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824B1 -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824B1
KR102649824B1 KR1020230102593A KR20230102593A KR102649824B1 KR 102649824 B1 KR102649824 B1 KR 102649824B1 KR 1020230102593 A KR1020230102593 A KR 1020230102593A KR 20230102593 A KR20230102593 A KR 20230102593A KR 102649824 B1 KR102649824 B1 KR 102649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ry
products
drying
water
tha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윤
Original Assignee
이나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윤 filed Critical 이나윤
Priority to KR102023010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5Pet food for dog, cat, bird, or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간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성이 우수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하되, 원재료 그대로의 영양과 맛을 최대한 살려 기호성을 높이면서도, 별도의 조미나 화학적 첨가물의 사용을 배제하여 안전성, 무해성, 친환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은, 가금류 부산물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 가금류 부산물을 해동수에 침지하여 해동시키는, 해동 단계, 해동이 완료된 가금류 부산물을 세척하는, 세척 단계, 세척된 가금류 부산물에서 기름 성분을 제거하는, 1차 가공 단계, 1차 가공이 완료된 내용물을 절단하는, 절단 단계, 절단이 완료된 내용물을 열풍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 1차 건조가 완료된 내용물을 추가 건조하는, 2차 건조 단계 및 2차 건조된 내용물을 포장하는, 포장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et snacks using poultry by-produ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간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성이 우수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하되, 원재료 그대로의 영양과 맛을 최대한 살려 기호성을 높이면서도, 별도의 조미나 화학적 첨가물의 사용을 배제하여 안전성, 무해성, 친환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사람과 더불어서 살아가는 동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성을 고려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최근, 애완동물에 대한 의료 혜택을 주는 것을 넘어 사망 시 장례까지 치러주어 한가족과 같이 생각하는 환경이 점점 일반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에 따라 반려동물에 대한 개념이 변화되어 왔다.
즉, 인간이 주로 즐거움을 누리기 위한 대상으로 사육하는 동물이라는 개념에서,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여 사람의 장난감이 아니라는 뜻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로 그 인식이 변화하였는데, 현대사회에서 사람과 동물간의 관계를 극명하게 나타내어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에 대한 의식 변화를 반영하듯 최근 1인 또는 2인으로 구성되는 소규모 가정의 증가와 고령화 등에 따라 찾는 이들이 급증하여 그 개체수는 최근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애완동물과 관련된 산업 역시 급속한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따라, 애완동물에게 풍부한 영양성과 우수한 관능성을 나타내는 양질의 사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최근에는 애완동물의 산업규모의 확대에 따른 애완동물 간식에 대한 다양화와 고급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애완동물 간식의 다양화 제품의 일환으로 기능성 간식이 등장하고 있는데, 통상의 기능성 간식은 특정 약품이나 특정 성분을 투여함으로써 정해진 질병 등을 예방하기 위한 제품들이 대부분이며, 기능성을 올리기 위해서 과도하게 특정성분을 투여하여 맛이 떨어지게 되어 수요가 적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고급화된 수제(手製) 간식은,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고 육류의 비율을 높이고 있으나, 쉽게 상할 수 있는 문제가 있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부제 등의 화학 첨가물들을 사용하게 되어 애완동물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전체적인 면역력 증가를 위한 간식이 제공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고, 맛과 풍미가 우수하여 기호가 좋을 뿐만 아니라 영양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간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0994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성이 우수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하되, 원재료 그대로의 영양과 맛을 최대한 살려 기호성을 높이면서도, 별도의 조미나 화학적 첨가물의 사용을 배제하여 안전성, 무해성, 친환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가금류 부산물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 상기 가금류 부산물을 해동수에 침지하여 해동시키는, 해동 단계; 해동이 완료된 가금류 부산물을 세척하는, 세척 단계; 세척된 가금류 부산물에서 기름 성분을 제거하는, 1차 가공 단계; 1차 가공이 