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245B1 - 자성 버클 - Google Patents

자성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245B1
KR102644245B1 KR1020220045677A KR20220045677A KR102644245B1 KR 102644245 B1 KR102644245 B1 KR 102644245B1 KR 1020220045677 A KR1020220045677 A KR 1020220045677A KR 20220045677 A KR20220045677 A KR 20220045677A KR 102644245 B1 KR102644245 B1 KR 10264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ember
magnetic
buckle
locking bolt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984A (ko
Inventor
치우종 리
Original Assignee
리엔양 플라스틱(선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엔양 플라스틱(선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엔양 플라스틱(선전)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Landscapes

  • Buckle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자성 버클은 암버클 및 수버클을 포함한다. 암버클에는 제1 자성 부재가 설치된다. 수버클에는 제2 자성 부재가 설치된다. 제2 자성 부재와 제1 자성 부재는 서로 흡인한다. 암버클에는 상기 수버클을 클램핑하여 수버클과 암버클이 함께 잠금 연결할 수 있는 클램핑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 부재 상에는 제3 자성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는 상기 제2 자성 부재 및/또는 제1 자성 부재와 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하여 상기 수버클과 상기 암버클이 플러그인될 때 상기 클램핑 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수버클을 클램핑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성 버클{MAGNETIC BUCKLE}
본 발명은 안전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성 버클에 관한 것이다.
안전 버클은 통상적으로 암버클과 수버클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수버클에는 잠금 볼트가 설치되며, 암버클에는 잠금홀이 설치된다. 잠금 볼트가 잠금홀로 내에 삽입되면 수버클과 암버클을 함께 잠기도록 연결할 수 있다. 조작을 통해 잠금을 해제하면 수버클과 암버클을 서로 분리시킬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암버클 상의 잠금홀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고정홀과 하나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클램핑부로 구성된다. 클램핑부가 고정홀 내에서 신장되면, 클램핑 작용을 일으켜 잠금 볼트를 잠금홀 내에 잠글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버클과 암버클을 잠기도록 연결할 수 있다. 클램핑부가 고정홀에서 퇴출되면, 잠금 볼트는 고정홀에서 자유롭게 출입하여 잠금홀로부터 퇴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버클과 암버클를 분리시킬 수 있다.
수버클과 암버클이 플러그인되면, 잠금 볼트는 통상적으로 클램핑부를 압출할 수 있다. 잠금 볼트의 압출을 통해 클램핑부를 이동시켜야 잠금 볼트를 계속해서 전진시킬 수 있다. 잠금 볼트가 잠금 홀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클램핑부가 자동으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야 잠금 볼트에 클램핑시켜 수버클과 암버클의 잠금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볼트가 잠금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클램핑부가 수동적으로 이동된 후 자동으로 원래의 위치를 회복하여 잠금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안전 버클에서는 암버클에 모두 탄성 부재를 설치해야 한다.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클램핑부의 이동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며 클램핑부가 잠금 볼트에 의해 밀릴 수 있도록 만들고, 탄성부의 탄성력을 이용해 클램핑부의 자동 잠금을 구현한다.
종래의 안전 버클에서는 그 내부 구조를 불문하고 예외 없이 모두 탄성 부재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암버클에 탄성 부재를 설치하여 클램핑부의 이동과 자동 잠금을 구현하려면 암버클에 비교적 큰 장착 공간이 있어야 탄성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안전 버클은 일정한 부피 크기를 가지므로 더 이상 소형화할 수 없다. 일부 사용 장소에서는 더 소형화된 안전 버클이 요구 사항을 더 잘 충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헬멧 상에 사용되는 안전 버클, 신발 버클 상에 사용되는 안전 버클 등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안전 버클의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소형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안전 버클은 그 활용 범위가 더욱 광범위하므로 연구할 가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성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자성 부재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클램핑부의 이동 및 잠금을 구현함으로써 장착 공간을 절약하고 소형화를 용이하게 하는 자성 버클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성 버클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암버클과 수버클이 포함된다. 상기 암버클에는 제1 자성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수버클에는 제2 자성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자성 부재와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수버클과 암버클의 폐쇄 방향 상에서 서로 흡인하며, 상기 수버클과 상기 암버클은 폐쇄 방향을 따라 플러그인되어 함께 잠금 연결된다. 상기 암버클에는 상기 수버클을 클램핑시켜 수버클과 암버클을 함께 잠금 연결할 수 있는 클램핑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 부재 상에는 제3 자성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는 상기 제2 자성 부재 및/또는 제1 자성 부재와 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하여 상기 수버클과 상기 암버클이 플러그인될 때 상기 클램핑 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수버클을 클램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버클에는 돌출형의 잠금 볼트가 설치된다. 상기 암버클에는 상기 잠금 볼트를 자유롭게 출입시킬 수 있는 고정홀이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 부재에는 상기 고정홀 범위 내에서 신장되어 상기 잠금 볼트를 클램핑시킬 수 있는 클램핑부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3 자성 부재와 상기 제2 자성 부재 및/또는 제1 자성 부재 사이가 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하며 상기 클램핑부를 작동시켜 상기 고정홀 범위 내에서 신장되도록 만들어 상기 잠금 볼트를 클램핑시킨다.
