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942B1 -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942B1
KR101385942B1 KR1020130098234A KR20130098234A KR101385942B1 KR 101385942 B1 KR101385942 B1 KR 101385942B1 KR 1020130098234 A KR1020130098234 A KR 1020130098234A KR 20130098234 A KR20130098234 A KR 20130098234A KR 101385942 B1 KR101385942 B1 KR 10138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ps
wire
rack gear
lever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열
박정희
박왕근
Original Assignee
최동열
박왕근
박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열, 박왕근, 박정희 filed Critical 최동열
Priority to KR102013009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1Handles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23Toothed members, e.g. rack and pin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46Lock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biopsy forceps)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은 조직을 채취하거나 채취된 조직을 외부로 인출하도록 개방 및 폐쇄되는 포셉과, 포셉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와이어와,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어, 포셉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와이어를 구동하는 핸들 어셈블리 및, 핸들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포셉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핸들 어셈블리의 동작을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다. 잠금 장치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또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이용한다. 잠금 장치는 포셉으로부터 조직이 채취되면, 포셉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핸들 어셈블리의 동작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조직 채취 시, 포셉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그므로써, 조작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를 줄임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BIOPSY FORCEPS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biopsy forceps)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조작이 용이하도록 바이옵시 포셉의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내시경은 장기나 체강 등에 삽입되어 직접 수술을 하지 않고도 그 내부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의료 기기로서, 현재까지 의학의 발전에 공헌을 하고 있다. 내시경은 다른 의료 영상 기기와 달리 몸 안에 직접 삽입된다. 따라서, 내시경을 이용하는 내시경 검사는 직접 육안으로 내부 장기와 체강 등의 모양이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내시경에는 체내의 장기나 체강 등을 관찰하는 기능 외에 체내 조직을 채취하는 바이옵시(biopsy) 기능이 구비된다. 이를 통해 내시경으로부터 회수되는 체내 조직을 조직학적으로 검사하여 질병의 유무 또는 그 진행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시경은 삽입부의 내부에 체내 조직을 채취하는 바이옵시 포셉이 출입 가능한 바이옵시 채널(biopsy channel)이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바이옵시 기능은 내시경 검사와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바이옵시 포셉을 바이옵시 채널을 통하여 체내로 삽입하고, 체외에서 시술자가 바이옵시 포셉을 조작하여 체내 조직을 채취한다. 그리고 바이옵시 포셉을 바이옵시 채널을 통하여 체외로 꺼내고 포셉에서 조직을 회수한다.
이러한 바이옵시 포셉의 삽입, 체내 조직의 회수 작업은 시술자 혼자 처리하기에는 그 조작 및 관찰이 어려워서, 시술자와 함께 내시경 검사에 참여하는 보조자가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내시경용 처치 기구인 바이옵시 포셉은 선단에 고정된 포셉(forceps)을 조작하여 열고 닫게 함으로서 내체 조직의 채취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셉은 통상적으로 말단 장치(end effector)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자의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도록 요구한다. 포셉으로 조직을 채취한 후, 채취한 조직을 바이옵시 채널을 통해 체외로 꺼낼 때, 포셉이 조직을 채취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내시경의 외부로 꺼낸 다음, 포셉에서 조직을 회수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내시경 처치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내시경 처치구 즉, 바이옵시 포셉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18365호(공고일 2011년 03월 04일)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내시경(2)은 조작부(4)와, 삽입부(6) 및 바이옵시 포셉(10)를 포함한다.
삽입부(6)는 체강 내에 삽입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삽입부(6)는 조작부(4)의 전단측에 결합된다. 삽입부(6)는 경질의 선단 경질부(6c)와, 만곡 조작되는 만곡부(6b) 및, 길게 연장되는 가요성 관부(6a)를 선단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조작부(4)는 좌우 회전되어 삽입부(6)의 선단 경질부(6c)의 위치를 조절한다. 조작부(4)는 삽입부(6)와 연결되는 일측에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는 바이옵시 포셉(10)이 삽입되는 처치구 삽입구(8)를 구비한다. 처치구 삽입구(8)는 내부에 형성된 삽입 통과 채널(9)과 접속되고, 삽입 통과 채널(9)은 처치구 삽입구(8)와 선단 경질부(6c)의 개구된 선단이 연결된다. 그러므로 바이옵시 포셉(10)은 처치구 삽입구(8)에 삽입되어, 삽입 통과 채널(9)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선단 경질부(6c)의 선단 개구로 바이옵시 포셉(10)의 포셉(22)이 돌출된다.