완료된 내용물을 절단하는, 절단 단계; 절단이 완료된 내용물을 열풍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 1차 건조가 완료된 내용물을 추가 건조하는, 2차 건조 단계; 및 2차 건조된 내용물을 포장하는, 포장 단계; 를 포함하는,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거위, 비둘기, 칠면조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가금류 부산물은, 머리, 주둥이, 발, 뼈, 내장, 생지방, 살코기, 피부 및 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동수는, 정제수 총 중량에 대하여, 천연 첨가물 1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 첨가물은, 식초, 생강 부산물, 치자, 비타민나무 열매, 죽순껍질 및 맥섬석 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은 흐르는 수돗물에 1회 내지 5회 수세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풍 건조는 50 내지 120℃에서, 48 내지 7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애완용물용 간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백질, 콜라겐 등을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영양성과 건강 기능성이 우수한 가금류 부산물을 적극 활용하되, 원재료 그대로의 영양과 맛을 최대한 살린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조미나 화학적 첨가물의 사용을 배제하여 안전성, 무해성, 친환경성을 확보하면서도, 기호성을 현저히 높여 소비자들과 애완동물의 다양한 기호와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고품질의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중 해동 단계(S2)를 실제 수행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중 1차 건조 단계(S3)를 수행한 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제 오리안심 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제 통오리뼈 및 목뼈 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은, 가금류 부산물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S10); 상기 가금류 부산물을 해동수에 침지하여 해동시키는, 해동 단계(S20); 해동이 완료된 가금류 부산물을 세척하는, 세척 단계(S30); 세척된 가금류 부산물에서 기름성분을 제거하는, 1차 가공 단계(S40); 1차 가공이 완료된 내용물을 절단하는, 절단 단계(S50); 절단이 완료된 내용물을 열풍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S60); 1차 건조가 완료된 내용물을 추가 건조하는, 2차 건조 단계(S70); 및 2차 건조된 내용물을 포장하는, 포장 단계(S8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애완동물용 간식은, 가금류 부산물의 섭취가 가능한 애완동물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고 섭취가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재료 준비 단계(S10)에서, 주재료로서 가금류 부산물이 준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금류(poultry)는 사람 또는 동물이 식용 가능한 조류의 종류로, 예를 들어, 닭, 오리, 거위, 비둘기, 칠면조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금류 부산물이란, 가금류 원재료를 수득한 후에 이루어지는 초기 가공 공정에서 발생되는 머리, 주둥이, 발, 뼈, 내장, 생지방, 일부 살코기, 피부(스킨 또는 껍질 포함), 털 등(이하 "부산물" 이라 한다)을 포함하여 통칭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가금류 부산물은 목뼈, 날개, 몸통뼈, 안심살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로 가금류 부산물은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기존에는 가금류 순살로만 애완동물용 간식으로 제조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순살 뿐만 아니라, 각종 뼈, 껍질 등의 부산물을 모두 포함하여 애완동물용 간식으로 제조하여 섭취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가금류 부산물은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고, 콜라겐 등의 각종 생리활성 성분이 풍부하여 이를 애완동물용 간식으로 활용할 경우, 애완동물의 건강 기능 증진에 크게 도움이 되며, 나아가, 가금류 부산물 원물 그대로의 향미는 애완동물에게 높은 기호성이 있는 식재료가 된다.
또한, 가금류 부산물은 기본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방치 또는 매립하는 경우에는 악취 및 침출수 등이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축산 폐기물을 적극 활용하여 이를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에 재활용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가금류 부산물은 당 업계에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초기 가공되어 냉동 또는 냉장 상태로 입고된 것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중 해동 단계(S2)를 실제 수행한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금류 부산물을 해동수에 침지하여 해동시키는, 해동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가금류 부산물이 냉동 또는 냉장 상태로 입고될 수 있으나, 냉장 상태인 것이라도 해동수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동 단계는 해동의 기능 뿐만 아니라, 가금류 부산물의 기타 잡내와 불순물 등을 충분히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인 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공정이기 때문이다.
