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667B1 -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 Google Patents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667B1
KR102516667B1 KR1020210145445A KR20210145445A KR102516667B1 KR 102516667 B1 KR102516667 B1 KR 102516667B1 KR 1020210145445 A KR1020210145445 A KR 1020210145445A KR 20210145445 A KR20210145445 A KR 20210145445A KR 102516667 B1 KR102516667 B1 KR 102516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frame
traffic sign
fastening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김재만
김지현
정우성
김공주
Original Assignee
김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형 filed Critical 김준형
Priority to KR1020210145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opt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리브 등의 구성 없이 베이스와 지주를 연결 결합하여, 용접을 통해 수반되는 각종 문제점과, 리브에 의해 통행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를 해소하고, 각각의 부품 구성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여 설치의 작업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며 용접에 의한 결합 수준의 충분한 결합력을 보장함으로써 LED 교통표지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춘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Attached type LED traffic sign structure}
본 발명은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리브 등의 구성 없이 베이스와 지주를 연결 결합하여, 용접을 통해 수반되는 각종 문제점과, 리브에 의해 통행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를 해소하고, 각각의 부품 구성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여 설치의 작업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며 용접에 의한 결합 수준의 충분한 결합력을 보장함으로써 LED 교통표지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춘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교통표지판의 하부구조인 베이스는 제조 과정에서 지주의 하단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화 되어진 후 현장으로 배송되어 설치되거나, 현장용접을 통해 지주와 일체화된 후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지주와 베이스 사이에는 용접 면적의 보강을 위해, 리브 등을 덧대어 용접해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리브를 덧대게 되면 강도 보강은 가능하지만 교통표지판 주변으로 사람의 통행시 상기 리브에 발이 걸리는 등, 통행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고, 미관상으로도 크게 좋지 못하였다.
또한, 용접 과정에서 각종 유해가스 발생으로, 대기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고, 또한, 용접에 따른 불편함은 물론, 용접에 의해서 형성된 용접부를 그라인딩하여 마감 처리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었고, 특히 용접 연결은 지주와 베이스의 조립 및 분해가 불가능한 구조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 설치공사가 대부분 전기시설이 없는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여건상, 별도의 이동식 발전기를 구비 하여야만 원활하고 정상적인 용접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이동식 발전기를 구입하거나 임대하는 비용이 시공비용에 포함되고, 전문 용접공을 요하므로, 공사 단가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8475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용접, 리브 등의 구성 없이 베이스와 지주를 연결 결합하여, 용접을 통해 수반되는 각종 문제점과, 리브에 의해 통행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를 해소하고, 각각의 부품 구성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여 설치의 작업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며 용접에 의한 결합 수준의 충분한 결합력을 보장함으로써 LED 교통표지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춘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주, LED 교통표지판, 상기 LED 교통표지판을 지주에 결합시키는 지지프레임 및 설치면으로부터 지주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가장자리에 앵커홀이 형성되는 수평플레이트; 상기 수평플레이트에서 절개되어 상부로 절곡 형성되며 제11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플레이트; 상기 제11 체결홀과 지주의 하단을 상호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앵커홀을 통해 설치면으로 매립 설치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로 절곡된 수직플레이트는 지주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주의 하단에는 제11 체결홀과 연통되는 제12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상기 제11 체결홀과 제12 체결홀을 상호 통과하는 방식으로 지주와 베이스를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주의 상단 외측을 파지한 상태로 결합되는 파지브라켓; 상기 파지브라켓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지주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지주와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외측으로 상기 LED 교통표지판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결합부위 외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커버; 및 상기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및 결합커버를 동시에 통과하여 체결되는 결합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은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이 수직프레임의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며,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C' 형태의 클립; 및 판상의 형태로서 상기 클립의 양 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수평프레임의 좌우 외측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파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진 수평프레임의 일단 좌우측에는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아니한 일단 좌우측에는 제3 체결홀과 제4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우측에는 상기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에 연통된 제5 체결홀과 