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280B1 -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 - Google Patents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280B1
KR102648280B1 KR1020210155567A KR20210155567A KR102648280B1 KR 102648280 B1 KR102648280 B1 KR 102648280B1 KR 1020210155567 A KR1020210155567 A KR 1020210155567A KR 20210155567 A KR20210155567 A KR 20210155567A KR 102648280 B1 KR102648280 B1 KR 10264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clamp
leaf spring
sliding
slid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9489A (ko
Inventor
이선해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2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69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16L7/02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and sealing the pipes or cables inside the other pipes, cables or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30)는 내관(10)과 외관(20)을 서로 연결하여 내관(10)의 일측부(10u)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플레이트(100), 내관(10)과 외관(20)을 서로 연결하여 내관(10)의 타측부(10d)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 플레이트(200), 그리고 제1 탄성 플레이트(100)와 제2 탄성 플레이트(200)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300)를 포함하고, 제1 탄성 플레이트(100)는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을 둘러싸는 제1 클램프(110), 그리고 제1 클램프(110)의 일측(110a)에서 연장되어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판형 스프링(120), 그리고 제1 클램프(110)의 타측(110b)에서 연장되어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판형 스프링(130)을 포함하며, 제1 판형 스프링(120)과 제2 판형 스프링(130)은 상기 제1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INNER PIPE SUPPORTER AND DOUBLE PIP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선박의 연료 공급용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내관의 처짐을 방지하여 내관과 외관 사이의 이격 공간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선박의 연료 공급용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배출 가스에 의한 대기 환경 오염과 기름 유출에 따른 해상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름이 아닌 가스를 선박의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 석유 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및 액화 수소(Liquefied Hydrogen, LH2) 등의 액화 가스를 연료 가스로 사용하는 선박은 연료 가스를 엔진에 공급하기 위해서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이중 배관을 저장 탱크와 엔진을 연결하는 경로 또는 저장 탱크와 보일러를 연결하는 경로에 설치한다.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 주목적인 내관의 압력 상승이나 선박의 고유 진동 등에 의해 내관이 파열되는 경우, 내관에서 누설된 연료 가스로 인해 보호 구역 내의 인명을 다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 내관을 둘러싸는 외관을 포함하는 이중 배관이 고안되었다. 이와 같이, 내관의 외부에 외관을 설치하여 이중 배관으로 구성함으로써, 연료 가스의 누설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관과 내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일정한 공기 또는 유체가 흐르도록 하거나 결합재를 충전함으로써, 내관의 파열에 의한 연료 가스의 누설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박용 연료를 가스로 사용하는 경우 안전을 요구하는 구간이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배관의 구조가 이중 배관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중 배관의 내관과 외관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내관의 하중에 의해서 또는 선박의 고유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처짐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내관과 외관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특히, 최근 ME-GI 엔진에서 ME-GA 엔진으로 변경되면서 ME-GI에 연결되던 이중 배관의 내관의 직경보다 ME-GA 엔진에 연결되는 내관의 직경이 커지고, 이로 인해 내관의 무게가 증가하면서 내관과 외관 사이의 이격 공간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5687호(선박용 연료가스 이중배관, 2016.02.15.)
