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636B1 - 치아 부착용 패치 - Google Patents

치아 부착용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636B1
KR102649636B1 KR1020200177268A KR20200177268A KR102649636B1 KR 102649636 B1 KR102649636 B1 KR 102649636B1 KR 1020200177268 A KR1020200177268 A KR 1020200177268A KR 20200177268 A KR20200177268 A KR 20200177268A KR 102649636 B1 KR102649636 B1 KR 102649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ch
handle
tooth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984A (ko
Inventor
정용범
방성은
안재현
최소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00177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636B1/ko
Priority to PCT/KR2020/018711 priority patent/WO2021125894A1/ko
Priority to CA3162481A priority patent/CA3162481A1/en
Priority to JP2022537192A priority patent/JP2023507382A/ja
Priority to CN202080005833.0A priority patent/CN113207278B/zh
Priority to TW109145164A priority patent/TW202135784A/zh
Priority to US17/787,132 priority patent/US20230027167A1/en
Publication of KR2022008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성 고분자 및 약효 성분을 포함하고,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제1층, 상기 제1층에 적층되고 제1층의 형태유지를 위한 제2층, 및 상기 제2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2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제3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3층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손잡이가 형성된,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 부착용 패치{Oral patch strip for attaching to surface of tooth}
본 발명은 구강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치아의 표면에 부착을 위한 치아 부착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로 약물(예를 들어, 치아 미백 성분, 치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성분, 등)을 편리하게 전달하기 위해 구강 내에 부착하는 패치가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치아 부착용 패치를 사용할 때, 치아 표면에 부착하거나 제거할 때 손에 약물이 묻어나거나 손이 치아 표면이나 잇몸에 닿아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패치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1) KR 20-0471737 Y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아 표면에 부착된 패치에 손잡이가 제공되는 새로운 형태의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치아에, 바람직하게 앞니, 송곳니, 어금니 등에 부착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는 손잡이를 갖는다. 상기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는 적어도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패치이며, 바람직하게 목적에 따라 3개, 4개, 5개, 또는 6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점착성 고분자 및 약효 성분을 포함하고,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제1층; 상기 제1층에 적층되고 제1층의 형태유지를 위한 제2층; 및 상기 제2층에 적층되고 제2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제3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3층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손잡이가 형성된,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3층을 제거 시에 손으로 잡을 수 있거나, 치아에 부착 시 제1층에 함유된 약물이 손에 묻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층은 점착성 고분자 및 약효 성분을 포함하고, 치아 표면에 부착되며, 약효층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층이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시간이 경과하면서 제1층에 저장된 약물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점착성은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끈적이는 성질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치아 부착용 패치는 처음부터 끈적이는 성질을 가질 수도 있고, 처음에는 끈적임이 없다가 부착 후 수분의 흡수에 의해 끈적이는 성질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층의 점착성 고분자는 감압 점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점착성 고분자(PSA polym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olymer)는 빛이나 열, 물, 용매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온에서 지압과 같은 작은 압력으로 단시간 동안 피착제의 표면에 접착이 가한 고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감압 점착성 고분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제1층에 사용되는 약물과의 상용성 측면에서 아크릴산 에스테르(acrylic acid esters),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s),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및 합성 또는 천연 고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감압 점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치아 부착용 패치의 제1층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고분자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고분자"는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물과 같은 수용성 매체에 혼합가능하거나 분산가능한 고분자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Pluronic,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ox),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V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K-15~K-120),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Gafquat 755N),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Merquat plus 