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179B1 - 내시경용 지혈 겸자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지혈 겸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179B1
KR102652179B1 KR1020210114970A KR20210114970A KR102652179B1 KR 102652179 B1 KR102652179 B1 KR 102652179B1 KR 1020210114970 A KR1020210114970 A KR 1020210114970A KR 20210114970 A KR20210114970 A KR 20210114970A KR 102652179 B1 KR102652179 B1 KR 102652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uter tube
coupled
fluid injec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2298A (ko
Inventor
정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to KR102021011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179B1/ko
Priority to PCT/KR2021/011678 priority patent/WO2023033200A1/ko
Priority to US18/169,644 priority patent/US20230190321A1/en
Publication of KR2023003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24Translation movement of handle without rot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1B2017/2929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with a head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61B2017/2939Details of linkages or pivot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3S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며, 유체 주입 포트가 구비된 유체 주입부와, 상기 유체 주입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집게편과, 각각 상기 한 쌍의 집게편과 상기 슬라이더에 양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튜브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지혈 겸자{HEMOSTATIC FORCEPS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용 지혈 겸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집게편의 회전 및 스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유체 주입이 가능한 내시경용 지혈 겸자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내시경 분야는 소화기내과계 진료영역에서 중요한 분야로 인정되고 있으며,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치료내시경, 즉 내시경 치료술은 초소형 고체촬상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의 출현으로부터 전자 소자의 소형화, 영상기술의 발전, 워킹채널을 통한 다양한 진단, 치료기술의 발전 및 진료의사의 수기의 숙련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과거에는 위암 또는 대장암과 같은 경우 외과적 수술 방법에 의존하였으나, 최근에는 내시경의 등장과 더불어 내시경에 구비되는 워킹채널로 삽입되는 처치구를 통하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을 수행함으로써 임상적으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여 조기위암 또는 조기 대장암 등의 내시경적 치료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또는 내시경 점막 절제술(EMR :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시술 시 내시경의 워킹채널을 통하여 삽입되는 처치구에 사용되는 처치용 툴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조직의 점막절제에 사용하는 나이프(Knife)와, 점막절제 등의 과정에서 출혈 시 지혈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코어귤레이터(Coagulator)와, 절제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조직을 부풀리기 위한 수단으로 식염수 등을 주입하는 데 필요한 약물 주입을 위한 니들(Needle) 및 출혈 등으로 인한 시야 확보의 용이성을 위한 워셔액의 주입 등 다양한 종류의 처치구가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26537호에는 종래의 내시경용 고주파 지혈 겸자(20)가 개시되고 있다.
지혈 겸자(20)의 전체 구성을 살펴보면, 고주파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겸자 컵(1)이 가요성 시스(2)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가요성 시스(2)는 밀착권 코일(7)에 전기 절연성의 가요성 튜브(8)를 피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 시스(2)의 손잡이측의 단부(기단부)에 연결된 조작부(3)에는, 가요성 시스(2) 내에 통과시켜진 도전성의 조작 와이어(4)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시키는 조작 부재인 슬라이더(5)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5)를 조작하여 조작 와이어(4)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한 쌍의 겸자 컵(1)이 지지축(12)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개폐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슬라이더(5)의 전진 시 조작 와이어(4)가 휘어져 한 쌍의 겸자 컵(1)의 개방 동작이 곧바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한 쌍의 겸자 컵(1)의 회전 및 스윙 동작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 쌍의 겸자 컵(1)이 회전 가능하다 하더라도, 조작부(3)의 회전을 조작 와이어(4)를 통해 먼 거리에 있는 한 쌍의 겸자 컵(1)까지 전달하기 위해서는 조작 와이어(4)가 어느정도 꼬인 상태가 되어야 회전력이 부여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반응이 느리고 정밀하게 조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혈 부위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울 때 시야 확보를 위해 별도의 유체 주입을 위한 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26537호(2012.03.19.공개)
