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574A - 경막외 카테터 - Google Patents

경막외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574A
KR20180109574A KR1020170039483A KR20170039483A KR20180109574A KR 20180109574 A KR20180109574 A KR 20180109574A KR 1020170039483 A KR1020170039483 A KR 1020170039483A KR 20170039483 A KR20170039483 A KR 20170039483A KR 20180109574 A KR20180109574 A KR 20180109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tube
guide
rotary knob
guide wire
epid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03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9574A/ko
Publication of KR2018010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Strength 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7Epidura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Guide wires having a lumen for drug delivery 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16Design of handles or shafts or gripping surfaces thereof for manipulating guide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막외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외부의 약제공급부와 연결되는 약제주입로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척추 내 경막외강의 시술부위로 삽입되는, 일단부가 척추 내 경막외강의 시술부위로 삽입되는 연질의 삽입튜브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손잡이와,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제1 회전손잡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손잡이와, 일단부가 상기 삽입튜브의 내부를 통과하고, 상기 삽입튜브의 일단부 중 서로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 회전손잡이 일측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와이어 및 제2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방향 가이드부와, 일단부가 상기 삽입튜브의 내부를 통과하고, 상기 삽입튜브의 일단부 중 서로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회전손잡이 일측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제3 가이드와이어 및 제4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축 방향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삽입튜브의 단부가 4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삽입튜브의 동작 자유도가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삽입튜브의 단부를 약물 투입부위 또는 시료채취 부위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막외 카테터{Epidural catheter}
본 발명은 경막외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내지 제4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삽입튜브의 단부가 4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삽입튜브의 동작 자유도가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삽입튜브의 단부를 약물 투입부위 또는 시료채취 부위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는 경막외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Katheter)는 체강(體腔) 또는 위·창자·방광 등에 괸 액체를 뽑아내거나 영양제·약품 등을 주입할 때 쓰는 의료도구로서, 시술방법 또는 그 형태에 따라 방광카테터, 2관강 카테터, 정맥카테터, 경막외 카테터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여기서, 경막외 카테터의 경우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은 꼬리뼈 부위를 국소마취 한 후 꼬리뼈를 통해 경막외 카테터의 삽입튜브를 척추 경막외강의 시술부위까지 삽입하고, 삽입된 삽입튜브를 통해 외부에서 약물을 투입하여 통증을 치료하며, 척추 신경주위의 염증과 부종 또는 신경주변의 불필요한 흉터 조직등을 제거하는 비수술적 치료법으로서, 최근 척추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이 신경근주위의 염증성 유착이 해소되고, 치료약제가 신경조직으로의 흡수를 통해 심한 허리통증과 하지통증을 완화하는데 다른 신경치료방법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고 많이 보고되면서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의 관심과 함께 이에 사용되는 경막외 카테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1은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질의 삽입튜브(120)와, 본체(1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손잡이(130)와, 일단부가 삽입튜브(120)의 내부를 통과하고 삽입튜브(120)의 일단부 중 서로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부가 회전손잡이(130) 일측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와이어(140) 및 제2 가이드와이어(1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100)는 꼬리뼈를 통해 삽입튜브(120)를 척추 경막외강의 시술부위까지 삽입하고, 삽입튜브(120)의 단부가 좌우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약물 투입부위 또는 시료채취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손잡이(13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손잡이(13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손잡이(130) 일측에 연결된 제1 가이와이어 및 제2 가이드와이어(150) 중 회전방향과 대응되는 가이드와이어가 일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삽입튜브(120)의 단부를 회전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다른 가이드와이어가 삽입튜브(120)의 단부 타측을 지지함으로써 삽입튜브(120)가 안정적으로 좌우회전한다.