상기 해동수는 정제수로 구성되거나, 정제수에 천연 첨가물을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첨가물은, 가금류 부산물에 대하여 잡내 제거, 육질과 조직감 등의 상태 개선, 신선도 증진, 살균 효과, 향미 등의 관능성 향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첨가물은, 예를 들어, 식초, 생강 부산물, 치자, 비타민나무 열매, 죽순껍질 및 맥섬석 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식초와 생강 부산물은 가금류 부산물의 잡내와 각종 이취,이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잡균의 번식을 막아 신선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치자와 맥섬석 분말은 각종 유해균을 흡착시키는 등, 항균 또는 살균 효과가 우수하여 애완동물의 체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육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비타민나무 열매와 죽순껍질은 살코기 부위의 육질을 개선시키고, 이취, 이미를 제거하며 항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천연 첨가물은, 식초, 생강 부산물, 치자, 비타민나무 열매, 죽순껍질 및 맥섬석 분말을 1 : 0.8~1.0 : 0.6~0.7 : 0.4~0.5 : 0.6~0.7 : 0.5~0.6 의 중량비로 배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전술된 조성과 배합비로 구성된 천연 첨가물은, 잡내 제거, 육질과 조직감 등의 상태 개선, 신선도 증진, 살균 효과, 향미 등의 관능성 향상의 효과를 가장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첨가물은 상기 정제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로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첨가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천연 첨가물에 의한 잡내 제거, 육질, 조직감 등의 상태 개선, 신선도 증진, 향미 등의 관능성 향상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5 중량% 를 초과할 경우, 자연 원물 그대로의 가금류 부산물의 향미 이외에 이취,이미가 남게 될 우려가 있고, 추후 세척 시에 첨가물의 제거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잔여 첨가물이 남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해동수는, 냉장 온도, 예를 들어, 2~4℃이거나, 저온, 예를 들어, 10 내지 15℃ 이거나, 상온, 23 내지 25℃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해동수는, 저온, 예를 들어, 10 내지 15℃ 의 온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 범위의 해동수를 사용할 경우, 전술된 천연 첨가물에 의한 효능을 가장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해동은 예를 들어, 8시간 이상, 더 구체적으로, 12 시간 내지 14 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냉동 상태의 가금류 부산물은 12 시간으로 해동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동 시간을 8 시간 미만으로 수행되면, 해동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잡내 제거나 상태 개선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14 시간을 초과할 경우, 살코기의 육질이나 각종 뼈 등이 수분을 과하게 함유하게 되어 상태가 물러져 추후 건조 단계의 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해동이 완료된 가금류 부산물을 세척하는, 세척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세척은 상기 가금류 부산물의 표면 및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해동수에 의한 잔여 첨가성분들을 완전히 씻겨내기 위한 공정일 수 있다. 이로써, 최종 제조되는 애완동물용 간식 제품이 자연 원물 그대로의 맛과 영양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척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 장치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세척은 흐르는 수돗물에 1회 내지 5회 수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거대 수조에 세척수, 예를 들어, 수돗물, 정제수 또는 증류수를 채운 후, 가금류 부산물을 넣고 고압의 산소를 노즐로 주입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세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고압의 산소를 노즐로 주입시키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에 따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로 활성탄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 분말의 평균 입경은, 0.05 내지 0.10 mm 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탄은, 잔여하는 부산물의 잡내나 이취를 발생시키는 냄새 성분을 흡착시킴으로써, 가금류 부산물의 자연 그대로의 맛을 최대한 유지하여 기호성과 관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세척된 가금류 부산물로부터 기름 성분을 제거하는, 1차 가공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름 성분이란, 애완용물용 간식 제품 제조에 있어서 불필요한 기름기를 모두 통칭하는 의미이다. 상기 1차 가공 단계는, 기름 성분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장치나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가공이 완료된 내용물을 절단하는, 절단 단계(S50)를 수행할 수 있다.
