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063B1 - 누기 지점 특정재 및 누기 지점 특정 방법, 누기 지점 보수재 및 누기 지점 보수 방법, 그리고 누기 지점 보수 장치 - Google Patents

누기 지점 특정재 및 누기 지점 특정 방법, 누기 지점 보수재 및 누기 지점 보수 방법, 그리고 누기 지점 보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063B1
KR102652063B1 KR1020227027065A KR20227027065A KR102652063B1 KR 102652063 B1 KR102652063 B1 KR 102652063B1 KR 1020227027065 A KR1020227027065 A KR 1020227027065A KR 20227027065 A KR20227027065 A KR 20227027065A KR 102652063 B1 KR102652063 B1 KR 102652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leak point
point
repair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877A (ko
Inventor
야스타카 모리
다카아키 구보타
데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12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7492868B2/ja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1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7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using materials which fill a space around the pipe before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4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2Materials for stopping leaks, e.g. in radiators, in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003/1034Material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fic properties
    • C09K2003/1062UV-curabl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부여하여 누기 지점을 특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누기 지점 특정재로서,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를 A (Pa·s) 로 하고, 시어 레이트 10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를 B (Pa·s) 로 하면, 다음 식, A/B ≥ 21.0, 을 충족하고, 경화 후의 50 ℃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가 10 ㎫ 이상인 누기 지점 특정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누기 지점 특정재 및 누기 지점 특정 방법, 누기 지점 보수재 및 누기 지점 보수 방법, 그리고 누기 지점 보수 장치
본 발명은, 누기 (漏氣) 지점 특정재 및 누기 지점 특정 방법, 누기 지점 보수재 및 누기 지점 보수 방법, 그리고 누기 지점 보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은, 누기 지점을 특정할 필요가 있어, 기체 누출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용접이나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누기 지점 보수재를 사용하여 보수를 실시하고 있었다. 한편, 기체 누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에폭시 수지가 경화될 때까지 수지 도포부를 누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여 누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봉입 기기나 가스를 유통하는 배관 등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에 있어서, 누기 지점을 특정한 후, 가압구를 사용하여 누기 지점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함과 함께, 압압 (押壓) 하여 누기를 일시적으로 멈추고, 압압한 채로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89878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누기 지점을 사전에 특정할 필요가 있다. 또, 장파장에서의 광경화의 경우, 경화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경화될 때까지의 시간, 가압구로 계속 압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압입이 약한 지점이 있으면 재차 누기되거나, 누기의 압력이 높으면 보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부여하기만 하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누기 지점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는 누기 지점 특정재 및 누기 지점 특정 방법, 사전에 누기 지점을 특정할 필요가 없고, 누기 지점으로부터의 누기량이 많아도 간단하게 단시간에 보수할 수 있는 누기 지점 보수재 및 누기 지점 보수 방법, 그리고 누기 지점 보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이하와 같다. 즉,
<1>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부여하여 누기 지점을 특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누기 지점 특정재로서,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를 A (Pa·s) 로 하고, 시어 레이트 10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를 B (Pa·s) 로 하면, 다음 식, A/B ≥ 21.0, 을 충족하고,
경화 후의 50 ℃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가 1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특정재이다.
<2>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 A 가 500 Pa·s 이상인, 상기 <1> 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재이다.
<3>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재이다.
<4> 상기 경화형 수지 조성물이 중합성 화합물 및/또는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상기 <3> 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재이다.
<5> 추가로 착색제를 함유하는, 상기 <4> 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재이다.
<6> 파장 420 ㎚ 이하의 광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재이다.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재를 누기 지점의 보수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보수재이다.
<8>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재에 의한 피복막을 형성하고, 상기 피복막에 있어서 상기 누기에 의해 생성된 구멍의 지점을 누기 지점으로서 특정하는 누기 지점 특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특정 방법이다.
<9> 상기 <8> 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 방법에 의해 특정한 누기 지점이 포함되는 피복막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과,
상기 <7> 에 기재된 누기 지점 보수재에 의해 경화된 상기 누기 지점을 막고, 상기 누기 지점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보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이다.
<10> 상기 <8> 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 방법에 의해 특정한 누기 지점이 포함되는 피복막의 상기 누기 지점에 관상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피복막을 경화시키는 공정과,
상기 <7> 에 기재된 누기 지점 보수재를 상기 관상 부재 내에 충전한 후, 누기압에 의해 개공 (開孔) 한 상기 관상 부재에 개폐 밸브를 열림 상태에서 접속시키고, 그 개폐 밸브를 닫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이다.
<11> 광원과, 그 광원의 조사면에 자외선을 투과하는 막상 부재 또는 테이프상 부재를 갖고,
상기 막상 부재 및 상기 테이프상 부재 상에 상기 <7> 에 기재된 누기 지점 보수재를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보수 장치이다.
<12> 상기 막상 부재 및 상기 테이프상 부재의 표면이 이형 처리되어 있는, 상기 <11> 에 기재된 누기 지점 보수 장치이다.
<13> 상기 <1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누기 지점 보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부여하기만 하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누기 지점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는 누기 지점 특정재 및 누기 지점 특정 방법, 사전에 누기 지점을 특정할 필요가 없고, 누기 지점으로부터의 누기량이 많아도 간단하게 단시간에 보수할 수 있는 누기 지점 보수재 및 누기 지점 보수 방법, 그리고 누기 지점 보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누기 보수 대상인 가스 배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 는, 가스 배관의 폐지 플랜지부의 정상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 은, 가스 배관의 폐지 플랜지부의 바닥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장치의 광 조사면측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장치의 광원측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의 보수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누기 지점 특정재를 부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에 의해 피복막에 구멍이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 는, 제 1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이 포함되는 피복막을 경화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 은, 제 1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경화된 누기 지점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 은, 제 1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을 누기 지점 보수재로 막고, 누기 지점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 는, 제 1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의 보수가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에 누기 지점 특정재를 부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5 는, 제 2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에 튜브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6 은, 제 2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에 사용되는 개폐 밸브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7 은, 제 2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8 은, 제 2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에 튜브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9 는, 제 2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튜브에 개폐 밸브를 접속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0 은, 제 2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개폐 밸브를 닫힘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1 은, 제 2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의 보수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누기 지점 특정재)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는,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부여하여 누기 지점을 특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누기 지점 특정재로서,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를 A (Pa·s) 로 하고, 시어 레이트 10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를 B (Pa·s) 로 하면, 다음 식, A/B ≥ 21.0, 을 충족시키고, 경화 후의 50 ℃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가 1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에 의하면,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부여하기만 하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누기 지점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이란, 누기 지점의 특정 또는 보수를 실시하는 대상물에 있어서의 누기 지점을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하고, 누기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을 포함하는 범위이다.