본 발명은 한 쌍의 집게편의 회전 및 스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유체 주입이 가능한 내시경용 지혈 겸자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며, 유체 주입 포트가 구비된 유체 주입부;와, 상기 유체 주입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집게편;과, 각각 상기 한 쌍의 집게편과 상기 슬라이더에 양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튜브;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우터 튜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집게편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부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2 부재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부재의 내측 단차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후크부는 상기 제1 부재의 내측 단차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면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너 튜브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유체 주입 포트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상기 아우터 튜브와 상기 이너 튜브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중공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아우터 튜브의 내측면에는 코일이 감겨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유체 주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아우터 튜브를 감싸는 보호튜브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와이어를 감싸며 함께 전, 후진하는 이너튜브를 포함함에 따라, 슬라이더를 통해 한 쌍의 와이어를 전, 후진할 때 한 쌍의 와이어가 휘어지고 아우터튜브의 내측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전, 후진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부를 회전시켜 한 쌍의 와이어를 통해 한 쌍의 집게편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때, 이너튜브에 의해 한 쌍의 와이어가 꼬이지 않더라도 핸들부의 회전력을 바로 한 쌍의 집게편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너 튜브가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즉 이너 튜브가 한 쌍의 와이어의 전방 일부분은 감싸지 않음으로써, 와이어가 아우터 튜브와의 이격 공간에서 자유롭게 휘어지면서 스윙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체 주입 포트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아우터 튜브와 이너 튜브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되어 하우징의 중공을 통해 분사될 수 있으며, 분사된 유체가 한 쌍의 집게편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되어 출혈 부위에 용이하게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 겸자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내시경용 지혈 겸자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방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한 쌍의 집게편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3에서 아우터 튜브를 제거하고 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전방부에서 아우터 튜브를 제거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전방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 겸자에서 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시경용 지혈 겸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도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 겸자(1)를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 겸자(1)는 크게, 핸들부(100), 슬라이더(200), 유체 주입부(300), 아우터 튜브(400), 하우징(500), 한 쌍의 집게편(600), 한 쌍의 와이어(700) 및 이너 튜브(80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00)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중공을 갖는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핸들부(100)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어떤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핸들부(100)에는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핸들부(100)의 일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핸들부(100)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이동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200)가 핸들부(100)의 이동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이동홀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핸들부(100)의 일부 외면에는 핸들 슬라이더(200)가 약한 힘에 의해 핸들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홈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핸들부(100)의 일단에는 핸들고리(102)가 형성되고, 슬라이더(200)의 양측에는 슬라이더고리(2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핸들고리(102)와 슬라이더고리(202)에 끼워 내시경용 지혈 겸자를 잡고 슬라이더(2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즉, 핸들고리(102)에 엄지를 끼우고 슬라이더고리(202)에 검지와 중지를 끼워 엄지를 고정한 상태로 검지와 중지를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더(200)를 핸들부(100)에 대해 전, 후진 이동 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왼쪽, 즉 핸들부(100)가 형성되는 측을 후방으로, 오른쪽, 즉 한 쌍의 집게편(600)이 형성되는 측을 전방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200)가 한 쌍의 집게편(600) 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은 전진, 슬라이더(200)가 한 쌍의 집게편(6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은 후진이 된다.
슬라이더(200)에는 한 쌍의 와이어(700)가 결합되어 함께 전, 후진 하게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슬라이더(200)에는 플러그(220)가 구비되며, 플러그(220)에는 별도의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고주파 발전기에서 고주파를 공급받기 위해 고주파 연결선 등이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220)는 슬라이더(200)의 일측에서 핸들부(100)의 중공까지 연장되어, 핸들부(100)의 중공 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700)에 접속됨으로써 고주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면 한 쌍의 와이어(700)를 통해 이에 연결된 한 쌍의 집게편(600)가지 고주파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유체 주입부(300)는 핸들부(1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 식염수 등의 유체를 공급받기 위해 돌출된 관 형태의 유체 주입 포트(320)를 포함한다. 유체 주입부(300)는 중공을 가지며, 유체 주입 포트(320)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는 내부의 중공으로 유동된다. 한 쌍의 와이어(700)는 핸들부(100)의 중공으로부터 유체 주입부(300)의 중공까지 연장되어 관통한다.
본 실시 예에서, 유체 주입부(300)는 핸들부(100)에 별도의 커넥터(900)를 통해 연결되고 있다. 커넥터(900)에 의해 유체 주입부(300) 내부의 중공의 일단부가 막히게 되며, 유체 주입부(300)와 커넥터(9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9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00)가 커넥터(9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900)를 고정한 채로 핸들부(100) 전체를 회전할 수 있다.
