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402A -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402A
KR20200137402A KR1020190063721A KR20190063721A KR20200137402A KR 20200137402 A KR20200137402 A KR 20200137402A KR 1020190063721 A KR1020190063721 A KR 1020190063721A KR 20190063721 A KR20190063721 A KR 20190063721A KR 20200137402 A KR20200137402 A KR 2020013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ultraviolet
light
duc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402A/ko
Publication of KR2020013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방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조장치에서 냉온되거나 승온된 공기를 실내로 보내도록 환기그릴과 공조장치를 연결하는 덕트의 외부에서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LED소자부와, 가시광선에 의해 환기그릴에 조명효과가 발생되고, 자외선에 의해 덕트에 유입된 공기가 살균되도록 가시광선과 자외선의 반사각을 유도하는 라이트가이드를 포함하며, 환기그릴과 인접하도록 위치된 LED소자부에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살균되므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균, 바이러스, 세균이 제거되는, 자외선 살균방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ultraviolet sterilizer and methods for ultraviolet sterilizing}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장치에서 자동차 실내로 이동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공조장치가 장착된다. 공조장치는, 외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해 특정 온도로 변환시킨다. 공조장치에는 외기를 냉각하는 에바코어,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가 포함된다.
에바코어와 히터코어는 온도 또는 습도가 조절되지 않은 외기와 집적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특히, 에바코어는 작동 온도가 낮기 때문에, 표면에 이슬이 맺힐 뿐만 아니라, 외기에 포함된 먼지, 유기물 등이 고착될 여지가 있다.
아울러, 에바코어가 위치되는 차량 내부는 차체 외부에 비해 어둡고, 상대적으로 외기 온도 변화에 상관 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또한, 태양광에 노출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에바코어의 표면에는 고착된 먼지, 유기물을 양분으로 곰팡이가 증식될 여지가 매우 높다. 특히, 대기 중 병균이 에바코어에 도달할 경우, 곰팡이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습도, 온도에 노출되고, 태양광을 피하게 되므로, 번식될 확률이 있다.
한편, 공조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에바코어에 표면에 존재하는 곰팡이, 병균이 가열 또는 냉각되고, 자동차 실내로 유입된다. 이때, 에바코어의 표면에 묻어있던 습기가 증발하며 악취가 발생하고, 곰팡이 또는 병균이 에바코어 표면에서 이탈되 미세가루 형태로 실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에바코어에서 발생된 악취, 미세가루가 실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공조장치와 실내를 연결하는 덕트에 필터가 구비되고 있다. 그러나, 필터를 통해서도 공조장치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 미세가루를 모두 제거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필터에 의해서도 미세 크기의 곰팡이, 병균, 바이러스, 세균, 악취를 발생시키는 특정 분자 등이 모두 걸러지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8273호(2005.02.23.)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해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장치 작동 시에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균, 바이러스, 세균을 제거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장치는, 공조장치에서 냉온되거나 승온된 공기를 실내로 보내도록 환기그릴과 공조장치를 연결하는 덕트의 외부에서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LED소자부와, 가시광선에 의해 환기그릴에 조명효과가 발생되고, 자외선에 의해 덕트에 유입된 공기가 살균되도록 가시광선과 자외선의 반사각을 유도하는 라이트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트가이드는 덕트 외부에서 LED소자부와 접촉되고, 덕트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라이트가이드는, 덕트 내부면과 외주가 밀착되는 링 구조를 형성하도록 덕트 내부에 위치된 부위와, LED소자부에 구비된 각각의 광원과 접촉하는 다기관 구조로 형성되고 덕트 외부에 위치된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트가이드의 덕트 내부에 위치된 부위에는 LED소자부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시키는 옵틱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옵틱면은 톱니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옵틱면에는 코팅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팅막은 옵틱면의 바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팅막은, 알루미늄 또는 크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LED소자부는, 자외선 파장대의 광 발생량을 달리하는 저용량 UV-LED와 중용량 UV-LED와, 가시광선 파장대의 광을 발생시키는 칼라 점등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칼라 점등 LED는, 공조장치의 냉방 작동과 난방 작동에 따라 서로 다른 칼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저용량 UV-LED와 중용량 UV-LED는, 공조장치의 냉방 작동과 난방 작동시에 작동하고, 공조장치의 작동단수에 따라, 저용량 UV-LED와 중용량 UV-LED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덕트 외부에 위치되어 LED소자부를 장착한 PCB와, LED소자부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PCB와 연결된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방법은, 실내로 유입시킬 공기를 덕트에 주입하는 공조장치의 작동이 제어기에서 검출되면, 덕트 단부에 위치된 환기그릴에 조명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시광선과, 덕트에 주입된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이 덕트 내부에 발생되도록 LED소자부를 작동시킨다.
