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744A -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 Google Patents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744A
KR20190008744A KR1020170090507A KR20170090507A KR20190008744A KR 20190008744 A KR20190008744 A KR 20190008744A KR 1020170090507 A KR1020170090507 A KR 1020170090507A KR 20170090507 A KR20170090507 A KR 20170090507A KR 20190008744 A KR20190008744 A KR 2019000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forceps
wire
tissue
flexib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탁
안형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9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8744A/ko
Publication of KR2019000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Abstract

본 발명은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10)의 이동슬롯(112)에 제1 슬라이더(13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부(100), 조작부(100)의 단부에 결합되며 제1 슬라이더(130)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와이어(230)가 내장된 가요성튜브(200), 가요성튜브(200)의 단부에 체결되며 제1 와이어(2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그 사이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포셉(330)을 구비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며, 조작부(100)는 제1 슬라이더(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며, 이동슬롯(112)이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포셉(330)이 벌어지면서 조직을 채취한 후에 벌어진 한 쌍의 포셉(330)을 오므려지도록 하여 채취한 조직의 망실을 방지하는 탄성부재(1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Forceps apparatus for collecting tissue}
본 발명은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직을 채취한 후에 조직이 사용자의 미숙이나 실수로 인해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내시경 분야는 소화기계 진료영역에서 중요한 분야로 인정받고 있다. 과거에는 위암 또는 대장암과 같은 경우 외과적 수술 방법에 의존하였지만, 내시경의 등장으로 인하여 임상적으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여 치료율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시경 분야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 중 하나인 내시경 주사장치는 내시경 수술 및 검사시에 환자 신체내에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로 이용된다.
한편, 내시경을 시행할 때에 조직을 채취하기 위한 포셉을 사용한다. 이때, 포셉을 이용하여 신체에서 조직을 채취하고나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해서 채취한 조직이 포셉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조직을 다시 채취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에게는 추가적인 고통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84768호, 2004년 10월 06일)
본 발명의 목적은 조직을 채취한 후에 조직이 채취한 조직이 사용자의 미숙이나 실수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는 본체(110)의 이동슬롯(112)에 제1 슬라이더(13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부(100), 조작부(100)의 단부에 결합되며 제1 슬라이더(130)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와이어(230)가 내장된 가요성튜브(200), 가요성튜브(200)의 단부에 체결되며 제1 와이어(2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그 사이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포셉(330)을 구비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며, 조작부(100)는 제1 슬라이더(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며, 이동슬롯(112)이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포셉(330)이 벌어지면서 조직을 채취한 후에 벌어진 한 쌍의 포셉(330)을 오므려지도록 하여 채취한 조직의 망실을 방지하는 탄성부재(14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부재(140)는 제1 슬라이더(130)와 이동슬롯(112) 사이에서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슬라이더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동슬롯(112)에 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더(150); 일단이 제2 슬라이더(150)에 체결되며, 가요성튜브(200)에 내장되는 제2 와이어(240); 제2 와이어(240)의 타단와 결합되며 한 쌍의 포셉(330) 내주면에서 왕복 운동하는 분리판(340)을 구비하며, 분리판(340)은 제2 슬라이더(15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포셉(33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 운동하며 포셉(330)의 선단에 채취되어 있는 조직을 포셉(33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부(300)는 가요성튜브(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몸체(310), 몸체(310)의 내측에서 제1 와이어(230)의 단부와 결합되어 링크운동 하는 구동링크(320), 구동링크(320)로부터 연장되고, 제1 와이어(230)의 전후 운동에 따라 그 사이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포셉(330)으로 이루어지며, 몸체(310)의 내측에는 몸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요성튜브(200)의 내측과 연통되는 이동관(350)이 구비되고, 제2 와이어(240)는 가요성튜브(200)와 이동관(350)을 거쳐 분리판(340)에 연결되고, 제2 와이어(240)의 타단은 양쪽으로 갈라져 한 쌍의 포셉(330)에 설치되어 있는 분리판(3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슬라이더(150)는 고정장치(160)가 구비되며, 고정장치(160)의 작동에 따라 제2 슬라이더(150)를 본체(110)에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는 조직을 채취한 후에 조직이 사용자의 미숙이나 실수로 인해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의 시술을 빨리 끝낼 수 있어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분리판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멈춤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식 검사용 포셉은 조작부(100), 가요성튜브(200) 및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부(100)는 본체(110)와, 손가락걸이부(120), 제1 슬라이더(130) 및 탄성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체(110)에 손가락걸이부(120)가 결합되어 있는 방향을 후방으로, 그 반대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는 것이며, 이는 특허청구범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체(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의 형태를 갖는다. 본체(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의 이동슬롯(112)이 형성된다. 이동슬롯(112)은 본체(11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동슬롯(112)에는 제1 슬라이더(130)가 배치되며, 제1 슬라이더(130)를 기준으로 탄성부재(140)가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된다.