이와 같이 삽입튜브(120)의 단부를 좌우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시술부위에 약물을 투입하거나 시료를 채취한 후 삽입튜브(120)를 시술부위로부터 인출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100)는 한 쌍의 가이드와이어가 삽입튜브(120) 단부의 좌우측에 연결됨에 따라 시술부위에 삽입된 삽입튜브(120)를 좌우방향으로밖에 동작되지 않아 삽입튜브(120)를 시술부위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튜브(120)를 약물 투입부위 또는 시료채취 부위에 정확하게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100)는 삽입튜브(120)의 단부를 약물 투입부위 또는 시료채취 부위에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해 시술작업 중 시술부위에 삽입된 삽입튜브(120) 자체를 회전해야 함에 따라 번거로운 조작으로 시술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환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내지 제4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삽입튜브의 단부가 4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삽입튜브의 동작 자유도가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삽입튜브의 단부를 약물 투입부위 또는 시료채취 부위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는 경막외 카테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외부의 약제공급부와 연결되는 약제주입로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척추 내 경막외강의 시술부위로 삽입되는, 일단부가 척추 내 경막외강의 시술부위로 삽입되는 연질의 삽입튜브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손잡이와,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제1 회전손잡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손잡이와, 일단부가 상기 삽입튜브의 내부를 통과하고, 상기 삽입튜브의 일단부 중 서로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 회전손잡이 일측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와이어 및 제2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방향 가이드부와, 일단부가 상기 삽입튜브의 내부를 통과하고, 상기 삽입튜브의 일단부 중 서로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회전손잡이 일측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제3 가이드와이어 및 제4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축 방향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회전손잡이 및 상기 제2 회전손잡이의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으로부터 각각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안내돌기 및 제2 안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손잡이 및 상기 제2 회전손잡이는 각각 상기 제1 안내돌기 및 상기 제2 안내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안내장공 및 제2 안내장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축 방향 가이드부 및 상기 제2축 방향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튜브 일단부 단면에서 상기 제1 가이드와이어와 상기 제2 가이드와이어를 연결하는 제1 가상선과, 상기 제3 가이드와이어와 상기 제4 가이드와이어를 연결하는 제2 가상선이 직각으로 교차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삽입튜브의 단부가 4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삽입튜브의 동작 자유도가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삽입튜브의 단부를 약물 투입부위 또는 시료채취 부위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경막외 카테터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에 표시된 'A'의 확대도,
도5는 도3에 표시된 'B'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의 삽입튜브가 제1축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경막외 카테터의 삽입튜브가 제2축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에 표시된 'A'의 확대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튜브의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는 본체(10)와, 삽입튜브(20)와, 제1 회전손잡이(30)와, 제2 회전손잡이(40)와, 제1축 방향 가이드부(50) 및 제2축 방향 가이드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길이를 갖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공간(10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 및 제2 회전손잡이(30,40)가 설치되는 설치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시술자에게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10)는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부커버(12) 및 상부커버(11)의 내면 중 후술하는 제1 회전몸체(31) 및 제2 회전몸체(41)와 대응되는 일측에 각각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안내돌기(12a) 및 제2 안내돌기(11a)가 형성된다.
삽입튜브(20)는 길이를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외부의 약제공급부와 연결되는 약제주입로(2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삽입튜브(20)는 연질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척추 내 경막외강의 시술부위 삽입되고, 시술부위에 약물을 투입하거나 시료를 채취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회전손잡이(30)는 본체(10)의 설치공간(10a)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양측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회전몸체(31)와, 제1 회전몸체(31)의 양측부 일측으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 손잡이(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회전몸체(31)는 대략 높이가 낮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중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 후술하는 제1 가이드와이어(51) 및 제2 가이드와이어(52)의 타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1 가이드와이어(51) 및 제2 가이드와이어(52)를 일방향을 당겨 삽입튜브(20)의 단부가 일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 회전몸체(31)는 저면 일측 중 상기한 제1 안내돌기(12a)와 대응되는 일측에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안내장공(31a)이 