3330),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mer, Carbopol),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젤라틴(gelatin), 알긴산 (sodium alginat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제1층 총 건조 중량 대비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 0.5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일 때, 치아에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적정량의 점착성가 추가되어 제2층과 제3층간의 접착력과 제1층과 치아의 접착력의 밸런스가 맞아 제3층을 제거 시에 제1층과 제2층이 치아에 잔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층에는 약효성분, 습윤제, 필름포머, 점증제, 기포발생제, 연마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조하는 업계에서 이용되는 성분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효성분은 일반적으로 구강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약효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불소 등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성분, 과산화수소 등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및 글리세린 (glyce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점착성 고분자와의 상용성을 고려할 때 글리세린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습윤제의 함량은 제1층 총 건조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필름포머는 점착성 고분자와의 상용성을 고려할 때 포비돈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필름포머의 함량은 제1층 총 건조 중량 대비 5 내지 3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점착성 고분자와의 상용성을 고려할 때 플루란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점증제의 함량은 제1층 총 건조 중량 대비 0.1 내지 1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바람직하게 연마용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에 적층되고 제1층의 형태유지를 위해 채용될 수 있으며, 지지층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층은 수불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불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에틸셀룰로오스가 본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하다. 상기 수불용성 고분자는 제2층 총 건조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일 때 형태 유지력이 우수하고, 제1층과의 우수한 밀착력을 기대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상기 수불용성 고분자의 예로 폴리우레탄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층에는 상기 수불용성 고분자 외에, 계면활성제, 가소제, 습윤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조하는 업계에서 약효성분이 함유된 제1층을 지지하기 위한 목적의 제2층을 제조할 때 이용되는 성분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는 SPAN20, SPAN40, SPAN60 및 SPAN8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목적상 SPAN8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제2층 총 건조중량 대비 5 내지 20중량% 포함될 수 있다. 가소제는 본 발명의 목적상 캐스터 오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제2층 총 건조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크기 또는 면적은 부착되는 치아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층은 제2층에 순차로 적층되고 제2층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제3층은 제3층의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3층을 제거 시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한다. 상기 '손잡이'라 함은 손으로 잡아서 패치를 치아 표면에서 제거하는데 무리가 없을 정도의 크기나 면적을 갖는 부분을 의미한다. 손잡이의 모양이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손잡이는 제3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하여 제3층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는 제3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제3층을 제2층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는 제3층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3층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기재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부직포, 종이, 합성 또는 천연 고무, 나일론,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hermoplastic Polyuretha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층의 '상방'이라 함은 제3층이 제2층과 맞닿지 않은 면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며, 제3층의 '상방'에 손잡이가 형성된 다층 구조의 패치는 예시적으로 도 1을 참고할 수 있으며, 도 1의 (a)로 표시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위치는 패치의 부착 부위에 따라 좌우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3층의 '상방'에 위치하는 손잡이(301)는 2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이라 함은 제3층의 가장자리에 제3층과 수평되게 돌출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도 1의 (b)를 '전방'으로, (c)를 '후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에 손잡이(311)가 형성된 다층 구조의 패치는 예시적으로 도 2를 참고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층(100) 위에 제2층(200)이 적층되고, 그 위에 제3층(310)의 일부에서 연장된 손잡이(311)가 형성된 치아 부착용 패치가 제공된다. 