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171B1 -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 Google Patents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171B1
KR101207171B1 KR1020120075237A KR20120075237A KR101207171B1 KR 101207171 B1 KR101207171 B1 KR 101207171B1 KR 1020120075237 A KR1020120075237 A KR 1020120075237A KR 20120075237 A KR20120075237 A KR 20120075237A KR 101207171 B1 KR101207171 B1 KR 10120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mounting table
sign body
plat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석
Original Assignee
투인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남양산업
주식회사 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인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남양산업, 주식회사 대로 filed Critical 투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지면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지주나 상기 지주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아암에 결합되어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평판형의 표지판본체; 상기 표지판본체의 배면에 수직이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상의 막대형 설치대; 상기 표지판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설치대에 리베팅되면서 상기 표지판본체에 상기 설치대를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리벳; 및 상기 표지판본체에 밀착고정된 상기 설치대를 상기 지주나 아암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표지판본체를 상기 지주나 아암에 현수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리벳을 구성하는 관통바가 가압에 의해 일부분이 벌어지면서 설치대에 인서트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관통바의 유동이 억제되므로 표지판본체와 설치대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관통바가 표지판본체 및 설치대의 모재를 모재홀더에 수용하면서 설치대에 인서트되므로 표지판본체 및 설치대에 관통공을 선가공하지 않고도 리베팅될 수 있다.

Description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ROAD SIGN PLATE OF RIVET}
본 발명은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나 지주의 아암에 현수상태로 결합되면서 표지판본체와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결합부재가 표지판본체와 무용접으로 고정되는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운전자들에게 진행방향이나 도로상황 등과 같은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도로표지판이 설치된다. 도로표지판은 통상적으로 지면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지주나 지주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아암에 현수상태로 설치되어 표면에 도로정보를 현시한다. 이러한 도로표지판은 배면에 일체적으로 마련되는 연결대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지주나 아암에 현수상태로 고정된다.
그런데, 과거의 도로표지판은 결합부재가 용접에 의해 배면에 고정됨에 따라 열변형으로 인한 굴곡이 발생하므로 평탄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도로표지판의 굴곡은 표지문안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며, 적은 결로현상에도 난반사를 일으켜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지주나 아암에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무용접으로 고정되는 도로표지판이 출시되고 있다.
본 발명에 선행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37061호에 개시된 도로표지판이 있다. 선행기술의 도로표지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400)이 고정프레임(300) 및 결합밴드(600)에 의해 지주(100)의 연결봉(200)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고정프레임(300)은 체결부재(500)에 의해 표지판(4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체결부재(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400) 및 고정프레임(300)을 관통하여 선단부가 변형되면서 고정프레임(300)에 관통상태로 고정되는 결합부(510) 및 결합부(510)의 타단에서 표지판(400)에 삽입상태로 고정되는 돌출부(5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체결부재(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갖는 관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부(510)의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결합부(510)를 표지판(400) 및 고정프레임(300)에 관통시킨 후 결합부(510)를 가압하여 변형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선행기술의 도로표지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400) 및 고정프레임(300)에 관통공(410)이 선가공되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체결부재(500)는 결합부(510)의 고정부위가 고정프레임(30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표지판(400)에 가해지는 바람과 같은 외력이 반복됨에 따라 결합부(510)의 고정부위에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37061 B1
본 발명은 상술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표지판본체의 배면에 설치대를 무용접상태로 고정하는 리벳이 관통공의 선가공이 없이도 가압에 의해 표지판본체를 관통하면서 설치대에 리베팅될 수 있으며, 특히 리벳의 일부분이 설치대를 관통하지 않고 벌어진 형태로 설치대에 인서트되면서 고정될 수 있는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은, 지면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지주나 상기 지주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아암에 결합되어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평판형의 표지판본체; 상기 표지판본체의 배면에 수직이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상의 막대형 설치대; 상기 표지판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설치대에 리베팅되면서 상기 표지판본체에 상기 설치대를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리벳; 및 상기 표지판본체에 밀착고정된 상기 설치대를 상기 지주나 아암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표지판본체를 상기 지주나 아암에 현수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벳은, 상기 표지판본체를 가압에 의해 관통하여 상기 설치대에 선단부가 인서트되고, 상기 선단부에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태로 형성되는 모재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모재홀더에 의해 상기 선단부의 강성이 약화됨에 따라 상기 선단부의 둘레가 가압에 의해 벌어진 형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설치대에 인서트상태로 걸리는 막대형태의 관통바; 및 상기 관통바의 후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관통바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테두리가 상기 관통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관통바가 상기 설치대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표지판본체에 박히면서 표면이 상기 표지판본체와 수평면을 이루는 접시머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바의 모재홀더는, 상기 관통바의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접시머리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관통바에 의해 관통되는 상기 표지판본체의 모재 및 상기 설치대의 모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통바는, 상기 설치대의 일부분을 상기 표지판본체의 타측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설치대에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는 예컨대, 상기 표지판본체에 일측면이 밀착고정된 상기 설치대의 타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주나 아암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고정판; 및 상기 지주나 아암의 일부분을 클램핑한 상태로 상기 밴드고정판에 양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설치대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설치대의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밴드고정판이 