따라서, 본 발명은 내관의 처짐을 방지하여 내관과 외관 사이의 이격 공간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는, 내관(10), 상기 내관(10)과 이격되어 상기 내관(10)을 둘러싸는 외관(20), 그리고 상기 내관(10)과 상기 외관(20) 사이의 이격 공간(DA)에 설치되어 상기 내관(10)을 지지하는 내관 지지부(30)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내관 지지부(30)는, 상기 내관(10)과 상기 외관(20)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내관(10)의 일측부(10u)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플레이트(100); 상기 내관(10)과 상기 외관(20)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내관(10)의 타측부(10d)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 플레이트(200); 그리고 상기 제1 탄성 플레이트(100)와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200)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플레이트(100)는, 상기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을 둘러싸는 제1 클램프(110), 상기 제1 클램프(110)의 일측(110a)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판형 스프링(120),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110)의 타측(110b)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판형 스프링(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판형 스프링(120)과 상기 제2 판형 스프링(130)은 상기 제1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또한,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200)는 상기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을 둘러싸는 제2 클램프(210), 상기 제2 클램프(2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3 판형 스프링(220),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프(210)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4 판형 스프링(230)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판형 스프링(220)과 상기 제4 판형 스프링(230)은 상기 제2 클램프(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판형 스프링(120)과 상기 제3 판형 스프링(220)은 평면상 서로 중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판형 스프링(130)과 상기 제4 판형 스프링(230)은 평면상 서로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관(20)의 내측면(21u, 21d)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탄성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슬라이딩 베어링(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은 상기 제1 판형 스프링(120) 및 상기 제2 판형 스프링(130)을 상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은 상기 제3 판형 스프링(220) 및 상기 제4 판형 스프링(230)을 상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판형 스프링(120)은, 상기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는 제1 지지부(121), 상기 제1 지지부(121)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122), 그리고 상기 제1 경사부(122)에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상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과 면접촉하며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판형 스프링(130)은, 상기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는 제2 지지부(131), 상기 제2 지지부(131)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부(132), 그리고 상기 제2 경사부(132)에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상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과 면접촉하며 슬라이딩되는 제2 슬라이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121)와 상기 제2 지지부(131)는 상기 제1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클램프(110)는, 상기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는 제1 클램프 본체(111),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210)는, 상기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는 제2 클램프 본체(211),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112)와 상기 제2 결합부(212)는 상기 체결 부재(30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판형 스프링(220)은, 상기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는 제3 지지부(221), 상기 제3 지지부(221)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경사부(222), 그리고 상기 제3 경사부(222)에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상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과 면접촉하며 슬라이딩되는 제3 슬라이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판형 스프링(230)은, 상기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는 제4 지지부(231), 상기 제4 지지부(231)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4 경사부(232), 그리고 상기 제4 경사부(232)에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상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과 면접촉하며 슬라이딩되는 제4 슬라이딩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지지부(221)와 상기 제4 지지부(231)는 상기 제2 클램프(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112)는, 상기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일단 결합부(112a),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 본체(111)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1 타단 결합부(112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212)는, 상기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2 일단 결합부(212a),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프 본체(211)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타단 결합부(21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일단 결합부(112a)와 상기 제2 일단 결합부(212a)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타단 결합부(112b)와 상기 제2 타단 결합부(212b)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300)는, 상기 제1 일단 결합부(112a) 및 상기 제2 일단 결합부(212a)와 체결되며, 제1 체결 볼트(311) 및 제1 체결 너트(312)를 포함하는 제1 체결 부재(310), 그리고 상기 제1 타단 결합부(112b)와 상기 제2 타단 결합부(212b)와 체결되며, 제2 체결 볼트(321) 및 제2 체결 너트(322)를 포함하는 제2 체결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300)는, 상기 제1 일단 결합부(112a) 및 상기 제2 일단 결합부(212a)와 체결되며, 제1 체결 볼트(311) 및 제1 체결 너트(312)를 포함하는 제1 체결 부재(310), 그리고 상기 제1 타단 결합부(112b)에 형성되는 체결 걸림부(331), 그리고 상기 제2 타단 결합부(212b)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걸림부(331)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 걸림홈(332)을 포함하는 제2 체결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은, 상기 제1 슬라이딩부(12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 