또한, LED소자부의 작동은, 공조장치의 난방가동 또는 냉방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난방가동과 냉방가동에 따라, 칼라 점등 LED가 특정 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공조장치의 작동단수에 따라 저용량 UV-LED, 고용량 UV-LED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작동되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칼라 점등 LED는, 공조장치가 난방 가동 중에 빨간색의 광을 발생킬 수 있다.
또한, 칼라 점등 LED는, 공조장치가 냉방가동 중에 파란색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공조장치에서 덕트로 이동되는 공기의 풍량이 변화되는 공조장치의 작동 단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공조장치의 작동 단수를 확인하는 단계는, 칼라 점등 LED가 특정 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 수행 후,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단수는 저단, 중단 및 고단을 포함하며, 순서대로 공기의 풍량이 증대되거나 역순으로 공기의 풍량이 감소되고, 고단이면, 저용량 UV-LED와 중용량 UV-LED이 함께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중단이면, 중용량 UV-LED 만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저단이면, 저용량 UV-LED 만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에 따르면, 환기그릴과 인접하도록 위치된 LED소자부에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살균되므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균, 바이러스, 세균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탑승객들이 병균, 바이러스, 세균에 감염될 확률이 낮아진다.
또한, 난방 또는 냉방 중 LED소자부에서 특정 색의 광을 발생시키므로, 조명효과에 의해 운전자가 공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되고, 실내 분위기가 좋아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공조장치와 덕트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외선 살균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자외선 살균장치에 장착된 LED소자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5의 LED소자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방법의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장치(100) 및 자외선 살균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 장치는, 공조장치(A)와 실내를 연결하는 덕트(D)에 공기를 살균하도록 장착된 자외선 살균장치(100)에 있어서, 덕트(D) 외부에 위치된 PCB(110)와, PCB(110)에 장착되고, 덕트(D)에 형성된 장착홀(121)에 위치된 LED소자부(120)와, LED소자부(120)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PCB(110)와 연결된 제어기(130)와, 덕트(D) 내부에 링 형태로 장착된 라이트가이드(140)를 포함하며, 장착홀(121)은, 환기그릴(G)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LED소자부(120)는, 환기그릴(G)로 이동하는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PCB(110)는 전기회로기판으로, LED소자부(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회로가 형성된다. LED소자부(120)는, PCB(11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고, 특정 파장대의 자외선, 가시광선을 발생시킨다. LED소자부(120)는, 200nm 내지 280nm의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제어기(130)는, PCB(11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기(130)는 ICU(INTERGRATED CENTRAL CONTROL UNIT)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PCB(11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장착홀(121)은 덕트(D)를 관통하도록, 덕트(D) 외부에서 덕트(D) 내부를 향해 수직하게 형성된다. 장착홀(121) 상부에 LED소자부(120)가 위치된다. LED소자부(120)에서 발생된 광이 장착홀(121)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덕트(D) 외부에 LED소자부(120)와 장착홀(121)을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LED소자부(120)가 장착홀(121)에 삽입될 수도 있다.
라이트가이드(140)는 LED소자부(120)에서 생성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덕트(D)에 장착된다. 라이트가이드(140)는 라이트가이드(140)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반사각을 유도해 라이트가이드(140)의 내주 공간에서 광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라이트가이드(140)는 라이트가이드(140)를 투과해 반사되는 광의 반사각을 제한해 광이 라이트가이드(140)와는 거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덕트(D)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라이트가이드(140)는 두께 및 표면 곡률이 위치별로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라이트가이드(140)는, PMMA(폴리 메틸 메타크릴라이트; POLY METHYL METHACRYLATE) 또는 PC(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복합된 소재로 제작된다.