1차 가공이 완료된 내용물은 애완동물이 섭취하는 데 적합하도록 소정의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가공이 완료된 내용물은 총 길이가 1 내지 20cm 의 크기를 갖도록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절단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뼈, 피부, 살코기 등, 각 부위의 특성에 맞는 절단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절단이 완료된 내용물을 열풍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S60)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금류 부산물 원물에 별도의 조미 또는 양념 처리나, 화학적 첨가물의 처리를 전혀 하지 않고, 최대한 자연물 그대로를 열풍 건조함으로써 자연물 그대로의 맛과 영양을 최대한으로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풍 건조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가 가능하고 건조 효율을 높임으로써, 가금류 부산물의 고유의 색, 육질 또는 조직의 상태 등의 물성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영양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열풍 건조는, 통상의 열풍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 내지 120℃, 구체적으로, 65 내지 100℃ 의 온도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 건조는 48 내지 72 시간 동안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풍 건조의 온도 및 수행 시간은 가금류 부산물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뼈의 경우 70℃에서 72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고, 안심살 등과 같은 살코기의 경우 70℃에서 48시간 동안 열풍 건조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중 1차 건조 단계(S3)를 수행한 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열풍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섭취하기에 용이한 식감과 가금류 부산물의 고유의 색상과 맛을 최대한 살리는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건조가 완료된 내용물을 2차 건조하는, 2차 건조 단계(S7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2차 건조는 자연 건조 또는 원적외선 건조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연 건조는, 공기가 통하는 곳에서 17 내지 24 ℃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건조 방식은 예를 들어, 파장 4 내지 7㎛ 의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원적외선 방사 파장대를 이용한 건조는 복사열 전달 방식의 건조로서 에너지 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건조 시간 단축과 건조 소요 에너지가 절약될 뿐만 아니라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고 건조 대상물의 성분 및 색택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된 1차 건조 및 2차 건조를 함께 수행함으로써, 건조 시간 단축 및 건조 효율 향상의 효과와 더불어,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여 가금류 부산물의 고유의 색, 육질 또는 조직의 상태 등의 물성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영양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가금류 부산물 원물에 별도의 조미 또는 양념 처리나, 화학적 첨가물의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자연물 그대로의 맛과 영양을 최대한으로 보존하는 고품질의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높은 만족도와 기호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2차 건조된 내용물을 포장하는, 포장 단계(S80)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S10~S70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 간식을 일정 무게로 칭량한 다음, 장시간 보관 및 유통할 수 있도록 밀봉하여 포장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밀봉 포장하는 단계는 공지의 방법, 장치나 기계로 구성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제 오리안심 제품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제 통오리뼈 및 목뼈 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영양성이 우수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하되, 원재료 그대로의 영양과 맛을 최대한 살려 기호성을 높이면서도, 별도의 조미나 화학적 첨가물의 사용을 배제하여 안전성, 무해성, 친환경성이 확보된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
냉동된 오리 안심, 통오리뼈, 오리목뼈를 각각 해동수에 12 시간 동안 침지시켜 해동하였다. 이때, 해동수로는 3℃의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해동이 완료된 오리 안심을 흐르는 수돗물에 4회 수세하여 깨끗이 세척하였다. 세척된 오리 안심을 분리기를 사용하여 기름기를 제거한 후, 약 15 cm 크기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오리 안심은 70℃에서 48시간 동안, 통오리뼈와 오리목뼈는 70℃에서  72 시간 동안 열풍 건조를 하여 1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1차 건조 완료 후에는 공기가 통하는 곳에서 19 ℃에서, 24 시간 동안 2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2차 건조 후에는 일정 무게로 칭량하여 각각 밀봉 포장하였다.
[실시예 2]
후술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하였다.
해동수로 13℃의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후술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하였다.
해동수로 정제수 총 중량 대비 3 중량%로 식초를 배합하여 사용하였고, 해동수 온도는 3℃로 하였다.
[실시예 4]
후술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하였다.
해동수로 정제수 총 중량 대비 3 중량%로 식초, 생강 부산물, 치자, 비타민나무 열매, 죽순껍질 및 맥섬석 분말을 1 : 0.8 : 0.65 : 0.4 : 0.7 : 0.5의 중량비로 배합된 혼합물인 천연 첨가제를 배합하여 사용하였고, 해동수 온도는 3℃로 하였다.
[실시예 5]
후술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하였다.