또한 상기 제3 자성 부재는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서로 흡인하거나 서로 배척하여 상기 수버클과 암버클이 서로 분리될 때 상기 클램핑 부재를 작동시켜 리셋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자성 부재는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서로 흡인하거나 서로 배척하여 상기 수버클과 암버클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부가 상기 고정홀의 범위 내에서 신장되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부재는 강성 구조이고, 상기 제3 자성 부재는 상기 클램핑 부재의 위치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3 자성 부재와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고정홀의 동일측에 분포한다.
또한 상기 제3 자성 부재와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고정홀의 대향하는 양측에 분포한다.
또한 상기 제3 자성 부재와 상기 제1 자성 부재는 서로 배척한다.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고정홀에 진입하면, 상기 제2 자성 부재가 상기 제3 자성 부재를 흡인하여 상기 클램핑부가 잠금 볼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볼트를 클램핑하도록 만든다.
또한 상기 제3 자성 부재와 상기 제1 자성 부재가 서로 흡인하고 상기 수버클과 암버클)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부가 상기 고정홀의 범위 내에서 신장되도록 만든다.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고정홀에 진입하면, 상기 제2 자성 부재가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서로 흡인하고 상기 제3 자성 부재와 서로 배척하는 작용력이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클램핑부를 밀어 폐쇄 방향을 따라 행진하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 잠금 볼트가 폐쇄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까지 행진하면,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상기 제3 자성 부재가 서로 흡인하여 상기 클램핑부가 잠금 볼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볼트를 클램핑하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자성 부재와 상기 제1 자성 부재가 서로 흡인하고 상기 수버클과 암버클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부가 상기 고정홀의 범위 밖에 위치하도록 만든다.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고정홀에 진입하면, 상기 제2 자성 부재가 상기 제3 자성 부재를 배척하여 상기 클램핑부가 잠금 볼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볼트를 클램핑하도록 만든다.
또한 상기 제3 자성 부재와 상기 제1 자성 부재가 서로 배척하고 상기 수버클과 암버클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부가 상기 고정홀의 범위 내에서 신장되도록 만든다.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고정홀에 진입하면, 상기 제2 자성 부재가 상기 제1 자성 부재, 제3 자성 부재와 서로 흡인하는 작용력이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클램핑부를 밀어 폐쇄 방향을 따라 행진하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 잠금 볼트가 폐쇄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까지 행진하면,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상기 제3 자성 부재가 서로 배척하여 상기 클램핑부가 잠금 볼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볼트를 클램핑하도록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상술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성 버클은 종래 기술의 탄성 부재 대신 제3 자성 부재를 설치한다. 제3 자성 부재와 수버클, 암버클의 기존 자성 부재 상호 작용을 이용해 클램핑 부재를 작동시킨다. 이를 통해 클램핑 부재가 잠기고 수버클을 클램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3 자성 부재를 통해 탄성 부재를 대체함으로써 클램핑 부재의 구조를 크게 단순화시키고 클램핑 부재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조를 소형화하여 활용 범위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자성 버클은 구조가 새롭고 기능이 실용적인 특징이 있으며 실용성이 매우 강하여 대중화가 용이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수버클과 암버클이 분리될 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수버클과 암버클이 잠길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원리도이다. 여기에서 도 4a는 잠금 볼트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의 개략도이며, 도 4b는 클램핑부가 잠금 볼트를 클램핑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예 3의 원리도이다. 여기에서 도 5A는 잠금 볼트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의 개략도이며, 도 5B는 잠금 볼트 삽입 과정의 개략도이고, 도 5C는 클램핑부가 잠금 볼트를 클램핑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 4의 구조도이다.
도 7은 실시예 4의 수버클과 암버클이 분리될 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의 수버클과 암버클이 잠길 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4의 원리도이다. 여기에서 도 9a는 잠금 볼트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의 개략도이며, 도 9b는 클램핑부가 잠금 볼트를 클램핑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5의 원리도이다. 여기에서 도 10a는 잠금 볼트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의 개략도이며, 도 10b는 잠금 볼트 삽입 과정의 개략도이고, 도 10c는 클램핑부가 잠금 볼트를 클램핑한 개략도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 및 보충이며,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성 버클은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포함한다. 암버클(10) 내에는 종래의 탄성 부재가 설치되지 않고 제3 자성 부재(13)가 설치된다. 제3 자성 부재(13)와 수버클(20), 암버클(10) 내의 자성 부재의 상호 작용을 통해 클램핑부(141)의 이동과 잠금을 구현한다. 따라서 구조가 단순화되고 장착 공간이 축소되어 구조적 소형화에 도움이 된다.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버클(20)과 암버클(10)은 함께 잠금 연결될 수 있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수버클(20) 상에는 잠금 볼트(21)가 설치된다. 암버클(10) 상에는 상응하는 잠금홀(12)이 설치된다. 잠금 볼트(21)는 폐쇄 방향(X)을 따라 잠금홀(12) 내에 삽입되어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함께 잠금 연결시킬 수 있다. 잠금 해제 조작 시,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 내에서 퇴출되어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버클(10) 내에는 제1 자성 부재(11)가 설치된다. 상기 수버클(20) 내에는 제2 자성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2 자성 부재(22)는 상기 수버클(20)과 암버클(10)의 폐쇄 방향 상에서 서로 흡인한다. 수버클(20)과 암버클(10)이 일정 거리로 가까워지면,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2 자성 부재(22)가 서로 흡인하여 잠금 볼트(21)를 신속하게 잠금홀(12)로 삽입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성 부재(11)의 위치는 잠금홀(12)의 위치와 서로 대응한다. 상기 제2 자성 부재(22)의 위치는 상기 잠금 볼트(21)의 위치와 서로 대응한다. 통상적인 상황에서 제2 자성 부재(22)는 잠금 볼트(21)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이 둘의 형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는 원형 자석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시키기 위해, 상기 암버클(10) 내에 클램핑 부재(14)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 부재(14)는 상기 암버클(1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암버클(10)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부재(14)에는 클램핑부(141)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부(141)는 잠금홀(12)의 일부분이다. 