측 상에서, 스택 구조(111)는 층계 구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택 구조(111) 내의 전도체/절연 층 쌍들의 수(예를 들어, 32, 64, 96, 또는 128개)는 3D 메모리 디바이스(100) 내의 메모리 셀들의 수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택 구조(111) 내의 전도체 층들(123) 및 절연 층들(124)은 블록 구역들(21)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열된다. 전도체 층들(123)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텅스텐(W), 코발트(Co), 구리(Cu), 알루미늄(Al), 폴리실리콘, 도핑된 실리콘, 실리사이드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도성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층들(124)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전체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도체 층들(123)은 복수의 최상부 선택 전도체 층들을 갖는 최상부 전도체 층, 및 복수의 최하부 선택 전도체 층들을 갖는 최하부 전도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선택 전도체 층들은 최상부 선택 게이트 전극들로서 기능할 수 있고, 최하부 선택 전도체 층들은 최하부 선택 게이트 전극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최상부 및 최하부 전도체 층들 사이의 전도체 층들(123)은 선택 게이트 전극들로서 기능할 수 있고, 교차하는(intersecting) 채널 구조들(110)을 갖는 메모리 셀들을 형성할 수 있다. 최상부 선택 게이트 전극들 및 최하부 선택 게이트 전극들은, 각각, 원하는 메모리 블록/핑거(finger)/페이지(page)를 선택하기 위해 원하는 전압들로 인가될 수 있다.
채널 구조(110)는 스택 구조(111)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반도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채널은 채널-형성 구조,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반도체 층으로서) 반도체 재료들 및 (예를 들어, 메모리 막으로서) 유전체 재료들로 충전된(filled) 채널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층은 실리콘, 이를테면 비정질 실리콘, 폴리실리콘, 또는 단결정질 실리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 막은, 터널링 층, 메모리 층("전하 트랩 층"으로 또한 알려짐), 및 차단 층을 포함하는 복합 층이다. 반도체 채널의 채널 홀의 나머지 공간은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유전체 재료들을 포함하는 유전체 코어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충전될 수 있다. 반도체 채널은 원통 형상(예를 들어, 기둥(pill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전체 코어, 반도체 층, 터널링 층, 메모리 층, 및 차단 층은 이 순서대로 기둥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표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터널링 층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층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실리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 층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고 유전 상수(high-k) 유전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메모리 층은, 실리콘 산화물/실리콘 산질화물(또는 실리콘 질화물)/실리콘 산화물(ONO)의 복합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채널 구조(110)는 채널 구조(110)의 (예를 들어, 최하부의 하단부에서) 하부 부분에 에피택셜 부분(예를 들어, 반도체 플러그)을 더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예를 들어, 채널 구조(110))의 "상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기판(102)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단부이고, 컴포넌트(예를 들어, 채널 구조(110))의 "하단부"는, 기판(102)이 3D 메모리 디바이스(100)의 최저 평면에 포지셔닝될 때, 수직 방향으로 기판(102)에 더 가까운 단부이다. 에피택셜 부분은, 임의의 적절한 방향들로 기판(102)으로부터 에피택셜 방식으로 성장되는 반도체 재료, 이를테면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피택셜 부분은 기판(102)과 동일한 재료인 단결정질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시 말해서, 에피택셜 부분은 기판(102)으로부터 성장되는 에피택셜 방식으로 성장된 반도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에피택셜 부분은 또한, 기판(102)과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피택셜 부분은 실리콘, 게르마늄, 및 실리콘 게르마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피택셜 부분의 일부는 기판(102)의 최상부 표면 위에 있고, 반도체 채널과 접촉한다. 에피택셜 부분은 반도체 채널에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피택셜 부분의 최상부 표면은 최하부 절연 층(124)(예를 들어, 스택 구조(111)의 최하부에 있는 절연 층)의 최상부 표면과 최하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채널 구조(110)는 채널 구조(110)의 상부 부분(예를 들어, 상단부)에 드레인 구조(예를 들어, 채널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드레인 구조는 반도체 채널의 상단부와 접촉할 수 있고, 반도체 채널에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구조는 반도체 재료들(예를 들어, 폴리실리콘) 또는 전도성 재료들(예를 들어, 금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드레인 구조는 접착 층으로서 Ti/TiN 또는 Ta/TaN로 그리고 전도체 재료로서 텅스텐으로 충전된 개구를 포함한다. 3D 메모리 디바이스(100)의 제작 동안 반도체 채널의 상단부를 커버함으로써, 드레인 구조는, 반도체 채널에 충전된 유전체들, 이를테면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의 에칭을 방지하기 위한 에칭 정지 층(etch stop layer)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a-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구조는 소스 구역(22)에 형성될 수 있다. x-방향을 따라 정렬된 소스 구조는 각각 개개의 절연 구조(미도시)에 있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10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콘택(104)은 기판(102)과 접촉하고 기판(102)에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절연 구조는, 인접한 블록 구역들(21)에서 전도체 층들(123)로부터 개개의 소스 콘택(104)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콘택(104)은 폴리실리콘, 알루미늄, 코발트, 구리, 및 실리사이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절연 구조는 적절한 유전체 재료, 이를테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들(220)은 x-방향을 따라 개개의 소스 구조에 분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구조들(220)은 개개의 소스 구조를 복수의 소스 콘택들(104)로 분할하고, 이 각각은 개개의 절연 구조(예를 들어, 소스 콘택(104)를 둘러싸는 절연 구조)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소스 콘택(104) 및 개개의 절연 구조는, 지지 구조(220)에 의해 다른 소스 콘택(104) 및 다른 절연 구조로부터 분리된다. 인접한 블록 구역들(21)에서 스택 구조(111)의 부분들과 접촉하는 지지 구조(220)는, 절단 구조(114) 및 절단 구조(114) 아래의 부분 스택(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분 스택(221)은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223) 및 복수의 절연 부분들(22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y-방향을 따른 절단 구조(114)의 폭은 소스 콘택(104) 및 개개의 절연 구조의 총 폭(예를 들어, 소스 구조의 폭)보다 크거나, 같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y-방향을 따른 절단 구조(114)의 폭은 소스 구조의 폭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z-방향을 따른 절단 구조(114)의 두께(t)는 2개의 전도체/절연 쌍들(즉, 인터리빙된 2개의 전도체 층들(123) 및 2개의 절연 층들(124))과 4개의 전도체/절연 쌍들(즉, 인터리빙된 4개의 전도체 층들(123) 및 4개의 절연 층들(124))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절단 구조(114)는 인접한 블록 구역들(21)에서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층들(123) 및 절연 층들(124)과 접촉할 수 있다. 전도체 부분들(223) 및 절연 부분들(224)은, 각각, 인접한 블록 구역들(21)에서 동일한 레벨의 대응하는 전도체 층들(123) 및 절연 층들(124)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콘택(104)의 최상부 표면은 z-방향을 따라 지지 구조(220)의 최상부 표면보다 더 낮다. 동일한 소스 구조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든 소스 콘택들(104)의 최상부 표면들은 모든 지지 구조들(220)의 최상부 표면들보다 더 낮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구조(220)는 절단 구조(114) 아래의 스페이서 층(225) 및 주변 부분 스택(221)을 포함한다. 스페이서 층(225)은 부분 스택(221)과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 사이에 추가적인 절연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구조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 위에 그리고 이들과 접촉하는 연결 층(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층(108)은 하나 이상의 쌍들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과 접촉하고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에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층(108)은 자신이 접촉하는 소스 콘택들(104)에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은 자신이 접촉하는 소스 콘택들(104)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도 1a-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층(108)은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 및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 사이의 지지 구조(220) 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층(108)은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 및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 사이의 지지 구조(220)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소스 콘택(104)과 접촉하고 소스 콘택(104)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연결 층(108)의 부분은 연결 층(108)의 제1 부분(108-1)으로 지칭될 수 있다. 지지 구조(220)와 접촉하는 연결 층(108)의 부분은 연결 층(108)의 제2 부분(108-2)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의 제2 부분(108-2)은, 한 쌍의 제1 부분들(108-1), 예를 들어 x-방향을 따라 제2 부분(108-2)의 양 측상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과 접촉하고 제1 부분들(108-1)에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은, x-방향을 따라 서로 접촉하고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부분들(108-1) 및 복수의 제2 부분들(108-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의 제2 부분들(108-2)의 최상부 표면들은 연결 층(108)의 제1 부분들(108-1)의 최상부 표면들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은 하나 초과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각각은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제1 부분들(108-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108-2)을 포함한다. 