누기 지점 특정재의 부여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각종 도포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브러시 도포, 블레이드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그라비어 오프셋 코트법, 와이어 바 도포법, 바 코트법, 롤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콤마 코트법, U 콤마 코트법, AKKU 코트법, 스무딩 코트법,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4 본 내지 5 본 롤 코트법, 딥 코트법, 커튼 코트법, 슬라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잉크젯법 등을 들 수 있다.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를 A (Pa·s) 로 하고, 시어 레이트 10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를 B (Pa·s) 로 하면, 다음 식, 틱소비 (A/B) ≥ 21.0, 을 충족하고, 다음 식, 틱소비 (A/B) ≥ 80, 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 A 는 500 Pa·s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0 Pa·s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틱소비 (A/B) 가 21.0 이상인 누기 지점 특정재를 사용함으로써,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누기 지점 특정재를 부여했을 때에, 누기 지점의 누기압에 의해 누기 지점 특정재가 날아가지 않고, 어느 정도의 두께를 유지한 상태에서 누기 지점의 피복막에 구멍이 생성되기 때문에, 누기 지점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 A 가 500 Pa·s 미만이면, 누기 지점에 있어서의 누기압에 의해, 부여한 누기 지점 특정재가 날아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누기 지점의 보수가 곤란해진다.
또, 누기 지점 특정재의 틱소비 (A/B) 가 21.0 미만이고,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 A 가 500 Pa·s 이상이면, 피복막에 구멍이 생성되지 않고, 도포 계면에 공동이 생성되어 버린다.
누기 지점 특정재의 틱소비 (A/B) 가 21.0 이상이고,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 A 가 500 Pa·s 이상이면, 누기 지점의 특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누기 지점의 보수를 동일한 누기 지점 특정재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누기 지점 특정재의 점도는, 예를 들어, TA Instrument 사 제조 AR-G2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직경 20 ㎜, 각도 2°의 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온도 25 ℃ 의 환경하에서, 시어 레이트 (전단 속도) 0.01 s-1 ∼ 100 s-1 의 범위에서 측정을 실시한다. 또한, 점도는, 시어 레이트 0.1 s-1 의 값으로 평가를 실시한다. 또,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 A 와, 시어 레이트 10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 B 의 비 (A/B) 를 틱소비로 한다.
경화 후의 50 ℃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는 10 ㎫ 이상이고, 25 ㎫ 이상이 바람직하다.
경화 후의 50 ℃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가 10 ㎫ 이상인 누기 지점 특정재를 사용하면, 피복막에 누기의 압력으로 용이하게 구멍이 생성되므로, 누기 지점의 특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누기 시일성 시험에 있어서 1 분간 이상 누기가 멈춰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경화 후의 50 ℃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가 10 ㎫ 미만인 누기 지점 특정재를 사용하면, 누기 시일성 테스트에 있어서, 1 분간 미만에서 누기 (즉시 누기) 되어 버렸다. 또한, 경화 후의 50 ℃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가 25 ㎫ 이상인 누기 지점 특정재를 사용하면, 누기 시일성 시험에 있어서 1 시간 이상 누기가 멈춰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경화 후의 50 ℃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는, 샘플로서 두께가 1 ㎜ 가 되도록 누기 지점 특정재를 도포하고, JAXMAN 사 제조 UV 라이트 U1 을 사용하여 경화시키고, TA Instrument 사 제조 RSAIII 를 사용하여, 인장 모드, 주파수 10 Hz, 승온 속도 10 ℃/min., 25 ℃ ∼ 100 ℃ 의 범위에서 온도 분산 측정을 실시하여, 경화 후의 50 ℃ 의 탄성률 E' 의 값을 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장 420 ㎚ 이하의 광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누기 지점 특정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420 ㎚ 이하의 광으로 경화되는 누기 지점 특정재를 사용함으로써, 장파장의 광으로 경화되는 누기 지점 특정재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시간에 누기 지점 특정재를 경화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중합성 화합물 및/또는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증감제, 광산 발생제,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함유한다.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광경화, 열경화, 2 액 혼합형 (예를 들어, 2 액 혼합 타입의 아크릴 수지나 에폭시 수지 등), 습기 경화, 또는 이들의 병용 등의 각종 경화 방법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경화 속도의 관점에서, 광경화가 바람직하다.
<중합성 화합물>
중합성 화합물은, 가열, 활성 에너지선 (자외선, 전자선 등) 에 의해 중합 반응을 일으켜 경화되는 화합물이며,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 카티온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 (라디칼 중합 성분) 로는,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란,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를 의미한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이 갖는 라디칼 중합성기는, 1 개여도 되고,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에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에스테르 화합물, (메트)아크릴산과 에폭시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에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1 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1H,1H,5H-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미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비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하이드로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하이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2 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F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타디에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이소시아누르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카보네이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3 개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은, 소위 올리고머여도 된다.
상기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이소프렌(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아크릴 중합체에 라디칼 중합성기를 부여시킨 것이어도 된다.