제6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클립의 좌우측에는 상기 제5 체결홀과 제6 체결홀에 연통된 제7 체결홀과 제8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파지편 각각에는 상기 제3 체결홀과 제4 체결홀에 연통된 제9 체결홀과 제10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나사부의 일단은 제4 체결홀과 제10 체결홀을 상호 통과하고, 타단은 제1 체결홀, 제5 체결홀 및 제7 체결홀을 상호 통과하여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및 결합커버를 상호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접, 리브 등의 구성 없이 베이스와 지주를 연결 결합하여, 용접을 통해 수반되는 각종 문제점과, 리브에 의해 통행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를 해소하고, 각각의 부품 구성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여 설치의 작업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며 용접에 의한 결합 수준의 충분한 결합력을 보장함으로써 LED 교통표지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의 전체적인 외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베이스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베이스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지지프레임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지지프레임의 요부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파지브라켓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수평브라켓의 회전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베이스판이 재단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베이스판의 배면에 제1 불투명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베이스판의 정면으로 반사지 시트가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반사지 시트 상에 제2 불투명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표지패턴 이미지 테두리 주변을 제거하여 투과마진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투과판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결합편이 형성된 베이스판이 재단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LED 교통표지판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투과판을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단계에서 볼트부재가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LED 교통표지판의 전체적인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투과판을 마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케이스를 마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이하, 교통표지판 구조물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주(10), LED 교통표지판(100), 상기 LED 교통표지판(100)을 지주(10)에 결합시키는 지지프레임(200) 및 설치면으로부터 지주(10)를 지지하는 베이스(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베이스(300)는 설치면 상에서 지주(10)가 견고하게 기립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지면적을 구성함과 동시에, 앵커볼트(340)를 통해 설치면 상에 고착되어 교통표지판 구조물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용접, 리브 등의 구성 없이 지주(10)와 베이스(300)를 연결 결합하되, 양자간의 결합력을 충분히 보장하며, 특히, 이동설치시 지주(10)와 베이스(300)의 찰탈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편의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베이스(300)는 가장자리에 앵커홀(311)이 형성되는 수평플레이트(310), 상기 수평플레이트(310)에서 절개되어 상부로 절곡 형성되며 제11 체결홀(321)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플레이트(320), 상기 제11 체결홀(321)과 지주(10)의 하단을 상호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330) 및 상기 앵커홀(311)을 통해 설치면으로 매립 설치되는 앵커볼트(3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철판 구조의 수평플레이트(310)의 내부를 일정 길이로 절개하여 수평플레이트(310)의 일부로 절개 형성된 수직플레이트(320)를 상부로 수직으로 절곡함으로써 수평플레이트(310)와 수직플레이트(320)는 별도의 용접 없이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310)와 수직플레이트(320)는 모두 사각형 형태로서 재단 내지 절개되어질 수 있다.
특히, 상부로 수직 절곡된 수직플레이트(320)는 지주(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구성하며, 지주(10)의 하단에는 제11 체결홀(321)과 연통되는 제12 체결홀(11)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부재(330)가 상기 제11 체결홀(321)과 제12 체결홀(11)을 상호 통과하는 방식으로 지주(10)와 베이스(300)를 결착시킬 수 있다.
앵커볼트(340)는 앵커홀(311)을 관통하여 설치면에 일정 깊이 매립 설치됨으로서 수평플레이트(310)를 설치면 상에 고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프레임(200)은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 LED 교통표지판(100)을 지주(10) 상에 고정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크게, 파지브라켓(210), 수평프레임(220), 수직프레임(230), 결합커버(240) 및 결합나사부(2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파지브라켓(210)은 지주(10)의 상단 외측을 파지한 상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통상 원통형 지주(10)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반원 형태로서 양 단에 플랜지(212)가 연장 형성되며 지주(10)를 중심에 두고 마주한 한 쌍의 파지프레임(211), 상기 한 쌍의 파지프레임(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내부로 수평프레임(220)의 타단을 수용하며 측면으로 축결합홀(214)이 관통 형성되는 파지하우징(213), 상기 축결합홀(214)과 수평프레임(220)의 타단을 상호 관통해 체결되는 회전축(215) 및 마주하는 각각의 플랜지(212)를 관통해 체결되는 볼트부재(216)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파지하우징(213)에는 압착편(217)이 돌출 형성되며 파지하우징(213)이 결합 될 파지프레임(211)에는 상기 압착편(217)이 통과하는 압착구(2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편(217)이 압착구(218)를 통과하여 지주(10)의 외측면에 절곡되어진 상태로 접촉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재(216)를 강하게 체결하게 되면 한 쌍의 파지프레임(21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압축하중을 가하게 되며 이때, 압착편(217)이 지주(10)와 파지프레임(211) 사이에서 보다 강하게 압착됨으로써 파지프레임(211)과 파지하우징(213) 양자간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되어지는 구조가 갖춰진다.
