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142B1 -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142B1
KR102635142B1 KR1020230039993A KR20230039993A KR102635142B1 KR 102635142 B1 KR102635142 B1 KR 102635142B1 KR 1020230039993 A KR1020230039993 A KR 1020230039993A KR 20230039993 A KR20230039993 A KR 20230039993A KR 102635142 B1 KR102635142 B1 KR 10263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rinting object
sensing device
print hea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딜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딜리
Priority to KR102023003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12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pressure adjustment mechanisms, e.g. pressure-on-the pape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08Height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통기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석션챔버와, 상기 석션챔버 상에 배치되어 인쇄 대상물을 흡착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흡입이송장치와, 상기 흡입이송장치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 대상물에 프린트를 수행하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상의 상기 인쇄 대상물이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들뜸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센싱장치와, 상기 제1센싱장치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센싱장치에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PRINTER HAVING FUNCTION FOR PROTECTION OF PRINT HEAD}
본 발명은 프린트 헤드에 대한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량 인쇄공정은 컨베이어를 통해 인쇄 대상이 되는 소재를 이동시키고, 인쇄 위치에 도달하면 프린터 헤드의 노즐을 통해 잉크를 소재에 분사하여 인쇄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인쇄 방법은 대량의 소재를 빠른 속도로 인쇄할 수 있어, 생산성을 보다 높여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골판지와 같은 보드형 소재의 경우 쉽게 접히거나 말리는 특성이 있어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보드형 소재가 들뜬 상태에서 인쇄될 경우, 의도한 인쇄 결과물을 얻을 수 없으므로 불량으로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보드형 소재가 들뜬 상태로 컨베이어를 통해 프린트 헤드에 도달하면 잉크를 분사하는 프린트 헤드의 노즐과 충돌하여 노즐의 손상 및 프린터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발생하는 경우에 프린트 헤드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프린터의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동하는 보드형 소재에 들뜸이 발생하는 경우 프린트 헤드에 인쇄 소재의 들뜬 부분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동하는 보드형 소재에 들뜸이 발생하는 경우, 인쇄 소재가 프린트 헤드에 도달하기 전 인쇄 소재의 들뜸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상부에 통기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석션챔버와, 상기 석션챔버 상에 배치되어 인쇄 대상물을 흡착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흡입이송장치; 상기 흡입이송장치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 대상물에 프린트를 수행하는 프린트 헤드; 및 상기 프린트 헤드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상의 상기 인쇄 대상물이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들뜸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센싱장치; 및 상기 제1센싱장치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센싱장치에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센싱장치는, 상기 흡입이송장치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및 상기 흡입이송장치의 좌우 양측 중 타측에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이송벨트로부터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 높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린트 헤드는, 상기 제1센싱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 높이에 근거하여, 상측으로의 이동 높이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센싱장치에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송벨트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린터는, 상기 제1센싱장치의 전방에 상기 이송벨트의 상의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 여부를 사전에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센싱장치; 및 상기 석션챔버에 대한 흡입량을 제어하여, 상기 이송벨트 상의 상기 인쇄 대상물에 작용하는 흡입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센싱장치에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석션챔버에 대한 흡입량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센싱장치는, 상기 흡입이송장치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및 상기 흡입이송장치의 좌우 양측 중 타측에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 높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센싱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 높이에 근거하여, 상기 석션챔버에 대한 흡입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이송벨트로부터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린터는, 상기 제1센싱장치와 상기 제2센싱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센싱장치에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어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석션챔버에 대한 흡입량을 증가시킬 때, 상기 이송벨트의 상에서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뜬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롤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프린터에서 인쇄 대상물은 흡입이송장치에 구비되는 이송벨트 상에 흡착된 상태로 이송된다. 