아크릴 중합체 : 부틸아크릴레이트, 2-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나,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000 ∼ 100,000 이 바람직하고, 2,000 ∼ 80,000 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 ∼ 50,000 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GPC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카티온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
상기 카티온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 (카티온 중합 성분) 로는, 브뢴스테드산 유래 또는 루이스산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 프로톤 또는 탄소 카티온과 반응하는 관능기 (카티온 중합성기) 를 갖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카티온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1 액형이어도 되고 2 액형이어도 된다.
상기 카티온 중합성기로는, 예를 들어, 알콕시실릴기, 에폭시기, 비닐에테르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콕시실릴기, 및 에폭시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실릴기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81732289-pct00001
단, 상기 일반식 (1) 중, R1 은,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및 탄소수 1 ∼ 3 의 알콕시기 중 어느 것을 나타낸다.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알콕시실릴기로는, 카티온 중합성이 우수한 점에서, 트리메톡시실릴기, 트리에톡시실릴기, 디메톡시메틸실릴기, 디에톡시메틸실릴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기는, 지환식 에폭시기여도 되고, 비지환식 에폭시기여도 된다. 상기 에폭시기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2),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81732289-pct00002
단, 상기 일반식 (2) 중, R4 는, 수소 원자, 및 메틸기 중 어느 것을 나타낸다.
상기 카티온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은, 상기 경화형 수지 조성물 중의 원재료의 상용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상기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상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추가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상기 카티온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은,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카티온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상기 카티온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2081732289-pct00003
단, 상기 일반식 (4) 중, R 은, 수소 원자 및 메틸기 중 어느 것을 나타내고, X 는, 카티온 중합성기를 나타내고, Y 는, 2 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상기 X 로는,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기,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기, 상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Y 로는, 예를 들어, 알킬렌기, 알킬렌옥시알킬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로는, 예를 들어, C1∼6알킬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렌옥시알킬렌기로는, 예를 들어, C1∼6알킬렌옥시C1∼6알킬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C1∼6 은, 탄소수가 1 ∼ 6 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서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상기 카티온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일)메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일)메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2-(2-비닐옥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2-비닐옥시에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
중합 개시제로는,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광 (특히 자외선) 의 에너지에 의해, 라디칼이나 카티온 등의 활성종을 생성하고,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을 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되고, 라디칼 중합 개시제나 카티온 중합 개시제, 염기 발생제 등을, 1 종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 케톤류,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방향족 오늄염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티오 화합물 (티오크산톤 화합물, 티오페닐기 함유 화합물 등), 헥사아릴비이미다졸 화합물, 케토옥심에스테르 화합물, 보레이트 화합물, 아지늄 화합물, 메탈로센 화합물, 활성 에스테르 화합물, 탄소 할로겐 결합을 갖는 화합물, 알킬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증감제>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광 (특히 자외선) 을 조사할 때에, 광 (특히 자외선) 이 흡수 또는 은폐되는 것에 의한 경화 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목적에서, 증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증감제로는, 예를 들어, 지방족 아민, 방향족기를 갖는 아민, 피페리딘 등의 고리형 아민계 화합물 ; o-톨릴티오우레아 등의 우레아계 화합물 ; 나트륨디에틸티오포스페이트, 방향족 술핀산의 가용성 염 등의 황 화합물 ; N,N'-디 치환-p-아미노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 화합물 ; 트리-n-부틸포스핀, 나트륨디에틸디티오포스페이트 등의 인 화합물 ; 미힐러 케톤, N-니트로소하이드록실아민 유도체, 옥사졸리딘 화합물, 테트라하이드로-1,3-옥사진 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와 디아민의 축합물 등의 질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광산 발생제>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광을 흡수하여 산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인 광산 발생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산 발생제로는, 오늄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늄염으로는, 예를 들어, 디아조늄염, 요오도늄염,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안정성의 점에서, 요오도늄염, 및 술포늄염이 바람직하다.
<착색제>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착색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복막을 착색시킬 수 있고, 보수 지점의 발견이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착색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안료, 염료를 사용 가능하고, 안료가 바람직하다.
안료로는, 무기 안료 또는 유기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안료로서, 혼정을 사용해도 된다.
안료로는, 예를 들어, 블랙 안료, 옐로 안료, 마젠타 안료, 시안 안료, 백색 안료, 녹색 안료, 등색 안료, 금색이나 은색 등의 광택색 안료나 메탈릭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안료로서, 예를 들어,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탤크, 실리카, 산화철, 탄산칼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바륨 옐로, 카드뮴 레드, 크롬 옐로에 더하여, 콘택트법, 퍼네이스법, 서멀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본 블랙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안료로는, 예를 들어, 아조 안료, 다고리형 안료 (예를 들어, 프탈로시아닌 안료, 페릴렌 안료, 페리논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디옥사진 안료, 인디고 안료, 티오인디고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퀴노프탈론 안료 등), 염료 킬레이트 (예를 들어, 염기성 염료형 킬레이트, 산성 염료형 킬레이트 등), 니트로 안료, 니트로소 안료, 아닐린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용매와 친화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밖에, 수지 중공 입자, 무기 중공 입자의 사용도 가능하다.