제1층(100)은 보호층 (400)에 의해 표면이 보호된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제3층(310)의 일부에서 연장된 손잡이(311)가 둥근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치아 부착용 패치는 상기 약물이 저장된 제1층(100)을 보호하는 보호층(400)이 제1층의 일면에 제1층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넓은 면적을 갖는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보호층(410)이 약물층(100)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상태로 위치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보호층(400 또는 410)은 제1층(100)을 치아 표면에 부착시킬 때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 또는 410)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3층(300)과 동일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부직포, 종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패치를 치아 표면에 부착하기 전에 보호층(400)이 떨어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보호층은 패치의 사용 전 편리하게 제거 하기 위해 약물층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는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3층의 면적이 확장되어 제2층 대비 제3층의 면적이 더 넓어지는 경우, 확장된 부분을 손으로 잡을 수 있다면, 그 확장된 부분이 손잡이(321)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는 도 6에 예시적으로 나타냈으며, 도 6은 제1층을 보호하는 보호층(400)과 제3층(320)이 확장된 것으로, 제3층의 확장된 부분(321)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패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 전 제1층(100)에서 보호층(410)을 제거하기 용이하고, 부착하여 일정 시간 경과한 후 제2층(200)에서 제3층(320)을 제거하기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3층(300)의 상방에 형성된 손잡이는 제3층이 상방으로 연장되거나 제3층의 상방에 손잡이 구조물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층이 상방으로 연장된다는 의미는 손잡이와 제3층이 동일한 재질을 이루고, 상기 제3층이 제2층과 맞닿는 면의 이면에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3층의 상방에 손잡이가 형성된 패치를 부착한 모습은 예시적으로 도 7을 참고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패치의 중심부에 돌출된 손잡이(301)가 있고, 약물층(100)이 치아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중심부에 돌출된 손잡이(301)를 당겨서 제2층(200)에서 제3층(3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311)는 제3층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에 손잡이 구조물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층의 손잡이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만큼의 면적을 갖고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에 손잡이(311)가 형성된 패치를 부착한 모습은 예시적으로 도 8을 참고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패치의 제3층(310)에서 연장되고 패치 가장자리 측면에서 제3층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311)가 형성된 패치를 치아에 부착한 모습을 보여준다. 패치를 치아에 부착한 후, 손잡이를 잡고 제2층(200)에서 제3층(31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패치의 접착력은 1.2cm X 5cm로 잘라 슬라이드 글라스에 2.5cm를 1kg 추로 10초간 압착하여 부착한 후, zwick, DE/1494 만능측정기로 5 mm/s의 속도 조건에서 접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치아와 제1층 사이의 접착력은 대략 200gf 이상이며, 제2층과 제3층 사이의 접착력은 제3층을 분리하기 위해 치아와 제1층 사이의 접착력보다는 적은 힘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 제2층과 제3층 사이의 접착력은 제1층과 치아의 접착력의 90% 이하, 80% 이하, 70% 이하, 60%이하, 50%이하, 40%이하, 30%이하, 20%이하, 10%이하의 접착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60%이하일 때 쉽게 제거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층과 치아의 접착력이 400gf라면 360gf 이하, 200gf라면 180gf 이하,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차이가 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0gf 라면 200gf가 나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2층과 제3층의 접착력은 상기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한 접착력이 약 100 gf 내외일 수 있다. 여기서 '약'은 ±10, ±9, ±8, ±7, ±6, ±5, ±4, ±3, ±2, ±1, ±0.5, ±0.1을 의미한다. 제2층에서 제3층을 분리할 때, 제1층과 치아 표면 사이의 접착력이 더 좋아야 패치는 부착되고 제3층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범위의 접착력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를 가질 때 유통 시 탈락되지 않고, 사용 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도 9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제3층의 손잡이(331)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만큼의 면적을 갖고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의 일측에 1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양측에 각각 1개씩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층의 가장자리 끝 부분에 형성된 손잡이(331)는 적은 힘으로도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를 통해 얻은 손잡이(301, 311, 321, 331)를 갖는 패치는 치아 표면에 패치를 부착할 때 손에 약물이 묻어나지 않을 수 있고, 패치를 제거할 때도 잇몸이나 치아에 손이 닿지 않아 위생상으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치는 칫솔질로 제거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치는 위치에 따라 부착 후 1분 내지 60분 후 칫솔질로 제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 내지 10분 후 칫솔질로 제2층과 제1층이 모두 제거될 수 있고, 또 다른 예를 들어 30 내지 60분 후 칫솔질로 제2층과 제1층이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어금니에 부착되는 패치는 부착 후 1 내지 10분 후 제거될 수 있고, 앞니 및/또는 송곳니에 부착되는 패치는 부착 후 30 내지 60분 후 칫솔질로 제2층과 제1층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는 다음과 같은 소비자 사용방법(direc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패치를 치아 표면에 부착하기 전에 보호층을 제거하고, 손잡이를 잡고 패치의 제1층을 치아 표면에 부착시킨다. 그 다음 패치의 손잡이를 잡고 제2층으로부터 제3층을 제거할 수 있다. 제2층을 제거하는 시간은 패치를 부착한 직후부터 제1층의 약물이 완전히 방출된 이후까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적절한 시간에 제거할 수 있다. 치아와 제1층 사이의 접착력과 제2층과 제3층 사이의 접착력의 차이로 손잡이를 잡고 당기면 제3층이 제2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수 분간 부착 후에 칫솔로 브러싱하여 패치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는 손잡이 구조로 인해 패치를 쉽게 부착하고,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약물이 손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패치를 제거할 때 잇몸이나 치아에 손이 닿지 않아 위생적이다.