바이옵시 포셉(10)은 포셉 조작부(12)와, 가요성 코드(20) 및 포셉(22)을 포함한다. 포셉 조작부(12)는 축부(24)에 슬라이더(16)를 바이옵시 포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축부(24)의 단부에는 손가락 걸이부(14)가 설치된다. 또 슬라이더(16)에는 둥근 홈 형상의 손가락 걸이부(18)가 구비된다. 가요성 코드(20)는 삽입 통과 채널(9)에 삽입되고, 포셉 조작부(12)에 의해 포셉(22)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조작 와이어(미도시됨)가 내부에 구비된다. 조작 와이어는 포셉(22)에 결합되어, 포셉(22)을 작동시킨다.
이러한 내시경(2)은 바이옵시 포셉(10)을 삽입부(6)에 삽입 통과시키고, 시술자가 포셉 조작부(12)를 조절하여 포셉(22)으로 체내 조직을 채취하고, 손가락 걸이부(14, 18)에 거치된 손가락에 힘을 가하여 포셉(22)이 채취한 조직을 놓치지 않도록 그 상태를 유지시킨 채, 조직을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이 때, 바이옵시 포셉(10)은 채취된 조직의 인출 도중에 시술자의 손가락 조절이 순간적으로 잘못되어 포셉(22)이 열리게 되면, 포셉(22)이 채취된 조직을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고, 채취 지점이나 그 양이 원하는대로 채취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대게 포셉(22)을 작동시키기 위한 보조자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10)은 내시경(2)에 바이옵시 포셉(10)을 삽입하거나, 인출 시, 시술자가 포셉 조작부(12)를 계속해서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포셉(22)에 의해 채취된 조직을 망실되지 않도록 홀딩하여야만 된다. 그 결과, 포셉(22)을 조작하기가 어렵고, 만약 삽입, 인출 시 포셉(22)이 열리게 되면, 내시경(2) 내부를 손상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채취된 조직을 망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바이옵시 포셉(10)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공급 가격의 상승에 따라 재사용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이옵시 포셉의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기술이 다양하게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들에는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61386호(공고일 2011년 09월 02일)의 '말단 래칫 메카니즘을 구비한 수술 도구', 동 등록특허공보 제10-1061387호(공고일 2011년 09월 02일)의 '기계적 장점이 커진 외과용 조오 조립체', 동 등록특허공보 제10-1061726호(공고일 2011년 09월 05일)의 '가요성의 내시경 장치용 작동 메커니즘', 동 등록특허공보 제10-1054660호(공고일 2011년 08월 08일)의 '내시경 장치용 핸들', 동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3169호(공개일 2009년 02월 04일)의 '최소 침입성 외과용 조립체 및 방법들' 그리고 동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4768호(공개일 2004년 10월 06일)의 '수술 도구용 가요성 하우징 엘리먼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바이옵시 포셉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 또한 크므로, 제조 단가가 증가되어, 바이옵시 포셉을 재사용하여 병원성 감염이 염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술자가 조작 감각이 결여되어 조직 채취 시에 조작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이 용이한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셉의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은 포셉의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바이옵시 포셉은 조직 채취 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은, 조직을 채취하거나 채취된 조직을 외부로 인출하도록 개방 및 폐쇄되는 포셉과; 상기 포셉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와이어와;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포셉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구동하는 핸들 어셈블리 및; 상기 핸들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포셉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동작을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은; 상기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에 하나의 손가락이 거치되는 제1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되며, 그리고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핸들 어셈블러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몸체를 더 구비하되;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2 및 제3 손가락 걸이부 및; 내부에 상기 와이어의 끝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손가락 걸이부에 거치된 손가락들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외주에 결합된 상기 하우징을 전후 이동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2 손가락 걸이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손가락 걸이부에 거치된 손가락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포셉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을 슬라이딩시키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하측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포셉이 폐쇄될 때, 상기 몸체의 외측에서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고정홈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보다 높게 돌출되는 걸림턱에 의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레버가 눌러지는 반대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 이동을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잠금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장치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노출되고, 시술자에 의해 노출된 일부가 눌러지는 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레버의 타측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레버가 눌러지면, 회전축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의 이동을 복원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랙 기어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랙 기어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는 고정 로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는; 일면에 상기 고정 로드가 위치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홈들이 형성된 고정부와; 타면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동되는 기어부 및; 상기 랙 기어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관통된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랙 기어는 상기 인장 스프링에 의해 상기 포셉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레버가 눌러지면, 상기 회전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포셉이 개방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를 당기고,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홈에 상기 고정 로드가 삽입 고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로드는; 중앙부가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이 상향 굴곡되어 상기 버튼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단이 하향 굴곡되어 상기 랙 기어의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며, 그리고 상기 포셉이 폐쇄되도록 상기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타단이 상기 랙 기어의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에 의해 상기 랙 기어를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은 포셉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조직 채취 및 채취된 조직을 외부로 인출하는데 따른 조작이 용이하다.