상기 암버클(10) 상에는 고정홀(151)이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부(141)와 상기 고정홀(151)은 공동으로 잠금홀(12)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홀(151)의 크기는 상기 잠금 볼트(21)의 자유 출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상기 잠금홀(12)은 클램핑부(141)의 위치 변화를 통해 잠금 볼트(21)의 잠금 또는 해제를 구현한다. 도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141)가 상기 고정홀(151)의 범위 내에서 신장되면, 이는 상기 잠금 볼트(21)를 잠그는 능력을 갖는다. 이때 클램핑부(141)는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하여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함께 잠금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141)가 상기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 운동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고정홀(151) 범위에서 완전히 퇴출된 경우,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141)는 상기 잠금 볼트(21)를 잠그는 능력을 상실한다. 이때 수버클(20)과 암버클(1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클램핑부(141)를 작동시키지 않기 위해, 상기 클램핑 부재(14) 상에는 제3 자성 부재(13)가 설치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클램핑 부재(14)의 위치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제2 자성 부재(22) 및/또는 제1 자성 부재(11)와 자기력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수버클(20)과 상기 암버클(10)이 플러그인될 때 상기 클램핑 부재(14)를 작동시켜 상기 수버클(20)을 클램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고정홀(151)에 삽입되면,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2 자성 부재(22) 및/또는 제1 자성 부재(11) 사이가 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하여 상기 클램핑부(141)를 작동시켜 상기 고정홀(151) 범위 내에서 신장되도록 만들어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부재(14)는 강성 구조이며, 여기에는 클램핑부(141)에 기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클램핑부(141)가 잠금 상태로 이동하는 것은, 제3 자성 부재(13)와 제2 자성 부재(22) 및/또는 제1 자성 부재(11) 사이의 자기력 작용에 의해서만 구현된다. 따라서 이는 클램핑 부재(14)의 구조를 크게 단순화시키고 암버클(10)의 부피 크기를 축소시켜 구조적 소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디폴트 상태일 때, 즉 수버클(20)과 암버클(10)이 분리된 상태에 있고 외력 작용을 받지 않을 때, 상기 클램핑부(141)의 위치는 고정홀(151)의 범위에서 신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홀(151)의 범위에서 신장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종래의 탄성 부재가 설치된 안전 버클은 디폴트 상태일 때 클램핑부(141)가 반드시 고정홀(151) 범위에서 신장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반면 자기력 작용을 통해 클램핑 부재(14)를 작동시키면, 상기 클램핑부(141)의 디폴트 위치를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디폴트 상태일 때, 도 5A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141)는 상기 고정홀(151)의 범위에서 신장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는 서로 흡인하거나 서로 배척하여 클램핑 부재(14)를 안정 상태로 유지하고,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의 범위 내에서 신장시킬 수 있다. 잠금 볼트(21)를 잠금홀(12) 내에 진입시켜야 하는 경우,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사이의 자기 인력 또는 자기 척력을 극복하고 상기 클램핑부(141)를 밀어야 하며, 클램핑부(141)를 일시적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를 계속해서 전진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디폴트 상태일 때, 도 4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141)는 상기 고정홀(151)의 범위에서 신장되지 않는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1)는 서로 흡인하거나 서로 배척하여 클램핑 부재(14)를 안정 상태로 유지하고,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의 범위 내에서 신장시키지 않을 수 있다. 잠금 볼트(21)를 잠금홀(12) 내에 진입시켜야 하는 경우, 잠금 볼트(21)는 클램핑부(141)를 밀어 이동시킬 필요 없이 곧바로 잠금홀(12)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잠금 볼트(21) 진입이 더욱 용이하며 수버클(20)과 암버클(10)에서 잠금 볼트(21)의 신속한 연결에 도움이 된다.
상기 잠금 볼트(21)가 고정홀(151)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잠금 볼트(21) 내의 제2 자성 부재(22)는 제3 자성 부재(13)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2 자성 부재(22)는 서로 흡인하거나 서로 배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 제3 자성 부재(13)는 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하여 잠금 볼트(21)를 잠금홀(12)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141)를 상기 잠금 볼트(21)에 잠그어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함께 잠금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2 자성 부재(22) 사이가 상호 흡인되어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에 진입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 사이는 서로 흡인할 수도, 서로 배척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사이가 서로 흡인할 때,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제2 자성 부재(22)와 서로 배척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1) 사이가 서로 배척할 때,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제2 자성 부재(22)와 서로 흡인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인력, 척력 크기는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의 최종적인 작용력은 상기 클램핑 부재(14)의 클램핑부(141)가 상기 수버클(20)의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하도록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인력은 척력보다 클 수 있다. 제3 자성 부재(13)를 흡인함으로써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 범위 내에서 신장시켜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척력은 인력보다 클 수 있다. 제3 자성 부재(13)를 배척함으로써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 범위 내에서 신장시켜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클램핑부(141)는 상기 고정홀(151)의 동일측에 분포할 수 있다(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한 상기 고정홀(151)의 대향하는 양측에 분포할 수도 있다(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클램핑부(141)가 상기 고정홀(151)의 동일측에 분포할 때,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력은 인력이 척력보다 커야 한다. 제1 자성 부재(11) 또는 제2 자성 부재(22)가 제3 자성 부재(13)를 흡인하여 클램핑부(141)가 고정홀(151) 범위 내에서 신장되어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하도록 만든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클램핑부(141)가 상기 고정홀(151)의 대향하는 양측에 분포할 때,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력은 척력이 인력보다 커야 한다. 제1 자성 부재(11) 또는 제2 자성 부재(22)가 제3 자성 부재(13)를 배척하여 클램핑부(141)가 고정홀(151) 범위 내에서 신장되어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하도록 만든다.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 내에 삽입되면,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 제3 자성 부재(13) 사이의 자기력 작용이 폐합 상태를 유지하여, 수버클(20)과 암버클(10)이 함께 잠금 연결되도록 만들 수 있다. 잠금 해제가 필요한 경우, 외력을 통해 클램핑 부재(14)를 암버클(10) 내에서 이동시켜,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클램핑부(141)가 어느 정도 이동하면,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 내에서 자유롭게 탈락되어 잠금 해제가 구현된다.
