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375B1 - 차량의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375B1
KR101852375B1 KR1020150189699A KR20150189699A KR101852375B1 KR 101852375 B1 KR101852375 B1 KR 101852375B1 KR 1020150189699 A KR1020150189699 A KR 1020150189699A KR 20150189699 A KR20150189699 A KR 20150189699A KR 101852375 B1 KR101852375 B1 KR 10185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vehicle
lamp housing
light
emit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783A (ko
Inventor
나태영
김아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375B1/ko
Priority to PCT/KR2016/015514 priority patent/WO2017116184A1/ko
Publication of KR20170080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3/14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H05B37/0227
    • H05B37/028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2 이상의 발광면을 가지도록 밴딩 고정된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되되,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발광면을 구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밴딩라인을 가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고급화를 꾀하고, 운전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램프 장치{Lamp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면 전부 또는 부분의 조도 및 색채가 상이하도록 조사 가능함은 물론, 복수개의 발광부의 입체적인 배열을 통하여 구성을 보다 단순화하면서도 다양한 배광 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안전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방을 밝히는 헤드램프와,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등과, 안개지역에서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는 안개등과, 차량의 제동 작동을 알리는 브레이크등과, 차량이 후진할 때 후방을 밝히는 리어램프와, 뒤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폭을 알려주는 테일램프를 포함하는 각종 차량용 램프 장치가 설치된다.
차량용 램프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배광패턴을 이루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으로는 벌브 및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므로 벌브 및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리플렉터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고,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설계자가 요구하는 배광 패턴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원리로 조사되는 각종 차량용 램프 장치는, 필요에 의하여 각각 구비되어야 하는 한편, 광원 자체가 차체에 고정되어 운전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의 조사를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리플렉터 등 이를 제어하는 각종 구성이 산재해 있어 전체적인 램프 장치의 구성이 복잡화됨은 물론 차체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고급화를 꾀하고, 다양한 배광 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2 이상의 발광면을 가지도록 밴딩 고정된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되되,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발광면을 구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밴딩라인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밴딩라인은, 상기 램프 하우징의 하단 라인을 따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차량의 수평 주행 방향에 대하여 수평되게 조사하도록 밴딩된 수평 발광면과, 상기 수평 발광면보다 상측을 조사하도록 밴딩된 상향 발광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발광면과 상기 상향 발광면은 상호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상기 수평 발광면과 상기 상향 발광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동일한 면적의 발광면을 가질 때,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각각의 상기 상향 발광면 및 수평 발광면의 면적은 상기 밴딩라인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갈수록 그 면적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인접하는 발광부끼리 소정 면적이 오버랩되게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상기 상향 발광면 측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일부에 구비된 전원 입력단과, 상기 수평 발광면 측의 상단 및 하단 중 다른 일부에 구비된 전원 출력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입력단과 상기 전원 출력단이 형성된 단부는 직선으로 형성되되, 나머지 단부는 비정형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인접하는 발광부끼리 상기 수평 발광면의 직선으로 형성된 단부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세레이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 하우징의 일측단 및 타측단은, 상기 차체에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디자인 라인과 연결되되, 상기 램프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디자인 라인과 연속되게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으로 형성된 상기 상향 발광면 및 수평 발광면의 선단은, 각각 상기 램프 하우징의 상단의 곡선으로부터 하부 및 상기 램프 하우징의 하단의 곡선으로부터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는 소정의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인접하는 발광부끼리의 상기 오버랩된 부위에 해당하는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인접하는 발광부끼리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격된 부위를 채워주면서 빛을 조사하도록 밴딩 형성된 추가 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의 배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위 브라켓과,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브라켓이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 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투명 아우터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상기 밴딩라인이 이루는 곡면이 상기 투명 아우터 렌즈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이격 형성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단이 상기 램프 하우징의 테두리 중 상단 중간부에 매칭되게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램프 하우징의 하단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을 가지되, 상기 투명 아우터 렌즈에 삽입 고정되는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상기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밴딩라인이 상기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의 하단 곡면에 대응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각각의 부분 또는 전체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에 구비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상기 수평 발광면의 조도가 상기 상향 발광면의 조도보다 크게 조사시킴과 아울러, 상기 차체의 가운데 중심부로부터 가깝게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조도보다 상기 차체의 가운데 중심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조도가 크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GPS 또는 차체 거동 감지부를 통하여 태양의 위치를 판단하는 자연광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연광 파단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태양의 위치별로 상이하게 상기 수평 발광면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소정 이상 답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에 구비된 턴시그널 레버를 조작하면, 조작 방향에 구비된 턴 시그널용 램프를 점멸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의 색채를 제1색상에서 제2색상으로 변경하여 조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턴 시그널 레버의 조작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를 순차 점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을 후방 주행시키면, 상기 차체의 가운데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조도보다 상기 차체의 가운데 중심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조도가 크게 조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오르막 경사로 입구와, 상기 오르막 경사로의 종점 및 내리막 경사로의 시점과, 상기 내리막 경사로의 종점을 각각 주행할 경우, 상기 각 지점에서의 상기 상향 발광면 및 수평 발광면의 조도를 상이하게 조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색채 또는 조도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F-OLED의 발광부 복수개를 입체적으로 램프 하우징 내에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배광 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단순화 및 운전자의 주행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차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구성 중 복수개의 발광부의 램프 하우징 내의 배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구성 중 복수개의 발광부 및 브라켓의 램프 하우징 내의 배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다양한 배광 패턴 중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는 다양한 배광 패턴 중 '경사로 주행 모드' 시의 브라켓 및 발광부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차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되나, 최근 활발하게 연구 및 적용 중인 소위 'ADAS 시스템'의 응용 기술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ADAS라 함은, Advanced Driver Assistant Systems의 약자로, 운전자의 안전 주행을 돕는 시스템을 말한다.
