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893B1 - 이중배관용 서포트 - Google Patents

이중배관용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893B1
KR102644893B1 KR1020210189991A KR20210189991A KR102644893B1 KR 102644893 B1 KR102644893 B1 KR 102644893B1 KR 1020210189991 A KR1020210189991 A KR 1020210189991A KR 20210189991 A KR20210189991 A KR 20210189991A KR 102644893 B1 KR102644893 B1 KR 10264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ring
brace
support membe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263A (ko
Inventor
이찬주
강성욱
윤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8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89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는, 이중배관의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공간에서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브레이스, 상기 내관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의 양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부를 갖는 결합부 및 상기 브레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의 내측면에 접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스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배관용 서포트{SUPPORT FOR DOUBLE WALL PIPE}
본 발명은 이중배관용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 LPG 등을 연료가스로 사용하는 선박은 연료가스를 엔진에 공급하기 위해서 외관(Outer pipe)과 내관(Inner pipe)으로 구성된 이중배관으로 저장탱크에서 엔진 또는 저장탱크에서 보일러에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 형태의 외관 내부에 파이프 형태의 내관이 수용되는 이중배관의 경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내관을 지지할 수 있는 서포트 구조를 구성하여 내관이 움직이거나 외관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엔진성능 향상을 위한 연료공급시스템의 작동압력이 증가하면서 이를 견디기 위해 내관의 두께 및 무게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서포터의 요구강성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강성도가 향상되어 외관 및 내관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외부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이중배관용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는, 이중배관의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공간에서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브레이스, 상기 내관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의 양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부를 갖는 결합부 및 상기 브레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의 내측면에 접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스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스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관의 내측면을 가압하며, 상기 베어링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스는, 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 및 이웃한 다른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 및 이웃한 다른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관과 마주보는 면에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에 안착된 상기 브레이스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일면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스에 관통 연결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베어링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베어링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길이방향 일단에서 길이방향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돌기부는, 상기 브레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스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코킹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에 의해 상기 베어링 및 상기 브레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는, 강성도가 향상되어 외관 및 내관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외부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가 이중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변형예가 이중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돌기부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베어링의 돌기부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및 베어링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가 이중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는 이중배관의 내관(P1) 및 외관(P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복수개가 내관(P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서포트(10)는 각각 다른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내관(P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포트(10)에 의해 내관(P1) 및 외관(P2)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는 브레이스(100), 결합부(200), 베어링(300) 및 체결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스(100)는 복수개가 내관(P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스(100)는 2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은 결합부(200) 및 체결부재(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스(100)는 제1 지지부재(110), 제2 지지부재(120) 및 연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평판 형상으로, 일면에 체결부재(400)가 관통연결되는 제1 체결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재(110)는 체결부재(400)에 의해 결합부(20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0)는 곡면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내관(P1)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관(P1)의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120)는 일면에 제1 연결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부재(120)는 제1 연결홀(121)에 삽입되는 돌기부(330)에 의해 후술할 베어링(3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재(120)는 탄성력에 의해 베어링(300)을 외관(P2)의 내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서포트(10)의 강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의 단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30)는 외력이 가해지거나 또는 내관(P1)의 진동 시 탄성력에 의해 구부러지면서, 내관 및 외관의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하고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결합부(200)는 복수개가 내관(P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00)는 2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은 체결부재(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결합몸체(210), 고정부(220), 삽입홈(230) 및 제2 체결홀(24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몸체(210)는 곡면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내관(P1)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몸체(210)의 곡률은 내관(P1) 외측면의 곡률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20)는 결합몸체(210)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20)는 결합몸체(210)의 단부로부터 외관(P2) 측을 향해 연장형성 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20)는 외관(P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30)은 고정부(2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230)은 고정부(220)의 외측면에서 외관(P2)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삽입홈(230)은 고정부(220)로부터 결합몸체(210)까지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삽입홈(230)에는 체결부재(400)의 머리부(410)가 수용될 수 있다.
