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530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530B1
KR102160530B1 KR1020190023729A KR20190023729A KR102160530B1 KR 102160530 B1 KR102160530 B1 KR 102160530B1 KR 1020190023729 A KR1020190023729 A KR 1020190023729A KR 20190023729 A KR20190023729 A KR 20190023729A KR 102160530 B1 KR102160530 B1 KR 102160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light source
source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377A (ko
Inventor
전원홍
박선경
강다일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21114703.1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0035343U/zh
Priority to US16/530,194 priority patent/US20200189449A1/en
Priority to US16/530,207 priority patent/US10688914B1/en
Priority to DE202019003710.1U priority patent/DE202019003710U1/de
Publication of KR2020007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이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키는 광 가이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는, 제1 광원부와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1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제2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2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2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이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하는 다양한 램프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최근에는 환경 오염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전기 차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차량에는 조명 기능과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램프와 더불어 운전자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전기 차량은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차량으로서, 크게 배터리 전용 전기 차량(Electric Vehicle)과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으로 분류되며, 배터리 전용 전기 차량은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동력을 얻고, 배터리의 전원이 모두 소모되면 재충전하며,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은 내연 기관 엔진를 주동력으로 하면서 모터의 구동에 의한 동력을 보조 동력으로 한다.
이러한 전기 차량은 배터리의 전원 부족 시, 충전소에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며, 운전자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충전소 부근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에는 다양한 램프가 구비되어 있는데, 각각의 램프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램프의 설치를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램프의 설치를 위하여 필요로 하는 공간을 줄이면서도 각 램프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5392호 (2010.07.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램프의 설치를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을 줄이면서도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키는 광 가이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는, 제1 광원부와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1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제2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2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2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 중 어느 하나의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다른 하나의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능의 램프에 적합한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줄이면서도 각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조도 감지부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이미지 표시부(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 테일 램프, 포그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거나 탑승하는 경우 차량이 운전자를 반기는 듯한 반응을 보이도록 하여 차량과 운전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부각되도록 하는 웰컴 기능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전기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부(100)는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표시부(100)는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표시부(100)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표시부(100)는 차량의 배터리와 별도로 구비되는 배터리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는 전후방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가 전후방으로 배열된다는 것은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하는 경우의 방향으로서 이미지 표시부(100)가 설치되는 방향이나 위치에 따라 전후방이 실제로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를 각각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이미지 형성부(110), 제2 이미지 형성부(120) 및 제3 이미지 형성부(130)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표시부(100)가 3개의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표시부(100)는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둘 이상의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형성부(110)는 제1 광원부(111) 및 제1 광 가이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원부(111)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제1 광 가이드부(112)에 의해 제1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원부(111)는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일측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 가이드부(112)는 제1 광원부(1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12a)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부(112)는 출사면(112a)의 반대측면에 제1 광원부(11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12a)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제1 반사 패턴(11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반사 패턴(112b)이 형성되는 영역은 제1 이미지 형성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반사 패턴(112b)은 제1 광 가이드부(112)의 표면 가공에 의해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사 패턴(112b)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제1 광 가이드부(112)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2 이미지 형성부(120)는 제1 이미지 형성부(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이미지 형성부(120)는 제2 광원부(121) 및 제2 광 가이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원부(121)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제2 광 가이드부(122)에 의해 제2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원부(121)는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일측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광 가이드부(122)는 제2 광원부(12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22a)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광 가이드부(122)는 출사면(122a)의 반대측면에 제2 광원부(12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22a)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제2 반사 패턴(12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 패턴(122b)이 형성되는 영역은 제2 이미지 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반사 패턴(122b)은 제2 광 가이드부(122)의 표면 가공에 의해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반사 패턴(122b)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제2 광 가이드부(122)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광 가이드부(112) 및 제2 광 가이드부(122)는 서로 일면이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출사면(112a)과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출사면(122a)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출사면(112a)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제2 광 가이드부(122)를 투과하여 출사될 수 있다.