운전자의 안전 주행을 돕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서, 특히 차량의 램프 장치(100)에 있어서는, 차체(1)의 거동에 따라 순간적으로 놓칠 수 있는 운전자의 주행 시야를 밝혀줌은 물론, 주행 차량의 주변의 차량 운전자에게도 현재 주행 차량의 주행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보다 안전한 주행 환경이 되도록 응용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에는 주행 차량의 좌우 기울기와 전후 기울기 및 주행 차량의 주행방향 전방 도로(노면) 상태 등을 감지하는 차체 거동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의 차체 거동 감지부라 함은, 현재 주행 차량의 노면 상태를 포함하는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것이라면 여하한 구성이라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나아가, 현재 주행 차량의 주변 환경이라 함은, 차량의 주행 결과 이미 현재 주행 차량에 반영된 결과물(예를 들어, 노면의 굴곡으로 인한 진동 또는 노면의 경사면으로 인한 차체(1)의 기울기 및 진동 등)이 반영된 것일 수 있고, 앞으로의 주행 차량의 주행 방향을 미리 예측하여 주행 차량이 주행하여야 할 전방의 노면 상태 등이 분석된 결과값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은 차체 거동 감지부는, 기구적으로는 차체(1)에 구비되어 차량의 좌우 기울기와 전후 기울기를 감지하는 경사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주행 차량이 주행할 전방 노면의 영상, 주변의 영상을 미리 확보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값을 예측해주는 ADAS용 영상획득부일 수 있다. ADAS용 영상획득부는, 단일 렌즈를 구비한 단일 카메라일 수 있고, 2 이상의 렌즈를 구비한 멀티 카메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차체 거동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최대한 운전자의 안전 주행을 위협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램프 장치(100)를 작동시키는 작동 메커니즘 및 그 구조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램프 하우징(110)과, 램프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2 이상의 발광면을 가지도록 밴딩 고정된 발광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광부(120)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F-OLED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구비되되,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발광면을 구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밴딩라인(122)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램프 장치(100)는, 차체(1)의 전단 좌우측 모서리를 각각 점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램프 모듈과, 차체(1)의 후단 좌우측 모서리를 각각 점하도록 구성되는 리어 램프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차체(1)의 전단부에는 보넷 커버가 후단을 기준으로 전단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엔진 룸을 개폐시키고, 차체(1)의 후단부에는 트렁크 리드가 전단을 기준으로 후단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트렁크 룸을 개폐시킨다.
한편, 램프 하우징(110)에 인접하는 차체(1)의 좌우 측부에는 차량의 주행시 속도감 또는 차량의 주행시 부딪히는 공기의 역학적 흐름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명 디자인 라인(10,20)이 전후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 라인(10,20)은, 차체(1)의 전단부에 구비된 보넷 커버와 차체(1)가 형성하는 제1라인(10)과, 제1라인(10)의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차체(1)의 전방부 측면 패널 및 도어 패널, 그리고 차체(1)의 후방부 측면 패널을 거쳐 차체(1)의 후단부에 구비된 트렁크 리드 측으로 연장되는 제2라인(20) 및 트렁크 리드와 차체(1)가 형성하는 제3라인(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110)은, 일측단(101) 및 타측단(103)이, 상술한 디자인 라인(10,20) 중 제1라인(10) 및 제3라인과 연결되되, 램프 하우징(110)의 상단(105) 및 하단(107)은 디자인 라인(10,20)과 연속되게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곡선으로 형성된 램프 하우징(110)의 상단(105) 및 하단(107)은, 일측단(101) 및 타측단(103)을 중심으로 가운데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도록 구비되고, 그 벌어진 틈 사이에 상술한 발광부(120)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발광부(120)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램프 하우징(110) 내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하우징(110) 내에는, 복수개의 발광부(120)가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배치되되, 예를 들면,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전단 좌측부에 구비된 헤드 램프 모듈이라고 가정할 경우, 차체(1)의 전단 가운데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가 전방으로 더 앞으로 위치되고, 차체(1)의 좌측단(즉, 차체(1)의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더 뒤로 위치되도록 연속 배열된다. 즉, 전단 좌측의 램프 하우징(1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후방 좌측으로 휘어져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인접하는 발광부(120)끼리 소정 면적이 오버랩되게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차체(1)의 주행방향 직전방에서 관찰할 경우, 빛이 조사되지 않은 음영 구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는, 이해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 램프 모듈 중 차체(1)의 전단 좌측부에 구비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복수개의 발광부(120) 배치 원리는 헤드 램프 모듈 중 차체(1)의 전단 우측부에 구비된 경우 및 리어 램프 모듈 중 차체(1)의 후단 좌측부 및 우측부에 구비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복수개의 발광부(120) 각각은, 상술한 밴딩라인(122)에 의하여 빛이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구분되어 조사되도록 적어도 2개의 발광면을 구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밴딩라인(122)은, 도 2 내지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램프 하우징(110)의 하단(107) 라인을 따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처럼, 램프 하우징(110)의 상단(105) 및 하단(107) 라인은, 디자인 라인(10,20)과 연속되게 구비되는 바, 램프 하우징(110)의 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밴딩라인(122)이 램프 하우징(110)의 하단(107) 라인을 따라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스타일링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발광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F-OLED로 