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103B1 -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103B1
KR102654103B1 KR1020220006841A KR20220006841A KR102654103B1 KR 102654103 B1 KR102654103 B1 KR 102654103B1 KR 1020220006841 A KR1020220006841 A KR 1020220006841A KR 20220006841 A KR20220006841 A KR 20220006841A KR 102654103 B1 KR102654103 B1 KR 102654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holder
connection terminal
mold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1079A (ko
Inventor
장재원
Original Assignee
(주)번영테크
장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번영테크, 장재원 filed Critical (주)번영테크
Priority to KR102022000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103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48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combined with contact member manufactu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3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lips, clamps, or like fastening or attaching devices, e.g. for electric installation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형상이 상이한 복수 개의 접속단자(터미널단자)를 프레스 금형에 의해 성형할 경우 단계적으로 성형하여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는
프레스에 설치되고, 피이딩되는 판형 소재로부터 임의의 접속단자를 이루는 형상이 상이한 제1제품, 제2제품, 제3제품을 단계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포함하는 접속단자 성형장치에 적용되고,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소재를 회전시 피이딩시키는 언코일러;
상기 하부금형은 하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다이와, 상기 하부지지다이에 결합되고 상기 언코일러부터 피이딩되는 상기 소재로부터 상기 제1제품, 제2제품, 제3제품을 단계적으로 타발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재 가장자리를 협지하여 승강되고 상기 소재 이송방향으로 동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제1,2열 리프터핀과, 상기 제1,2,3제품을 단계적으로 타발하여 성형하기 위한 제1성형부가 상기 제1,2열의 리프터핀 사이에 상기 소재 이송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은 상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다이와, 상기 상부지지다이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펀치가 형성되는 펀치 홀더와, 상기 펀치 홀더와 이격되고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핀과 대응되게 동일직선상에 반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제1성형부와 대응되게 상기 제1,2열의 결합홀 사이에 상기 소재 이송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성형부가 형성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connection terminal manufacturing device and connection termina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형상이 상이한 복수 개의 접속단자(터미널단자)를 프레스 금형에 의해 성형할 경우 단계적으로 성형하여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피어싱 금형은 펀치 홀더를 구비하는 상부 금형과, 성형 다이를 구비하는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언코일러(uncoiler)로부터 피이딩되는 평판 소재를 하부 금형에 안착시킨 후, 상부 금형을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하부 금형에 합형시킴에 따라 펀치 홀더에 구비된 펀치가 성형 다이에 안착된 소재에 홀이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의 가격을 낮추어 동업종분야에서 가격경쟁력을 갖도록, 소재를 하부 금형 및 상부 금형에 의해 임의의 형상을 갖도록 제품을 성형할 경우에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하여 소재 낭비되는 것을 줄이고, 한 번의 성형공정에 의해 임의의 제품을 형성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피어싱 금형 및 성형방법이 동업종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84430호(2014.07.07)에 피어싱 금형이 출원공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형상이 상이한 복수 개의 접속단자를 프레스 금형에 의해 성형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하여 소재 낭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피이딩되는 평판 소재로부터 접속단자(터미널단자)를 이루는 형상이 상이한 제1,2,3제품(일 예로서, 힌지 히터 링크브라킷, 평 와셔, 컨택트 링)을 한 번의 공정(1싸이클)에 의해 단계적으로 성형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는
프레스에 설치되고, 피이딩되는 판형 소재로부터 임의의 접속단자를 이루는 형상이 상이한 제1제품, 제2제품, 제3제품을 단계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포함하는 접속단자 성형장치에 적용되고,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소재를 회전시 피이딩시키는 언코일러;
상기 하부금형은 하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다이와, 상기 하부지지다이에 결합되고 상기 언코일러부터 피이딩되는 상기 소재로부터 상기 제1제품, 제2제품, 제3제품을 단계적으로 타발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재 가장자리를 협지하여 승강되고 상기 소재 이송방향으로 동일직선상에 제1,2열로 형성되는 리프터핀과, 상기 제1,2,3제품을 단계적으로 타발하여 성형하기 위한 제1성형부가 상기 제1,2열의 리프터핀 사이에 상기 소재 이송방향으로 임의형태를 유지하여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은 상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다이와, 상기 상부지지다이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펀치가 형성되는 펀치 홀더와, 상기 펀치 홀더와 이격되고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핀과 대응되게 동일직선상에 반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제1성형부와 대응되게 상기 제1,2열의 결합홀 사이에 상기 소재 이송방향으로 임의형태를 유지하여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성형부가 형성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방법은