상기 제2 슬라이딩부(13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 상기 제3 슬라이딩부(22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 그리고 상기 제4 슬라이딩부(23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은 상기 제1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과 상기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은 상기 제2 클램프(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은 상기 제1 슬라이딩부(123)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21)와 결합되는 제1 베어링 홀(410a)을 가져, 상기 제1 슬라이딩부(123)가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은 상기 제2 슬라이딩부(133)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22)와 결합되는 제2 베어링 홀(420a)을 가져, 상기 제2 슬라이딩부(133)가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은 상기 제3 슬라이딩부(223)에 형성되는 제3 결합 돌기(23)와 결합되는 제3 베어링 홀(430a)을 가져, 상기 제3 슬라이딩부(223)가 상기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은 상기 제4 슬라이딩부(233)에 형성되는 제4 결합 돌기(24)와 결합되는 제4 베어링 홀(440a)을 가져, 상기 제4 슬라이딩부(233)가 상기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배관은, 내관(10); 상기 내관(10)과 이격되어 상기 내관(10)을 둘러싸는 외관(20); 그리고 상기 내관(10)과 상기 외관(20) 사이의 이격 공간(DA)에 설치되어 상기 내관(10)을 지지하는 내관 지지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내관 지지부(30)는 전술한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관은 선박의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는 배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은 내관과 외관 사이에 내관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내관의 처짐을 방지하여 내관과 외관 사이의 이격 공간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관이 외관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므로, 이중 배관의 수선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중 배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관 지지부가 내관의 상측부 및 하측부를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플레이트 및 제2 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탄성 플레이트는 내관의 상측부와 외관 사이의 복수의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외관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제2 탄성 플레이트는 내관의 하측부와 외관 사이의 복수의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외관의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내관의 상하, 좌우, 전후 방향에서 기울어짐 없이 균일하게 내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내관이 외관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배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내관 지지부만을 구체적으로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배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6의 제2 체결 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내관 지지부만을 구체적으로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배관에 관한 설명으로서 선박의 연료 공급용 이중 배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중 배관 구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 공급용 이중 배관은 선박의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는 내관(10), 내관(10)과 이격되어 내관(10)을 둘러싸는 외관(20), 그리고 내관(10)과 외관(20) 사이의 이격 공간(DA)에 설치되어 내관(10)을 지지하는 내관 지지부(30)를 포함한다.
내관(1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관 형상을 가지며, 내관(10)의 내부를 통해 선박의 연료와 같은 유체가 이송될 수 있다.
외관(20)은 내관(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이격 간격(d)만큼 이격되어 내관(10)과 외관(20) 사이에 이격 공간(DA)을 형성할 수 있다.
내관 지지부(30)는 제1 탄성 플레이트(100), 제2 탄성 플레이트(200), 체결 부재(300), 그리고 슬라이딩 베어링(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플레이트(100)는 내관(10)과 외관(20)을 서로 연결하여 내관(10)의 일측부(10u)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내관(10)의 일측부(10u)는 Z축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내관(10)의 상측 반원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탄성 플레이트(100)는 제1 클램프(110), 제1 판형 스프링(120), 그리고 제2 판형 스프링(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110)는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을 둘러싸며 내관(10)을 클램프할 수 있다, 제1 클램프(110)는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며,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의 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클램프(110)는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는 제1 클램프 본체(111), 그리고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양단에 위치하며 체결 부재(300)와 결합하는 제1 결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 본체(111)는 단면상 반원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112)는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2)는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일단(즉, 도 2에서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좌측단)에 위치하는 제1 일단 결합부(112a), 그리고 제1 클램프 본체(111)의 타단(즉, 도 2에서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우측단)에 위치하는 제1 타단 결합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형 스프링(120)은 제1 클램프(110)의 일측(110a)에서 연장되어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판형 스프링(120)은 Y축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클램프(110)의 일부의 뒤쪽(110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판형 스프링(120)은 단면상 대략 갈매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은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대향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1 판형 스프링(120)은 제1 지지부(121), 제1 경사부(122), 그리고 제1 슬라이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21)는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여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경사부(122)는 제1 지지부(121)의 양단에서 소정 곡률을 가지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이 위치하는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123)는 제1 경사부(122)에서 연장되어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과 면접촉하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123)가 슬라이딩 베어링(400)에 의해 슬라이딩됨으로써, 내관(10)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한 