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088A - 차선지시봉 - Google Patents

차선지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088A
KR20110078088A KR1020090134822A KR20090134822A KR20110078088A KR 20110078088 A KR20110078088 A KR 20110078088A KR 1020090134822 A KR1020090134822 A KR 1020090134822A KR 20090134822 A KR20090134822 A KR 20090134822A KR 20110078088 A KR20110078088 A KR 20110078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otrusion
groove
ro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9719B1 (ko
Inventor
박훈규
Original Assignee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박훈규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박훈규,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filed Critical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4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7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E01F9/692Portable base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지시봉에 관한 것으로서,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돌출부, 및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연결형성되는 바닥패널을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돌출부 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의 요홈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고정돌기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 상기 너트 및 상기 바닥패널과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볼트가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패킹; 및 일측 단부에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구가 탈장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반사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탄성유도공이 형성하며, 본 발명에 따른 차선지시봉을 도로의 노면에 설치함으로써, 차량에 부딪히더라도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여 차선지시봉의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선지시봉{LANE GUIDE BAR}
본 발명은 차선지시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과 충돌 시에도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일부분만 분리하여 교체할 수도 있는 차선지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지시봉은, 빔 형상의 본체에 야간에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반사체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차선지시봉은, 야간 조명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곳이나, 특별히 주의를 요하는 도로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고속도로나 일반 도로에는 중앙분리대와 같이 중앙선을 분리함으로써, 차선의 침입을 방지하는데 사용하거나, 공사현장 등에서 차선을 구획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함으로써, 차량이 원활하게 소통되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차선지시봉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과 충돌시에 일부만 파손되어도, 차선지시봉 전체를 도로에서 분리하여 교체해야만 했기 때문에 교체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도로에 견고하게 결합 되어 있던 차선지시봉을 도로에서 분리한 뒤 다시 그 위치에 결합해야만 했기 때문에, 차선지시봉을 교체할 경우, 기존에 차선지시봉이 결합되어 있던 위치와 약간씩 어긋나게 장착되 어, 결합위치가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새로 도로에 차선지시봉을 도로면에 결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인장스프링(60)이 구비되고 외주면으로 반사띠(54a, 54b, 54c)가 설치되는 몸체(50a, 50b, 50c)와, 도로면에 고정 설치되고 인장스프링(60)을 통해 탄성연결되는 받침대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로 동일한 다수개의 몸체(50a, 50b, 50c)가 상호 탄성 연결되어 소정각도 유동되도록 서로 적층하는 도로경계봉의 구성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3501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몸체(50a, 50b, 50c)를 적층하여 도로경계봉을 형성할 경우, 차량과 도로경계봉이 충돌한 이후, 상기 도로경계봉의 몸체(50a, 50b, 50c)가 초기에 적층되었던 상태와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인장스프링(60)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50a, 50b, 50c)가 초기에 적층되었던 상태로 돌아가도록 복원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몸체(50a, 50b, 50c)간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도로경계봉이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기의 적층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도로경계봉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몸체(50a, 50b, 50c)가 어긋난 채로 적층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야간에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들이 차선의 경계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어서, 사고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과 충돌시 본체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일부분만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선지시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돌출부, 및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연결형성되는 바닥패널을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돌출부 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의 요홈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고정돌기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
상기 너트 및 상기 바닥패널과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볼트가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패킹; 및
일측 단부에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구가 탈장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반사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탄성유도공이 형성하는 차선지시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에는 상기 탄성유도공의 양단에 연 결 형성된 원형의 분산공이 더 구비되고,
상기 분산공의 직경은, 상기 탄성유도공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마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의 체결홈에는 체결봉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구에는 상기 체결봉이 삽입되는 체결봉 관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 측면에는 상기 요홈과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돌기 삽입홈이 절곡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지시봉을 사용함으로써, 차량과 충돌하여도 용이하게 형상이 복원되기 때문에 차량과 충돌시 본체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본체가 파손되더라도 별도의 도구 없이 파손된 일부분만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초기 재료비용이 절감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지시봉(100)은,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114)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돌출부(112), 및 차량의 이동방향을 제한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면에 설치하며 상기 돌출부(112)의 하부에 연결형성되는 바닥패널(116)을 포함하 는 받침대(110);