언코일러로부터 피이딩되는 판형 소재로부터 임의의 접속단자를 이루는 형상이 상이한 제1제품, 제2제품, 제3제품을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방법에 적용되고,
상기 제1제품의 제1홀을 상기 상부금형의 펀치 홀더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타발하는 단계;
상기 소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파일럿 홀을 상기 상부금형의 펀치 홀더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대향되게 동일선상으로 타발하는 단계;
상기 제1제품의 제2홀과, 제2제품의 홀을 상기 상부금형의 펀치 홀더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타발하는 단계;
상기 제1,2제품의 홀에 형성된 버(burr)를 제거하기 위해 블랭킹하는 단계;
상기 제3제품의 연장부 홀을 상기 상부금형의 펀치 홀더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타발하는 단계;
상기 제1,2제품을 상기 상부금형의 펀치 홀더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상기 소재로부터 블랭킹하는 단계;
상기 제3제품의 메인 홀을 상기 상부금형의 펀치 홀더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타발하는 단계;
상기 제3제품의 메인 홀을 상기 상부금형의 펀치 홀더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포밍하는 단계;
상기 제3제품의 메인 홀을 상기 상부금형의 펀치 홀더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트리밍하는 단계;
상기 제3제품을 상기 소재로부터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소재로부터 상기 제1,2,3제품을 단계적으로 성형하여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방법을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형상이 상이한 복수 개의 접속단자를 프레스 금형에 의해 성형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하여 소재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에 따라 원가비용을 줄여 동업종 분야에서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이딩되는 소재로부터 접속단자를 형성하는 형상이 상이한 제1,2,3제품을 한 번의 공정(1싸이클)에 의해 단계적으로 성형하여 작업공정 단축으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금형의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부금형의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성형장치에 의해 접속단자 성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대용사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성형장치에 의해 접속단자를 단계적으로 성형하는 금형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접속단자의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성형장치에 의해 평판 소재로부터 형상이 상이한 제1,2,3제품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성형장치에 의해 접속단자를 단계적으로 성형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업공정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는
프레스(미 도시)에 설치되고, 피이딩되는 판형 소재(10)로부터 임의의 접속단자(일 예로서, 회전식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를 이루는 형상이 상이한 제1제품(11), 제2제품(12), 제3제품(13)을 단계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상부금형(14) 및 하부금형(15)을 포함하는 접속단자 성형장치에 적용되고,
롤 형태로 권취된 소재(10)를 회전시 피이딩(feeding)시키는 언코일러(uncoiler)(미 도시);
하부금형(15)은 하부홀더(16)(lower holder)와, 하부홀더(16)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다이(17)와, 하부지지다이(17)에 결합되고 언코일러부터 간헐적(間歇的)으로 피이딩되는 소재(10)로부터 형상이 상이한 제1제품(11), 제2제품(12), 제3제품(13)을 단계적으로 타발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재(10) 가장자리를 협지(夾紙)하여 승강되고, 소재(10) 이송방향으로 동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제1,2열 리프터핀(18,19)과, 제1,2,3제품(11,12,13)을 단계적으로 타발하여 성형하기 위한 제1성형부(20)가 제1,2열의 리프터핀(18,19) 사이에 소재(10) 이송방향으로 임의형태를 유지하여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이 플레이트(die plate)(21)를 포함하고,
상부금형(14)은 상부홀더(22)(upper holder)와, 상부홀더(22)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다이(23)와, 상부지지다이(23)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펀치가 형성되는 펀치 홀더(24)와, 펀치 홀더(24)와 이격되고 형성되고 리프터핀(18,19)과 대응되게 동일직선상에 반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25,26)과, 제1성형부(20)와 대응되게 제1,2열의 결합홀(25,26) 사이에 소재(10) 이송방향으로 임의형태를 유지하여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성형부(27)가 형성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부금형(15) 및 상부금형(14)에 이송되는 판형 소재(10)가 자중에 의해 처져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로드(rod)(29)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할 경우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판단하여 상부금형(14)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안전용 검출센서(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2열의 리프터핀(18,19) 대향면에 형성되고, 소재(10)를 다이 플레이트(2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협지하여 직선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협지홈(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열 리프터핀(18,19) 중, 제1열 리프터핀(18)의 두 번째 리프터핀(32)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제1열 첫 번째 리프터핀(33)의 협지홈을 통관한 소재(10)가 두 번째 리프터핀(32)의 협지홈에 직선이동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전술한 제1제품(11)은 헤어드라이어용 접속단자를 이루고, 제1,2홀(11a,11b)이 형성되는 히터용 커넥터 링크브라킷(heater connector link bracket)이고