구비될 수 있다. F-OLED는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방식의 발광면을 채택하되, 일측 또는 타측으로 휨 가능한 플렉서블 형상 변경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특히, 발광부(120)는 F-OLED의 다양한 종류 중 인쇄방식 OLED(P-OLED, Plasti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이하, 'P-OLED'라 칭함)로 구현될 수 있다. P-OLED는 DC 구동 방식을 채택하므로 인버터가 필요 없기 때문에 구동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한편, 고휘도(250cd/m2이상), 장수명(10,000시간이상) 특성을 가지면서도 무기EL과 같은 ITO 필름을 Base Flim으로 사용하므로 밴딩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P-OLED는 전체 조도를 자유롭게 변경 제어 가능함은 물론 하나의 발광면에서 부분적인 조도 변경이 가능하고, 색채 또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컬러풀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밴딩라인(122)에 의하여 구분되는 발광부(120)는, 차량의 수평 주행 방향에 대하여 수평되게 조사하도록 밴딩된 수평 발광면(121)과, 수평 발광면(121)보다 상측을 조사하도록 밴딩된 상향 발광면(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 발광면(121)은 대략 차량이 바퀴가 닿는 지면을 수평면이라 할 때 전방 또는 하방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하향되게 제1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전제로 하고, 상향 발광면(123)은 제1경사도보다 더 작은 경사도로를 갖도록 형성되며, 수평 발광면(121)과 상향 발광면(123)은 상호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발광면(121)과 상향 발광면(123)을 가지며, 각각의 발광부(120)의 수평 발광면(121)과 상향 발광면(123)이 형성하는 상기 둔각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수평 발광면(121) 및 상향 발광면(123)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는 이유는, 다양한 배광 패턴 중 하이빔 조사 모드 및 로우빔 조사 모드에 적정한 각도로 설정될 필요가 있음은 물론, 다양한 배광 패턴 중 일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 및 타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 및 각각의 다양한 배광 패턴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복합 조사 모드에 필요한 적정한 각도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각 배광 패턴을 미리 고려하여 수평 발광면(121)과 상향 발광면(123)이 이루는 각도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둔 후, 각 배광 패턴 구현시 필요한 발광부(120)의 전체 또는 부분 조도, 전체 또는 부분 색채의 제어만으로도 완성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밴딩라인(122)을 기준으로 각각 상이한 각도를 가진 수평 발광면(121) 및 상향 발광면(123)을 가지도록 밴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전체가 각각 동일한 면적의 발광면을 가진다고 할 때, 복수개의 발광부(120) 각각의 수평 발광면(121) 및 상향 발광면(123)의 면적은 밴딩라인(122)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갈수록 그 면적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밴딩라인(122)은 차체(1)의 디자인 라인(10,20)에 연속되게 구비된 램프 하우징(110)의 하단(107)을 따라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이므로, 각 발광부(120)의 수평 발광면(121) 및 상향 발광면(123)이 가지는 각 면적은 밴딩라인(122)에 의존적으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밴딩라인(122)은, 기능적으로 관찰하면, 수평 발광면(121)과 상향 발광면(123)을 구분시키는 기준이 되는 것이지만, 밴딩라인(122) 또한 P-OLED를 구성하는 바, 밴딩라인(122)의 영역에서도 빛이 조사됨은 물론,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색채의 변경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도 6은 도 2의 구성 중 복수개의 발광부의 램프 하우징 내의 배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구성 중 복수개의 발광부 및 브라켓의 램프 하우징 내의 배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다양한 배광 패턴 중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다양한 배광 패턴 중 '경사로 주행 조사 모드' 시의 브라켓 및 발광부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향 발광면(123) 측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일부에 구비된 전원 입력단(도면부호 미표기)과, 수평 발광면(121) 측의 상단 및 하단 중 다른 일부에 구비된 전원 출력단(도면부호 미표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입력단과 전원 출력단이 형성된 단부는 직선으로 형성되되, 나머지 단부는 비정형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입력단은 상향 발광면(123) 측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전원 출력단은 수평 발광면(121) 측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인접하는 발광부(120)끼리 수평 발광면(121)의 직선으로 형성된 단부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세레이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단부가 세레이션 형상을 이루게 되면, 발광부(120) 전체를 통하여 빛이 조사될 경우 밴딩라인(122)을 따라 세레이션 형상이 투영되므로, 보는 이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발광부(120)의 구성이 복수개로 구성된 것임을 직감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술한 세레이션 형상은, 후술하는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의 구현 시 후방에서 뒤따르는 후방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정확한 방향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직선으로 형성된 상향 발광면(123)의 선단은, 램프 하우징(110)의 상단(105)의 곡선(즉, 차체(1)의 외관에 형성된 디자인 라인(10,20)과 연결되도록 연속되게 형성된 곡선)으로부터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소정의 곡선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직선으로 형성된 수평 발광면(121)의 선단은, 램프 하우징(110)의 하단(107)의 곡선으로부터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소정의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의 선단(끝)의 조합만이 소정의 곡선을 이루는 것이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의 단부는 세레이션 형상을 갖도록 직선 형상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발광부(120)끼리 소정 면적이 오버랩되게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체(1)의 가운데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휘어지게 배치됨과 아울러, 발광부(120)의 발광면이 전방 또는 측방을 향하도록 설계되는 점에서 기인된 것이다.
