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327B1 - 차량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327B1
KR102633327B1 KR1020210145976A KR20210145976A KR102633327B1 KR 102633327 B1 KR102633327 B1 KR 102633327B1 KR 1020210145976 A KR1020210145976 A KR 1020210145976A KR 20210145976 A KR20210145976 A KR 20210145976A KR 102633327 B1 KR102633327 B1 KR 10263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source
lighting device
power
gui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1088A (ko
Inventor
이영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3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8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차량용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는 차량에 배치되어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1 광원, 차량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 광원, 및 제1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가시광선을 차량 내부로 출사하는 제1 가이드부와, 제1 가이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자외선을 차량 내부로 출사하는 제2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가이드부는 제2 가이드부와 병렬 또는 교차로 배열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조명 장치{LAMP APPARATUS FOR A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로 가시광선을 출사하여 차량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고, 자외선을 출사하여 차량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다양한 광원을 활용한 조명 장치가 적용되며, 각각의 조명 장치는 설치 위치 및 사용 용도에 따라 그 특성에 맞추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좀여 장치는 차량 내에 설치되는 실내 조명등이나,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전조등, 안개등, 후퇴등, 차폭등, 번호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표시등이 있다.
특히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은 디자인적 측면에서도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하며, 실제 탑승자가 탑승하는 차량 내부 마련되기에 차량의 조명 디자인 및 조명 효과도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최근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차량 내부에 있어 차량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여러 장치들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차량용 조명 장치는, 디자인적 측면의 접근에서 차량의 고급화에 기여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의 접근에서 차량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2268호(2021. 09. 15.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1 광원과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 광원을 통해 차량 내부의 심미성과 차량 내부 살균의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우징 내 가시광선을 출사하는 제1 가이드부와 자외선을 출사하는 제2 가이드부를 교차로 배열하여 하우징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시동이 꺼져있는 상태에서 대기전력으로 제2 광원을 작동시켜 차량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차량에 배치되어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1 광원; 상기 차량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가시광선을 차량 내부로 출사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자외선을 차량 내부로 출사하는 제2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와 병렬 또는 교차로 배열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감지부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져있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원 또는 상기 제2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대기 전력으로 저장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대기 전력을 상기 제2 광원으로 공급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유연관으로 마련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라이트가이드로 마련되며,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는 옵틱이 형성된 차량용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은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로 마련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은 인체 무해 단파장을 방출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1 광원과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 광원을 통해 차량 내부의 심미성과 차량 내부 살균의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는 하우징 내 가시광선을 출사하는 제1 가이드부와 자외선을 출사하는 제2 가이드부를 교차로 배열하여 하우징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꺼져있는 상태에서 대기전력으로 제2 광원을 작동시켜 차량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가 병렬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가 교차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에서 라이트가이드로 마련된 제1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가 병렬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의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가 교차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에서 라이트가이드로 마련된 제1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10)는 차량(1)에 배치되어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1 광원(100), 차량(1)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 광원(200), 제1 광원(100)으로부터 입사된 가시광선을 차량(1) 내부로 출사하는 제1 가이드부(310)와 제2 광원(200)으로부터 입사된 자외선을 차량(1) 내부로 출사하는 제2 가이드부(320)가 구비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100)은 차량(1)에 배치되어 차량(1) 내부 또는 제1 가이드부(310)로 가시광선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광원(100)을 통해 차량(1) 내 실내 분위기와 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100)을 통해 차량(1)의 운전 상태 등 차량(1)의 정보를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1)이 일정속도를 넘어 달리는 경우, 과속 시 색상이 변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과속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제1 광원(100)은 램프 또는 LED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마련되어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제2 광원(200)은 차량(1)에 배치되어 차량(1) 내부 또는 제2 가이드부(320)로 자외선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광원(200)을 통해 배출되는 자외선으로 차량(1)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제2 광원(200)은 램프 또는 LED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체 무해 단파장을 방출하는 램프 또는 LED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차량(1) 내부에 배치되며, 제1 가이드부(310)와 제2 가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차량(1)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300) 내 프리즘, 거울 등의 굴절부재 또는 반사부재 등을 마련하여 제1 가이드부(310) 및 제2 가이드부(320)에서 출사되는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차량(1) 내부에 넓게 분사시킬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10)는 하우징(300)에 마련되며, 제1 광원(100)으로부터 입사된 가시광선을 차량(1) 내부로 출사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10)는 유연관(311) 또는 라이트가이드(312)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10)는 유연관(311)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광원(100)으로부터 제1 가이드부(310), 유연관(311)으로 입사된 가시광선은 유연관(311) 내부에서 유연관(311)의 내측면에 전반사를 하여 유연관(311) 내에서 가시광선의 산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연관(311)의 내부의 빛의 산란에 의해 유연관(311)이 밝게 보이며, 유연관(311)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띄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연관(311) 내에서 가시광선의 산란이 이루어지며 가시광선이 유연관(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10)는 라이트가이드(312)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광원(100)으로부터 제1 가이드부(310), 라이트가이드(312)로 입사된 가시광선은 라이트가이드(312) 내에서 라이트가이드(312)의 내측면에 전반사 및 굴절을 하여 라이트가이드(312) 내에서 가시광선의 산란 및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라이트가이드(312)의 내부에서의 빛의 전반사 및 굴절을 통해 라이트가이드(312) 외부로 빛이 분사될 수 있다.
라이트가이드(312)의 일면에는 라이트가이드(312) 내부의 광을 외부로 반사하기 위한 옵틱(313)이 형성될 수 있다. 옵틱(313)은 라이트가이드(312)의 일면 각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옵틱(313)면에는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코팅막에 의해서 광이 라이트가이드(312)를 투과해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코팅막은 알루미늄 또는 크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20)는 하우징(300)에 마련되며, 제2 광원(200)으로부터 입사된 자외선을 차량(1) 내부로 출사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20)는 제1 가이드부(310)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20)는 제1 가이드부(310)와 마찬가지로 유연관(311) 또는 라이트가이드(312)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가이드부(320)의 설계의 자유도 및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차량(1) 내부에 자외선이 출사되는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어 차량(1) 내부 살균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10)는 차량(1)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20)와,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30)와, 감지부(20)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전원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0)를 통해 차량(1)의 시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40)로 보내 전원부(30)를 제어하여 제1 광원(100) 또는 제2 광원(200)에 공급되는 전력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전원부(30)는 차량(1) 내 전력공급시스템일 수 있으며, 별도로 마련된 전력공급장치일 수 있다. 전원부(30)는 제1 광원(100) 또는 제2 광원(200)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대기전력으로 저장하는 충전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31)에 저장된 대기전력을 제2 광원(200)으로 전달하여, 차량(1)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제2 광원(200)이 자외선을 방출 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감지부(20)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전원부(30)를 제어하며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200)에서 가시광선 및 자외선이 방출되거나 방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차량(1)의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 전원부(30)를 제어하여 제1 광원(100)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시동이 꺼져있는 경우, 전원부(30)를 제어하여 제2 광원(200)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차량(1)의 시동이 꺼져 있는 경우 충전부(31)에 저장된 대기전력을 제2 광원(2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차량(1)의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 전원부(30)를 제어하여 제1 광원(100) 및 제2 광원(200)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가시광선 및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조명 장치(10)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1 광원(100)과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 광원(200)을 통해 차량(1) 내부의 심미성과 차량(1) 내부 살균의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0) 내 가시광선을 출사하는 제1 가이드부(310)와 자외선을 출사하는 제2 가이드부(320)를 교차로 배열하여 하우징(300)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량 10: 차량용 조명 장치
20: 감지부 30: 전원부
40: 제어부 100: 제1 광원
200: 제2 광원 300: 하우징
310: 제1 가이드부 320: 제2 가이드부