외력을 통해 클램핑 부재(14)를 이동시키는 방식은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방식을 통해 클램핑 부재(14)를 이동시켜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로 끌어올리는 방식을 통해 클램핑 부재(14)를 이동시켜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밀어 이동시키는 방식을 통해 클램핑 부재(14)를 이동시켜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방식을 통해 클램핑 부재(14)를 이동시켜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 내에서 자유롭게 이탈된 이후 외력 작용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 사이의 자기력은 상기 클램핑 부재(14)가 리셋되도록 작동시켜 클램핑 부재(14)를 평형 위치에 놓이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 평형 위치는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 범위 내에서 신장시킬 수 있으며,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 범위 내에서 신장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사이의 자기력 성질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버클(20)에는 잠금 볼트(21) 및 제2 자성 부재(22)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볼트(21)는 돌출형이며, 그 단부는 원뿔대 형상이고, 여기에는 제1 원추면(211)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원추면(211)은 잠금 볼트(21)가 클램핑부(141)를 밀어 잠금홀(12)에 진입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클램핑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잠금 볼트(21) 상에는 오목홈부(212)가 설치되며, 이는 상기 클램핑부(141)와 매칭되어 잠금 연결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오목홈부(212)는 잠금 볼트(21) 단면에서 약간 먼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오목홈부(212)는 고리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부(141) 형상, 크기와 매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오목홈부(212)에는 경사도와 상기 클램핑부(141)가 서로 매칭되는 제2 원추면(213)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클램핑부(141)를 밀어 상기 잠금홀(12) 내에 압입될 때, 상기 클램핑부(141)는 상기 오목홈부(212) 내에 클램핑되어 상기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함께 잠금 연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자성 부재(22)의 위치와 상기 잠금 볼트(21)의 위치는 서로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부재(22)는 상기 잠금 볼트(21) 내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버클(10)은 하우징(15), 클램핑 부재(14), 제1 자성 부재(11) 및 제3 자성 부재(13)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5)은 상기 클램핑 부재(14), 제1 자성 부재(11)를 설치하는 데 사용된다. 그 형상 구조는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통상적인 경우, 용이한 가공 조립을 위해, 여기에는 통상적으로 맞댐 연결된 제1 하우징(152) 및 제2 하우징(153)이 포함된다. 제1 하우징(152)과 제2 하우징(153)이 맞댐 연결될 때, 그 내부는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클램핑 부재(14)와 제1 자성 부재(11)를 장착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제1 자성 부재(11)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그 내부에 필요에 따라 자석 프레임(154)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버클(20)의 잠금 볼트(21)를 암버클(10)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5) 상에 상기 고정홀(151)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홀(15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원형홀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성 부재(11)는 상기 암버클(10) 내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홀(151)의 위치와 대향해야 한다. 따라서 잠금 볼트(21) 내의 제2 자성 부재(22)와 흡인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부재(14)는 하우징(15)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부재(14)에는 클램핑부(141) 및 상기 제3 자성 부재(13)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위치(142)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141)와 장착 위치(142)는 모두 상기 고정홀(151)의 동일측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141)는 판형이다. 이는 상기 고정홀(151)의 일단을 향해 원호형을 나타낸다. 이는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 내에 클램핑될 수 있다. 잠금 볼트(21)가 클램핑부(141)를 밀어 잠금홀(12) 내에 진입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클램핑부(141)의 원호형의 단부 상에 도입 경사곡면(1411)이 설치된다. 상기 도입 경사곡면(1411)은 잠금 볼트(21)를 가압하여 잠금홀(12) 내에 원활하게 압입시킴으로써 클램핑부(141)가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시키기 용이하도록 만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위치(142)는 오목홈 구조이며 이는 제3 자성 부재(13)를 클램핑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 위치(142)의 형상, 크기는 상기 제3 자성 부재(13)의 형상, 크기와 매칭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위치(142)는 직사각형 홈이며, 이는 직사각형의 자석 블록을 클램핑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을 통해 클램핑 부재(14)를 작동시켜 잠금을 해제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클램핑 부재(14) 상에 상응하는 조작부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로 당겨 상기 클램핑 부재(14)를 작동시켜 잠금을 해제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 부재(14) 상에는 당김홀(143)이 설치되며, 이는 당김고리 또는 당김줄(144)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당김고리 또는 당김줄(144)을 외부로 당기면, 상기 클램핑 부재(14)가 고정홀(151)에서 먼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클램핑 부재(14)를 작동시켜 잠금을 해제하기 용이하도록, 상이한 조작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응하는 조작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클램핑 부재(14)의 장착 위치(142)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클램핑 부재(14) 위치에 대해 고정된다. 클램핑 부재(14)가 하우징(15)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제3 자성 부재(130)와 클램핑 부재(14)는 동기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부재(14)의 이동 경로를 구속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5)의 내벽 상에 상응하는 위치제한부(155)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155)는 돌출된 긴 블록형이며, 이는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클램핑 부재(14)를 그 내에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 부재(14)가 직선을 따라 이동하며 편향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2 자성 부재(22)는 다른 성질이 서로 흡인하는 원형 자석이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직사각형 자석이며, 이는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서로 배척된다.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에 진입하면,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2 자성 부재(22)가 서로 흡인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배척하며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 범위 밖으로 위치시킨다.