각각의 세그먼트는 소스 구조의 하나 이상의 쌍들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 위에 있고 이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층(108)의 상이한 세그먼트들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쌍들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104)은 연결 층(108)과 접촉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소스 콘택들(104)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연결 층(108)에서 세그먼트들의 특정 수는, 3D 메모리 디바이스(100)의 설계 및/또는 제작에 기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은 개개의 소스 구조 내의 모든 소스 콘택들(104) 위에 있고 이와 접촉할 수 있다. 소스 전압이 소스 구조의 제2 부분들(108-2) 상에 인가될 수 있어서, 연결 층(108)에 연결된 모든 소스 콘택들(104)에 소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y-방향을 따른 연결 층(108)(또는, 존재하는 경우, 그 세그먼트들)의 폭은, 3D 메모리 디바이스(100)의 설계 및/또는 제작 프로세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은 아래의 소스 콘택들(104)을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즉, y-방향을 따른 연결 층(108)의 폭은 y-방향을 따른 소스 구조의 폭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은 연결 층(108)의 제1 부분들(108-1)을 커버하고 연결 층의 제2 부분들(108-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연결 층(108)의 제2 부분(108-2)의 폭(d1)은 y-방향을 따른 유전체 캡 층(115)의 폭(d2)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폭(d1)은 폭(d2) 미만이어서, 유전체 캡 층(115)은 (예를 들어, x-y 평면에서) 측 방향들을 따라 주변 구조들 및/또는 디바이스들로부터 제2 부분(108-2)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 상에 소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이제 도시되는) 전도성 플러그들이 제2 부분들(108-2) 상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은 블록 구역들(21)에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은 블록 구역(21) 내의 모든 채널 구조들(110)을 커버한다. 드레인 전압을 전도성으로 인가하기 위한 콘택 플러그들(미도시)이 후속적으로 유전체 캡 층(115)을 통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채널 구조들(110)과의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단 구조(114)는 희생층들과 상이한 적절한 재료를 포함한다. 전도체 층들(123) 및 전도체 부분들(223)을 형성하기 위한 게이트 교체 프로세스 동안, 절단 구조(114)는 희생층들의 에칭으로부터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단 구조(114)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실리콘 산질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도체 부분들(223)은 인접한 블록 구역들(21)에서 전도체 층들(123)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절연 부분들(224)은 인접한 블록 구역들(21)에서 절연 층들(124)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체 부분들(223)은 텅스텐, 알루미늄, 코발트, 구리, 폴리실리콘, 및 실리사이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절연 부분들(224)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은 텅스텐, 알루미늄, 코발트, 구리, 폴리실리콘, 및 실리사이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콘택(104)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하고, 연결 층(108)은 텅스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소스 콘택(104)과 연결 층(108) 사이의 접착력 및/또는 전도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소스 콘택(104)과 연결 층(108) 사이에 접착 층, 예를 들어, TiN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절연 구조와 지지 구조(220) 사이의 접착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소스 콘택(104)의 개개의 절연 구조와 지지 구조(220) 사이에 다른 접착 층, 예를 들어, TiN을 포함한다.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모놀리식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모놀리식(monolithic)"이라는 용어는,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주변 디바이스 및 메모리 어레이 디바이스)이 단일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모놀리식 3D 메모리 디바이스들의 경우, 제작은 주변 디바이스 프로세싱 및 메모리 어레이 디바이스 프로세싱의 콘볼루션(convolution)으로 인한 부가적인 제한들에 직면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어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NAND 채널 구조들)의 제작은, 동일한 기판 상에 형성되거나 형성될 주변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열 버짓(thermal budget)에 의해 제약된다.
대안적으로,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비-모놀리식(non-monolithic)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으며, 여기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주변 디바이스 및 메모리 어레이 디바이스)은 상이한 기판들 상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다음, 예를 들어, 면-대-면(face-to-face) 방식으로 본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 어레이 디바이스 기판(예를 들어, 기판(102))은 본딩된 비-모놀리식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판으로 남아 있고, 주변 디바이스(예를 들어, 페이지 버퍼(page buffer)들, 디코더들 및 래치들(미도시)과 같은 3D 메모리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적절한 디지털, 아날로그 및/또는 혼합-신호 주변 회로들을 포함)는 뒤집어지고(flipped) 하이브리드 본딩을 위해 메모리 어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NAND 메모리 스트링들)를 향하여 아래로 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 어레이 디바이스 기판(예를 들어, 기판(102))은 하이브리드 본딩을 위해 뒤집어지고 주변 디바이스(미도시)를 향하여 아래로 향해, 본딩된 비-모놀리식 3D 메모리 디바이스에서, 메모리 어레이 디바이스는 주변 디바이스 위에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메모리 어레이 디바이스 기판(예를 들어, 기판(102))은 박형화된 기판(이는 본딩된 비-모놀리식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판이 아님)일 수 있고, 비-모놀리식 3D 메모리 디바이스의 BEOL(back-end-of-line) 상호연결부는 이 박형화된 메모리 어레이 디바이스 기판의 후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a는 제작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에칭 마스크들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패턴 세트(700)를 예시한다. 도 7b는 패턴 세트의 유닛(750)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패턴 세트(700) 내의 패턴들은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를 형성하기 위해 제작 프로세스의 상이한 스테이지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패터닝 프로세스들에서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의 타입들에 따라, 패턴 세트(700)의 패턴들 각각은 에칭 마스크의 일부 또는 에칭 마스크를 결정하기 위한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가 패터닝을 위해 사용되면, 패턴 세트(700) 내의 패턴들은 에칭 마스크들의 부분들로서 사용될 수 있고;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가 패터닝을 위해 사용되면, 패턴 세트(700) 내의 패턴들은 에칭 마스크들을 결정하기 위한 상보적 패턴들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형상들, 치수들, 및 비율들은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한 것이며, 실척대로가 아니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세트(700)는 패턴들(702, 704, 706, 및 708)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패턴(702)은 슬릿 구조의 슬릿 개구들을 패터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패턴(704)은 연결 층(108)을 패터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패턴(706)은 절단 구조(114)를 패터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패턴(708)은 연결 층(108) 및 주변 회로와 접촉하고 연결 층(108) 및 주변 회로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콘택 플러그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패턴 세트(700)는 절단 구조(114), 슬릿 개구들, 및 연결 층(108)의 형성을 위한 복수의 반복 유닛들, 예를 들어 (75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들(702, 704, 및 706)의 치수들은 제작 프로세스들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도 7b는 각각의 패턴의 세부사항들, 예를 들어 커버리지를 도시하는 반복 유닛(750)을 예시한다. 제작 프로세스에 따라, 절단 구조(114)가 슬릿 개구들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 마스크로서 사용되는 경우, y-방향을 따른 패턴(706)의 폭(W1)은 슬릿 개구들의 폭 이상일 수 있어, 후속적으로 형성되는 지지 구조(220)는 블록 구역들(21)과 접촉한다. 별개의 에칭 마스크, 예를 들어, 패턴(702)이 슬릿 개구들을 형성하기 위해 에칭 마스크로서 사용되는 경우, 패턴(706)의 폭(W1)은 패턴(702)의 폭(W2)보다 작거나, 같거나 또는 클 수 있고; 패턴(706)의 길이(D1)는, 슬릿 개구들 및 지지 구조(220)가 원하는 치수들을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패턴(702)의 2개의 부분들 둘 다가 패턴(706)과 중첩될 수 있도록, 패턴(702)의 2개의 부분들 사이의 길이(D2) 이상일 수 있다. 패턴(704)의 폭(W3)은, 연결 층(108)이 후속적으로 형성되는 유전체 캡 층(115)에 의해 효과적으로 한정되는/절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패턴(706)의 폭(W1) 이하일 수 있다. 패턴(704)의 길이(D3)는, 연결 층(108)의 제1 부분들(108-1)의 충분한 영역들이 노출되도록 하여 연결 층(108)의 제2 부분(108-2)이 연결 층(108)의 제1 부분들(108-1)과 충분한 접촉 영역을 가질 수 있도록, 각각, 길이(D2) 및 길이(D1)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W3<W1<W2이고, D2<D1<D3이다. 패턴들을 적용하는 시퀀스는, 아래에서의,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를 형성하기 위한 제작 프로세스에서 설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를 형성하기 위한 제작 프로세스를 예시하고, 도 9는 제작 프로세스의 흐름도(900)를 예시한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도 7a 및 도 7b는 제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6과 함께 예시된다.
