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012B1 -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 Google Patents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012B1
KR102637012B1 KR1020230160072A KR20230160072A KR102637012B1 KR 102637012 B1 KR102637012 B1 KR 102637012B1 KR 1020230160072 A KR1020230160072 A KR 1020230160072A KR 20230160072 A KR20230160072 A KR 20230160072A KR 102637012 B1 KR102637012 B1 KR 102637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 contact
pin
traffic sign
vertical suppor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김지현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지
Priority to KR1020230160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구조물과의 강한 결합강도를 보장하여 정확한 교통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차량 통행으로 인한 주행풍, 강한 바람 등에 의해 도로구조물로부터 임의로 이탈해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진로 방해와 충돌사고로 인한 인사사고를 방지해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Attached type temporarily traffic sign structure}
본 발명은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구조물과의 강한 결합강도를 보장하여 정확한 교통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차량 통행으로 인한 주행풍, 강한 바람 등에 의해 도로구조물로부터 임의로 이탈해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진로 방해와 충돌사고로 인한 인사사고를 방지해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서 각종 공사를 하거나 또는 교통사고 발생 시 이를 수습하기 위한 작업 등을 하는 경우,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리거나 차량의 서행 등을 유지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교통표지판을 세우게 되는데, 이러한 임시 교통표지판은 주로, 상대적으로 강성이 보장된 중앙분리대에 설치하여 운용되고 있다.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교통표지판 구조물은 중앙분리대에 영구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기간에만 설치한 후 작업이 끝나면 제거하게 되므로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소화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력과 구조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임시 교통표지판을 도로구조물에 연계 설치하여 운영하게 되면 임시 교통표지판의 유지력이 충분하지 못한 관계로, 도로구조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며, 이렇게 교통표지판이 유실될 경우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임시 교통표지판이 임의 분리되는 가장 큰 이유는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풍과 도로에 부는 강한 바람이 교통표지판의 판면에 그대로 투영해 충분한 유지력이 없는 교통표지판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는데 기인한다.
이와 같이, 교통표지판이 도로구조물에서 임의 분리돼 빠르게 주행하는 차량을 덮치거나, 도로면에 나뒹굴게 되면 이러한 교통표지판의 회피를 위한 차량의 급선회로 차량의 전도, 교통표지판과의 직접적인 충돌사고 등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2010-006424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구조물과의 강한 결합강도를 보장하여 정확한 교통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차량 통행으로 인한 주행풍, 강한 바람 등에 의해 도로구조물로부터 임의로 이탈해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진로 방해와 충돌사고로 인한 인사사고를 방지해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통표지판을 부착하기 위한 지주와 상기 지주를 결합하여 지지하고 중앙분리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중앙에 지주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 제1 방향으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밀착부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결합편을 포함하는 결합부재;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밀착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수직지지부, 상기 제1 수직지지부의 상단의 양단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편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 및 상기 제1 수직지지부에 제1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고 상기 제1 밀착부를 가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밀착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수직지지부, 상기 제2 수직지지부의 상단의 양단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편에 각각 고정되는 제3 및 제4 사이드지지부 및 상기 제2 수직지지부에 제1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고 상기 제2 밀착부를 가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볼트의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라 제1 핀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볼트의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라 제2 핀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핀체결홀에는 제1 체결핀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2 핀체결홀에는 제2 체결핀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한편, 제1 체결핀과 제2 체결핀의 일단은 각각 제1 밀착부와 제2 밀착부를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재의 제1 및 제2 밀착부는 내측 면에 패드 또는 사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볼트는 볼트헤드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지지부에는 상기 볼트헤드가 걸려 상기 제1 및 제2 가압볼트가 내측으로 들어가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직지지부의 양단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결합편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편을 각각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수직지지부의 양단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및 제4 가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사이드지지부가 상기 제3 및 제4 결합편과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편을 각각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수평플레이트에서 절개되어 상부로 절곡 형성되며 제1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체결홀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제2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고정볼트가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을 상호 통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주와 상기 수평플레이트를 결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구조물과의 강한 결합강도를 보장하여 정확한 교통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차량 통행으로 인한 주행풍, 강한 바람 등에 의해 도로구조물로부터 임의로 이탈해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진로 방해와 충돌사고로 인한 인사사고를 방지해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이 중앙분리대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가압볼트와 제2 가압볼트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지주와 고정유닛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예의 도면에서 나타난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고정유닛이 도로의 중앙선 위치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하면, 고정유닛의 폭방향,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각각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으로 정의한다.