제2 체결홀(240)은 삽입홈(230)의 내면으로부터 고정부(220)의 타면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홀(240)에는 체결부재(400)가 관통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브레이스(100) 및 결합부(200)의 체결구조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먼저, 브레이스(100)의 제1 지지부재(110)를 서로 이웃한 결합부(200) 사이에 끼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110)를 어느 하나의 결합부(200)에 형성된 고정부(220) 및 이웃한 다른 결합부(200)에 형성된 고정부(220) 사이에 끼울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홀(111) 및 제2 체결홀(240)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후, 체결부재(400)를 제1 체결홀(111) 및 제2 체결홀(24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400)는 볼트일 수 있으며 이를 제1 체결홀(111) 및 제2 체결홀(240)에 관통시키고 이를 너트로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스(100)가 결합부(200)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브레이스(100)가 모두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베어링(300)은 가이드레일(310), 슬라이딩홈(320) 및 돌기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300)은 소정 길이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제2 지지부재(12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외관(P2)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300)은 제2 지지부재(120)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베어링(300)은 일면에 슬라이딩홈(320)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320)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레일(310)이 베어링(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부재(120)는 슬라이딩홈(3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가이드레일(310) 사이에 끼워져 베어링(300)에 연결될 수 있다.
돌기부(330)는 슬라이딩홈(320)의 일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300)이 제2 지지부재(120)에 결합될 때, 돌기부(330)는 제2 지지부재(120)의 제1 연결홀(121)에 관통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330)에 의해 베어링(300)이 제2 지지부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변형예가 이중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이중배관용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변형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의 구성 대부분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의 구성과 동일 하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결합부(200)는 복수개가 내관(P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00)는 2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은 체결부재(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결합몸체(210), 고정부(220), 삽입홈(230), 제2 체결홀(240) 및 고정플레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30)은 고정부(2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230)은 고정부(220)의 외측면에서 외관(P2)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삽입홈(230)은 고정부(220)로부터 결합몸체(210)까지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삽입홈(230)의 너비는 제1 지지부재(110)의 너비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230)에는 체결부재(400)의 머리부(410), 고정플레이트(250) 및 제1 지지부재(110)가 수용될 수 있다.
제2 체결홀(240)은 삽입홈(230)의 내면으로부터 고정부(220)의 타면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홀(240)은 한 쌍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홀(240)에는 체결부재(400)가 관통연결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50)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제3 체결홀(25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체결홀(251)은 제2 체결홀(240)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250)는 삽입홈(230)에 삽입됨에 따라, 삽입홈(230)에 안착되어 있던 제1 지지부재(110)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브레이스(100) 및 결합부(200)의 체결구조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먼저, 브레이스(100)의 제1 지지부재(110)를 삽입홈(230)의 일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홀(111) 및 제2 체결홀(240)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후, 고정플레이트(250)를 삽입홈(230)에 삽입하여 제1 지지부재(110)의 상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체결홀(251)을 제1 체결홀(111) 및 제2 체결홀(240)의 위치와 일치시킬 수 있다.