상기 돌출부(112) 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112)의 요홈(1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고정돌기(122)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 너트(124)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120);
상기 너트(124), 및 상기 받침대(110)의 바닥패널(116)과 체결되는 볼트(132), 및 상기 볼트(13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134)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30);
상기 연결부재(130)의 결합구(134)와 상기 고정부재(1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130)의 볼트(132)가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패킹(140); 및
일측 단부에 상기 연결부재(130)의 결합구(134)가 탈장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152)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반사체(15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5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5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탄성유도공(162)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선지시봉(100)은,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상기 연결부재(130)의 결합구(134)로부터 상기 본체(150)를 용이하게 탈장착 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과 충돌하여 상기 본체(150)가 파손되었을 시에, 상기 본체(150)를 교체하는 시간이 절약된다. 이때, 상기 본체(150)만 교체해도 되기 때문에 파손된 상기 차선지시봉(100)을 교체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상기 본체(150)에 탄성유도공(16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과 상기 본체(150)의 일측이 충돌할 때, 그 힘이 상기 본체(150)의 타측에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50)가 상기 탄성유도공(162)으로 인해 벤딩(bending)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상기 본체(150)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이 상기 본체(150)를 벤딩(bending)시키는 힘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의 볼트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바닥패널과 결합되기 전 후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20)가 상기 돌출부(112)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12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22)가 상기 요홈(114)에 안착된다. 상기 요홈(114)에 삽입된 상기 요홈(114)에 삽입된 상기 고 정돌기(122)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130)의 볼트(132)가 상기 고정부재(120) 및 상기 받침대(110)의 바닥패널(116)과 체결되도록 나사결합될 때, 상기 고정부재(120)가 상기 볼트(132)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100)은, 상기 본체(150)에 형성된 체결홈(152)과 상기 연결부재(130)에 형성된 결합구(134)에 의해, 상기 본체(150)가 상기 연결부재(130)와 1차로 요철 결합하도록 할 수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50)의 체결홈(152)에 돌출 형성된 체결봉(156)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구(134)에는 상기 체결봉(156)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봉 관입홈(136)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본체(150)와 상기 결합구(134)를 이중으로 요철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100)의 상기 탄성유도공(16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에 분산공(164)을 천공하여, 상기 탄성유도공(162)의 양단이 라운딩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유도공(162)의 양단에 집중되는 응력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본체(15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유도공(162)의 양단에 작용하는 응력이 분산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분산공(164)의 지름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유도공(162)의 폭에 비해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100)의 탄성유도공(162)은 상기 반사체(154)의 사이에 천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천공되는 길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패킹(14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마찰돌기(14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112)의 내주면과 상기 패킹(140)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킹(140)과 상기 돌출부(112)와의 마찰력이 증대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연결부재(130), 상기 고정부재(120), 및 상기 받침대(110) 간의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가 상기 고정부재(120) 및 받침대(110)와 완전히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패킹(14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원통형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상기 볼트(132)는 상기 고정부재(120) 및 상기 바닥패널(116)과 결합하면서, 상기 결합구(134)가 상기 패킹(14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140)의 측면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2)의 내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30)와 상기 고정부재(120) 사이에 위치한 패킹(140)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30), 상기 고정부재(120), 및 상기 바닥패널(116)에 작용하는 힘이 흡수되어 서로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140)은 외부에서 상기 차선지시봉(100)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본체(150)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130), 고정부재(120) 및 받침대(11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차선지시봉(100)에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패킹(140)이 진동을 신속하게 감쇠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충격을 완충하는 작용이 있어서, 외부에서 가해진 힘이 상기 받침대(110), 상기 고정부재(120) 및 상기 연결부재(130)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50)가 차량과 충돌하게 되더라도, 상기 연결부재(130), 상기 패킹(140), 상기 고정부재(120) 및 상기 받침대(110)는 도로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100)은 상기 본체(150)의 일측 단부 측면에는 상기 요홈(114)과 결합되는 체결돌기(158)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요홈(114)에는 상기 체결돌기(158)가 삽입되는 체결돌기 삽입홈(118)이 절곡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돌기(158)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요홈(114)에 결합한 뒤, 상기 패킹(140)이 상기 연결부재(13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본체(150)가 상기 체결돌기 삽입홈(118)의 위치까지 하강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5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체결돌기 삽입홈(118)에 상기 체결돌기(158)가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100)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선지시봉의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지시봉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선지시봉 110: 받침대
112: 돌출부 114: 요홈
116: 바닥패널 118: 체결돌기 삽입홈
120: 고정부재 122: 고정돌기
124: 너트 130: 연결부재
132: 볼트 134: 결합구
136: 체결봉 관입홈 140: 패킹
142: 마찰돌기 150: 본체
152: 체결홈 154: 반사체
156: 체결봉 158:체결돌기
162: 탄성유도공 164: 분산공