제2제품(12)은 헤어드라이어용 접속단자를 이루는 평 와셔(flat washer)이며,
제3제품(13)은 헤어드라이어용 접속단자를 이루고, 홀(13a)이 형성된 연장부가 돌출 형성되는 컨택트 링(conntact 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방법은
언코일러(uncoiler)(미 도시)로부터 간헐적으로 피이딩(feeding)되는 판형 소재(10)로부터 임의의 접속단자(일 예로서, 회전식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를 이루는 형상이 상이한 제1제품(11), 제2제품(12), 제3제품(13)을 상부금형(14) 및 하부금형(15)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방법에 적용되고,
제1제품(11)의 제1홀(11a)을 상부금형(14)의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42)에 의해 타발(piercing)하는 단계(S10);
소재(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파일럿 홀(pilot hole)(35)을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41)에 의해 대향되게 동일선상으로 타발하는 단계(S20);
제1제품(11)의 제2홀(11b)(제1홀(1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과, 제2제품(12)의 홀(12a)을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44)에 의해 타발(piercing)하는 단계(S30);
제1,2제품(11,12)의 홀에 형성된 버(burr)를 제거하기 위해 블랭킹(burring blanking)하는 단계(S40);
제3제품(13)의 연장부의 홀(13a)을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43)에 의해 타발하는 단계(S50);
소재(10)로부터 제1,2제품(11,12)을 상부금형(14)의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블랭킹(blanking)하는 단계(S60);
제3제품(13)의 메인 홀(36)을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45)에 의해 타발하는 단계(S70);
제3제품(13)의 메인 홀(36)을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46)에 의해 포밍(forming)하는 단계(S80);
제3제품(13)의 메인 홀(36)을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47)에 의해 트리밍(trimming)하는 단계(S90);
제3제품(13)을 소재(10)로부터 컷팅(cutting)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여,
소재(10)로부터 제1,2,3제품(11,12,13)을 단계적으로 성형하여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성형방법에 의해 형상이 상이한 복수 개의 접속단자(일 예로서, 제1,2,3제품을 말함)를 성형하는 것을 첨부도면을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통상적인 언코일러(미 도시)에 롤(roll) 형태로 권취된 판형 소재(10)가 간헐적으로 인출되어 한 쌍의 지지롤러(37)에 의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여 수평상태로 하부금형(15) 및 상부금형(14)으로 이루어진 성형장치에 이송되어진다.
이때, 전술한 소재(10)가 통상의 지지롤러(37)를 통과하여 하부금형(15) 및 상부금형(14) 사이에 이송될 경우에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의 로드(29)로 이루어진 안전용 검출센서(30)를 통과하게 된다.
즉, 판형 소재(10)가 자중 등으로 인해 처져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로드(29)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할 경우(터치할 경우)에 통상의 안전용 검출센서(30)에 의한 검출신호를 제어부(미 도시)에 전송함에 따라, 제어부는 소재(10)의 이송 과정이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판단하여 상부금형(14)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에 제어신호를 인가시켜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전술한 소재(10)가 하부금형(15) 및 상부금형(14) 사이에 이송될 경우에, 하부금형(15)을 이루는 다이 플레이트(21)에 소재(10) 이송방향으로 제1,2열로 형성되고, 승강가능한 리프터핀(lifter pin)(18,19)의 외측면 상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협지홈(31)에 안착됨에 따라 다이 플레이트(2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이송된다(도 1 및 도 4 참조).
따라서, 제1,2열의 리프터핀(18,19)의 협지홈(31)을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소재(10)로부터 제1,2,3제품(11,12,13)을 펀치 플레이트(24)에 고정된 해당 펀치에 의해 타발시 리프터핀(18,19)으로부터 소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2열 리프터핀(18,19)의 첫 번째 리프터핀(33)의 협지홈(31)을 통관한 소재(10)가 제1열 리프터핀(18)의 두 번째 리프터핀(32)에 인접하게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34)에 의해 직선이동되도록 안내되므로 두 번째 리프터핀(32)의 협지홈(31)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재(10)는 제1,2열 리프터핀(18,19) 각각의 협지홈(31)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열 리프터핀(18,19) 각각의 협지홈(31)에 안착되어 소재(10)가 간헐적으로 이송하게 되고, 구동부(미 도시) 구동에 의해 상부금형(14)을 하부금형(15)을 향하여 하강시킬 경우에 상부지지다이(23)에 결합된 펀치 홀더(24) 및 펀치 홀더(punch holder)(24)에 이격되게 형성된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28)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단이 상부지지다이(23)에 고정되고, 펀치 홀더(24) 및 스트리퍼 플레이트(28)를 관통하는 가이드 포스트(guide post)(38)(일 예로서, 4개가 사용됨)가 다이 플레이트(21)에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홀(39)에 먼저 결합하게 된다.
