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009B1 - 자성 버클 - Google Patents

자성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009B1
KR102559009B1 KR1020217014968A KR20217014968A KR102559009B1 KR 102559009 B1 KR102559009 B1 KR 102559009B1 KR 1020217014968 A KR1020217014968 A KR 1020217014968A KR 20217014968 A KR20217014968 A KR 20217014968A KR 102559009 B1 KR102559009 B1 KR 10255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gnet
buckle
locking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457A (ko
Inventor
치우중 리
Original Assignee
리엔양 플라스틱(선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147794.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66239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824600.2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495685B/zh
Application filed by 리엔양 플라스틱(선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엔양 플라스틱(선전)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Abstract

자성 버클로서,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 및 버클 잠금 어셈블리(20)를 포함하되,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에는 제1 자석(18) 및 크기 조절이 가능한 잠금 홀(17)이 설치되고,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에는 잠금 홀(17) 내로 삽입 가능한 잠금 볼트(21) 및 제2 자석(22)이 설치되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의 대향하는 양측에는 각각 활동부(141)가 설치되고,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 내에는 활동부(141)에 의해 연동되는 잠금 해제부(142)가 설치되며, 잠금 해제부(142)는 잠금 홀(17)을 향하고;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의 잠금 홀(17)이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의 잠금 볼트(21)에 근접할 경우,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은 서로 흡인하여 잠금 볼트(21)가 잠금 홀(17) 내로 진입하여 잠금을 구현하도록 유도하며; 활동부(141)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잠금 해제부(142)는 잠금 볼트(21)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가 결합된 부위를 향해 이동하여 잠금 볼트(21)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가 결합된 부위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의 인력을 감소시켜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와 버클 잠금 어셈블리(20)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자성 버클
본 발명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이 용이하고 인체 공학에 부합되는 자성 버클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 유아용 카시트, 유아용 슬링 캐리어와 같은 아동용 제품의 일부는 일반적으로 버클을 통해 특정 상태로 연결되거나 유지하는 바, 예를 들어, 유아용 슬링 캐리어는 연결하고 풀어야 하는데, 버클을 통해 이러한 가변 상태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대부분의 버클은 플러그인 타입의 안전 버클로, 이러한 플러그인 타입의 안전 버클은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서로 결합된 수형 버클과 암형 버클을 맞추어 잠금으로써 안전한 연결을 구현한다. 그러나 현실에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아이를 안고, 다른 손으로 안전 버클을 조작해야 하므로, 이러한 플러그인 타입의 안전 버클은 조작하기 불편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자성 버클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자성 버클은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어 잠금을 구현하는 버클로, 일반적으로 버클 시트 및 잠금 버클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각각 자석이 설치되며, 양자가 서로 근접할 경우, 자기력의 흡인 작용 하에 위치를 바로 잡을 수 있고 양자가 빠르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자성 버클은 자기력에 의해 바로 잡히고 흡인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맞출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간편하고 민첩해진다. 이러한 자성 버클은 비록 잠금 중에 바로 잡는 효과를 사용하여 버클 사이의 잠금 위치 고정을 구현할 수 있지만, 자석 사이의 인력 작용으로 인해 잠금 해제 시 자기력에 대항해야 한다.
종래의 자성 버클은 잠금 해제 방식이 다양한 바, 예를 들어, 가압하면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잠금 해제하고, 잠금 해제 시, 먼저 잠금 해제 부재를 눌러 잠금 버클을 해제한 다음, 잠금 버클의 일측을 들어올려 자석의 일단이 분리되도록 하여, 자석 사이의 인력이 약해진 후 전체 잠금 버클을 분리시킨다. 이러한 자성 버클은 잠금 해제 시 힘을 주어 가압하거나 양손으로 해제해야 하거나 탑승자에게 가압력이 가해지고, 또한 위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해제해야 하며, 위로 들어올릴 때 자기력을 극복해야 하므로 비교적 큰 힘으로 들어올려야만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조작이 간편하지 않으며 힘들다.
다른 일반 잠금 해제 방식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자석을 변위시킨 다음 잠금 버클을 분리시키는 것인데, 이러한 자성 버클은, 한면으로 자석 변위 공간이 필요하므로 그 부피가 비교적 크고 미관이 향상될 필요가 있고; 다른 한면으로, 일상 생활에서 가장 익숙한 방법법은 가압하여 해제하는 방식이며, 슬라이딩을 통해 자석을 변위시켜 조작하는 방식은 일반인의 일상적 사용 습관에 부합되지 않고,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자금 해제 방법을 알기가 어려우므로, 특정 상황에 안전 위험이 존재할 수도 있다.
종합해보면, 종래의 자성 버클은 비록 잠금 시 간편하지만 그 해제 방식은 개선해야만 일반인의 일상적 사용 습관에 더욱 부합되고 또한 힘을 아낄 수 있으며 조작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기 간편하고 인체 공학에 부합되는 자성 버클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 및 버클 잠금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에는 제1 자석 및 크기 조절이 가능한 잠금 홀이 설치되고, 상기 버클 잠금 어셈블리에는 상기 잠금 홀 내로 삽입 가능한 잠금 볼트 및 제2 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의 대향하는 양측에는 각각 활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 내에는 활동부에 의해 연동되는 잠금 해제부가 설치되며, 상기 잠금 해제부는 상기 잠금 홀을 향하고;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의 잠금 홀이 상기 버클 잠금 어셈블리의 잠금 볼트에 근접할 경우,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은 서로 흡인하여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잠금 홀 내로 진입하여 잠금을 구현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활동부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제부는 상기 잠금 볼트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가 결합된 부위를 향해 이동하여 잠금 볼트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가 결합된 부위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인력을 감소시켜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와 버클 잠금 어셈블리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 내에는 상기 활동부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잠금 홀이 확장되도록 하는 기능부가 설치되고; 상기 활동부가 잠금 해제를 위해 작동될 경우, 상기 기능부는 상기 잠금 홀이 확장되도록 하고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잠금 홀로부터 이탈되도록 보조한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부는 상기 활동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활동부의 내측벽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잠금 해제부의 자유단에는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경사진 쐐기면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활동부는 제1 활동부 및 제2 활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활동부의 양측에는 제1 연결 암이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암은 상기 제1 활동부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2 활동부의 양측에는 제2 연결 암이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암은 상기 제2 활동부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1 연결 암 및 상기 제2 연결 암은 분리 관계를 이루어 대칭 구조를 가진 연결 암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활동부, 제1 연결 암, 제2 연결 암, 제2 활동부 사이는 엔클로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활동부는 제1 활동부 및 제2 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활동부와 제2 활동부 사이는 연결 암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활동부, 연결 암, 제2 활동부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연결 암 내에는 상기 잠금 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조절부는 엔클로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개방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잠금 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암과 상기 조절부 사이에는 탄성 암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탄성 암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지고, 상기 탄성 암의 일단은 상기 연결 암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조절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에는 수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암에는 압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활동부가 잠금 해제를 위해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압출부의 단부는 상기 수압부에 작용하여 상기 수압부를 압출하여 상기 조절부가 외부로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잠금 홀을 확장시킨다.
