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831B1 -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831B1
KR102646831B1 KR1020220071653A KR20220071653A KR102646831B1 KR 102646831 B1 KR102646831 B1 KR 102646831B1 KR 1020220071653 A KR1020220071653 A KR 1020220071653A KR 20220071653 A KR20220071653 A KR 20220071653A KR 102646831 B1 KR102646831 B1 KR 10264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piece
rubber cushion
composite materia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1281A (ko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주)엘케이지엘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케이지엘에스피 filed Critical (주)엘케이지엘에스피
Priority to KR102022007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831B1/ko
Publication of KR2023017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6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F16C27/066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8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outside the gap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aces, e.g. sealing rings mounted to an end face or outer surface of a r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1Metal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6Drive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스틸브라켓을 대체한 복합소재브라켓을 통해 구동축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 베어링의 윤활부분에 먼지 및 분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베어링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동력을 차량 뒤쪽의 차동기어로 전달하는 구동축(30)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외륜(110)과 내륜(120) 사이에 구름볼(130)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30)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부재(100);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서 억지끼움되고,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 도포되는 윤활제(15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윤활커버편(230)이 형성되되 상기 윤활커버편(230)의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축(30)의 관통을 위한 샤프트관통공(231)이 형성된 한 쌍의 베어링씰부재(200);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원호홀(310)이 일정배열로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러버쿠션(300); 상기 러버쿠션(300)의 상측 평탄면(320)이 노출되도록 상기 러버쿠션(3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양측 상단에 볼트마운팅공(431)을 갖는 연장편(430)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복합소재브라켓(400); 상기 러버쿠션(300)의 평탄면(320)과 상기 연장편(430)의 상측면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볼트마운팅공(431)과 연통되는 연통공(621)이 형성된 리테이너부재(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LIGHTWEIGHT SUPPORT DEVICE FOR DRIVE SHAFT USING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스틸브라켓을 대체한 복합소재브라켓을 통해 구동축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 베어링의 윤활부분에 먼지 및 분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베어링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륜 차량에는 변속기의 토크를 종감속 기어장치로 전달하는 구동축이 차량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구동축의 일단은 변속기와 연결되며, 구동축의 타단은 종감속 기어장치와 연결된다. 구동축은 변속기를 거치면서 적절히 변화된 엔진의 동력을 구동바퀴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변속기는 엔진과 함께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고, 구동 바퀴축은 샤시 스프링을 통하여 차체에 장착되어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변속의 출력단과 구동바퀴 측의 입력단 사이에는 높이차가 존재하게 되고, 또한 이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축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변속기 출력단과 구동바퀴 측 입력단에 장착되어 높이 차를 극복하고, 축을 분할하여 스플라인 결합시킴으로써 길이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은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질 경우, 중간부분에 지지장치를 설치하고, 브라켓을 통해 지지장치의 일측을 차체에 고정함으로써, 굽힘 방향으로의 진동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진동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도 방지하고 있다.
즉, 종래의 지지장치는 구동축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감싸서 구동추의 축방향 변위 및 진동을 흡수하는 베어링커버와, 상기 베어링커버를 감싸서 베어링커버의 형상을 유치하는 스틸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틸브라켓은 차체의 크로스멤버에 볼트결합체를 매개로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지지장치는 상기 베어링커버를 감싸는 상기 스틸브라켓이 스틸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기간 구동축의 축방향 변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과정에서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스틸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체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06193호의 프로펠러 샤프트의 센터베어링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의 스틸브라켓을 대체한 복합소재브라켓을 통해 구동축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여 연비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 베어링씰부재에 형성되는 윤활커버편을 통해 베어링의 양측면에 도포되는 윤활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윤활부분으로의 먼지 및 분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동력을 차량 뒤쪽의 차동기어로 전달하는 구동축(30)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외륜(110)과 내륜(120) 사이에 구름볼(130)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30)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부재(100);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서 억지끼움되고,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 도포되는 윤활제(15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윤활커버편(230)이 형성되되 상기 윤활커버편(230)의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축(30)의 관통을 위한 샤프트관통공(231)이 형성된 한 쌍의 