안료의 구체예로서, 흑색용으로는,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아세틸렌 블랙, 채널 블랙 등의 카본 블랙 (C.I. 피그먼트 블랙 7) 류, 또는 구리, 철 (C.I. 피그먼트 블랙 11), 산화티탄 등의 금속류, 아닐린 블랙 (C.I. 피그먼트 블랙 1) 등의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컬러용으로는, 예를 들어, C.I. 피그먼트 옐로 1, 3, 12, 13, 14, 17, 24, 34, 35, 37, 42 (황색 산화철), 53, 55, 74, 81, 83, 95, 97, 98, 100, 101, 104, 108, 109, 110, 117, 120, 138, 150, 153, 155, 180, 185, 213, C.I. 피그먼트 오렌지 5, 13, 16, 17, 36, 43, 51, C.I. 피그먼트 레드 1, 2, 3, 5, 17, 22, 23, 31, 38, 48 : 2 (퍼네이스 레드 2B (Ca)), 48 : 3, 48 : 4, 49 : 1, 52 : 2, 53 : 1, 57 : 1 (브릴리언트 카민 6B), 60 : 1, 63 : 1, 63 : 2, 64 : 1, 81, 83, 88, 101 (벵갈라), 104, 105, 106, 108 (카드뮴 레드), 112, 114, 122 (퀴나크리돈 마젠타), 123, 146, 149, 166, 168, 170, 172, 177, 178, 179, 184, 185, 190, 193, 202, 207, 208, 209, 213, 219, 224, 254, 264,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1 (로다민 레이크), 3, 5 : 1, 16, 19, 23, 38, C.I. 피그먼트 블루 1, 2, 15 (프탈로시아닌 블루), 15 : 1, 15 : 2, 15 : 3, 15 : 4 (프탈로시아닌 블루), 16, 17 : 1, 56, 60, 63, C.I. 피그먼트 그린 1, 4, 7, 8, 10, 17, 18, 3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기타 성분-
상기 기타 성분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점도 조정제, 접착성 부여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가교 촉진제,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방부제,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에 의하면,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부여하는 간편한 조작만으로 누기 지점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를 사용한 누기 지점 특정 방법으로는, 이하의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누기 지점 특정 방법)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은, 누기 지점 특정 공정을 포함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기타 공정을 포함한다.
<누기 지점 특정 공정>
누기 지점 특정 공정은,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에 의한 피복막을 형성하고, 상기 피복막에 있어서 상기 누기에 의해 생성된 구멍의 지점을 누기 지점으로서 특정하는 공정이다.
누기 지점 특정재를 경화시키기 전의 상태이면, 누기 지점 특정재는 액상이고, 누기 지점 특정재를 부여하여 형성한 피복막에 누기의 압력에 의해 구멍이 생성되므로, 누기 지점의 특정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이 때, 생성된 구멍 및 그 주변의 피복막을 보수하기 쉬운 구멍의 사이즈나 형상으로 적절히 조정해도 된다.
또한, 누기량이 적은 누기 지점은,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를 부여해도 누기에 의해 구멍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누기 지점을 특정할 수 없는데, 이 경우에는, 부여한 누기 지점 특정재로 이루어지는 피복막을 그대로 경화시킴으로써, 누기 지점의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피복막의 형성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핀 코트법, 슬릿 코트법, 딥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바 코트법, 스프레이법, 볼록판 인쇄법, 오목판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평판 인쇄법, 디스펜스법, 잉크젯법 등을 들 수 있다.
피복막의 평균 두께에 대해서는, 누기 지점에 있어서의 누기의 압력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50 ㎛ 이상 5,0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기타 공정>
기타 공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정 공정, 건조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세정 공정에 있어서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을 세정한 후, 누기 지점 특정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기 지점 보수재)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는,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를 누기 지점의 보수에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로는,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에 의하면, 사전에 누기 지점을 특정할 필요가 없고, 작업 방법이 간편하여,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 누기를 모으기 위한 공동이 필요 없기 때문에, 박리하기 어렵고, 재차 누기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에 의해 특정된 누기 지점에 대해,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를 사용하여 보수를 실시함으로써, 누기량이 많아도 간편한 방법에 의해 단시간에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를 사용한 누기 지점 보수 방법으로는, 이하의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누기 지점 보수 방법)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은, 제 1 형태에서는, 경화 공정과, 보수 공정을 포함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기타 공정을 포함한다.
<경화 공정>
경화 공정은,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에 의해 특정한 누기 지점이 포함되는 피복막을 경화시키는 공정이다.
경화 공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에 의해 특정한 누기 지점에는, 피복막에 누기의 압력에 의해 구멍이 생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멍을 포함하는 피복막을 경화시켜, 피복막에 생성된 구멍을 고정시킨다.
경화 수단으로는, 가열 경화 수단, 또는 광경화 수단을 들 수 있다.
가열 경화 수단으로는, 보수 대상물을 가열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예를 들어, 적외선 히터, 온풍 히터, 가열 롤러 등을 들 수 있다. 가열 온도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50 ℃ 이상 2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광경화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UV) 조사 램프, 전자선 조사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경화 수단에는, 오존을 제거하는 기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UV) 조사 램프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초고압 수은등은 점광원이지만, 광학계와 조합하여 광 이용 효율을 높인 DeepUV 타입은, 단파장 영역의 조사가 가능하다.
상기 메탈 할라이드는, 파장 영역이 넓기 때문에 착색물에 유효적이고, Pb, Sn, Fe 등의 금속의 할로겐화물이 사용되어, 광중합 개시제의 흡수 스펙트럼에 맞춰 선택할 수 있다. 경화에 사용되는 램프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FusionSystem 사 제조의 H 램프, D 램프, 또는 V 램프 등과 같은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 공정에 있어서 피복막에 조사하는 광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자외선이 바람직하고, 근자외선이 보다 바람직하고, 파장 420 ㎚ 이하의 광이 특히 바람직하다.
조사 시간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보수 공정>
보수 공정은,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에 의해 경화된 상기 누기 지점을 막고, 상기 누기 지점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경화 공정에 있어서, 누기 지점을 특정하지 않는 채 경화시키면, 누기 지점 보수재의 내측에 공동이나 기도가 생성된 상태에서 보수하게 되어, 누기 지점의 보수가 곤란해지거나, 보수의 신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 재차 누기된 경우에는, 최초의 누기 지점과 다른 지점으로부터 누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누기 지점을 보수해도 또 다른 지점으로부터 재차 누기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경화 공정에 있어서, 누기 지점을 특정한 피복막의 구멍을 누기 지점 보수재로 막고, 이 막은 누기 지점 보수재를 경화시켜 보수한다.
