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019B1 -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 Google Patents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019B1
KR102628019B1 KR1020210166167A KR20210166167A KR102628019B1 KR 102628019 B1 KR102628019 B1 KR 102628019B1 KR 1020210166167 A KR1020210166167 A KR 1020210166167A KR 20210166167 A KR20210166167 A KR 20210166167A KR 102628019 B1 KR102628019 B1 KR 102628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ear
hand insertion
handle
dis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8407A (ko
Inventor
신정수
Original Assignee
신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수 filed Critical 신정수
Priority to KR102021016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019B1/ko
Publication of KR2023007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2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8Arrangements to prevent overuse, e.g. by counting the number of uses
    • A61B2560/0285Apparatus for sing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분할 구성한 뒤 내측으로 니들부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시술 부위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니들부를 제외한 손잡이부를 몇 번이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폐기시에는 분리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에 소요되는 전반적인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서로 분할 구성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시술 과정에서 임의로 분해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손잡이부와 니들부의 결합강도를 보장함으로써, 시술 시 발생하는 안전 사고 내지 부정확한 시술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Medical perforator easy to recycle}
본 발명은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분할 구성한 뒤 내측으로 니들부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시술 부위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니들부를 제외한 손잡이부를 몇 번이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폐기시에는 분리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에 소요되는 전반적인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서로 분할 구성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시술 과정에서 임의로 분해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손잡이부와 니들부의 결합강도를 보장함으로써, 시술 시 발생하는 안전 사고 내지 부정확한 시술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내부로 특정 물질을 주입하거나, 인체의 특정 부분의 조직을 획득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수술 도구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수술 도구는 목적이나 수술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종류를 이루게 되는데, 예를 들어, 밀도가 높고 단단한 뼈와 같은 조직이나 척추와 같이 신경이 집중되어 고도의 정밀함을 요하는 부분에는 이에 맞는 특수한 수술 도구가 사용되어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수술 도구는 인체에 삽입되면 교차 감염의 위험성으로 인해 삽입되는 부분은 폐기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에 따라, 대부분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성의 수술 도구라는 특징이 있었다.
경조직의 수술을 위한 종래의 수술 도구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3667호(명칭: 본시멘트 주입기구)에 개시된 바 있다.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주입기구는 피부를 관통하여 뼈에 삽입가능하도록 첨예한 일단부를 가지는 외침관과, 상기 외침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시멘트공급수단과 체결가능한 체결부를 가지는 주손잡이를 포함하는 외삽입부재; 및 상기 주손잡이를 통해 개방된 상기 외침관의 타단부로 삽입가능한 내침로드와, 상기 내침로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손잡이를 포함하는 내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주입기구는 본시멘트의 혈관, 척추관 내로의 누출 및 본시멘트의 경화시 인체에서 쉽게 분리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피수술자의 인체에 삽입되는 관과 시술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시술자의 인체로 삽입되지 않아 굳이 폐기될 필요가 없는 손잡이도 함께 폐기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366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손잡이부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분할 구성한 뒤 내측으로 니들부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시술 부위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니들부를 제외한 손잡이부를 몇 번이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폐기시에는 분리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에 소요되는 전반적인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서로 분할 구성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시술 과정에서 임의로 분해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손잡이부와 니들부의 결합강도를 보장함으로써, 시술 시 발생하는 안전 사고 내지 부정확한 시술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니들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부의 후방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 및 손잡이부의 전방을 구성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니들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부의 후방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 및 손잡이부의 전방을 구성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하우징을 마주보는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제1 하우징을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접속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좌우측으로는 손삽입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손삽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동와이어가 삽입되는 작동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작동와이어는 작동구 내에서 작동하며, 상기 작동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제2 하우징의 상사점에서 상기 손삽입구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삽입구에는 압착부재가 결합되어 손삽입구로 노출된 작동와이어의 타단을 손삽입구의 벽면에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압착부재는 손삽입구의 벽면을 추종하는 폐쇄루프의 박판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삽입구의 벽면은 호 형태로 만곡지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재는 호 형태로 만곡진 손삽입구의 벽면과 대응되도록 호 형태로 만곡진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압착부재의 손삽입구의 벽면을 마주보는 면에는 압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사점에서 제2 하우징의 하방을 받쳐 지지하는 