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448B1 - 교체가 가능한 헤드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 Google Patents

교체가 가능한 헤드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448B1
KR101662448B1 KR1020150070886A KR20150070886A KR101662448B1 KR 101662448 B1 KR101662448 B1 KR 101662448B1 KR 1020150070886 A KR1020150070886 A KR 1020150070886A KR 20150070886 A KR20150070886 A KR 20150070886A KR 101662448 B1 KR101662448 B1 KR 101662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orceps
wire
tube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지현
박철우
박철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7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 부재(110); 상기 튜브 부재 내에서 연장되는 조작 와이어(120); 상기 튜브 부재에 결합되는 몸체부(141)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겸자편(146a, 146b)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겸자부(145)와, 상기 겸자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과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149)를 구비하는 헤드부(140);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과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결합 구조(150); 및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과 상기 연결 와이어의 후단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결합 구조(160)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생검 겸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체가 가능한 헤드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ENDOSCOPIC INSTRUMENT WITH REPLACEABLE HEAD PORTION}
본 발명은 내시경용 생검 겸자와 같은 내시경용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용 처치구의 일종인 내시경용 생검 겸자는 내시경 검사 시 내시경에 별도로 마련된 워킹 채널을 통해 삽입되어서 조직 생검에 사용되는 의료 기구이다. 생검 겸자는 대장 내 또는 위 내의 생체 조직을 떼어내는 침습적인 의료기구이기 때문에 무분별한 재활용 시 2차 감염 및 집단 감염의 위험이 있어서 고위험 의료기기로 분류된다. 하지만, 최근 생검 겸자의 재사용 회수가 수백회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생검겸자는 소독 후 재사용되고 있으나, 소독 후에도 생체 조직 찌꺼기가 남아 있어서 2차 감염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29247 "연성내시경 겸자의 헤드교환용 세트" (2011.03.23.)
본 발명의 목적은 선단 처치부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여 재사용을 방지하는 내시경용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튜브 부재(110); 상기 튜브 부재 내에서 연장되는 조작 와이어(120); 상기 튜브 부재에 결합되는 몸체부(141)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겸자편(146a, 146b)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겸자부(145)와, 상기 겸자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과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149)를 구비하는 헤드부(140);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과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결합 구조(150); 및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과 상기 연결 와이어의 후단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결합 구조(160)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처치구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결합 구조는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제1A 수나사부(151)와, 상기 몸체부(141)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A 수나사부와 이어지는 제1B 수나사부(152)와, 상기 제1A 수나사부와 상기 제1B 수나사부에 함께 결합되는 제1 결합 너트(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구조는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과 상기 몸체부의 후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구조는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에 형성된 제2A 수나사부(161)와, 상기 연결 와이어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A 수나사부와 이어지는 제2B 수나사부(162)와, 상기 제2A 수나사부와 상기 제2B 수나사부에 함께 결합되는 제2 결합 너트(16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구조는 상기 튜브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튜브 부재에는 상기 제2 결합 구조에 접근하기 위한 측면 통공(112a, 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과 상기 연결 와이어의 후단 중 어느 하나에는 수용 홈(164)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용 홈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구조는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과 상기 연결 와이어의 후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261)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263)과,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고 출몰이 가능한 걸림 버튼(262)과, 상기 삽입 홈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걸림 버튼이 수용되어서 걸리는 관통 홀(264)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튜브 부재(210); 상기 튜브 부재 내에서 연장되는 조작 와이어(220); 분리되는 제1 몸체(241a)와 제2 몸체(241b)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 부재에 결합되는 몸체부(241)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겸자편(246a, 246b)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겸자부(245)를 구비하는 헤드부(240);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과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결합 구조; 및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과 상기 겸자부의 후단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생검 겸자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부는 종방향을 따라서 분리되는 제1 몸체(241a)와 제2 몸체(241b)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 구조는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제1A 수나사부(251)와, 상기 두 몸체(241a, 241b)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241)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A 수나사부와 이어지는 제1B 수나사부(252)와, 상기 제1A 수나사부와 상기 제1B 수나사부에 함께 결합되는 제1 결합 너트(2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구조는 조작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된 고리형 결합부(221)와, 상기 겸자부의 후단에 돌출되어서 상기 고리형 결합부(221)에 끼워지는 제2 수나사부(249)와, 상기 제2 수나사부(249)와 결합되는 제2 결합 너트(249a)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드부 또는 겸자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구조가 구비되므로 집게부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서 재사용에 따른 2차 감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생검 겸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용 생검 겸자의 선단부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헤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조작 와이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 와이어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생검 겸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 구조와 제2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 다른 초기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겸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내시경용 생검 겸자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내시경용 생검 겸자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내시경용 생검 겸자 외에 내시경용 생검 겸자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선단부에 위치하는 바늘을 이용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인젝터 및 선단부에 위치하는 올가미로 전류를 흘려주어 용종을 절제하는 의료용 스네어(snare)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생검 겸자(100)(이하, '겸자'라 약칭함)는 길게 연장되는 튜브 부재(110)와, 튜브 부재(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조작 와이어(120)와, 튜브 부재(110)의 후단에 결합되는 조작부(130)와, 튜브(110)의 선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140)와, 제1 결합 구조(150)와, 제2 결합 구조(160)를 포함한다. 겸자(100)는 내시경에 마련되는 워킹 채널(working channel)을 통해 삽입되어서 조직 채취에 사용된다.