해동수로 정제수 총 중량 대비 3 중량%로 식초, 생강 부산물, 치자, 비타민나무 열매, 죽순껍질 및 맥섬석 분말을 1 : 0.8 : 0.65 : 0.4 : 0.7 : 0.5의 중량비로 배합된 혼합물인 천연 첨가제를 배합하여 사용하였고, 해동수 온도는 13℃로 하였다.
[실시예 6]
후술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하였다.
세척 시에, 흐르는 수돗물에 4회 수세한 다음, 거대 수조에 수돗물과 수돗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의 활성탄 분말을 혼합한 세척수에 가금류 부산물을 침지하고, 고압의 산소를 노즐로 주입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7]
후술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하였다.
2차 건조로, 자연 건조가 아닌 파장 6㎛ 의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건조를 수행하였다.
[비교예 1]
후술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하였다.
열풍 건조를 수행하지 않고, 원적외선 건조만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2]
후술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을 제조하였다.
1차 건조 시에 다시마, 율무, 감초 및 야콘의 혼합물을 천연 첨가물을 가금류 부산물을 함께 열풍 건조하였다.
<실험예 1 : 기호도 평가 >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의해 각각 제조된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오리안심, 통오리뼈 및 목뼈)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2~12령의 건강한 애완견 50마리의 기호도 평가로 실시하였다. 각각의 간식을 애완견에게 취식하도록 하였고, 각 애완견의 주인에게 애완견의 먹는 모습을 관찰하여 기호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기호도에 대하여 5점 채점법(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의 오리안심, 통오리뼈 및 목뼈 제품의 간식은 모두 비교예들에 비하여 애완동물에게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7의 두 종류의 간식 제품에 대한 평가가 가장 우수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가금류 부산물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
    상기 가금류 부산물을 해동수에 침지하여 해동시키는, 해동 단계;
    해동이 완료된 가금류 부산물을 세척하는, 세척 단계;
    세척된 가금류 부산물에서 기름 성분을 제거하는, 1차 가공 단계;
    1차 가공이 완료된 내용물을 절단하는, 절단 단계;
    절단이 완료된 내용물을 열풍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
    1차 건조가 완료된 내용물을 추가 건조하는, 2차 건조 단계; 및
    2차 건조된 내용물을 포장하는, 포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해동수는, 정제수 총 중량에 대하여, 천연 첨가물 1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천연 첨가물은, 식초, 생강 부산물, 치자, 비타민나무 열매, 죽순껍질 및 맥섬석 분말을 1 : 0.8~1.0 : 0.6~0.7 : 0.4~0.5 : 0.6~0.7 : 0.5~0.6 의 중량비로 배합된 혼합물인 것이고,
    상기 세척은 흐르는 수돗물에 1회 내지 5회 수세하는 것이되, 거대 수조에 세척수인 수돗물, 정제수 또는 증류수를 채운 후, 상기 가금류 부산물을 넣고 고압의 산소를 노즐로 주입시키면서 수행되고, 상기 세척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로 0.05 내지 0.10 mm 의 크기를 갖는 활성탄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차 건조 단계는, 파장 4 내지 7㎛ 의 적외선을 조사하여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건조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거위, 비둘기, 칠면조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가금류 부산물은, 머리, 주둥이, 발, 뼈, 내장, 생지방, 살코기, 피부 및 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건조는 50 내지 120℃에서, 48 내지 7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7. 삭제
KR1020230102593A 2023-08-07 2023-08-07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KR10264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593A KR102649824B1 (ko) 2023-08-07 2023-08-07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593A KR102649824B1 (ko) 2023-08-07 2023-08-07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824B1 true KR102649824B1 (ko) 2024-03-20

Family

ID=9048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593A KR102649824B1 (ko) 2023-08-07 2023-08-07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82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258A (ko) * 2009-03-09 2010-09-17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KR20140049673A (ko) * 2012-10-18 2014-04-28 반계선 함초, 민들레, 생강나무 등 125가지의 원재료를 생물의 물성에 따라 CO2(또는 N2) Carrier Gas를 이용하여 추출농축, 설탕에 절임에 의한 천연발효 효소법에 의해 추출 및 Microwave와 Filter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들을 혼합발효숙성하여 제조한 조성물과 그 조성방법