또 본 발명의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은 탄성부재 또는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를 이용한 잠금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은 제조 단가를 줄임으로써,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병원성 감염이 염려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바이옵시 포셉을 구비하는 내시경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이옵시 포셉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이옵시 포셉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바이옵시 포셉의 포셉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이옵시 포셉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에 도시된 바이옵시 포셉의 포셉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이옵시 포셉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바이옵시 포셉(100)은 포셉(154)의 닫힘 동작을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120)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이옵시 포셉(100)은 예컨대, 위, 대장 또는 기관지 등의 조직을 채취하기 위한 내시경(미도시됨)에 삽입되어 시술자가 원하는 조직을 채취하는데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바이옵시 포셉(100)은 몸체(102)와, 핸들 어셈블리(110)와, 잠금 장치(120)와, 와이어 어셈블리(140) 및 조 어셈블리(jaw assembly)(150)를 포함한다.
몸체(102)는 바이옵시 포셉(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핸들 어셈블러(110)의 슬라이더(도 4의 1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라이더(130)를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슬롯(106)이 형성된다. 슬롯(106)은 몸체(102)에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슬라이더(13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 몸체(102)는 일단에 제1 손가락 걸이부(104)가 구비되고, 타단에 와이어 어셈블리(140)를 삽입하여 몸체(102)와 결합되는 체결캡(108)이 구비된다. 체결캡(108)은 와이어 어셈블리(140)가 삽입, 고정되도록 관통되고, 몸체(102)와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손가락 걸이부(104)는 몸체(102)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손가락 걸이부(104)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엄지 손가락이 삽입된다.
또 몸체(102)는 외측 상부에 일정 깊이를 가지고, 잠금 장치(120)의 레버(122)의 하측 일단 즉, 걸림 돌기(도 4의 126)가 삽입되어 레버(122)를 고정시키는 고정홈(103)과, 고정홈(103)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레버(122)의 걸림 돌기(126)가 고정홈(10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몸체(102)의 외주면보다 높게 돌출되는 걸림턱(105)이 형성된다. 걸림턱(105)은 고정홈(103)의 전방에 배치된다.
핸들 어셈블리(110)는 몸체(102)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더(130)와 결합되고, 슬라이더(1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몸체(102)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하우징(113)과, 하우징(113)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 및 제3 손가락 걸이부(112, 118)가 구비된다.
하우징(113)의 내부에는 슬롯(106)에 장착된 슬라이더(130)가 삽입된다. 제2 및 제3 손가락 걸이부(112, 118)는 상호 대향되게 하우징(113)의 상하로 배치된다. 제2 손가락 걸이부(112)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검지 손가락이 삽입되고, 제3 손가락 걸이부(118)는 일단이 포셉(154) 측으로 라운드진 로드 형상으로 구비되어, 중지 손가락이 거치된다.
또 핸들 어셈블리(1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120)가 구비된다. 잠금 장치(120)는 핸들 어셈블리(110)의 조작 시, 조 어셈블리(150)의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킨다. 이를 위해, 핸들 어셈블리(110)는 잠금 장치(120)를 설치 및 분해하기 위해 제2 손가락 걸이부(112)의 일부를 덮는 덮개(111)와, 제2 손가락 걸이부(112)의 내측에 구비되어, 잠금 장치(120)의 레버(12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116)과, 잠금 장치(120)의 탄성부재(124)를 고정하는 탄성부재 고정부(114)와, 하우징(113)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몸체(102)에 결합된 슬라이더(130)를 삽입하는 관통홀(115)과, 관통홀(115)의 일단 양측에 형성되어 슬라이더(130)를 핸들 어셈블리(110)의 하우징(113)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117)을 구비한다.
이러한 핸들 어셈블리(110)는 제1 내지 제3 손가락 걸이부(104, 112, 118)에 삽입 또는 거치된 손가락들의 동작에 의해 몸체(102)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슬라이드 이동된다.