내관(10)의 흔들림에 의해 제1 판형 스프링(12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슬라이딩부(123)의 표면에는 제1 결합 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21)는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제1 슬라이딩부(123)가 슬라이딩 베어링(4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121)의 상면과 제1 경사부(122)의 상면은 서로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경사각을 이루며 연결되고, 제1 경사부(122)와의 하면과 제1 슬라이딩부(123)의 하면은 서로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경사각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경사부(122)를 기준으로 제1 지지부(121)와 제1 슬라이딩부(12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판형 스프링(120)은 내관(10)과 외관(20)을 동시에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내관(10)의 좌우 방향(즉, X축의 연장 방향)으로 내관(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일한 힘을 내관(10)의 좌우 방향에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내관(10)의 좌우 방향으로 내관(10)과 외관(20) 사이의 이격 간격(d)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판형 스프링(130)은 제1 클램프(110)의 타측(110b)에서 연장되어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판형 스프링(130)은 Y축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클램프(110)의 일부의 앞쪽(110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판형 스프링(130)은 단면상 대략 갈매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판형 스프링(130)은 제2 지지부(131), 제2 경사부(132), 그리고 제2 슬라이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31)는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여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경사부(132)는 제2 지지부(131)의 양단에서 소정 곡률을 가지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이 위치하는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133)는 제2 경사부(132)에서 연장되어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과 면접촉하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133)가 슬라이딩 베어링(400)에 의해 슬라이딩됨으로써, 내관(10)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한 내관(10)의 흔들림에 의해 제2 판형 스프링(1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슬라이딩부(133)의 표면에는 제2 결합 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22)는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제2 슬라이딩부(133)가 슬라이딩 베어링(4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부(131)의 상면과 제2 경사부(132)의 상면은 서로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경사각을 이루며 연결되고, 제2 경사부(132)와의 하면과 제2 슬라이딩부(133)의 하면은 서로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경사각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경사부(132)를 기준으로 제2 지지부(131)와 제2 슬라이딩부(13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판형 스프링(130)은 내관(10)과 외관(20)을 동시에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내관(10)의 좌우 방향(즉, X축의 연장 방향)으로 내관(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일한 힘을 내관(10)의 좌우 방향에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내관(10)의 좌우 방향으로 내관(10)과 외관(20) 사이의 이격 간격(d)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판형 스프링(120)과 제2 판형 스프링(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121)와 제2 지지부(131)는 제1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관(10)의 전후 방향(즉, Y축의 연장 방향)으로 내관(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일한 힘을 내관(10)의 전후 방향에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내관(10)의 전후 방향으로 내관(10)과 외관(20) 사이의 이격 간격(d)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탄성 플레이트(200)는 내관(10)과 외관(20)을 서로 연결하여 내관(10)의 타측부(10d)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내관(10)의 타측부는 Z축을 기준으로 내관(10)의 하측 반원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탄성 플레이트(200)는 제2 클램프(210), 제3 판형 스프링(220), 그리고 제4 판형 스프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램프(210)는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을 둘러싸며 내관(10)을 클램프할 수 있다. 제2 클램프는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며,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의 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클램프(210)는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는 제2 클램프 본체(211), 그리고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양단에 위치하며 체결 부재(300)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램프 본체(211)는 단면상 반원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결합부(212)는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12)는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일단(즉, 도 2에서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좌측단)에 위치하는 제2 일단 결합부(212a), 그리고 제2 클램프 본체(211)의 타단(즉, 도 2에서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우측단)에 위치하는 제2 타단 결합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일단 결합부(112a)와 제2 일단 결합부(212a)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타단 결합부(112b)와 제2 타단 결합부(212b)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3 판형 스프링(220)은 제2 클램프(2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판형 스프링(220)은 Y축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클램프(210)의 일부의 뒤쪽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판형 스프링(220)은 단면상 대략 갈매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은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대향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3 판형 스프링(220)은 제3 지지부(221), 제3 경사부(222), 그리고 제3 슬라이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부(221)는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여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제3 경사부(222)는 제3 지지부(221)의 양단에서 소정 곡률을 가지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이 위치하는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슬라이딩부(223)는 제3 경사부(222)에서 연장되어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과 