프로세스의 시작시에, 적어도 하나의 절단 구조가 스택 구조에 형성된다(동작(902)). 도 2a 및 도 2b는 대응하는 구조(200)를 예시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구조(114)는 스택 구조(111)에 형성된다. 스택 구조(111)는 기판(102) 위에 형성된 인터리빙된 초기 희생층들(133i) 및 초기 절연 층들(134i)의 유전체 스택을 가질 수 있다. 초기 희생층들(133i)은 전도체 층들(123)의 후속적인 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초기 절연 층들(134i)은 절연 층들(124)의 후속적인 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택 구조(111)는 스택 구조(111)의 최상부 표면 상에 제1 유전체 캡 층(미도시)을 포함한다. 3D 메모리 디바이스(100)는 채널 구조들(110)을 형성하기 위한 채널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구역은 복수의 소스 구역들(22) 및 인접한 소스 구역들(22) 사이의 블록 구역(2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택 구조(111)는 층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층계 구조는, 재료 스택 위의 에칭 마스크, 예를 들어 패터닝된 PR 층을 사용하여, 인터리빙된 복수의 희생 재료 층들 및 절연 재료 층들을 포함하는 재료 스택을 반복적으로 에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인터리빙된 희생 재료 층들 및 절연 재료 층들은, 원하는 수의 층들에 도달할 때까지, 기판(102) 위에 희생 재료 층들 및 절연 재료 층들을 교번적으로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희생 재료 층들 및 절연 재료 층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께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희생 재료 층 및 하부 절연 재료 층은 유전체 쌍으로 지칭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체 쌍들은 하나의 레벨/층계를 형성할 수 있다. 층계 구조의 형성 동안, PR 층은 트리밍되고(예를 들어, 재료 스택의 경계로부터, 종종 모든 방향들로부터 점진적으로 그리고 내측으로 에칭됨), 재료 스택의 노출된 부분을 에칭하기 위한 에칭 마스크로서 사용된다. 트리밍된 PR의 양은 층계들의 치수들에 직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예를 들어, 결정요인). PR 층의 트리밍은 적절한 에칭, 예를 들어 등방성 건식 에칭, 이를테면 습식 에칭을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PR 층들이 형성되고 층계 구조의 형성을 위해 연속적으로 트리밍될 수 있다. 각각의 유전체 쌍은 PR 층의 트리밍 후에, 희생 재료 층 및 하부 절연 재료 층 둘 다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적절한 에천트들을 사용하여 에칭될 수 있다. 에칭된 희생 재료 층들 및 절연 재료 층들은 초기 희생층들(133i) 및 초기 절연 층들(134i)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PR 층이 제거될 수 있다.
절연 재료 층들 및 희생 재료 층들은 후속 게이트-교체 프로세스 동안 상이한 에칭 선택도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연 재료 층들 및 희생 재료 층들은 상이한 재료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연 재료 층들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고, 절연 재료 층들의 증착은 화학 기상 증착(CVD), 원자 층 증착(ALD), 물리 기상 증착(PVD), 및 스퍼터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희생 재료 층들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고, 절연 재료 층들의 증착은 CVD, PVD, ALD, 및 스퍼터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희생 재료 층들 및 절연 재료 층들의 에칭은 하나 이상의 적절한 이방성 에칭 프로세스, 예를 들어 건식 에칭을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 구조들(110)은 절단 구조(114)의 형성 전에 또는 후에 블록 구역(21)에 형성될 수 있다. 채널 구조들(110)은 전도체 층들(123)의 형성 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채널 구조들(110)은 절단 구조(114)의 형성 전에 형성된다. 채널 구조들(110)을 형성하기 위해, 스택 구조(111)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채널 홀들이 인터리빙된 초기 희생층들(133i) 및 초기 절연 층들(134i)을 통해 형성된다. 복수의 채널 홀들은, 스택 구조(111)의 부분들을 제거하고 기판(102)을 노출시키기 위해, 에칭 마스크, 이를테면, 패터닝된 PR 층을 사용하여 이방성 에칭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 홀은 y-방향을 따라 절단 구조(114)의 각각의 측면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채널 홀들이 각각의 블록 구역(21)에 형성된다. 리세스 영역은, 기판(102) 위에 채널 홀을 형성하는 동일한 에칭 프로세스에 의해 그리고/또는 별도의 리세스 에칭 프로세스에 의해 기판(102)의 최상부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해 각각의 채널 홀의 최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플러그는, 각각의 채널 홀의 최하부에, 예를 들어 리세스 구역 위에 형성된다. 반도체 플러그는 에피택셜 성장 프로세스 및/또는 증착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플러그는 에피택셜 성장에 의해 형성되고, 에피택셜 부분으로 지칭된다. 선택적으로, 리세스 에칭(예를 들어, 건식 에칭 및/또는 습식 에칭)은, 채널 홀의 측벽 상의 과잉 반도체 재료를 제거하고 그리고/또는 원하는 포지션에서 에피택셜 부분의 최상부 표면을 제어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피택셜 부분의 최상부 표면은 최하부 초기 절연 층(134i)의 최상부 표면과 최하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채널 홀들은 적절한 에칭 프로세스, 예를 들어, 이방성 에칭 프로세스(예를 들어, 건식 에칭) 및/또는 등방성 에칭 프로세스(습식 에칭)를 수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피택셜 부분은 기판(102)으로부터 에피택셜 방식으로 성장됨으로써 형성되는 단결정질 실리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피택셜 부분은 증착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 폴리실리콘을 포함한다. 에피택셜 방식으로 성장된 에피택셜 부분의 형성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VPE(vapor-phase epitaxy), LPE(liquid-phase epitaxy), MPE(molecular-beam epitaxy),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증착된 에피택셜 부분의 형성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CVD, PVD, 및/또는 AL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채널은 채널 홀 내의 에피택셜 부분 위에 그리고 이와 접촉하게 형성된다. 반도체 채널은, 메모리 막(예를 들어, 차단 층, 메모리 층, 및 터널링 층을 포함함), 에피택셜 부분 위에 형성되고 이와 연결되는 반도체 층, 및 채널 홀의 나머지를 충전하는 유전체 코어를 갖는 채널-형성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채널 홀의 측벽 및 에피택셜 부분의 최상부 표면을 커버하도록 메모리 막이 먼저 증착된 다음, 메모리 막 위에 그리고 에피택셜 부분 위에 반도체 층이 증착된다. 후속적으로, 차단 층, 메모리 층 및 터널링 층이, ALD, CVD, PVD, 임의의 다른 적절한 프로세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박막 증착 프로세스들을 사용하여, 이 순서로 증착되어 메모리 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반도체 층이 ALD, CVD, PVD, 임의의 다른 적절한 프로세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박막 증착 프로세스들을 사용하여 터널링 층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층의 증착 후에 유전체 재료들, 이를테면 실리콘 산화물을 증착함으로써, 채널 홀의 나머지 공간에 유전체 코어가 충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드레인 구조는 각각의 채널 홀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택 구조(111)의 최상부 표면상의 그리고 각각의 채널 홀의 상부 부분에서의 메모리 막, 반도체 층, 및 유전체 코어의 부분들은, CMP, 그라인딩, 습식 에칭, 및/또는 건식 에칭에 의해 제거되어, 반도체 채널의 최상부 표면이 제1 유전체 캡 층의 최상부 표면과 최하부 표면 사이에 있을 수 있도록, 채널 홀의 상부 부분에 리세스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드레인 구조는, CVD, PVD, ALD, 전기도금, 무전해 도금,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박막 증착 프로세스들에 의해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료들을 리세스에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채널 구조(110)가 형성된다. 후속적으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이 반도체 채널들과 제어 전도체 층들의 교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평탄화 프로세스, 예를 들어 건식/습식 에칭 및/또는 CMP가 스택 구조(111)의 최상부 표면 상의 임의의 과잉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다.
하나 이상의 절단 개구들이 서로 분리되어 소스 영역(22)에 형성될 수 있다. 패턴(706)은 절단 개구들을 패터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절단 개구의 깊이는 절단 구조(114)의 두께(t)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t는 2개의 초기 희생/절연 층 쌍들과 4개의 초기 희생/절연 층 쌍들의 두께들 사이이다. t의 값은 3D 메모리 디바이스(100)의 설계 및/또는 제작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하는 두께(t)에 도달할 때까지 스택 구조(111)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이방성 에칭 프로세스, 이를테면 건식 에칭이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적 에칭 프로세스들은, 절단 개구의 최하부 표면이 z-방향을 따라 원하는 포지션에서(예를 들어, 원하는 초기 절연 층(134i) 또는 초기 희생층(133i)의 최상부 표면 상에서) 멈출수 있도록 스택 구조(111)의 부분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절단 개구를 충전하고 개개의 절단 구조(114)를 형성하기 위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적절한 유전체 재료가 증착된다. 적절한 증착 프로세스, 이를테면, CVD, ALD, PVD, 스퍼터링, 또는 이들의 조합이 유전체 재료를 증착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단 구조(114)는 ALD에 의해 증착된다. 선택적으로, 스택 구조(111) 위의 임의의 과잉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평탄화 프로세스, 예를 들어 CMP 및/또는 리세스 에칭이 수행된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절단 구조들의 형성 후에, 슬릿 구조 및 슬릿 구조를 복수의 슬릿 개구들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기 지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스택 구조의 부분들이 제거된다(동작(904)). 적어도 하나의 초기 지지 구조 각각은 절단 구조, 및 절단 구조 아래의 인터리빙된 복수의 희생 부분들 및 복수의 절연 부분들을 갖는다. 도 3a 및 도 3b는 대응하는 구조(300)를 예시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구조(114)에 의해 노출된 소스 구역(22) 내의 스택 구조(111)의 부분들이 제거되어, 기판(102)을 노출시키는 슬릿 구조(106)가 형성된다. 패턴(702)은 슬릿 구조(106)를 패터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소스 영역(22) 내의 그리고 절단 구조(114)에 인접한 스택 구조(111)의 부분들이 제거되어 슬릿 구조(106)가 형성된다. 