본체(110)의 양단부는 손가락걸이부(120)와 가요성튜브(200)에 각각 연결된다. 손가락걸이부(120)는 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된다. 손가락걸이부(120)는 본 실시예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1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30)는 이동슬롯(11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본체(110)에 결합된다. 이때, 제1 와이어(230)의 일단가 제1 슬라이더(130)에 연결되며, 제1 와이어(230)는 탄성부재(140)의 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일단이 결합된 채로 본체(110)를 관통하여 가요성튜브(200)에 내장된다.
탄성부재(140)는 제1 슬라이더(130)를 중심으로 제1 슬라이더(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며, 제1 슬라이더(130)와 이동슬롯(112) 사이에서 양단이 고정된다(도 2 및 도 3 참조).
가요성튜브(200)는 본체(110)와 작동부(300)의 몸체(31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가요성튜브(200)는 휘는 성질이 있는 튜브의 관으로 가요성튜브(200)의 내측에는 전술한 제1 와이어(230)가 내장된다. 제1 와이어(230)의 타단은 작동부(300)의 작동링크(320)에 결합되며, 제1 슬라이더(130)의 작동에 따라 포셉(330) 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작동부(300)는 몸체(310)와, 작동링크(320), 포셉(330) 및 이동관(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10)는 가요성튜브(200)와 연결되며 구동링크(320) 및 포셉(330), 이동관(350)이 내장되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포셉(330)은 작동링크(320)와 연결되며, 작동링크(320)는 제1 와이어(230)의 타단에 연결된다. 포셉(330)은 제1 와이어(2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회동축(312)을 중심으로 링크운동 하는 작동링크(320)에 의하여 그 사이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탄성부재(140)를 통한 포셉(330)의 작동 특성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탄성부재(140)가 제1 슬라이더(130)의 하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경우이다.
포셉(330)은 제1 와이어(230)를 통해 제1 슬라이더(130)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 슬라이더(130)는 탄성부재(140)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포셉(330)은 오므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손가락걸이부(12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제1 슬라이더(1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포셉(330)이 벌어지면서 조직을 채취하게 된다. 포셉(330)이 조직을 채취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더(13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서 벌어진 포셉(330)이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탄성부재(140)가 제1 슬라이더(130)의 상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경우이다.
도 3과 같이, 탄성부재(140)는 도 2에서와 반대로 압축상태로 제1 슬라이더(13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때, 사용자가 손가락걸이부(12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제1 슬라이더(1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포셉(330)이 벌어지면서 조직을 채취하게 된다. 포셉(330)이 조직을 채취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더(130)를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서 벌어진 포셉(330)이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더(130)는 탄성부재(140)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제1 슬라이더(130)를 움직이기 위해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제1 슬라이더(130)는 움직이지 않게 되어 채취한 조직을 실로 망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을 재 채취하기 추가적인 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제1 슬라이더(130)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서 쉽게 이동하여 채취한 조직이 망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의 분리판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는 조작부(100), 가요성튜브(200) 및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조작부(110)는 제2 슬라이더(150) 및 고정장치(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더(150)는 제1 슬라이더(130)의 후방에 위치하여 본체(1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더(130)와 제2 슬라이더(150)는 모양 및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30)를 통해 포셉(330)이 작동하여 조직을 채취한 후에, 제2 슬라이더(150)와 분리판(340)의 작동에 의해서 채취한 조직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제2 슬라이더(150)를 임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114)이 형성된다. 고정홈(114)은 후술하는 고정장치(160)의 고정체(16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본체(110)의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장치(160)는 하우징(162)과, 누름버튼(164), 고정체(166), 탄성스프링(168)을 포함한다.