Claims (5)

  1.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돌출부, 및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연결형성되는 바닥패널을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돌출부 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의 요홈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고정돌기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
    상기 너트 및 상기 바닥패널과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볼트가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패킹; 및
    일측 단부에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구가 탈장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반사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탄성유도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지시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탄성유도공의 양단에 연결 형성된 원형의 분산공이 더 구비되고,
    상기 분산공의 직경은, 상기 탄성유도공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지시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마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지시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체결홈에는 체결봉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구에는 상기 체결봉이 삽입되는 체결봉 관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지시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 측면에는 상기 요홈과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돌기 삽입홈이 절곡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지시봉.
KR1020090134822A 2009-12-30 2009-12-30 차선지시봉 KR101149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822A KR101149719B1 (ko) 2009-12-30 2009-12-30 차선지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822A KR101149719B1 (ko) 2009-12-30 2009-12-30 차선지시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088A true KR20110078088A (ko) 2011-07-07
KR101149719B1 KR101149719B1 (ko) 2012-06-08

Family

ID=4491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822A KR101149719B1 (ko) 2009-12-30 2009-12-30 차선지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863B1 (ko) * 2015-08-20 2017-01-05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567B1 (ko) * 2019-02-21 2019-10-21 유재현 시선유도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481B1 (ko) * 2001-09-20 2004-08-09 주식회사 대경기업 차선용 안전 규제봉
KR200293180Y1 (ko) * 2002-07-31 2002-10-25 주식회사 삼원안전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100935759B1 (ko) * 2007-06-22 2010-01-06 엘아이지건설 주식회사 차선 안내봉
KR100907304B1 (ko) * 2008-12-02 2009-07-13 주식회사 엠씨에스코리아 탄성볼라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863B1 (ko) * 2015-08-20 2017-01-05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착탈이 용이한 시선유도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719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706B1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US20180002878A1 (en) Road guide post
KR101149719B1 (ko) 차선지시봉
WO2016080992A1 (en) Traffic control marker including a reinforced retaining member
KR200480206Y1 (ko) 시선 유도봉
KR200390592Y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20120007395A (ko) 충격흡수성 및 형태복원성을 보강한 가드레일구조물
KR101272869B1 (ko) 다기능 시선 유도봉
KR100908328B1 (ko) 도로용 안전펜스
KR101655362B1 (ko) 충격흡수구조가 강화된 가드레일 조립체
KR20080109303A (ko) 차량규제용 탄력봉
KR101825050B1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200284962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0403523Y1 (ko) 차선분리 탄력봉
KR200488567Y1 (ko) 시선유도봉
KR101310010B1 (ko) 도로 안전가이드
KR101118078B1 (ko) 가드레일용 보강부재
KR100969451B1 (ko) 도로용 차선규제봉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060099890A (ko) 차선 규제봉
KR20050095686A (ko) 도로의 분리선 표시대
KR20190120511A (ko) 차선분리대
KR20130005465U (ko) 신축 밴드를 이용한 탄성 볼라드
KR200361139Y1 (ko) 자전거도로용 안전 가이드 레일
JP5639219B2 (ja) 道路用標示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