잠금 장치(120)는 핸들 어셈블리(110)를 몸체(102)에 고정시키거나 해제하도록 하는 레버(122)와, 레버(122)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탄성부재 고정부(114)에 설치되고, 레버(122)가 회전축(116)을 따라 회전될 때, 레버(122)의 이동을 복원시키는 탄성부재(124) 및, 레버(122)의 하측 일단에 형성되어, 몸체(102)의 고정홈(103)에 삽입되거나, 핸들 어셈블리(110)의 슬라이딩 시, 몸체(102)의 걸림턱(105)의 상부로 이동하는 걸림 돌기(126)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24)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레버(122)가 눌러지는 반대 측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잠금 장치(120)는 제2 손가락 걸이부(112)에 삽입된 검지 손가락에 의해 레버(122)를 누르게 되면, 회전축(116)에 의해 레버(1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홈(103)에 삽입된 걸림 돌기(126)가 고정홈(103)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어서 핸들 어셈블리(110)가 슬라이드되어 몸체(102)의 길이 방향의 전단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124)가 레버(12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즉, 복원시켜서 걸림 돌기(126)가 걸림턱(105)의 상부에 안착되어, 포셉(154)을 개방시킨다.
또 잠금 장치(120)는 포셉(154)의 닫힌 상태를 잠그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손가락 걸이부(104, 112, 118)에 삽입되거나 거치된 손가락들에 의해 핸들 어셈블리(110)가 몸체(102)의 길이 방향 후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걸림턱(105)의 상부에 위치한 걸림 돌기(126)가 걸림턱(105)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홈(103)에 삽입 안착되고, 이를 통해 포셉(154)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슬라이더(130)는 대체로 기둥 형상 또는 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몸체(102)의 슬롯(106)에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슬라이더(130)는 제1 및 제2 슬라이더(130a, 130b) 즉, 2 개로 분리되어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및 제2 슬라이더(130a, 130b)들 각각은 반원통 또는 로드 형상으로 구비되고, 슬롯(106)의 내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결합면에 와이어(142)의 끝단에 형성된 원통부재(148)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132a, 132b)와, 핸들 어셈블리(110)의 하우징(113)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115)에 삽입되어 슬라이더(130)를 고정시키는 원통부재(134a, 134b) 및, 관통홀(115)의 결합홈(117)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슬라이더(130a, 130b) 각각을 하우징(113) 내부에 고정시키는 결합 돌기(136a, 136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슬라이더(130a, 130b)가 슬롯(106)의 내부에서 결합되어, 결합면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132a, 132b)에 와이어(142)의 원통부재(148)를 고정시킴으로써, 슬라이더(130)의 슬라이딩 동작에 대응하여 와이어(142)를 당기거나 민다.
와이어 어셈블리(140 ~ 148)는 일단이 포셉 구동부(152)와 연결되고 타단이 슬라이더(130)에 고정되어, 슬라이더(1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포셉(154)을 열거나 닫도록 하는 와이어(142)와, 와이어(142)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와이어(142)가 삽입되어 와이어(142)를 보호하는 관형부재(140) 및, 와이어(142)의 타단에 장착되어 슬라이더(130)에 고정되는 원통부재(148)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와이어(142)는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2 단으로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와이어 어셈블리(140 ~ 148)는 2 단으로 분리된 와이어(14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연결부재(144, 146)가 더 구비된다. 제1 연결부재(144)는 하나의 와이어(142)의 끝단에 연결되어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 연결부재(146)는 다른 와이어(142)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 연결부재(144)가 삽입,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한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관형부재(140)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의 관형 코일들로 구비된다. 또 원통부재(148)는 제1 및 제2 슬라이더(130a, 130b)가 결합되는 결합면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132a, 132b)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조 어셈블리(150)는 조직을 체취하는 포셉(154)과, 포셉(154)을 고정하고, 와이어 어셈블리(140)에 의해 포셉(154)을 열거나 닫도록 구동하는 포셉 구동부(152)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포셉 구동부(152)는 다관절 구조로 구비되어, 와이어(142)가 슬라이더(130)에 의해 당겨지면, 포셉(154)을 닫도록 구동하고, 와이어(142)가 슬라이더(130)에 의해 밀려지면, 포셉(154)을 열도록 구동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옵시 포셉(100)은 시술자가 핸들 어셈블리(110)를 조작하여 당길 때, 포셉(154)은 닫히게 되고, 핸들 어셈블리(110)를 밀 때, 포셉(154)은 열리게 된다. 그러므로 시술자가 조직을 채취할 때, 포셉(154)이 닫히게 되면, 잠금 장치(120)의 걸림 돌기(126)는 몸체(102)의 고정홈(103)에 삽입, 고정되어 포셉(154)의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포셉(154)이 닫힌 상태를 유지한 채로 채취된 조직을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이용하여 이 실시예에 따른 바이옵시 포셉(100)의 잠금 장치(12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바이옵시 포셉의 포셉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바이옵시 포셉(100)은 잠금 상태 즉, 포셉(154)이 닫혀진 상태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핸들 어셈블리(110)는 제1 손가락 걸이부(104)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잠금 장치(120)의 레버(122)는 탄성부재(124)에 의해 레버(122) 하단의 걸림 돌기(126)가 고정홈(103)에 삽입된다. 따라서 포셉(154)은 슬라이더(130)에 고정된 원통부재(148)에 의해 와이어(142)를 당김으로써, 포셉(154)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잠금 상태는 바이옵시 포셉(100)을 내시경(미도시됨)에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그리고 조직을 채취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포셉(154)을 잠그게 된다. 이어서 포셉(154)을 이용하여 조직을 채취하기 위하여, 해당 조직의 위치로 포셉(154)을 이동하고, 포셉(154)을 열어서 조직을 채취한다.