하강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강방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중심축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결대; 중심축이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되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 기어의 주변을 회전이동하는 제2 기어; 및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이 상하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제1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3 기어;를 포함하며, 하사점에 위치한 제1 하우징이 상사점으로 상승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기어가 제1 기어를 회전시키면, 제1 기어에 치합된 제2 기어가 제2 하우징의 하방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제2 하우징의 하방을 받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분할 구성한 뒤 내측으로 니들부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시술 부위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니들부를 제외한 손잡이부를 몇 번이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 의료용 천공기의 폐기시 분리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용 천공기 사용에 소요되는 전반적인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분할 구성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시술 과정에서 임의로 분해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손잡이부와 니들부의 결합강도를 보장함으로써, 시술 시 발생하는 안전 사고 내지 부정확한 시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손잡이부가 분해된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손잡이부가 분해된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제2 하우징이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의 손잡이부를, 도 4b는 제2 하우징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의 손잡이부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하우징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하강방지부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하강방지부재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천공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손잡이부가 분해된 의료용 천공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손잡이부가 분해된 의료용 천공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제2 하우징이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의 손잡이부를, 도 4b는 제2 하우징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의 손잡이부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1 하우징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하강방지부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하강방지부재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이하, 의료용 천공기라 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손잡이부(1) 및 니들부(2)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손잡이부(1)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시술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위해 인체 공학적인 형상을 갖춘다.
일례로, 손잡이부(1)에는 좌, 우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파지 날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파지 날개는 의료용 천공기의 조작시 보다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의료용 니들을 시술 부위에서 제거할 때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파지되는 부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손잡이부(1)는 의료용 니들을 조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ABS 수지, 폴리프로필렌(PP)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나일론(Ny), 아세탈(AT) 수지, 폴리에틸렌(PE)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HIPS 수지, AS 수지, 내열성 수지 등을 주 재료로 사용하거나, 재사용을 고려해 견고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니들부(2)는 손잡이부(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손잡이부(1)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형구조로 이루어져 시술 부위로의 삽입을 가능케 한다. 니들부(2)는 상기 손잡이부(1)의 내부에 걸림 지지되는 본체(2a) 및 상기 본체(2a)에 결합되며 피부조직 내지 뼈와 같은 경조직의 천공이 가능하도록 끝단이 첨상구조로 된 천자침(2c)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20)으로 분할 구성되어, 하나의 손잡이부(1)에 다양한 종류의 니들부(2)를 교체사용 한다거나, 시술에 사용되어 의료용 천공기의 폐기시, 손잡이부(1)와 니들부(2)의 분리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10)은 손잡이부(1)의 후방을 구성하며,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과 전후로 대칭 형성되어 손잡이부(1)의 전방을 구성한다. 이때, 제2 하우징(20)은 제1 하우징(10)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손잡이부(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개방된 손잡이부(1) 내부에 니들부(2)의 본체(2a)를 위치시키고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마주보게 결합시킴으로써 손잡이부(1)에 니들부(2)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2a)에는 이탈방지돌기(2b)가 형성되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2b)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11)이 형성되어, 손잡이부(1) 상에서 니들부(2)의 위치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제2 하우징(20)을 마주보는 전면에는 결합돌기(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10)을 마주보는 제2 하우징(20)에는 상기 결합돌기(12)의 대응개소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결합돌기(12)와 결합홈의 홈돌기 결합구조로서,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부가적으로,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일측으로 힌지구조를 형성하여,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힌지회동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손잡이부(1)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손잡이부(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으로 분할 형성되되,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완전히 분할되지 아니하고, 제1 하우징(10)에서 제2 하우징(20)이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손잡이부(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손잡이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의 후방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10) 및 손잡이부(1)의 전방을 구성하며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전방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하우징(10)에서 제2 하우징(20)이 최하단까지 내려진 상태를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라 하고, 제1 하우징(10)에서 제2 하우징(20)이 최상단까지 올려져,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마주보게 되어 손잡이부(1)를 구성한 상태를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라 정의한다.