튜브 부재(110)는 겸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며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외력이 가해지면 휘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직선으로 회복될 수 있다. 튜브 부재(1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통로(111)를 통해서는 조작 와이어(120)가 통과한다. 튜브 부재(110)의 후단에는 조작부(130)가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튜브 부재(110)의 선단에는 헤드부(140)가 제1 결합 구조(15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튜브 부재(110)에는 선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두 측면 통공(112a, 112b)이 형성된다. 두 측면 통공(112a, 112b)을 통해 시술자는 튜브 부재(110)의 내부 통로(111)에 위치하는 제2 결합 구조(160)에 손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조작 와이어(120)는 튜브 부재(110)의 내부 통로(111)를 따라서 직선으로 길게 연장된다. 조작 와이어(120)도 튜브 부재(110)와 마찬가지로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외력이 가해지면 휘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직선으로 회복될 수 있다. 조작 와이어(120)의 후단에는 조작부(130)가 연결되고, 조작 와이어(120)의 선단에는 제2 결합 구조(160)에 의해 헤드부(1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작 와이어(120)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서 헤드부(140)가 조작된다.
조작부(130)는 고정부(131)와, 고정부(131)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132)를 구비한다.
고정부(131)는 튜브 부재(110)의 후단에 고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을 갖는다. 고정부(131)의 끝단에는 걸어 놓거나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고리(133)가 마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부(131)의 내부에도 조작 와이어(120)가 지나가도록 통로가 마련된다.
슬라이더(132)는 고정부(131)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정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슬라이더(132)에는 조작 와이어(120)의 후단이 연결되어서, 슬라이더(132)의 이동에 따라서 조작 와이어(12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작부(131)는 슬라이더(132)가 선단 쪽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즉, 평상 시에는 슬라이더(132)가 선단 쪽에 위치하고 있고, 시술자는 조작을 위해 슬라이더(132)를 후단 쪽으로 당기며, 시술자의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슬라이더(132)가 자동으로 선단 쪽으로 이동하여 원위치 하게 된다.
헤드부(140)는 튜브 부재(110)의 선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헤드부(140)는 몸체부(141)와, 겸자부(145)와, 연결 와이어(149)를 구비한다.
몸체부(141)는 겸자부(145)가 결합되는 겸자 설치부(142)와, 겸자 설치부(14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튜브 부재(110)와 연결되는 연결부(143)를 구비한다. 겸자 설치부(142)의 선단에는 겸자부(145)가 위치하는 슬릿(142a)이 형성된다. 연결부(143)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로부(143a)가 마련된다. 통로부(143a)에 의해 슬릿(142a)과 연결부(143)의 후단이 통하게 된다. 통로부(143a)를 통해 연결 와이어(149)가 지나간다.