아우터 튜브(400)는 유체 주입부(300)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해, 유체 주입부(300)로 주입된 유체가 아우터 튜브(400)의 내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유체는 아우터 튜브(400)와 이너 튜브(8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유체 주입부(300)의 전방 단부에는 아우터 튜브(400)를 감싸는 보호튜브(1000)가 결합되고 있다. 보호튜브(1000)는 아우터 튜브(400)의 재료보다 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아우터 튜브(400)를 보호하고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튜브(1000)는 테프론(teflon) 튜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우터 튜브(400)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절연성 및 가요성을 갖는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튜브(400)는 유체 주입부(3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보호튜브(10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튜브(400)의 내측면에는 코일(420)이 감겨있을 수 있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튜브(400)의 전방 단부에는 한 쌍의 집게편(600)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500)이 결합된다. 하우징(500)은 한 쌍의 집게편(600)이 서로 개폐 동작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500)은 아우터 튜브(4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부재(520)와, 제1 부재(5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의 집게편(600)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5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부재(540)는 제1 부재(520)에 연결부재(56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있다.
제1 부재(520)는 제1 중공(522)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아우터 튜브(400)의 전방 단부에 고정된다. 제2 부재(540)도 제2 중공(542)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원통형의 몸체로부터 서로 마주보며 뻗어나오는 한 쌍의 아암(544)을 포함한다. 한 쌍의 아암(544)에는 한 쌍의 집게편(600)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아암(544)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설치된 핀(546)에 한 쌍의 집게편(600)이 나란히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부재(560) 또한 제3 중공(562)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제2 부재(540)의 원통형의 몸체 내측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 부재(5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단차(524)에 결합된다. 제1 부재(520)의 내측면에는 전방을 향해 단이 높아지도록 단차(524)가 형성되고 있으며, 연결부재(560)의 타단부가 단차(524)에 결합됨에 따라, 제2 부재(540)가 제1 부재(520)에 대해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520)와 제2 부재(540)가 축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면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2 부재(540)가 제1 부재(520)에 대해 회전할 때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 쌍의 집게편(600)은 각각 서로 맞물리는 폐쇄면을 갖는 제1 집게편(600a) 및 제2 집게편(600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집게편(600a)은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폐쇄면(602a)을 갖고, 제2 집게편(600b)은 제1 폐쇄면(602a)과 맞물리도록 상측에 배치되는 제2 폐쇄면(602b)을 갖는다. 제1 폐쇄면(602a)과 제2 폐쇄면(602b)은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시 톱니형상의 정상부들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맞물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폐쇄 시 제1 폐쇄면(602a)과 제2 폐쇄면(602b)의 톱니형상의 정상부들이 번갈아 맞물린 상태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지혈 부위를 한 쌍의 집게편(60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슬라이더(200)를 당겨 폐쇄하게 되면,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에 의해 지혈 부위가 소작 응고되어 지혈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한 쌍의 집게편(600)의 개폐 동작을 위해 한 쌍의 집게편(600)에는 한 쌍의 와이어(700)가 연결된다. 한 쌍의 와이어(700)는 구체적으로, 양단이 각각 제1 집게편(600a)과 슬라이더(200)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700a) 및 양단이 각각 제2 집게편(600b)과 슬라이더(200)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700b)를 포함한다. 제1 와이어(700a)와 제2 와이어(700b)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시키기 위해, 하우징(500)의 내부로부터 한 쌍의 집게편(600)을 향해 연장되는 분리판(58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와이어(700a)와 제2 와이어(700b)가 분리판(580)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측에 배치됨에 따라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200)를 후진시키면 이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700)가 함께 후진하면서 한 쌍의 집게편(600)이 폐쇄되고, 슬라이더(200)를 전진시키면 이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700)가 함께 전진하면서 한 쌍의 집게편(600)이 개방된다.
본 발명은 슬라이더(200)를 통해 한 쌍의 와이어(700)를 용이하게 전, 후진 시킬 수 있도록,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와이어(700)를 감싸도록 아우터 튜브(4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튜브(800)를 포함한다.
