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899B1 -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899B1
KR102637899B1 KR1020230173532A KR20230173532A KR102637899B1 KR 102637899 B1 KR102637899 B1 KR 102637899B1 KR 1020230173532 A KR1020230173532 A KR 1020230173532A KR 20230173532 A KR20230173532 A KR 20230173532A KR 102637899 B1 KR102637899 B1 KR 102637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tube
steel plate
concre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계운
이석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수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수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수환경
Priority to KR102023017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에어 튜브(10)가 팽창되어 철판 패널(20)이 기립되는 단계(S910)와, 다수의 패널 지지봉(60)이 철판 패널(20)의 상단을 지지하는 단계(S920)와, 에어 튜브(10)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단계(S930)와, 에어 튜브(10)의 상측시트(10t)와 철판 패널(20) 사이(St)가 크리닝되는 단계(S940)와,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되는 단계(S950,S960)와, 에어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된 상태에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거나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가 크리닝되는 단계(S9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크리닝하거나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Maintenance and repair methods of air pressurized steel plate ups and downs movable weir}
본 발명은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하상 콘크리트와 에어 튜브 사이 그리고 에어 튜브와 철판 패널 사이에 있는 토사, 자갈, 돌 등을 효율적으로 크리닝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에어 튜브의 하부시트에 구비된 에어노즐을 쉽고 편리하며 효율적으로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수력발전용 상단보, 농업용 및 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저수지 등에 공압식 가동보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압식 가동보는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높이를 공기 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둑으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공압식 가동보에는, 하천이나 저수지 등에 설치되어 에어의 급기와 배기에 의해서 팽창 및 수축하여 철판 패널을 기립 및 도복시키는 에어 튜브와, 상기 에어 튜브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 기립 및 도복하여 유수의 높이를 제어하고 에어 튜브를 보호하는 철판 패널과, 상기 에어 튜브 및 철판 패널을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체결자재와, 상기 에어 튜브에 공기배관을 통해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와, 에어 튜브 내의 공기 압력의 조절을 제어하고 각도센서, 압력센서, 수위센서 등의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입력값을 기초로 에어 튜브로의 에어의 공급 및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동보 제어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공압식 가동보 중에서 철판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를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는 에어 튜브에 대한 공기의 공급 및 배기에 의해서 철판 패널을 기복 또는 도복시키는 방식에 의해서 수위를 조절하므로 하천의 수위 조절이 용이하고 또한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따른 에어 튜브의 소손을 철판 패널이 미리 차단시켜 보호해 주는 장점으로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 및 도복 및 기립의 반복함에 따라서 철판 패널과 에어 튜브 사이 그리고 하상 콘크리트 바닥과 에어 튜브 사이에 토사, 자갈, 돌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생활 쓰레기 등이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철판 패널과 에어 튜브 사이 그리고 하상 콘크리트 바닥과 에어 튜브 사이에 있는 토사, 자갈, 돌 등을 제거하거나 크리닝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철판 패널을 해체하여 작업하였는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공보 제10-2278001호(등록공고일: 2021.07.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의 목적은,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하상 콘크리트와 에어 튜브 사이 그리고 에어 튜브와 철판 패널 사이에 있는 토사, 자갈, 돌 등을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크리닝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에어 튜브의 하부시트에 구비된 에어노즐에 대하여 손상이 없으면서도 쉽고 편리하며 효율적으로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은, 하천에 설치되어 에어의 급기와 배기에 의해서 팽창 및 수축하여 철판 패널을 기립 및 도복시키는 에어 튜브와, 상기 에어 튜브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 기립 및 도복하여 유수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에어 튜브를 보호하는 철판 패널과, 상기 에어 튜브 및 철판 패널을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체결부재와, 상기 에어 튜브에 공기배관을 통해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와, 상기 에어 튜브 내의 공압을 조절하고, 각도센서, 압력센서, 수위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입력값을 기초로 에어 튜브로의 에어 공급의 단속을 제어하고 에어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동보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에어 튜브로 공기가 주입되어서 에어 튜브가 팽창되고 철판 패널이 기립되는 단계와, 상기 철판 패널이 설정된 기립각도로 기립된 상태에서 에어 튜브가 배기되는 경우에 철판 패널이 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팽창된 에어 튜브가 있는 하류 측에서 다수의 패널 지지봉이 철판 패널의 상단을 지지하는 단계와, 에어 튜브를 하상 콘크리트 바닥에 눕히기 위해서 