폐쇄 방향을 따라 수버클(20)을 암버클(10)과 접근시키면, 제1 자성 부재(11)와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 인력이 수버클(20)의 잠금 볼트(21)를 암버클(10)의 잠금홀(12)에 맞춰 삽입한다. 클램핑부(141)가 고정홀(151) 범위 밖에 있기 때문에, 잠금 볼트(21) 삽입 과정에서 클램핑부(141)를 밀 필요 없이 곧바로 잠금홀(12)에 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수버클(20)을 암버클(10)에 삽입하는 데 유리하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 내에 진입할 때, 제2 자성 부재(22)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흡인되며, 그 사이의 인력은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 사이의 척력을 극복하여 상기 제3 자성 부재(13)가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흡인한다. 따라서 클램핑부(141)를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 내로 클램핑시켜 넣고, 수버클(20)과 암버클(10)에서 잠금 볼트(21)를 함께 연결한다.
잠금 해제가 필요한 경우, 상기 당김줄(144) 또는 당김고리를 당겨,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에서 퇴출시킨다. 따라서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서로 분리시켜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기본 구조는 실시예 1과 같다. 차이점은,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배척하며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 범위 내에서 약간 신장시킨다는 것이다.
폐쇄 방향을 따라 수버클(20)을 암버클(10)과 접근시키면, 제1 자성 부재(11)와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 인력이 수버클(20)의 잠금 볼트(21)를 암버클(10)의 잠금홀(12)에 맞춰 삽입한다. 삽입 과정에서 잠금 볼트(21)는 클램핑부(141)를 밀어 폐쇄 방향을 따라 계속 전진한다.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 내에 진입할 때, 제2 자성 부재(22)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흡인되며, 그 사이의 인력은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 사이의 척력을 극복하여 상기 제3 자성 부재(13)가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흡인한다. 따라서 클램핑부(141)를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 내로 클램핑시켜 넣고, 수버클(20)과 암버클(10)에서 잠금 볼트(21)를 함께 연결한다.
잠금 해제가 필요한 경우, 상기 당김줄(144) 또는 당김고리를 당겨,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에서 퇴출시킨다. 따라서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서로 분리시켜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의 기본 구조는 실시예 1과 같다. 차이점은,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의 자성 설치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1)는 서로 흡인한다.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에 진입하면,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2 자성 부재(22)가 서로 배척한다. 또한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사이의 인력은 제2 자성 부재(22)와 제1 자성 부재(11) 사이의 척력보다 크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흡인하며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 범위 내로 위치시킨다.
폐쇄 방향을 따라 수버클(20)을 암버클(10)과 접근시키면, 제1 자성 부재(11)와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 인력이 수버클(20)의 잠금 볼트(21)를 암버클(10)의 잠금홀(12)에 맞춰 삽입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과정에서 제1 자성 부재(110)와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 인력은 잠금 볼트(21)가 클램핑부(141)를 밀어 폐쇄 방향을 따라 계속 전진하도록 만든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 내에 완전히 진입하고 잠금 위치에 도달할 때,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사이의 자기 인력이 제3 자성 부재(13)와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 척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3 자성 부재(13)가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흡인한다. 따라서 클램핑부(141)를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 내로 클램핑시켜 넣고, 수버클(20)과 암버클(10)에서 잠금 볼트(21)를 함께 연결한다.
잠금 해제가 필요한 경우, 상기 당김줄(144) 또는 당김고리를 당겨,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에서 퇴출시킨다. 따라서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서로 분리시켜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잠금 해제 후, 수버클(20)과 암버클(10)이 분리된 다음,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흡인되어 상기 클램핑 부재(14)를 작동하여 리셋시키고, 클램핑부(141)가 고정홀(151)의 범위 내에 신장되도록 복구시킨다.