면접촉하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3 슬라이딩부(223)가 슬라이딩 베어링(400)에 의해 슬라이딩됨으로써, 내관(10)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한 내관(10)의 흔들림에 의해 제3 판형 스프링(22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슬라이딩부(223)의 표면에는 제3 결합 돌기(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 돌기(23)는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제3 슬라이딩부(223)가 슬라이딩 베어링(4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경사부(222)를 기준으로 제3 지지부(221)와 제3 슬라이딩부(22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판형 스프링(220)은 내관(10)과 외관(20)을 동시에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내관(10)과 외관(20) 사이의 이격 간격(d)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4 판형 스프링(230)은 제2 클램프(210)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판형 스프링(230)은 Y축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클램프(210)의 일부의 앞쪽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판형 스프링(230)은 대략 갈매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판형 스프링(230)은 제4 지지부(231), 제4 경사부(232), 그리고 제4 슬라이딩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지지부(231)는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여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제4 경사부(232)는 제4 지지부(231)의 양단에서 소정 곡률을 가지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이 위치하는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4 슬라이딩부(233)는 제4 경사부(232)에서 연장되어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과 면접촉하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4 슬라이딩부(233)가 슬라이딩 베어링(400)에 의해 슬라이딩됨으로써, 내관(10)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한 내관(10)의 흔들림에 의해 제2 판형 스프링(1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슬라이딩부(233)의 표면에는 제4 결합 돌기(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결합 돌기(24)는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제4 슬라이딩부(233)가 슬라이딩 베어링(4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경사부(232)를 기준으로 제4 지지부(231)와 제4 슬라이딩부(23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판형 스프링(230)은 내관(10)과 외관(20)을 동시에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내관(10)의 좌우 방향(즉, X축의 연장 방향)으로 내관(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일한 힘을 내관(10)의 좌우 방향에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내관(10)의 좌우 방향으로 내관(10)과 외관(20) 사이의 이격 간격(d)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판형 스프링(220)과 제4 판형 스프링(2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램프(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지지부(221)와 제4 지지부(231)는 제2 클램프(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관(10)의 전후 방향(즉, Y축의 연장 방향)으로 내관(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일한 힘을 내관(10)의 전후 방향에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내관(10)의 전후 방향으로 내관(10)과 외관(20) 사이의 이격 간격(d)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체결 부재(300)는 제1 탄성 플레이트(100)와 제2 탄성 플레이트(200)를 체결하여 내관(10)에 제1 탄성 플레이트(100)와 제2 탄성 플레이트(200)를 고정할 수 있다. 체결 부재(300)는 제1 체결 부재(310) 및 제2 체결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310)는 제1 클램프(110)의 제1 일단 결합부(112a) 및 제2 클램프(210)의 제2 일단 결합부(212a)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 부재(310)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제1 체결 볼트(311) 및 제1 체결 너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 볼트(311)가 제1 일단 결합부(112a) 및 제2 일단 결합부(212a)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고, 제1 체결 너트(312)가 위에서 제1 체결 볼트(311)의 단부와 결합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체결 볼트(311)가 제1 일단 결합부(112a) 및 제2 일단 결합부(212a)를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체결 부재(320)는 제1 클램프(110)의 제1 타단 결합부(112b) 및 제2 클램프(210)의 제2 타단 결합부(212b)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 부재(320)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제2 체결 볼트(321) 및 제2 체결 너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체결 볼트(321)가 제1 타단 결합부(112b)와 제2 타단 결합부(212b)를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고, 제2 체결 너트(322)가 아래에서 제2 체결 볼트(321)의 단부와 결합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체결 볼트(321)가 제1 타단 결합부(112b)와 제2 타단 결합부(212b)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슬라이딩 베어링(400)은 외관(20)의 내측면(21u, 21d)에 설치되며 제1 탄성 플레이트(100) 및 제2 탄성 플레이트(200)와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400)은 제1 탄성 플레이트(100) 및 제2 탄성 플레이트(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400)은 탄소 섬유, 그라 파이트, PTEF를 충진한 Peek (Polyetheretherketone)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400)은 제1 판형 스프링(120)의 제1 슬라이딩부(123)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 홈(41)을 가지는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 제2 판형 스프링(130)의 제2 슬라이딩부(13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홈(42)을 가지는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 제3 판형 스프링(220)의 제3 슬라이딩부(22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 슬라이딩 홈(43)을 가지는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 그리고 제4 판형 스프링(230)의 제4 슬라이딩부(23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4 슬라이딩 홈(44)을 가지는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 그리고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은 외관(20)의 내측면(21u, 21d)에 접촉하며 설치되므로, 곡률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은 제1 슬라이딩부(123)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21)와 결합되는 제1 베어링 홀(410a)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라이딩부(123)는 제1 베어링 홀(410a)의 길이만큼 왕복 이동하면서 외관(20)에 대해 내관(10)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하여 제1 판형 스프링(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은 