상부금형(14)을 더 하강시킬 경우에, 다이 플레이트(21)에 형성된 제1,2열 리프터핀(18,19)과 이와 대응되게 스트리퍼 플레이트(28)에 형성된 결합홀(25,26)이 상호 결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스트리퍼 플레이트(28)가 하강될 경우에, 협지홈(31)에 소재(10)가 안착된 제1,2열 리프터핀(18,19)을 가압하게 되므로 다이 플레이트(21) 상면과스트리퍼 플레이트(28) 바닥면은 서로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통상적인 복수 개의 펀치가 스트리퍼 플레이트(28)를 관통하여 제1,2열 리프터핀(18,19)의 협지홈(31)에 안착된 소재(10)에 다이 플레이트(21)에 형성된 제1성형부(20)와, 이와 대응되게 스트리퍼 플레이트(28)에 형성된 제2성형부(27)에 의해 소정형상의 접속단자(제1,2,3제품(11,12,13))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금형(15)의 다이 플레이트(21)와, 상부금형(14)의 스트리퍼 플레이트(28)가 형합됨에 따라 다이 플레이트(21)의 제1성형부(20)와, 이와 대응되는 스프리퍼 플레이트(28)의 제2성형부(27)에 의해, 판형 소재(10)로부터 제1,2,3제품(11,12,13)을 임의형태로 성형하는 각각의 단위공정(일 예로서, 1-10 단계로 이루어짐)이 완료될 경우에, 제1,2열 리프터핀(18,19)은 하부 홀더(16)에 내설된 탄성부재(40)(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이 플레이트(21) 상면에 가압되기 전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도 8의 S10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1제품(11)의 제1홀(11a)을 펀치 플레이트(24)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타발하게 된다(piercing).
S20에서와 같이, 소재(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파일럿 홀(pilot hole)(35)을 펀치 플레이트(24)에 형성된 펀치(41)에 의해 대향되게 동일선상으로 타발하게 된다(piercing).
S30에서와 같이, 제1제품(11)의 제2홀(11b)과, 제2제품(12)의 홀(12a)을 펀치 플레이트(24)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타발하게 된다(piercing).
S40에서와 같이, 제1,2제품(11,12)의 홀에 형성된 버(burr)를 제거하기 위해 블랭킹하게 된다(burring blanking).
S50에서와 같이, 제3제품(13)의 연장부의 홀(13a)을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타발하게 된다.
S60에서와 같이, 소재(10)로부터 제1,2제품(11,12)을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블랭킹하게 된다(blanking).
S70에서와 같이, 제3제품(13)의 메인 홀(36)을 펀치 플레이트(24)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타발하게 된다(piercing).
S80에서와 같이, 제3제품(13)의 메인 홀(36)을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포밍하게 된다(forming).
S90에서와 같이, 제3제품(13)의 메인 홀(36)을 펀치 홀더(24)에 형성된 펀치에 의해 트리밍하게 된다(trimming).
S100에서와 같이, 제3제품(13)을 소재(10)로부터 컷팅하게 된다(cutting).