KR20150101513A (ko) * 2014-02-26 2015-09-04 김병주 비타민나무 추출액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KR20190028234A (ko) * 2017-09-08 2019-03-18 정동춘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9464B1 (ko) 2018-11-13 2020-04-09 조미선 반려동물 건강개선 영양간식 및 반려동물 건강개선 영양간식의 제조방법
KR20210004478A (ko) * 2019-07-04 2021-01-13 윤미영 반려견을 위한 간식 제조방법
KR20210068886A (ko) * 2019-12-02 2021-06-10 박용철 유황오리부산물을 이용한 애완동물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92025B1 (ko) * 2021-04-01 2021-08-24 두산펫푸드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리부산물을 이용한 펫푸드 제조방법
KR20220074093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엔제이프로퍼티 반려동물 사료첨가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258A (ko) * 2009-03-09 2010-09-17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KR20140049673A (ko) * 2012-10-18 2014-04-28 반계선 함초, 민들레, 생강나무 등 125가지의 원재료를 생물의 물성에 따라 CO2(또는 N2) Carrier Gas를 이용하여 추출농축, 설탕에 절임에 의한 천연발효 효소법에 의해 추출 및 Microwave와 Filter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들을 혼합발효숙성하여 제조한 조성물과 그 조성방법
KR20150101513A (ko) * 2014-02-26 2015-09-04 김병주 비타민나무 추출액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KR20190028234A (ko) * 2017-09-08 2019-03-18 정동춘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9464B1 (ko) 2018-11-13 2020-04-09 조미선 반려동물 건강개선 영양간식 및 반려동물 건강개선 영양간식의 제조방법
KR20210004478A (ko) * 2019-07-04 2021-01-13 윤미영 반려견을 위한 간식 제조방법
KR20210068886A (ko) * 2019-12-02 2021-06-10 박용철 유황오리부산물을 이용한 애완동물사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74093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엔제이프로퍼티 반려동물 사료첨가제 제조 방법
KR102292025B1 (ko) * 2021-04-01 2021-08-24 두산펫푸드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리부산물을 이용한 펫푸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der Meat and meat products in human nutr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Bonsu et al. Medicinal response of broiler chickens to diets containing neem (Azadirachta indica) leaf meal, haematology and meat sensory analysis
KR101119227B1 (ko) 친환경 육우를 이용한 육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67037B1 (ko) 훈제오리겹살 및 그 제조방법
KR101441582B1 (ko) 오리 훈제의 제조방법
CN105747127A (zh) 一种汤汁腊鸭的制备方法
KR20150086423A (ko) 연어육포의 제조방법
KR100346394B1 (ko) 마늘 및/또는 한약재를 섭취시켜 사육된 오리고기 및 그사육방법
CN106234246A (zh) 一种可食性宠物咬胶及其制备方法
Omojola et al. Development and quality evaluation of danbunama (meat floss)-a Nigerian shredded meat product
KR102649824B1 (ko) 가금류 부산물을 활용한 애완동물용 간식 제조방법
KR101498612B1 (ko) 유황오리 사육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사육된 유황오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황오리 훈제
US8865239B2 (en) Humectant infused jerky treat
EP2934174B1 (en) Palatability enhancer comprising animal fat
JP2005536207A (ja) 小包ペットフードにおける乾燥野菜の品質の維持
KR102417221B1 (ko) 전복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간식 및 그 제조 방법
KR102447422B1 (ko) 어패육을 포함하는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601291B1 (ko) 유자과피 분말을 함유하는 식육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70292484A1 (en) Treated pigskin pet treat
KR101353119B1 (ko) 허브를 첨가한 기능성 발효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2672110B1 (ko) 반려동물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1433099B1 (ko) 우유를 이용하여 양고기의 잡냄새를 제거하는 방법
KR20110099835A (ko) 튀김가루
KR101440785B1 (ko) 돼지 등심을 이용한 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햄
KR102469782B1 (ko) 한우와 허브를 이용한 생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