베어링씰부재(200);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원호홀(310)이 일정배열로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러버쿠션(300); 상기 러버쿠션(300)의 상측 평탄면(320)이 노출되도록 상기 러버쿠션(3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양측 상단에 볼트마운팅공(431)을 갖는 연장편(430)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복합소재브라켓(400); 상기 러버쿠션(300)의 평탄면(320)과 상기 연장편(430)의 상측면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볼트마운팅공(431)과 연통되는 연통공(621)이 형성된 리테이너부재(600);로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는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륜(11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끼움장착편(210)과, 상기 끼움장착편(210)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축(3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편(220)과, 상기 돌출편(220)의 단부에서 상기 구동축(30)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 도포되는 윤활제(15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윤활커버편(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름볼(130)이 노출되는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끼움장착편(210)의 면부에는 호 형상을 갖는 상태로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륜(110)에 가압밀착되는 다수개의 가압돌출구(211)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를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억지끼움결합하게되면 상기 가압돌출구(211)가 상기 외륜(110)에 가압밀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돌출구(211)의 상호 이격으로 인해 형성된 보관홈(212)에는 윤활제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의 볼트마운팅공(431)에는, 중앙부에 볼트공(510)이 형성된 금속재의 사출인서트(500)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리테이너부재(600)는 상기 러버쿠션(300)의 평탄면에 안착되는 마운팅안착편(610)과, 상기 연통공(62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마운팅안착편(6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의 양측 상단에 안착되는 연장안착편(6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안착편(61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러버쿠션(300)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러버쿠션(300)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픽싱절곡편(611)이 형성되며, 상기 픽싱절곡편(611)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그립(61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스틸브라켓을 대체한 복합소재브라켓에 의해 구동축 지지장치의 전체적인 중량감소 및 강성이 보강되어 내구성 증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베어링씰부재에 윤활커버편을 마련하여 베어링부재의 양측면에 도포되는 윤활제로 먼지 및 분진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베어링부재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부재와 베어링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씰부재가 베어링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씰부재의 내측에 윤활제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부재의 픽싱절곡편에 돌출그립이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부재와 베어링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씰부재가 베어링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씰부재의 내측에 윤활제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부재의 픽싱절곡편에 돌출그립이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는 차량의 엔진 동력을 차량 뒤쪽의 차동기어로 전달하는 구동축(30)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30)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부재(100)와,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서 억지끼움되는 한 쌍의 베어링씰부재(200)와,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러버쿠션(300)과, 상기 러버쿠션(300)의 상측 평탄면(320)이 노출되도록 감싸는 복합소재브라켓(400)과,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의 상측에 설치되는 리테이너부재(6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는 차체의 크로스멤버(10)에 장착되는 마운팅브라켓(2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진동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의 스틸브라켓을 대체한 복합소재브라켓을 통한 전체적인 중량 감소와 내구성의 증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부재(100)는 외륜(110)과 내륜(120) 사이에 구름볼(130)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30)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내륜(120)이 상기 구동축(30)을 감싸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구동축(30)의 회전시 상기 내륜(120)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외륜(110)은 후술되는 상기 베어링씰부재(20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는 상기 구름볼(130)에 의한 상기 내륜(120)의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그리스(Grease)와 같은 반고체 상의 윤활제(150)가 도포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는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서 억지끼움되고,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 도포되는 상기 윤활제(15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윤활커버편(230)이 형성되되 상기 윤활커버편(230)의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축(30)의 관통을 위한 샤프트관통공(23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 억지끼움되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씰부재(200)에 상기 윤활커버편(23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베어링부재(100)로 먼지 및 분진등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축의 지지장치에서 주요고장원인이 되는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는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륜(11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끼움장착편(210)과, 상기 끼움장착편(210)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축(3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편(220)과, 상기 돌출편(220)의 단부에서 상기 구동축(30)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 도포되는 윤활제(15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상기 윤활커버편(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는 