에어 튜브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단계와, 공기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의 상측시트과 다수의 패널 지지봉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철판 패널 사이가 크리닝되는 단계와, 에어 튜브의 상측시트과 철판 패널 사이를 크리닝한 후에, 에어 튜브의 하측시트를 노출시키고 에어 튜브의 하측시트와 하상 콘크리트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에어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가 상방으로 리프팅되는 단계와, 에어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가 상방으로 리프팅된 상태에서, 에어 튜브의 하측시트에 구비된 에어노즐을 교체하거나 및/또는 하상 콘크리트와 에어 튜브의 하측시트 사이가 크리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하상 콘크리트와 에어 튜브 사이 그리고 에어 튜브와 철판 패널 사이에 있는 토사, 자갈, 돌 등을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크리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둘째, 에어 튜브의 하부시트에 에어노즐은 손상의 우려가 적고, 쉽고 편리하며 효율적으로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1)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주요 프로세스(단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1)의 주요부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패널 지지봉(60)이 철판 패널(20)의 상단을 지지하는 단계(S920)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개념 구성도로써 하류측에서 본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요부 구성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의 주요 단계에서의 요부 동작 구성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의 주요 단계에서의 다른 요부 동작 구성 개념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유지 보수 관리에는 크리닝과 노즐 부품 교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은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에 의해서 수행되고 실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을 수행 내지 실행하기 위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1)는, 하천(하천에는 저수지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에 설치되어 에어의 급기와 배기에 의해서 팽창 및 수축하여 철판 패널(20)을 기립 및 도복시키는 에어 튜브(10)와, 상기 에어 튜브(10)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 기립 및 도복하여 유수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에어 튜브(10)를 보호하는 철판 패널(20)과, 상기 에어 튜브(10) 및 철판 패널(20)을 하상 콘크리트(B1)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체결부재(30)와, 상기 에어 튜브(10)에 공기배관(430)을 통해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40)와, 상기 에어 튜브(10) 내의 공압을 조절하고, 에어 튜브의 공기압의 제어 설정값이 입력되며, 각도센서(532), 압력센서, 수위센서(531)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입력값을 기초로 에어 튜브(10)로의 에어 공급의 단속을 제어하고 에어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동보 제어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또는 하면(10b)이라고 한다]에는 공기배관(430)과 연통하는 에어노즐(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초체결부재(30)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써 하천 바닥에 타설되는 하상 콘크리트(B1)에 체결되어서 에어 튜브(10)와 철판 패널(20)을 장착하는 앙카볼트(310)와, 이 앙카볼트(310)와 에어 튜브(10)와의 체결을 강화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장착플레이트(320)가 포함된다.
상기 에어공급장치(40)에는 고압의 공기로 압축하여 공기배관(430)을 통해서 에어 튜브(10)로 공급하는 에어 콤프레셔(410)와, 에어 콤프레셔(410)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에어 드라이어(420)가 포함된다.
상기 가동보 제어장치(50)에는 에어 튜브(10) 내의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조절장치(520)와, 사용자의 세팅값이 입력되고, 수위센서(531), 각도센서(532) 및 압력센서(533) 등의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입력값을 기초로 에어공급장치(40)로 기립 및 도복의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공압조절장치(520)로 공압조절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철판 패널(20)의 기립 및 도복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그 각도를 제어하는 컨트롤 판넬(510)이 포함된다.
상기 컨트롤 판넬(510)로 센싱값을 출력하는 수위센서(531), 각도센서(532) 및 압력센서(533) 등을 포함하는 센서 자체는 본원발명의 출원전에 공지된 구성이고, 또한 상기 기초체결부재(30), 에어공급장치(40) 및 가동보 제어장치(50) 그 자체도 본원발명의 출원 전에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은, 하천(하천에는 저수지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에 설치되어 에어의 급기와 배기에 의해서 팽창 및 수축하여 철판 패널(20)을 기립 및 도복시키는 에어 튜브(10)와, 상기 에어 튜브(10)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 기립 및 도복하여 유수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에어 튜브(10)를 보호하는 철판 패널(20)과, 상기 에어 튜브(10) 및 철판 패널(20)을 하상 콘크리트(B1)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체결부재(30)와, 상기 에어 튜브(10)에 공기배관(430)을 통해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40)와, 상기 에어 튜브(10) 내의 공압을 조절하고, 에어 튜브의 공기압의 제어 설정값이 입력되며, 각도센서(532), 압력센서, 수위센서(531)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입력값을 기초로 에어 튜브(10)로의 에어 공급의 단속을 제어하고 에어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동보 제어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1)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먼저 컨트롤 판넬(510) 및 공압조절장치(520)의 제어에 의해서 복수의 에어 튜브(10)로 공기가 주입되어서 에어 튜브(10)가 팽창되고 철판 패널(20)이 설정된 기립각도로 기립되는 단계(S910)가 수행된다[도 2의 (a)].