또한, 중앙분리대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하여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본 설명에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이하, 교통표지판 구조물(1)이라 함)은 도로의 중앙선에 중앙분리대(20)에 설치되어 작업 중의 안내문과 같은 내용을 공지하는 임시 교통표지판이 부착된 지주(1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일 실시 예에서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고속도로용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 시 일반도로의 중앙분리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1)은 임시 교통표지판이 부착되는 지주(10)와, 이러한 지주(10)가 결합되어 지지되며 중앙분리대(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은, 중앙분리대(20)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결합부재(30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400, 50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부재(400, 500)는 결합부재(300)를 중앙분리대(20)에 단단히 밀착 고정시키고 작업이 끝나 교통표지판의 사용이 불필요해지면 결합부재(300)가 중앙분리대(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부재(300)와 중앙분리대(20)의 밀착된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300)는 지주(10)가 결합되어 지지되고 중앙분리대(20)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중앙에 지주(10)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310),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 및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는 제1 방향(X)으로 수평플레이트(310)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의 내측 면에는 중앙분리대(20)의 양 측면(22, 23)에 밀착 시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와 미끄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실리콘, 고무 또는 스폰지와 같은 푹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의 내측 면에 전체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의 내측 면 중 일부에 점이나 선 형태로 분산 배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의 내측 면에는, 마찰에 의해 중앙분리대(20)와의 결합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조도를 가지는 사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교통표지판 구조물(1)은 사용 후 중앙분리대(20)로부터 분리하더라도 패드 또는 사포만 손상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큰 변화가 없으므로, 패드 또는 사포만 교체한 후 다른 도로 작업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의 내측 면에 복수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은 제1 방향(X)과 수직인 제2 방향(Y)으로 수평플레이트(310)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은 제1 방향(X)으로 수평플레이트(310)의 양단에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는 수평플레이트(310)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에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과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360)가 마련될 수 있다. 공간부(360)는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가 내측으로 틸팅될 때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00)는 제1 수직지지부(430),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420, 4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가압볼트(630)를 포함한다.
제1 수직지지부(430)는 제1 방향(X)으로 제1 밀착부(32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420, 410)는 제1 수직지지부(430)의 제2 방향(Y)의 양단에서 제1 방향(X)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420, 410)는 제3 방향(Z)으로 제1 수직지지부(430)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제1 수직지지부(430)와 수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중앙분리대(20)에 결합부재(300)를 끼울 때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420, 410)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420, 410)는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420, 410)는 용접으로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에 각각 고정되거나 또는 볼트체결을 통해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볼트체결을 통해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420, 410)가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2개 이상의 고정볼트(600)가 사용된다. 한편, 미설명된 도면부호 610은 고정볼트(600) 체결 시 사용되는 와셔를 가리킨다.
제1 가압볼트(630)는 제1 수직지지부(430)에 제1 방향(X)으로 관통 결합되고, 이때 제1 수직지지부(430)에는 제1 가압볼트(630)가 관통되도록 내측면에 나사선을 갖는 제1 볼트결합공(432)이 형성된다.
제1 가압볼트(630)는 제1 수직지지부(430)의 내측에 위치한 제1 밀착부(320)를 가압하여 제1 밀착부(320)가 중앙분리대(20)의 한쪽 면(22)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볼트결합공(432)은 제1 가압볼트(63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제1 가압볼트(630)로 제1 밀착부(320)를 가압할 때 제1 밀착부(320)에 가해지는 압력이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제1 수직지지부(430)의 전체 면에 고르게 분산되게 위치한다.
또한, 제1 가압볼트(630)는 나사선을 갖는 제1 볼트몸체(631)와 제1 볼트몸체(63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볼트헤드(6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볼트(630)는 육각형태의 볼트헤드(632)를 가질 수 있고,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볼트헤드(632)는 예를 들어 십자 드라이버홈 또는 일자 드라이버홈을 가지는 구조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부호 431은 볼트헤드(632)가 걸려 제1 가압볼트(630)가 더 이상 내측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이다. 가이드돌기(431)는 제1 가압볼트(730)에 의해 제1 밀착부(320)가 필요 이상으로 가압되어 이로 인해 중앙분리대(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가압볼트(630)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가압볼트(630)와 후술하는 제2 가압볼트는 2개 이하이거나 4개 이상일 수 있다.