실시예 4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버클(20)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암버클(10)은 하우징(15), 클램핑 부재(14), 제1 자성 부재(11) 및 제3 자성 부재(1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5), 제1 자성 부재(11)의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부재(14)는 하우징(15)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 부재(14)에는 클램핑부(141) 및 상기 제3 자성 부재(13)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위치(142)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 부재(14)에는 상기 고정홀(151)과 대응하는 통공이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부(141)와 장착 위치(142)는 상기 통공과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상기 클램핑부(141)와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각각 상기 고정홀(151)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한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141)는 판형이다. 이는 상기 고정홀(151) 또는 통공의 일단을 향해 원호형을 나타낸다. 이는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 내에 클램핑될 수 있다. 잠금 볼트(21)가 클램핑부(141)를 밀어 잠금홀(12) 내에 진입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클램핑부(141)의 원호형의 단부 상에 도입 경사곡면(1411)이 설치된다. 상기 도입 경사곡면(1411)은 잠금 볼트(21)를 가압하여 잠금홀(12) 내에 원활하게 압입시킴으로써 클램핑부(141)가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시키기 용이하도록 만들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위치(142)는 오목홈 구조이며 이는 제3 자성 부재(13)를 클램핑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 위치(142)의 형상, 크기는 상기 제3 자성 부재(13)의 형상, 크기와 매칭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위치(142)는 직사각형 홈이며, 이는 직사각형의 자석 블록을 클램핑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을 통해 클램핑 부재(14)를 작동시켜 잠금을 해제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클램핑 부재(14) 상에 상응하는 조작부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로 당겨 상기 클램핑 부재(14)를 작동시켜 잠금을 해제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 부재(14)의 장착 위치(142)에 가까운 일단에는 당김홀(143)이 설치되며, 이는 당김고리 또는 당김줄(144)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당김고리 또는 당김줄(144)을 외부로 당기면, 상기 클램핑부(141)가 고정홀(151)에서 먼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클램핑 부재(14)를 작동시켜 잠금을 해제하기 용이하도록, 상이한 조작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응하는 조작부를 설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클램핑 부재(14)의 장착 위치(142)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클램핑 부재(14) 위치에 대해 고정된다. 클램핑 부재(14)가 하우징(15)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제3 자성 부재(130)와 클램핑 부재(14)는 동기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2 자성 부재(22)는 다른 성질이 서로 흡인하는 원형 자석이다.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직사각형 자석이며, 이는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서로 흡인된다.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에 진입하면,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2 자성 부재(22)가 서로 배척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흡인하며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 범위 밖으로 위치시킨다.
폐쇄 방향을 따라 수버클(20)을 암버클(10)과 접근시키면, 제1 자성 부재(11)와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 인력이 수버클(20)의 잠금 볼트(21)를 암버클(10)의 잠금홀(12)에 맞춰 삽입한다. 클램핑부(141)가 고정홀(151) 범위 밖에 있기 때문에, 잠금 볼트(21) 삽입 과정에서 클램핑부(141)를 밀 필요 없이 곧바로 삽입홀(12)에 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수버클(20)을 암버클(10)에 삽입하는 데 유리하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 내에 진입할 때, 제2 자성 부재(22)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배척되며, 그 사이의 척력은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 사이의 자기 인력을 극복하여 상기 제3 자성 부재(13)가 잠금 볼트(21)에서 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잠금 볼트(21) 타측에 위치한 클램핑부(141)를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 내로 클램핑시켜 넣고,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함께 잠금 연결한다.
잠금 해제가 필요한 경우, 상기 당김줄(144) 또는 당김고리를 당겨,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에서 퇴출시킨다. 따라서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서로 분리시켜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잠금 해제가 완료되면, 수버클(20)의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 내에서 퇴출된 후,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흡인되어, 클램핑 부재(14)를 그 클램핑부(141)가 고정홀(151)의 범위 내에 연장되는 상태로 유지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의 기본 구조는 실시예 4와 같다. 차이점은,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제2 자성 부재(22)의 자성 설치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1)는 서로 배척한다.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에 진입하면,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2 자성 부재(22)가 서로 흡인한다. 또한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사이의 척력은 제2 자성 부재(22)와 제1 자성 부재(11) 사이의 인력보다 크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배척하며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 범위 내로 위치시킨다.
폐쇄 방향을 따라 수버클(20)을 암버클(10)과 접근시키면, 제1 자성 부재(11)와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 인력이 수버클(20)의 잠금 볼트(21)를 암버클(10)의 잠금홀(12)에 맞춰 삽입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과정에서 제1 자성 부재(110)와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 인력은 잠금 볼트(21)가 클램핑부(141)를 밀어 폐쇄 방향을 따라 계속 전진하도록 만든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볼트(21)가 잠금홀(12) 내에 진입할 때, 제3 자성 부재(13)와 제1 자성 부재(11) 사이의 자기 척력이 제3 자성 부재(13)와 제2 자성 부재(22) 사이의 자기 인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3 자성 부재(13)가 잠금 볼트(21)에서 먼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만든다. 따라서 잠금 볼트(21) 타측에 위치한 클램핑부(141)를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 내로 클램핑시켜 넣고,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잠금 연결한다.