다음으로 상기 철판 패널(20)이 설정된 기립각도로 기립된 상태(S910)에서 에어 튜브(10)가 배기되는 경우에도 철판 패널(20)이 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팽창된 에어 튜브(10)가 있는 하천의 하류 측에서 하상 콘크리트(B1)와 철판 패널(20) 사이에 다수의 봉(bar) 형상의 패널 지지봉(60)이 설치되어서 철판 패널(20)의 상단을 지지하는 단계(S920)가 수행된다[도 2의 (b)].
상기 철판 패널(20)의 상단에는 하천의 하류측으로 즉 에어 튜브(10)가 있는 방향으로 상단 절곡부(22)가 후방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 지지봉(60)은 상기 철판 패널(20)의 상단 절곡부(22)를 지지하여서 철판 패널(2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패널 지지봉(60)이 그 하측이 하상 콘크리트(B1)에 지지되고 그 상측이 철판 패널(2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철판 패널(20)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 지지봉(60)은 예컨대 지지봉 구동수단(610)에 의해서 철판 패널(20)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도 5의 (a) 참조].
상기 지지봉 구동수단(610)은 예컨대 패널 지지봉(60)이 철판 패널(20)의 상단 절곡부를 지지하도록 패널 지지봉(60)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봉 구동수단(610)은 상기 컨트롤 판넬(510)의 구동제어신호에 의해서 회전구동하는 전동모터와, 일측이 상기 전동모터의 모터축에 축설되고 타측이 패널 지지봉(60)에 체결되어서 패널 지지봉(60)이 철판 패널(20)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전동모터의 회전구동에 따라서 패널 지지봉(60)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봉 구동수단(610)은 상기 컨트롤 판넬(510)의 구동제어신호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여 패널 지지봉(60)을 설정된 각도로 회동시키는 회전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에어 튜브(10)를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히기 위해서, 컨트롤 판넬(510) 및 공압조절장치(520)의 제어에 의해서 에어 튜브(10) 내의 공기가 배출되어서 에어 튜브(10)가 수축되는 단계(S930)가 수행된다[도 2의 (c)].
그리고, 공기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수축된 에어 튜브(10)의 상측시트(10t)와 다수의 패널 지지봉(60)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철판 패널(20) 사이(St)가 크리닝되는 단계(S940)가 수행된다.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의 상측시트(10t)와 철판 패널(20) 사이(St)의 크리닝은 에어 튜브 상측시트에 철판 패널 사이(St)에 있는 모래, 토사, 이물질 등을 예컨대 고압 살수 장비에 의한 물로 흘려서 클리닝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의 상측시트(10t)와 철판 패널(20) 사이(St)의 크리닝은 예컨대 컨트롤 판넬(510)의 제어를 기초로 크리닝 장비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크리닝 장비는 예컨대 고압 살수 장치, 고압 펌프 등을 이용한 블로어 또는 흡입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 튜브(10)의 상측시트(10t)와 철판 패널(20)의 사이(St)를 크리닝한 후에,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를 노출시키고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 사이(Sb)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에어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되는 단계(S950,S960)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튜브(10)의 상류 측은 앙카볼트(310)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B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앙카볼트(310)에 의해서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에어 튜브(10)가 위로 리프팅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에어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된 상태에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거나 및/또는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가 크리닝되는 단계(S980)가 수행된다.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의 크리닝은 예컨대 컨트롤 판넬(510)의 제어를 기초로 크리닝 장비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크리닝 장비는 예컨대 고압 살수 장치, 고압 펌프 등을 이용한 블로어 또는 흡입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거나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를 크리닝하는 단계(S980)는,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는 단계와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를 크리닝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과, 또는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는 단계와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를 크리닝하는 단계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계(공정)만 수행하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거나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를 크리닝하는 단계(S980)는,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는 단계와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를 크리닝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이거나,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거나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를 크리닝하는 단계(S980)는,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는 단계와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를 크리닝하는 단계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계(공정)만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를 크리닝에는 모래, 토사, 이물질 등을 예컨대 고압 살수 장비에 의한 물로 흘려서 클리닝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리고, 패널 지지봉(60)의 상단에는 철판 패널(20)과의 원활한 지지를 위한 지지 브라켓(62)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브라켓(62)은 박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고, 또는 플렉시블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에어 튜브(10)의 상방으로의 리프팅은 하기에서와 같이 다양한 수단과 방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인데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에어가 배출되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되는 단계(S950,S960)는, 공기의 배기에 의해서 수축되어서 하상 콘크리트(B1)에 눕혀진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면 사이에 지렛대(710)가 삽입되는 단계(S950)[도 2의 (d)]와, 에어 튜브(10)를 상방으로 리프팅하기 위해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된 지렛대(710)의 일단을 지지축으로 하여 지렛대(710)의 타측이 상방으로 무빙하는 단계(S960)[도 2의 (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지렛대(710)가 그 일단[상류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그 타측이 상방으로 밀어 올라가게 되면[무빙하게 되면] 에어가 배출된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되는 것이다.