이동가능한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홈형태의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일측이 끼워져 걸린상태로 상기 밴드고정판에 타측이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밴드고정판의 양측에 연장상태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표지판본체에 밀착되어 상기 표지판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표지판본체의 휨을 방지하는 텐션판;을 더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밴드고정판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고정밴드의 양측에 연장상태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밴드고정판의 양단부에 밀착상태로 제각기 걸리면서 상기 고정밴드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판;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밴드고정판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밴드고정판을 상기 지주나 아암에 센터링시키고, 상기 지주나 아암의 양측에 제각기 걸리면서 상기 밴드고정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센터링돌기;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달리, 상기 커넥터는 예컨대, 상기 설치대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설치대의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홈형태의 레일; 및 상기 지주나 아암의 일부분을 클램핑한 상태로 상기 레일에 양단부가 제각기 걸린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치대는, 상기 표지판본체를 모서리측이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모서리측에 요홈형의 절곡부를 제공하는 텐션주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은 상기 설치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I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홈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레일의 형태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갖는 결합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지주나 아암의 일부분을 클램핑한 상태로 상기 결합밴드를 통해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설치대에 결합되어 상기 표지판본체의 외곽에서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보조표지판; 및 상기 보조표지판을 상기 설치대에 현수된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설치대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설치대의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홈형태의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일측이 걸린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보조표지판의 일부분에 타측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판브래킷;을 포함한다.
덧붙여, 상기 패스너는, 상기 보조판브래킷의 타측에 돌출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표지판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조판브래킷의 유동을 방지하는 밀착돌기;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은, 리벳을 구성하는 관통바가 가압에 의해 일부분이 벌어지면서 설치대에 인서트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관통바의 유동이 억제되므로 표지판본체와 설치대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관통바가 표지판본체 및 설치대의 모재를 모재홀더에 수용하면서 설치대에 인서트되므로 표지판본체 및 설치대에 관통공을 선가공하지 않고도 리베팅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구성하는 고정밴드가 설치대에 고정된 밴드고정판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표지판본체가 지주나 아암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밴드고정판이 설치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레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밴드고정판을 조립식으로 설치대에 고정할 수 있으며, 밴드고정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밴드고정판의 양측에 텐션판이 마련되어 표지판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므로 표지판본체에 밀착된 설치대의 모서리에 의한 표지판본체의 휨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밴드의 양측에 마련된 유동방지판이 밴드고정판의 양단부에 밀착상태로 걸림에 따라 고정밴드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고정밴드가 지주나 아암에 견고하게 클램핑될 수 있다.
게다가, 밴드고정판에 센터링돌기가 마련되어 지주나 아암에 걸리므로 밴드고정판이 지주나 아암에 용이하게 센터링되는 동시에 밴드고정판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커넥터가 레일 및 고정밴드로 구성될 경우 전술한 밴드고정판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고정밴드의 고정위치를 설치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설치대의 양단부에 텐션주름이 마련되어 표지판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므로 표지판본체에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휨이 방지되어 표지판본체의 편평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 표지판본체의 외곽에 보조표지판이 패스너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다양한 도로정보를 표지판본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패스너를 구성하는 보조판브래킷이 레일에 의해 설치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보조표지판이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보조판브래킷이 밀착돌기에 의해 표지판본체에 밀착되므로 보조표지판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도로표지판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선행기술의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밴드고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밴드고정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고정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설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보조표지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본체(10), 설치대(20), 리벳(30) 및 커넥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지판본체(10)는 도로에 설치되어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전면에 도로정보가 도시되며, 도로정보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반사지가 전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표지판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주(100)나 지주(100)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아암(200)에 현수된 상태로 설치되어 운전자에 도로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표지판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면적을 갖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경우 아암(200)에 설치되며, 이와 달리 삼각판이나 원형판 형태로 형성될 경우 지주(100)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표지판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판으로 구성되어 후술되는 설치대(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하나의 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설치대(20)는 표지판본체(10)를 지주(100)나 아암(2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표지판본체(10)의 배면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리벳(30)은 설치대(20)를 표지판본체(10)에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부재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본체(10)의 전면에서 표지판본체(10)를 관통하여 설치대(20)에 리베팅된다. 이러한 리벳(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본체(10)를 관통하여 설치대(20)에 인서트상태로 고정되는 관통바(31) 및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표지판본체(10)에 박히는 접시머리(33)로 구성된다.