절단 구조(114) 및 그 아래의 인터리빙된 희생 부분들 및 절연 부분들(224)(예를 들어, 슬릿 구조(106)의 에칭 후의 초기 희생층(133i) 및 초기 절연 층(134i)의 나머지 부분들)은 초기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희생 부분들 및 절연 부분들(224)은 각각, 인접한 블록 구역들(21)에서 동일한 레벨의 희생층들 및 절연 층들(124)과 접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초기 지지 구조들은 슬릿 구조(106)를 복수의 슬릿 개구들로 분할할 수 있고, 각각은 기판(102), 및 인접한 블록 구역들(21)의 인터리빙된 희생층들 및 절연 층들을 노출시킨다. 제작 프로세스에 따라, y-방향을 따라, 절단 구조(114)의 폭(d3)은 슬릿 구조(106)의 폭(d4)보다 작거나, 같거나 또는 클 수 있다. 적절한 이방성 에칭 프로세스, 예를 들어 건식 에칭이 수행되어 슬릿 구조(106)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턴(702)은 슬릿 구조(106)를 패터닝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절단 구조(114)는 스택 구조(111)의 부분들을 제거하고 슬릿 구조(106)를 형성하기 위한 에칭 마스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 구조(114)의 폭은 슬릿 구조(106)의 폭 이상일 수 있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초기 지지 구조의 형성 후에, 각각의 초기 지지 구조의 희생 부분들 및 각각의 블록 구역의 희생층들은 전도체 부분들 및 전도체 층들로 교체되어,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 및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이 형성된다(동작(906)). 도 3a 및 도 3b는 대응하는 구조(300)를 예시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초기 지지 구조의 희생 부분들은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223)로 교체된다. 각각의 블록 구역(21) 내의 희생층들은 복수의 전도체 층들(123)(도 1c를 다시 참조함)로 교체된다. 슬릿 구조들(106)을 통해 희생 부분들 및 희생층들을 제거하기 위해, 등방성 에칭 프로세스, 예를 들어 습식 에칭이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측방향 리세스들은 희생층들의 제거에 의해 각각의 블록 구역(21)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리세스 부분들은 희생 부분들의 제거에 의해 각각의 초기 지지 구조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측방향 리세스들 및 리세스 부분들을 충전하도록 전도체 재료가 증착될 수 있어, 각각의 블록 구역에 복수의 전도체 층들(123)이 형성되고, 각각의 초기 지지 구조에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2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223) 및 절연 부분들(224)을 갖는 부분 스택(221)이 형성될 수 있다. 절단 구조(114) 및 그 아래에 부분 스택(221)을 갖는 지지 구조(220)가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페이서 층(225)이 인터리빙된 전도체 부분들(223) 및 절연 부분들(224)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후속적으로 형성되는 소스 구조로부터 전도체 부분들(223)이 추가로 격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페이서 층(225)이 형성되지 않을 때, 소스 콘택들(104)의 절연 구조들은 소스 콘택들(104)과 전도체 부분들(223) 사이에 전기 절연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도체 재료 및 스페이서 층(225)은 각각, CVD, PVD, ALD, 및 스퍼터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증착된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지지 구조 및 전도체 층들의 형성 후에, 소스 구조가 슬릿 구조에 형성되고, 연결 층의 제1 부분이 소스 구조의 각각의 소스 콘택 상에 형성된다(동작(908)). 도 4a 및 도 4b는 대응하는 구조(400)를 예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구조는 슬릿 구조(106)에 형성된다. 소스 구조는 슬릿 구조(106)의 각각의 슬릿 개구 내의 절연 구조 및 각각의 절연 구조 내의 소스 콘택(104)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착 층(미도시)이 소스 구조의 형성 전에 지지 구조(220)의 최상부 표면 및/또는 측벽들 위에 증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연 구조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고, 소스 콘택들(104)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한다. 절연 구조 및 소스 콘택들(104) 각각은 CVD, PVD, ALD, 및 스퍼터링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기판(102)을 노출시키기 위해 절연 구조에 대해 리세스 에칭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어서, 개개의 소스 콘택(104)이 기판(102)과 접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착 층의 증착 전에 소스 콘택(104)의 과잉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리세스 에칭 프로세스(건식 및/또는 습식 에칭)가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착 층은 TiN을 포함하고, CVD, PVD, ALD, 전기 도금, 및 스퍼터링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증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콘택들(104)의 최상부 표면들은 지지 구조(220)(또는 이러한 동작에서의 절단 구조(114))의 최상부 표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리세스 에칭 프로세스는, 연결 층(108)의 형성을 위한 슬릿 구조(106)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도록 소스 콘택들(104)을 에치 백(etch back)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슬릿 구조(106)를 충전하도록 소스 콘택들(104) 위에 전도성 재료가 증착되어, 개개의 소스 콘택(104) 위에 연결 층(108)의 제1 부분(108-1)이 형성된다. 제1 부분(108-1)은 개개의 소스 콘택(104)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연결 층(108)의 제1 부분(108-1)의 형성 전에, 접착 층(미도시)이 소스 콘택들(104)의 최상부 표면 위에 증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도성 재료는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코발트, 폴리실리콘, 및 실리사이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콘택들(104)은 폴리실리콘을 포함하고, 연결 층(108)의 제1 부분들(108-1)은 텅스텐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연결 층(108) 및 지지 구조들(220)의 제1 부분들(108-1) 위의 임의의 과잉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평탄화 프로세스, 예를 들어 CMP 및/또는 리세스 에칭이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구조들(220)의 최상부 표면들 및 연결 층(108)의 제1 부분들(108-1)은 x-y 평면에서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소스 구조 및 연결 층의 제1 부분들의 형성 후에, 연결 층의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제1 부분들을 노출시키기 위해 유전체 캡 층이 소스 구조 위에 형성된다(동작(910)). 도 5a 및 도 5b는 대응하는 구조(500)를 예시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캡 층(115)은, 연결 층(108)의 적어도 한 쌍의 2개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을 노출시키기 위해 각각의 소스 구조 위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은 또한, 블록 구역(2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은 블록 구역(21) 내의 모든 채널 구조들(110)을 커버한다. 유전체 캡 층(115)은, 연결 층(108)의 적어도 하나의 쌍의 2개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구(214)는 또한 절단 구조(114)를 노출시킨다. 패턴(704)은 개구(214)를 패터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전체 캡 층(115)에 의해 커버된 영역은 연결 층(108)의 후속적으로 형성된 제2 부분들(108-2)의 커버리지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은, 소스 콘택들(104)을 제외한 스택 구조(111)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연결 층(108)을 절연시키기 위해, x-y 평면을 따른 연결 층(108)의 제2 부분들(108-2)의 영역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y-방향을 따라, 유전체 캡 층(115)의 폭(d2)은 연결 층(108)의 제1 부분들(108-1)의 폭(d1)(또는 개구(214)의 폭)보다 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은 블록 구역(21)을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유전체 캡 층(115)은 제1 부분들(108-1) 및 지지 구조들(220)을 커버하기 위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적절한 유전체 재료를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캡 층(115)은 CVD, PVD, ALD, 및 스퍼터링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증착된 유전체 재료는 연결 층(108)의 적어도 하나의 쌍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을 노출시키는 개구(214)를 형성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구(214)는 또한, 한 쌍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 사이에서 지지 구조(220)(또는 절단 구조(114))를 노출시킬 수 있다. 개구(214)의 깊이에 따라, 절단 구조(114)는 개구(214)의 형성으로서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캡 층(115)은 모든 지지 구조들(220) 및 연결 층(108)의 모든 쌍들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을 노출시킨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유전체 캡 층의 형성 후에, 연결 층의 제2 부분이 유전체 캡 층에 형성되어, 연결 층의 한 쌍의 인접한 제1 부분들과 접촉하고 제1 부분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된다(동작(912)). 도 6a 및 도 6b는 대응하는 구조(600)를 예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층(108)의 제2 부분(108-2)은 유전체 캡 층(115)에 형성된다. 연결 층(108)의 제2 부분(108-2)은 연결 층(108)의 노출된 쌍의 2개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과 접촉하고 제1 부분들(108-1)에 전도성으로 연결되어, 연결 층(108)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층(108)의 쌍의 2개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은 연결 층(108)의 2개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 사이에서 지지 구조(220)의 양측들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108)의 복수의 제2 부분들(108-2)이 복수의 개구들(214)에 형성되어, 연결 층(108)의 복수의 쌍들의, 예를 들어, 모든 쌍들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과 접촉하고 제1 부분들(108-1)에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연결 층(108)의 제2 부분(108-2)은 개구(214)를 충전하는 적절한 전도성 재료를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재료는 연결 층(108)의 쌍의 인접한 제1 부분들(108-1)의 노출된 부분들 및 아래의 절단 구조(114)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전도성 재료는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코발트, 폴리실리콘, 및 실리사이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도성 재료는 텅스텐을 포함하고, CVD, PVD, ALD, 및 스퍼터링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증착된다. 