즉, 도 5b를 참조하면, 시술자가 제2 손가락 걸이부(112)에 삽입된 손가락으로 레버(122)를 누르게 되면, 레버(1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걸림 돌기(126)는 고정홈(103)으로부터 이탈되어 고정홈(103)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5c를 참조하면, 레버(122)를 누른 채로 핸들 어셈블리(110)를 포셉(154) 측 방향으로 밀면, 핸들 어셈블리(110)가 슬라이딩된다. 이 때, 걸림 돌기(126)는 걸림턱(105)의 상부를 따라 이동되어 고정홈(103)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30)는 핸들 어셈블리(110)의 이동에 따라 포셉(154)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더(130)에 고정된 원통부재(148)는 와이어(142)를 밀어서 포셉(154)을 열게 한다. 즉, 도 5b 및 도 5c의 연속 동작에 의해 포셉(154)이 열리게 된다.
이 후, 도 5a의 동작을 반복하여, 조직을 채취한다. 즉, 열려진 포셉(154)을 닫히도록 핸들 어셈블리(110)를 제1 손가락 걸이부(104)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 돌기(126)가 걸림턱(105)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고, 레버(122)가 탄성부재(124)에 의해 복원되어 걸림 돌기(126)가 고정홈(103)에 삽입, 안착된다. 그러므로, 잠금 장치(120)에 의해 포셉(154)의 닫힌 상태를 유지한 채로 채취된 조직을 회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이옵시 포셉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에 도시된 바이옵시 포셉의 포셉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바이옵시 포셉(200)은 기어 방식을 이용한 잠금 장치(220 : 222 ~ 228)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의 바이옵시 포셉(200) 또한 위, 대장 또는 기관지 등의 조직을 채취하기 위한 내시경(미도시됨)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바이옵시 포셉(200)은 핸들 어셈블리(210)와, 와이어 어셈블리(240 ~ 242)와, 조 어셈블리(250 : 252, 254) 및 잠금 장치(220)를 포함한다.
핸들 어셈블리(2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잠금 장치(220)을 수용하는 하우징(202)을 포함한다. 하우징(202)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케이스(202a, 202b)로 구비된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202a, 202b)는 대체로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202a, 202b)는 바이옵시 포셉(200)의 길이 방향 전단에 체결캡(208)이 결합된다. 체결캡(208)은 상부 및 하부 케이스(202a, 202b)를 결합하고, 와이어 어셈블리(240 ~ 242)가 삽입 관통되어 하우징(202)의 내부로 와이어(242)를 설치하도록 구비된다. 하우징(202)의 내부에는 잠금 장치(220 : 222 ~ 228)가 수용된다.
조 어셈블리(250)는 조직을 체취하는 포셉(254)과, 포셉(254)을 고정하고, 와이어 어셈블리(240 ~ 242)에 의해 포셉(254)을 열거나 닫도록 구동하는 포셉 구동부(252)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포셉 구동부(252)는 포셉(254)을 열고 닫는 동작을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그것과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포셉 구동부(252)는 다관절 구조로 구비되어, 와이어(242)가 잠금 장치(220)에 의해 당겨지면, 포셉(254)을 열도록 구동하고, 와이어(242)가 잠금 장치(220)에 의해 밀려지면, 포셉(254)을 닫도록 구동한다.