또한, 상기 수압부에는 압출면이 설치되고; 상기 수압부는 상기 조절부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압출부는 상기 연결 암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압출부는 상기 탄성 암과 상기 잠금 해제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암, 압출부, 잠금 해제부는 각각 상기 조절부의 외곽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에는 차단부가 설치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연결 암과 제2 연결 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 암과 제2 연결 암을 분리시키고; 상기 제1 활동부 또는 제2 활동부를 별도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 암 또는 제2 연결 암의 단부는 상기 차단부를 압출하여 상기 잠금 홀이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잠금 해제될 수 없도록 하며; 상기 제1 활동부 및 제2 활동부를 동시에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 암 및 제2 연결 암의 양단은 상기 차단부를 동시에 압출하여 상기 잠금 홀이 균일하게 확장되어 잠금 해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에는 상기 활동부 활동 방향을 제한하는 위치 제한부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 해제부에는 상기 활동부 활동 방향을 따라 설치된 위치 제한 홀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 제한 홀과 상기 위치 제한부는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잠금 홀 내에는 상기 잠금 볼트가 잠금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는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에는 고정 스루홀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 홀은 상기 고정 스루홀과 마주하며, 상기 조절 홀과 상기 고정 스루홀은 상기 잠금 홀을 형성하고;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조절 홀의 내경은 상기 고정 스루홀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활동부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조절부는 외부로 확장되어 상기 조절 홀의 내경이 상기 고정 스루홀의 내경보다 커진다.
또한, 상기 잠금 볼트는 버클 잠금 어셈블리에서 돌출된 기둥 형상부 및 기둥 형상부 자유단에 설치된 볼록 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록 에지부와 상기 기둥 형상부 사이에는 클램핑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잠금 홀에 진입할 경우, 상기 볼록 에지부는 상기 조절부를 압출하여 잠금 홀 내로 진입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단턱에 클램핑되어 잠금 볼트가 잠금 홀 내로부터 능동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의 가장자리에는 고정 스루홀 방향을 향해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가이드 경사면이 설치되고, 상기 볼록 에지부의 외벽에는 수축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가이드 경사면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잠금 홀과 마주하고 상기 잠금 홀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잠금 볼트과 마주한다.
또한,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는 자석 고정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 고정 베이스에는 제1 자석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 장착홈의 위치는 상기 잠금 홀과 마주하며, 상기 제1 자석 장착홈의 개구 방향은 상기 잠금 홀과 서로 등지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1 자석 장착홈 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서 조절 홀을 향한 내벽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가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 스루홀의 외곽에 분포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 스루홀을 향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스루홀을 따라 원주로 분포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 스루홀의 원주벽과 같은 높이에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에는 이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일체로 연결된 자석 고정부가 설치되되, 상기 자석 고정부는 상기 고정 스루홀과 마주하고, 상기 고정 스루홀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 고정부에는 제1 자석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1 자석 장착홈 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잠금 볼트의 내부는 중공이고 제2 자석 장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자석 장착홈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기여는 상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성 버클에는 서로를 향해 가압하는 활동부가 설치되고, 이의 양방향 가압 동작은 인체 공학에 부합되며 조작이 간단한다. 이밖에, 양방향으로 활동부가 가압되는 경우, 이의 내부에 설치된 잠금 해제부는 잠금 볼트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가 결합된 부위 사이에 삽입 가능함으로써, 자석 사이의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다음 단계에서 빠르고 쉽게 잠금 볼트를 잠금 홀로부터 분리하여 잠금 해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은 연결 암 및 탄성 암을 설치하여, 조절부가 반경 방향 외부를 따라 확장되고 축방향을 따라 변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잠금 볼트가 비교적 작은 자기력의 흡인 작용 하에 조절부를 쉽게 압출하여 잠금 홀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의 자기력 강도의 요구를 줄일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은 잠금 해제부의 자유단을 경사진 쐐기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치하여, 잠금 볼트와 제1 자석 장착홈의 바닥부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 이를 분리시켜 자기력 흡인 작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먼저 제1 자석을 잠금 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켜 잠금 볼트의 상부 이동을 구동할 수 있어, 잠금 볼트가 조절부를 압착하지 않고 조절부 외부 확장을 추진하여 조절 홀을 확장하여 잠금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개방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에 설치된 기능부는 잠금 홀을 확장시킬 수 있고, 잠금력이 너무 클 때 잠금 홀 부위가 압축되어 제때에 외부 확장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 내부에 설치된 기능부는 잠금 해제 시 잠금 홀의 원활한 외부 확장을 보장할 수 있음으로써, 잠금 볼트가 잠금 홀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어 잠금 해제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밖에, 본 발명은 키 링키지 부재를 2개로 분할하여 2개의 부재로 설치하여, 한쪽의 잠금 해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한쪽만 가압하여 잠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성 버클은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잠금 해제 시 개방력이 비교적 작고 조작이 매우 간편하며, 잠금 해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매우강한 실용성을 구비하여 적극적으로 널리 보급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버클은 유아용 카시트, 유아용 유모차, 백팩, 트렁크 등과 같이 가변 상태로 연결되어야 하는 부위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유아용 슬링 캐리어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횡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횡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 중 A-A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 중 B-B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키 링키지 부재가 통합 구조일 때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 구조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체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조의 횡단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중 A-A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0 중 B-B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키 링키지 부재가 2개로 분할되었을 때 구조 모식도이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추가 해석 및 보충으로, 본 발명에 대한 어떠한 한정도 구성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성 버클의 주요 요점은 양측을 향해 가압하여 잠금 해제하는 것이며, 가압 시 그 내부의 잠금 해제부(142)가 자석을 통해 서로 흡인되는 두 부재 사이에 삽입 가능하여 양자를 분리시킬 수 있어, 자석의 자기력 작용을 약화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밖에, 본 발명의 다른 주요 요점은 자성 버클 내부에 설치된 기능부가 잠금 홀(17)을 확장시킬 수 있음으로써 간편하게 잠금 해제할 수 있어, 걸림 등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개방력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성 버클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 및 버클 잠금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도 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는 베이스(11), 상부 커버(12) 및 키 링키지 부재(1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는 자석 고정 베이스(13)를 더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 및 상부 커버(12)는 맞대기 연결되고, 그 사이에 장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1)와 상부 커버(12)의 형상은 수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와 상부 커버(12) 사이의 맞대기 연결 방식은 공지된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며, 버클, 나사 고정 등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1)와 상부 커버(12) 사이는 나사를 통해 맞대기 연결된다. 양측을 향해 쉽게 가압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1) 및 상부 커버(12)의 대향하는 양측에는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의 활동부(141)가 베이스(11)와 상부 커버(12)의 외부로 확장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압하도록 하기 위한 키 홀(15)이 각각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 연결이 간편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1) 또는 상부 커버(12)에는 제1 웨빙 홀(16)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웨빙 홀(16)은 상기 베이스(11)에 설치된다.
도 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볼트(21)의 잠금이 간편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1)에는 고정 스루홀(111)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크기, 형상은 수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스루홀(111)은 바람직하게 원형 홀이다. 상기 고정 스루홀(111)은 잠금 홀(17)의 일부분이다.