누기 지점 보수재로 막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누기 지점 보수재의 매설, 누기 지점 보수재의 피복, 누기 지점 보수재의 매설 및 피복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수 공정에 있어서의 누기 지점 보수재의 경화에 있어서의, 조사하는 광, 경화 수단 및 경화 조건 등에 대해서는 상기 경화 공정과 동일하다.
<기타 공정>
상기 기타 공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정 공정, 건조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세정 공정에 있어서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을 세정한 후, 상기 경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은, 제 2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에 의해 특정한 누기 지점이 포함되는 피복막의 상기 누기 지점에 관상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피복막을 경화시키는 공정과,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를 상기 관상 부재 내에 충전한 후, 누기압에 의해 개공한 상기 관상 부재에 열림 상태의 개폐 밸브를 접속시키고, 그 개폐 밸브를 닫는 공정을 포함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기타 공정을 포함한다.
(누기 지점 보수 장치)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장치는, 광원과, 그 광원의 조사면에 자외선을 투과하는 막상 부재 또는 테이프상 부재를 갖고, 상기 막상 부재 또는 테이프상 부재 상에,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장치에 의하면, 막상 부재의 표면에 장착한 누기 지점 보수재로 피복막의 구멍 (누기 지점) 을 막음과 함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누기 지점 보수재를 경화시키므로, 누기 지점으로부터의 누기량이 많아도 간단하게 단시간에 보수할 수 있다.
<광원>
광원으로는, 파장 420 ㎚ 이하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자외선 (UV) 조사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막상 부재>
막상 부재로는, 파장 420 ㎚ 이하의 광을 투과할 수 있으면, 그 평면 형상, 크기, 재질, 및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막상 부재의 평면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장방형, 정방형, 마름모형 등을 들 수 있다.
막상 부재의 재질로는, 파장 420 ㎚ 이하의 광을 투과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 투과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투과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폴리스티렌계 수지, 사불화·육불화프로필렌 (FEP), 사불화에틸렌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 공중합체 (PFA) 등의 불소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덴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셀룰로오스 (셀로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폴리에테르술폰 (PESU), 아라미드, 폴리이미드, 트리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막상 부재의 표면은 이형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막상 부재의 표면에 장착한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를 누기 지점으로 옮겨, 피복막의 구멍 (누기 지점) 을 막을 수 있다.
이형 처리로는, 예를 들어, 막상 부재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입하는 처리, 실리콘 코팅 처리, 불소 코팅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테이프상 부재>
광원측의 면에 점착층을 갖고, 광 조사측 (반대측) 의 면이 이형 처리되어 있는 테이프상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광원의 조사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 처리는, 상기 막상 부재와 동일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테이프상 부재의 재질로는, 파장 420 ㎚ 이하의 광을 투과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막상 부재와 동일한 자외선 투과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은, 누기 보수 대상인 가스 배관 (1)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 는, 가스 배관의 폐지 플랜지부의 정상면 (1a)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 은, 가스 배관의 폐지 플랜지부의 바닥면 (1b)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가스 배관의 폐지 플랜지부의 바닥면 (1b) 에는 직경 1 ㎜ 의 누기 지점 (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누기 지점 보수 장치 (20) 는, 핸디 타입이고, 21 은 막상 부재이고, 막상 부재 (21) 의 표면은 실리콘 코팅에 의해 이형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보수시에는 막상 부재 (21) 의 표면에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를 소정량 장착하고, 피복막의 구멍 (누기 지점) 에 눌러 누기 지점의 보수에 사용된다.
22 는 압입 스위치이고, 손가락으로 압입 스위치를 압입함으로써, 광원 (도시를 생략) 으로부터 막상 부재 (21) 를 개재하여 자외선이 조사된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장치에 의하면, 막상 부재의 표면에 장착한 누기 지점 보수재로 피복막의 구멍 (누기 지점) 을 막음과 함께, 광을 조사함으로써 누기 지점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누기 지점의 보수를 실시하므로, 종래의 가압구와는 별체의 자외선 조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누기 지점으로부터의 누기량이 많아도 간단하게 단시간에 보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 및 누기 보수 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의 보수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보수 전의 바닥면 (1b) 에 직경 1 ㎜ 의 누기 지점 (2) 이 형성된 폐지 플랜지부를 갖는 가스 배관 (1) 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다음으로, 도 7 은,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누기 지점 특정재를 부여한 상태를 나타내고, 가스 배관의 폐지 플랜지부의 바닥면 (1b) 의 누기 지점 (2) 및 그 주변에 누기 지점 특정재를 도포하여, 피복막 (3) 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또한, 누기 지점 특정재는 백색의 착색제가 함유되어 있고, 피복막 (3) 은 백색이다.
다음으로, 도 8 은, 누기에 의해 피복막에 구멍이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누기 지점으로부터의 누기의 압력에 의해, 피복막 (3) 에 구멍 (4) 이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누기 지점 특정 공정). 구멍 (4) 은 누기 지점에 해당한다. 피복막 (3) 이 백색이기 때문에, 구멍 (4) 의 발견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는, 누기 지점이 포함되는 피복막을 경화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구멍 (4) 이 생성된 피복막 (3) 에,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장치 (20) 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로써, 특정된 누기 지점인 구멍 (4) 및 구멍이 생성된 피복막 (3) 이 경화되고, 구멍이 고정된다 (경화 공정).
다음으로, 도 10 은, 경화된 누기 지점의 상태를 나타내고, 경화된 구멍 (4a) 을 갖는 경화된 피복막 (3a) 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다음으로, 도 11 은, 누기 지점을 누기 지점 보수재로 막고, 누기 지점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경화된 구멍 (4a) 을 누기 지점 보수재로 막음과 함께,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장치 (20) 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보수 공정).