흡입이송장치는 이송벨트 아래 배치되는 석션챔버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송벨트 상의 인쇄 대상물의 들뜸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싱장치가 프린트 헤드의 전방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프린트 헤드는 제1센싱장치에서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인쇄 대상물과 멀어지는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프린터의 구성에 의하면, 이송벨트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인쇄 대상물들 중에서 제1센싱장치에 의해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프린트 헤드를 인쇄 대상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피 이동시켜 인쇄 대상물의 들뜬 부분이 프린트 헤드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프린트 헤드의 회피 동작은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발생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터의 구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들뜸이 존재하는 인쇄 대상물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이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제1센싱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인쇄 대상물의 들뜸 여부를 사전에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센싱장치와, 석션챔버에 대한 흡입략을 제어하여 인쇄 대상물에 작용하는 흡입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린터의 구성에 의하면, 이송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 대상물이 프린트 헤드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센싱장치에 도달하기 전, 제2센싱장치에 의해 인쇄 대상물의 들뜸 여부가 사전에 감지되고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확인되는 경우 제어장치를 통한 석션챔버의 흡입량 조절을 통해 들뜸이 발생하느 인쇄 대상물에 대한 들뜸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들뜸 제거 기능 수행 결과에 따라 프린트 헤드의 회피 동작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들뜸 제거 기능을 통해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제거된 경우 프린트 헤드의 회피 동작없이 정상적으로 인쇄 공정을 운영할 수 있으며,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제거되지 못한 경우에는 프린트 헤드를 회피 이동시켜 프린트 헤드와 인쇄 대상물의 충돌에 따른 손상 또는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센싱장치의 일 예들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센싱장치의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센싱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도시된 'A'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념도.
도 8은 도 7의 도시된 'B'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념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린터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프린터의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센싱장치의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터(10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센싱장치(130)의 일 예들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센싱장치(130)의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센싱장치(130)를 포함하는 프린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도시된 'A'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흡입이송장치(110), 프린트 헤드(120), 제1센싱장치(130) 및 제어장치(C)를 포함한다.
석션챔버(111)는 흡입이송장치(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석션챔버(111)에는 석션챔버 흡입수단(111')이 연결되어 석션챔버(111) 상의 공기가 석션챔버 흡입수단(111')의해 흡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석션챔버(111)의 상부에는 통기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송벨트(112)는 석션챔버(111) 상에 배치된다. 프린터(100)에 의해 인쇄되는 인쇄 대상물(S)은 이송벨트(112) 상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송벨트(112)는 인쇄 대상물(S)을 흡착 상태로 이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송벨트(112)에는 석션챔버(111)의 상기 통기구(11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타공(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 대상물(S)은 예를 들어,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송벨트(112a)는 다공성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이송벨트(112a)에는 많은 수의 작은 구멍들이 표면이나 내부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석션챔버(111)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은 이송벨트(112a)에 존재하는 많은 수의 상기 작은 구멍들을 통해 인쇄 대상물(S)에 전달될 수 있다. 