도면에 한정되어 본 발명을 이해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패치의 제3층의 '상방'에 손잡이가 형성된 다층 구조의 패치를 예시적을 보여준다. 도 1의 (a) 방향을 상방으로, (b) 방향을 전방으로, (c) 방향을 후방으로 이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패치의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에 손잡이가 형성된 다층 구조의 패치는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3은 상기 도 2로 구현되는 패치의 손잡이가 변형된 패치를 나타내며, 손잡이가 곡선으로 변형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패치를 치아 표면에 부착하기 전에 보호층이 떨어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패치에서 보호층이 적용되었을 때, 보호층이 제1층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1층을 보호하는 보호층과 제3층이 확장되어, 제3층의 확장된 영역이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패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3층의 상방에 손잡이가 형성된 패치를 치아에 부착한 모습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에 손잡이가 형성된 패치를 부착한 모습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3층의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패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하기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1. 손잡이가 있는 치아 미백용 패치의 제조
가. 조성 및 제조방법
(1) 손잡이가 있는 치아 미백용 패치 1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제1층 (약효층) 제조 용액과 제2층(지지층) 제조 용액을 준비하고, PET 필름으로 형성된 제3층 위에 제2층(지지층) 용액을 부어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제1층 (약효층) 용액을 부어 후 건조하여 적층하였다. 이때, 제2층의 gel의 hydrophobic한 가소제(castor oil, SPAN80) 등이 PET 위에 접합될 수 있다. 이후 PET를 손잡이 형태로 커팅하고, 불필요한 부위를 제거하였다. 하기 함량은 중량%로 나타냈으며, 괄호 안은 건조 후 각 층 총 중량 대비 각 성분의 함량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손잡이가 부착된 치아 미백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제1층 함량 (건조 후 함량) 배합목적 제2층 함량 배합목적
과산화수소수 10.5% (3%) 약효성분 Ethyl cellulose 10% (15%) 필름포머
글리세린 3.0% (10%) 습윤제 SPAN80 5% (10%) 계면활성제
포비돈 15.0% (30%) 필름포머 Castor oil 5% (10%) 가소제
플루란 1.0% (2%) 점증제 글리세린 5% (10%) 습윤제
SLS 2.0% (2%) 기포발생제 에탄올 등 To 100% 용매
카보머 1.0% (1%) PSA 고분자 HPMC 10% (15%) 필름포머
연마용 실리카 3.0% (10%) 연마제 포비돈 10% (15%) 필름포머
물 등 to 100% 용매
PSA의 종류: acrylic acid esters, caroxylic acids, polysiloxane, rubber계열(natural, synthetic 등)
(2) 손잡이가 있는 치아 미백용 패치 2의 제조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제1층 (약효층) 제조 용액과 제2층(지지층) 제조 용액을 준비하고, 도 2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제작된 PET (제3층) 위에 제2층(지지층) 용액을 부어 건조시킨 후, 그 위에 제1층 (약효층) 용액을 부어 후 건조하여 적층하여 손잡이가 형성된 미백용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3) 손잡이가 없는 치아 미백용 패치의 제조
상기 표 1과 동일한 조성을 갖되, 손잡이 없는 치아 미백용 패치를 제작하였다.
손잡이가 있는 치아 미백용 패치 1 및 2는 치아 표면에 부착될 때 손에 약물이 묻어나지 않았고, 손잡이로 인해 편리하게 제거하였다.