관통바(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머리(33)가 가압기와 같은 외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선단부가 표지판본체(10)를 관통하여 벌어진 형태로 변형되면서 설치대(20)에 인서트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관통바(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태의 모재홀더(31a)가 선단부에 마련되어 선단부의 강성이 약화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벌어진 형태로 변형되면서 설치대(20)에 인서트상태로 고정된다.
모재홀더(3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관통바(31)의 선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허용하면서 관통바(31)에 의해 관통되는 표지판본체(10)의 모재 및 설치대(20)의 모재를 수용한다.
따라서, 관통바(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벌어진 형태로 설치대(20)에 인서트되면서 모재홀더(31a)에 표지판본체(10) 및 설치대(20)의 모재를 수용하므로 설치대(2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모재홀더(3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관통바(31)의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관통바(31)는 설치대(20)를 관통하지 않고 인서트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20)의 일부분을 표지판본체(10)의 타측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킨 상태로 인서트된다.
접시머리(33)는 가압기와 같은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바(31)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관통바(3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력에 의해 표지판본체(10)에 박히면서 표면이 표지판본체(10)의 표면과 수평면을 이룬다.
따라서, 리벳(30)은 표지판본체(10)의 표면에 돌출됨이 없이 평면상태로 표지판본체(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표지판본체(10) 및 설치대(20)에 관통공을 가공하지 않고도 설치대(20)를 표지판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커넥터(40)는 설치대(20)를 지주(100)나 아암(20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고정판(41) 및 고정밴드(4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밴드고정판(4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20)의 면상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되며, 설치대(20)의 길이에 따라 복수로 마련된다.
고정밴드(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나 아암(200)의 일부분을 클램핑한 상태로 양단부가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밴드고정판(41)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표지판본체(10)는 고정밴드(42)의 클램핑에 의해 지주(100)나 아암(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커넥터(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3) 및 체결부재(4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레일(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밴드고정판(41)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레일(43)은 일부분이 개구된 찬넬형태로 설치대(20)의 면상에 돌출되거나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볼트의 헤드부분이 레일(43)에 끼워져 걸린상태로 너트와 체결되면서 밴드고정판(41)을 레일(43)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밴드고정판(41) 및 고정밴드(42)는 설치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밴드고정판(4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판(41a)에 의해 표지판본체(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텐션판(41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고정판(41)의 양측에 연장상태로 절곡형성되어 표지판본체(10)에 밀착되어 표지판본체(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표지판본체(10)가 설치대(20)의 모서리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텐션판(41a)은 설치대(20)에 레일(43)이 마련된 경우에도 표지판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지판본체(10)는 풍압과 같은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휘어짐이 없이 편평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밴드고정판(4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링돌기(41b)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링돌기(41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고정판(41)의 일면에 돌출되어 지주(100)나 아암(200)의 양측에 제각기 걸리면서 지주(100)나 아암(200)을 센터링시킨다. 이에 따라, 밴드고정판(41)은 지주(100)나 아암(200)에 용이하게 정위치되면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고정밴드(4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방지판(42a)에 의해 밴드고정판(41)의 양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유동방지판(42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밴드(42)의 양측에 연장상태로 절곡형성되며, 밴드고정판(41)의 양단부에 밀착상태로 제각기 걸리면서 고정밴드(42)의 유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고정밴드(42)는 지주(100)나 아암(200)에 견고하게 클램핑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40)는 전술한 바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레일(43) 및 고정밴드(42)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커넥터(40)는 전술한 밴드고정판(41)의 구성이 생략되고, 고정밴드(42)가 레일(43)에 직접 결합되면서 설치대(20)를 지주(100)나 아암(200)에 고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레일(4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형태로 설치대(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밴드(4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3)의 형태에 대응하는 결합홈(45a)을 갖는 결합밴드(45)에 의해 양측이 레일(43)에 걸린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레일(4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I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홈을 제공하고, 고정밴드(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3)의 형태에 대응하는 결합홈(45a)이 단부에 형성된 판상의 결합밴드(45)가 양측에 추가로 마련됨에 따라, 미도시된 지주(100)나 아암(200)의 일부분을 클램핑한 상태로 결합밴드(45)를 통해 레일(43)에 걸림상태로 결합된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설치대(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모서리측)에 요홈형의 절곡부를 제공하는 텐션주름(20a)이 연장형성되어 모서리측을 통해 표지판본체(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텐션주름(20a)은 전술한 텐션판(41a)의 기능과 동일하게 표지판본체(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표지판본체(10)가 설치대(20)의 모서리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표지판본체(10)는 풍압과 같은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휘어짐이 없이 편평도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표지판(50) 및 패스너(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조표지판(5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설치대(20)에 현수상태로 결합되어 표지판본체(10)의 외곽에서 도로정보를 제공한다.