이후, 체결부재(400)를 제1 체결홀(111), 제2 체결홀(240) 및 제3 체결홀(251)에 체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400)는 볼트일 수 있으며 이를 제1 체결홀(111), 제2 체결홀(240) 및 제3 체결홀(251)에 관통시키고 이를 너트로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스(100)가 결합부(200)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브레이스(100)가 모두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돌기부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베어링의 돌기부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서포트(10)가 이중배관 내에 설치될 경우 제2 지지부재(120)가 외관(P2)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 될 수 있는데, 이때 가압력에 의해 제2 지지부재(120)가 내관(P1)측으로 굽혀지면서 곡률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제2 지지부재(120)의 곡률변화를 보상함으로써 베어링(300) 및 제2 지지부재(120) 간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베어링(300)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베어링(300)의 길이방향 일측의 제1 단부(300a)는 제2 지지부재(120)의 끝단과 인접하고, 베어링(300)의 길이방향 타측의 제2 단부(300b)는 연결부재(130)와 인접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300)의 곡률은 제1 단부(300a)에서 제2 단부(300b)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베어링(300)의 두께는 제1 단부(300a)에서 제2 단부(300b)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측 두께(Ta)보다 제2 단부측 두께(Tb)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부재(120)가 외관(P2)에 의해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베어링(300) 및 제2 지지부재(120)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P2)에 대한 베어링(30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라 서포트(10)의 강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고하면, 돌기부(330)는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돌기부(330)는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제1 단부(300a)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되고, 도 9(b)와 같이 돌기부(330)는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제2 단부(300b)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9(a)와 같이 돌기부(330)가 제1 단부(300a)측으로 이동될 경우 제2 지지부재(120) 끝단측으로 편향되므로, 제2 지지부재(120)의 굽힘 구간이 길어지며 이에 따라 탄성한계굽힘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9(b)와 같이 돌기부(330)가 제2 단부(300b)측으로 이동될 경우 연결부재(130) 측으로 편향되므로, 제2 지지부재(120)의 굽힘 구간이 짧아지며 이에 따라 강성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10)에 요구되는 굽힘량 또는 강성도에 맞게 돌기부(3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10를 참고하면 변형예에 따른 베어링(300)은 가이드레일(310), 슬라이딩홈(320), 제2 연결홀(340) 및 돌기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300)은 슬라이딩홈(320)의 일면을 관통하는 제2 연결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홀(340)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의 돌기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베어링(300) 및 돌기부(330)는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고, 제2 연결홀(340)을 통해 돌기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330)는 베어링(300)의 제2 연결홀(340) 및 제2 지지부재(120)의 제1 연결홀(121)에 관통연결되어, 베어링(300)이 제2 지지부재(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고하면, 베어링(300)의 곡률은 제1 단부(300a)에서 제2 단부(300b) 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베어링(300)의 두께는 제1 단부(300a)에서 제2 단부(300b)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즉, 베어링(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 지지부재(120)가 외관(P2)에 의해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베어링(300) 및 제2 지지부재(120)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P2)에 대한 베어링(30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라 서포트(10)의 강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홀(340)은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와 같이 제2 연결홀(340)은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제1 단부(300a)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되고, 도 11(b)와 같이 제2 연결홀(340)은 베어링(300)의 중심부로부터 제2 단부(300b)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홀(340)에는 돌기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11(a)와 같이 돌기부(330)가 제1 단부(300a) 측으로 이동될 경우 제2 지지부재(120) 끝단측으로 편향되므로, 제2 지지부재(120)의 굽힘 구간이 길어지며 이에 따라 탄성한계굽힘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1(b)와 같이 돌기부(330)가 제2 단부(300b)측으로 이동될 경우 연결부재(130) 측으로 편향되므로, 제2 지지부재(120)의 굽힘 구간이 짧아지며 이에 따라 강성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10)에 요구되는 굽힘량 또는 강성도에 맞게 제2 연결홀(340) 및 돌기부(3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및 베어링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이중배관용 서포트(10)는 코킹부(331)를 통해 브레이스(100) 및 베어링(3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먼저, 베어링(300)을 브레이스(100)와 연결시킴에 따라, 돌기부(330)를 브레이스(100)의 제1 연결홀(121)에 관통시킬 수 있다.