와이어 어셈블리(240, 242)는 일단이 포셉 구동부(252)와 연결되고 타단이 잠금 장치(220)의 랙 기어(224)에 고정되어, 랙 기어(224)의 전후 이동에 따라 포셉(254)을 열거나 닫도록 하는 와이어(242)와, 와이어(242)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와이어(242)가 삽입되어 와이어(242)를 보호하는 관형부재(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잠금 장치(220)는 하우징(202)의 일측에 일부가 노출되고, 시술자에 의해 노출된 일부가 눌러지는 레버(222)와, 레버(222)의 타측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레버(222)가 눌러지면, 회전축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223)와, 회전체(223)에 접하여 회전체(223)와 연동되는 피니언 기어(227) 및, 피니언 기어(227)의 회전에 따라 바이옵시 포셉(2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랙 기어(224)를 포함한다. 또 잠금 장치(220)는 랙 기어(224)의 이동을 복원하는 인장 스프링(228)을 포함한다. 또 잠금 장치(220)는 랙 기어(224)의 직선 이동에 따라 와이어(24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버튼(225)과, 버튼(225)에 의해 랙 기어(224)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는 고정 로드(22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레버(222)는 일측이 회전축에 고정되어, 하우징(202)의 일측에 노출된 일부가 눌러지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레버(222)의 노출된 일부의 반대측에는 회전체(223)가 배치된다.
회전체(223)는 대체로 바이옵시 포셉(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회전체(223)는 중앙부가 회전축에 고정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이 레버(222)와 접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측이 피니언 기어(227)와 접한다. 회전체(223)의 타측에는 피니언 기어(227)에 대응하여, 일정 기어비를 갖는 기어들이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227)의 하부와 접한다.
피니언 기어(227) 상부가 랙 기어(224)와 접하고, 하부가 회전체(223)의 타측과 접한다. 피니언 기어(227)는 회전체(223)가 회전될 때, 회전체(223)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피니언 기어(227)는 회전될 때, 바이옵시 포셉(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랙 기어(224)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랙 기어(224)는 일면에 고정 로드(226)가 위치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홈들이 형성된 고정부(224a)와, 타면에 피니언 기어(227)와 접하는 기어부(224b) 및, 랙 기어(224)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관통된 와이어(24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24c)를 포함한다. 랙 기어(224)는 인장 스프링(228)에 의해 포셉(254)이 폐쇄된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또 랙 기어(224)는 레버(222)가 눌러지면, 회전체(223), 피니언 기어(227)의 회전에 의해 포셉(254)이 개방되도록 이동하여 와이어(242)를 당긴다. 그리고 고정부(224a)의 홈들 각각은 전단이 대체로 경사진 면을 가지고, 후단이 대체로 수직한 면을 갖는다.
버튼(225)은 하우징(202)의 타측에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된다. 버튼(225)은 포셉(254)을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랙 기어(224)의 고정부(224a)에 고정 로드(226)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고정 로드(226)는 중앙부가 회전축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이 상향 굴곡되어 버튼(225)과 결합된다. 또 고정 로드(226)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단이 하향 굴곡되어 랙 기어(224)의 고정부(224a)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고정 로드(226)의 타단은 랙 기어(224)가 전단 방향으로 이동 중에는 홈의 경사진 면에 의해 슬라이딩되고, 랙 기어(224)가 후단 방향으로 이동 중에는 수직한 면에 의해 걸려서 고정된다. 또 고정 로드(226)는 버튼(225)이 눌러지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단이 랙 기어(224)의 고정부(224a)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인장 스프링(228)은 랙 기어(224)의 전단에 배치되고, 인장력에 의해 수축되어 랙 기어(224)의 위치를 초기화시켜서 포셉(254)을 폐쇄시키고, 레버(222)가 눌러지면, 회전체(223), 피니언 기어(227)가 연동되어 랙 기어(224)가 이동되어 후단으로 확장된다.
이 실시예의 잠금 장치(22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셉(254)이 폐쇄된 초기 상태를 유지하며, 이 때 인장 스프링(228)은 수축된다. 이 경우, 바이옵시 포셉(200)은 조직을 채취할 수 있도록 내시경(미도시됨)에 삽입된다.