마지막으로, 도 12 는, 누기 지점의 보수가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구멍이 막혀 누기 지점의 보수가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는, 보수 지점에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를 부여하여 피복막을 형성하고, 상기 피복막의 보수 지점에 관상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피복막에 자외선 조사함으로써 경화시켰다. 그 후, 상기 관상 부재 안에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를 충전하고, 누기압에 의해 관상 부재 안에 구멍 (홀) 을 형성한 후, 관상 부재에 개폐 밸브를 열림 상태에서 접속시키고, 개폐 밸브를 닫음으로써, 누기 지점을 보수하는 방법이다.
-누기 지점 특정 방법-
이하의 A, B 2 개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이 있다.
방법 A 로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기 지점 (2) 에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 (3) 를 도포하면 (도 14 참조), 누기압에 의해 누기 지점 특정재 (3) 로 이루어지는 피복막에 구멍이 뚫리므로, 이 구멍에 대해, 관상 부재로서 튜브 (5) 의 내경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튜브 (5) 를 대고 누른다 (도 15 참조). 튜브 (5) 를 대고 누른 후에 간극이 있으면, 필요에 따라 누기 지점 특정재 (3) 를 추가하여 성형한다. 그 후, 피복막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튜브를 고정시킨다. 이상에 의해 누기 지점이 특정된다. 관상 부재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우레탄 튜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 (3) 는, 틱소비 (A/B) 가 21.0 이상이다.
또한, 관상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폐 밸브 (6) 를 누기 지점 (2) 에 직접 누기 지점 특정재 (3) 로 접속시킬 수도 있다. 개폐 밸브 (6) 로는 에어 벨브이면 형상 및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볼 밸브, 핸드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튜브 밸브 등을 들 수 있다.
누기 지점 특정재 (3) 의 피복막의 구멍 (누기 지점) 이 튜브 (5) 의 내경 또는 외경보다 큰 경우에도, 튜브를 대고 누른 후의 간극에 누기 지점 특정재 (3) 를 추가하여 성형하여, 튜브로부터만 누기되도록 하고 나서, 피복막을 경화시켜 튜브를 고정시켜, 누기 지점을 특정할 수도 있다.
방법 B 로는, 튜브 (5) 의 개구부에 누기 지점 특정재 (3) 를 도포함과 함께 튜브의 내측에 누기 지점 특정재 (3) 를 충전하여 누기 지점 (2) 에 대고 누르면 누기압에 의해 충전된 누기 지점 특정재 (3) 에 구멍이 뚫리므로, 그대로 튜브 (5) 의 내측과 외측을 경화시킴으로써 누기 지점 (2) 에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방법 B 에서는 방법 A 와 병용해도 된다.
-누기 보수 방법-
(1)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 지점에 직경 10 ㎜ 의 구멍 (누기 지점 (2)) 이 뚫려 있고, 컴프레서에 의해 0.8 ㎫ 의 내압이 가해지고 있고, 누기 지점 (2) 으로부터 가스가 분출되고 있는 상태이다.
(2)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기 지점 (2) 에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 (7) 를 도포하여, 피복막을 형성하고, 상기 피복막의 보수 지점에 관상 부재로서 폴리우레탄 튜브 (5) (외경 6 ㎜, 내경 4 ㎜, 니혼 피스코 주식회사 제조) 를 배치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복막을 경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 (7) 는, 틱소비 (A/B) 가 21.0 이상이다.
(3)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 (6) (니혼 피스코 주식회사 제조, 폐지 밸브 핸드 밸브 유니온 스트레이트) 를 튜브 (5) 에 열림 상태에서 접속시킨다.
(4)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 (6) 를 닫힘으로 하여 누기를 멈춘다 (도 21 참조). 이상에 의해 누기 지점의 보수가 완료된다.
<용도>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재는 본 발명의 누기 지점 특정 방법에 사용함으로써,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부여하기만 하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누기 지점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재는 본 발명의 누기 지점 보수 방법에 사용함으로써, 사전에 누기 지점을 특정할 필요가 없고, 누기 지점으로부터의 누기량이 많아도 간단하게 단시간에 보수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가스의 배관, 가스 봉입 기기, 가스 절연 기기, 광 케이블 등의 통신 케이블의 보수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15 및 비교예 1 ∼ 5)
<누기 지점 특정재의 제조>
표 1 ∼ 표 3 에 나타내는 조성 및 함유량의 누기 지점 특정재를 조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 1 ∼ 표 3 에 나타내는 바인더 성분 및 첨가제를 혼합한 후, 고형분이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또한, 표 1 ∼ 표 3 중의 함유량의 단위는 질량부이다.
다음으로, 얻어진 각 누기 지점 특정재에 대해, 이하와 같이 하여 여러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 표 3 에 나타냈다.
<점도의 측정>
각 누기 지점 특정재에 대해, TA Instrument 사 제조 AR-G2 를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20 ㎜, 각도 2°의 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온도 25 ℃ 의 환경하에서, 시어 레이트 (전단 속도) 0.01 s-1 ∼ 100 s-1 의 범위에서 점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점도는, 시어 레이트 0.1 s-1 의 값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 A 와, 시어 레이트 10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 B 의 비 (A/B) 를 틱소비로 하였다.
<탄성률의 측정>
평균 두께가 1 ㎜ 가 되도록, 이형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각 누기 지점 특정재를 바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JAXMAN 사 제조 UV 라이트 U1 을 사용하여 경화시키고, TA Instrument 사 제조 RSAIII 를 사용하여, 인장 모드, 주파수 10 Hz, 승온 속도 10 ℃/min., 25 ℃ ∼ 100 ℃ 의 범위에서 온도 분산 측정을 실시하여, 경화 후의 50 ℃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의 값을 구하였다.