돌기부(330)를 코킹(calking) 가공할 수 있다. 코킹(calking)작업은 리벳의 머리, 금속판의 이음부를 끝이 뭉툭한 코킹정으로 두들겨서 기밀하게 하는 작업을 일컫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330)는 브레이스(100)에 관통 연결된 후 노출된 부위를 코킹정(미도시)과 같은 도구로 두들겨져 가압됨에 따라, 돌기부(330)의 일단부에는 눌린 형태의 코킹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330)는 브레이스(100)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코킹부(331)는 브레이스(100)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베어링(300)과 브레이스(100)는 코킹부(331)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는 복수개의 브레이스(100), 결합부(200), 베어링(300) 및 체결부재(400)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한 브레이스(100)는 결합부(200) 및 체결부재(400)에 의해 연결되면서 복수개의 브레이스(100)가 모두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브레이스(100)가 2개인 구조뿐만 아니라, 3개, 4개, 5개인 구조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배관용 서포트(10)는 복수개의 브레이스(100)에 베어링(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중배관의 내관(P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외관 및 내관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외부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브레이스(100) 및 베어링(300)의 구조로 인해 서포트(10)의 강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이중배관용 서포트
100: 브레이스 110: 제1 지지부재
111: 제1 체결홀 120: 제2 지지부재
121: 제1 연결홀 130: 연결부재
200: 결합부 210: 결합몸체
220: 고정부 230: 삽입홈
240: 제2 체결홀 250: 고정플레이트
251: 제3 체결홀 300: 베어링
300a: 제1 단부 300b: 제2 단부
310: 가이드레일 320: 슬라이딩홈
330: 돌기부 331: 코킹부
340: 제2 연결홀 400: 체결부재
410: 머리부

Claims (10)

  1. 이중배관의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공간에서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브레이스;
    상기 내관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의 양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부를 갖는 결합부; 및
    상기 브레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의 내측면에 접하며 길이방향 제1단부에서 제2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스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관의 내측면을 가압하며, 상기 베어링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끝단과 인접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인접하며,
    상기 베어링의 곡률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브레이스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은, 일면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스에 관통 연결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측 두께는 상기 제1 단부측 두께보다 더 두꺼우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굽힘 구간이 짧아지도록 상기 베어링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베어링의 길이방향 일측의 상기 제2 단부측 방향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는,
    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 및 이웃한 다른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부 사이에 삽입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 및 이웃한 다른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관과 마주보는 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에 안착된 상기 브레이스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브레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스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코킹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에 의해 상기 베어링 및 상기 브레이스가 결합되는 이중배관용 서포트.
KR1020210189991A 2021-12-28 2021-12-28 이중배관용 서포트 KR10264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991A KR102644893B1 (ko) 2021-12-28 2021-12-28 이중배관용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991A KR102644893B1 (ko) 2021-12-28 2021-12-28 이중배관용 서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263A KR20230100263A (ko) 2023-07-05
KR102644893B1 true KR102644893B1 (ko) 2024-03-07

Family

ID=8715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991A KR102644893B1 (ko) 2021-12-28 2021-12-28 이중배관용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8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39Y1 (ko) * 2013-01-23 2013-07-12 양성연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CN107725904A (zh) * 2017-10-19 2018-02-23 大连海洋大学 双臂管内外间隙支撑支架
JP2019010675A (ja) * 2017-07-03 2019-01-24 ダイソウ工業株式会社 板部材の接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234B1 (ko) * 2015-03-18 2017-02-06 강종민 플렉시블 서포트
KR102198220B1 (ko) * 2019-05-08 2021-01-04 (유)성문 가스이송관의 내관 지지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39Y1 (ko) * 2013-01-23 2013-07-12 양성연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JP2019010675A (ja) * 2017-07-03 2019-01-24 ダイソウ工業株式会社 板部材の接合方法
CN107725904A (zh) * 2017-10-19 2018-02-23 大连海洋大学 双臂管内外间隙支撑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263A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6064A2 (en) Corner panel for liquefied natural gas cargo tank
KR101516552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20150041937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2644893B1 (ko) 이중배관용 서포트
JP4533360B2 (ja) 座屈拘束ブレース、座屈拘束ブレースを用いた耐力フレーム、及び座屈拘束ブレースの製造方法
KR10167721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조립형 채널
JP4533359B2 (ja) 座屈拘束ブレース、及び座屈拘束ブレースを用いた耐力フレーム
JP5719063B1 (ja) Uボルトユニット
JP2018145676A (ja) 座屈拘束ブレース
KR102604436B1 (ko) 이중배관용 서포트
KR102604447B1 (ko) 이중배관용 서포트
JP7093068B2 (ja) アーチ状構造物
KR101540328B1 (ko) 1차방벽용 보강부재
KR102648280B1 (ko) 이중 배관의 내관 지지부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배관
WO2014125634A1 (ja) 接続配管および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
JP2022178889A (ja) 結合部材
KR101571426B1 (ko) 1차방벽용 보강유닛
CN114645990A (zh) 双壁管内滑动支撑结构
KR10250570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지지 구조체
JP6090176B2 (ja) 燃料タンク
KR20090012511U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체결구
JP2014077336A (ja) 座屈拘束ブレース
JP6174377B2 (ja) セグメントの連結構造
JP6188374B2 (ja) 鋼管矢板
JP5196644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用貫通孔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