패스너(60)는 보조표지판(50)을 설치대(20)에 현수된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20)에 동일체로 마련된 레일(43) 및 레일(43)에 보조표지판(50)을 고정하는 보조판브래킷(6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43)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판브래킷(6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레일(43)에 걸린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이 보조표지판(50)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보조판브래킷(6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보조표지판(5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보조표지판(50)의 고정부위에 돌출되는 밀착돌기(63)에 의해 표지판본체(10)에 밀착됨에 따라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돌기(6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돌출됨에 따라 보조표지판(50)을 고정하는 볼트의 헤드를 회전방지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보조판브래킷(61)은 도시된 바와 달리 전술한 밴드고정판(4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설치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30)에 의해 표지판본체(10)의 배면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리벳(30)은 접시머리(33)가 가압됨에 따라 관통바(31)가 표지판본체(10)를 관통하여 설치대(20)에 인서트상태로 고정되고, 접시머리(33)가 표지판본체(10)에 박힌상태로 고정되면서 표지판본체(10) 및 설치대(20)를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이때, 리벳(30)의 관통바(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머리(33)가 가압됨에 따라 표지판본체(10)를 관통하여 설치대(20)에 선단부가 인서트되며, 모재홀더(31a)에 의해 표지판본체(10) 및 설치대(20)의 모재를 수용한 상태로 선단부가 벌어지면서 설치대(20)에 인서트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접시머리(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본체(10)의 표면과 수평면을 이루면서 고정된다.
표지판본체(10)는 설치대(20)를 지주(100)나 아암(200)에 클램핑하는 고정밴드(42)에 의해 지주(100)나 아암(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고정밴드(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20)에 밴드고정판(41)이 마련된 경우 밴드고정판(4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고정판(41)이 생략된 경우 설치대(20)에 마련된 레일(4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표지판본체(10)를 지주(100)나 아암(200)에 현수상태로 고정한다.
이와 달리, 고정밴드(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3)에 결합되는 밴드고정판(41)에 의해 설치대(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표지판본체(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고정판(41)에 마련된 텐션판(41a)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거나 설치대(20)의 양측에 마련된 텐션주름(20a)에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휘어짐없이 편평도가 유지된다.
다른 한편, 보조표지판(50)은 보조판브래킷(61)을 통해 레일(4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표지판본체(10)와 함께 도로정보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은, 리벳(30)을 구성하는 관통바(31)가 가압에 의해 일부분이 벌어지면서 설치대(20)에 인서트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관통바(31)의 유동이 억제되므로 표지판본체(10)와 설치대(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관통바(31)가 표지판본체(10) 및 설치대(20)의 모재를 모재홀더(31a)에 수용하면서 설치대(20)에 인서트되므로 표지판본체(10) 및 설치대(20)에 관통공을 선가공하지 않고도 리베팅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40)를 구성하는 고정밴드(42)가 설치대(20)에 고정된 밴드고정판(4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표지판본체(10)가 지주(100)나 아암(2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밴드고정판(41)이 설치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레일(4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밴드고정판(41)을 조립식으로 설치대(20)에 고정할 수 있으며, 밴드고정판(41)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밴드고정판(41)의 양측에 텐션판(41a)이 마련되어 표지판본체(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므로 표지판본체(10)에 밀착된 설치대(20)의 모서리에 의한 표지판본체(10)의 휨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밴드(42)의 양측에 마련된 유동방지판(42a)이 밴드고정판(41)의 양단부에 밀착상태로 걸림에 따라 고정밴드(42)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고정밴드(42)가 지주(100)나 아암(200)에 견고하게 클램핑될 수 있다.