에어 튜브의 밑면을 노출시키기 위해서, 에어 튜브을 들어올려야 하는데, 에어 튜브가 무거워서 에어 튜브을 들어올리는 지렛대(710)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수축되어서 하상 콘크리트(B1)에 눕혀진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면 사이에 지렛대(710)가 삽입되는 단계(S950)는, 예컨대 지렛대 공급수단(73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도 5의 (b)].
지렛대 공급수단(730)은 예컨대 컨트롤 판넬(510)의 제어를 기초로 공압에 의해서 지렛대(710)를 홀딩하거나 홀딩 해제하는 에어척과, 컨트롤 판넬(510)의 제어를 기초로 에어척을 왕복 선형 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된 지렛대(710)의 일단을 지지축[또는 회전축]으로 하여 지렛대(710)의 타측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무빙하는] 단계(S960)는, 예컨대 수직 승강부재(74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도 5의 (c)].
상기 수직 승강부재(740)는 상기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된 지렛대(710)의 타측을 상방으로 밀어 올려서 지렛대(710)가 수축된 에어 튜브(10)를 상방으로 리프팅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직 승강부재(740)는 예컨대 승강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면 사이(Sb)에 삽입된 지렛대(710)의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지렛대(710)의 타측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단계(S960) 수행 후에, 일단을 회전축으로 타측이 상방으로 올려진 지렛대(710)가 지렛대 고정부재(720)에 의해서 그 회동된 지렛대의 회전각도가 유지되도록 지렛대(710)가 고정되는 단계(S970)[도 2의 (f)]가 더 수행되고, 상기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거나 및/또는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를 크리닝하는 단계(S980)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렛대 고정부재(720)는 예컨대 하단이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지렛대(710)에 지지되어서 지렛대(710)를 고정하는 봉 형상의 지렛대 고정봉(720)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2의 (f)].
또는 상기 지렛대 고정부재(722)는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에 재치되고 빗면이 상기 지렛대(710)에 지지되어서 지렛대(710)를 고정하는 예컨대 삼각 받침대(722)로 구성될 수 있다[도 5의 (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에어가 배출되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되는 단계는, 배기에 의해서 수축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의 아래에서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에 재치되고[도 6의 (a)], 컨트롤 판넬(510)의 제어에 의해서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운동하는 튜브 회전부재(750)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도 6의 (b)]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에어가 배출된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된다.