수평프레임(220)의 타단은 회전축(215)에 의해 파지하우징(213) 상에 결합 고정되어질 수 있으며, 특히, 수평프레임(220)은 회전축(215)을 회전기준으로 하여 일단이 회전이동 가능한 구조가 되어, 설치 여건에 맞게 수평프레임(220)의 일단에 연계된 LED 교통표지판(1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평프레임(220)은 파지브라켓(210)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지주(1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평프레임(220)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중공관 형태로, 내부로 후술 될 결합나사부(250)가 설치되어지며, 타단은 파지브라켓(210)의 파지하우징(213)에, 일단은 후술 될 수직프레임(230)의 내부로 각각 삽입 결합되어질 수 있다.
수직프레임(2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진 수평프레임(220)의 일단 좌우측에는 제1 체결홀(221)과 제2 체결홀(222)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수직프레임(230)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아니한 일단 좌우측에는 제3 체결홀(223)과 제4 체결홀(224)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홀에는 볼트부재(260,270) 또는 후술 될 결합나사부(250)가 체결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수직프레임(230)은 수평프레임(220)의 일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지주(10)와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외측으로 상기 LED 교통표지판(100)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직프레임(230) 상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LED 교통표지판(100)이 결합되어질 수 있으며, 결합 될 LED 교통표지판(100)의 개수, 설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상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230)은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수평프레임(220)의 일단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직프레임(230)의 후면에는 상기 수평프레임(22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23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220)의 일단이 수직프레임(230)의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구조를 갖춘다.
상기 수직프레임(230)의 좌우측에는 상기 제1 체결홀(221)과 제2 체결홀(222)에 연통된 제5 체결홀(232)과 제6 체결홀(233)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5 체결홀(232)과 제6 체결홀(233)로는 볼트부재(260,270) 또는 결합나사부(250)가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커버(240)는 상기 수평프레임(220)과 수직프레임(230)의 결합부위 외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어 수평프레임(220)과 수직프레임(230) 사이의 결합력을 보강한다.
결합커버(240)는 수직프레임(230)의 외측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C' 형태의 클립(241) 및 판상의 형태로서 상기 클립(241)의 양 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수평프레임(220)의 좌우 외측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파지편(24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클립(241)이 탄성변형에 의해 수직프레임(230)의 외측 둘레로 끼움 결합되면 각각의 파지편(242)은 수직프레임(23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아니한 수평프레임(220)의 타단 좌우 양 측을 탄성력으로 강하게 파지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에, 불측의 사유로 수평프레임(220)과 수직프레임(230)의 체결력이 저하되었을 때 결합커버(240)를 통해 수평프레임(220)과 수직프레임(230)의 부가적인 결합력을 제공받아 안정성이 향상되는 구조가 갖춰지며, 특히, 수직프레임(230)과 수평프레임(220)의 결합부위의 외부노출을 방지함으로써 부식, 볼트풀림 등의 안전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클립(241)의 좌우측에는 상기 제5 체결홀(232)과 제6 체결홀(233)에 연통된 제7 체결홀(243)과 제8 체결홀(244)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파지편(242) 각각에는 상기 제3 체결홀(223)과 제4 체결홀(224)에 연통된 제9 체결홀(245)과 제10 체결홀(24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체결홀(221), 제5 체결홀(232) 및 제7 체결홀(243)이 동일선상에 놓여 서로 연통되고, 제2 체결홀(222), 제6 체결홀(233) 및 제8 체결홀(244)이 동일선상에 놓여 서로 연통되고, 제3 체결홀(223) 및 제9 체결홀(245)이 동일선상에 놓여 서로 연통되고, 제4 체결홀(224) 및 제10 체결홀(246)이 동일선상에 놓여 서로 연통되어지는 구조가 갖춰진다.
다음으로, 결합나사부(250)는 수평프레임(220), 수직프레임(230) 및 결합커버(240)를 동시에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수평프레임(220), 수직프레임(230) 및 결합커버(240)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결합나사부(250)의 일단은 제4 체결홀(224)과 제10 체결홀(246)을 상호 통과하고, 타단은 제1 체결홀(221), 제5 체결홀(232) 및 제7 체결홀(243)을 상호 통과하여 수평프레임(220), 수직프레임(230) 및 결합커버(240)를 상호 체결시킬 수 있다.