라이트가이드(140)에 의해서 LED소자부(120)에서 발생된 광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라이트가이드(140)의 내주면으로만 반사될 뿐, 라이트가이드(140)에서 멀리 떨어진 덕트(D) 내부로 반사되지 않도록 유도된다. 덕트(D)와 인접한 라이트가이드(140)의 일면에는 라이트가이드(140) 내부의 광을 외부로 반사하기 위한 옵틱면(150)이 형성된다. 옵틱면은 라이트가이트(140)의 일면각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옵틱면(150)에 코팅막(151)이 형성된다. 코팅막(151)에 의해서 광이 라이트가이드(140)를 투과해 외부로 배출되는 양이 증대된다. 코팅막(151)은, 알루미늄 또는 크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합적으로 형성된다.
일예에 따르면, 라이트가이드(140)는, 선형태로 제작된다. 옵틱면(150)은 라이트가이드(140)의 일측면에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라이트가이드(140)는 LED소자부(120)와 면접하도록 일측단부가 장착홀(12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라이트가이드(140)는, 덕트(D) 내부면과 외주가 밀착되는 링 구조를 형성하도록 덕트(D) 내부에 위치된 부위와, LED소자부(120)에 구비된 각각의 광원과 접촉하는 다기관 구조로 형성되고 덕트(D) 외부에 위치된 부위로 구획 된다.
라이트가이드(140)는, 일측면에 형성된 옵틱면(150)이 톱니 형태를 이루며 덕트(D)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덕트(D)에 장착된다. 이때, 코팅물(151)은 옵틱면(150)의 바깥면에만 형성된다.
한편, LED소자부(120)는, 자외선 파장대의 광을 발생시키는 저용량 UV-LED(122)와, 저용량 UV-LED(122)에 비하여 자외선 파장대의 광을 더 많이 발생시키는 중용량 UV-LED(123)와, 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칼라 점등 LED(124)를 포함한다. 저용량 UV-LED(122), 중용량 UV-LED(123), 칼라 점등 LED(124) 각각에 다기관 구조로써 라이트가이드(140)의 외부 부위가 접촉하게 된다.
공조장치(A)는 작동 단수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빠르거나 느리게 실내로 유입시키게 된다. 공조장치(A) 작동 단수에 따라 공기 흐름이 빠를 경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많고, 공기 흐름이 느릴 경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적다.
공기 흐름이 빠를 경우, LED소자부(120)에서 발생된 광이 공기에 조사되는 순간적인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살균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또한, 공기 흐름이 느릴 경우, LED소자부(120)에서 발생된 광이 공기에 조사되는 순간적인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살균효과가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공조장치(A)의 작동 단수에 따라, LED소자부(120)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의 양을 가감한다. 일예에 따르면, 공조장치(A)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저용량 UV-LED(122), 중용량 UV-LED(123) 중 어느 하나가 발광하거나, 모두 발광한다.
공기 흐름이 빠를 경우, 저용량 UV-LED(122)와 중용량 UV-LED(123) 모두에서 자외선을 발생시켜 자외선 발생량을 최대화한다. 공기 흐름이 느릴 경우, 저용량 UV-LED(122)에서 자외선을 발생시켜 자외선 발생량을 최소화한다. 공기 흐름이 빠르거나 느리지 않고 그 중간 수준일 경우, 중용량 UV-LED(123)에서 자외선을 발생시켜 자외선 양이 과도하거나 과소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공조장치(A)가 작동 중에 칼라 점등 LED(124)가 특정 가시광선을 발생시켜, 공조장치(A) 작동 상태를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예에 따르면, 난방, 냉방 모드에 따라 칼라 점등 LED(124)에서 발생되는 광을 바꿀 수 있다. 공조장치(A)에 의해 실내가 냉방될 때, 칼라 점등 LED(124)는 파란색 가시광선을 발생시킨다. 공조장치(A)에 의해 실내가 난방될 때, 칼라 점등 LED(124)는 빨간색을 발생시킨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실내로 유입시킬 공기를 덕트(D)에 주입하는 공조장치(A)의 작동이 제어기(130)에 수신 또는 검출되면, 덕트(D) 단부에 위치된 환기그릴(G)에 조명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시광선과, 덕트(D)에 주입된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이 덕트(D) 내부에 발생되도록 LED소자부(120)를 작동시켜 줌으로써, 덕트(D)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자외선 살균하게 된다.