이너 튜브(800)가 한 쌍의 와이어(700)를 감싸며 함께 전, 후진함에 따라 한 쌍의 와이어(700)의 직진성을 유지하여 후진 뿐만 아니라 전진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진 시 한 쌍의 와이어(700)가 휘어지면서 아우터 튜브(400)의 내측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유체 주입부(300)에 대해 핸들부(100)를 회전시키고, 이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700)를 통해 한 쌍의 집게편(600)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때, 이너 튜브(800)에 의해 한 쌍의 와이어(700)가 꼬이지 않더라도 핸들부(100)의 회전력을 한 쌍의 집게편(600)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주입부(300)를 잡고 핸들부(1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유체 주입부(300)와 이에 연결된 아우터 튜브(400)는 고정된 상태로 핸들부(100)와 슬라이더(200), 그리고 이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700), 이너 튜브(800), 한 쌍의 집게편(6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500)의 제2 부재(540)가 제1 부재(520)에 대해 회전 용이하게 결합되고 있으므로(도 7의 R방향), 한 쌍의 집게편(600)이 핸들부(1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즉각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너 튜브(800)는 하우징(500)의 단부로부터, 정확하게는 제1 부재(520)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너 튜브(800)가 한 쌍의 와이어(700)의 전방 일부분은 감싸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너 튜브(800)가 배치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한 쌍의 와이어(700)가 아우터 튜브(400)와의 이격 공간에서 자유롭게 펴지거나 휘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집게편(600) 전체가 핀(546)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스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7의 S방향). 예를 들어, 출혈 위치에 따라 제2 집게편(600b)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해지는 힘(F)이 발생했을 때, 한 쌍의 집게편(600)이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제2 집게편(600b)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유체 주입 포트(320)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분사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유체 주입부(300)의 중공으로부터 아우터 튜브(400)와 이너 튜브(8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전방으로 유동된 후, 하우징(500)의 중공을 통해 분사된다(도 8의 화살표 참조). 하우징(500)의 중공을 통해 분사된 유체는 한 쌍의 집게편(600)을 만나 집게편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출혈 부위에 유체를 정확하게 분사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집게편(600)이 폐쇄되어 있을 때 유체를 중심으로 모아주어 출혈 부위에 보다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9 및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 겸자를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실시 예와 하우징의 구조만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하므로, 상이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2500)은 아우터 튜브(4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집게편(600)이 서로 개폐 동작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500)은 아우터 튜브(4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부재(2520)와, 제1 부재(25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의 집게편(600)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2540)를 포함한다.
제1 부재(2520)는 제1 중공(2522)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아우터 튜브(400)의 전방 단부에 고정된다. 제2 부재(2540)도 제2 중공(2542)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원통형의 몸체로부터 서로 마주보며 뻗어나오는 한 쌍의 아암(2544)을 포함한다. 한 쌍의 아암(2544)에는 한 쌍의 집게편(600)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아암(2544)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설치된 핀(2546)에 한 쌍의 집게편(600)이 나란히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부재(2540)는 제1 부재(2520)를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후크부(2548)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후크부(2548)는 제1 부재(25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단차(2524)에 결합된다. 제1 부재(2520)의 내측면에는 전방을 향해 단이 높아지도록 단차(2524)가 형성되고 있으며, 제2 부재(2540)의 복수의 후크부(2548)가 단차(2524)에 결합됨에 따라, 제2 부재(2540)가 제1 부재(2520)에 대해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부재(2520)와 제2 부재(2540)가 축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면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2 부재(2540)가 제1 부재(2520)에 대해 회전할 때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내시경용 지혈 겸자 100: 핸들부
102: 핸들고리 200: 슬라이더
202: 슬라이더고리 220: 플러그
300: 유체 주입부 320: 유체 주입 포트
400: 아우터 튜브 420: 코일
500, 2500: 하우징 520, 2520: 제1 부재
522, 2522: 제1 중공 524, 2524: 단차
540, 2540: 제2 부재 542, 2542: 제2 중공
544, 2544: 한 쌍의 아암 546, 2546: 핀
560: 연결부재 562: 제3 중공
580: 분리판 600, 600a, 600b: 집게편
602a, 602b: 폐쇄면 700, 700a, 700b: 와이어
800: 이너 튜브 900: 커넥터
920: 실링부 1000: 보호튜브
2548: 후크부

Claims (10)

  1.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며, 유체 주입 포트가 구비된 유체 주입부;
    상기 유체 주입부로부터 연장되는 아우터 튜브;
    상기 아우터 튜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집게편;
    각각 상기 한 쌍의 집게편과 상기 슬라이더에 양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와 일체로 전, 후진하고, 상기 아우터 튜브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되는 이너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주입 포트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상기 아우터 튜브와 상기 이너 튜브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중공을 통해 분사되고,
    상기 아우터 튜브의 내측면에는 코일이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우터 튜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집게편이 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부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2 부재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부재의 내측 단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후크부는 상기 제1 부재의 내측 단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내측 단차는 상기 제1 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제2 부재의 방향을 향해 단이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면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튜브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주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아우터 튜브를 감싸는 보호튜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지혈 겸자.