즉, 결합나사부(250)는 수평프레임(220), 수직프레임(230) 및 결합커버(240)를 상호 관통하게 될 때 전방(도 6을 기준으로 하방) 좌측 체결홀 그룹(제1,5,7 체결홀)과 후방(도 6을 기준으로 상방) 우측 체결홀 그룹(제4,10 체결홀)을 통과하여 체결되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나사부(250)는 제4 체결홀(224)과 제10 체결홀(246)을 상호 통과하는 제1 나사체(251), 상기 제1 나사체(251)에서 수평프레임(220)의 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질러 제1 체결홀(221) 입구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나사체(252) 및 상기 제2 나사체(252)에서 상기 제1 체결홀(221), 제5 체결홀(232) 및 제7 체결홀(243)을 상호 통과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나사체(25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나사체(251), 제2 나사체(252) 및 제3 나사체(253)는 일체형 구성으로, 제1 나사체(251) 제3 나사체(253)에는 너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체(251)와 제3 나사체(253)는 수평프레임(220)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놓여 직선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제2 나사체(252)는 수평프레임(22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사선으로 형성되어 수평프레임(220) 내부의 코어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하중에 의한 수평프레임(220)의 일단 휨 변형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결합나사부(250)의 구조로 인해 결합나사부(250)에 가해지는 전단응력이 분산 지지됨으로써 파절저항을 높이고, 수평프레임(220) 상에서 수직프레임(230)이 피칭, 롤링, 요잉 등의 회전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가 갖춰진다.
아울러, 결합나사부(250)가 미치지 아니한 후방 좌측 체결홀 그룹(제3,9 체결홀)과 전방 우측 체결홀 그룹(제2,6,8 체결홀)에는 볼트부재(260,270)가 각각 체결되어 체결력을 보강하는 구조를 갖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LED 교통표지판을 지지하는 부품 구성을 무용접을 통해 서로 연결 결합되도록 하여 용접 작업에 수반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고, 각각의 부품 구성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 편의와 더불어 이동 설치의 편의를 보장하며, 아울러, 용접 수준의 충분한 결합력을 보장함으로써 LED 교통표지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춰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LED 교통표지판(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LED 교통표지판(100)은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20) 및 투과판(11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케이스(120)는 LED 교통표지판(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로 LED 모듈(122)을 내장하고, 정면으로 투과판(110)을 지지한다.
케이스(120)의 후면은 전술한 수직프레임(230) 상에 고정 결합되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20)는 틀 형태의 프로파일(121), 상기 프로파일(121)의 배면에 결합되며, 정면으로 상기 LED 모듈(122)이 접착 가고정되는 배판(123) 및 가고정된 상기 LED 모듈(122) 정면으로 결합되어 배판(123)에 LED 모듈(122)을 고정시키는 고정지그(12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LED 모듈(122)에는 광의 직진성을 높여주는 프로젝션 랜즈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121), 고정지그(124)는 후술 할 제조 방법에서 그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투과판(110)은 케이스(120)의 정면에 결합되며 케이스(120)에 마련된 LED 모듈(122)의 광이 투과되어질 수 있다.
투과판(110)은 베이스판(111), 상기 베이스판(111)의 배면에 투과패턴(113)을 제외한 지점으로 UV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는 제1 불투명층(112), 상기 베이스판(111)의 정면에 부착되는 반사지 시트(114) 및 상기 반사지 시트(114)에 UV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투과패턴(113)과 동일한 형태의 표지패턴 이미지(116)를 가지는 제2 불투명층(115)을 포함하며, 상기 표지패턴 이미지(116)의 테두리를 따라 반사지 시트(114)가 제거되어 표지패턴 이미지(116) 테두리 주변으로 상기 LED 모듈(122)의 광이 투과되는 투과마진(117)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특히, 베이스판(111)의 테두리 주변으로는 결합편(118)이 확장 형성되며, 결합편(118)을 베이스판(111)의 후방으로 수직 절곡시킨 다음 상기 슬릿(121f)에 삽입 고정하고, 볼트부재(B)를 제1 수평판(121a)의 외측 방향에서 제1 수평판(121a), 슬릿(121f)에 삽입된 결합편(118) 및 제3 수평판(121e)을 연속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투과판(110)을 케이스(120)의 정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LED 교통표지판(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LED 교통표지판(100)의 제조방법은 크게, 투과판(110)을 마련하는 단계, 내부로 LED 모듈(122)을 포함하는 케이스(120)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투과판(110)을 케이스(120)의 정면에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투과판(110)을 마련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합성수지 기재(m1)를 일정 형태로 재단하여 베이스판(111)을 형성한다(S10). 