겸자부(145)는 몸체부(141)의 슬릿(142a)에 결합되는데, 몸체부(142a)의 선단 외부에 위치하여 집게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겸자편(146a, 146b)과, 한 쌍의 겸자편(146a, 146b)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서로 교차하는 두 겸자 레버(147a, 147b)와, 두 겸자 레버(147a, 147b)의 끝단 각각에 연결되는 두 작동 링크(148a, 148b)를 구비한다. 한 쌍의 겸자편(146a, 146b)는 조작 와이어(120)의 이동에 따라 오므라지거나 벌어져서 채취 대상 조직과 직접 접촉한다. 두 겸자 레버(147a, 147b) 각각은 두 겸자편(146a, 146b)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두 겸자 레버(147a, 147b)는 교차 지점에 마련되는 회전축부(147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두 겸자편(146a, 146b)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게 된다. 회전축부(147c)는 슬릿(142a) 내에서 겸자 설치부(142)에 결합된다. 두 작동 링크(148a, 148b) 각각은 두 겸자 레버(147a, 147b) 각각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두 작동 링크(148a, 148b)의 후단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작동 링크(148a, 148b)의 후단은 연결 와이어(149)와 결합된다.
연결 와이어(149)는 결합된 두 작동 링크(148a, 148b)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연결 와이어(149)는 겸자부(145)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몸체부(141)에 형성된 통로부(143a)를 지나 튜브 부재(110)의 내부 통로(111)로 들어간다. 연결 와이어(149)의 후단은 내부 통로(111)에서 제2 결합 구조(160)에 의해 조작 와이어(120)의 선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결합 구조(150)는 튜브 부재(110)와 헤드부(140)의 몸체부(141)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1 결합 구조(150)는 튜브 부재(110)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1A 수나사부(151)와, 몸체부(141)의 연결부(143)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1B 수나사부(152)와, 제1A 수나사부(151)와 제1B 수나사부(152)에 함께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 너트(153)를 구비한다. 도 1과 도 2에는 튜브 부재(110)에 헤드부(140)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부재(110)에 헤드부(14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튜브 부재(110)에 형성된 제1A 수나사부(151)와 몸체부(141)에 형성된 제1B 수나사부(152)가 이어진 상태에서 제1 결합 너트(153)가 제1A 수나사부(151)와 제1B 수나사부(152)에 함께 걸쳐서 결합된다. 분리를 위해서 제1 결합 너트(153)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A 수나사부(151)와 제1B 수나사부(152)의 접촉 위치를 벗어나도록 제1A 수나사부(151)의 형성 구간이 적절하게 결정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2 결합 구조(160)는 조작 와이어(120)와 헤드부(140)의 연결 와이어(149)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2 결합 구조(160)는 조작 와이어(120)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2A 수나사부(161)와, 연결 와이어(149)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2B 수나사부(162)와, 제2A 수나사부(151)와 제2B 수나사부(162)에 함께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 너트(163)를 구비한다. 도 2과 도 3에는 조작 와이어(120)와 연결 와이어(149)가 이어지도록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120)와 연결 와이어(149)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조작 와이어(120)에 형성된 제2A 수나사부(161)와 연결 와이어(149)에 형성된 제2B 수나사부(162)가 이어진 상태에서 제2 결합 너트(163)가 제2A 수나사부(161)와 제2B 수나사부(162)에 함께 걸쳐서 결합된다. 분리를 위해서 제2 결합 너트(163)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2A 수나사부(161)와 제2B 수나사부(162)의 접촉 위치를 벗어나도록 제2A 수나사부(161)의 형성 구간이 적절하게 결정된다. 조작 와이어(120)와 연결 와이어(149)에 대한 연결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120)의 선단에는 수용 홈(164)이 마련되고, 연결 와이어(149)의 후단에는 수용 홈(164)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165)이 각각 마련된다. 이와는 달리, 수용 홈(164)이 연결 와이어(149)의 후단에 형성되고, 돌출부(165)가 조작 와이어(120)의 선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결합 구조(150)와 제2 결합구조(160)를 이용하여 헤드부(140)를 분리시키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제1 결합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와는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부재(110)의 선단에 형성된 암나사부(352)(또는 수나사부)와 헤드부(140)의 몸체부(141)에 마련된 연결부(143)의 후단에 형성된 수나사부(353)(또는 암나사부)가 직접 결합되는 제1 결합 구조(35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다른 구조의 제2 결합 구조(36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결합 구조(360)는 조작 와이어(120)의 끝단에 형성된 암나사부(361)와, 연결 와이어(149)의 끝단에 형성되어서 암나사부(36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나사부(362)를 구비한다. 이와는 달리 조작 와이어(120)의 끝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연결 와이어(149)에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제2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결합 구조(260)는 조작 와이어(120)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된 돌출부(261)와, 돌출부(261)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 버튼(262)와, 연결 와이어(149)의 후단에 돌출부(261)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 홈(263)과, 삽입 홈(263)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서 걸림 버튼(262)이 수용되어서 걸리는 관통홀(264)을 구비한다. 걸림 버튼(262)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그에 따라, 걸림 버튼(262)이 관통 홀(264)에 걸린 상태에서 외부에서 관통 홀(264)을 통해 걸림 버튼(262)을 누르면 조작 와이어(120)와 연결 와이어(149)가 분리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결합 구조로는 클립이 사용되어서 조작 와이어(120)와 연결 와이어(149)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생검 겸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생검 겸자(200)는 길게 연장되는 튜브 부재(210)와, 튜브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조작 와이어(220)와, 튜브(210)의 후단에 결합되는 조작부(미도시)와, 튜브(210)의 선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240)와, 제1 결합 구조와, 제2 결합 구조를 포함한다.