선택적으로, 연결 층(108)의 제2 부분(108-2) 위의 임의의 과잉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평탄화 프로세스, 예를 들어 CMP 및/또는 리세스 에칭이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메모리 스택, 복수의 채널 구조들 및 소스 구조를 포함한다. 메모리 스택은, 기판 위에 있으며,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층들 및 복수의 절연 층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 구조들은 메모리 스택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소스 구조는 메모리 스택에서 연장된다. 소스 구조는 각각 개개의 절연 구조 내에 있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은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은, 연결 층에 접촉하고 연결 층에 의해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연결 층은 전도성 층일 수 있고,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각각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은 텅스텐, 코발트, 알루미늄, 구리, 실리사이드들, 또는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은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각각의 위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소스 구조 위에 캡 층을 더 포함한다. 캡 층은,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위에 있는,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을 커버하고,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사이에 있는, 연결 층의 제2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은 복수의 소스 콘택들 각각 위에 있고 복수의 소스 콘택들 각각과 접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구조가 연장되는 측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측 방향을 따라, 연결 층의 폭은 소스 구조의 폭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구조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사이에 그리고 연결 층에 의해 커버되는 지지 구조를 더 포함한다. 지지 구조는 소스 구조에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구조의 최상부 표면은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의 최상부 표면들보다 더 높고, 연결 층의 제2 부분의 최상부 표면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의 최상부 표면들보다 더 높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구조는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 및 복수의 절연 부분들 위에 절단 구조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의 각각은 소스 구조에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의 대응하는 전도체 층들과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절연 부분들 각각은 소스 구조에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의 대응하는 절연 층들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지 구조는,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 및 절연 부분들과 접촉하고 이들을 둘러싸는 스페이서 층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단 구조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단 구조의 두께는 인터리빙된 2개의 전도체 층들 및 2개의 절연 층들과 인터리빙된 4개의 전도체 층들 및 4개의 절연 층들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구조가 연장되는 측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측 방향을 따라, 절단 구조의 폭은 소스 구조의 폭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소스 콘택들은 코발트, 알루미늄, 구리, 실리사이드들, 또는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의 절연 구조들과 지지 구조 사이에 그리고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과 연결 층 사이에 접착 층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착 층은 티타늄 질화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채널 구조들 각각은, 기판과 접촉하고 기판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에피택셜 부분, 에피택셜 부분과 접촉하고 에피택셜 부분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반도체 채널, 및 반도체 채널과 접촉하고 반도체 채널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드레인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메모리 스택, 복수의 채널 구조들 및 복수의 소스 구조들을 포함한다. 메모리 스택은, 기판 위에 있으며,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층들 및 복수의 절연 층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 구조들은 메모리 스택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소스 구조들은 메모리 스택에서 측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된다. 복수의 소스 구조들 각각은, 각각 개개의 절연 구조 내에 있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 측 방향을 따라 각각 인접한 절연 구조들과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 구조들, 및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연결 층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은 텅스텐, 코발트, 알루미늄, 구리, 실리사이드들, 또는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은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각각의 위에 그리고 그와 접촉하게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위에 캡 층을 더 포함한다. 캡 층은,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위에 있는, 연결 층의 복수의 제1 부분들을 커버하고,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사이에 있는, 연결 층의 제2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은 복수의 개개의 소스 콘택들 각각 위에 있고 그리고 복수의 개개의 소스 콘택들 각각과 접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측 방향에 따른, 연결 층의 폭은 개개의 소스 구조의 폭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지지 구조들 각각은,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 및 복수의 절연 부분들 위에 절단 구조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의 각각은 개개의 소스 구조에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의 대응하는 전도체 층들과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절연 부분들 각각은 개개의 소스 구조에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의 대응하는 절연 층들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지지 구조들 각각의 최상부 표면은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의 최상부 표면들보다 더 높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의 제2 부분의 최상부 표면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의 최상부 표면들보다 더 높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단 구조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절단 구조의 두께는 인터리빙된 2개의 전도체 층들 및 2개의 절연 층들과 인터리빙된 4개의 전도체 층들 및 4개의 절연 층들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소스 구조가 연장되는 측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측 방향에 따른, 절단 구조의 폭은 개개의 소스 구조의 폭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소스 콘택들은 코발트, 알루미늄, 구리, 실리사이드들, 또는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콘택들과 연결 층 사이에 그리고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콘택들과 지지 구조 사이에 접착 층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착 층은 티타늄 질화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채널 구조들 각각은, 기판과 접촉하고 기판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에피택셜 부분, 에피택셜 부분과 접촉하고 에피택셜 부분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반도체 채널, 및 반도체 채널과 접촉하고 반도체 채널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드레인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3D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먼저, 절단 구조가 스택 구조에 형성되며, 스택 구조는, 인터리빙된 복수의 초기 희생층들 및 복수의 초기 절연 층들을 포함한다. 절단 구조에 인접한 스택 구조의 부분들이 제거되어 슬릿 구조 및 초기 지지 구조가 형성되며, 초기 지지 구조는 슬릿 구조를 복수의 슬릿 개구들로 분할한다. 지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슬릿 개구들을 통해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이 형성된다. 복수의 슬릿 개구들 각각에 소스 콘택이 형성된다.