상기 투명 합성수지 기재(m1)는 PC 패널(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합성수지 기재(m1) 상에 통상의 교통표지판의 형태를 고려해 원형 내지 사각 형태로서 베이스판(111)을 재단하여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되어진 베이스판(111)의 배면에 투과패턴(113)을 제외한 지점으로 제1 불투명층(112)을 UV 인쇄한다(S20). 베이스판(111)의 배면은 제1 불투명층(112)에 의해 전반적인 면적이 불투명한 구조가 되며, 투과패턴(113)의 경우 UV 인쇄가 미치지 아니한 부분으로서, 베이스판(111)의 배면 상에서 국부적으로 투명한 구조가 되어 후술 될 LED 모듈(122)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투과패턴(113)은 통상 교통표지판에서 표시, 경고, 안내 등을 위해 상징적으로 사용하는 도형, 화살표, 경고문구 등을 포함하는 디자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불투명층(112)은 베이스판(111)의 반사면을 불투명처리 함으로써 베이스판(111)의 배면 방향에서 조사되는 LED 모듈(122)의 광이 베이스판(111)의 배면에서 반사되지 아니하고, 투과패턴(113)으로 집중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만일, 베이스판(111)의 배면이 적절히 불투명처리 되지 아니하였을 경우, LED 모듈(122)의 광이 베이스판(111)에서 확산되어, 투과패턴(113)으로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1)의 정면에 반사지 시트(114)를 부착한다(S30). 반사지 시트(114)는 통상의 재귀 반사를 가능케 하는 반사지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반사지 시트(114)는 베이스판(111)의 정면 전체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반사지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 단계와 S20 단계 사이에 베이스판(111)의 정면과 배면에 샌드블라스팅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베이스판(111)에 UV 인쇄나 반사지 시트(114)가 부착되기 이전 베이스판(111)의 정면과 배면에 적정 거칠기를 부여하는 표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베이스판(111)과 반사지 시트(114) 내지 제1 불투명층(112) 사이의 기계적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지 시트(114)에 상기 투과패턴(113)과 동일한 형태의 표지패턴 이미지(116)를 가지는 제2 불투명층(115)을 UV 인쇄한다(S40). 제2 불투명층(115)은 투과패턴(113)을 국부적으로 형성하는 제1 불투명층(112)과는 다르게 반사지 시트(114)가 부착된 베이스판(111)의 정면 전체를 커버하게 되는 구조로서, S40 단계에서는 베이스판(111)의 정면이 전체적으로 불투명 처리가 되어 투명한 구조의 투과패턴(113) 또한 베이스판(111)의 정면에서 관찰되지 아니한다. 다만, 제2 불투명층(115)에는 표지패턴 이미지(116)가 형성되는데, 표지패턴 이미지(116)는 투과패턴(113)과 동일한 형태로서, 투과패턴(113)과 동일선상에 형성되어질 수 있다.
표지패턴 이미지(116)는 제2 불투명층(115) 상에서 색상을 다르게 구현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분지어질 수 있다.
예컨대, 표지패턴 이미지(116)를 빨간색이나 파랑색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바탕을 노란색 등으로 하여 제2 불투명층(115)을 구성할 수 있다.
표지패턴 이미지(116)는 통상 교통표지판에서 표시, 경고, 안내 등을 위해 상징적으로 사용하는 도형, 화살표, 경고문구 등을 포함하는 디자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판(111)의 배면에 투과패턴(113)을 원형으로 형성하였다면, 베이스판(111)의 정면에는 상기 투과패턴(113)과 동일선상에 원형의 표지패턴 이미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지패턴 이미지(116)의 테두리는 상기 투과패턴(113)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상기 투과패턴(113)은 표시패턴 이미지보다 외측으로 일정 거리 옵셋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투과패턴(113)을 소정 직경의 원형으로 형성하였다면, 표지패턴 이미지(116)는 이보다 더 작은 직경의 원형으로서 투과패턴(113)과 동심원 상에 형성되어진다.
이는 후술 될 S50 단계에서 표지패턴 이미지(116)의 테두리를 제거할 때 제거된 부위로 상기 투과패턴(113)이 더 정확하게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패턴 이미지(116)의 테두리를 따라 반사지 시트(114)를 제거하여 표지패턴 이미지(116) 테두리 주변으로 상기 LED 모듈(122)의 광이 투과되는 투과마진(117)을 형성한다(S50).