복수개의 발광부(120)가, 인접하는 발광부(120)끼리 소정 면적이 오버랩되게 구비되는 바, 상술했던 것처럼, 차량의 주행방향 직전방에서 복수개의 발광부(120)를 관찰할 경우 음영구역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램프 하우징(110) 내에서 차체(1)의 외측으로 갈수록 휘어지게 배치되는 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의 일측에서 관찰자가 관찰할 경우, 전후 이격된 사이를 통하여 음영구역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서,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인접하는 발광부(120)끼리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격된 부위를 채워주면서 빛을 조사하도록 밴딩 형성된 추가 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밴딩부는, 인접하는 발광부(120)끼리 오버랩되어 있는 부분에 구비되되, 전후 방향으로의 이격된 부위를 채워줌으로써 관찰자가 어느 위치에서 관찰하더라도 빛이 조사되고 있는 동안에는 음영구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 밴딩부는, 기존 발광부(120)의 단부를 밴딩시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P-OLED가 개별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도 5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배면 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발광부(120)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위 브라켓(130)과, 복수개의 단위 브라켓(130)이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브라켓(170)은, 전면에는 복수개의 단위 브라켓(130)을 고정시키고, 배면에는 복수개의 단위 브라켓(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8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단위 브라켓(130)마다 복수개의 발광부(120) 각각이 부착됨으로써, 상술한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게 된다.
즉,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 및 이를 구분하는 밴딩라인(122)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복수개의 단위 브라켓(130) 또한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향 발광면(123)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133) 및 수평 발광면(121)을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131) 그리고 상부 지지부(133)와 수평 지지부(131) 사이에 절곡된 절곡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램프 하우징(11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투명 아우터 렌즈(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투명 아우터 렌즈(140)는 명칭에 불구하고, 외부로부터 내부가 투영되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비교적 조도가 큰 P-O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 또는 분산시키기 위해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 투명 아우터 렌즈(140)가 갖는 의미는 그 재질이 투명인지 불투명인지를 가리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발광부(120)가 램프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되, 투명 아우터 렌즈(140)와의 관계에서 어떤 배치 관계를 갖느냐의 것이다.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밴딩라인(122)이 이루는 곡면이 투명 아우터 렌즈(140)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이격 형성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상향 발광면(123) 및 수평 발광면(121)의 직선 단부의 램프 하우징(110)의 상단(105) 및 하단(107)에 대응되는 구조가 램프 하우징(110) 내에서의 수직 구조를 정의하는 것이라면,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밴딩라인(122)이 이루는 곡면이 투명 아우터 렌즈(14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구조는 수평 구조를 정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4, 도 5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단(141)이 램프 하우징(110)의 테두리 중 상단(105) 중간부에 매칭되게 배치되고, 하단(143)이 램프 하우징(110)의 하단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을 가지되, 투명 아우터 렌즈(140)에 삽입 고정되는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160)는, 그 배면 측에 배치된 턴시그널 발광부(15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영시키는 역할을 한다. 턴시그널 발광부(150)는, 일반적으로 차량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선회주행할 때 점멸되면서 주행 차량의 주변에 현재 주행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일시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복수개의 발광부(120)는,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160)의 하부에 배치되되, 밴딩라인(122)이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160)의 하단 곡면에 대응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램프 하우징(110)의 일측단(101) 및 타측단(103)이 차체(1)의 측부에 형성된 디자인 라인(10,20)과 연결됨과 아울러, 램프 하우징(110)의 상단(105) 및 하단(107)이 연속되는 곡선을 형성하고, 램프 하우징(110) 내에 구비된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밴딩라인(122) 또한 램프 하우징(110)의 하단(107) 곡선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160)의 하단 곡면에 대응되게 배열됨으로써 절단감 없는 연속감의 외부 디자인을 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발광부(120) 각각의 부분 또는 전체 조도, 나아가 부분 또는 전체 색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다양한 배광 패턴 구현 모습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헤드 램프 모듈로 구동되는 경우와 리어 램프 모듈로 구동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헤드 램프 모듈로 구동되는 경우를 상정하면, 다양한 배광 패턴 중, 차량이 직선 주행 차로를 주행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주행방향 조사 모드'와, 차량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선회 주행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일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 '타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와, 차량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선회 주행할 때 선회 방향을 표시하도록 빛을 점멸 조사시키는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와, 차량이 주행하는 지면 방향으로 빛을 하향 조사하는 '로우빔 조사 모드'와, 차량이 주행하는 지면보다 상측으로 빛을 상향 조사하는 '하이빔 조사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어 램프 모듈로 구동되는 경우를 상정하면, 다양한 배광 패턴 중, 차량이 후방 직진 방향으로 주행하는 '후방주행 조사 모드'와, 차량이 전방주행 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선회 주행할 때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선회 방향을 표시하도록 빛을 점멸 조사시키는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와, 차량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으면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브레이크 조사 모드'와, 차량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소정 이상 답력으로 작동시킬 때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급브레이크 조사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헤드 램프 모듈의 배광 패턴 구현 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구체적인 작동 모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주행하는 지면 방향으로 빛을 하향 조사하는 로우빔 조사 모드 시에 필요한 광(光)은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 중 수평 발광면(121)의 빛으로 채택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로우빔 조사 모드 시에, 제어부는, 상향 발광면(123)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보다 수평 발광면(1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가 더 크게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이 주행하는 지면보다 상측으로 빛을 상향 조사하는 하이빔 조사 모드 시에 