제2 하우징(20)이 하사점에 위치하면 제1 하우징(10)의 전면 일부가 개방되어,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된 니들부(2)를 외측으로 탈거하거나, 반대로 니들부(2)를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의 제2 하우징(20)을 마주보는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홈(1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의 형성범위 내에서 제2 하우징(20)이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하우징(20)의 제1 하우징(10)을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3)에 접속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과 가이드돌기(21)는 서로 상보적인 구조로서,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지 아니하고, 원활히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선에서,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21)는 원형 내지 각형의 돌기의 형태, 가이드홈(13)은 상기 가이드돌기(21)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범위 내에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좌우측으로는 손삽입구(14,2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삽입구(14,23)는 각각의 파지 날개 상에 관통되어 시술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자가 파지 날개를 보다 강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하우징(10)에는 상기 가이드홈(13)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손삽입구(14)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동구(15)가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작동구(15) 상에는 후술 될 작동와이어(22)가 삽입되어 작동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3)과 작동구(15)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작동와이어(22)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하 직선적인 가이드홈(13)과 손삽입구(14)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작동구(15)에서 상호 작동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와이어(22)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돌기(21)에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작동구(15)에 위치하는 한편, 제2 하우징(20)이 상사점에 위치하면, 도 6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와이어(22)의 타단은 손삽입구(14)로 노출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즉, 작동와이어(22)는 제2 하우징(20)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작동구(15)와 가이드홈(13) 내에서 작동하되, 제2 하우징(20)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가 됐을 때에만 타단이 손삽입구(14)로 노출되어질 수 있다.
시술자가 시술을 위해 손삽입구(14)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손잡이부(1)를 파지하게 되면 각각의 손가락이 손삽입구(14)로 노출된 작동와이어(22)가 손가락에 의해 손삽입구(14)의 벽면(14a)에 자연스럽게 압착 고정될 수 있으며, 작동와이어(22)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작동와이어(22)와 연결된 가이드돌기(21), 가이드돌기(21)의 모체인 제2 하우징(20)이 연동해 위치 고정되질 수 있다.
즉, 상사점에 위치한 제2 하우징(20)이 시술 도중에 임의로 상하로 슬라이딩되지 아니하게 되어, 손잡이부(1)의 결합강도가 향상되며, 이에, 시술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때, 노출된 작동와이어(22)의 타단을 보다 효과적으로 압착 고정하기 위하여, 손삽입구(14)에는 압착부재(16)가 결합되어 손삽입구(14)로 노출된 작동와이어(22)의 타단을 손삽입구(14)의 벽면(14a)에 압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압착부재(16)는 손삽입구(14)의 벽면(14a)을 추종하는 폐쇄루프의 박판구조로 이루어어져 시술자의 손가락이 압착부재(16)를 도 6의 확대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압착할 경우 압착부재(16)의 표면이 손삽입구(14)의 벽면(14a) 외부로 노출된 작동와이어(22)의 타단을 손삽입구(14)의 벽면(14a)으로 강하게 압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작동와이어(22)의 타단은 압착부재(16)와 손삽입구(14)의 벽면(14a)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압착부재(16)의 이동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압착부재(16)의 손삽입구(14)의 벽면(14a)을 마주보는 면에는 압착돌기(16a)가 돌출 형성되어, 작동와이어(22)의 타단에 강한 마찰저항을 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에 따라, 압착부재(16)와 손삽입구(14)의 벽면(14a)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압축된 작동와이어(22)의 임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압착부재(16)는 압착력을 가하지 않게 되면 손삽입구(14)의 벽면(14a)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이격될 수 있도록, 손삽입구(14)의 벽면(14a)에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된 폐쇄루프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손삽입구(14)가 원형으로 관통되었다면, 압착부재(16)는 손삽입구(14)의 관통직경보다 작은 원형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삽입구(14)의 벽면(14a)은 호 형태로 만곡지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재(16)는 호 형태로 만곡진 손삽입구(14)의 벽면(14a)과 대응되도록 호 형태로 만곡진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압착부재(16)가 손삽입구(14)에서 편심이동은 가능하도록 하되, 자중에 의해 완전히 이탈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한편, 손잡이부(1)는 제2 하우징(20)의 상사점에서 제2 하우징(20)의 하방을 받쳐 지지하는 하강방지부재(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강방지부재(30)는 시술 과정에서 불의로 시술자의 파지력이 약해졌을 때 압착 고정되어 있던 작동와이어(22)의 고정력이 풀리면서, 제2 하우징(20)이 임의로 슬라이딩하여 제1 하우징(10)과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예방한다.