게다가, 밴드고정판(41)에 센터링돌기(41b)가 마련되어 지주(100)나 아암(200)에 걸리므로 밴드고정판(41)이 지주(100)나 아암(200)에 용이하게 센터링되는 동시에 밴드고정판(41)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커넥터(40)가 레일(43) 및 고정밴드(42)로 구성될 경우 전술한 밴드고정판(41)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40)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고정밴드(42)의 고정위치를 설치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설치대(20)의 양단부에 텐션주름(20a)이 마련되어 표지판본체(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므로 표지판본체(10)에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휨이 방지되어 표지판본체(10)의 편평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 표지판본체(10)의 외곽에 보조표지판(50)이 패스너(6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다양한 도로정보를 표지판본체(10)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패스너(60)를 구성하는 보조판브래킷(61)이 레일(43)에 의해 설치대(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보조표지판(50)이 레일(4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보조판브래킷(61)이 밀착돌기에 의해 표지판본체(10)에 밀착되므로 보조표지판(5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표지판본체 20 : 설치대
20a : 텐션주름 30 : 리벳
31 : 관통바 31a : 모재홀더
33 : 접시머리 40 : 커넥터
41 : 밴드고정판 41a : 텐션판
41b : 센터링돌기 42 : 고정밴드
42a : 유동방지판 43 : 레일
44 : 체결부재 50 : 보조표지판
60 : 패스너 61 : 보조브래킷
63 : 밀착돌기 100 : 지주
200 : 아암

Claims (5)

  1. 지면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지주(100)나 상기 지주(100)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아암(200)에 결합되어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평판형의 표지판본체(10);
    상기 표지판본체(10)의 배면에 수직이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상의 막대형 설치대(20);
    상기 표지판본체(10)를 관통하여 상기 설치대(20)에 리베팅되면서 상기 표지판본체(10)에 상기 설치대(20)를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리벳(30); 및
    상기 표지판본체(10)에 밀착고정된 상기 설치대(20)를 상기 지주(100)나 아암(20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표지판본체(10)를 상기 지주(100)나 아암(200)에 현수시키는 커넥터(40);를 포함하며,
    상기 리벳(30)은,
    상기 표지판본체(10)를 가압에 의해 관통하여 상기 설치대(20)에 선단부가 인서트되고, 상기 선단부에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태로 형성되는 모재홀더(31a)가 마련되며, 상기 모재홀더(31a)에 의해 상기 선단부의 강성이 약화됨에 따라 상기 선단부의 둘레가 가압에 의해 벌어진 형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설치대(20)에 인서트상태로 걸리는 막대형태의 관통바(31); 및
    상기 관통바(31)의 후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관통바(31)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테두리가 상기 관통바(3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관통바(31)가 상기 설치대(20)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표지판본체(10)에 박히면서 표면이 상기 표지판본체(10)와 수평면을 이루는 접시머리(33);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바(31)의 모재홀더(31a)는,
    상기 관통바(31)의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접시머리(33)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관통바(31)에 의해 관통되는 상기 표지판본체(10)의 모재 및 상기 설치대(20)의 모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통바(31)는,
    상기 설치대(20)의 일부분을 상기 표지판본체(10)의 타측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설치대(20)에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넥터(40)는,
    상기 설치대(20)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설치대(20)의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홈형태의 레일(43); 및
    상기 지주(100)나 아암(200)의 일부분을 클램핑한 상태로 상기 레일(43)에 양단부가 제각기 걸린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밴드(42);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대(20)는,
    상기 표지판본체(10)를 모서리측이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모서리측에 요홈형의 절곡부를 제공하는 텐션주름(20a);을 더 포함하는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43)은 상기 설치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I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홈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밴드(42)는 상기 레일(43)의 형태에 대응하는 결합홈(45a)을 갖는 결합밴드(4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밴드(42)는,
    상기 지주(100)나 아암(200)의 일부분을 클램핑한 상태로 상기 결합밴드(45)를 통해 상기 레일(4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20)에 결합되어 상기 표지판본체(10)의 외곽에서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보조표지판(50); 및