이때, 전술한 소재(10)로부터 제1,2제품(11,12)을 성형하기 위한 타발 및 블랭킹과, 제3제품(13)의 메인 홀(36)을 피어싱, 트리밍 및 포밍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업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소재(work piece)
11; 제1제품
12; 제2제품
13; 제3제품
14; 상부금형
15; 하부금형
16; 하부홀더(lower holder)
17; 하부지지다이
18,19; 리프터핀
20; 제1성형부
21; 다이 플레이트(die plate)
22; 상부홀더(upper holder)
23; 상부지지다이
24; 펀치 홀더(punch holder)
25,26; 결합홀
27; 제2성형부
28;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
29; 로드(rod)
30; 안전용 검출센서
31; 협지홈
32,33; 리프터 핀(lifter pin)
34;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
35; 파일럿 홀(pilot hole)
36; 메인홀

Claims (5)

  1. 프레스에 설치되고, 피이딩되는 판형 소재로부터 임의의 접속단자를 이루는 형상이 상이한 제1제품, 제2제품, 제3제품을 단계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포함하는 접속단자 성형장치에 적용되고,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소재를 회전시 피이딩시키는 언코일러;
    상기 하부금형은 하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다이와, 상기 하부지지다이에 결합되고 상기 언코일러부터 피이딩되는 상기 소재로부터 상기 제1제품, 제2제품, 제3제품을 단계적으로 타발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재의 가장자리를 협지하여 승강되고 상기 소재의 이송방향으로 동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제1,2열 리프터핀과, 상기 제1,2,3제품을 단계적으로 타발하여 성형하기 위한 제1성형부가 상기 제1,2열의 리프터핀 사이에 상기 소재의 이송방향으로 임의형태를 유지하여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은 상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다이와, 상기 상부지지다이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펀치가 형성되는 펀치 홀더와, 상기 펀치 홀더와 이격되고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핀과 대응되게 동일직선상에 반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제1성형부와 대응되게 상기 제1,2열의 결합홀 사이에 상기 소재의 이송방향으로 임의형태를 유지하여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성형부가 형성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
    상기 제1,2열 리프터핀의 대향면에 형성되고, 상기 소재를 상기 다이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협지하여 직선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협지홈;
    상기 제1,2열 리프터핀 중, 제1열 리프터핀의 두 번째 리프터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제1열 첫 번째 리프터핀의 협지홈을 통관한 소재가 상기 두 번째 리프터핀의 협지홈에 직선이동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에 이송되는 상기 소재가 자중에 의해 처져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로드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할 경우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상부금형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안전용 검출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06841A 2022-01-17 2022-01-17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2654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841A KR102654103B1 (ko) 2022-01-17 2022-01-17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841A KR102654103B1 (ko) 2022-01-17 2022-01-17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079A KR20230111079A (ko) 2023-07-25
KR102654103B1 true KR102654103B1 (ko) 2024-04-03

Family

ID=8742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841A KR102654103B1 (ko) 2022-01-17 2022-01-17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1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98B1 (ko) 2007-06-13 2008-12-05 (주)한국대화금속 프레스 가공 장치
KR200476379Y1 (ko) * 2013-08-13 2015-02-25 김유석 무부하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599B2 (ja) * 1994-07-05 2000-04-10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電子部品の形状加工装置
KR20090133028A (ko) * 2008-06-23 2009-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KR102026213B1 (ko) * 2018-01-24 2019-1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쇄회로기판의 버형성 방지 성형금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98B1 (ko) 2007-06-13 2008-12-05 (주)한국대화금속 프레스 가공 장치
KR200476379Y1 (ko) * 2013-08-13 2015-02-25 김유석 무부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079A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40222B (zh) 一种雨刮器连杆的自动化成型设备
JP2011212774A (ja) 剪断加工装置及び剪断加工方法
KR102068474B1 (ko) 메탈라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654103B1 (ko)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시킨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2625193B1 (ko) 멀티 포밍구조를 갖는 접속단자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CN111438292A (zh) 一种制作冷凝器端板的模具、冲床装置、制作方法
KR100752690B1 (ko) 연속 프레스기
JP3885510B2 (ja) クランプバネの製造方法
CN210552233U (zh) 用于换向器的云母片冲压装置
JP2001047323A (ja) 接点かしめ方法及び接点かしめ装置
CN113894231A (zh) 冲压用的下模组件及具有该下模组件的双排钩冲压模具
CN211437741U (zh) 横梁连续落料模
CN113441595A (zh) 一种端子冲压机
CN210047096U (zh) 可焊接硅胶制品的安装设备
KR102101359B1 (ko) 롤투롤 방식 이동판재의 디자인 문양 연속 펀칭장치
KR100274336B1 (ko) 스팽글 타발부착장치
JP5556685B2 (ja) 打ち抜き加工装置
CN214184894U (zh) 一种长窄形产品打弯连续模具
CN111570624A (zh) 一种金属零件的生产工艺及其连续模具
CN214161097U (zh) 一种挡点支架的级进模具
JP2007326105A (ja) プレス成形金型およびプレス成形方法
CN204486577U (zh) 一种冲压片状材料的模具
KR20210017804A (ko) 프레스 장치
CN212216795U (zh) 一种用于生产金属零件的连续模具
CN216575308U (zh) 冲压用的下模组件及具有该下模组件的双排钩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