상기 튜브 회전부재(750)는 예컨대 수축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의 아래에서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에 재치되고, 컨트롤 판넬(510)의 제어에 의해서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운동하는 회전 액축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도 6 참조].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컨트롤 판넬(510)에는 유지보수 기준 수위값이 저장되어 있고, 수위센서(531)로부터 수신된 현재 수위값이 컨트롤 판넬(5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유지보수 기준 수위값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팽창된 에어 튜브(10)가 있는 하류 측에서 하상 콘크리트(B1)와 철판 패널(20) 사이에 다수의 패널 지지봉(60)이 설치되어서 철판 패널(20)의 상단을 지지하는 단계(S920)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월류에 의한 안전사고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된 상태에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거나 및/또는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가 크리닝되는 단계(S980) 수행 후에, 컨트롤 판넬(510) 및 공압조절장치(520)의 제어에 의해서 에어 튜브(10)에 공기가 설정된 공압으로 주입하는 단계와, 패널 지지봉(60)이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
B1 : 하상 콘크리트
St : 에어 튜브의 상면과 철판 패널의 사이
Sb : 하상 콘크리트와 에어 튜브의 하면의 사이
10 : 에어 튜브
10t : 에어 튜브의 상측시트 10b : 에어 튜브의 하측시트
12 : 에어노즐 20 : 철판 패널
22 : 철판 패널의 상단 절곡부 30 : 기초체결부재
310 : 앙카볼트 320 : 장착플레이트
40 : 에어공급장치 410 : 에어 콤프레셔
420 : 에어 드라이어 430 : 공기배관
50 : 가동보 제어장치 510 : 컨트롤 판넬
520 : 공압조절장치 531 : 수위센서
532 : 각도센서 533 : 압력센서
60 : 패널 지지봉
62 : 지지 브라켓 610 : 지지봉 구동수단
710 : 지렛대 720,722: 지렛대 고정부재
730 : 지렛대 공급수단 740 : 수직 승강부재
750 : 튜브 회전부재 80 : 튜브 회동 부재

Claims (6)

  1. 하천에 설치되어 에어의 급기와 배기에 의해서 팽창 및 수축하여 철판 패널(20)을 기립 및 도복시키는 에어 튜브(10)와, 상기 에어 튜브(10)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 기립 및 도복하여 유수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에어 튜브(10)를 보호하는 철판 패널(20)과, 상기 에어 튜브(10) 및 철판 패널(20)을 하상 콘크리트(B1)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체결부재(30)와, 상기 에어 튜브(10)에 공기배관(430)을 통해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40)와, 상기 에어 튜브(10) 내의 공압을 조절하고, 각도센서(532), 압력센서, 수위센서(531)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입력값을 기초로 에어 튜브(10)로의 에어 공급의 단속을 제어하고 에어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동보 제어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1)의 유지 보수 방법에 있어서,
    에어 튜브(10)로 공기가 주입되어서 에어 튜브(10)가 팽창되고 철판 패널(20)이 기립되는 단계(S910)와,
    상기 철판 패널(20)이 설정된 기립각도로 기립된 상태에서 에어 튜브(10)가 배기되는 경우에 철판 패널(20)이 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팽창된 에어 튜브(10)가 있는 하류 측에서 다수의 패널 지지봉(60)이 철판 패널(20)의 상단을 지지하는 단계(S920)와,
    에어 튜브(10)를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히기 위해서 에어 튜브(10)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단계(S930)와,
    공기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의 상측시트(10t)와 다수의 패널 지지봉(60)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철판 패널(20) 사이(St)가 크리닝되는 단계(S940)와,
    에어 튜브(10)의 상측시트(10t)와 철판 패널(20)의 사이(St)를 크리닝한 후에,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를 노출시키고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 사이(Sb)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에어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되는 단계(S950,S960)와,
    에어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된 상태에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거나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가 크리닝되는 단계(S9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가 배출되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되는 단계(S950,S960)는,
    공기의 배기에 의해서 수축되어서 하상 콘크리트(B1)에 눕혀진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면 사이에 지렛대(710)가 삽입되는 단계(S950)와,
    에어 튜브(10)를 상방으로 리프팅하기 위해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된 지렛대(710)의 일단을 지지축으로 하여 지렛대(710)의 타측이 상방으로 무빙하는 단계(S9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와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면 사이(Sb)에 삽입된 지렛대(710)의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지렛대(710)의 타측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단계(S960) 수행 후에,