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은, 복수의 슬릿 개구들 중 인접한 슬릿 개구들에서 소스 콘택들과 접촉하고 소스 콘택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연결 층의 제2 부분은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과 접촉하고 제1 부분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제2 부분이 캡 층을 통해 쌍의 제1 부분들과 접촉하고 제1 부분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되도록, 연결 층의 제2 부분을 형성하기 전에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 위에 캡 층을 형성하고 노출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캡 층을 형성하는 것은,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을 커버하도록 캡 재료 층을 증착하는 것, 및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 및 절단 구조를 노출시키기 위해 캡 재료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을 형성하는 것은 복수의 슬릿 개구들 중 인접한 슬릿 개구들에서 소스 콘택들 위에 전도성 재료를 증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연결 층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것은 캡 층의 제거된 부분을 충전시키기 위해 전도성 재료를 증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캡 재료 층과 연결 층의 제1 부분들의 쌍들 사이에 접착 층을 증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절단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스택 구조에 절단 개구를 형성하는 것 및 절단 개구를 충전하도록 유전체 재료를 증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슬릿 구조 및 초기 지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 구조에 인접한 스택 구조의 부분들을 제거하는 것은, 절단 구조 및 인터리빙된 복수의 희생 부분들 및 복수의 절연 부분들이 초기 지지 구조를 형성하도록, 기판을 노출시키는 슬릿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측 방향을 따라 절단 구조에 인접한 스택 구조의 부분들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을 형성하는 것은, 복수의 리세스 부분들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슬릿 개구들을 통해, 지지 구조 내의 복수의 희생 부분들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을 형성하는 것은 또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리세스 부분들을 충전하도록 전도체 재료를 증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복수의 블록 부분이 초기 지지 구조와 접촉하도록,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을 형성하는 동일한 동작에서 스택 구조의 복수의 블록 부분들에 복수의 전도체 층들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복수의 전도체 층들은, 복수의 측방향 리세스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슬릿 개구를 통해 복수의 블록 부분에서 복수의 희생층을 제거하고 그리고 복수의 전도체 층들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측방향 리세스를 충전하도록 전도체 재료를 증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콘택을 형성하는 것은 개개의 슬릿 개구를 충전하기 위해 코발트, 알루미늄, 구리, 실리사이드들 또는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증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절연 구조가 기판을 노출시키도록 소스 콘택 전에 슬릿 개구에 절연 구조를 형성하는 것 및 절연 구조와 지지 구조 사이에 다른 접착 층을 증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다른 사람들이 당해 기술 분야의 기술 내에서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과도한 실험 없이, 본 개시내용의 일반적인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특정 실시예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용이하게 수정 및/또는 적응할 수 있도록 본 개시내용의 일반적인 특성을 드러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적응들 및 수정들은, 본원에서 제시된 교시 및 지침에 기반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등가물들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본원에서의 어구 또는 용어는 제한이 아니라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의 용어 또는 어구가 교시 및 지침에 비추어 당업자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특정된 기능들 및 이들의 관계들의 구현을 예시하는 기능적 빌딩 블록들의 도움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들 기능적 빌딩 블록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원에서 임의적으로 정의되었다. 특정된 기능들 및 이들의 관계들이 적절하게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발명의 내용 섹션 및 요약서 섹션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고려되는 바와 같이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아닌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할 수 있고, 따라서, 본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항들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폭 및 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다음의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 따라서만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42)

  1.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기판 위의 메모리 스택 ―상기 메모리 스택은 인터리빙된(interleaved) 복수의 전도체 층들 및 복수의 절연 층들을 포함함―;
    상기 메모리 스택 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 구조들;
    상기 메모리 스택 내에서 연장되는 소스 구조; 및
    상기 소스 구조 위에 있는 캡 층
    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 구조는, 각각 개개의 절연 구조 내에 있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은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은 연결 층과 접촉하고 상기 연결 층에 의해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층은, 전도성 층이고 또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각각과 접촉하며, 상기 연결 층은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위에 있는 한 쌍의 제1 부분들 및 상기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사이에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캡 층은 상기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을 커버하고 상기 연결 층의 제2 부분을 노출시키며, 상기 연결 층의 제2 부분에 소스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인접한 소스 콘택들 사이에 지지 구조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 구조의 최상부 표면은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의 최상부 표면들보다 더 높은,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층은 텅스텐, 코발트, 알루미늄, 구리, 실리사이드들, 또는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층은,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각각의 위에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각각과 접촉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구조가 연장되는 측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측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 층의 폭은 상기 소스 구조의 폭 이하인,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연결 층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소스 구조에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과 접촉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층의 제2 부분의 최상부 표면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의 최상부 표면들보다 더 높은,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 및 복수의 절연 부분들 위의 절단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 각각은 상기 소스 구조에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 내의 대응하는 전도체 층들과 접촉하고, 상기 복수의 절연 부분들 각각은 상기 소스 구조에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 내의 대응하는 절연 층들과 접촉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 및 절연 부분들과 접촉하며 상기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 및 절연 부분들을 둘러싸는 스페이서 층을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구조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구조의 두께는 인터리빙된 2개의 전도체 층들과 2개의 절연 층들 및 인터리빙된 4개의 전도체 층들과 4개의 절연 층들 사이이고;
    상기 소스 구조가 연장되는 측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측 방향에 따른, 상기 절단 구조의 폭은 상기 소스 구조의 폭 이하인,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은 코발트, 알루미늄, 구리, 실리사이드들, 또는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12.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의 절연 구조들과 상기 지지 구조 사이에,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과 상기 연결 층 사이에 접착 층을 더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층은 티타늄 질화물을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 구조들 각각은, 기판과 접촉하고 상기 기판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에피택셜 부분, 상기 에피택셜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에피택셜 부분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반도체 채널, 및 상기 반도체 채널과 접촉하고 상기 반도체 채널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드레인 구조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15.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기판 위의 메모리 스택 ―상기 메모리 스택은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층들 및 복수의 절연 층들을 포함함―;
    상기 메모리 스택 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채널 구조들; 및
    메모리 스택 내에서 측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소스 구조들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스 구조들 각각은,
    각각 개개의 절연 구조 내에 있는 복수의 소스 콘택들,
    상기 측 방향을 따라 각각 인접한 절연 구조들과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 구조들, 및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연결 층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층은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각각과 접촉하고,