이송벨트(112a)에는 상기 타공(112a) 구조와 상기 다공성 소재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프린트 헤드(120)는 흡입이송장치(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린트 헤드(120)는 흡입이송장치(110)의 상부에서 흡입이송장치(110)의 이송벨트(112)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린트 헤드(120)는 인쇄 대상물(S)의 인쇄를 위한 잉크가 분사되는 복수의 노즐(121)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121)을 통해 분사되는 잉크는 수성 또는 유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센싱장치(130)는 이송벨트(112) 상의 인쇄 대상물(S)이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들뜸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센싱장치(130)는 이송벨트(112) 상에서,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높이보다 높은 부분이 인쇄 대상물(S)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센싱장치(130)는, 빛, 음파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장치(C)는 제1센싱장치(13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어장치(C)는 제1센싱장치(130)에서 이송벨트(12) 상에서 이동하는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을 감지하는 경우, 들뜸이 발생한 해당 인쇄 대상물(S)이 도달하기 전, 프린트 헤드(120)를 해당 인쇄 대상물(S)과 멀어지는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프린터(100)의 구성에 의하면, 우선 흡입이송장치(110)의 이송벨트(112)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인쇄 대상물들(S) 중에서 제1센싱장치(130)에 의해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감지된다. 제1센싱장치(130)에 의해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프린트 헤드(120)를 인쇄 대상물(S)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피 이동시켜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이 프린트 헤드(12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120)의 충돌 방지를 통해 프린터(100)의 수명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설명한 프린트 헤드(120)의 회피 동작은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발생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터(100)의 구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들뜸이 존재하는 인쇄 대상물(S)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프린트 헤드(120) 보호 기능이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프린트 헤드(120)에 대한 보호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센싱장치(130)는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31)는 흡입이송장치(110)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1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광부(132)는 흡입이송장치(110)의 좌우 양측 중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광부(132)는 발광부(131)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광부(1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의 개수는 서로 대응되게 각각 한쌍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발광부(131)와 수광부(132)는 같은 높이 상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빛(L)을 내보내고 보내진 빛을 받도록 이루어진다. 발광부(131)에서 발생되는 빛(L)은 예를 들어 적외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이송벨트(112)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 대상물(S)은 제1센싱장치(130)의 발광부(131)와 수광부(132)를 지나면서 수광부(132)에서 수신되는 빛(L)의 레벨에 따라 장애물 즉,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인쇄 대상물(S)에 들뜬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발광부(131)에서 발생된 빛(L)이 인쇄 대상물(S)에 들뜬 부분에 가로막혀 수광부(132)에 원활하게 도달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인쇄 대상물(S)에 들뜬 부분이 존재하게 되면 수광부(132)에서 수신되는 빛(L)의 레벨은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낮게 측정되고 이렇게 수광부(132)에서 측정되는 값의 변화를 분석하여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발광부(131)와 수광부(132)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이송벨트(112) 상의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부(131)와 수광부(132)은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배치되어 한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송벨트(112) 상에서 발광부(131)와 수광부(132)를 지나는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수광부(132)에서 수신되는 빛(L)의 레벨이 달라지게 되고, 이때 수광부(132)에서 측정되는 값의 변화를 근거로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린트 헤드(120)는, 제1센싱장치(130)에서 감지된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에 근거하여, 상측으로의 이동 높이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센싱장치(130)에서 감지된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상측으로의 이동 거리를 짧게하고, 반대로 제1센싱장치(130)에서 감지된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상측으로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트 헤드(120)의 회피 동작 시에 프린트 헤드(120)의 이동 거리가 기설정된 크기로 고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프린트 헤드(120)를 과도한 회피 동작을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프린트 헤드(120)의 회피 동작에 따른 이동 거리가 줄어들어, 프린트 헤드(120)의 내구성 향상 및 프린트 헤드(120)의 빈번한 회피 동작에 따른 프린트 헤드(120)의 위치가 틀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발광부(131)와 수광부(13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벨트(112)로부터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터(100)에 의한 인쇄 과정에서 이송벨트(112) 상으로 공급되는 인쇄 대상물(S)의 종류가 달라짐에 따라 인쇄 대상물(S)의 높이가 함께 변경되는 경우에도, 한쌍을 이루는 발광부(131)와 수광부(132)의 높이를 해당 인쇄 대상물(S)의 정상적인 높이와 들뜸 높이에 맞춰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의 (a)를 참조하면, 발광부(131)와 수광부(132)는 각각 발광부 바디(131a)와 수광부 바디(132a) 상에 장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의 상하 이동은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가 발광부 바디(131a) 및 수광부 바디(132a) 상에서 상하 이동되거나, 발광부 바디(131a) 및 수광부 바디(132a)가 상하 이동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C)는 제1센싱장치(130)에서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이송벨트(112)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벨트(112)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존재하는 경우, 우선 제1센싱장치(130)를 통해서 인쇄 대상물(S)의 들뜸 존재 여부가 감지된다. 