제3 이미지 형성부(130)는 제2 이미지 형성부(1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이미지 형성부(130)는 제3 광원부(131) 및 제3 광 가이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광원부(131)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제3 광 가이드부(132)에 의해 제3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광원부(131)는 제3 광 가이드부(132)의 일측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광 가이드부(132)는 제3 광원부(13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32a)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광 가이드부(132)는 출사면(132a)의 반대측면에 제3 광원부(131)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면(132a)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제3 반사 패턴(13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반사 패턴(132b)이 형성되는 영역은 제3 이미지 형성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제3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 반사 패턴(132b)은 제3 광 가이드부(132)의 표면 가공에 의해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반사 패턴(132b)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제3 광 가이드부(132)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광 가이드부(122) 및 제3 광 가이드부(132)는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출사면(122a)과 제3 광 가이드부(132)의 출사면(132a)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출사면(122a)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제3 광 가이드부(132)를 투과하여 출사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출사면(112a)과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출사면(122a)도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출사면(112a)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제2 광 가이드부(122) 및 제3 광 가이드부(132)를 투과하여 출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미지 표시부(100)가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 중 어느 하나의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그 전방에 위치하는 모든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표시부(100)가 2개의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이미지 형성부의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그 전방에 위치하는 1개의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될 수 있고, 이미지 표시부(100)가 4개의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이미지 형성부의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그 전방에 위치하는 3개의 광 가이드부를 모두 투과하여 출사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이미지 형성부에 의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광원부(111)로부터 제1 광 가이드부(112)로 입사되는 광(L1)은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제1 반사 패턴(112b)에 의해 출사면(112a)으로 반사되어 출사되고, 제1 광 가이드부(112)의 출사면(112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제2 광 가이드부(122) 및 제3 광 가이부(132)를 투과하여 출사되어 제1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광원부(121)로부터 제2 광 가이드부(122)로 입사되는 광(L2)은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제2 반사 패턴(122b)에 의해 출사면(122a)으로 반사되어 출사되고,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출사면(122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제3 광 가이드부(132)를 투과하여 출사되어 제2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광원부(131)로부터 제3 광 가이드부(132)로 입사되는 광(L3)은 제3 광 가이드부(132)의 제3 반사 패턴(132b)에 의해 출사면(132a)으로 출사되도록 반사되어 제3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표시부(100)는 제1 이미지 형성부(110), 제2 이미지 형성부(120) 및 제3 이미지 형성부(130) 각각에 의해 이미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 중 광이 발생되는 광원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표시부(100)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색상은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광원부(111)로부터 제1 색상의 광이 발생되고, 제2 광원부(121)로부터 제2 색상의 광이 발생되며, 제3 광원부(131)로부터 제3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 광원부(111)로부터 제1 색상의 광이 발생되고, 제2 광원부(121)로부터 제2 색상의 광이 발생되며, 제3 광원부(131)로부터 제3 색상의 광이 발생된다는 것은 제1 이미지가 제1 색상을 가지고, 제2 이미지가 제2 색상을 가지며, 제3 이미지가 제3 색상을 가진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 중 둘 이상의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부(111)로부터 제1 색상으로서 백색광이 발생되고, 제2 광원부(121)로부터 제2 색상으로서 황색광이 발생되며, 제3 광원부(131)로부터 제3 색상으로서 청색광이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주간 주행 램프나 포지션 램프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는 소등시키고 제1 광원부(111)만 점등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턴 시그널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 광원부(111) 및 제3 광원부(131)는 소등시키고 제2 광원부(121)만 점등시킬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를 소정의 점등 순서 등에 따라 동시에 모두 점등되거나 순차 점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기능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램프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각 램프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설치 공간에 비하여 요구되는 설치 공간이 감소될 수 있고, 구성이 간소화되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표시되는 이미지의 색상은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 중 광이 발생되는 광원부에 따라 제1 색상, 제2 색상 및 제3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가질 수도 있고,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색상이 혼합된 제4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제4 색상은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색상이 혼합된 색상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제4 색상은 제1 내지 제3 색상 중 혼합된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미지 