    상기 연결 층은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위에 있는 한 쌍의 제1 부분들 및 상기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사이에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위에 있는 캡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층은 상기 연결 층의 복수의 제1 부분들을 커버하고 상기 연결 층의 제2 부분을 노출시키며, 상기 연결 층의 제2 부분에 소스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 각각의 최상부 표면은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의 최상부 표면들보다 더 높은,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층은 텅스텐, 코발트, 알루미늄, 구리, 실리사이드들, 또는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층은,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각각의 위에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각각과 접촉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측 방향에 따른, 상기 연결 층의 폭은 개개의 소스 구조의 폭 이하인,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들 각각은, 인터리빙된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 및 복수의 절연 부분들 위에 절단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 각각은 상기 개개의 소스 구조에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 내의 대응하는 전도체 층들과 접촉하고, 상기 복수의 절연 부분들 각각은 상기 개개의 소스 구조에 인접한 메모리 블록들 내의 대응하는 절연 층들과 접촉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층의 제2 부분의 최상부 표면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의 최상부 표면들보다 더 높은,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구조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구조의 두께는 인터리빙된 2개의 전도체 층들과 2개의 절연 층들 및 인터리빙된 4개의 전도체 층들과 4개의 절연 층들 사이이고;
    상기 개개의 소스 구조가 연장되는 측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측 방향에 따른, 상기 절단 구조의 폭은 상기 개개의 소스 구조의 폭 이하인,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은 코발트, 알루미늄, 구리, 실리사이드들, 또는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과 상기 연결 층 사이에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소스 콘택들 중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과 지지 구조 사이에 접착 층을 더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층은 티타늄 질화물을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 구조들 각각은 상기 기판과 접촉하고 상기 기판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에피택셜 부분, 상기 에피택셜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에피택셜 부분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반도체 채널, 및 상기 반도체 채널과 접촉하고 상기 반도체 채널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드레인 구조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27.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택 구조에 절단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택 구조는 인터리빙된 복수의 초기 희생층들 및 복수의 초기 절연 층들을 포함함―;
    슬릿 구조 및 초기 지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절단 구조에 인접한 상기 스택 구조의 부분들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초기 지지 구조는 상기 슬릿 구조를 복수의 슬릿 개구들로 분할함―;
    상기 지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슬릿 개구들을 통해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슬릿 개구들 각각에 소스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슬릿 개구들 중 인접한 슬릿 개구들에서 상기 소스 콘택들과 접촉하고 상기 소스 콘택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 위에 캡 층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부분들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캡 층을 통해 상기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과 접촉하고 상기 제1 부분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상기 연결 층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층의 제2 부분에 소스 전압이 인가되고,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은 상기 연결 층에 접촉하고 상기 연결 층에 의해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층은 전도성 층이고 상기 2개의 인접한 소스 콘택들 각각과 접촉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캡 층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을 커버하기 위해 캡 재료 층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 구조 및 상기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캡 재료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층의 한 쌍의 제1 부분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슬릿 개구들 중 인접한 슬릿 개구들에서 소스 콘택들 위에 전도성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연결 층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캡 층의 제거된 부분들을 충전(fill up)하기 위해 상기 전도성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캡 재료 층과 상기 연결 층의 한 쌍들의 제1 부분들 사이에 접착 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택 구조에 절단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 개구를 충전하기 위해 유전체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구조 및 초기 지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절단 구조에 인접한 스택 구조의 부분들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절단 구조 및 인터리빙된 복수의 희생 부분들 및 복수의 절연 부분들이 상기 초기 지지 구조를 형성하도록, 기판을 노출시키는 상기 슬릿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측 방향을 따라 상기 절단 구조에 인접한 스택 구조의 부분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리세스 부분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슬릿 개구들을 통해, 상기 지지 구조 내의 상기 복수의 희생 부분들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리세스 부분들을 충전하도록 전도체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 부분들이 상기 초기 지지 구조와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도체 부분들을 형성하는 동일한 동작들로, 상기 스택 구조의 복수의 블록 부분들에 복수의 전도체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도체 층들은,
    복수의 측방향 리세스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슬릿 개구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블록 부분들 내의 복수의 희생층들을 제거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도체 층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측방향 리세스들을 충전하도록 상기 전도체 재료를 증착함으로써
    형성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개의 슬릿 개구를 충전하기 위해 코발트, 알루미늄, 구리, 실리사이드들, 또는 폴리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절연 구조가 기판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소스 콘택 전에 상기 슬릿 개구에 상기 절연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구조와 상기 지지 구조 사이에 다른 접착 층을 증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217030923A 2019-08-13 2019-08-13 소스 구조를 갖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 KR102655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00357 WO2021026759A1 (en) 2019-08-13 2019-08-13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ource structur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708A KR20210129708A (ko) 2021-10-28
KR102655098B1 true KR102655098B1 (ko) 2024-04-04

Family

ID=6892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923A KR102655098B1 (ko) 2019-08-13 2019-08-13 소스 구조를 갖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27757B2 (ko)
EP (1) EP3921868B1 (ko)
JP (1) JP7286794B2 (ko)
KR (1) KR102655098B1 (ko)
CN (2) CN113270418B (ko)
TW (1) TWI722611B (ko)
WO (1) WO2021026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215A (ko) 2019-08-13 2021-12-20 양쯔 메모리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소스 구조를 갖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형성 방법
CN110622310B (zh) 2019-08-13 2021-05-25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源极结构的三维存储设备和用于形成其的方法
CN113270418B (zh) 2019-08-13 2023-04-04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源极结构的三维存储设备和用于形成其的方法
KR20220002467A (ko) * 2019-08-30 2022-01-06 양쯔 메모리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접착 층에 의해 접속된 소스 접점들을 갖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형성 방법들
WO2021174381A1 (en) * 2020-03-02 2021-09-10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ource structur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41419A1 (en) * 2014-11-13 2016-05-19 SanDisk Technologies, Inc. Three dimensional nand device having reduced wafer bowing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20160148945A1 (en) 2014-11-25 2016-05-26 SanDisk Technologies, Inc. Metal word lines for three dimensional memory devices
WO2019104896A1 (en) 2017-11-30 2019-06-06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ource structure of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765B1 (ko) 2010-12-31 2012-02-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21177A (ko) 2011-04-26 2012-11-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0150A (ko) 2011-12-19 2013-06-2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3차원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메모리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89795A1 (zh) 2012-12-13 2014-06-19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垂直沟道型三维半导体存储器件及其制备方法