필요한 광(光)은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 중 상향 발광면(123)의 빛으로 채택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이빔 조사 모드 시에, 제어부는, 상향 발광면(123)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가 수평 발광면(1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보다 더 크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직선 주행 차로를 주행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주행방향 조사 모드 시에 필요한 광(光)은 복수개의 발광부(120) 중 차체(1)의 가운데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더 유리하고, 로우빔 조사 모드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발광부(120)의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 중 수평 발광면(1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더 유리하며, 하이빔 조사 모드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발광부(120)의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 중 상향 발광면(123)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방향 조사 모드 시에, 제어부는, 차체(1)의 가운데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의 빛의 조도가 차체(1)의 외측에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의 빛의 조도보다 더 크게 조사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배광 패턴에 따라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의 조도를 적절하게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차량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선회 주행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일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 및 타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 시에 필요한 광(光)은, 선회 방향 측의 램프 하우징(1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발광부(120) 중 차체(1)의 외측에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더 유리한 반면, 선회 방향 측과 반대 측의 램프 하우징(1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발광부(120) 중 차체(1)의 가운데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된 빛이 더 유리하다. 한편, 발광부(120)의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 중 수평 발광면(1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우빔 조사 모드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발광부(120)의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 중 수평 발광면(1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더 유리하며, 하이빔 조사 모드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발광부(120)의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 중 상향 발광면(123)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 및 타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 시에, 제어부는, 차량이 선회하는 방향 측으로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들의 조도가 그 반대 방향 측에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들의 조도보다 더 큰 조도로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고, 로우빔 조사 모드 또는 하이빔 조사 모드가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그 배광 패턴 별로 적절한 제어가 요구된다.
한편, 차량이 상술한 선회방향 조사 모드로 빛을 조사할 때, 턴 시그널 레버의 조작과 연동하여 선회 방향을 표시하도록 빛을 점멸 조사시키는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 시에 필요한 광(光)은, 차체(1)의 전단 좌우측에 구비된 램프 하우징(110) 중 선회 방향 측 램프 하우징(110)에 구비된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으로 한정되는 것이고, 특히, 선회 방향 측 램프 하우징(110)의 발광부(120) 중 차체(1)의 외측에 가깝게 배치된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일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 또는 타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와 상술한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가 동시에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발광부(120)의 발광면 중 상향 발광면(123)을 이용하여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를 구현하고, 발광부(120)의 발광면 중 수평 발광면(121)을 이용하여 일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 또는 타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주위 차량의 운전자가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인식률이 좋은 색채로 변경하여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리어 램프 모듈의 배광 패턴 구현 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구체적인 작동 모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후방 직진 방향으로 주행하는 후방주행 조사 모드 시 필요한 광(光)은 운전자가 차량의 좌우 측에 구비된 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후방 관찰이 용이하도록 차체(1)의 좌우 후면 지면 전체를 비출 수 있는 광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차체(1)의 후단 좌우측에 구비된 램프 하우징(110) 내에 구비된 발광부(120) 전부가 유리한 광으로 설정되되, 바람직하게는 발광부(120)의 상향 발광면(123) 및 수평 발광면(121) 중 수평 발광면(1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더 유리한 광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주행 조사 모드 시에, 제어부는, 램프 하우징(110) 내의 발광부(120)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조도로 빛을 조사시키도록 제어하되, 수평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가 상향 발광면(123)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보다 더 크게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체(1)의 가운데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된 발광부(120)의 조도보다 차체(1)의 가운데 중심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발광부(120)의 조도가 더 크게 조사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차체(1)의 후미 측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차량이 전방주행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 또는 타측 선회방향 조사 모드로 헤드 램프 모듈이 배광 패턴을 구현할 때, 리어 램프 모듈 또한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선회 방향을 표시하도록 빛을 점멸 조사시키는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의 배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리어 램프 모듈의 턴 시그널 램프 조사 모드 시 필요한 광(光)은 뒤따르는 차량 전부의 운전자들에게 보다 명확하게 주행 차량의 선회 방향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 바, 차체(1)의 후단 좌우측 중 선회 방향 측에 구비된 램프 하우징(11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유리하고, 그 램프 하우징(110) 내의 복수개의 발광부(120) 중 차체(1)의 외측에 가깝게 배치된 발광부(120)들로부터 조사된 빛이 더 유리하며, 발광부(120)의 상향 발광면(123) 및 수평 발광면(121) 중 수평 발광면(1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에 구비된 턴 시그널 레버(미도시)를 조작하면, 조작 방향에 구비된 턴 시그널용 램프를 점멸 제어함과 아울러, 턴 시그널 레버의 조작 방향으로 복수개의 발광부(120)를 순차 점멸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발광부(120)가 차량의 선회 방향 측으로 순차 점멸되므로, 선회 방향 측으로 소정의 방향성을 갖도록 점멸되기 때문에 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들이 더 명확하게 선회 방향을 예측하여 차량의 안전 사고의 위협이 사전에 방지되는 이점을 가지는 동시에 입체적인 조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개의 발광부(120)의 색채를 제1색상에서 제2색상으로 변경하여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의 제2색상은 제2색상보다 더 인식률이 좋은 색상일 수 있다.