도 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볼트(21)가 운동 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1)의 내측 표면에는 가이드부(112)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베이스(11)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베이스(11)에서 상부 커버(12)를 향한 일측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외곽에 분포되고, 상기 가이드부(112)의 단부는 상기 고정 스루홀(111)을 향하며, 이로써 고정 스루홀(111)의 내측에 배리어를 형성하여 잠금 볼트(21)가 삽입되고 분리될 때 경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잠금 및 잠금 해제에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12)는 볼록한 스트립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 스루홀(111)의 외곽에 원주 간격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12)의 단부는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원주 내벽과 같은 높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의 활동 방향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1)에는 위치 제한부(113)가 설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제한부(113)는 긴 스트립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11)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1)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위치 제한부(113)의 개수는 수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2개가 설정되어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양측에 대칭되게 분포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제한부(113)는 대칭되게 분포된 키 홀(15)의 연결선에 위치한다. 상기 위치 제한부(113)는 키 링키지 부재(14) 상의 위치 제한 홀(1423)과 결합되어 위치 제한 가이드 작용을 일으켜,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가 위치 제한부(113)의 설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을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제한부(113)의 일단은 상기 키 홀(15)을 향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112)와 일체로 연결되거나 일체로 성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제한부(113)는 또한 상기 가이드부(112)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는 통합 구조로 설치되고; 일부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링키지 부재는 2개로 분할된 제1 키 링키지 부재(14A) 및 제2 키 링키지 부재(14B)를 포함하는 분할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제1 키 링키지 부재(14A) 및 제2 키 링키지 부재(14B)가 맞대어 형성된 구조는 기본적으로 통합 구조의 키 링키지 부재(14)와 동일하다. 상기 키 링키지 부재를 2개로 분할된 제1 키 링키지 부재(14A) 및 제2 키 링키지 부재(14B)로 설치하는 장점은, 한쪽만 잠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키 링키지 부재(14A) 및 제2 키 링키지 부재(14B)를 동시에 가압하여야만 잠금 해제될 수 있으며, 그 중 한쪽만 가압하여 잠금 해제될 수 없는 것으로, 잠금 해제의 조작 오류를 방지하여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링키지 부재가 2개로 분할된 제1 키 링키지 부재(14A) 및 제2 키 링키지 부재(14B)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11)에 차단부(11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114)는 상기 제1 키 링키지 부재(14A) 및 제2 키 링키지 부재(14B)를 분리 및 당접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차단부(114)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11)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114)는 상기 활동부(141)의 활동 방향에 수직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114)는 상기 위치 제한부(113)와 수직되고, 총 2개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양측에 대칭되게 분포된다. 상기 차단부(114)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부(112)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112)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114)는 상기 가이드부(112)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제1 자석(18)을 간편하게 설치하기 위해, 상이한 실시예에서, 상이한 구조를 설치하여 제1 자석(18)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2)와 베이스(11) 사이에 자석 고정 베이스(13)를 설치하고, 제1 자석(18)을 자석 고정 베이스(13)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12)의 상단에 자석 고정부(116)를 설치하고, 제1 자석(18)을 자석 고정부(116)에 설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 고정부(116)는 상기 가이드부(112)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마주하며,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자석 고정부(116)에는 제1 자석 장착홈(13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의 위치는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바로 반대편에 있으며, 그 개구 방향은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서로 등진다. 상기 제1 자석(18)은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자석(18)의 형상, 크기는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일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은 바람직하게 원형 홀이며, 상기 제1 자석(18)은 바람직하게 원형 자석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 고정 베이스(13)에는 제1 자석 장착홈(13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의 위치는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바로 반대편에 있으며, 그 개구 방향은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서로 등진다. 상기 제1 자석(18)은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자석(18)의 형상, 크기는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일치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은 바람직하게 원형 홀이며, 상기 제1 자석(18)은 바람직하게 원형 자석이다. 상기 자석 고정 베이스(13)는 나사 고정 방식을 통해 상기 베이스(11)와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 고정 베이스(13)는 상기 상부 커버(12) 또는 베이스(11)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상기 상부 커버(12) 또는 베이스(11) 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잠금 해제 시 잠금 해제부(142)가 잠금 볼트(21)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의 결합 부위 사이에 쉽게 삽입하여 자석 사이의 인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의 외벽에 제3 가이드 경사면(132)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가이드 경사면(132)은 링 형상일 수 있고, 제1 자석 장착홈(131)의 외벽 상에 부분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가이드 경사면(132)의 존재는 제1 자석 장착홈(131)의 외벽이 고정 스루홀(111) 방향을 향해 경사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자석(18)이 일정한 이동 자유도를 구비하도록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 고정 베이스(13) 상의 제1 자석 장착홈(131)은 지지 암(134)을 통해 베이스(11)와 고정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암(134)은 대칭되게 설치되고, 각각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의 외벽에 의해 외부로 연장되며 아래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상기 지지 암(134)은 그 중심에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을 아치형으로 형성하고, 지지 암(134)의 구조는 이가 일정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석 고정 베이스(13) 상의 제1 자석 장착홈(131)이 잠금 방향에서 미세하게 변위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자석(18)의 변위 및 리셋이 간편해지도록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 고정 베이스(13) 상에 너클부(133)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너클부(133)는 대칭되게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의 외벽에 연결되며, 타단은 외부로 연장되어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므로, 일정한 탄성을 갖는다. 상기 너클부(133)는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아치형 부위는 상부 커버(12)와 당접되며, 이로써 제1 자석 장착홈(131) 리셋이 유리해진다. 제1 자석 장착홈(131)이 압출된 후, 제1 자석 장착홈(131)과 제1 자석(18)은 상부 커버(12) 방향을 향해 미세하게 변위하고, 이 경우, 상기 너클부(133)는 압축되며; 제1 자석 장착홈(131)이 외부 압출력이 상실될 경우, 상기 너클부(133)의 탄력은 제1 자석 장착홈(131) 및 제1 자석(18)이 상부 커버(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리셋되도록 밀 수 있어, 제1 자석(18)이 잠금 홀(17)에 근접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링키지 부재(14) 가압 시 키 홀(15) 내에 걸려 분리될 수 없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키 홀(15)의 양측에 각각 가이드 플레이트(115)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5)의 길이는 상기 활동부(141)의 길이보다 약간 크며, 따라서 상기 활동부(141)가 제위치로 가압될 경우, 상기 활동부(141)의 양측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5)에 의해 제한되어 걸리지 않음으로써 고장 발생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는 통합 구조로, 자석 고정 베이스(13)와 베이스(11) 사이에 설치되고, 활동부(141), 잠금 해제부(142), 연결 암(143), 조절부(144), 탄성 암(146), 기능부를 포함한다. 상기 활동부(141)는 제1 활동부(141A) 및 제2 활동부(141B)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활동부(141A)와 제2 활동부(141B) 사이는 연결 암(143)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활동부(141A), 연결 암(143), 제2 활동부(141B)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일체로 연결되며, 이의 연결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탄성을 갖는다. 상기 활동부(141), 연결 암(143), 조절부(144), 잠금 해제부(142), 탄성 암(146), 기능부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일체로 함께 연결되고, 이의 구체적인 재료는 수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는 상기 베이스(11)와 상기 상부 커버(12) 사이에 설치되고, 2개로 분할된 제1 키 링키지 부재(14A) 및 제2 키 링키지 부재(14B)를 포함하는 분할 구조이다. 상기 제1 키 링키지 부재(14A) 및 제2 키 링키지 부재(14B)는 대칭 구조이고, 서로 맞대어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를 형성한다. 