제1 가압볼트(630)의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라 제1 핀체결홀(6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핀체결홀(633)은 나사 곡선을 갖는 통상의 암나사 구조의 홀이며, 제1 가압볼트(630) 중앙을 완전히 관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압볼트(630)를 구성하는 제1 볼트몸체(631)와 제1 볼트헤드(632)의 양 단부로는 제1 핀체결홀(633)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핀체결홀(633)에는 제1 가압볼트(630)의 길이보다 긴 제1 체결핀(634)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한편, 제1 밀착부(320)를 향하는 제1 체결핀(634)의 일단은 제1 가압볼트(630)와 동시에 제1 밀착부(320)를 압입할 수 있다.
제1 가압볼트(630)와 제1 밀착부(320)는 플랫한 면과 면의 구조로서 상호 접촉 지지되는 한편, 제1 체결핀(634)의 일단은 끝단이 날카로운 첨단을 형성하여 제1 가압볼트(630) 중심에서 제1 밀착부(320)를 점의 형태로 압입할 수 있다.
이때, 제1 밀착부(320)에는 제1 체결핀(634)의 첨부의 대응위치에 제1 체결핀(634)의 첨부가 일정 부분 수용되도록 하는 제1 핀통과홀(3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핀(634)의 단부가 상기 제1 핀통과홀(322)에 삽입 유지되면 제1 체결핀(634)과 결합된 계통, 예를 들어 제1 고정부재(400) 전체의 편심 이동이 억제돼 결합부재 상에 제1 고정부재(400)가 보다 견고히 장착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제2 고정부재(500)는 제1 방향(X)으로 제1 고정부재(400)와 대칭인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제2 수직지지부(530), 제3 및 제4 사이드지지부(520, 5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가압볼트(6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수직지지부(430, 530)는 제3 방향(Z)으로 상단에 제1 및 제2 홈부(43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홈부(433)는 제2 방향(Y)으로 제1 및 제2 수직지지부(430, 530)의 가운데 지점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방향(Y)으로 제1 및 제2 홈부(433)의 일단에서 제1 및 제2 수직지지부(430, 530)의 인접한 한쪽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와 제1 및 제2 홈부(433)의 타단에서 제1 및 제2 수직지지부(430, 530)의 인접한 반대쪽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제2 가압볼트(640)는 전술한 제1 가압볼트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장착 방향에 있어서 대칭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일례로, 제2 가압볼트(640)의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라 제2 핀체결홀(6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핀체결홀(643)은 나사 곡선을 갖는 통상의 암나사 구조의 홀이며, 제2 가압볼트(640) 중앙을 완전히 관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압볼트(640)를 구성하는 제2 볼트몸체(641)와 제2 볼트헤드(642)의 양 단부로는 제2 핀체결홀(643)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핀체결홀(643)에는 제2 가압볼트(640)의 길이보다 긴 제2 체결핀(644)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한편, 제2 밀착부(330)를 향하는 제2 체결핀(644)의 일단은 제2 가압볼트(640)와 동시에 제2 밀착부(330)를 압입할 수 있다.
제2 가압볼트(640)와 제2 밀착부(330)는 플랫한 면과 면의 구조로서 상호 접촉 지지되는 한편, 제2 체결핀(644)의 일단은 끝단이 날카로운 첨단을 형성하여 제2 가압볼트(640) 중심에서 제2 밀착부(330)를 점의 형태로 압입할 수 있다.
이때, 제2 밀착부(330)에는 제2 체결핀(644)의 첨부의 대응위치에 제2 체결핀(644)의 첨부가 일정 부분 수용되도록 하는 제2 핀통과홀(3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체결핀(644)의 단부가 상기 제2 핀통과홀(332)에 삽입 유지되면 제2 체결핀(644)과 결합된 계통, 예를 들어 제2 고정부재(500) 전체의 편심 이동이 억제돼 결합부재 상에 제2 고정부재(500)가 보다 견고히 장착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1)은, 표지판이 설치된 지주(10)를 결합부재(300)에 결합시키고, 결합부재(300)의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 사이에 중앙분리대(20)가 위치하도록 결합부재(300)를 중앙분리대(20)의 상단에 끼운다. 이때, 결합부재(300)의 수평플레이트(310)의 저면이 중앙분리대(20)의 상단면(21)에 밀착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수직지지부(430)에 구비된 제1 가압볼트(630)를 조이면 제1 가압볼트(630)가 결합부재(300)의 제1 밀착부(320)를 제1 방향(X)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제1 밀착부(320)가 중앙분리대(20)의 일 측면(22)에 밀착되도록 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제2 수직지지부(530)에 구비된 제2 가압볼트(640)를 조이면 제2 가압볼트(640)가 결합부재(300)의 제2 밀착부(330)를 제1 방향(X)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제2 밀착부(330)가 중앙분리대(20)의 타 측면(23)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1 체결핀(634)과 제2 체결핀(644)을 각각 제1 핀체결홀(633)과 제2 핀체결홀(643)에 삽입 결합하여 일단이 제1 밀착부(320)와 제2 밀착부(330)의 제1 핀통과홀(322)과 제2 핀통과홀(332)에 삽입 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1 가압볼트(630)와 제1 체결핀(634)을 이중으로 결합하고, 제2 가압볼트(640)와 제2 체결핀(644)을 이중으로 체결 결합하게 되면 진동으로 인한 나사 풀림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고정력을 보장할 수 있다.