하우징(162)은 제2 슬라이더(150)에 양단이 모두 개방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케이스로 형성되어 제2 슬라이더(150)에 결합될 수 있다. 누름버튼(164)과 고정체(166)의 단부는 서로 맞닿은 채로 하우징(162)의 내측에 구비되며 누름부(164)의 일단은 제2 슬라이더(150)의 외측면으로부터 출입하고, 고정체(166)의 일단은 본체(110)에 형성된 고정훔(114)을 따라 출입한다. 탄성스프링(168)은 하우징(162)과 고정체(166)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장치(160)는 제1 및 제2 슬라이더(150) 외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누름버튼(164)을 가압(푸쉬)하면 누름버튼(164)과 상호작용하며 간헐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하우징(162)의 내측면으로 출입하는 고정체(166)를 본체(110)의 고정홈(114)에 선택적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제2 슬라이더(150)를 본체(110)에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슬라이더(150)에는 제2 와이어(240)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때, 제2 슬라이더(150)가 제1 슬라이더(130)의 후방에 위치하므로 제1 슬라이더(130)에는 제2 슬라이더(150)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240)가 관통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제1 와이어(230)와 제2 와이어(240)의 일단은 각각 제1 및 제2 슬라이더(130,150)에 결합된 상태로 본체(110)를 관통하여 가요성튜브(200)에 내장된다. 또한, 제2 와이어(240)는 제1 와이어(230)와 함께 작동부(300)의 작동링크(320) 및 분리판(340)에 타단이 각각 결합되며, 제1 및 제2 슬라이더(130,140)의 작동에 따라 포셉(330) 및 분리판(340)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리판(340)은 한 쌍의 포셉(330) 내측에 배치된다. 분리판(340)은 포셉(330)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있는 얇은 판의 형태이다. 분리판(340)은 포셉(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포셉(330)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분리판(340)에는 제2 와이어(240)의 단부가 결합된다.
제2 와이어(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제2 슬라이더(150)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요성튜브(200)를 거쳐 몸체(310)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관(350)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 같이 연장된 제2 와이어(240)의 타단은 양쪽으로 갈라져 한 쌍의 포셉(330)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분리판(340)에 각각 결합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슬라이더(130)는 탄성부재(140)에 고정되고, 제2 슬라이더(150)는 고정장치(160)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슬라이더(130,140)가 본체(1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와 연동하는 포셉(330) 및 분리판(340)은 작동하지 못한다.
이때, 제1 슬라이더(1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셉(330)이 벌어졌다가 오므라지면서 제1 슬라이더(130)안에 조직(T)을 담아 채취해낸다. 이때, 탄성부재(140)에 의해서 포셉(33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포셉(330)안에 있는 조직이 망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채취된 조직(T)을 수거통에 담기 위해 종래에는 바늘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채취된 조직(T)을 분리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는 제2 슬라이더(150)의 이동에 따라 포셉(330)의 내측에서 전후 이동하는 분리판(340)에 의하여 조직(T)을 포셉(330)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 및 7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1 슬라이더(130)를 본체(11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포셉(330)의 사이를 벌려준다. 이때, 조직(T)은 점성이 있어 포셉(330)이 벌어진 상태에서도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그 다음으로, 본체(110)에 고정되어 있던 제2 슬라이더(150)의 고정을 해제시킨 후, 제2 슬라이더(150)를 본체(1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 슬라이더(150)의 전방 이동과 동시에 이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와이어(240)도 전방으로 이동하며, 포셉(330)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분리판(34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분리판(340)이 포셉(33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 분리판(340)과 조직(T)사이에 점성을 제거하게 되어 포셉(330)의 선단부에 채취되어 있던 조직(T)을 포셉(330)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제2 슬라이더(15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포셉(330) 내측에서 전후 이동하는 분리판(340)을 통하여 인체로부터 채취된 조직(T)을 포셉(330)으로부터 위생적이면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조작부 110:본체
112:이동슬롯 114:고정홈
120:손가락걸이부 130:제1 슬라이더
140:탄성부재 150:제2 슬라이더
160:고정장치 164:누름버튼
166:고정체 200:가요성튜브
230:제1 와이어 240:제2 와이어
300:작동부 310:몸체
320:구동링크 330:포셉
340:분리판 350:이동관

Claims (5)

  1. 본체(110)의 이동슬롯(112)에 제1 슬라이더(13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부(100), 상기 조작부(10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130)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와이어(230)가 내장된 가요성튜브(200), 상기 가요성튜브(200)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와이어(2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그 사이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포셉(330)을 구비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100)는,