KR1020210114970A 2021-08-30 2021-08-30 내시경용 지혈 겸자 KR102652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970A KR102652179B1 (ko) 2021-08-30 2021-08-30 내시경용 지혈 겸자
PCT/KR2021/011678 WO2023033200A1 (ko) 2021-08-30 2021-08-31 내시경용 지혈 겸자
US18/169,644 US20230190321A1 (en) 2021-08-30 2023-02-15 Hemostatic forceps for endosc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970A KR102652179B1 (ko) 2021-08-30 2021-08-30 내시경용 지혈 겸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298A KR20230032298A (ko) 2023-03-07
KR102652179B1 true KR102652179B1 (ko) 2024-03-29

Family

ID=8541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970A KR102652179B1 (ko) 2021-08-30 2021-08-30 내시경용 지혈 겸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90321A1 (ko)
KR (1) KR102652179B1 (ko)
WO (1) WO2023033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2196S1 (en) * 2020-07-07 2024-04-09 Olympus Corporation Operating unit of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084A (ja) 1999-02-09 2000-08-22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生検鉗子
KR100964082B1 (ko) * 2009-09-15 2010-06-1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생검 겸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8485B2 (ja) * 2003-09-10 2009-10-07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鉗子
KR101164286B1 (ko) * 2005-08-11 2012-07-09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처치구
CN102421385B (zh) 2009-05-13 2014-10-29 住友电木株式会社 内窥镜高频止血钳
KR101662448B1 (ko) * 2015-05-21 2016-10-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교체가 가능한 헤드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KR101800075B1 (ko) * 2015-05-21 2017-12-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부의 방향 제어가 가능한 내시경용 생검 겸자
KR102026938B1 (ko) * 2017-06-13 2019-09-30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하이브리드 나이프
KR20190008744A (ko) * 2017-07-17 2019-01-25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084A (ja) 1999-02-09 2000-08-22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生検鉗子
KR100964082B1 (ko) * 2009-09-15 2010-06-1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생검 겸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0321A1 (en) 2023-06-22
WO2023033200A1 (ko) 2023-03-09
KR20230032298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6733B2 (en) Endoscopic instrument having a deflectable distal tool
JP6584568B2 (ja) 流体移送用及び電子的外科手術用の医療装置
JP3722729B2 (ja) 内視鏡用処置装置
US7060024B2 (en) Apparatus for guiding an instrument used with an endoscope
JP6084338B2 (ja) 内視鏡的粘膜下層剥離術用デバイス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4716939B2 (ja) 内視鏡用処置具
BR112020004123A2 (pt) aparelho eletrocirúrgico
CN108523985A (zh) 一种多功能高频电切开刀
KR102652179B1 (ko) 내시경용 지혈 겸자
US11980413B2 (en) Interface joint for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JP4624692B2 (ja) 内視鏡用処置具
US9743977B2 (en) Medical devices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2017527398A (ja) 選択的に回転するハンドルを有する外科用器具
CN216823631U (zh) 消化内镜手术用多功能手术器材
KR102537383B1 (ko) 미세 회전 조절용 결속 장치를 갖는 의료용 스네어
KR102212719B1 (ko) 내시경용 처치장치
CN114569234A (zh) 内镜手术用多功能圈套器
JP2023067805A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21006142A (ja) 内視鏡用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