<피복막에 대한 구멍 형성성>
도 3 에 나타내는 가스 배관의 폐지 플랜지부의 바닥면 (1b) 에 형성한 직경 1 ㎜ 의 누기 지점에 각 누기 지점 특정재를 두께가 1 ㎜ 가 되도록 브러시로 도포함으로써 피복막을 형성하고, 피복막에 대한 구멍의 뚫림 정도로부터, 이하의 기준에 의해 피복막에 대한 구멍 형성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피복막의 두께가 0.2 ㎜ 이상으로 유지되어 누기 지점에 구멍이 뚫린 상태
× : 누기 지점에 구멍이 뚫리지 않고, 피복막의 도포 계면으로부터 누기가 빠져나가는 상태 혹은 피복막의 두께가 0.2 ㎜ 미만밖에 유지되지 않는 상태
<누기 시일성>
도 3 에 나타내는 가스 배관의 폐지 플랜지부의 바닥면 (1b) 에 형성한 직경 1 ㎜ 의 누기 지점을 갖는 가스 배관에 0.1 ㎫ 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공기에 의한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폐지 플랜지부의 누기 지점에 각 누기 지점 특정재를 두께가 1 ㎜ 가 되도록 브러시에 의해 도포함으로써 피복막을 형성하고, 누기의 압력에 의해 형성된 구멍 (누기 지점) 을 포함하는 피복막에 자외선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키고, 경화된 누기 지점을 누기 지점 보수재로 막고, 누기 지점 보수재에 자외선 조사함으로써 경화시켜, 누기 지점의 보수를 실시하였다. 그 후, 누기 지점의 누기 상태를 하기의 기준으로 누기 시일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 이상이 실시 가능한 레벨이다.
[평가 기준]
○ : 1 시간 이상 누기되고 있지 않다
△ : 1 분간 이상 1 시간 미만에서 누기되었다
× : 1 분간 미만에서 누기되었다 (즉시 누기되었다)
<개폐 밸브를 사용한 누기 시일성>
도 17 ∼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보수 지점에 각 누기 지점 특정재를 두께가 1 ㎜ 가 되도록 브러시에 의해 도포함으로써 피복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피복막의 누기 지점에 폴리우레탄 튜브 (5) (외경 6 ㎜, 내경 4 ㎜, 니혼 피스코 주식회사 제조) 를 배치하고, 상기 피복막에 자외선 조사함으로써 경화시켰다. 그 후, 상기 튜브 안에 각 누기 지점 보수재를 충전하고, 누기압에 의해 관상 부재 안에 구멍 (홀) 을 형성한 후, 상기 튜브에 개폐 밸브 (6) (니혼 피스코 주식회사 제조, 폐지 밸브 핸드 밸브 유니온 스트레이트) 를 열림 상태에서 접속시키고, 개폐 밸브를 닫음으로써, 누기 지점의 보수를 실시하였다. 그 후, 누기 지점의 누기 상태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 이상이 실시 가능한 레벨이다.
[평가 기준]
○ : 1 시간 이상 누기되고 있지 않다
△ : 1 분간 이상 1 시간 미만에서 누기되었다
× : 1 분간 미만에서 누기되었다 (즉시 누기되었다)
Figure 112022081732289-pct00004
Figure 112022081732289-pct00005
Figure 112022081732289-pct00006
표 1 ∼ 표 3 에 나타내는 각 성분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다.
<중합성 화합물>
·IBXA :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오사카 유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ISTA :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오사카 유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4HBA :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오사카 유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HDDA :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오사카 유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M100 :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 (주식회사 다이셀 제조)
<중합 개시제>
·IRG1173 : 광 라디칼 발생제 (IGM Resins B.V. 사 제조)
·IRG819 : 광 라디칼 발생제 (IGM Resins B.V. 사 제조)
<광산 발생제>
·PI2074 : 광산 발생제 (로디아 재팬사 제조)
<증감제>
·DETX-S : 증감제 (닛폰 화약 주식회사 제조)
<첨가제>
·P4 : 탤크 (닛폰 탤크 주식회사 제조)
·PP5WJ : 폴리프로필렌 (주식회사 세이신 기업 제조)
·AS200 : 나노 실리카 (닛폰 아에로질 주식회사 제조)
·GS-64(LV) : 실리카 (주식회사 타츠모리 제조)
·셉톤 4033 : SEEPS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주식회사 쿠라레 제조)
1 : 가스 배관
1a : 가스 배관의 폐지 플랜지부의 정상면
1b : 가스 배관의 폐지 플랜지부의 바닥면
2 : 누기 지점
3 : 누기 지점 특정재
4 : 피복막에 생성된 구멍
5 : 관상 부재 (튜브)
6 : 개폐 밸브
7 : 누기 지점 보수재
20 : 누기 지점 보수 장치

Claims (13)

  1.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부여하여 누기 지점을 특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누기 지점 특정재로서,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를 A (Pa·s) 로 하고, 시어 레이트 10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를 B (Pa·s) 로 하면, 다음 식, A/B ≥ 21.0, 을 충족하고,
    경화 후의 50 ℃ 에 있어서의 탄성률 E' 가 1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특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시어 레이트 0.1 s-1 일 때의 25 ℃ 에서의 점도 A 가 500 Pa·s 이상인, 누기 지점 특정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누기 지점 특정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형 수지 조성물이 중합성 화합물 및/또는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누기 지점 특정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추가로 착색제를 함유하는, 누기 지점 특정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파장 420 ㎚ 이하의 광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누기 지점 특정재.
  7. 제 1 항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재를 누기 지점의 보수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보수재.
  8. 누기의 의심이 있는 지점에, 제 1 항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재에 의한 피복막을 형성하고, 상기 피복막에 있어서 상기 누기에 의해 생성된 구멍의 지점을 누기 지점으로서 특정하는 누기 지점 특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특정 방법.
  9. 제 8 항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 방법에 의해 특정한 누기 지점이 포함되는 피복막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과,
    제 7 항에 기재된 누기 지점 보수재에 의해 경화된 상기 누기 지점을 막고, 상기 누기 지점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보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보수 방법.