    일단을 회전축으로 타측이 상방으로 올려진 지렛대(710)가 지렛대 고정부재(720)에 의해서 그 회동된 지렛대의 회전각도가 유지되도록 지렛대(710)가 고정되는 단계(S970)가 더 수행되고,
    상기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거나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를 크리닝하는 단계(S980)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 배출되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되는 단계는,
    수축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의 아래에서 하상 콘크리트(B1)의 바닥에 재치되고, 컨트롤 판넬(510)의 제어에 의해서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운동하는 튜브 회전부재(750)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위센서(531)로부터 수신된 현재 수위값이 컨트롤 판넬(5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유지보수 기준 수위값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다수의 패널 지지봉(60)이 철판 패널(20)의 상단을 지지하는 단계(S920)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의 배출에 의해서 하상 콘크리트(B1) 바닥에 눕혀진 에어 튜브(10)가 상방으로 리프팅된 상태에서,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에 구비된 에어노즐(12)을 교체하거나 하상 콘크리트(B1)와 에어 튜브(10)의 하측시트(10b) 사이(Sb)가 크리닝되는 단계(S980) 수행 후에,
    컨트롤 판넬(510) 및 공압조절장치(520)의 제어에 의해서 에어 튜브(10)에 공기가 설정된 공압으로 주입하는 단계와,
    패널 지지봉(60)이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KR1020230173532A 2023-12-04 2023-12-04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KR102637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3532A KR102637899B1 (ko) 2023-12-04 2023-12-04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3532A KR102637899B1 (ko) 2023-12-04 2023-12-04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899B1 true KR102637899B1 (ko) 2024-02-19

Family

ID=9005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3532A KR102637899B1 (ko) 2023-12-04 2023-12-04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8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6277A (ja) * 2003-08-29 2005-03-24 Marsima Aqua System Corp 起伏ゲート
KR101627334B1 (ko) * 2015-09-22 2016-06-15 (주) 디케이금속 청소수단이 구비된 수문
KR102278001B1 (ko) 2021-03-12 2021-07-14 안종범 이물질 퇴적을 방지하여 하천 정화를 위한 장스판 전도식 가동보
KR102483692B1 (ko) * 2022-04-11 2023-01-03 주식회사 청수환경 공압식 가동보 제어방법
KR102632295B1 (ko) * 2023-09-25 2024-02-02 주식회사 청수환경 공압 철판전도식 가동보의 급배기가 원활한 에어 튜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6277A (ja) * 2003-08-29 2005-03-24 Marsima Aqua System Corp 起伏ゲート
KR101627334B1 (ko) * 2015-09-22 2016-06-15 (주) 디케이금속 청소수단이 구비된 수문
KR102278001B1 (ko) 2021-03-12 2021-07-14 안종범 이물질 퇴적을 방지하여 하천 정화를 위한 장스판 전도식 가동보
KR102483692B1 (ko) * 2022-04-11 2023-01-03 주식회사 청수환경 공압식 가동보 제어방법
KR102632295B1 (ko) * 2023-09-25 2024-02-02 주식회사 청수환경 공압 철판전도식 가동보의 급배기가 원활한 에어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69164A (ja) 橋桁送出し工法
JP4490833B2 (ja) 橋脚等の支柱の補強工法およびその補強装置
CN208290175U (zh) 一种预制混凝土叠合板生产线
JP2021147944A (ja) コンクリート養生用散水装置
KR102637899B1 (ko) 공압 철판 전도식 가동보의 유지 보수 방법
KR0171420B1 (ko) 콘크리트 고르게 하는 장치
CN109403347A (zh) 一种框架式双排桩水泥土墙基坑围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844977B1 (ko)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JP2011093643A (ja) 直上高架橋の基礎工用施工装置及び施工方法
JP4980257B2 (ja) 柱頭部施工用架設装置およびその一部を利用した移動作業車の構築方法ならびに橋梁の張出し施工方法
JP2009097197A (ja) 柱頭部の構築方法
KR102240714B1 (ko) 수로용 제진기의 전방보조스크린 앞에 쌓이는 쓰레기를 제거하는 장치
JP2003313824A (ja) 立体交差施工方法、立体交差および移動架台
CN205701736U (zh) 清理装置和泵车
CN213061799U (zh) 一种桥梁工程用车辆限行装置
CN211257919U (zh) 一种可移动工具式格构柱支撑装置
CN209323529U (zh) 一种框架式双排桩水泥土墙基坑围护结构
RU2236508C2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ветвевой внецентренно нагруженной колонны с фундаментом и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роектной отметки фундамента и каркаса здания
CN204676610U (zh) 一种用于现浇板后浇带施工中的模板顶托工具
CN217515350U (zh) 用于搭设水上平台的装置及水上平台
JP2004232205A (ja) 建物支持構造物
JP6103600B2 (ja) 太陽光発電ユニットの設置方法
CN216786784U (zh) 一种用于钢箱梁的支撑装置
CN211257923U (zh) 一种倒置式拉杆拱支撑装置
JP2007191893A (ja) 橋梁の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