제2 슬라이딩부(133)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22)와 결합되는 제2 베어링 홀(420a)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슬라이딩부(133)는 제2 베어링 홀(420a)의 길이만큼 왕복 이동하면서 제2 판형 스프링(1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은 제3 슬라이딩부(223)에 형성되는 제3 결합 돌기(23)와 결합되는 제3 베어링 홀(430a)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슬라이딩부(223)는 제3 베어링 홀(430a)의 길이만큼 왕복 이동하면서 제3 판형 스프링(2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은 제4 슬라이딩부(233)에 형성되는 제4 결합 돌기(24)와 결합되는 제4 베어링 홀(440a)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4 슬라이딩부(233)는 제4 베어링 홀(440a)의 길이만큼 왕복 이동하면서 제4 판형 스프링(2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과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은 제1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과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은 제2 클램프(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체결 부재가 모두 체결 볼트 및 체결 너트로 이루어졌으나, 체결 부재의 일부는 체결 돌기 및 체결 홈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 공급용 이중 배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 공급용 이중 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6의 제2 체결 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체결 부재의 구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 공급용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30)는 제1 탄성 플레이트(100), 제2 탄성 플레이트(200), 체결 부재(300), 그리고 슬라이딩 베어링(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플레이트(100)는 제1 클램프(110), 제1 판형 스프링(120), 그리고 제2 판형 스프링(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110)는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는 제1 클램프 본체(111), 그리고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양단에 위치하며 체결 부재(300)와 결합하는 제1 결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12)는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일단(즉, 도 6에서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좌측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일단 결합부(112a), 그리고 제1 클램프 본체(111)의 타단(즉, 도 6에서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우측단)인 제1 타단 결합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 플레이트(200)는 제2 클램프(210), 제3 판형 스프링(220), 그리고 제4 판형 스프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램프(210)는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는 제2 클램프 본체(211), 그리고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양단에 위치하며 체결 부재(300)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12)는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일단(즉, 도 6에서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좌측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일단 결합부(212a), 그리고 제2 클램프 본체(211)의 타단(즉, 도 6에서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우측단)인 제2 타단 결합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일단 결합부(112a)와 제2 일단 결합부(212a)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타단 결합부(112b)와 제2 타단 결합부(212b)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체결 부재(300)는 제1 체결 부재(310) 및 제2 체결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310)는 제1 클램프(110)의 제1 일단 결합부(112a) 및 제2 클램프(210)의 제2 일단 결합부(212a)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 부재(310)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제1 체결 볼트(311) 및 제1 체결 너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320`)는 제1 클램프(110)의 제1 타단 결합부(112b) 및 제2 클램프(210)의 제2 타단 결합부(212b)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 부재(320`)는 제1 타단 결합부(112b)에 형성되는 체결 걸림부(331), 그리고 제2 타단 결합부(212b)에 형성되며 체결 걸림부(331)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 걸림홈(332)을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체결 걸림부(331) 및 체결 걸림홈(332)으로 이루어진 제2 체결 부재(320`)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공구없이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내관 20: 외관
30: 내관 지지부 100: 제1 탄성 플레이트
110: 제1 클램프 120: 제1 판형 스프링
130: 제2 판형 스프링 200: 제2 탄성 플레이트
210: 제2 클램프 220: 제3 판형 스프링
230: 제4 판형 스프링 300: 체결 부재
400: 슬라이딩 베어링

Claims (20)

  1. 내관(10), 상기 내관(10)과 이격되어 상기 내관(10)을 둘러싸는 외관(20), 그리고 상기 내관(10)과 상기 외관(20) 사이의 이격 공간(DA)에 설치되어 상기 내관(10)을 지지하는 내관 지지부(30)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내관 지지부(30)는,
    상기 내관(10)과 상기 외관(20)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내관(10)의 일측부(10u)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플레이트(100);
    상기 내관(10)과 상기 외관(20)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내관(10)의 타측부(10d)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 플레이트(200); 그리고
    상기 제1 탄성 플레이트(100)와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200)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플레이트(100)는,
    상기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을 둘러싸는 제1 클램프(110),
    상기 제1 클램프(110)의 일측(110a)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판형 스프링(120),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110)의 타측(110b)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판형 스프링(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판형 스프링(120)과 상기 제2 판형 스프링(130)은 상기 제1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200)는
    상기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을 둘러싸는 제2 클램프(210),