이에 결합부재(300)가 중앙분리대(20)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표지판의 사용이 끝난 후에는, 제1 및 제2 가압볼트(630, 640)를 풀러 제1 및 제2 밀착부(320, 330)가 중앙분리대(20)의 양 측면(22, 2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후, 일 실시 예의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1)을 중앙분리대(20)로부터 빼내어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교통표지판 구조물(1')은, 제1 및 제2 고정부재(300', 400')의 형태 및 구조에서 일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결합부재(300')의 경우, 일 실시 예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결합부재(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재(300')는 제2 방향(Y)으로 제1 수직지지부(430')의 양단에서 제1 방향(X)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편(440, 450)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420', 410')가 제1 및 제2 결합편(340, 350)과 제1 및 제2 가이드편(440, 450)을 각각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2 고정부재(400')는 제1 방향(X)으로 제1 고정부재(300')와 대칭인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제2 수직지지부(530')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및 제4 가이드편(540)을 포함하고, 제3 및 제4 사이드지지부(520')가 제3 및 제4 결합편(340, 350)과 제3 및 제4 가이드편(540)을 각각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제1 및 제2 수직지지부(430', 530')의 높이를 일 실시 예에 비해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밀착부(3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멍(321)은 제3 방향(Z)으로 길게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평플레이트(310)와 지주(10)는 용접, 리브 등의 구성 없이 서로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서 수평플레이트(310)는 평평한 면이 도시되고 다른 부분은 생략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수평플레이트(310)와 지주(10)의 결합을 위해서는, 수평플레이트(310)에서 절개되어 상부로 절곡 형성되며 제1 체결홀(312)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플레이트(311)를 더 포함하고, 지주(10)의 하단에는 제1 체결홀(312)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제2 체결홀(11)이 관통 형성되고, 고정볼트(13)가 제1 체결홀(312)과 제2 체결홀(11)을 상호 통과하는 방식으로 지주(10)와 수평플레이트(310)를 결착시킬 수 있다.
이에 용접, 리브 등의 구성 없이 지주(10)를 고정유닛에 연결 결합하여, 용접을 통해 수반되는 각종 문제점과, 리브에 의해 통행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1':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10: 지주
20: 중앙분리대
300: 결합부재
310: 수평플레이트
320, 330: 제1 및 제2 밀착부
340, 350: 제1 및 제2 결합편
400, 500: 제1 및 제2 고정부재
410, 420: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
430: 제1 수직지지부
510, 520: 제3 및 제4 사이드지지부
530: 제2 수직지지부
600: 고정볼트
630, 640: 제1 및 제2 가압볼트

Claims (5)

  1. 교통표지판을 부착하기 위한 지주와 상기 지주를 결합하여 지지하고 중앙분리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중앙에 지주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평플레이트, 제1 방향으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밀착부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결합편을 포함하는 결합부재;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밀착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수직지지부, 상기 제1 수직지지부의 상단의 양단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편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 및 상기 제1 수직지지부에 제1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고 상기 제1 밀착부를 가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밀착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수직지지부, 상기 제2 수직지지부의 상단의 양단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편에 각각 고정되는 제3 및 제4 사이드지지부 및 상기 제2 수직지지부에 제1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고 상기 제2 밀착부를 가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볼트의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라 제1 핀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볼트의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라 제2 핀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핀체결홀에는 제1 체결핀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2 핀체결홀에는 제2 체결핀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한편, 제1 체결핀과 제2 체결핀의 일단은 각각 제1 밀착부와 제2 밀착부를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제1 및 제2 밀착부는 내측 면에 패드 또는 사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압볼트는 볼트헤드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지지부에는 상기 볼트헤드가 걸려 상기 제1 및 제2 가압볼트가 내측으로 들어가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직지지부의 양단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결합편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편을 각각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수직지지부의 