이 잠금 장치(220)는 조직을 채취하기 위하여, 채취하고자 하는 조직의 위치에 도달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레버(222)가 눌러지면, 회전체(2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연동해서 피니언 기어(22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랙 기어(224)는 피니언 기어(227)와 연동되어 바이옵시 포셉(200)의 후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랙 기어(224)가 이동되면, 고정 로드(226)의 일단은 랙 기어(224)의 고정부(224a)에서 슬라이딩되어 고정부(224a)의 전단에 위치하는 홈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인장 스프링(228)은 그 길이가 확장된다. 동시에 랙 기어(224)가 이동되면, 와이어(242)가 당겨져서 포셉(254)이 개방된다. 따라서 포셉(254)이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부(224a)의 특정 위치에 있는 홈에 고정 로드(226)가 삽입, 고정되어 포셉(254)이 개방된 상태에서 잠겨진다.
이어서 잠금 장치(22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버튼(225)을 누르면, 고정 로드(226)의 일단이 랙 기어(224)의 고정부(224a) 상부로 이동되어, 랙 기어(224)의 위치가 잠금 해제된다. 이 때, 랙 기어(224)는 인장 스프링(228)이 수축되어 전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242)가 바이옵시 포셉(200)의 전단 방향으로 밀려져서 포셉(254)이 초기 상태 즉, 폐쇄된다. 그 결과, 포셉(254)은 조직을 채취하게 되며, 시술자가 버튼(225)을 놓으므로서, 포셉(254)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잠금 장치(200)는 고정 로드(226)가 랙 기어(224)의 고정부(224a)에서 서로 다른 위치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포셉(254)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잠그게 되고, 버튼(225)을 이용하여 포셉(254)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200 : 바이옵시 포셉
102 : 몸체
104 : 손가락 걸이부
106 : 슬롯
108, 208 : 체결캡
110, 210 : 핸들 어셈블리
120, 220 : 잠금 장치
130 : 슬라이더
140, 240 : 와이어 어셈블리
150, 250 : 조 어셈블리
202 : 하우징

Claims (6)

  1.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에 있어서:
    조직을 채취하거나 채취된 조직을 외부로 인출하도록 개방 및 폐쇄되는 포셉과;
    일단이 상기 포셉에 결합되어 상기 포셉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하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내부에 고정되고,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밀거나 당겨서 상기 포셉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구동하는 핸들 어셈블리 및;
    상기 핸들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포셉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동작을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은;
    상기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에 하나의 손가락이 거치되는 제1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되며, 그리고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핸들 어셈블러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몸체를 더 구비하되;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2 및 제3 손가락 걸이부 및;
    내부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손가락 걸이부에 거치된 손가락들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외주에 결합된 상기 하우징을 전후 이동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2 손가락 걸이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손가락 걸이부에 거치된 손가락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포셉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을 슬라이딩시키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하측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포셉이 폐쇄될 때, 상기 몸체의 외측에서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고정홈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보다 높게 돌출되는 걸림턱에 의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레버가 눌러지는 반대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 이동을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잠금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 장치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노출되고, 시술자에 의해 노출된 일부가 눌러지는 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레버의 타측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레버가 눌러지면, 회전축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의 이동을 복원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랙 기어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랙 기어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는 고정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는;
    일면에 상기 고정 로드가 위치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홈들이 형성된 고정부와;
    타면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동되는 기어부 및;
    상기 랙 기어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관통된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랙 기어는 상기 인장 스프링에 의해 상기 포셉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레버가 눌러지면, 상기 회전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포셉이 개방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당기고,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홈에 상기 고정 로드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로드는;
    중앙부가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이 상향 굴곡되어 상기 버튼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단이 하향 굴곡되어 상기 랙 기어의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며, 그리고 상기 포셉이 폐쇄되도록 상기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타단이 상기 랙 기어의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에 의해 상기 랙 기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KR1020130098234A 2013-08-20 2013-08-20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KR10138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234A KR101385942B1 (ko) 2013-08-20 2013-08-20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234A KR101385942B1 (ko) 2013-08-20 2013-08-20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942B1 true KR101385942B1 (ko) 2014-04-16