튜브 부재(210)는 도 1에 도시된 튜브 부재(110)에서 측면 통공(112a, 112b)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도 1의 튜브 부재(110)와 동일하다.
조작 와이어(220)는 튜브 부재(210)의 내부를 통과하며 튜브 부재(210)의 선단 앞으로 돌출된다. 조작 와이어(220)의 끝단에는 고리형 결합부(221)이 마련된다.
조작부(미도시)는 도 1에 도시된 조작부(130)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헤드부(240)는 몸체부(241)와 겸자부(245)를 구비한다.
몸체부(241)는 제1 몸체(241a)와 제2 몸체(241b)를 구비한다. 제1 몸체(241a)와 제2 몸체(241b)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몸체부(141)를 슬릿(142a)을 중심으로 종방향을 따라서 절단한 두 부분에 해당하는 것이다. 제1 몸체(241a)에는 제2 몸체(241b)를 향해 돌출된 돌기(242a, 242b)가 형성되고 제2 몸체(241b)에는 돌기(242a, 242b)가 끼워지는 수용 홈(244a, 244b)가 형성된다. 돌기(242a, 242b)와 수용 홈(244a, 244b)에 의해 두 몸체(241a, 241b)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몸체부(241)의 후단에 형성되는 통로(243a)를 통해 조작 와이어(220)가 통과하여 고리형 결합부(221)가 겸자부(245)와 결합된다. 몸체부(241)는 제1 결합 구조에 의해 튜브 부재(2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겸자부(245)는 몸체부(2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겸자부(245)는 한 쌍의 겸자편(246a, 246b)과, 한 쌍의 겸자편(246a, 246b)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서로 교차하는 두 겸자 레버(247a, 247b)와, 두 겸자 레버(247a, 247b)의 끝단 각각에 연결되는 두 작동 링크(248a, 248b)를 구비한다. 한 쌍의 겸자편(246a, 246b)는 조작 와이어(220)의 이동에 따라 오므라지거나 벌어져서 채취 대상 조직과 직접 접촉한다. 두 겸자 레버(247a, 247b) 각각은 두 겸자편(246a, 246b)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두 겸자 레버(247a, 247b)는 교차 지점에 마련되는 회전축부(247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두 겸자편(246a, 246b)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게 된다. 회전축부(247c)는 슬릿 내에서 두 몸체(241a, 241b)에 결합된다. 두 작동 링크(248a, 248b) 각각은 두 겸자 레버(247a, 247b) 각각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두 작동 링크(248a, 248b)의 후단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작동 링크(248a, 248b)의 후단은 제2 결합 구조에 의해 조작 와이어(22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결합 구조는 튜브 부재(210)와 헤드부(240)의 몸체부(241)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1 결합 구조는 튜브 부재(210)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1A 수나사부(151)와, 몸체부(241)의 두 몸체(241a, 241b)의 후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1B 수나사부(252)와, 제1A 수나사부(151)와 제1B 수나사부(252)에 함께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 너트(153)를 구비한다. 제1A 수나사부(15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1A 수나사부(151)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이며, 제1 결합 너트(153)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1 결합 너트(153)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이다. 제1B 수나사부(252)는 두 몸체(241a, 241b)가 결합되었을 때 하나의 수나사부를 형성하게 된다.