이와 같이 제1센싱장치(130)에서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장치(C)에 의해 이송벨트(112)의 이동 속도가 감속되어 줄어듬에 따라, 인쇄 대상물(S)이 제1센싱장치(130)에서 감지된 후 제1센싱장치(130) 후방에 위치한 프린트 헤드(120)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송벨트(112)의 이동 속도를 일시적으로 감속시킴에 따라, 프린트 헤드(120)의 회피 동작이 인쇄 대상물(S)과 충돌 전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프린터(100)의 설계 시에, 제1센싱장치(130)와 프린트 헤드(120) 사이의 거리를 좀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센싱장치(120)는 이송벨트(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프린터(100)의 상부 프레임(F)에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F)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이송장치(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센싱장치(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F) 상에 배치되며, 이송벨트(11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벨트(112) 상의 인쇄 대상물(S)을 향하여 빛 또는 음파를 보내고 인쇄 대상물(S)로부터 빛 또는 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근거로 인쇄 대상물(S)의 들뜬 정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센싱장치(120)에는 하방을 향하여 빛을 발광하도록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131)와, 발광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인쇄 대상물(S)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도록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인쇄 대상물(S)로부터 빛 또는 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인쇄 대상물(S)로부터 빛 또는 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센싱장치(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F) 상에서 이송벨트(112)의 폭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센싱장치(120)의 구조에 의하면, 이송벨트(112)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 감지를 인쇄 대상물(S)의 각각의 영역별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대상물(S)의 좌측 영역, 우측 영역,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 사이의 중앙 영역별로 들뜸 높이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장치(C)는, 발광부(131)에서 발광된 빛이 수광부(132)에서 수광된 시간에 근거하여, 프린트 헤드(120)의 상측으로의 이동 높이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장치(C)는 발광된 빛이 수광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측정는 경우 프린트 헤드(120)의 상측으로의 이동 거리를 짧게하고, 반대로 발광된 빛이 수광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측정는 경우에는 프린트 헤드(120)의 상측으로 이동 거리를 길게하여 회피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발생하는 경우 프린트 헤드(120)의 회피 동작이 이루어지기 전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을 제거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 인쇄 대상물(S)의 들뜸 제거를 위한 구성들을 더 구비하는 프린터(100)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도시된 'B'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제2센싱장치(140) 및 제어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센싱장치(140)는 제1센싱장치(130) 전방에 배치되어, 이송밸트(112) 상에서 이동하는 인쇄 대상물(S)의 들뜸 여부를 사전에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센싱장치(140)는 발광부(141)와 수광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41)와 수광부(142)는 앞서 설명한 제1센싱장치(130)의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센싱장치(140)의 발광부(141)와 수광부(142)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장치(150)는 석션챔버(111)에 대한 흡입략을 제어하여, 이송밸트(112) 상의 인쇄 대상물(S)에 작용하는 흡입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장치(150)는 제2센싱장치(140)에서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석션챔버(111)에 대한 흡입량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석션챔버(111)에 대한 흡입량이 증가됨에 따라 이송벨트(112) 상의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발생하는 부분이 이송벨트(112)로 밀착되면서 인쇄 대상물(S)에 존재하는 들뜸 영역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들뜸이 제거된 인쇄 대상물(S)은 이송벨트(112) 상에서 프린트 헤드(120)가 위치한 곳까지 이송된 후 정상적으로 인쇄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50)는 제2센싱장치(140)에서 감지된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에 근거하여, 석션챔버(111)에 대한 흡입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센싱장치(140)에서 감지된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석션챔버(111)에 대한 흡입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시키고, 제2센싱장치(140)에서 감지된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석션챔버(111)에 대한 흡입량을 상대적으로 낮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석션챔버(111)는 제1석션챔버(111a), 제2석션챔버(111b) 및 제3석션챔버(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석션챔버(111a,111b,111c)는 이송벨트(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잇다. 