    상기 보조표지판(50)을 상기 설치대(20)에 현수된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패스너(60);를 더 포함하는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60)는,
    상기 설치대(20)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설치대(20)의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홈형태의 레일(43); 및
    상기 레일(43)에 일측이 걸린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보조표지판(50)의 일부분에 타측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판브래킷(61);을 포함하는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60)는,
    상기 보조판브래킷(61)의 타측에 돌출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표지판본체(10)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조판브래킷(61)의 유동을 방지하는 밀착돌기(63);를 더 포함하는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KR1020120075237A 2012-07-10 2012-07-10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KR10120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237A KR101207171B1 (ko) 2012-07-10 2012-07-10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237A KR101207171B1 (ko) 2012-07-10 2012-07-10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184A Division KR101223880B1 (ko) 2012-05-11 2012-05-11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171B1 true KR101207171B1 (ko) 2012-11-30

Family

ID=4756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237A KR101207171B1 (ko) 2012-07-10 2012-07-10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1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443A (ko) * 2015-01-29 2016-08-08 이재용 복합패널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의 프레임 리벳결합구조
KR101863189B1 (ko) 2017-11-14 2018-06-01 (주)인프라텍 도로표지판
KR101880189B1 (ko) 2017-11-14 2018-07-20 (주)인프라텍 바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도로표지판
KR101940047B1 (ko) 2017-11-14 2019-01-21 (주)인프라텍 무용접 조립식 도로표지판
KR102183585B1 (ko) 2020-02-21 2020-11-26 박규호 조립식 현수 표지판
KR102384393B1 (ko) 2021-06-17 2022-04-15 (주)도도테크 평탄도가 향상된 표지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061Y1 (ko) 2000-10-18 2001-03-15 주식회사광국실업 교통표지판의 설치장치
JP2004360746A (ja) 2003-06-03 2004-12-24 Nissan Motor Co Ltd リベットおよびリベットを用いる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061Y1 (ko) 2000-10-18 2001-03-15 주식회사광국실업 교통표지판의 설치장치
JP2004360746A (ja) 2003-06-03 2004-12-24 Nissan Motor Co Ltd リベットおよびリベットを用いる接合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443A (ko) * 2015-01-29 2016-08-08 이재용 복합패널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의 프레임 리벳결합구조
KR101879167B1 (ko) * 2015-01-29 2018-07-17 이재용 복합패널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의 프레임 리벳결합구조
KR101863189B1 (ko) 2017-11-14 2018-06-01 (주)인프라텍 도로표지판
KR101880189B1 (ko) 2017-11-14 2018-07-20 (주)인프라텍 바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도로표지판
KR101940047B1 (ko) 2017-11-14 2019-01-21 (주)인프라텍 무용접 조립식 도로표지판
KR102183585B1 (ko) 2020-02-21 2020-11-26 박규호 조립식 현수 표지판
KR102384393B1 (ko) 2021-06-17 2022-04-15 (주)도도테크 평탄도가 향상된 표지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171B1 (ko)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US20090026238A1 (en) Roof Rack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Fastening Said Roof Rack
KR101223880B1 (ko)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KR101207065B1 (ko)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KR100938266B1 (ko) 안내판 설치용 지지어셈블리
JP4815160B2 (ja) 手摺
KR20100071516A (ko) 안내판 설치용 지지어셈블리
KR101880189B1 (ko) 바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도로표지판
KR200444779Y1 (ko) 안내 표지판 고정 클램프
KR101635769B1 (ko) 가로보 하중에 대한 강성이 부여되는 지주구조물
KR102001369B1 (ko) 도로표지판 설치장치
KR101759641B1 (ko) 버스행선지 안내전광판 지지 브라켓
JP3657041B2 (ja) 遮音板
KR100496695B1 (ko) 카오디오의 마운팅 구조
KR101800236B1 (ko) 기둥 패널 어셈블리
JP2018139984A (ja) 親綱支柱用治具
KR101879167B1 (ko) 복합패널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의 프레임 리벳결합구조
JP3033605U (ja) 立て看板の取付金具
JP2011246871A (ja) 道路用表示板の取付構造
CN210759815U (zh) 热敏打印机指示灯板固定结构
CN215793557U (zh) 一种商用车驾驶室工具盒快速拆装机构
KR101839547B1 (ko) 결합구조 및 지지구조가 개선된 안내판 걸이구
CN215832214U (zh) 支架组件
CN201703229U (zh) 汽车三角玻璃固定卡子
CN210941626U (zh) 汽车后牌照条的小尾翼安装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