제2 결합 구조는 겸자부(245)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작동 링크(248a, 248b)의 후단에 형성된 제2 수나사부(249)와 제2 수나사부(249)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너트(249a)를 구비한다. 제2 수나사부(249)가 조작 와이어(220)의 선단에 형성된 고리형 결합부(221)에 끼워져서 제2 결합 너트(249a)에 의해 결합된다. 제2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겸자부(245)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생검 겸자에서 제2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결합 구조(460)는 탄성체(461)와, 제1 결합체(463)와, 제2 결합체(462)을 구비한다. 탄성체(461)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일단에는 조작 와이어(120)의 선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제2 결합체(462)가 고정된다. 제2 결합체(462)는 탄성체(461)의 선단에 고정되고, 제1 결합체(463)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결합체(463)는 연결 와이어(149)의 후단에 고정되어서 제2 결합체(462)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결합체(462)와 제1 결합체(463)는 자성으로 결합되므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해진다. 탄성체(461)는 연결 와이어(149)에 고정되고, 제2 결합체(462)와 제1 결합체(463)이 조작 와이어(120)의 선단측에서 분리 결합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겸자부(145)가 벌어졌을 때 탄성체(461)가 압축된 상태인 것으로 설명한다. 그에 따라 평상시에는 겸자부(145)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슬라이더(도 1의 132)를 후방으로 당기면 겸자부(145)가 닫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탄성체(461)가 인장된 상태가 되도록 설정하여 겸자부(145)가 닫힌 상태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상태에서 슬라이더(도 1의 132)를 전방으로 밀면 겸자부(145)는 열린 상태로 바뀌게 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겸자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겸자부(545)는 집게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겸자편(146a, 146b)과, 한 쌍의 겸자편(146a, 146b)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서로 교차하는 두 겸자 레버(147a, 147b)와, 두 겸자 레버(147a, 147b)의 끝단 각각에 연결되는 두 작동 링크(548a, 548b)를 구비한다. 한 쌍의 겸자편(146a, 146b)과 두 겸자 레버(147a, 147b)의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두 겸자 레버(147a, 147b)는 교차 지점에 마련되는 회전축부(147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두 겸자편(146a, 146b)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게 된다. 두 작동 링크(548a, 548b) 각각은 두 겸자 레버(147a, 147b) 각각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두 작동 링크(148a, 148b)의 끝단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리이더(도 1의 132)를 전방으로 밀어서 연결 와이어(149)가 앞으로 이동하면 겸자부(545)가 닫히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내시경용 생검 겸자 110 : 튜브 부재
112a, 112b : 측면 통공 120 : 조작 와이어
130 : 조작부 140 : 헤드부
141 : 몸체부 145 : 겸자부
149 : 연결 와이어 150 : 제1 결합 구조
151 : 제1A 수나사부 152 : 제1B 수나사부
153 : 제1 결합 너트 160 : 제2 결합 구조
161 : 제2A 수나사부 162 : 제2B 수나사부
163 ; 제2 결합 너트

Claims (13)

  1. 튜브 부재(110);
    상기 튜브 부재 내에서 연장되는 조작 와이어(120);
    상기 튜브 부재에 결합되는 몸체부(141)와, 상기 조작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고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처치부(145)와, 상기 처치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과 연결되는 연결 와이어(149)를 구비하는 헤드부(140);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과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결합 구조(150, 350); 및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과 상기 연결 와이어의 후단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결합 구조(460)를 포함하며,
    상기 처치부는 상기 조작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겸자편(146a, 146b)를 구비하는 겸자이며,
    상기 제2 결합구조(460)는 상기 조작 와이어의 선단과 상기 연결 와이어의 후단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461)과,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1 결합체(463)와, 상기 코일 스프링의 끝단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1 결합체(463)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체(462)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체(463)와 상기 제2 결합체(462)는 자성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튜브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구조(150)는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제1A 수나사부(151)와, 상기 몸체부(141)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A 수나사부와 이어지는 제1B 수나사부(152)와, 상기 제1A 수나사부와 상기 제1B 수나사부에 함께 결합되는 