형성되고, 제1 안내돌기(12a)가 제1 안내장공(3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손잡이(3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회전몸체(3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시술자가 제1 회전몸체(31)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파지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시술자가 제1 회전몸체(31)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회전손잡이(40)는 본체(10)의 설치공간(10a) 중 제1 회전몸체(3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양측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2 회전몸체(41)와, 제2 회전몸체(41)의 양측부 일측으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 손잡이(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2 회전몸체(41)는 제1 회전몸체(31)와 같이 대략 높이가 낮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중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 후술하는 제3 가이드와이어(61) 및 제4 가이드와이어(62)의 타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3 가이드와이어(61) 및 제4 가이드와이어(62)를 당겨 삽입튜브(20)의 단부가 일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 회전몸체(41)는 저면 일측 중 상기한 제2 안내돌기(11a)와 대응되는 일측에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안내장공(41a)이 형성되고, 제2 안내돌기(11a)가 제2 안내장공(4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손잡이(4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회전몸체(4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시술자가 제2 회전몸체(41)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파지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시술자가 제2 회전몸체(41)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축 방향 가이드부(50)는 일단부가 삽입튜브(20)의 내부를 통과하고 삽입튜브(20)의 일단부 내면 일측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제1 회전손잡이(30) 내부 중 우측영역 일측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와이어(51)와, 일단부가 삽입튜브(20)의 내부를 통과하고 삽입튜브(20)의 일단부 내면 중 제1 가이드와이어(51)와 대향되는 일측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제1 회전손잡이(30) 내부 중 좌측영역 일측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와이어(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회전손잡이(30)가 좌우회전되는 경우 그 회전방향에 따라 삽입튜브(20)의 단부 일측을 당기면서 삽입튜브(20)의 단부가 제1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축 방향 가이드부(60)는 일단부가 삽입튜브(20)의 내부를 통과하고 삽입튜브(20)의 일단부 내면 타측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제2 회전손잡이(40) 내부 중 우측영역 일측에 연결되는 제3 가이드와이어(61)와, 일단부가 삽입튜브(20)의 내부를 통과하고 삽입튜브(20)의 일단부 내면 중 제3 가이드와이어(61)와 대향되는 일측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제2 회전손잡이(40) 내부 중 좌측영역 일측에 연결되는 제4 가이드와이어(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회전손잡이(40)가 좌우회전되는 경우 그 회전방향에 따라 삽입튜브(20)의 단부 일측을 당기면서 삽입튜브(20)의 단부가 제2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회전손잡이(30,40)는 삽입튜브(20)의 직경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직경이 작은 금속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회전손잡이(30) 또는 제2 회전손잡이(40)의 회전동작에 따라 삽입튜브(20)의 단부를 일방향으로 당기면서 삽입튜브(20)의 단부가 2축방향, 즉 4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삽입튜브(20)의 동작 자유도가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삽입튜브(20)의 단부를 약물 투입부위 또는 시료채취 부위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제1 및 제2 회전손잡이(30,40)는 삽입튜브(20) 일단부 단면에서 제1 가이드와이어(51)와 제2 가이드와이어(52)를 연결하는 제1 가상선(G1)과, 제3 가이드와이어(61)와 제4 가이드와이어(62)를 연결하는 제2 가상선(G2)이 직각으로 교차되게 삽입튜브(20) 일단부에 연결되어 제1 회전손잡이(30) 또는 제2 회전손잡이(40)를 조작하는 경우 삽입튜브(20)의 일단부가 상하좌우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의 삽입튜브가 제1축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경막외 카테터의 삽입튜브가 제2축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의 동작을 첨부된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술자는 꼬리뼈 부위를 국소마취 한 후 꼬리뼈를 통해 삽입튜브(20)를 척추 경막외강의 시술부위까지 삽입하고, 제1 회전손잡이(30) 또는 제2 회전손잡이(40)를 회전조작하여 삽입튜브(20)의 단부가 시술부위와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제1 회전손잡이(3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몸체(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회전몸체(31)의 좌우측영역에 각각 연결된 제1 가이드와이어(51) 또는 제2 가이드와이어(52)가 당겨지면서 삽입튜브(20)의 일단부가 좌우측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아울러, 제2 회전손잡이(4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회전몸체(4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 회전몸체(41)의 좌우측영역에 각각 연결된 제3 가이드와이어(61) 또는 제4 가이드와이어(62)가 당겨지면서 삽입튜브(20)의 일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회전손잡이(30) 또는 제2 회전손잡이(40)를 조작하여 삽입튜브(20)의 단부가 시술부위와 대응되도록 하고, 시술부위에 약물을 투입하거나 시료를 채취한 후 삽입튜브(20)를 외부로 인출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본체 10a : 설치공간
11 : 상부커버 11a : 제2 안내돌기
12 : 하부커버 12a : 제1 안내돌기
20 : 삽입튜브 21 : 약제주입로
30 : 제1 회전손잡이 31 : 제1 회전몸체
31a : 제1 안내장공 32 : 제1 손잡이
40 : 제2 회전손잡이 41 : 제2 회전몸체
41a : 제2 안내장공 42 : 제2 손잡이
50 : 제1축 방향 가이드부 51 : 제1 가이드와이어
52 : 제2 가이드와이어 60 : 제2축 방향 가이드부