베이스판(111)의 정면에 반사지 시트(114)를 먼저 부착한 다음, 그 반사지 시트(114) 상에 제2 불투명층(115)을 UV 인쇄 방식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제2 불투명층(115)이 베이스판(111)에 일체로 고착되지 아니하며, 이에, 반사지 시트(114)를 필요한 만큼 제거하게 되면 제거된 반사지 시트(114)에 가려져 있던 베이스판(111)이 투과마진(11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질 수 있다.
즉, 반사지 시트(114)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반사지 시트(114) 상에 UV 인쇄된 제2 불투명층(115)이 동시에 제거되어 베이스판(111)의 정면으로 투과마진(117)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표지패턴 이미지(116)의 테두리 부분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상기 투과마진(117)으로는 투명한 투과패턴(113)을 통과한 광이 투과되어 외부로 비춰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투과판(110)을 정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투과마진(117)을 제외한 부분은 전부 불투명한 구조로서, 광을 투과시키지 아니하는 구조가 되며, 단지 S50 단계에서, 반사지 시트(114)의 제거에 의해 형성된 투과마진(117) 부분만을 통해 광을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투과판(110)은 베이스판(111)의 정면과 후면 모두에 불투명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분으로 빛이 유출되거나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지패턴 이미지(11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투과마진(117)으로만 광량을 보다 집중시켜 교통표지판의 주요 정보를 보다 강조하여 야간에 보다 정확한 정보전달을 가능케 한다.
한편, 전술한 S10 단계에서는 베이스판(111)의 테두리 주변으로 결합편(118)이 확장 형성되도록 기재(m1)를 재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118)의 형성 목적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케이스(120)를 마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틀 형태의 프로파일(121) 배면으로 배판(123)을 결합시킨다(S100). 틀 형태의 프로파일(121)은 철판을 다수 회 절곡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판(111)의 형태에 따라 사각이나 원형 등의 도형 틀 형태를 갖출 수 있다.
예컨대, 프로파일(121)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판(123)에 수직으로 놓이는 제1 수평판(121a), 상기 제1 수평판(121a)의 전, 후단에서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판(121b),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판(121b) 각각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수평판(121c), 상기 한 쌍의 제2 수평판(121c) 각각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수직판(121d)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판(121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마주하는 제2 수직판(121d)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3 수평판(121e)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수평판(121c)과 제2 수직판(121d) 사이에는 90도 사이각을 가지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 상에 배판(123)과 투과판(110)의 모서리가 안착 지지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턱은 배판(123)과 투과판(110)이 더 이상 프로파일(121)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또한, LED 모듈(122)의 광이 미치는 제3 수평판(121e)의 경우 다수 회 절곡되어 내부가 빈 형태를 가지는 프로파일(121)의 내측 둘레면을 차폐하고 있는 구조로서, 프로파일(121) 내부가 개구되지 아니하여, LED 모듈(122)의 광이 프로파일(121) 내부로 유출되어 광량이 줄어들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제1 수평판(121a)은 프로파일(121)의 외측 둘레를, 제3 수평판(121e)은 내측 둘레를 각각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수평판(121c)과 제2 수직판(121d)의 연결 모서리 또는 제2 수직판(121d) 상에는 슬릿(121f)이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슬릿(121f)으로 전술한 베이스판(111)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편(118)이 삽입되어질 수 있다. 케이스(120)와 투과판(110)이 결합하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판(123)의 정면으로 LED 모듈(122)을 접착제로 가고정한다(S200). 이어서, 가고정된 상기 LED 모듈(122) 정면으로 고정지그(124)를 결합하여 배판(123)에 LED 모듈(122)을 고정시킨다(S300).
S200 단계에서는 광량이 집중되어야 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LED 모듈(122)을 배치하여 가고정시킬 수 있다.