한편, 차량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으면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브레이크 조사 모드 시에 필요한 광(光)은 차체(1)의 후단 좌우측에 구비된 램프 하우징(110) 전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유리하고, 특히, 램프 하우징(110) 내의 발광부(120) 중 차체(1)의 가운데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보다 차체(1)의 외측에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된 빛이 더 유리하다.
따라서, 브레이크 조사 모드 시, 제어부는, 차체(1)의 후단 좌우측에 구비된 램프 하우징(110) 내의 복수개의 발광부(120) 중 차체(1)의 외측에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가 차체(1)의 가운데 중심부로부터 가깝게 위치된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보다 더 크게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들이 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인식률이 좋은 색상으로 변경하여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수평 발광면(121)의 조도가 상향 발광면(123)의 조도보다 크게 조사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들의 전방 운전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소정 이상 답력으로 작동시킬 때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급브레이크 조사 모드시 필요한 광(光)은, 브레이크 조사 모드 시와 동일하다.
따라서, 급브레이크 조사 모드 시, 제어부는, 브레이크 조사 모드 시와 동일하게 제어하되, 복수개의 발광부(120)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급브레이크 조사 모드의 배광 패턴은,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보다 명확하게 인식되어야 하므로, 발광부(120)의 발광면 중 상향 발광면(123)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가 수평 발광면(1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도보다 더 크게 조사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리어 램프 모듈의 브레이크 조사 모드 및 급브레이크 조사 모드는 통상 야간 주행시의 제어부에 의한 발광부(120)의 제어를 기술한 것이나, 주간 주행시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GPS 또는 차체 거동 감지부를 통하여 태양의 위치를 판단하는 자연광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연광 판단부는, 현재 주행하는 차량의 위치를 상술한 바와 같이 GPS를 통하여 거시적인 태양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차체 거동 감지부를 통하여 차체(1)의 움직임에 따른 미시적인 태양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후행하는 차량과의 관계에서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최적의 발광면의 조도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제어부는, 자연광 판단부에 의하여 감지된 태양의 위치별로 상이하게 수평 발광면(121)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주간 주행시 자칫 태양을 바라보면서 뒤따르는 후행 차량의 운전자가 적절한 경고를 놓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헤드 램프 모듈 및 리어 램프 모듈의 대표적인 배광 패턴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통한 구체적인 모습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적용된 배광 패턴이 상술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주행 차량이 오르막 경사로로 진입하여 오르막 종점에 도달한 후 다시 내리막 경사로를 주행하여 내리막 경사로 종점에 도달하여 결국 평지를 주행하게 될 경우 각 기점마다 3번의 구동부(40) 및 발광부(120)의 조도 제어가 상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를 '경사로 주행 조사 모드'라 칭한다.