양단에서 제1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및 제4 가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사이드지지부가 상기 제3 및 제4 결합편과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편을 각각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수평플레이트에서 절개되어 상부로 절곡 형성되며 제1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체결홀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제2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고정볼트가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을 상호 통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주와 상기 수평플레이트를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KR1020230160072A 2023-11-20 2023-11-20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KR102637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0072A KR102637012B1 (ko) 2023-11-20 2023-11-20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0072A KR102637012B1 (ko) 2023-11-20 2023-11-20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012B1 true KR102637012B1 (ko) 2024-02-15

Family

ID=8989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0072A KR102637012B1 (ko) 2023-11-20 2023-11-20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01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150A (ja) * 2003-04-03 2004-11-04 Takasho Co Ltd 支柱用支持金具
KR20100064242A (ko) 2008-12-04 2010-06-14 옥윤선 도로시설물용 표지판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JP2011047185A (ja) * 2009-08-26 2011-03-10 Hanshin Expressway Engineering Co Ltd 道路用看板
JP2011106174A (ja) * 2009-11-18 2011-06-02 Seisan Bike:Kk 手すり壁用固定具
KR20140018614A (ko) * 2012-08-02 2014-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호벽 결합체
US20150292226A1 (en) * 2014-02-08 2015-10-15 Franklin B. White Theft resistant upstanding mount for temporary positioning of costly equipment at unattended outdoor locations
KR20180128318A (ko) * 2017-05-23 2018-12-03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임시 교통안전 표지판 설치장치
KR20190142621A (ko) *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가드레일용 교통안전 표지판 설치장치
KR102516667B1 (ko) * 2021-10-28 2023-03-30 김준형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JP7336795B1 (ja) * 2022-08-03 2023-09-01 有限会社エイム 親綱支柱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150A (ja) * 2003-04-03 2004-11-04 Takasho Co Ltd 支柱用支持金具
KR20100064242A (ko) 2008-12-04 2010-06-14 옥윤선 도로시설물용 표지판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JP2011047185A (ja) * 2009-08-26 2011-03-10 Hanshin Expressway Engineering Co Ltd 道路用看板
JP2011106174A (ja) * 2009-11-18 2011-06-02 Seisan Bike:Kk 手すり壁用固定具
KR20140018614A (ko) * 2012-08-02 2014-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호벽 결합체
US20150292226A1 (en) * 2014-02-08 2015-10-15 Franklin B. White Theft resistant upstanding mount for temporary positioning of costly equipment at unattended outdoor locations
KR20180128318A (ko) * 2017-05-23 2018-12-03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임시 교통안전 표지판 설치장치
KR20190142621A (ko) *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가드레일용 교통안전 표지판 설치장치
KR102516667B1 (ko) * 2021-10-28 2023-03-30 김준형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JP7336795B1 (ja) * 2022-08-03 2023-09-01 有限会社エイム 親綱支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20634B (zh) 改进的障碍结构
EP1766141B1 (en) Road safety barrier
CN103526705B (zh) 用于耗散能量以使撞击车辆减速的护栏安全系统
US7955023B2 (en) Slip base structure with clip device
KR102637012B1 (ko)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KR101207171B1 (ko)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CN111483417A (zh) 一种汽车防撞横梁总成
KR20090009012U (ko) 도로 교통 표지판
KR200391847Y1 (ko) 가드레일용 지주캡 장착구조
KR102126738B1 (ko) 차선분리대
KR200287747Y1 (ko) 도로안내표지판
KR20110078088A (ko) 차선지시봉
KR200389738Y1 (ko) 가이드레일의 델리네이터고정용 클립
KR101310010B1 (ko) 도로 안전가이드
KR100579618B1 (ko) 충격흡수용 조립식 도로 중앙분리대
JP376418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9151419A (ja) 遮音板
JP3014313U (ja) 落石防止柵に於けるワイヤロープの固定装置
KR100542541B1 (ko) 도로 가드레일의 케이블 장착구조
KR100830398B1 (ko) 경관지구용 방호울타리
CN220450700U (zh) 一种路桥面板节点加固装置
KR200278471Y1 (ko) 도로표지판의 지주대
CN219951689U (zh) 一种公路桥梁防撞护栏
CN210087110U (zh) 一种推拉门的立柱系统
JP3053816U (ja) 親綱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