    상기 제2 클램프(2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3 판형 스프링(220),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프(210)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4 판형 스프링(230)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판형 스프링(220)과 상기 제4 판형 스프링(230)은 상기 제2 클램프(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형 스프링(120)과 상기 제3 판형 스프링(220)은 평면상 서로 중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판형 스프링(130)과 상기 제4 판형 스프링(230)은 평면상 서로 중첩하여 위치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20)의 내측면(21u, 21d)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탄성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탄성 플레이트(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슬라이딩 베어링(400)을 더 포함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은 상기 제1 판형 스프링(120) 및 상기 제2 판형 스프링(130)을 상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은 상기 제3 판형 스프링(220) 및 상기 제4 판형 스프링(230)을 상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형 스프링(120)은,
    상기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는 제1 지지부(121),
    상기 제1 지지부(121)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122), 그리고
    상기 제1 경사부(122)에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상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과 면접촉하며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딩부(123)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형 스프링(130)은,
    상기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는 제2 지지부(131),
    상기 제2 지지부(131)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부(132), 그리고
    상기 제2 경사부(132)에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상기 외관(20)의 일측 내측면(21u)과 면접촉하며 슬라이딩되는 제2 슬라이딩부(133)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121)와 상기 제2 지지부(131)는 상기 제1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110)는,
    상기 내관(10)의 일측 외측면(11u)과 접촉하는 제1 클램프 본체(111),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210)는,
    상기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는 제2 클램프 본체(211),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112)와 상기 제2 결합부(212)는 상기 체결 부재(300)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형 스프링(220)은,
    상기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는 제3 지지부(221),
    상기 제3 지지부(221)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경사부(222), 그리고
    상기 제3 경사부(222)에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상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과 면접촉하며 슬라이딩되는 제3 슬라이딩부(223)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판형 스프링(230)은,
    상기 내관(10)의 타측 외측면(11d)과 접촉하는 제4 지지부(231),
    상기 제4 지지부(231)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4 경사부(232), 그리고
    상기 제4 경사부(232)에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이 상기 외관(20)의 타측 내측면(21d)과 면접촉하며 슬라이딩되는 제4 슬라이딩부(233)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221)와 상기 제4 지지부(231)는 상기 제2 클램프(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112)는,
    상기 제1 클램프 본체(111)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일단 결합부(112a),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 본체(111)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1 타단 결합부(112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212)는,
    상기 제2 클램프 본체(211)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2 일단 결합부(212a),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프 본체(211)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타단 결합부(21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일단 결합부(112a)와 상기 제2 일단 결합부(212a)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타단 결합부(112b)와 상기 제2 타단 결합부(212b)는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300)는,
    상기 제1 일단 결합부(112a) 및 상기 제2 일단 결합부(212a)와 체결되며, 제1 체결 볼트(311) 및 제1 체결 너트(312)를 포함하는 제1 체결 부재(310), 그리고
    상기 제1 타단 결합부(112b)와 상기 제2 타단 결합부(212b)와 체결되며, 제2 체결 볼트(321) 및 제2 체결 너트(322)를 포함하는 제2 체결 부재(320)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300)는,
    상기 제1 일단 결합부(112a) 및 상기 제2 일단 결합부(212a)와 체결되며, 제1 체결 볼트(311) 및 제1 체결 너트(312)를 포함하는 제1 체결 부재(310), 그리고
    상기 제1 타단 결합부(112b)에 형성되는 체결 걸림부(331), 그리고 상기 제2 타단 결합부(212b)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걸림부(331)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 걸림홈(332)을 포함하는 제2 체결 부재(320`)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400)은,
    상기 제1 슬라이딩부(12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
    상기 제2 슬라이딩부(13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
    상기 제3 슬라이딩부(22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 그리고
    상기 제4 슬라이딩부(233)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은 상기 제1 클램프(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과 상기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은 상기 제2 클램프(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은 상기 제1 슬라이딩부(123)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돌기(21)와 결합되는 제1 베어링 홀(410a)을 가져, 상기 제1 슬라이딩부(123)가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어링(4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은 상기 제2 슬라이딩부(133)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돌기(22)와 결합되는 제2 베어링 홀(420a)을 가져, 상기 제2 슬라이딩부(133)가 상기 제2 슬라이딩 베어링(4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은 상기 제3 슬라이딩부(223)에 형성되는 제3 결합 돌기(23)와 결합되는 제3 베어링 홀(430a)을 가져, 상기 제3 슬라이딩부(223)가 상기 제3 슬라이딩 베어링(4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은 상기 제4 슬라이딩부(233)에 형성되는 제4 결합 돌기(24)와 결합되는 제4 베어링 홀(440a)을 가져, 상기 제4 슬라이딩부(233)가 상기 제4 슬라이딩 베어링(4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
  19. 내관(10);
    상기 내관(10)과 이격되어 상기 내관(10)을 둘러싸는 외관(20); 그리고
    상기 내관(10)과 상기 외관(20) 사이의 이격 공간(DA)에 설치되어 상기 내관(10)을 지지하는 내관 지지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내관 지지부(30)는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로 구성되는,
    이중 배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선박의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는 배관인,
    이중 배관.