먼저, 주행 차량이 오르막 경사로를 주행할 경우, 다양한 배광 모드 중 일반의 주행방향 조사 모드로 오르막 경사로를 진입 주행하면 운전자는 경사로 전방 상측의 주행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차체 거동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주행 차량의 전방 도로 상태가 오르막 경사로의 입구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는, 주행 차량이 오르막 경사로에 완전 진입할 때까지 일시적으로 하이빔 조사 모드가 구현되도록 발광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발광부(120)의 하이빔 조사 모드는 앞에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주행 차량이 오르막 경사로 종점에서 전환되어 내리막 경사로로 주행하기 시작할 경우, 다양한 배광 모드 중 일반의 주행방향 조사 모드로 내리막 경사로를 주행하게 되면 오르막 경사로에서 내리막 경사로로 전환되는 시점에 운전자는 경사로 하방의 주행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차체 거동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주행 차량의 전방 도로 상태가 오르막 경사로의 종점 및 내리막 경사로의 시점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는, 주행 차량이 내리막 경사로에 완전 진입할 때까지 일시적으로 로우빔 조사 모드가 구현되도록 발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발광부(120)의 로우빔 조사 모드에 관한 제어는 이미 상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주행 차량이 내리막 경사로의 종점에서 평지로 주행할 경우, 다양한 배광 모드 중 일반의 주행방향 조사 모드로 평지에 진입 주행하게 되면 그 진입 시점에 운전자는 평지 전방의 주행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차체 거동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주행 차량의 전방 도로 상태가 내리막 경사로의 종점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는, 발광부(120)를 주행 차량이 평지에 완전 진입할 때까지 일시적으로 하이빔 조사 모드가 구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차량이 비포장 노면을 주행할 경우, 울퉁불퉁한 비포장 노면에 의하여 차량의 자세가 좌우로 심하게 요동칠 경우, 헤드 램프 장치(100)로부터 조사되는 빛 또한 차체(1)를 따라서 좌우로 요동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차체 거동 감지부가 주행 차량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진 것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는, 발광부(120)의 발광면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차체 거동 감지부에 의하여 주행 차량의 기울기가 '0'인 경우에 조사되는 빛과 동일한 목표 지점으로 조사되도록 상향 발광면(123) 및 수평 발광면(121)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가 발광부(120)의 조도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차체(1)의 좌우 요동에도 불구하고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일정한 목표 지점으로 지속적으로 조사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목표 지점으로의 조도가 가장 밝게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체(1)의 요동에 따른 주행시야를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에 의하여 복수개의 발광부(120) 및 각 발광면의 상향 발광면(123)과 수평 발광면(121)의 조도를 적절히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배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입체적인 배광 패턴이 구현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차량(또는 차체) 10 : 제1라인
20: 제2라인 10,20: 디자인 라인
100: 램프 장치 101: 램프 하우징의 일측단
103: 램프 하우징의 타측단 105: 램프 하우징의 상단
107: 램프 하우징의 하단 110: 램프 하우징
120: 발광부 121: 수평 발광면
122: 밴딩라인 123: 상향 발광면
130: 브라켓 131: 수평 지지부
132: 절곡 라인 133: 상부 지지부
140: 투명 아우터 렌즈 141: 투명 아우터 렌즈의 상단
143: 투명 아우터 렌즈의 하단 150: 턴시그널 발광부
160: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 170: 메인 브라켓
180: 인쇄회로기판

Claims (21)

  1.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2 이상의 발광면을 가지도록 밴딩 고정된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되되,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발광면을 구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밴딩라인을 가지고,
    차량의 수평 주행 방향에 대하여 수평되게 조사하도록 밴딩된 수평 발광면과, 상기 수평 발광면보다 상측을 조사하도록 밴딩된 상향 발광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발광면과 상기 상향 발광면은 상호 둔각을 형성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밴딩라인은, 상기 램프 하우징의 하단 라인을 따라 대응되게 형성되는 차량의 램프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상기 수평 발광면과 상기 상향 발광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상이하게 설정되는 차량의 램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동일한 면적의 발광면을 가질 때,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각각의 상기 상향 발광면 및 수평 발광면의 면적은 상기 밴딩라인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갈수록 그 면적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차량의 램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인접하는 발광부끼리 소정 면적이 오버랩되게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차량의 램프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상기 상향 발광면 측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일부에 구비된 전원 입력단과;
    상기 수평 발광면 측의 상단 및 하단 중 다른 일부에 구비된 전원 출력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입력단과 상기 전원 출력단이 형성된 단부는 직선으로 형성되되, 나머지 단부는 비정형의 곡선으로 형성된 차량의 램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인접하는 발광부끼리 상기 수평 발광면의 직선으로 형성된 단부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세레이션 형상을 이루는 차량의 램프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의 일측단 및 타측단은, 차체에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디자인 라인과 연결되되, 상기 램프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디자인 라인과 연속되게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으로 형성된 상기 상향 발광면 및 수평 발광면의 선단은, 각각 상기 램프 하우징의 상단의 곡선으로부터 하부 및 상기 램프 하우징의 하단의 곡선으로부터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는 소정의 곡선을 형성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인접하는 발광부끼리의 상기 오버랩된 부위에 해당하는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인접하는 발광부끼리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격된 부위를 채워주면서 빛을 조사하도록 밴딩 형성된 추가 밴딩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의 배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위 브라켓과;
    상기 복수개의 단위 브라켓이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투명 아우터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상기 밴딩라인이 이루는 곡면이 상기 투명 아우터 렌즈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이격 형성되게 배치된 차량의 램프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램프 하우징의 테두리 중 상단 중간부에 매칭되게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램프 하우징의 하단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을 가지되, 상기 투명 아우터 렌즈에 삽입 고정되는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는,
    상기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밴딩라인이 상기 턴 시그널용 아우터 렌즈의 하단 곡면에 대응되게 배열된 차량의 램프 장치.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 각각의 부분 또는 전체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에 구비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상기 수평 발광면의 조도가 상기 상향 발광면의 조도보다 크게 조사시킴과 아울러, 차체의 가운데 중심부로부터 가깝게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조도보다 차체의 가운데 중심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조도가 크게 제어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GPS 또는 차체 거동 감지부를 통하여 태양의 위치를 판단하는 자연광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연광 판단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태양의 위치별로 상이하게 상기 수평 발광면의 조도를 제어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소정 이상 답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키는 차량의 램프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에 구비된 턴시그널 레버를 조작하면, 조작 방향에 구비된 턴 시그널용 램프를 점멸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의 색채를 제1색상에서 제2색상으로 변경하여 조사시키는 차량의 램프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턴 시그널 레버의 조작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를 순차 점멸시키는 차량의 램프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을 후방 주행시키면, 상기 차체의 가운데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조도보다 상기 차체의 가운데 중심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발광부의 조도가 크게 조사시키는 차량의 램프 장치.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오르막 경사로 입구와, 상기 오르막 경사로의 종점 및 내리막 경사로의 시점과, 상기 내리막 경사로의 종점을 각각 주행할 경우, 상기 각 지점에서의 상기 상향 발광면 및 수평 발광면의 조도를 상이하게 조사시키는 차량의 램프 장치.