제1 내지 제3석션챔버(111a,111b,111c)에는 제1 내지 제3 석션챔버 흡입수단(111a',111b',111c')이 각각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석션챔버(111a,111b,111c) 상의 공기가 제1 내지 제3 석션챔버 흡입수단(111a',111b',111c')의해 흡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석션챔버(111)의 상부에는 통기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석션챔버(111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석션챔버(111b,11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및 제3석션챔버(111b,111c)는 제1석션챔버(111a)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석션챔버(111)는 제1 내지 제3석션챔버(111a,111b,111c)의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장치(150)는 제1센싱장치(12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석션챔버(111a,111b,111c) 각각에 대한 흡입량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1흡입력 제어기(151), 제2흡입력 제어기(152) 및 제3흡입력 제어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50)는 제1센싱장치(120)에서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제2 및 제3석션챔버(111b,111c)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흡입량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대상물(S)의 측면 영역(R1,R2)에 들뜸이 발생하는 경우, 제1석션챔버(111a)를 제외한 제2 및 제3석션챔버(111b,111c)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흡입량을 증가시켜 인쇄 대상물(S)의 들뜸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장치(130)는 제1 내지 제3석션챔버(111a,111b,111c) 전체에 대한 흡입량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장치(130)는 제1 내지 제3흡입력 제어기(151,152,153)를 통해 제1 내지 제3석션챔버(111a,111b,111c)를 제어하여 인쇄 대상물(S)에 작용하는 흡입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50)는 인쇄 대상물(S)의 측면 영역에 들뜸이 발생하였을 때, 제2 및 제3석션챔버(111b,111c)뿐만 아니라 제1석션챔버(111a)에 대한 흡입량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석션챔버(111a)에 대한 흡입량 증가는 제2 및 제3석션챔버(111b,111c)에 대한 흡입량 증가보다는 작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인쇄 대상물(S)에 작용하는 흡입력의 균형이 맞도록 제2 및 제3석션챔버(111b,111c)에 대한 흡입량은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프린터(100)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각 이송벨트(112)의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해 인쇄 대상물(S)의 흡착을 위한 흡입력을 부여하는 제1 내지 제3석션챔버(111a,111b,111c)를 제1 내지 제3흡입력 제어기(151,152,153)를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인쇄 대상물(S)에서 들뜸이 발생한 부분에 따라 제1 내지 제3석션챔버(111a,111b,111c) 전체가 아닌 일부만 제어함으로써 인쇄 대상물(S)의 들뜸 제거를 완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쇄 대상물(S)의 흡착을 위한 흡입력 조절을 보다 정밀하게 구현가능하여 인쇄 대상물(S)의 들뜸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 대상물(S)의 일부 영역에서만 들뜸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석션챔버(111a,111b,111c) 중 일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인쇄 대상물(S)의 들뜸 제거가 가능하므로 인쇄 대상물 들뜸 제거 기능 동작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린터(100)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프린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센싱장치(130,140)의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롤러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장치(160)는 이송벨트(112)의 상측에 배치되어, 이송벨트(112) 상에서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롤러장치(160)는 제1센싱장치(130)와 제2센싱장치(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롤러장치(160)는, 제2센싱장치(140)를 지나는 인쇄 대상물(S)에서 들뜸이 감지되어 제어장치(150)가 석션챔버(111)에 대한 흡입량을 증가시킬 때, 이송벨트(112)의 상에서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러장치(160)의 구성에 의하면, 인쇄 대상물(S)의 들뜸 정도가 심하여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과 이송벨트(112) 사이의 거리가 멀게 형성될 경우, 롤러장치(160)가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을 이송벨트(112) 쪽으로 가깝게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인쇄 대상물(S)의 들뜬 영역이 이송벨트(112)에 가까워진 상태에서 제어장치(150)에 의해 석션챔버(111)에 대한 흡입량을 증가시키면 흡입이송장치(110)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이 인쇄 대상물(S)에 충분히 작용하여 인쇄 대상물(S)의 들뜬 영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롤러장치(160)는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만 눌러주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롤러장치(160)는 인쇄 대상물(S)의 들뜬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할 때, 인쇄 대상물(S)에 들뜬 부분이 없는 정상일 경우의 인쇄 대상물(S) 두께보다 인쇄 대상물(S)이 더 가압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장치(140)에 의해 인쇄 대상물(S)이 과도하게 가압되어 인쇄 대상물(S)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장치(160)는 이송벨트(112)로부터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린터(100)는 얼라인 가이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얼라인 