통상, 접착제만을 이용하여 LED 모듈(122)을 고정시킬 경우 LED 모듈(122)의 방열특성에 의해 접착제가 접착력을 상실하게 되어 배판(123)의 제위치로부터 LED 모듈(122)이 탈락될 우려가 있는데, 고정지그(124)를 이용해 LED 모듈(122)을 추가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LED 모듈(122)의 위치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지그(124)는 판상의 형태로서 상기 LED 모듈(122)이 삽입되는 삽입구(124a)가 관통 형성되며 정면에는 보조반사지 시트(124b)가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LED 모듈(122)의 고정작용은 물론이고, LED 모듈(122)의 광을 정면을 향해 반사시킴으로써 정면으로 가해지는 광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고정지그(124)는 볼트부재(B)를 통해 배판(123)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케이스(120)는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서, 개방된 정면으로 투과판(110)이 결합되어질 수 있다.
이때, 투과판(110)을 케이스(120)의 정면에 결합하는 과정은 먼저, 베이스판(111)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편(118)을 베이스판(111)의 후방으로 수직 절곡시킨 다음 투과판(110)을 케이스(120)의 개방된 정면으로 위치시켜 결합편(118)을 슬릿(121f)에 삽입 고정한다.
결합편(118)을 슬릿(121f)에 삽입 고정하게 되면 결합편(118)은 제3 수평판(121e)과 평행한 상태에서 프로파일(121)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질 수 있다.
결합편(118)이 슬릿(121f)에 삽입 고정되는 것만으로도 케이스(120)의 정면에서 투과판(110)의 고정력이 발휘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볼트부재(B)를 제1 수평판(121a)의 외측 방향에서 제1 수평판(121a), 슬릿(121f)에 삽입된 결합편(118) 및 제3 수평판(121e)을 연속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투과판(110)을 케이스(120)의 정면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볼트부재(B)는 적어도 프로파일(121)의 제1 수평판(121a)과 제3 수평판(121e)에만 그 체결자국을 형성하게 되며,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어지는 투과판(110)의 정면으로는 볼트부재(B)에 의한 체결자국을 전혀 형성하지 않으므로, 교통표지판의 미관을 해친다거나, 볼트에 의한 구멍으로 광이 유출되지 않을 뿐더러, 투과판(110)이 케이스(120) 상에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어지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풍력, 태양열 등의 천연에너지를 발전하여 구동되는 LED 교통표지판에 있어, 저전력 구조로 인해 LED 모듈(122)의 광량이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더라도, 케이스(120)와 투과판(110) 사이에서 불필요한 LED 모듈(122)의 광 유출, 반사, 투과 등을 제한하고, 광의 조사방향을 정면을 향해 집중적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투과판(110)에 형성된 표지패턴 이미지(11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투과마진(117)으로만 광량을 보다 집중시킴으로써, LED 모듈(122)의 광량이 충분하지 않은 조건에서도 교통표지판의 주요 정보를 보다 강조하여 충분한 야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통 표지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LED 교통표지판
200: 지지프레임
300: 베이스
10: 지주

Claims (5)

  1. 지주, LED 교통표지판, 상기 LED 교통표지판을 지주에 결합시키는 지지프레임 및 설치면으로부터 지주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가장자리에 앵커홀이 형성되는 수평플레이트;
    상기 수평플레이트에서 절개되어 상부로 절곡 형성되며 제11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플레이트;
    상기 제11 체결홀과 지주의 하단을 상호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앵커홀을 통해 설치면으로 매립 설치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주의 상단 외측을 파지한 상태로 결합되는 파지브라켓;
    상기 파지브라켓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지주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지주와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외측으로 상기 LED 교통표지판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결합부위 외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커버; 및
    상기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및 결합커버를 동시에 통과하여 체결되는 결합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은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이 수직프레임의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며,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 둘레에 끼움 결합되는 'C' 형태의 클립; 및