상기 끼움장착편(210)이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륜(110)에 억지끼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일측면과 상기 윤활커버편(230)사이에 반고체 상의 윤활제가 채워지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윤활커버편(230)으로 인해 상기 베어링부재(100)에 도포되는 상기 윤활제(150)의 외부노출이 방지되어 상기 윤활제(150)에 먼지 및 분진등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어링씰부재(200)의 내측면에는, 호 형상을 갖는 상태로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륜(110)에 가압밀착되는 다수개의 가압돌출구(211)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출구(211)의 상호 이격으로 인해 형성된 보관홈(212)에는 윤활제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가압돌출구(211)은 상기 구름볼(130)이 노출되는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끼움장착편(210)의 면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를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억지끼움결합하게되면 상기 가압돌출구(211)가 상기 외륜(110)에 가압밀착됨에 따라 상기 구동축(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륜(120)이 함께 회전하더라도 상기 외륜(110)이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관홈(212)은 상기 가압돌출구(211)의 이격으로 인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부재(100)와 상기 베어링씰부재(200) 사이에 충분한 윤활제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러버쿠션(300)은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원호홀(310)이 일정배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러버쿠션(300)의 상측에는 평탄면(320)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의 완충공(33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은 상기 러버쿠션(300)의 상측 평탄면(320)이 노출되도록 상기 러버쿠션(3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양측 상단에 볼트마운팅공(431)을 갖는 연장편(430)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은 열가소성 장섬유 강화 복합소재(LFT: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를 적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기존의 스틸형 브라켓에 비해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연비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기존의 스틸형 브라켓에 비해 응력과 변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내구성증진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은 상기 러버쿠션(300)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밀착편(410)과, 상기 밀착편(4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수직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플랜지(420)와, 상기 밀착편(410)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게 형성되되 상기 볼트마운팅공(43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장플랜지(420)와 연결되는 상기 연장편(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에는 하측방향으로 관통되는 중량감소공(411)이 형성되고, 상기 중량감소공(411)에는 상기 러버쿠션(3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밀착끼움편(412)이 상호 마주한 상태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중량감소공(411)은 상기 밀착편(410)의 하측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밀착끼움편(412)은 상기 중량감소공(411)을 중심으로 상기 밀착편(410)의 하측 내주면에서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러버쿠션(300)을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에 설치시, 상기 러버쿠션(300)의 하측이 상기 한 쌍의 밀착끼움편(412)사이로 억지끼움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을 구동축 지지장치에 적용시 기존의 스틸형 브라켓에 비해 응력 및 변위, 중량의 감소를 이룰 수 있어 차량의 연비절감과 내구성 증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의 볼트마운팅공(431)에는, 중앙부에 볼트공(510)이 형성된 금속재의 사출인서트(500)가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차체의 크로스멤버(10)에 장착되는 마운팅브라켓(20)에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 지지장치를 볼트유닛(40)에 의해 고정되게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볼트유닛(40)의 볼트구에 의한 상기 연장편(430)의 손상이나 차량의 장기간 주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다양한 요소에 의해 상기 연장편(4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축 지지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부재(600)는 상기 러버쿠션(300)의 평탄면(320)과 상기 연장편(430)의 상측면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볼트마운팅공(431)과 연통되는 연통공(62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리테이너부재(600)는 상기 러버쿠션(300)의 평탄면에 안착되는 마운팅안착편(610)과, 상기 연통공(62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마운팅안착편(6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의 양측 상단에 안착되는 연장안착편(6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마운팅안착편(61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러버쿠션(300)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러버쿠션(300)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픽싱절곡편(611)이 형성되고, 상기 픽싱절곡편(611)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그립(61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마운팅안착편(610)을 상기 러버쿠션(300)의 평탄면(320)에 밀착되게 하면서 상기 픽싱절곡편(611) 사이에 상기 러버쿠션(300)의 상측이 끼워지도록 하게 되면 상기 돌출그립(612)이 상기 러버쿠션(300)에 가압밀착됨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부재(600)의 정착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싱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베어링부재 110: 외륜
120: 내륜 130: 구름볼
150: 윤활제 200: 베어링씰부재
210: 끼움장착편 211: 가압돌출구
212: 보관홈 220: 돌출편
230: 윤활커버편 231: 샤프트관통공
300: 러버쿠션 310: 원호홀
320: 평탄면 330: 완충공
400: 복합소재브라켓 410: 밀착편
411: 중량감소공 412: 밀착끼움편
420: 연장플랜지 430: 연장편
431: 볼트마운팅공 500: 사출인서트
510: 볼트공 600 리테이너부재
610: 마운팅안착편 611: 픽싱절곡편
612: 돌출그립 620: 연장안착편
621: 연통공

Claims (3)