상기 제1 키 링키지 부재(14A)는 일체로 성형된 제1 활동부(141A), 제1 잠금 해제부(142A), 제1 연결 암(143A), 제1 조절부(144A), 제1 탄성 암(146A), 제1 기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키 링키지 부재(14B)는 일체로 성형된 제2 활동부(141B), 제2 잠금 해제부(142B), 제2 연결 암(143B), 제2 조절부(144B), 제2 탄성 암(146B), 제2 기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활동부(141A) 및 제2 활동부(141B)는 본 발명에 따른 활동부(14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잠금 해제부(142A) 및 제2 잠금 해제부(142B)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부(14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 암(143A) 및 제2 연결 암(143B)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암(14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조절부(144A) 및 제2 조절부(144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14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성 암(146A) 및 제2 탄성 암(146B)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암(146)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능부 및 제2 기능부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활동부(141)(제1 활동부(141A) 및 제2 활동부(141B))는 사용자가 가압하는데 사용되고, 이는 대향되게 설치되며, 가압되기 위해 각각 상기 베이스(11)와 상부 커버(12) 양측의 키 홀(15)을 통과하여 외부로 확장된다. 상기 활동부(141)의 형상 크기는 수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조작 방법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활동부(141)의 표면에 가압 방향의 화살표 지시와 같은 지시 부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가 통합 구조인 경우, 상기 연결 암(143)은 활동부(141) 사이, 즉 제1 활동부(141A)와 제2 활동부(141B)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암(143)은 활동부(141)와 연결되어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탄성을 구비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암(143)은 활동부(141) 사이에 대칭되게 연결되고, 즉 2개의 연결 암(143)의 형상은 동일하며 위치는 대칭된다. 또한, 상기 연결 암(143) 자체는 대칭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활동부(141)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 암(143)이 동기적으로 외부를 향해 아치형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활동부(141)가 풀어지면 상기 연결 암(143)은 리셋되어 활동부(141)가 동기적으로 외부를 향해 이동하여 리셋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암(143)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개구는 내부를 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가 2개의 구조로 분할된 경우, 상기 제1 연결 암(143A)은 상기 제1 활동부(141A)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암(143A)과 제1 활동부(141A)는 세미 링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 암(143B)은 상기 제2 활동부(141B)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암(143B)과 상기 제2 활동부(141B)는 세미 링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연결 암(143A)과 제2 연결 암(143B)이 맞대어질 경우, 상기 제1 활동부(141A), 제1 연결 암(143A), 제2 연결 암(143B), 제2 활동부(141B)가 둘러싸여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연결 암(143A) 및 제2 연결 암(143B)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일정한 탄성 변형량을 구비하여 가압하여 변형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암(143A) 또는 제2 연결 암(143B)의 단부가 상기 차단부(114)에 의해 차단될 경우, 상기 제1 활동부(141A) 또는 제2 활동부(141B)가 가압되어 상기 제1 연결 암(143A) 또는 제2 연결 암(143B)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활동부(141A) 또는 제2 활동부(141B)가 풀어지면, 상기 제1 연결 암(143A) 또는 제2 연결 암(143B)은 리셋되어 상기 제1 활동부(141A) 또는 제2 활동부(141B)가 동기적으로 외부를 향해 이동하여 리셋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144)는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해 잠금 홀(17)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144)는 상기 연결 암(143)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부(144)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그 전체는 둘러싸여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조절 홀(145)로 형성됨으로써 링의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144)는 제1 조절부(144A) 및 제2 조절부(144B)를 포함하되, 제1 조절부(144A)는 제1 연결 암(143A)의 내측에 설치되고, 제2 조절부(144B)는 제2 연결 암(143B)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조절부(144A), 제2 조절부(144B)는 서로 각각 이격되어 있고, 전체는 둘러싸여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는 조절 홀(145)로 형성됨으로써 잠금 홀(17)의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한다. 상기 조절부(144)는 바람직하게 대칭되게 설치되는 바, 즉 제1 조절부(144A)는 제2 조절부(144B)와 대칭되고, 동시에 2개의 제1 조절부(144A)는 상기 활동부(141)의 중심 연결선에 대해 대칭되게 설치되며, 2개의 제2 조절부(144B)는 상기 활동부(141)의 중심 연결선에 대해 대칭되게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홀(145)은 개방되고,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마주하며,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함께 상기 잠금 홀(17)을 형성한다.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조절 홀(145)의 내경은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내경보다 작다. 상기 잠금 볼트(21)의 클램핑이 간편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조절부(144)는 단턱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 볼트(21)의 볼록 에지부(212)가 랩 조인트될 수 있는 랩 조인트 평면(1441)이 설치된다. 잠금 볼트(21)가 상기 조절 홀(145)에 진입하는 것을 간편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조절부(144)의 가장자리에는 고정 스루홀(111) 방향을 향해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가이드 경사면(1442)이 설치되고, 가이드 작용을 구비하여, 잠금 볼트(21)가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1442)을 따라 조절 홀(145) 내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볼트(21)가 자기력으로 인해 흡인되어 조절 홀(145)에 원활하게 진입하는 것이 간편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조절 홀(145)은 잠금 볼트(21)의 압출에 더 잘 적응해야 하고, 조절부(144)가 비교적 단단하여 더 큰 힘으로 압출하여야 할 경우, 잠금 볼트(21)는 자기력의 작용 하에 조절 홀(145)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없으며,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 암(143)과 상기 조절부(144) 사이에는 탄성 암(146)이 더 설치되어 조절부(144)를 향해 일정한 자유 변위 공간을 제공하여 잠금 볼트(21)의 압출에 적응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암(146)은 각각 연결 암(143)과 조절부(144) 사이에 연결되고,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암(146)은 두 그룹으로 설치될 수 있고, 각 그룹의 2개의 탄성 암(146)은 대칭되게 분포되며, 각 그룹의 탄성 암(146)은 각각 연결 암(143)과 조절부(144) 사이에 연결되고, 각 그룹의 탄성 암(146) 중 2개의 탄성 암(146)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 하나의 조절부(144)와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각 이격된 조절부(144)는 각각 하나의 탄성 암(146)을 통해 연결 암(143)과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암(146)은 제1 탄성 암(146A) 및 제2 탄성 암(146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 암(146A)은 상기 제1 연결 암(143A)과 상기 제1 조절부(144A)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탄성 암(146B)은 상기 제2 연결 암(143B)과 제2 조절부(144B)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 암(146)은 연결 암(143)과 조절부(144) 사이에 연결되고,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다. 상기 탄성 암(146)은 대칭되게 설치되고, 즉 제1 탄성 암(146A)과 제2 탄성 암(146B)은 대칭되며, 제1 탄성 암(146A) 및 제2 탄성 암(146B) 자체도 대칭되게 분포된다. 상기 탄성 암(146)의 개수는 수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일반적인 경우, 상기 탄성 암(146)의 개수는 상기 조절부(144)의 개수와 일치하며, 예를 들어 4개의 탄성 암(146)--2개의 제1 탄성 암(146A) 및 2개의 제2 탄성 암(146B)에서, 여기서 2개의 제1 탄성 암(146A)은 각각 제1 조절부(144A)와 제1 연결 암(143A) 사이에 연결되고; 2개의 제2 탄성 암(146B)은 각각 제2 조절부(144B)와 제2 연결 암(143B)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 암(146)은 상기 조절부(144)의 중부에 연결되거나, 조절부(144)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암(146)은 각각 조절부(144)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 암(146)의 구체적인 형상 및 개수는 수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고, 조절부(144)가 일정한 탄성을 구비하여 변위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상기 탄성 암(146)은 V형, 또는 U형, 또는 V와 유사한 타입, 또는 U와 유사한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의 개구 방향은 고정 스루홀(111)을 향하며, 일단은 상기 연결 암(143)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절부(144)와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그룹의 탄성 암(146) 중 2개의 탄성 암(146) 사이의 이격된 부위는 각각 상기 자석 고정 베이스(13)의 너클부(133)와 서로 대응될 수 있어, 상기 너클부(133)가 2개의 탄성 암(146)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며, 따라서 너클부(133)는 제한 작용을 더 제공할 수 있어, 연결 암(143)이 탄성 변형될 경우, 탄성 암(146)이 너클부(133)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확보함으로써, 탄성 암(146)의 탄성 변형 방향을 확보한다.
도 2, 도 3, 도 4,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시 잠금 홀(17)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144)가 압착되어 외부 확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어 잠금 홀(17)이 확장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 암(146)에는 상기 활동부(141)에 의해 연동되는 기능부가 설치되고, 상기 기능부는 잠금 해제 시 조절부(144)의 외부 확장에 사용되어, 잠금 홀(17)의 확장을 보조함으로써, 잠금 볼트(21)가 잠금 홀(17)로부터 분리되는데 유리하다.