    판상의 형태로서 상기 클립의 양 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수평프레임의 좌우 외측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파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진 수평프레임의 일단 좌우측에는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아니한 일단 좌우측에는 제3 체결홀과 제4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우측에는 상기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에 연통된 제5 체결홀과 제6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클립의 좌우측에는 상기 제5 체결홀과 제6 체결홀에 연통된 제7 체결홀과 제8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파지편 각각에는 상기 제3 체결홀과 제4 체결홀에 연통된 제9 체결홀과 제10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나사부의 일단은 제4 체결홀과 제10 체결홀을 상호 통과하고, 타단은 제1 체결홀, 제5 체결홀 및 제7 체결홀을 상호 통과하여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및 결합커버를 상호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로 절곡된 수직플레이트는 지주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하단에는 제11 체결홀과 연통되는 제12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상기 제11 체결홀과 제12 체결홀을 상호 통과하는 방식으로 지주와 베이스를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4. 삭제
  5. 삭제
KR1020210145445A 2021-10-28 2021-10-28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KR102516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445A KR102516667B1 (ko) 2021-10-28 2021-10-28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445A KR102516667B1 (ko) 2021-10-28 2021-10-28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667B1 true KR102516667B1 (ko) 2023-03-30

Family

ID=8598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445A KR102516667B1 (ko) 2021-10-28 2021-10-28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012B1 (ko) * 2023-11-20 2024-02-15 주식회사 케이지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757Y1 (ko) 2000-01-19 2000-06-01 신창식 교통 표시구 설치구조
KR200249099Y1 (ko) * 2001-06-26 2001-10-17 윤백상 도로표지판 조립체
KR20020039887A (ko) * 2000-11-22 2002-05-30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콘크리트 충전 각형강관 기둥보의 접합구조
KR100566953B1 (ko) * 2005-12-20 2006-03-3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교통표지 장치
KR200434696Y1 (ko) * 2006-09-28 2006-12-26 손종국 전주 및 가로등지주용 교통표지판 거치대
KR20110010983U (ko) * 2010-05-19 2011-11-25 김준형 표지판로드 고정구
KR20120085449A (ko) * 2011-01-24 2012-08-01 연기군 충격흡수형 표지판
KR20120128950A (ko) * 2011-05-18 2012-11-28 주식회사 태양전자 가로등 지주
KR101793842B1 (ko) * 2016-10-27 2017-11-06 남궁민우 무용접 각형 프레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757Y1 (ko) 2000-01-19 2000-06-01 신창식 교통 표시구 설치구조
KR20020039887A (ko) * 2000-11-22 2002-05-30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콘크리트 충전 각형강관 기둥보의 접합구조
KR200249099Y1 (ko) * 2001-06-26 2001-10-17 윤백상 도로표지판 조립체
KR100566953B1 (ko) * 2005-12-20 2006-03-31 한양프레임주식회사 교통표지 장치
KR200434696Y1 (ko) * 2006-09-28 2006-12-26 손종국 전주 및 가로등지주용 교통표지판 거치대
KR20110010983U (ko) * 2010-05-19 2011-11-25 김준형 표지판로드 고정구
KR20120085449A (ko) * 2011-01-24 2012-08-01 연기군 충격흡수형 표지판
KR20120128950A (ko) * 2011-05-18 2012-11-28 주식회사 태양전자 가로등 지주
KR101793842B1 (ko) * 2016-10-27 2017-11-06 남궁민우 무용접 각형 프레임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012B1 (ko) * 2023-11-20 2024-02-15 주식회사 케이지 고정력이 향상된 탈부착식 임시 교통표지판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976B1 (ko) Led 교통표지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16667B1 (ko) 착탈식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KR101629914B1 (ko) 국부 발광형 도로 표지판 장치
KR102516668B1 (ko) 무용접 방식의 led 교통표지판 구조물
KR101404775B1 (ko) 착탈식 광 교통 표지판용 결합장치 및 그 결합장치를 이용한 착탈식 광 교통 표지판 설치방법
TW201933757A (zh) 具有防護蓋的太陽能支架發電柱
KR102485103B1 (ko) 투과판, 이를 포함하는 교통표지판 및 이 교통표지판의 제조 방법
CN110441959B (zh) 一种圆形屏背光源结构
CN210627693U (zh) 道路施工警示牌
KR102044783B1 (ko) 면발광 조명식 도로 표지판
KR20230121454A (ko) Led 교통표지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02420B1 (ko) 조경용 목재데크의 태양광 조명장치
KR200453573Y1 (ko) 여러 방향 지시용 이정표의 구조
KR200496220Y1 (ko) 에어간판용 회전기구
KR101404774B1 (ko) 착탈식 광 교통 표지판
CN218004293U (zh) 一种折叠拼接型标牌
KR20220064119A (ko) 모듈형 맨홀 커버
KR102577218B1 (ko) 교통표지판
CN217870116U (zh) 一种指引明确的信息指引牌
KR102580020B1 (ko) 차양수단을 구비한 교통표지판
CN214530331U (zh) 一种道路指示牌
CN218767516U (zh) 一种透镜支座
CN210722363U (zh) 一种大型思政教育宣传栏
CN211103695U (zh) 一种汽车加热坐垫零件安装用定位工装及安装装置
CN218213507U (zh) 一种导光板lgp组装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