KR1020150189699A 2015-12-30 2015-12-30 차량의 램프 장치 KR101852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699A KR101852375B1 (ko) 2015-12-30 2015-12-30 차량의 램프 장치
PCT/KR2016/015514 WO2017116184A1 (ko) 2015-12-30 2016-12-29 차량의 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699A KR101852375B1 (ko) 2015-12-30 2015-12-30 차량의 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783A KR20170080783A (ko) 2017-07-11
KR101852375B1 true KR101852375B1 (ko) 2018-06-12

Family

ID=5922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699A KR101852375B1 (ko) 2015-12-30 2015-12-30 차량의 램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2375B1 (ko)
WO (1) WO2017116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662B1 (ko) * 2018-04-27 2019-08-2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Lgf와 fl 모듈이 적용된 자동차용 후미등
WO2020045699A1 (ko) * 2018-08-28 2020-03-05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JP2020077564A (ja) * 2018-11-09 2020-05-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KR102178905B1 (ko) * 2019-07-04 2020-11-16 (주)크레스라이트 투명 전도성 산화물 ito을 이용한 자동차용 결빙방지 led 램프
KR20210109708A (ko) 2020-02-27 202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의 순차 점등 장치
KR20210136567A (ko) 2020-05-08 2021-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커뮤니케이션 조명 시스템
KR20210154292A (ko) 2020-06-11 2021-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순차점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821B2 (ko) * 1983-02-18 1992-05-12 Ikeden Seisakusho Kk
JP4027821B2 (ja) 2003-03-11 2007-12-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4592172B2 (ja) * 2000-10-26 2010-12-0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KR20120066030A (ko) * 2009-08-27 2012-06-21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전반 조명을 위한 램프
JP2013045523A (ja) * 2011-08-22 2013-03-04 Koito Mfg Co Ltd 平面光源を備えた車両用灯具
JP2015053147A (ja) * 2013-09-05 2015-03-19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KR20150107041A (ko) * 2014-03-13 2015-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유닛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8984B2 (en) * 2003-04-17 2007-03-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ED headlamp array
US9194566B2 (en) * 2012-06-08 2015-11-24 Lg Innotek Co., Ltd. Lamp unit and vehicle lamp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672031B1 (ko) * 2014-06-02 2016-11-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모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821B2 (ko) * 1983-02-18 1992-05-12 Ikeden Seisakusho Kk
JP4592172B2 (ja) * 2000-10-26 2010-12-0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4027821B2 (ja) 2003-03-11 2007-12-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KR20120066030A (ko) * 2009-08-27 2012-06-21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전반 조명을 위한 램프
JP2013045523A (ja) * 2011-08-22 2013-03-04 Koito Mfg Co Ltd 平面光源を備えた車両用灯具
JP5770046B2 (ja) * 2011-08-22 2015-08-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平面光源を備えた車両用灯具
JP2015053147A (ja) * 2013-09-05 2015-03-19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KR20150107041A (ko) * 2014-03-13 2015-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783A (ko) 2017-07-11
WO2017116184A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375B1 (ko) 차량의 램프 장치
US11351912B2 (en) Vehicle headlamp system and vehicle lamp system
US10160376B2 (en) Road surface drawing lamp unit
JP4995748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及び車両用前照灯装置の制御方法
US10618458B2 (en) Vehicle headlight control device
JP6770790B2 (ja) 車両用描画装置
US9951920B2 (en) Vehicle lamp control system
EP3369620B1 (en) Vehicle
US8287163B2 (en)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where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controlled
US9108566B2 (en) Multi-pattern headlamp assembly and system
JP4970145B2 (ja) 車両用前照灯
EP3187775B1 (en) Lamp device for vehicle
US20170067609A1 (en) Vehicle lamp and vehicle lamp control system
JP2022126739A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車両システム、灯具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灯具
CN101008481A (zh) 车辆用灯具
CN107606579B (zh) 车辆用灯具
CN110371020B (zh) 光学装置和行进方向显示装置
JP6841020B2 (ja) ポジション照明装置および車両
KR20130047214A (ko) 스팟 램프유닛, 상기 스팟 램프유닛이 구비된 헤드라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방 조명방법
JP2008189201A (ja) 車両用視認補助装置
EP2669114A2 (en) Sub headlight unit and sub headlight system for use in vehicle that leans into turns, a vehicle that leans into tur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ub headlight unit for use in vehicle that leans into turns
CN111316035B (zh) 具有主要光束以及窄光束的照明设备
JP4875519B2 (ja) 視線誘導用照明装置
JP7501450B2 (ja) 車両用ランプユニット
CN111344517B (zh) 具有主要光束以及可根据车辆前方检测到的障碍物的位置来定向的窄光束的照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