표시부(100)는 제1 내지 제3 색상과 더불어 제4 색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색상의 이미지가 교대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시각적인 효과가 부여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전환될 때 이미지의 색상이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표시부(100)에 의해 제1 내지 제3 색상의 이미지가 일정 주기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색상의 이미지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광원부(11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제2 광원부(12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전환되는 동안 제1 색상과 제2 색상이 혼합된 제4 색상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색상의 이미지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2 광원부(12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제3 광원부(13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전환되는 동안 제2 색상과 제3 색상이 혼합된 제4 색상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표시되는 이미지가 제1 색상에서 제4 색상을 거쳐 제2 색상으로 점진적으로 변화되고, 이와 유사하게 제2 색상에서 제4 색상을 거쳐 제3 색상으로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효과와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내지 제3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각각의 광 가이드부(112, 122, 132)에 반사 패턴(112b, 122b, 132b)이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 중 둘 이상의 광원부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둘 이상의 이미지가 조합된 조합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합 이미지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둘 이상의 이미지가 서로 분리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일부가 중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제1 내지 제3 이미지 전체가 중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조합 이미지로서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둘 이상의 이미지가 서로 분리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조합 이미지는 제1 내지 제3 색상 중 둘 이상의 색상을 가지는 영역을 각각 포함하게 되며, 조합 이미지로서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둘 이상의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조합 이미지는 제1 내지 제3 색상 중 둘 이상의 색상을 가지는 영역과 더불어 둘 이상의 색상이 혼합된 제4 색상을 가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내지 제3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는 제1 내지 제3 광 가이드부(112, 122, 132)가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가 제1 내지 제3 광 가이드부(112, 122, 132)의 일측단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에서 발생되는 광은 제1 내지 제3 광 가이드부(112, 122, 132) 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광 가이드부로 입사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이미지 표시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가 요구되는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광원부(111, 121) 사이와 제2 및 제3 광원부(121, 131)에 각각 광 차단부(140, 150)를 위치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대응되는 광 가이드부 이외의 다른 광 가이드로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광원부(111, 121) 사이에 위치하는 광 차단부(140)를 제1 광 차단부라 칭하고,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 사이에 위치하는 광 차단부(150)를 제2 광 차단부라 칭하기로 하며, 이미지 표시부(100)에 포함되는 이미지 형성부의 개수에 따라 광 차단부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광 차단부(140)와 제2 광 차단부(150)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제1 광 차단부(140)와 제2 광 차단부(150)를 각각 별도로 조립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광 차단부(140)와 제2 광 차단부(150)의 조립을 간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차단부 및 제2 광 차단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광 차단부(140)는 제1 광 가이드부(112)와 제2 광 가이드부(122)의 일측단 부근에 위치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제1 광 가이드부(112)와 제2 광 가이드부(1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 광 가이드부(112)와 제2 광 가이드부(122)의 타측단을 향하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 차단부(140)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면(141, 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광 차단부(14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면(141, 142) 중 제1 광원부(111)를 향하는 면을 제1 면(141)이라 하고, 제2 광원부(121)를 향하는 면을 제2 면(142)이라 칭하기로 한다.
제1 광 차단부(140)는 제1 면(141)이 제1 광원부(111)로부터 발생되는 광(L11, L12) 중 제2 광 가이드부(122)로 향하는 광(L12)을 차단하고, 제2 면(142)이 제2 광원부(121)로부터 발생되는 광(L21, L22, L23) 중 제1 광 가이드부(112)로 향하는 광(L22)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광 차단부(150)는 제2 광 가이드부(122)와 제3 광 가이드부(132)의 일측단 부근에 위치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제2 광 가이드부(122)와 제3 광 가이드부(13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2 광 가이드부(122)와 제3 광 가이드부(132)의 타측단을 향하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 차단부(150)는 제2 광원부(121)를 향하는 제1 면(151)과 제3 광원부(131)를 향하는 제2 면(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면(151)이 제2 광원부(121)로부터 발생되는 광(L21, L22, L23) 중 제3 광 가이드부(132)를 향하는 광(L23)을 차단하고, 제2 면(152)이 제3 광원부(131)로부터 발생되는 광(L31, L32) 중 제2 광 가이드부(122)를 향하는 광(L32)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는 블랙 색상 계열의 광 흡수 부재가 사용되어 광을 차단할 수도 있고,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에 알루미늄이나 크롬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광을 차단할 수도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는 도 11과 같이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 사이의 간격이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및 제3 광원부(131)에서 발생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먼 