이를 위해, 하강방지부재(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3)의 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기어(31), 상기 제1 기어(31)의 중심축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결대(32), 중심축이 상기 연결대(32)에 결합되되 상기 제1 기어(31)와 치합되어, 상기 제1 기어(31)의 회전에 따라 제1 기어(31)의 주변을 회전이동하는 제2 기어(33) 및 상기 가이드돌기(2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20)이 상하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제1 기어(31)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제1 기어(31)를 회전시키는 제3 기어(3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제1 기어(31)가 수용되는 일정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어(31)의 중심축은 제1 하우징(10)의 하부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어(31)와 마주보는 제3 기어(3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랙기어로 구성되어 제2 하우징(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 기어(31)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기어(34)는 제2 하우징(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가이드홈(13) 내부에서 가이드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20)의 일정 위치에서 제1 기어(31)와 치합되어 제1 기어(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기어(33)는 제1 기어(31)와 치합된 상태에서, 제1 기어(31)의 회전에 따라 제1 기어(31)의 주변을 회전이동하는 한편, 제2 하우징(20)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제2 하우징(20)의 직하방을 향해 회전이동하고, 제2 하우징(20)이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와중에, 제1 기어(31)의 직하방을 향해 회전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다시 말해, 제2 하우징(20)이 하강이동하는 와중에 제2 하우징(20)의 제3 기어(34)가 제1 하우징(10)의 제1 기어(31)에 치합되면 제1 기어(31)가 정방향 회전하면서 이와 연동해, 제2 기어(33)가 제1 기어(31)의 직하방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하사점에 위치한 제1 하우징(10)이 상사점으로 상승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기어(34)가 제1 기어(31)를 회전시키면, 제1 기어(31)에 치합된 제2 기어(33)가 제2 하우징(20)의 하방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제2 하우징(20)의 하방을 받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술 중 손잡이부(1)를 파지하여 작동와이어(22)를 압착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제2 하우징(20)의 하부로 회전이동된 제2 기어(33)가 제2 하우징(2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제2 하우징(20)의 임의 하방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31)에 회전저항을 가함으로써 제1 기어(31)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제1 하우징(10)과 제1 기어(31) 사이에는 탄성편(3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35)의 일단은 제1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제1 기어(31)의 기어치 주변에 접촉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에, 제1 기어(31)가 회전될 때마다 상기 탄성편(35)에 의해 회전저항이 발생하여, 쉽게 회전되지 아니하게 되며, 임의로 제2 하우징(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지거나, 제2 기어(33)를 회전이동시킬 때에만 제1 기어(31)가 제자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손잡이부(1)를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으로 분할 구성한 뒤 내측으로 니들부(2)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시술 부위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니들부(2)를 제외한 손잡이부(1)를 몇 번이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 의료용 천공기의 폐기시 분리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용 천공기 사용에 소요되는 전반적인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분할 구성된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시술 과정에서 임의로 분해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손잡이부(1)와 니들부(2)의 결합강도를 보장함으로써, 시술 시 발생하는 안전 사고 내지 부정확한 시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손잡이부
2: 니들부
10: 제1 하우징
20: 제2 하우징
30: 하강방지부재
11: 이탈방지홈
12: 결합돌기
13: 가이드홈
14: 손삽입구
15: 작동구
16: 압착부재
21: 가이드돌기
22: 작동와이어

Claims (5)

  1. 삭제
  2.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니들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부의 후방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 및
    손잡이부의 전방을 구성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방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하우징을 마주보는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제1 하우징을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접속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좌우측으로는 손삽입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손삽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동와이어가 삽입되는 작동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작동와이어는 작동구 내에서 작동하며,