상기 기능부(제1 기능부 및 제2 기능부)는 각각 수압부(149) 및 압출부(148)를 포함한다. 도 4, 도 7, 도 8,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압부(149)는 상기 조절부(144)에 설치되고, 상기 압출부(148)는 상기 연결 암(143)에 연결되며, 압출부(148)의 단부는 상기 수압부(149)를 향한다.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압출부(148)의 단부는 상기 수압부(149)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활동부(141)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 암(143)은 외부로 확장되어, 상기 압출부(148)의 단부가 수압부(149)의 표면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압부(149)를 압출하여 수압부(149)가 외부로 확장되면서 상기 조절부(144)의 외부 확장도 구동할 수 있어, 잠금 홀(17)의 확장을 구현하는 것을 보조한다. 상기 수압부(149)는 상기 조절부(144)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상기 조절부(144) 상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압부(149)는 상기 조절부(144)와 일체로 성형되고, 각 조절부(144)(제1 조절부(144A) 및 제2 조절부(144B))의 표면에는 각각 하나의 수압부(149)가 설치되며, 상기 수압부(149)는 상기 조절부(144)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압부(149)에는 가이드 작용을 가진 압출면(1491)이 설치되며, 상기 압출면(1491)은 상기 압출부(148)와 작용하여 압출부(148)가 수압부(149)를 푸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출부(148)는 상기 연결 암(143)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암(143)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출부(148)는 상기 연결 암(143)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연결 암(143)에 대칭되게 분포되며, 상기 잠금 해제부(142)와 탄성 암(146)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출부(148)는 다른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압부(149)를 압출하여 조절부(144)가 외부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해제부(142)는 잠금 볼트(21)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 사이 결합된 부위, 즉 잠금 볼트(21)와 제1 자석 장착홈(131)을 분리시키는데 사용되어,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켜 잠금 해제가 용이해지도록 한다. 상기 잠금 해제부(142)는 상기 활동부(141)의 내측벽부에 설치되어 활동부(141)에 의해 연동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가 통합 구조인 경우, 상기 잠금 해제부(142)는 각각 상기 활동부(141)의 내벽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 해제부(142)는 상기 조절 홀(145)을 향한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가 2개로 분할된 구조인 경우, 상기 잠금 해제부(142)는 제1 잠금 해제부(142A) 및 제2 잠금 해제부(14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잠금 해제부(142A)는 상기 제1 활동부(141A)의 내벽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잠금 해제부(142B)는 상기 제2 활동부(141B)의 내벽에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잠금 해제부(142A) 및 제2 잠금 해제부(142B)는 대향되게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 잠금 해제부(142A) 및 제2 잠금 해제부(142B)는 각각 상기 조절 홀(145)을 향한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해제부(142)(제1 잠금 해제부(142A) 및 제2 잠금 해제부(142B))의 자유단에는 가이드 작용을 가지며, 잠금 볼트(21)와 제1 자석 장착홈(131)의 바닥부 사이에 진입하여 잠금 볼트(21)와 제1 자석 장착홈(131)의 사이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 사이의 인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경사진 쐐기면이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진 쐐기면은 제1 경사진 쐐기면(1421) 및 제2 경사진 쐐기면(142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경사진 쐐기면(1421) 및 제2 경사진 쐐기면(1422)의 경사진 방향은 서로 반대되며, 공통선을 가짐으로써 상기 잠금 해제부(142)(제1 잠금 해제부(142A) 및 제2 잠금 해제부(142B))의 자유단이 샤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2개의 경사되어 있는 경사진 쐐기면을 구비하여 삽입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제1 경사진 쐐기면(1421)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 외벽 상의 제3 가이드 경사면(132)의 경사 각도와 관련되고, 상기 제1 경사진 쐐기면(1421)의 경사 각도는 제3 가이드 경사면(132)을 압출하여 자석 고정 베이스(13)를 상부 커버(12) 방향으로 밀어 제1 자석(18)이 약간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경사진 쐐기면(1422)의 경사 각도는 제1 가이드 경사면(1442), 제2 가이드 경사면(213)의 경사 각도와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키 링키지 부재(14A) 및 제2 키 링키지 부재(14B)의 활동 방향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잠금 해제부(142A) 및 제2 잠금 해제부(142B)에는 위치 제한 홀(1423)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위치 제한 홀(1423)은 상기 활동부(141)의 활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그 형상 크기는 베이스(11) 상의 위치 제한부(113)의 형상 크기와 매칭되며; 상기 위치 제한 홀(1423)은 긴 스트립 홀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잠금 해제부(142A) 및 제2 잠금 해제부(142B)를 각각 평행으로 이격된 두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제한 홀(1423)은 긴 스트립의 오목홈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위치 제한부(113)와 매칭되어 위치 제한 가이드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조립된 버클의 경우, 베이스(11)의 위치 제한부(113)는 상기 위치 제한 홀(1423) 내에 위치함으로써 위치 제한 가이드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 상부 커버(12), 자석 고정 베이스(13), 키 링키지 부재(14), 제1 자석(18)은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를 형성할 수 있고, 베이스(11)에는 고정 스루홀(111)이 설치되며, 키 링키지 부재(14)에는 디폴트 사이즈가 고정 스루홀(111)보다 작은 조절 홀(145)이 설치되고, 고정 스루홀(111)과 조절 홀(145)은 잠금 홀(17)을 형성한다. 제1 자석(18)은 자석 고정 베이스(13)를 통해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 홀(17)과 마주하며, 자석 고정 베이스(13)를 통해 잠금 홀(17)과 일정한 두께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의 활동부(141)의 일부 부위는 외부에 위치하여 가압하는데 사용되고, 연결 암(143) 및 탄성 암(146)은 모두 변형 가능하며, 이로써 상기 조절 홀(145)의 크기 및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조절 홀(145)은 상기 고정 스루홀(111)보다 작고, 연결 암(143) 및 탄성 암(146)이 탄성 변형 가능하므로, 잠금 볼트(21)는 상기 잠금 홀(17) 내에 비집고 들어가 조절부(144)에 의해 클램핑되어 잠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활동부(141)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연결 암(143)은 동기적으로 외부를 향해 아치형을 형성하고, 기능부의 작용 하에, 조절부(144)의 확장으로 잠금 홀(17)이 확장되도록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잠금 볼트(21)가 잠금 홀(17) 내에서 분리되어 잠금 해제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잠금 해제부(142)는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잠금 볼트(21)와 제1 자석 장착홈(131) 바닥부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을 일정한 거리로 분리시킴으로써 잠금 볼트(21)가 잠금 홀(17) 내에서 분리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 상부 커버(12), 키 링키지 부재(14), 제1 자석(18)은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를 형성할 수 있고, 베이스(11)에는 고정 스루홀(111)이 설치되며, 키 링키지 부재(14)에는 디폴트 사이즈가 고정 스루홀(111)보다 작은 조절 홀(145)이 설치되고, 고정 스루홀(111)과 조절 홀(145)은 잠금 홀(17)을 형성한다. 제1 자석(18)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 홀(17)과 마주하며, 자석 고정부(116)를 통해 잠금 홀(17)과 일정한 두께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의 활동부(141)의 일부 부위는 외부에 위치하여 가압하는데 사용되고, 연결 암(143) 및 탄성 암(146)은 모두 변형 가능하며, 이로써 상기 조절 홀(145)의 크기 및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조절 홀(145)은 상기 고정 스루홀(111)보다 작고, 연결 암(143) 및 탄성 암(146)이 탄성 변형 가능하므로, 잠금 볼트(21)는 상기 잠금 홀(17) 내에 비집고 들어가 조절부(144)에 의해 클램핑되어 잠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활동부(141A) 및 제2 활동부(141B)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제1 연결 암(143A) 및 제2 연결 암(143B)의 단부는 차단부(114)에 당접되고, 차단부(114)의 차단 하에, 제1 연결 암(143A) 및 제2 연결 암(143B)은 탄성 변형되며, 기능부의 작용 하에, 조절부(144)의 확장으로 잠금 홀(17)이 확장되도록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잠금 볼트(21)가 잠금 홀(17) 내에서 분리되어 잠금 해제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잠금 해제부(142)는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제1 자석(18)과 제2 자석 사이의 결합 부위를 향해 이동하여 잠금 볼트(21)와 제1 자석 장착홈(131) 바닥부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을 