잠금 해제가 필요한 경우, 상기 당김줄(144) 또는 당김고리를 당겨, 클램핑부(141)를 고정홀(151)에서 퇴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오목홈부(212)에서 퇴출시킨다. 따라서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서로 분리시켜 잠금 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잠금 해제 후, 수버클(20)과 암버클(10)이 분리된 다음, 제1 자성 부재(11)와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배척되어 상기 클램핑 부재(14)를 작동하여 리셋시키고, 클램핑부(141)가 고정홀(151)의 범위 내에 신장되도록 복구시킨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상기 각 구성요소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하는 유사하거나 균등한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10: 암버클, 11: 제1 자성 부재, 12: 잠금홀, 13: 제3 자성 부재, 14: 클램핑 부재, 141: 클램핑부, 1411: 도입 경사곡면, 142: 장착 위치, 143: 당김홀, 144: 당김줄, 15: 하우징, 151: 고정홀, 152: 제1 하우징, 153: 제2 하우징, 154: 자석 프레임, 155: 위치제한부, 20: 수버클, 21: 잠금 볼트, 211: 제1 원추면, 212: 오목홈부, 213: 제2 원추면, 22: 제2 자성 부재

Claims (11)

  1. 자성 버클에 있어서,
    제1 자성 부재(11)가 설치된 암버클(10); 및
    제2 자성 부재(22)가 설치된 수버클(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 부재(22)와 제1 자성 부재(11)는 상기 수버클(20)과 암버클(10)의 폐쇄 방향 상에서 서로 흡인하고, 상기 수버클(20)과 상기 암버클(10)은 폐쇄 방향을 따라 플러그인되어 함께 잠금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암버클(10)에는 상기 수버클(20)을 클램핑하여 수버클(20)과 암버클(10)을 함께 잠금 연결할 수 있는 클램핑 부재(14)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부재(14) 상에는 제3 자성 부재(13)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제2 자성 부재(22) 또는 제1 자성 부재(11) 중 하나 이상과 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하여 상기 수버클(20)과 상기 암버클(10)이 플러그인될 때 상기 클램핑 부재(14)를 작동시켜 상기 수버클(20)을 클램핑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버클(20)에는 돌출형의 잠금 볼트(21)가 설치되고,
    상기 암버클(10)에는 상기 잠금 볼트(21)를 자유롭게 출입시킬 수 있는 고정홀(151)이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부재(14)에는 상기 고정홀(151) 범위 내에서 신장되어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시킬 수 있는 클램핑부(141)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고정홀(151)에 삽입되면, i)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2 자성 부재(22) 사이, 또는 ii)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1) 사이, 또는 iii)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2 자성 부재(22) 사이 및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1) 사이가 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하여 상기 클램핑부(141)를 작동시켜 상기 고정홀(151) 범위 내에서 신장되도록 만들어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서로 흡인하거나 서로 배척하여 상기 수버클(20)과 암버클(10)이 서로 분리될 때 상기 클램핑 부재(14)를 작동시켜 리셋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서로 흡인하거나 서로 배척하여 상기 수버클(20)과 암버클(10)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부(141)가 상기 고정홀(151)의 범위 내에서 신장되도록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14)는 강성 구조이고, 상기 제3 자성 부재(13)는 상기 클램핑 부재(14)의 위치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클램핑부(141)는 상기 고정홀(151)의 동일측에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클램핑부(141)는 상기 고정홀(151)의 대향하는 양측에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1)는 서로 배척하고,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고정홀(151)에 진입하면, 상기 제2 자성 부재(22)가 상기 제3 자성 부재(13)를 흡인하여 상기 클램핑부(141)가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1)가 서로 흡인하고 상기 수버클(20)과 암버클(10)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부(141)가 상기 고정홀(151)의 범위 내에서 신장되도록 만들고,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고정홀(151)에 진입하면, 상기 제2 자성 부재(22)가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서로 흡인하고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서로 배척하는 작용력이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클램핑부(141)를 밀어 폐쇄 방향을 따라 행진하도록 만들 수 있고, 상기 잠금 볼트(21)가 폐쇄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까지 행진하면,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상기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흡인하여 상기 클램핑부(141)가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하도록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1)가 서로 흡인하고 상기 수버클(20)과 암버클(10)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부(141)가 상기 고정홀(151)의 범위 밖에 위치하도록 만들고,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고정홀(151)에 진입하면, 상기 제2 자성 부재(22)가 상기 제3 자성 부재(13)를 배척하여 상기 클램핑부(141)가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성 부재(13)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1)가 서로 배척하고 상기 수버클(20)과 암버클(10)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부(141)가 상기 고정홀(151)의 범위 내에서 신장되도록 만들고,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고정홀(151)에 진입하면, 상기 제2 자성 부재(22)가 상기 제1 자성 부재(11), 제3 자성 부재(13)와 서로 흡인하는 작용력이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클램핑부(141)를 밀어 폐쇄 방향을 따라 행진하도록 만들 수 있고, 상기 잠금 볼트(21)가 폐쇄 방향을 따라 폐쇄 위치까지 행진하면, 상기 제1 자성 부재(11)와 상기 제3 자성 부재(13)가 서로 배척하여 상기 클램핑부(141)가 잠금 볼트(2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볼트(21)를 클램핑하도록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KR1020220045677A 2021-04-18 2022-04-13 자성 버클 KR102644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415373.5A CN114027582B (zh) 2021-04-18 2021-04-18 磁性扣具
CN202110415373.5 2021-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984A KR20220143984A (ko) 2022-10-25
KR102644245B1 true KR102644245B1 (ko) 2024-03-05

Family