    상기 작동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제2 하우징의 상사점에서 상기 손삽입구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삽입구에는 압착부재가 결합되어 손삽입구로 노출된 작동와이어의 타단을 손삽입구의 벽면에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손삽입구의 벽면을 추종하는 폐쇄루프의 박판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삽입구의 벽면은 호 형태로 만곡지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재는 호 형태로 만곡진 손삽입구의 벽면과 대응되도록 호 형태로 만곡진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압착부재의 손삽입구의 벽면을 마주보는 면에는 압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사점에서 제2 하우징의 하방을 받쳐 지지하는 하강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강방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중심축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결대;
    중심축이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되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 기어의 주변을 회전이동하는 제2 기어; 및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이 상하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제1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3 기어;를 포함하며,
    하사점에 위치한 제1 하우징이 상사점으로 상승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기어가 제1 기어를 회전시키면, 제1 기어에 치합된 제2 기어가 제2 하우징의 하방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제2 하우징의 하방을 받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KR1020210166167A 2021-11-26 2021-11-26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KR10262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167A KR102628019B1 (ko) 2021-11-26 2021-11-26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167A KR102628019B1 (ko) 2021-11-26 2021-11-26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407A KR20230078407A (ko) 2023-06-02
KR102628019B1 true KR102628019B1 (ko) 2024-01-19

Family

ID=8675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167A KR102628019B1 (ko) 2021-11-26 2021-11-26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0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942B1 (ko) 2013-08-20 2014-04-16 최동열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654B1 (ko) * 2007-07-12 2009-05-27 주식회사 메디라바텍 약물 투입이 가능한 척추 시술용 니들
KR101150283B1 (ko) 2010-03-15 2012-05-24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본시멘트 주입기구
KR20180109574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경막외 카테터
KR102037882B1 (ko) * 2018-03-08 2019-10-29 (주)메디쎄이 척추성형용 니들어셈블리
KR102108620B1 (ko) * 2018-03-09 2020-05-08 강호상 척추성형술용 니들 세트
KR102254320B1 (ko) * 2019-07-23 2021-06-22 오인수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942B1 (ko) 2013-08-20 2014-04-16 최동열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407A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1350B2 (ja) 骨内アクセス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5417659A (en) Surgical instrument sharp end foil
EP1846064B1 (en) Insertion device
US11071565B2 (en) Method and device of male circumcision and suture
ES2384961T3 (es) Jeringuilla dental
US20130204284A1 (en) Surgical Knife Safety Handle
PL176248B1 (pl) Urządzenie do wstrzykiwania implantów
CZ296796B6 (cs) Bezpecnostní zarízení pro zapouzdrení lékarské jehly
JP2009507583A (ja) ハンドル内に針保護装置を備えた挿入ヘッド
AU2019414202B2 (en) Medicine administering device and medicine administering system
JP4319601B2 (ja) 翼付湾曲針
US5203866A (en) Stiletted needles
KR102628019B1 (ko)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JP2008228861A (ja) 医療用の二重刺針、医療用ドリル、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医療用ドリルキット
US4880413A (en) Sharp instrument protection means
EP3821833A1 (en) Device for intraosseous needle removal
US20140052165A1 (en) Interchangeable surgical scalpel
JP2008173406A (ja) 医療用ステープラ
US20230123079A1 (en) Needle groove plate, puncture support, and biopsy device
KR200362573Y1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JP2003116996A (ja) 針カバー及びキャップ付針カバー並びに針カバー付翼付針
EP1911411B1 (en) Medical needle puller
US11660117B2 (en) Implantation device with direct-to-needle aspiration of hair graft
RU2677356C1 (ru) Шприц для аспирации
RU177324U1 (ru) Аспирационный шпри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