일정한 거리로 분리시킴으로써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의 인력 작용을 크게 감소시켜, 잠금 볼트(21)가 잠금 홀(17)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잠금 해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활동부(141A) 또는 제2 활동부(141B)가 별도로 가압되는 경우, 제1 연결 암(143A) 또는 제2 연결 암(143B)의 그 중 일단은 상기 차단부(114)와 당접되고, 타단은 움직이지 않으며, 이때 제1 연결 암(143A) 및 제2 연결 암(143B) 중 하나만 변형이 발생하고 다른 한 부분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잠금 홀(17)은 부분적으로만 확장되고 다른 한 부분의 구조는 여전히 잠금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전체 잠금 볼트(21)가 분리되어 잠금 해제될 수 없도록 하며; 따라서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를 2개로 분할된 2개의 부재로 설치하여, 한쪽만 잠금 해제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버클이 제1 활동부(141A) 및 제2 활동부(141B)를 동시에 가압하는 경우에만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도 5, 도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에는 잠금 볼트(21)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 볼트(21)는 상기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볼트(21)는 상기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에서 잠금 홀(17)을 향한 일측 표면에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잠금 볼트(21)는 기둥 형상부(211) 및 볼록 에지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 형상부(211)는 상기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의 표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볼록 에지부(212)는 상기 기둥 형상부(211)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 형상부(211)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볼록 에지부(212)의 외부 사이즈는 상기 기둥 형상부(211)의 외부 직경보다 크므로, 상기 볼록 에지부(212)와 상기 기둥 형상부(211) 사이에 클램핑 단턱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 형상부(21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이 외부 직경은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내경보다 작다. 상기 볼록 에지부(212)의 외부 직경은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조절 홀(145)의 디폴트 상태일 때의 내경보다 크다. 상기 잠금 볼트(21)가 잠금 홀(17)에 간편하게 진입하도록 하기 위해, 잠금 볼트(21) 볼록 에지부(212)의 자유단에는 수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가이드 경사면(213)이 설치되고, 이는 가이드 작용을 갖는다. 상기 제2 가이드 경사면(213)은 상기 볼록 에지부(212) 전체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가이드 경사면(213)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1442), 제2 경사진 쐐기면(1422)의 경사 각도와 일치하거나 기본적으로 일치하다. 웨빙의 간편한 연결을 위해, 상기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에는 제2 웨빙 홀(23)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웨빙 홀(23)의 구조는 수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도 2,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석(22)을 설치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볼트(21)의 내부는 중공이고 제2 자석 장착홈(2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석(22)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자석 장착홈(24) 내에 고정 설치되며, 공지된 구조와 체결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탈착 가능한 마개로 막을 수 있다.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와 버클 잠금 어셈블리(20)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버클을 형성할 수 있다.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의 잠금 볼트(21)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의 잠금 홀(17)에 근접하는 경우,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은 서로 흡인함으로써 잠금 볼트(21)가 잠금 홀(17) 내에 빠르게 비집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키 링키지 부재(14)의 연결 암(143) 및 탄성 암(146)은 탄성 변형 가능하므로, 조절 홀(145) 크기는 조절 가능하고, 상기 잠금 볼트(21)는 제1 자석(18)에 의해 흡인될 경우, 잠금 볼트(21)는 이의 제2 가이드 경사면(213)을 통해 조절부(144)의 제1 가이드 경사면(1442)을 압출하여 잠금 홀(17) 내에 비집고 들어갈 수 있다. 잠금 볼트(21)가 자기력의 흡인 작용 하에 잠금 홀(17)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경우, 상기 연결 암(143) 탄성은 리셋되어 조절 홀(145)이 디폴트 크기로 축소되도록 하여 조절부(144)가 잠금 볼트(21)의 기둥 형상부(211)와 볼록 에지부(212) 사이의 단턱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잠금 효과를 구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고정 베이스(13)를 설치하여 제1 자석(18)을 설치하는 자성 버클의 경우, 이의 자석 고정 베이스(13)는 또한 개방력을 더 감소시켜 잠금 해제 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잠금 해제 시, 상기 활동부(141)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어, 이때 잠금 해제부(142)는 활동부(141)의 서로 마주 이동하여 먼저 제1 자석 장착홈(131)의 제3 가이드 경사면(132)에 접촉되고, 잠금 해제부(142)의 제1 경사진 쐐기면(1421)은 상기 제3 가이드 경사면(132)을 압출하여 자석 고정 베이스(13)가 상부 커버(12) 방향을 향해 약간 이동하도록 하며,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은 서로 흡인하여, 자석 고정 베이스(13)가 상부 커버(12) 방향을 향해 약간 이동할 경우, 잠금 볼트(21)도 자기력의 흡인 작용 하에 동기적으로 미세하게 이동하고, 상부 커버(12) 방향을 따른 잠금 볼트(21)의 이동은 볼록 에지부(212)와 조절부(144)의 랩 조인트 평면(1441)을 분리시키며, 이로써 조절부(144) 활동이 더욱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하여, 조절부(144)가 압착되어 외부로 확장될 수 없어 잠금 해제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활동부(141)를 서로 마주 가압하는 동시에, 연결 암(143)은 동기적으로 외부로 확장하여 조절부(144)의 동기적 외부 확장을 구동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압출부(148)와 수압부(149)의 상호 작용도 조절부(144)의 외부 확장 이동을 보조할 수 있어, 조절부(144)가 원활하게 외부로 확장되어 압착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음으로써, 조절 홀(145)이 쉽게 커지면서 잠금 볼트(21)의 볼록 에지부(212)에 의해 클램핑될 수 없도록 하며; 잠금 해제부(142)의 지속적인 변위에 따라, 잠금 해제부(142)는 잠금 볼트(21)와 제1 자석 장착홈(131)의 바닥부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 잠금 볼트(21)와 제1 자석 장착홈(131)의 바닥부 사이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의 인력 작용을 크게 감소시키고, 이로써 잠금 볼트(21)가 잠금 홀(17)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잠금 해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경우, 이의 활동부(141)는 대칭되게 설치되고, 사용자는 양측을 향해 가압할 수 있으며, 이의 조작은 인체 공학에 부합되고 조작이 간단하다. 이밖에, 연결 암(143) 및 탄성 암(146)의 설치는 조절부(144)가 반경 방향을 따라 외부로 확장되어, 잠금 볼트(21)가 비교적 작은 자기력 흡인 작용 하에 조절부(144)를 쉽게 압출하여 잠금 홀(17)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자석(18) 및 제2 자석(22)의 자기력 강도에 대한 요구를 줄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밖에, 잠금 해제부(142)는 잠금 볼트(21)와 제1 자석 장착홈(131)의 바닥부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 제1 자석(18) 및 제2 자석(22) 결합 부위를 이격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 사이의 자기력 흡인 작용을 크게 감소시켜 잠금 해제가 간편해질 수 있도록 한다. 자석 고정 베이스에 설치된 자성 버클의 경우, 잠금 해제부(142)는 또한 먼저 제1 자석(18)을 잠금 홀(1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켜 잠금 볼트(21)의 상부 이동을 구동할 수 있어, 잠금 볼트(21)가 조절부(144)를 압축하지 않아 조절부(144)의 외부 확장에 따라 조절 홀(145)이 확장되어 잠금 해제되는데 유리하도록 함으로써 개방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자석 장착홈이 설치된 자성 버클의 경우, 자석 장착홈은 가이드부(112) 상에 고정되게 형성되고, 이와 잠금 홀(17)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므로, 상기 조절부(144)를 압착하지 않아 조절부(144)의 외부 확장을 저애하지 않으므로, 조절부(144)가 클래핌 및 홀딩되어 잠금 해제될 수 없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며; 키 링키지 부재(14)의 2개로 분할된 설치는, 한쪽만 잠금 해제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단일 방향으로 상기 제1 활동부(141A) 또는 제2 활동부(141B)를 가압하는 경우 잠금 해제될 수 없고 동시에 가압한 경우에만 잠금 해제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은 조작이 간단하고 쉬울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강하고 매우 강한 실용성을 갖는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개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조건에서 이상 각 부재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유사하거나 동등한 요소로 교체될 수 있다.