Family

ID=5065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234A KR101385942B1 (ko) 2013-08-20 2013-08-20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942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989A (ko) 2014-12-26 2016-07-07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포셉
CN108403159A (zh) * 2018-04-02 2018-08-17 成都五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含柔性锁机构的手术器械
KR20180099376A (ko) 2017-02-28 2018-09-05 안용철 바이옵시 디바이스
CN109303589A (zh) * 2018-10-12 2019-02-05 南京微创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组织钳及其使用方法
KR102014087B1 (ko) 2019-01-04 2019-08-26 (주)메디컬에이드 일회용 내시경 포셉
KR20190141497A (ko) * 2018-06-14 2019-12-24 (주)비엠에이 내시경용 포셉장치
KR20200043807A (ko) 2018-10-18 2020-04-28 김평옥 바이옵시 포셉
KR20200053044A (ko) * 2018-11-07 2020-05-18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WO2020138946A1 (ko) * 2018-12-26 2020-07-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석 제거 장치
CN113749696A (zh) * 2021-09-30 2021-12-07 苏州法兰克曼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调式钳头组件及活检钳
KR20220031201A (ko) 2020-09-04 2022-03-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검사용 포셉
KR102440229B1 (ko) 2021-09-15 2022-09-02 김창보 일체형 와이어홀더가 구비된 내시경용 겸자
KR20230078407A (ko) * 2021-11-26 2023-06-02 신정수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KR20230090550A (ko) 2021-12-15 2023-06-2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압증기 멸균이 가능한 내시경용 핫 바이옵시 포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731A (ja) * 2004-11-08 2008-06-05 ザ ジョンズ ホプキンス ユニバーシティー 生検鉗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731A (ja) * 2004-11-08 2008-06-05 ザ ジョンズ ホプキンス ユニバーシティー 生検鉗子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989A (ko) 2014-12-26 2016-07-07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포셉
KR20180099376A (ko) 2017-02-28 2018-09-05 안용철 바이옵시 디바이스
CN108403159A (zh) * 2018-04-02 2018-08-17 成都五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含柔性锁机构的手术器械
KR20190141497A (ko) * 2018-06-14 2019-12-24 (주)비엠에이 내시경용 포셉장치
KR102121214B1 (ko) * 2018-06-14 2020-06-10 (주)비엠에이 내시경용 포셉장치
CN109303589A (zh) * 2018-10-12 2019-02-05 南京微创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组织钳及其使用方法
KR20200043807A (ko) 2018-10-18 2020-04-28 김평옥 바이옵시 포셉
KR102161618B1 (ko) * 2018-11-07 2020-10-06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KR20200053044A (ko) * 2018-11-07 2020-05-18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WO2020138946A1 (ko) * 2018-12-26 2020-07-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석 제거 장치
KR102014087B1 (ko) 2019-01-04 2019-08-26 (주)메디컬에이드 일회용 내시경 포셉
KR20220031201A (ko) 2020-09-04 2022-03-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검사용 포셉
KR102440229B1 (ko) 2021-09-15 2022-09-02 김창보 일체형 와이어홀더가 구비된 내시경용 겸자
CN113749696A (zh) * 2021-09-30 2021-12-07 苏州法兰克曼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调式钳头组件及活检钳
CN113749696B (zh) * 2021-09-30 2023-09-22 苏州法兰克曼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调式钳头组件及活检钳
KR20230078407A (ko) * 2021-11-26 2023-06-02 신정수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KR102628019B1 (ko) 2021-11-26 2024-01-19 신정수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KR20230090550A (ko) 2021-12-15 2023-06-2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압증기 멸균이 가능한 내시경용 핫 바이옵시 포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942B1 (ko)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US10864002B2 (en) Surgical grasper with integrated probe
US7278971B2 (en) Endoscopic multiple biopsy forceps with swing member
KR101754026B1 (ko) 내시경 조직 검사용 바이옵시 포셉
JPH05502181A (ja) 軟質組織生検装置および方法
EP1348378A1 (en) Multi-motion multiple biopsy sampling device
US20080262293A1 (en) Endoscopic operation assisting device
US9993233B2 (en) Large capacity biopsy forceps
WO2007096950A1 (ja) 内視鏡システム、及び医療器具
JP2016522704A (ja) 外科医制御内視鏡装置および方法
JP2016538979A (ja) 複数の検体バイオプシーのための内視鏡装置
US20220211252A1 (en) Disposable endoscopy cannula with integrated grasper
US8932232B2 (en) Tissue sampling device and method
KR100964082B1 (ko) 내시경용 생검 겸자
KR20190008744A (ko)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JP2007143869A (ja) 内視鏡処置具
CN2927996Y (zh) 内窥镜活体取样钳的钳头组件
JP4323375B2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システム
US20240016482A1 (en) Compact biological matter collection systems
KR20160079989A (ko) 내시경용 포셉
CN209172245U (zh) 一种单手操作的内窥镜附件手柄
JP3759283B2 (ja) 内視鏡装置
KR102121214B1 (ko) 내시경용 포셉장치
KR102172603B1 (ko) 내시경 장치 및 내시경 장치에 부착되는 폴립 회수 장치
JP5647775B2 (ja) 内視鏡用生検鉗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