가이드(170)는 이송벨트(112)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이송벨트(112)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171)를 구비하여 이송벨트(112) 상의 인쇄 대상물(S)의 좌우 정렬을 맞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얼라인 가이드(170)는 이송벨트(11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롤러장치(16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벨트(112)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 대상물(S)은 얼라인 가이드(170)를 지나면서 가이드되어 정렬된 상태로 상기 롤러장치(160)를 지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장치(160)에 의한 인쇄 대상물(S)의 가압 과정이 인쇄 대상물(S)이 정렬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인쇄 대상물(S)이 롤러장치(160)의 바깥 영역으로 벗어남이 없이 인쇄 대상물(S)의 모든 영역에 대하여 가압 효과가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얼라인 가이드(170)는 이송벨트(112)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라인 가이드(170)는 인쇄 대상물(S)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이송벨트(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얼라인 가이드(170)는 인쇄 대상물(S)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에는 이송벨트(11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터(100)에 의한 인쇄 대상물(S) 인쇄 과정에 인쇄 대상물(S)의 폭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인쇄 대상물(S)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얼라인 가이드(170)와 제2센싱장치(140) 사이에는 서브롤러(161)가 배치될 수 있다. 서브롤러(161)는, 제2센싱장치(140) 전방에 배치되어 인쇄 대상물(S)의 들뜸 여부에 대한 감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송벨트(112) 상으로 공급되는 인쇄 대상물(S)을 눌러 주어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제1센싱장치(130)와 제2센싱장치(140)는 이송벨트(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프린터(100)의 상부 프레임(F)에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F)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이송장치(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센싱장치(120,16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부 프레임(F) 상에 배치되며, 이송벨트(11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벨트(112) 상의 인쇄 대상물(S)을 향하여 빛 또는 음파를 보내고 인쇄 대상물(S)로부터 빛 또는 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근거로 인쇄 대상물(S)의 들뜬 정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인쇄 대상물(S)로부터 빛 또는 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인쇄 대상물(S)의 들뜸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인쇄 대상물(S)로부터 빛 또는 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얼라인 가이드(170)와 제2센싱장치(140) 사이에는 서브롤러(161)가 배치될 수 있다. 서브롤러(161)는, 제2센싱장치(140) 전방에 배치되어 인쇄 대상물(S)의 들뜸 여부에 대한 감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송벨트(112) 상으로 공급되는 인쇄 대상물(S)을 눌러 주어 인쇄 대상물(S)의 들뜸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0 : 프린터
110 : 흡입이송장치
111 : 석션챔버
111' : 석션챔버 흡입수단
111" : 통기구
111a : 제1석션챔버
111a' : 제1석션챔버 흡입수단
111b : 제2석션챔버
111b' : 제2석션챔버 흡입수단
111c : 제3석션챔버
111c' : 제3석션챔버 흡입수단
112 : 이송벨트
112a : 타공
120 : 프린트 헤드
121 : 노즐
130 : 제1센싱장치
131 : 발광부
131a : 발광부 바디
132 : 수광부
132a : 수광부 바디
140 : 제2센싱장치
141 : 제2센싱장치 발광부
142 : 제2센싱장치 수광부
150 : 제어장치
151 : 제1 흡입력 제어기
152 : 제2 흡입력 제어기
153 : 제3 흡입력 제어기
160 : 롤러장치
161 : 서브롤러
170 : 얼라인 가이드
171 : 가이드부
C : 제어장치
F : 상부 프레임
S : 인쇄 대상물

Claims (10)

  1. 상부에 통기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석션챔버와, 상기 석션챔버 상에 배치되어 인쇄 대상물을 흡착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흡입이송장치;
    상기 흡입이송장치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 대상물에 프린트를 수행하는 프린트 헤드;
    상기 프린트 헤드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상의 상기 인쇄 대상물이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들뜸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센싱장치;
    상기 제1센싱장치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1제어장치;
    상기 제1센싱장치의 전방에 상기 이송벨트의 상의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 여부를 사전에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센싱장치;
    상기 석션챔버에 대한 흡입량을 제어하여, 상기 이송벨트 상의 상기 인쇄 대상물에 작용하는 흡입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제어장치; 및
    상기 제1센싱장치와 상기 제2센싱장치 사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센싱장치에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어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석션챔버에 대한 흡입량을 증가시킬 때,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뜬 부분을 상기 이송벨트 측으로 밀어주도록 이루어지는 롤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대상물은 상기 흡입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제2센싱장치 및 상기 제1센싱장치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제어장치는, 상기 제2센싱장치에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석션챔버에 대한 흡입량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제어장치는, 상기 흡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센싱장치에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 대상물은 들뜸 발생 시에 상기 석션챔버에 대한 흡입량이 증가되는 석션동작과 상기 석션동작 여부에 따라 연동되어 함께 동작하는 상기 롤러장치에 의해, 저면부는 흡입에 의해 당겨지고 상면부는 가압에 의해 눌려지는 방식으로 들뜸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장치는,