위치까지 도달되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 사이의 간격이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동일한 경우 도 11의 점선과 같이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도달되는 위치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되고,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 사이의 간격이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우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도달되는 위치가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의 형상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도달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광 차단부(140, 150)로서 2개의 광 차단부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복수이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로서 3개의 이미지 형성부가 사용되었기 때문이며, 이미지 형성부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광 차단부의 개수도 늘어날 수 있고, 일 예로 이미지 형성부의 개수가 n(n≥2)인 경우 광 차단부는 n-1(n≥2)개가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에 의해 광이 반사되는 경우,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에는 각각 확산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산 패턴은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제3 광원부(131) 각각에 포함되는 광원의 배치 간격으로 인한 밝기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광원부(111), 제2 광원부(121), 제3 광원부(131) 각각에 포함되는 광원은 구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접한 광원 사이의 간격 사이에서는 상대적으로 광의 밝기가 낮아지게 되어 이미지 표시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밝기가 균일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광 차단부(140) 및 제2 광 차단부(150)에 의해 광이 반사되는 경우, 제1 면(141, 151) 및 제2 면(142, 152)에 반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광원 사이의 간격으로 인한 밝기 차이를 감소시켜 이미지 표시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200)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는 기설정된 순서에 따른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 형성부(110, 120, 130)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와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둘 이상이 조합된 조합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도 12와 같이 제1 내지 제3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개별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13과 같이 제1 내지 제3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중첩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4와 같이 제1 이미지,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 제2 이미지, 제2 이미지와 제3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 제3 이미지, 제1 이미지와 제3 이미지가 조합된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도 12는 점등 상태인 제1 광원부(111)의 소등 이후 제2 광원부(121)가 점등되고, 제2 광원부(121)의 소등 이후 제3 광원부(131)가 점등되도록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되어 제1 내지 제3 이미지가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경우의 일 예이며, 도 13은 제1 광원부(111)가 점등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광원부(121)가 점등되고, 제1 광원부(111) 및 제2 광원부(121)가 함께 점등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제3 광원부(131)가 점등되어 제1 내지 제3 광원부(111, 121, 131)가 순차적으로 중첩 표시되는 경우의 일 예이고, 도 14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 광원부(111, 121, 131)의 밝기가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되어 현재 이미지로부터 다음 이미지로 전환되는 동안 두 이미지가 조합된 조합 이미지가 형성되는 경우의 일 예이다.
제어부(200)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는 전술한 도 12 내지 도 14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내지 제3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제1 내지 제3 이미지가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이미지 표시부(100), 제어부(200) 및 상태 검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태 검출부(300)는 배터리(400)의 충전 여부와 배터리(400)의 충전량 등과 같이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검출부(300)는 배터리(400)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가 배터리(400)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통해 배터리(400)의 충전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배터리(400)의 전압 검출 등을 통해 배터리(400)의 충전량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배터리(400)가 충전되는 동안 전술한 도 12 내지 도 14 등과 같은 순서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미지 표시부(100)는 도 16과 같이 헤드 램프(2)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표시부(100)는 외부에서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이미지 표시부(100), 제어부(200), 상태 검출부(300) 및 조도 감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도 감지부(500)는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는 조도 감지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조도에 따라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도 감지부(500)는 일정 시간동안 감지된 조도의 평균치를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조도가 높아지는 경우 등으로 인한 영향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200)가 차량 주변의 조도에 따라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은 차량 주변 조도가 높은 경우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시인성이 저하되거나 차량 주변 조도가 낮은 경우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높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눈부심 등의 불편함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200)는 차량의 주변 조도가 높아질수록 시인성 저하가 방지되도록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높이게 되고, 이와 반대로 차량의 주변 조도가 낮아질수록 눈부심 등이 방지되도록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를 낮추게 된다.