KR1020210155567A 2021-11-12 2021-11-12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 KR10264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567A KR102648280B1 (ko) 2021-11-12 2021-11-12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567A KR102648280B1 (ko) 2021-11-12 2021-11-12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489A KR20230069489A (ko) 2023-05-19
KR102648280B1 true KR102648280B1 (ko) 2024-03-18

Family

ID=8654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567A KR102648280B1 (ko) 2021-11-12 2021-11-12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58B1 (ko) * 2023-07-29 2023-11-06 주식회사 엔지니어링코리아 플렉시블 서포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4869A (ja) 2013-06-03 2014-1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管の支持構造
KR101703233B1 (ko) 2015-03-18 2017-02-06 강종민 플렉시블 서포트
KR102017849B1 (ko) 2018-10-10 2019-10-21 주식회사 해강하이테크 선박연료이송용 이중배관의 서포트
KR102189994B1 (ko) 2019-08-06 2020-12-11 류정우 파이프 서포트 및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파이프 서포트용 지지유닛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47B1 (ko) * 2008-09-30 2010-09-02 (주)상수플랜트 이중파이프의 완충장치
KR20160015687A (ko) 2014-07-31 2016-02-15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가스 이중배관
KR102198220B1 (ko) * 2019-05-08 2021-01-04 (유)성문 가스이송관의 내관 지지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4869A (ja) 2013-06-03 2014-1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管の支持構造
KR101703233B1 (ko) 2015-03-18 2017-02-06 강종민 플렉시블 서포트
KR102017849B1 (ko) 2018-10-10 2019-10-21 주식회사 해강하이테크 선박연료이송용 이중배관의 서포트
KR102189994B1 (ko) 2019-08-06 2020-12-11 류정우 파이프 서포트 및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파이프 서포트용 지지유닛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489A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280B1 (ko)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
KR20190142938A (ko) 펌프 타워의 진동 저감장치
JP2006300319A (ja) アンカーを利用した液化天然ガスの保存タンク
JPS6238592B2 (ko)
JP2023021343A (ja) 二重管の内管サポート部材
CN104379441A (zh) 用于液化天然气储罐的主要屏障的加强构件固定装置
KR101936382B1 (ko) 이중 배관의 지지체
KR20210146246A (ko) 단열 블록을 유지하기 위한 앵커 장치
KR102500961B1 (ko) 이중배관의 플렉시블 서포트
KR20160061096A (ko) 액체저장탱크
US6983957B2 (en) Compressed seal for a movable joint
EP4074590A1 (en) Corner structure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US10197128B2 (en) Hydraulic torque compensation device
CN101668941A (zh) 缓冲罐
KR101310959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고정구조물
KR20060037284A (ko) 극저온 유체 탱크 및 자동차에서의 사용
KR101616342B1 (ko) 내조 연결구조체
JP5719063B1 (ja) Uボルトユニット
CN214580414U (zh) 止荡壁组件与液化气罐
KR102599658B1 (ko) 플렉시블 서포트
CN114645990A (zh) 双壁管内滑动支撑结构
KR102644893B1 (ko) 이중배관용 서포트
CN114981160B (zh) 燃料罐及船舶
CN216555712U (zh) 管道减震装置
KR102197128B1 (ko) 고압용 컴펜세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