10: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 11: 베이스; 111: 고정 스루홀; 112: 가이드부; 113: 위치 제한부; 114: 차단부; 115: 가이드 플레이트; 116: 자석 고정부; 12: 상부 커버; 13: 자석 고정 베이스; 131: 제1 자석 장착홈; 132: 제3 가이드 경사면; 133: 너클부(133); 134: 지지 암; 14: 키 링키지 부재; 14A: 제1 키 링키지 부재; 14B: 제2 키 링키지 부재; 141: 활동부; 141A: 제1 활동부; 141B: 제2 활동부; 142: 잠금 해제부; 142A: 제1 잠금 해제부; 142B: 제2 잠금 해제부; 1421: 제1 경사진 쐐기면; 1422: 제2 경사진 쐐기면; 1423: 위치 제한 홀; 143: 연결 암; 143A: 제1 연결 암; 143B: 제2 연결 암; 144: 조절부; 144A: 제1 조절부; 144B: 제2 조절부; 1441: 랩 조인트 평면; 1442: 제1 가이드 경사면; 145: 조절 홀; 146: 탄성 암; 146A: 제1 탄성 암; 146B: 제2 탄성 암; 148: 압출부; 149: 수압부; 1491: 압출면; 15: 키 홀; 16: 제1 웨빙 홀; 17: 잠금 홀; 18: 제1 자석; 20: 버클 잠금 어셈블리; 21: 잠금 볼트; 211: 기둥 형상부; 212: 볼록 에지부; 213: 제2 가이드 경사면; 22: 제2 자석; 23: 제2 웨빙 홀; 24: 제2 자석 장착홈.

Claims (21)

  1. 자성 버클로서,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 및 버클 잠금 어셈블리(20)를 포함하되,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에는 제1 자석(18) 및 크기 조절이 가능한 잠금 홀(17)이 설치되고, 상기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에는 상기 잠금 홀(17) 내로 삽입 가능한 잠금 볼트(21) 및 제2 자석(22)이 설치되며,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의 대향하는 양측에는 각각 활동부(141)가 설치되고,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 내에는 상기 활동부(141)에 의해 연동되는 잠금 해제부(142)가 설치되며, 상기 잠금 해제부(142)는 상기 잠금 홀(17)을 향하고;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의 잠금 홀(17)이 상기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의 잠금 볼트(21)에 근접할 경우, 상기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은 서로 흡인하여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잠금 홀(17) 내로 진입하여 잠금을 구현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활동부(141)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제부(142)는 상기 잠금 볼트(21)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가 결합된 부위를 향해 이동하여 잠금 볼트(21)와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가 결합된 부위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제1 자석(18)과 제2 자석(22)의 인력을 감소시켜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와 버클 잠금 어셈블리(20)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 내에는 상기 활동부(141)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잠금 홀(17)이 확장되도록 하는 기능부가 설치되고; 상기 활동부(141)가 잠금 해제를 위해 작동될 경우, 상기 기능부는 상기 잠금 홀(17)이 확장되도록 하고 상기 잠금 볼트(21)가 상기 잠금 홀(17)로부터 이탈되도록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부(142)는 상기 활동부(141)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활동부(141)의 내측벽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잠금 해제부(142)의 자유단에는 가이드 기능이 구비된 경사진 쐐기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부(141)는 제1 활동부(141A) 및 제2 활동부(141B)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활동부(141A)의 양측에는 제1 연결 암(143A)이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암(143A)은 상기 제1 활동부(141A)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2 활동부(141B)의 양측에는 제2 연결 암(143B)이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암(143B)은 상기 제2 활동부(141B)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1 연결 암(143A) 및 상기 제2 연결 암(143B)은 분리 관계를 이루어 대칭 구조를 가진 연결 암(143)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활동부(141A), 제1 연결 암(143A), 제2 연결 암(143B), 제2 활동부(141B) 사이는 엔클로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부(141)는 제1 활동부(141A) 및 제2 활동부(141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활동부(141A)와 제2 활동부(141B) 사이는 연결 암(143)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활동부(141A), 연결 암(143), 제2 활동부(141B)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암(143) 내에는 상기 잠금 홀(17)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144)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조절부(144)는 엔클로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개방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잠금 홀(17)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홀(1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암(143)과 상기 조절부(144) 사이에는 탄성 암(146)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탄성 암(146)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지고, 상기 탄성 암(146)의 일단은 상기 연결 암(143)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조절부(14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144)에는 수압부(149)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암(143)에는 압출부(148)가 설치되며, 상기 활동부(141)가 잠금 해제를 위해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압출부(148)의 단부는 상기 수압부(149)에 작용하여 상기 수압부(149)를 압출하여 상기 조절부(144)가 외부로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잠금 홀(17)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부(149)에는 압출면(1491)이 설치되고; 상기 수압부(149)는 상기 조절부(144)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압출부(148)는 상기 연결 암(143)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148)는 상기 탄성 암(146)과 상기 잠금 해제부(14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암(146), 압출부(148), 잠금 해제부(142)는 각각 상기 조절부(144)의 외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에는 차단부(114)가 설치되되, 상기 차단부(114)는 상기 제1 연결 암(143A)과 제2 연결 암(143B)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 암(143A)과 제2 연결 암(143B)을 분리시키고; 상기 제1 활동부(141A) 또는 제2 활동부(141B)를 별도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 암(143A) 또는 제2 연결 암(143B)의 단부는 상기 차단부(114)를 압출하여 상기 잠금 홀(17)이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잠금 해제될 수 없도록 하며; 상기 제1 활동부(141A) 및 제2 활동부(141B)를 동시에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 암(143A) 및 제2 연결 암(143B)의 양단은 상기 차단부(114)를 동시에 압출하여 상기 잠금 홀(17)이 균일하게 확장되어 잠금 해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에는 상기 활동부(141) 활동 방향을 제한하는 위치 제한부(113)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 해제부(142)에는 상기 활동부(141) 활동 방향을 따라 설치된 위치 제한 홀(1423)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 제한 홀(1423)과 상기 위치 제한부(113)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홀(17) 내에는 상기 잠금 볼트(21)가 잠금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부(11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는 베이스(11)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11)에는 고정 스루홀(111)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 홀(145)은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마주하며, 상기 조절 홀(145)과 상기 고정 스루홀(111)은 상기 잠금 홀(17)을 형성하고;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조절 홀(145)의 내경은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활동부(141)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조절부(144)는 외부로 확장되어 상기 조절 홀(145)의 내경이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내경보다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볼트(21)는 버클 잠금 어셈블리(20)에서 돌출된 기둥 형상부(211) 및 기둥 형상부(211) 자유단에 설치된 볼록 에지부(212)를 포함하되, 상기 볼록 에지부(212)와 상기 기둥 형상부(211) 사이에는 클램핑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볼트가 상기 잠금 홀(17)에 진입할 경우, 상기 볼록 에지부(212)는 상기 조절부(144)를 압출하여 잠금 홀(17) 내로 진입하며, 상기 조절부(144)는 상기 단턱에 클램핑되어 잠금 볼트(21)가 잠금 홀(17) 내로부터 능동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144)의 가장자리에는 고정 스루홀(111) 방향을 향해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가이드 경사면(1442)이 설치되고, 상기 볼록 에지부(212)의 외벽에는 수축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가이드 경사면(21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18)은 상기 잠금 홀(17)과 마주하고 상기 잠금 홀(17)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자석(22)은 상기 잠금 볼트(21)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베이스 어셈블리(10)는 자석 고정 베이스(13)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 고정 베이스(13)에는 제1 자석 장착홈(13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의 위치는 상기 잠금 홀(17)과 마주하며,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의 개구 방향은 상기 잠금 홀(17)과 서로 등지고, 상기 제1 자석(18)은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에서 조절 홀(145)을 향한 내벽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112)가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외곽에 분포되고, 상기 가이드부(112)의 단부는 상기 고정 스루홀(111)을 향하며;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베이스(11)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베이스(11)에 형성된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스루홀(111)을 따라 원주로 분포되고, 상기 가이드부(112)의 단부는 상기 고정 스루홀(111)의 원주벽과 같은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12)의 상단에는 이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일체로 연결된 자석 고정부(116)가 설치되되, 상기 자석 고정부(116)는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마주하고, 상기 고정 스루홀(111)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 고정부(116)에는 제1 자석 장착홈(13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자석(18)은 상기 제1 자석 장착홈(131)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볼트(21)의 내부는 중공이고 제2 자석 장착홈(24)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자석(22)은 상기 제2 자석 장착홈(24)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버클.