    상기 흡입이송장치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및
    상기 흡입이송장치의 좌우 양측 중 타측에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이송벨트로부터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 높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린트 헤드는, 상기 제1센싱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 높이에 근거하여, 상측으로의 이동 높이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장치는, 상기 제1센싱장치에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송벨트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챔버는, 제1석션챔버와, 상기 제1석션챔버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2석션챔버 및 제3석션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장치는, 상기 제2센싱장치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석션챔버 각각에 대한 흡입량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흡입력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싱장치는,
    상기 흡입이송장치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및
    상기 흡입이송장치의 좌우 양측 중 타측에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 높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제어장치는, 상기 제2센싱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인쇄 대상물의 들뜸 높이에 근거하여, 상기 석션챔버에 대한 흡입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이송벨트로부터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10. 삭제
KR1020230039993A 2023-03-27 2023-03-27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KR10263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993A KR102635142B1 (ko) 2023-03-27 2023-03-27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993A KR102635142B1 (ko) 2023-03-27 2023-03-27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142B1 true KR102635142B1 (ko) 2024-02-08

Family

ID=8989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993A KR102635142B1 (ko) 2023-03-27 2023-03-27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1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265A (ja) * 2004-12-22 2006-07-06 Fuji Xerox Co Ltd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4043112A (ja) * 2013-12-10 2014-03-13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
JP2017177431A (ja) * 2016-03-29 2017-10-0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2018177393A (ja) * 2017-04-04 2018-11-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984606B2 (ja) * 2016-09-23 2021-12-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265A (ja) * 2004-12-22 2006-07-06 Fuji Xerox Co Ltd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4043112A (ja) * 2013-12-10 2014-03-13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
JP2017177431A (ja) * 2016-03-29 2017-10-0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6984606B2 (ja) * 2016-09-23 2021-12-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2018177393A (ja) * 2017-04-04 2018-11-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1773B2 (ja) 印刷装置
US200702475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corrugated cardboard sheets
JP5594103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不良ノズル検知方法
JP2009248559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6478396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JP3978713B2 (ja) 記録媒体搬送装置、および前記搬送装置を用いた記録装置
CN1331680C (zh) 成像设备和用于该设备中的馈纸台
KR102635142B1 (ko) 프린트 헤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프린터
US8905538B2 (en) Vacuum relief
US8960830B2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jet printing method
US7926935B2 (en) Print media support system and method
JP6546857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JP4462832B2 (ja)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5293540B2 (ja) 液体吐出ヘッド
CN215854085U (zh) 喷码机自动送纸机构
JP2011020424A (ja)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07808A (ja) 印刷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JP2019031021A (ja) 段ボールシート用インクジェット印刷機
JPH10167478A (ja) 波板の積載方法
JP2794364B2 (ja) エアー浮上方法及びその装置
JP2525535B2 (ja) 枚葉紙印刷機から枚葉紙を連続的に排紙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376421B1 (ko) 싱글 패스 잉크젯 프린터용 인쇄매체 안내장치
JP2012030419A (ja) 画像形成装置
JP455227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2192797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