Claims (8)

  1. 차량에 배치되어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1 광원;
    상기 차량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2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가시광선을 차량 내부로 출사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자외선을 차량 내부로 출사하는 제2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원은
    복수로 마련되어 지그재그로 배열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이웃한 상기 제2 광원 사이를 모두 지나도록 복수회 꺽이며 연장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감지부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져있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 상기 제1 광원 또는 상기 제2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대기 전력으로 저장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대기 전력을 상기 제2 광원으로 공급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유연관으로 마련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라이트가이드로 마련되며,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는 옵틱이 형성된 차량용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은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로 마련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은
    인체 무해 단파장을 방출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조명 장치.
KR1020210145976A 2021-10-28 2021-10-28 차량용 조명 장치 KR102633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976A KR102633327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976A KR102633327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088A KR20230061088A (ko) 2023-05-08
KR102633327B1 true KR102633327B1 (ko) 2024-02-05

Family

ID=8638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976A KR102633327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3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530B1 (ko) 2018-12-12 2020-09-2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792A (ko) * 2019-02-12 2020-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살균이 가능한 차량의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20200137402A (ko) * 2019-05-30 2020-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
KR20210120347A (ko) * 2020-03-26 2021-10-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20210124848A (ko) * 2020-04-07 2021-10-1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용 실내 항균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02268B1 (ko) 2020-09-15 2021-09-15 유현일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530B1 (ko) 2018-12-12 2020-09-2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088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777B2 (en) LED apparatus for world homologation
US8348484B2 (en) Vehicle exterior lamp
JP5368481B2 (ja) 光ビーム及びホログラフィック3次元画像を生成する車両照明装置
JP5698784B2 (ja) 車両用方向指示灯
ITTV20150058A1 (it) Fanale automobilistico
KR101852375B1 (ko) 차량의 램프 장치
SI25295A (sl) Dodatna zavorna svetilka motornega vozila
US20170190282A1 (en) Running board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tor vehicle
JP7137581B2 (ja) 移動体用表示装置
KR102633327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EP3061654B1 (en) Vehicular active stop and tail lamp module
KR102125821B1 (ko) 차량용 조명장치
KR20180073069A (ko) 차량용 램프
US10259376B2 (en) Vehicle exterior lighting systems
JPH108425A (ja) トンネル内における視線誘導システム
JP2021139798A (ja) 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照明装置
JP6601901B2 (ja) 車両用灯火器
JP2011011569A (ja) 車両発光システム
JP2020027786A (ja) ランプ装置
KR20180076634A (ko) 차량용 램프
JP6889517B2 (ja) 車両用灯火器
JP5633235B2 (ja) 車両室内照明装置
WO2023199884A1 (ja) 車両用灯具
KR102435184B1 (ko) 차량용 램프
KR100939580B1 (ko) 차선 인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