KR1020217014968A 2019-02-27 2020-02-24 자성 버클 KR102559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47794.7 2019-02-27
CN201910147794.7A CN109662399B (zh) 2019-02-27 2019-02-27 磁性搭扣
CN201910778260 2019-08-22
CN201910778260.4 2019-08-22
CN201910824600.2 2019-09-02
CN201910824600.2A CN110495685B (zh) 2019-08-22 2019-09-02 扣具
PCT/CN2020/076448 WO2020173410A1 (zh) 2019-02-27 2020-02-24 磁性扣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457A KR20210080457A (ko) 2021-06-30
KR102559009B1 true KR102559009B1 (ko) 2023-07-24

Family

ID=7223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968A KR102559009B1 (ko) 2019-02-27 2020-02-24 자성 버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25969B2 (ko)
EP (1) EP3858182B1 (ko)
JP (1) JP7144889B2 (ko)
KR (1) KR102559009B1 (ko)
ES (1) ES2936685T3 (ko)
WO (1) WO2020173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4178B2 (en) 2017-12-07 2020-12-29 Wonderland Switzerland Ag Magnetic buckling assembly
KR102209939B1 (ko) * 2019-06-18 2021-02-01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버클
CN112237315B (zh) 2019-07-17 2023-09-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扣具
CN117016924A (zh) 2019-07-17 2023-11-1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扣具
US11638415B2 (en) * 2021-02-19 2023-05-02 Upscale Pet Products LLC Magnetic quick-release connector for pet collars
CN114052342B (zh) * 2021-04-08 2024-02-20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扣具装置
CN114027582B (zh) * 2021-04-18 2023-09-15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磁性扣具
US11945344B2 (en) 2021-12-23 2024-04-02 Artsana Usa, Inc. Magnetic shoulder harness buckle for a child restraint
WO2023202317A1 (zh) * 2022-04-18 2023-10-26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扣具装置
CN117223947A (zh) * 2023-11-13 2023-12-15 浙江夕尔科技有限公司 一种磁吸扣及背带
CN117223948B (zh) * 2023-11-13 2024-03-01 浙江夕尔科技有限公司 一种磁吸扣及背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808626U (zh) 2014-02-26 2014-09-03 陈洁旋 一种儿童安全锁及其锁合装置
CN205273582U (zh) 2015-11-25 2016-06-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搭扣、儿童推车的座兜及儿童推车
CN208259203U (zh) 2018-05-03 2018-12-21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扣具及其防误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4033A (en) * 1985-10-15 1986-11-25 Orton Dale W Child safety seatbelt securement device
JP2718913B2 (ja) * 1995-11-21 1998-02-25 三桜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ショルダーアンカーアジャスター装置
SE530077C2 (sv) * 2006-01-03 2008-02-26 Joeran Lundh Spänne
DE102011086960A1 (de) * 2011-11-23 2013-05-23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CN104883918B (zh) * 2012-12-25 2017-10-10 Ykk株式会社 带扣
WO2016025348A1 (en) * 2014-08-11 2016-02-18 Apple Inc. Magnetic buckle
JP3207689U (ja) * 2016-09-14 2016-11-24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CN206213411U (zh) * 2016-11-08 2017-06-06 上海欧图服饰有限公司 磁铁搭扣
US10874178B2 (en) * 2017-12-07 2020-12-29 Wonderland Switzerland Ag Magnetic buckling assembly
CN108835775A (zh) * 2018-08-30 2018-11-20 东莞永程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磁力卡扣及其使用方法
CN109662399B (zh) * 2019-02-27 2024-02-20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磁性搭扣
CN209563587U (zh) * 2019-02-27 2019-11-01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磁性搭扣
CN112237315B (zh) * 2019-07-17 2023-09-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扣具
CN110584273A (zh) * 2019-09-02 2019-12-20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解锁自动分离的扣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808626U (zh) 2014-02-26 2014-09-03 陈洁旋 一种儿童安全锁及其锁合装置
CN205273582U (zh) 2015-11-25 2016-06-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搭扣、儿童推车的座兜及儿童推车
CN208259203U (zh) 2018-05-03 2018-12-21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扣具及其防误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47045A1 (en) 2022-02-17
WO2020173410A1 (zh) 2020-09-03
JP7144889B2 (ja) 2022-09-30
US11425969B2 (en) 2022-08-30
JP2022508877A (ja) 2022-01-19
EP3858182A1 (en) 2021-08-04
EP3858182A4 (en) 2022-01-05
KR20210080457A (ko) 2021-06-30
ES2936685T3 (es) 2023-03-21
EP3858182B1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009B1 (ko) 자성 버클
CN109662399B (zh) 磁性搭扣
CN110495685B (zh) 扣具
US3551963A (en) Self-locking snap fastener
KR20230165185A (ko) 자기 버클링 어셈블리
EP3412181A1 (en) Baby chair
CN110584273A (zh) 解锁自动分离的扣具
WO2019237890A1 (zh) 多向插扣装置
WO2023169320A1 (en) Buckle with rotor cylinder
JPH07794Y2 (ja) 管継手
EP3589877B1 (en) Quick connector
CN111955858B (zh) 一种帽盖和具有帽盖的防误开拉头
TW202244401A (zh) 磁性扣具
KR100724501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EP3589876B1 (en) Quick connector
KR200422320Y1 (ko) 조립식 바닥판의 결합구조
CN114052341A (zh) 双重安全锁装置
JP3132884U (ja) スライドレール延伸定位装置
JP3869134B2 (ja) 継手
JPH0721154Y2 (ja) 椅子の背凭れ等の取付装置
CN220229295U (zh) 推动式卡扣机构
CN111821751B (zh) 前壳组件及净水机
JP3204590B2 (ja) バックル
CN220037194U (zh) 一种卡扣装置
CN215127939U (zh) 一种马桶盖板的快速拆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