일예에 따르면,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절차도에 따라 작동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방법은, 공조장치(A)가 작동되는 단계(S100)와, 공조장치(A)의 난방가동 또는 냉방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와, 공조장치(A)의 가동 상태에 따라, 칼라 점등 LED(124)가 특정 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S300)와, 공조장치(A)의 작동단수에 따라 저용량 UV-LED(122), 중용량 UV-LED(123)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자동되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공조장치(A)의 난방가동 또는 냉방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 공조장치(A)가 난방가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칼라 점등 LED(124)가 특정 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S300)에서, 칼라 점등 LED(124)가 빨간색의 광을 발생시킨다.
공조장치(A)의 난방가동 또는 냉방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 공조장치(A)가 냉방가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칼라 점등 LED(124)가 특정 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S300)에서, 칼라 점등 LED(124)가 파란색의 광을 발생시킨다.
칼라 점등 LED(124)가 특정 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S300) 수행 후,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S400) 전에 공조장치(A)에서 덕트(D)로 이동되는 공기의 풍량이 변화되는 공조장치(A)의 작동 단수를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작동 단수는 저단, 중단 및 고단을 포함한다. 순서대로로 공기의 풍량이 증대되거나, 역순으로 공기의 풍량이 감소된다.
공조장치(A)의 작동 단수가 고단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S400)에서, 공조장치(A)가 덕트(D)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빠른 것으로 가정하고, 저용량 UV-LED(122), 중용량 UV-LED(123) 모두가 발광된다.
공조장치(A)의 작동 단수가 중단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S400)에서, 공조장치(A)가 덕트(D)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중간 정도인 것으로 가정하고, 저용량 UV-LED(122), 중용량 UV-LED(123) 중 중용량 UV-LED(123)가 발광된다.
공조장치(A)의 작동 단수가 저단인 것으로 확인되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S400)에서, 공조장치(A)가 덕트(D)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느린 것으로 가정하고, 저용량 UV-LED(122), 중용량 UV-LED(123) 중 저용량 UV-LED(122)가 발광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장치(100) 및 자외선 살균방법에 따르면, 환기그릴(G)과 인접하도록 위치된 LED소자부(120)에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살균되므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병균, 바이러스, 세균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탑승객들이 병균, 바이러스, 세균에 감염될 확률이 낮아진다.
또한, 난방 또는 냉방 중 LED소자부(120)에서 특정 색의 광을 발생시키므로, 조명효과에 의해 운전자가 공조장치(A)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되고, 실내 분위기가 좋아진다.
100: 자외선 살균장치 110: PCB
120: LED소자부 121: 장착홀
122: 저용량 UV-LED 123: 중용량 UV-LED
124: 칼라 점등 LED 130: 제어기
140: 라이트가이드 150: 옵틱면
151: 코팅막 A: 공조장치
D: 덕트 G: 환기그릴

Claims (20)

  1. 공조장치에서 냉온되거나 승온된 공기를 실내로 보내도록 환기그릴과 상기 공조장치를 연결하는 덕트의 외부에서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LED소자부;
    상기 가시광선에 의해 상기 환기그릴에 조명효과가 발생되고, 상기 자외선에 의해 상기 덕트에 유입된 공기가 살균되도록 상기 가시광선과 상기 자외선의 반사각을 유도하는 라이트가이드를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상기 덕트 외부에서 상기 LED소자부와 접촉되고, 상기 덕트 내부로 연장되는 자외선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상기 덕트 내부면과 외주가 밀착되는 링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덕트 내부에 위치된 부위와,
    상기 LED소자부에 구비된 각각의 광원과 접촉하는 다기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 외부에 위치된 부위를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상기 덕트 내부에 위치된 부위에는 상기 LED소자부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시키는 옵틱면이 형성된 자외선 살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면은 톱니 형태를 이루는 자외선 살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옵틱면에는 코팅막이 형성된 자외선 살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막은 상기 옵틱면의 바깥면에 형성된 자외선 살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막은, 알루미늄 또는 크롬으로 형성되는 자외선 살균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ED소자부는,
    자외선 파장대의 광 발생량을 달리하는 저용량 UV-LED와 중용량 UV-LED;
    가시광선 파장대의 광을 발생시키는 칼라 점등 LED를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점등 LED는,
    상기 공조장치의 냉방 작동과 난방 작동에 따라 서로 다른 칼라를 발생시키는 자외선 살균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량 UV-LED와 상기 중용량 UV-LED는,
    상기 공조장치의 냉방 작동과 난방 작동시에 작동하고,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단수에 따라, 상기 저용량 UV-LED와 상기 중용량 UV-LED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작동되는 자외선 살균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LED소자부를 장착한 PCB;
    상기 LED소자부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상기 PCB와 연결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13. 실내로 유입시킬 공기를 덕트에 주입하는 공조장치의 작동이 제어기에서 검출되면,
    상기 덕트 단부에 위치된 환기그릴에 조명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시광선과, 상기 덕트에 주입된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이 상기 덕트 내부에 발생되도록 LED소자부를 작동시키는 자외선 살균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LED소자부의 작동은,