61 : 제3 가이드와이어 62 : 제4 가이드와이어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외부의 약제공급부와 연결되는 약제주입로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척추 내 경막외강의 시술부위로 삽입되는 연질의 삽입튜브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손잡이와;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제1 회전손잡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손잡이와;
    일단부가 상기 삽입튜브의 내부를 통과하고, 상기 삽입튜브의 일단부 중 서로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 회전손잡이 일측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와이어 및 제2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방향 가이드부와;
    일단부가 상기 삽입튜브의 내부를 통과하고, 상기 삽입튜브의 일단부 중 서로 대향되는 영역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회전손잡이 일측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제3 가이드와이어 및 제4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축 방향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회전손잡이 및 상기 제2 회전손잡이의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으로부터 각각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안내돌기 및 제2 안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손잡이 및 상기 제2 회전손잡이는 각각 상기 제1 안내돌기 및 상기 제2 안내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안내장공 및 제2 안내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 방향 가이드부 및 상기 제2축 방향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튜브 일단부 단면에서 상기 제1 가이드와이어와 상기 제2 가이드와이어를 연결하는 제1 가상선과, 상기 제3 가이드와이어와 상기 제4 가이드와이어를 연결하는 제2 가상선이 직각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KR1020170039483A 2017-03-28 2017-03-28 경막외 카테터 KR20180109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483A KR20180109574A (ko) 2017-03-28 2017-03-28 경막외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483A KR20180109574A (ko) 2017-03-28 2017-03-28 경막외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74A true KR20180109574A (ko) 2018-10-08

Family

ID=6386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483A KR20180109574A (ko) 2017-03-28 2017-03-28 경막외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957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69A (ko)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경막외 카테터
KR102182074B1 (ko) 2019-12-24 2020-11-23 김남배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
KR20210015546A (ko) 2019-08-02 2021-02-10 쥬베뉴 주식회사 Rf 발생기 일체형 경막외 카테터
KR20220054937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메코비 카테터
KR20220069168A (ko)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제노스 카테터 장치
KR20230051909A (ko)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척추협착증 치료용 니들 카테터
KR20230078407A (ko) * 2021-11-26 2023-06-02 신정수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69A (ko)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경막외 카테터
KR20210015546A (ko) 2019-08-02 2021-02-10 쥬베뉴 주식회사 Rf 발생기 일체형 경막외 카테터
KR102182074B1 (ko) 2019-12-24 2020-11-23 김남배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
KR20220054937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메코비 카테터
KR20220069168A (ko)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제노스 카테터 장치
KR20230051909A (ko)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척추협착증 치료용 니들 카테터
KR20230078407A (ko) * 2021-11-26 2023-06-02 신정수 분리 폐기가 용이한 의료용 천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9574A (ko) 경막외 카테터
US11903607B2 (en) Flexible surgical device for tissue removal
US981485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local anesthetic
CA2318307C (en) Catheter system for administration of continuous peripheral nerve anesthetic
AU2013343041B2 (en) Paranasal sinus access system
US20050060006A1 (en) Epidural nerve root access catheter and treatment methods
US20100041990A1 (en) Needle Guides for Catheter Delivery
BRPI0618702B1 (pt)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s in a retal or hemorroidal prolapse
ES2927539T3 (es) Sistema de inyección neuronal
KR101484491B1 (ko)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CN103272324B (zh) 一种微创介入式给药装置
JP5401364B2 (ja) 管体用ガイド針
US9986896B2 (en) Disposable sheath designs for the stimulating endoscope and needle endoscopes having distal electrodes for nerve block under direct vision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CN208851594U (zh) 组织扩张工具及微创骨科手术套件
CN202569187U (zh) 一种内镜下穿刺和放射性粒子植入装置
CN108309441A (zh) 柔性射频消融电极
CN215129762U (zh) 一种肿瘤内科介入治疗装置
CN210583282U (zh) 一种内窥镜用多功能注射针
CN203408347U (zh) 一种微创介入式给药装置
EP2452646A1 (en) Device with electro-catheter for reducing a reversible neural lesion
CN219167432U (zh) 一种可调外周导管
CN105963847A (zh) 脊柱椎间硬膜外微创用导管设备
CN217645597U (zh) 一种用于腰大池的持续引流装置
CN102671290B (zh) 一种消化道肿瘤内镜下放射性粒子植入穿刺针
KR102384707B1 (ko) 신경차단술용 터널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