    상기 제1 슬라이더(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슬롯(112)이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포셉(330)이 벌어지면서 조직을 채취한 후에 상기 벌어진 한 쌍의 포셉(330)을 오므려지도록 하여 채취한 조직의 망실을 방지하는 탄성부재(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제1 슬라이더(130)와 상기 이동슬롯(112) 사이에서 양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13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슬롯(112)에 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더(150);
    일단이 상기 제2 슬라이더(150)에 체결되며, 상기 가요성튜브(200)에 내장되는 제2 와이어(240);
    상기 제2 와이어(240)의 타단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포셉(330) 내주면에서 왕복 운동하는 분리판(340)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판(340)은,
    상기 제2 슬라이더(15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포셉(33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 운동하며 상기 포셉(330)의 선단에 채취되어 있는 조직을 상기 포셉(33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가요성튜브(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몸체(310), 상기 몸체(310)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와이어(230)의 단부와 결합되어 링크운동 하는 구동링크(320), 상기 구동링크(32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와이어(230)의 전후 운동에 따라 그 사이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상기 한 쌍의 포셉(3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310)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요성튜브(200)의 내측과 연통되는 이동관(35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와이어(240)는 상기 가요성튜브(200)와 상기 이동관(350)을 거쳐 상기 분리판(34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240)의 타단은 양쪽으로 갈라져 상기 한 쌍의 포셉(330)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분리판(340)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더(150)는,
    고정장치(16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장치(16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더(150)를 상기 본체(110)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KR1020170090507A 2017-07-17 2017-07-17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KR20190008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07A KR20190008744A (ko) 2017-07-17 2017-07-17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07A KR20190008744A (ko) 2017-07-17 2017-07-17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44A true KR20190008744A (ko) 2019-01-25

Family

ID=6528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507A KR20190008744A (ko) 2017-07-17 2017-07-17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87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246A (ko) * 2020-11-04 2022-05-11 (주)위드메디컬 내시경 포셉
KR20220169159A (ko) *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조직 절제용 포셉
KR20230032298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지혈 겸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768A (ko) 2003-03-25 2004-10-06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수술 도구용 가요성 하우징 엘리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768A (ko) 2003-03-25 2004-10-06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수술 도구용 가요성 하우징 엘리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246A (ko) * 2020-11-04 2022-05-11 (주)위드메디컬 내시경 포셉
KR20220169159A (ko) *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조직 절제용 포셉
KR20230032298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지혈 겸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6821B2 (ja) 内視鏡システム、並びに、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
KR101399298B1 (ko) 분리 가능한 핸들을 구비한 조직 세절기
US9155551B2 (en) Treatment instrument
JP6029765B2 (ja) 耳圧均等化チューブおよび挿入デバイス
KR101385942B1 (ko)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KR101754026B1 (ko) 내시경 조직 검사용 바이옵시 포셉
JP4746359B2 (ja) 内視鏡用処置具
CN104224242A (zh) 包含集成的滑动抓紧器的标本取出装置
US20100241144A1 (en) Surgical instrument for manipulating surgical suture and methods of use
JP2008067725A (ja) 内視鏡の外部鉗子チャンネル装置
JP2005520617A (ja) 生検針
KR10134066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JP2005288175A (ja) 外科生検装置を用いてマーカーを配置するためのマーカー装置及び方法
JP2000512870A (ja) ハンドル・針セットを備えた生検器具
KR20190008744A (ko)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US9993233B2 (en) Large capacity biopsy forceps
JP4445617B2 (ja) 内視鏡用処置具
KR20170074825A (ko) 캐뉼러 삽입 조립체 및 방법
KR10160191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JP4628637B2 (ja) 生検装置
KR101703453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EP2370017A1 (en) Clip for handling an endoscopic device
US20140265313A1 (en) Instrument port attachment adapter
KR20160079989A (ko) 내시경용 포셉
WO2016035386A1 (ja) 内視鏡の先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