  1. 차량의 엔진 동력을 차량 뒤쪽의 차동기어로 전달하는 구동축(30)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외륜(110)과 내륜(120) 사이에 구름볼(130)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30)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부재(100);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서 억지끼움되고,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 도포되는 윤활제(15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윤활커버편(230)이 형성되되 상기 윤활커버편(230)의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축(30)의 관통을 위한 샤프트관통공(231)이 형성된 한 쌍의 베어링씰부재(200);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전후면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원호홀(310)이 일정배열로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러버쿠션(300); 상기 러버쿠션(300)의 상측 평탄면(320)이 노출되도록 상기 러버쿠션(3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양측 상단에 볼트마운팅공(431)을 갖는 연장편(430)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복합소재브라켓(400); 상기 러버쿠션(300)의 평탄면(320)과 상기 연장편(430)의 상측면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볼트마운팅공(431)과 연통되는 연통공(621)이 형성된 리테이너부재(600);로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는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륜(11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끼움장착편(210)과, 상기 끼움장착편(210)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축(3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편(220)과, 상기 돌출편(220)의 단부에서 상기 구동축(30)의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측면에 도포되는 윤활제(15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윤활커버편(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름볼(130)이 노출되는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끼움장착편(210)의 면부에는 호 형상을 갖는 상태로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외륜(110)에 가압밀착되는 다수개의 가압돌출구(211)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씰부재(200)를 상기 베어링부재(100)의 양 측면에서 억지끼움결합하게되면 상기 가압돌출구(211)가 상기 외륜(110)에 가압밀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돌출구(211)의 상호 이격으로 인해 형성된 보관홈(212)에는 윤활제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의 볼트마운팅공(431)에는, 중앙부에 볼트공(510)이 형성된 금속재의 사출인서트(500)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리테이너부재(600)는 상기 러버쿠션(300)의 평탄면에 안착되는 마운팅안착편(610)과, 상기 연통공(62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마운팅안착편(6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복합소재브라켓(400)의 양측 상단에 안착되는 연장안착편(6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안착편(61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러버쿠션(300)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러버쿠션(300)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픽싱절곡편(611)이 형성되며, 상기 픽싱절곡편(611)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그립(61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71653A 2022-06-13 2022-06-13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 KR10264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653A KR102646831B1 (ko) 2022-06-13 2022-06-13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653A KR102646831B1 (ko) 2022-06-13 2022-06-13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281A KR20230171281A (ko) 2023-12-20
KR102646831B1 true KR102646831B1 (ko) 2024-03-12

Family

ID=8937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653A KR102646831B1 (ko) 2022-06-13 2022-06-13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8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2418A (en) 1993-08-10 1996-02-20 Gkn Automotive Ag Intermediate bearing for multi-component drivelines in motor vehicles
JP2000177417A (ja) * 1998-12-15 2000-06-27 Nok Megulastik Co Ltd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JP2009257370A (ja) * 2008-04-14 2009-11-05 Daido Metal Co Ltd 内燃機関用すべり軸受
KR102333371B1 (ko) 2020-02-19 2021-12-03 (주)엘케이지엘에스피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8309A (ko) * 2011-01-31 2012-08-08 효림산업 주식회사 러버의 회동이 가능한 센터 베어링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2418A (en) 1993-08-10 1996-02-20 Gkn Automotive Ag Intermediate bearing for multi-component drivelines in motor vehicles
JP2000177417A (ja) * 1998-12-15 2000-06-27 Nok Megulastik Co Ltd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JP2009257370A (ja) * 2008-04-14 2009-11-05 Daido Metal Co Ltd 内燃機関用すべり軸受
KR102333371B1 (ko) 2020-02-19 2021-12-03 (주)엘케이지엘에스피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281A (ko)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2377B2 (ja) トルクロッド軸受組立体の改良
EP0186315B1 (en) Bush assemblage
JP3602788B2 (ja) 中間ベアリング
KR20130059210A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부시 및 그 조립방법
US20080277999A1 (en) Axle assembly of wheel
JP2001524048A (ja) 非駆動スティアリング可能な車輪用サスペンション
AU2011230694B2 (en) Travelling vehicle for uneven terrain
KR102646831B1 (ko) 복합소재가 적용된 구동축용 경량 지지장치
JPH0159928B2 (ko)
US5085520A (en) Nose cone bearing arrangement
CN113700759A (zh) 轮毂内置型等速设备
EP2634077A1 (en) Electric power unit for vehicle
US20060192423A1 (en) Axle assembly of driving wheel
US10723213B2 (en) Roll restrictor system for an automotive powertrain
JPS5811322B2 (ja) プラスチック製車輛用ホイル
KR102583253B1 (ko) 프로펠러 샤프트의 센터베어링 지지장치
CN109469683B (zh) 具有锯齿的轴承座圈
JP3128103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
KR20200122775A (ko) 변형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드라이브 액슬
US20180222266A1 (en) Control arm for wheel suspension
JP3055595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
JP2015123952A (ja) トラニオンブラケット
CN220129907U (zh) 柔性扭力梁悬架结构及新能源汽车
JP6962809B2 (ja) 車両用推進軸
WO2023189864A1 (ja) ドディオン式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