제1 결합 너트(1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구조(350)는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과 상기 몸체부의 후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70886A 2015-05-21 2015-05-21 교체가 가능한 헤드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KR101662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886A KR101662448B1 (ko) 2015-05-21 2015-05-21 교체가 가능한 헤드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886A KR101662448B1 (ko) 2015-05-21 2015-05-21 교체가 가능한 헤드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448B1 true KR101662448B1 (ko) 2016-10-04

Family

ID=5716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886A KR101662448B1 (ko) 2015-05-21 2015-05-21 교체가 가능한 헤드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4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15B1 (ko) 2018-01-17 2018-05-30 최원준 내시경용 일회용 클립처치기구
KR20190014225A (ko) * 2017-07-28 2019-02-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탄성수단을 이용한 탄성고정 힌지를 구비한 생검 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20200114766A (ko) * 2019-03-29 2020-10-07 (주)가주테크놀로지 교차 감염 방지를 위한 일회용 내시경 구조
WO2023033200A1 (ko) * 2021-08-30 2023-03-09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지혈 겸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1884A (ja) * 1992-12-16 1994-07-05 Fuji Photo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4283361A (ja) * 2003-03-20 2004-10-14 Olympus Corp 超音波処置装置
KR100964082B1 (ko) * 2009-09-15 2010-06-1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생검 겸자
KR20110029247A (ko) 2009-09-15 2011-03-23 이기헌 연성내시경 겸자의 헤드교환용 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1884A (ja) * 1992-12-16 1994-07-05 Fuji Photo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4283361A (ja) * 2003-03-20 2004-10-14 Olympus Corp 超音波処置装置
KR100964082B1 (ko) * 2009-09-15 2010-06-1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생검 겸자
KR20110029247A (ko) 2009-09-15 2011-03-23 이기헌 연성내시경 겸자의 헤드교환용 세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25A (ko) * 2017-07-28 2019-02-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탄성수단을 이용한 탄성고정 힌지를 구비한 생검 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102013989B1 (ko) 2017-07-28 2019-10-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탄성수단을 이용한 탄성고정 힌지를 구비한 생검 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101851115B1 (ko) 2018-01-17 2018-05-30 최원준 내시경용 일회용 클립처치기구
KR20200114766A (ko) * 2019-03-29 2020-10-07 (주)가주테크놀로지 교차 감염 방지를 위한 일회용 내시경 구조
KR102220558B1 (ko) * 2019-03-29 2021-02-25 (주)가주테크놀로지 교차 감염 방지를 위한 일회용 내시경 구조
WO2023033200A1 (ko) * 2021-08-30 2023-03-09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지혈 겸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448B1 (ko) 교체가 가능한 헤드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JP3898190B2 (ja) 縫合装置
JP5273980B2 (ja) 内視鏡用結紮具及び内視鏡結紮システム
US2020039723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medical tools
JP6203926B2 (ja) 縫合糸をガイ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093849B2 (ja) 内視鏡手術装置
US20090105534A1 (e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BRPI0410376B1 (pt) sistema de sutura endoscópica de múltiplos pontos e entubação única
JP3231773U (ja) 結腸鏡のハンドルアタッチメント装置
JP2020503981A (ja) 医療デバイスハンドル及びそれと関連する方法
JP5663088B2 (ja) 鉗子及び鉗子ユニット
WO2017017753A1 (ja) 組織回収具及び組織回収システム
KR101754026B1 (ko) 내시경 조직 검사용 바이옵시 포셉
JP6714713B2 (ja) 外科用器具
JP4674990B2 (ja) 内視鏡用フード
JP5246394B2 (ja) クリップ、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クリップ装置
JP2009125547A (ja) 体外回収部品離脱用カートリッジ及び両用カートリッジ
CN109152576A (zh) 具有固定钳钩的闭合装置
EP0031228B1 (en) Instrument for collecting tissue cells
WO2018139014A1 (ja) 極細径内視鏡
KR10179363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US10660658B2 (en) Reamer driver connection
KR20190008744A (ko)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KR20160079989A (ko) 내시경용 포셉
JP4338472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