    상기 공조장치의 난방가동 또는 냉방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난방가동과 상기 냉방가동에 따라, 칼라 점등 LED가 특정 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단수에 따라 저용량 UV-LED, 고용량 UV-LED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작동되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살균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점등 LED는,
    상기 공조장치가 난방 가동 중에 빨간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살균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점등 LED는,
    상기 공조장치가 냉방가동 중에 파란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살균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에서 상기 덕트로 이동되는 공기의 풍량이 변화되는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단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조장치의 작동 단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칼라 점등 LED가 특정 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 수행 후, 상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단계 전에 수행되는 자외선 살균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단수는 저단, 중단 및 고단을 포함하며, 순서대로 상기 공기의 풍량이 증대되거나 역순으로 상기 공기의 풍량이 감소되고,
    상기 고단이면,
    상기 저용량 UV-LED와 상기 중용량 UV-LED이 함께 상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살균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이면,
    상기 중용량 UV-LED 만 상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살균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이면,
    상기 저용량 UV-LED 만 상기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살균방법.
KR1020190063721A 2019-05-30 2019-05-30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 KR20200137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21A KR20200137402A (ko) 2019-05-30 2019-05-30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21A KR20200137402A (ko) 2019-05-30 2019-05-30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02A true KR20200137402A (ko) 2020-12-09

Family

ID=7378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21A KR20200137402A (ko) 2019-05-30 2019-05-30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4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987A1 (ko) * 2020-12-29 2022-07-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광촉매 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166482A (ko) * 2021-06-10 2022-12-19 주식회사 엠바이옴 기능성 코팅 및 살균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 공조시스템
KR20230061088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조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273A (ko) 2003-08-16 2005-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악취 및 습기 제거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273A (ko) 2003-08-16 2005-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악취 및 습기 제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987A1 (ko) * 2020-12-29 2022-07-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광촉매 모듈이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166482A (ko) * 2021-06-10 2022-12-19 주식회사 엠바이옴 기능성 코팅 및 살균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 공조시스템
KR20230061088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7402A (ko)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
US20200254132A1 (en) Sterilizable lamp assembly of vehicle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10530B1 (ko) 공기조화기
US200901303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ing surface coated materials
JP6732127B2 (ja) 自動車のエアーベント用発光装置
CN111376824A (zh) 用于汽车通风口的照明装置
CN113694239A (zh) 空气和表面消毒系统
KR20180056928A (ko) 차량용 룸램프 유닛 및 그 제어방법
DK17980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pgrad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796291B1 (ko) 자외선 공기살균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9621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9014259A (ja) 空気調和機
US6679068B1 (en) Ultraviolet lamp assembly
US20200246120A1 (en) Polymerization And Tempering Device
KR20030057342A (ko) 공기조화기
KR101753118B1 (ko)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20120074746A (ko) 조명 및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흡배기 장치
WO2022051464A1 (en) Air treatment system with airflow detection
KR101629321B1 (ko) 클린벤치
JP2023542184A (ja) 車両乗員保護
KR102249582B1 (ko) 경구 투약용 주사기 살균 건조장치
JP2989629B2 (ja) 空調用脱臭装置
JP2012169451A (ja) 太陽電池パネルの試験装置、試験方法、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8583222B (zh) 光触媒组件
KR20010062147A (ko) 차량용 등기구의 워터 클라우드 평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