이때, 조도 감지부(500)는 도 18과 같이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인지할 수 있는 방향에서의 조도를 감지하여 밝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조도 감지부(500)가 이미지 표시부(100)가 설치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조도 감지부(500)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가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인지하는 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조도 감지부(500)를 이미지 표시부(100)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방향에 위치시켜 보다 정확한 밝기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태 검출부(300)를 포함하는 경우와 조도 감지부(500)를 포함하는 경우를 각각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들 각각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상호 간에 차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미지 표시부
110: 제1 이미지 형성부
111: 제1 광원부
112: 제1 광 가이드부
120: 제2 이미지 형성부
121: 제2 광원부
122: 제2 광 가이드부
130: 제3 이미지 형성부
131: 제3 광원부
132: 제3 광 가이드부
200: 제어부
300: 상태 검출부
400: 배터리
500: 조도 감지부

Claims (19)

  1.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키는 광 가이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형성부는,
    제1 광원부와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1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제2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2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가이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제2 광 가이드부를 투과하여 출사되며,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제1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드부의 일측단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 사이에 위치하는 광 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 차단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상기 제1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드부의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면은,
    상기 광 차단부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드부는,
    서로 일면이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부는,
    출사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제1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상,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상, 및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혼합된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드부 각각은,
    일면에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제1 반사 패턴 및 제2 반사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 각각은,
    상기 제1 반사 패턴 및 상기 제2 반사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패턴 및 상기 제2 반사 패턴은,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패턴 및 상기 제2 반사 패턴은,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면은,
    상기 제1 광원부를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2 광원부를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광 차단부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차량용 램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 각각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 차단부는,
    적어도 일면에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패턴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표시부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미지, 상기 제2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와 조합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가 동시에 점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17. 제 1 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충전 상태에 따라 상기 이미지 표시부로부터 상기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18.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는 차량용 램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감지부는,
    상기 이미지 표시부가 설치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90023729A 2018-12-12 2019-02-28 차량용 램프 KR102160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114703.1U CN210035343U (zh) 2018-12-12 2019-07-16 车辆用灯具
US16/530,194 US20200189449A1 (en) 2018-12-12 2019-08-02 Vehicle lamp
US16/530,207 US10688914B1 (en) 2018-12-12 2019-08-02 Vehicle lamp
DE202019003710.1U DE202019003710U1 (de) 2018-12-12 2019-09-06 Fahrzeugleuch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9827 2018-12-12
KR1020180159827 2018-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377A KR20200072377A (ko) 2020-06-22
KR102160530B1 true KR102160530B1 (ko) 2020-09-28

Family

ID=7114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729A KR102160530B1 (ko) 2018-12-12 2019-02-28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088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조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702A1 (ko) * 2015-05-28 2016-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058B1 (ko) * 2002-12-06 2006-01-11 주식회사 에스엘 엘씨디 차량용 램프
JP4650567B2 (ja) 2008-12-24 2011-03-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表示装置
KR102651938B1 (ko) * 2016-12-13 2024-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702A1 (ko) * 2015-05-28 2016-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088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조명 장치
KR102633327B1 (ko) 2021-10-28 2024-02-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377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8914B1 (en) Vehicle lamp
EP1411291B1 (en) Vehicle lamp with light emitting diodes
CN104296037A (zh) 车辆用灯具
KR101472833B1 (ko) 차량용 램프의 전류 제어 장치
JP2018002118A (ja) 車両用照明装置
US20190347966A1 (en) Light emitting sign apparatus using optical fiber
KR102160530B1 (ko) 차량용 램프
US10906453B2 (en) Vehicular detection device and vehicular lamp
JP2013097885A (ja) ヘッドライト装置、及びヘッドライトシステム
CN210591427U (zh) 电动车辆的充电显示装置
KR101360345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423668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61928A (ko) 차량용 램프
KR101970654B1 (ko)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KR102327022B1 (ko) 차량용 램프
KR102624786B1 (ko) 전기 차량의 충전 표시 장치
US11285863B2 (en) Lighting apparatus of autonomous vehicle having a mounted lamp box with lamp units and sensing units
KR20210028372A (ko) 차량용 램프
KR20150125808A (ko) 차량용 램프
KR102327018B1 (ko)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526208B1 (ko) 전기 차량용 램프
US11668449B2 (en) Lamp for vehicle
US20240077184A1 (en) Infrared lamp device and infrared lamp system for a vehicle
KR20180110864A (ko) 차량용 램프
US11358522B2 (en) Lam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