  10. 제 8 항에 기재된 누기 지점 특정 방법에 의해 특정한 누기 지점이 포함되는 피복막의 상기 누기 지점에 관상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피복막을 경화시키는 공정과,
    제 7 항에 기재된 누기 지점 보수재를 상기 관상 부재 내에 충전한 후, 누기압에 의해 개공한 상기 관상 부재에 개폐 밸브를 열림 상태에서 접속시키고, 그 개폐 밸브를 닫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보수 방법.
  11. 광원과, 그 광원의 조사면에 자외선을 투과하는 막상 부재 또는 테이프상 부재를 갖고,
    상기 막상 부재 및 상기 테이프상 부재 상에 제 7 항에 기재된 누기 지점 보수재를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보수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막상 부재 및 상기 테이프상 부재의 표면이 이형 처리되어 있는, 누기 지점 보수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누기 지점 보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기 지점 보수 방법.
KR1020227027065A 2020-03-27 2021-03-04 누기 지점 특정재 및 누기 지점 특정 방법, 누기 지점 보수재 및 누기 지점 보수 방법, 그리고 누기 지점 보수 장치 KR102652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8426 2020-03-27
JP2020058426 2020-03-27
JPJP-P-2020-112793 2020-06-30
JP2020112793A JP7492868B2 (ja) 2020-03-27 2020-06-30 漏気箇所特定材及び漏気箇所特定方法、漏気箇所補修材及び漏気箇所補修方法、並びに漏気箇所補修装置
PCT/JP2021/008327 WO2021192878A1 (ja) 2020-03-27 2021-03-04 漏気箇所特定材及び漏気箇所特定方法、漏気箇所補修材及び漏気箇所補修方法、並びに漏気箇所補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877A KR20220121877A (ko) 2022-09-01
KR102652063B1 true KR102652063B1 (ko) 2024-03-27

Family

ID=7789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065A KR102652063B1 (ko) 2020-03-27 2021-03-04 누기 지점 특정재 및 누기 지점 특정 방법, 누기 지점 보수재 및 누기 지점 보수 방법, 그리고 누기 지점 보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13758A1 (ko)
EP (1) EP4130061A4 (ko)
KR (1) KR102652063B1 (ko)
CN (1) CN115298471A (ko)
TW (1) TW202204440A (ko)
WO (1) WO202119287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9552A (ja) 2010-02-26 2011-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配管補修方法
JP2016038381A (ja) 2014-08-08 2016-03-22 国立研究開発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粘性流体による亀裂の検出方法及び亀裂検出用の粘性流体
JP2019095032A (ja) 2017-11-27 2019-06-20 日本特殊炉材株式会社 流体漏出個所の補修方法
WO2019225283A1 (ja) 2018-05-22 2019-11-2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漏油補修材、漏油補修方法、及び、配管
JP2020050769A (ja) 2018-09-27 2020-04-0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漏液補修材、漏液補修方法、及び配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6521B2 (ja) 2015-11-09 2019-08-28 株式会社コスモマテリアル ガス漏洩箇所補修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9552A (ja) 2010-02-26 2011-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配管補修方法
JP2016038381A (ja) 2014-08-08 2016-03-22 国立研究開発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粘性流体による亀裂の検出方法及び亀裂検出用の粘性流体
JP2019095032A (ja) 2017-11-27 2019-06-20 日本特殊炉材株式会社 流体漏出個所の補修方法
WO2019225283A1 (ja) 2018-05-22 2019-11-2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漏油補修材、漏油補修方法、及び、配管
JP2020050769A (ja) 2018-09-27 2020-04-0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漏液補修材、漏液補修方法、及び配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04440A (zh) 2022-02-01
EP4130061A4 (en) 2024-04-17
US20230113758A1 (en) 2023-04-13
EP4130061A1 (en) 2023-02-08
CN115298471A (zh) 2022-11-04
KR20220121877A (ko) 2022-09-01
WO2021192878A1 (ja)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7151B (zh) 用於偏光板之黏著劑組成物以及使用該組成物之偏光板
KR20140120377A (ko) 광경화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WO2006083284A3 (en) A material composition for nano- and micro-lithography
TWI685420B (zh) 積層體、附有著色層之積層體、積層體的製造方法、附有著色層之積層體的製造方法、及墨水記錄方法
TWI738661B (zh)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JP2019167542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硬化性遮光塗料、光漏洩防止材、液晶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光硬化方法
WO2022166600A1 (zh) 一种基于弹性支撑体的光固化微流控芯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700004B2 (ja) 光学部材の製造方法
TW201821453A (zh) 硬化性組成物、及製品
CN108431157B (zh) 使用光固化性粘着剂的粘接方法
CN107493684B (zh) 光固化性组合物
JP2019094485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652063B1 (ko) 누기 지점 특정재 및 누기 지점 특정 방법, 누기 지점 보수재 및 누기 지점 보수 방법, 그리고 누기 지점 보수 장치
JP7492868B2 (ja) 漏気箇所特定材及び漏気箇所特定方法、漏気箇所補修材及び漏気箇所補修方法、並びに漏気箇所補修装置
JP2021156430A (ja) 漏気箇所特定材及び漏気箇所特定方法、漏気箇所補修材及び漏気箇所補修方法、並びに漏気箇所補修装置
JP5965585B2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レジスト組成物、シール剤、及び、液晶表示素子
JP6370382B2 (ja) 液晶シール剤、および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9221370A (ja) マイクロパターン複合材、微小3次元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マイクロパターン形成用硬化性組成物
JP2009057447A (ja) 自動車用接着剤
WO2019073980A1 (ja) 光硬化性粘着剤組成物、及び接着方法
TWI522742B (zh)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WO2019073978A1 (ja) 接着方法、及び光硬化性粘着剤組成物
TW201829499A (zh) 硬化性組成物、及製品
JP2021105156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インクセット、組成物収容容器、並びに像形成装置及び像形成方法、印刷物
JP2003240916A (ja) フレネルレンズ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