KR101997269B1 (ko) * 2013-06-24 2019-07-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128465B1 (ko) * 2014-01-03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20150116995A (ko) 2014-04-09 201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메모리 장치
US9455263B2 (en) 2014-06-27 2016-09-27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 dimensional NAND device with channel contacting conductive source lin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425205B2 (en) 2014-09-12 2016-08-23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WI595601B (zh) 2015-01-28 2017-08-11 旺宏電子股份有限公司 記憶體元件及其製作方法
US9443868B1 (en) 2015-03-19 2016-09-13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74661B2 (en) * 2015-05-08 2018-09-11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junction memory device and method reading thereof using hole current detection
KR20160138765A (ko) 2015-05-26 2016-12-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슬리밍 구조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679906B2 (en) * 2015-08-11 2017-06-13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s containing memory block bridges
US20170104000A1 (en) 2015-10-13 2017-04-13 Joo-Hee PARK Vertical memory devices
US9478495B1 (en) * 2015-10-26 2016-10-25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 dimensional memory device containing aluminum source contact via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831266B2 (en) * 2015-11-20 2017-11-28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NAND device containing support pedestal structures for a buried source li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917100B2 (en) * 2015-11-20 2018-03-13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NAND device containing support pedestal structures for a buried source li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581032B1 (ko) 2015-12-08 2023-09-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70194345A1 (en) 2015-12-30 2017-07-06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5454B1 (ko) 2016-01-08 2022-12-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859363B2 (en) * 2016-02-16 2018-01-02 Sandisk Technologies Llc Self-aligned isolation dielectric structures for a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CN107958909B (zh) * 2016-10-17 2020-09-2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闪存器件及其制造方法
US9985098B2 (en) 2016-11-03 2018-05-29 Sandisk Technologies Llc Bulb-shaped memory stack structures for direct source contact i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KR102630954B1 (ko) 2016-11-08 2024-01-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6920796B (zh) 2017-03-08 2019-02-15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3d nand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CN107968091A (zh) * 2017-11-16 2018-04-27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共源极钨墙与钨栅极之间高质量间隙层的3d nand制备方法
US10147732B1 (en) 2017-11-30 2018-12-04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ource structure of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2561009B1 (ko) * 2018-01-29 2023-07-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3차원 구조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09003983B (zh) 2018-07-19 2020-11-13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3d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WO2020113590A1 (en) 2018-12-07 2020-06-11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s and fabricating methods thereof
CN109742083B (zh) * 2019-01-02 2021-08-31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三维存储器及其制造方法
JP2022510650A (ja) * 2019-01-18 2022-01-27 長江存儲科技有限責任公司 三次元メモリ装置のソースコンタクト構造、および三次元メモリ装置のソースコンタクト構造の製作方法
WO2020155032A1 (en) * 2019-01-31 2020-08-06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Methods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out conductor residual caused by dishing
CN110024126B (zh) 2019-02-26 2020-06-26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三维存储器件及其形成方法
CN109997226A (zh) * 2019-02-26 2019-07-09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三维存储器件及其形成方法
CN110112134B (zh) * 2019-06-17 2020-05-19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3d nand存储器及其形成方法
CN110211965B (zh) 2019-06-17 2020-06-23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3d nand存储器及其形成方法
US11043455B2 (en) * 2019-07-23 2021-06-22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including self-aligned dielectric isolation regions for connection via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3270418B (zh) 2019-08-13 2023-04-04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源极结构的三维存储设备和用于形成其的方法
CN110622310B (zh) 2019-08-13 2021-05-25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源极结构的三维存储设备和用于形成其的方法
KR20220002492A (ko) 2019-08-30 2022-01-06 양쯔 메모리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접착 층에 의해 접속된 소스 접점들을 갖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형성 방법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41419A1 (en) * 2014-11-13 2016-05-19 SanDisk Technologies, Inc. Three dimensional nand device having reduced wafer bowing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20160148945A1 (en) 2014-11-25 2016-05-26 SanDisk Technologies, Inc. Metal word lines for three dimensional memory devices
WO2019104896A1 (en) 2017-11-30 2019-06-06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ource structure of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8871A (ja) 2022-06-16
EP3921868A4 (en) 2022-08-03
TWI722611B (zh) 2021-03-21
KR20210129708A (ko) 2021-10-28
EP3921868A1 (en) 2021-12-15
CN113270418A (zh) 2021-08-17
US11127757B2 (en) 2021-09-21
JP7286794B2 (ja) 2023-06-05
WO2021026759A1 (en) 2021-02-18
CN110622312A (zh) 2019-12-27
EP3921868B1 (en) 2024-01-31
CN113270418B (zh) 2023-04-04
TW202107630A (zh) 2021-02-16
US20210050367A1 (en) 2021-02-18
CN110622312B (zh)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5772B2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ource structur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WO2020252892A1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upport structures in slit structur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11716850B2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upport structures in gate line slit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094712B2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upport structures in slit structur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2655098B1 (ko) 소스 구조를 갖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
WO2020252891A1 (en) Methods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upport structure and resulting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JP2023143930A (ja) ドレイン選択ゲートカット構造を備えた三次元メモリデバイスおよびこれ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US11101286B2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ource structur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183512B2 (en) Methods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upport structure and resulting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US20210066461A1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ource contacts connected by an adhesion layer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58723B2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ource contacts connected by an adhesion layer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805650B2 (e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source structur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102669053B1 (ko) 드레인 선택 게이트 컷 구조체를 구비한 3차원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