ID=7736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677A KR102644245B1 (ko) 2021-04-18 2022-04-13 자성 버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666123B2 (ko)
EP (1) EP3942961B1 (ko)
JP (1) JP7251852B2 (ko)
KR (1) KR102644245B1 (ko)
CN (1) CN114027582B (ko)
ES (1) ES2951544T3 (ko)
HR (1) HRP20230768T1 (ko)
HU (1) HUE062643T2 (ko)
PL (1) PL3942961T3 (ko)
TW (1) TWI7938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01673A1 (en) 2017-12-07 2019-06-07 Wonderland Switzerland Ag Magnetic buckling assembly comprising a male buckling component and a female buckling component
DE102019201259A1 (de) * 2019-01-31 2020-08-06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aneinander ansetzbaren Verschlussteilen
KR102209939B1 (ko) * 2019-06-18 2021-02-01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버클
USD1004480S1 (en) * 2020-10-22 2023-11-14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EP4201242A1 (en) * 2020-11-05 2023-06-28 Cardo Systems, Ltd. Magnetic fastening device
WO2023241163A1 (zh) * 2022-06-15 2023-12-21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联动快解扣装置及防弹快解背心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9232A1 (en) 2011-11-23 2014-11-20 Fidlock Gmbh Closur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89448U (en) * 2005-10-24 2006-04-11 Taiwan Ind Fastener Corp Sliding cover buckle
CN2850359Y (zh) * 2005-11-11 2006-12-27 台湾扣具工业股份有限公司 滑盖式扣具
RU2415623C2 (ru) 2006-07-12 2011-04-10 Фидлок Гмбх Магнитно-механическ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RU2527379C2 (ru) * 2009-05-07 2014-08-27 ВЫСОЦКИ ДЕ САНЧЕЗ, Роземари Магнитный замок, магнитный ключ и их комбинация
JP5565631B2 (ja) * 2010-08-20 2014-08-06 株式会社セベル・ピコ 磁石連結具
DE102010044144B3 (de) * 2010-11-18 2012-05-31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US20140277103A1 (en) * 2013-03-15 2014-09-18 Phil Durango Llc Quick-connect buckle for a tourniquet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CN205273582U (zh) * 2015-11-25 2016-06-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搭扣、儿童推车的座兜及儿童推车
KR101811501B1 (ko) * 2015-12-22 2017-12-20 백지숙 배낭의 가슴멜방용 버클
TWI584755B (zh) * 2016-11-16 2017-06-01 倍騰國際股份有限公司 磁扣
KR101936705B1 (ko) * 2017-03-30 2019-01-11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플랩 고정용 버클
DE102017210140A1 (de) * 2017-06-16 2018-12-20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Teile
DE102017212152A1 (de) * 2017-07-14 2019-01-17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DE102018213836A1 (de) * 2018-08-16 2020-02-20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Teile
CN209403730U (zh) * 2018-09-12 2019-09-20 湖北欧图户外用品科技有限公司 搭扣
CN116101358A (zh) * 2019-01-28 2023-05-12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带座位的育儿器具
JP7217662B2 (ja) 2019-01-28 2023-02-03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座席付き育児器具
DE102019201259A1 (de) * 2019-01-31 2020-08-06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aneinander ansetzbaren Verschlussteilen
CN116098351A (zh) 2019-02-01 2023-05-1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扣具
EP3858182B1 (en) * 2019-02-27 2022-11-09 Lian Yang Plastic (Shen Zhen) Co., Ltd. Magnetic buckle
CN109907435B (zh) * 2019-04-17 2024-04-12 晋江市东盛服饰配件有限公司 一种磁吸啪钮扣具及扣具侧向磁吸组件
KR102188857B1 (ko) * 2019-05-14 2020-12-09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견고한 체결유지 기능과 용이한 체결해제 기능을 갖는 버클
CN210203575U (zh) * 2019-05-25 2020-03-31 广州市佰德利实业有限公司 磁力自动开关扣
TWI769774B (zh) * 2021-04-07 2022-07-01 倍騰國際股份有限公司 撥桿式磁扣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9232A1 (en) 2011-11-23 2014-11-20 Fidlock Gmbh Closur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66123B2 (en) 2023-06-06
KR20220143984A (ko) 2022-10-25
EP3942961B1 (en) 2023-06-07
US20220330664A1 (en) 2022-10-20
HUE062643T2 (hu) 2023-11-28
JP7251852B2 (ja) 2023-04-04
ES2951544T3 (es) 2023-10-23
HRP20230768T1 (hr) 2023-10-27
EP3942961C0 (en) 2023-06-07
CN114027582B (zh) 2023-09-15
TWI793888B (zh) 2023-02-21
CN114027582A (zh) 2022-02-11
TW202241305A (zh) 2022-11-01
EP3942961A2 (en) 2022-01-26
PL3942961T3 (pl) 2023-10-02
EP3942961A3 (en) 2022-03-16
JP2022164942A (ja)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4245B1 (ko) 자성 버클
KR102608478B1 (ko) 자기 버클링 어셈블리
KR102559009B1 (ko) 자성 버클
CN109662399B (zh) 磁性搭扣
EP0729202B1 (en) Locking mechanism for connector housing
CN110495685B (zh) 扣具
CN108100311B (zh) 微小卫星分离装置及其释放方法
CN114027593B (zh) 磁吸解锁的扣具装置
TWI605926B (zh) 開閉器裝置及具該開閉器裝置之模具
CN110584273A (zh) 解锁自动分离的扣具
CN212154419U (zh) 龙头锁及具有其的车辆
CN114027594B (zh) 磁性扣具
CN114052340A (zh) 可自动弹开的扣具装置
JP6746828B1 (ja) パーティングロック装置と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金型アセンブリ
CN210203575U (zh) 磁力自动开关扣
CN220631277U (zh) 快拆扣及连接组件
US3858164A (en) Connecting device and manipulating tool
CN114027592B (zh) 拉动解锁的扣具装置
CN218568758U (zh) 安全挂锁装置
CN214724351U (zh) 一种驱动力接口装置
CN215436952U (zh) 安全带扣及安全带总成
CN214798032U (zh) 一种防误插的微形矩形电连接器
CN218061897U (zh) 一种儿童安全长锁
CN116315883A (zh) 一种重载连接器
KR20210009933A (ko) 원터치 타입 철근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