100: 제1층
200: 제2층
300: 제3층
400: 보호층
301: 제3층에 패치의 상방으로 형성된 손잡이
311: 제3층에 패치의 전방으로 형성된 손잡이
321: 제2층 대비 제3층의 면적이 더 넓어져 확장된 손잡이
331: 제3층에 패치의 전방으로 제3층의 일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
410: 면적이 확장된 보호층

Claims (10)

  1. 점착성 고분자 및 약효 성분을 포함하고,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제1층;
    상기 제1층에 적층되고 제1층의 형태유지를 위한 제2층; 및
    상기 제2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2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제3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층과 제3층 사이의 접착력은 치아 표면과 제1층 사이의 접착력보다는 적으며,
    상기 제3층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손잡이가 형성된,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용 패치는 상기 제1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이 제1층의 일면에 제1층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넓은 면적을 갖는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보호층은 제1층을 치아 표면에 부착시킬 때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3층을 제거 시에 손으로 잡을 수 있거나, 패치를 치아에 부착 시 제1층에 함유된 약물이 손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의 상방에 형성된 손잡이는 제3층이 상방으로 연장되거나 제3층의 상방에 손잡이 구조물이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는 제3층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에 손잡이 구조물이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부직포, 종이, 합성 또는 천연 고무, 나일론,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과 제3층의 접착력은 치아와 제1층의 접착력의 90%이하의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의 손잡이는 제3층에서 상방으로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의 손잡이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만큼의 면적을 갖고 제3층의 전방 또는 후방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0200177268A 2019-12-19 2020-12-17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64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68A KR102649636B1 (ko) 2020-12-17 2020-12-17 치아 부착용 패치
PCT/KR2020/018711 WO2021125894A1 (ko) 2019-12-19 2020-12-18 치아 부착용 패치
CA3162481A CA3162481A1 (en) 2019-12-19 2020-12-18 Patch attachable to teeth
JP2022537192A JP2023507382A (ja) 2019-12-19 2020-12-18 歯牙付着用パッチ
CN202080005833.0A CN113207278B (zh) 2019-12-19 2020-12-18 牙齿附着用贴片
TW109145164A TW202135784A (zh) 2019-12-19 2020-12-18 牙齒附著用貼片
US17/787,132 US20230027167A1 (en) 2019-12-19 2020-12-18 Patch attachable to tee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68A KR102649636B1 (ko) 2020-12-17 2020-12-17 치아 부착용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984A KR20220086984A (ko) 2022-06-24
KR102649636B1 true KR102649636B1 (ko) 2024-03-19

Family

ID=8221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268A KR102649636B1 (ko) 2019-12-19 2020-12-17 치아 부착용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6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37Y1 (ko) * 2013-11-26 2014-03-13 한훈섭 사용 종료 시점 표시용 변색층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시트
WO2017043800A1 (ko) * 2015-09-09 2017-03-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1924289B1 (ko) * 2017-10-25 2018-11-3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내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 니들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37Y1 (ko) * 2013-11-26 2014-03-13 한훈섭 사용 종료 시점 표시용 변색층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시트
WO2017043800A1 (ko) * 2015-09-09 2017-03-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1924289B1 (ko) * 2017-10-25 2018-11-3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내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 니들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984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074B1 (ko) 탈색제를 치아에 전달하는 조성물 및 방법
US8414293B2 (en) Carrier strip for application to oral surfaces and related methods
TW592671B (en) Novel device
JP5599548B2 (ja) 腐食性裏打ち部材を有するヒドロゲル組成物
CA2629331A1 (en) A delivery system for a tooth whitener using a strip of material having low flexural stiffness
JP2007505135A5 (ko)
JP7292034B2 (ja) 歯磨きで除去可能な歯牙付着用パッチ
JP2006528984A (ja) 相分離を示すヒドロゲル組成物
JP3997371B2 (ja) 歯の美白用セット
JP4157527B2 (ja) 歯肉に安全なドライタイプのパッチ
KR102182976B1 (ko) 치아 또는 치아 주변 조직 부착용 패치
KR102649636B1 (ko)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90117466A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US20230027167A1 (en) Patch attachable to teeth
KR102034156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076097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322148B1 (ko) 교합면 부착용 패치
KR20190048854A (ko) 필름형 치약
KR102024539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413126B1 (ko) 인지가 용이한 치아 부착용 패치
JP2006282550A (ja) 歯牙美白用セット
JP4539841B2 (ja) 歯牙美白用セット
KR20190108097A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1999666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