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342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342A
KR20030057342A KR1020020083173A KR20020083173A KR20030057342A KR 20030057342 A KR20030057342 A KR 20030057342A KR 1020020083173 A KR1020020083173 A KR 1020020083173A KR 20020083173 A KR20020083173 A KR 20020083173A KR 20030057342 A KR20030057342 A KR 20030057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ltraviolet
ultraviolet lamp
visible light
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7855B1 (ko
Inventor
노무라요시히로
마에다요시히코
사사오히데유키
마츠모토아키라
고타니야스오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냉음극관형 자외선램프의 점등 유무를, 간단한 구성으로 검지할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체(1) 안에 압축기(24), 증발기(22), 응축기(23) 및 송풍기(12)로 구성된 냉동사이클을 내장하고, 전면 흡기구(6), (7)로부터 흡입된 공기에 자외선 발광면(27k)과 가시광 발광면(27m)으로 이루어지는 냉음극관형의 평면살균램프(27)로부터 자외선(27i)을 조사하여 살균하고, 상기 가시광 발광면(27m)으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27j)을 포토센서(35)로 검지해서,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점등 유무를 검지하도록 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에 자외선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공기내에 포함되는 세균을 살균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공기에 포함된 세균에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로서는, 필라멘트를 가열하여 열전자를 방출시켜 자외선을 발광하는 열음극관형(熱陰極管型)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 열음극관형의 자외선램프가 점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방법으로서, 일본 실개평 7-42087호 공보(H05B 37/03 GO1K 7/00)에 기재되어 있듯이, 양단의 필라멘트 사이에 저항기와 포토아이솔레이터를 설치하고, 필라멘트가 단선되어 있지 않으면, 저항기와 포토아이솔레이터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저항기를 통하여 포토아이솔레이터에는 전류가 흐르고, 반대로, 필라멘트가 단선되어 있으면, 포토아이솔레이터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이 전류를 검지함으로서 자외선램프의 점등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 검지하는 회로가 단선된 경우, 자외선램프가 점등되어 있어도 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열음극관형 램프는 필라멘트의 열화가 빨라지고, 램프의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근래에 있어서는 전극으로부터의 글로우방전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여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는 냉음극관형의 자외선램프가 사용되도록 되어 왔다. 이 냉음극관형 램프는 필라멘트를 갖고 있지 않아서, 상술한 검지방법으로 점등검지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램프점등검지방법으로써, 램프의 구동회로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극의 전압을 검지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류로 검지하는 경우, 램프의 저항이 낮기 때문에 점등시의 전류와, 램프가 단락해서 점등하지 않을 때의 전류에는 큰 차이가 없고, 또, 전압으로 검지하는 경우는, 약 1㎸의 고전압을 전극에 인가하지 않으면 냉음극관형의 램프는 점등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수명이 다해서 점등하지 않을 때는, 점등전원의 개방전압이 약 4㎸나 되기 때문에, 단락과 개방의 양쪽을 정밀하게 검출하기에는, 검지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비용이 비싸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냉음극관형 자외선램프의 점등유무를, 간단한 구성으로 검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습기를 전방 경사방향에서 본 본체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제습기의 앞 커버를 떼어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제습기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제습기의 상면단면도이다.
도 5는 동 평면살균램프의 기본적 구성과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동 제습기의 수납케이스에 평면살균램프, 광촉매필터, 램프기판이 수납 된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파단도이다.
도 8은 도 6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본체 22 증발기
23 응축기 24 압축기
12 송풍기 6, 7 전면 흡기구
8 후면 흡기구 9 측면 흡기구
17 상취출구 18 상취출구
27 평면살균램프(자외선램프) 44 마이컴(운전제어부)
32 램프점등전원 27k 자외선 발광면(한 면)
27m 가시광 발광면(다른 면) 35 포토센서(램프검지수단)
42 표시부 43 스피커(통보수단)
31 램프기판   29 광촉매필터
28a 외측 슬릿      28 수납케이스
본 발명은, 본체내에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송풍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사이클을 내장하고, 흡기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냉동사이클로 제습한 후, 배기구로부터 분출하는 송풍로와, 상기 송풍로중에 자외선을 공기에 조사해서 살균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본체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제어부와, 이 운전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자외선램프를 점등시키는 램프점등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자외선램프는,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한 면으로부터 자외선을, 다른 면으로부터 가시광을 발광하고, 상기 다른 면에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을 검지하고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등 유무를 검지하는 램프검지수단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상기 운전제어부의 조작을 행하면, 상기 송풍기가 구동해서 상기 흡기구로부터 공기가 상기 본체내로 받아들여지고, 이 공기는 상기 증발기에서 제습됨과 동시에, 상기 자외선램프의 한 면에서 발광하는 자외선에 의해서 세균이 살균되서, 상기 배기구로부터 분출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해 있을 경우는, 상기 램프검지수단이 상기 자외선램프의 타면으로부터 발광하는 가시광을 검지하고,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램프검지수단이 검지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가, 수명 혹은 단락 등에 의해 점등하고 있지 않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검지수단이 상기 자외선램프의 비점등을 검지했을 때,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램프점등전원으로부터 상기 자외선램프로의 급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냉음극관형의 상기 자외선램프를 사용한 경우, 점등시키기에는 약 1㎸ 전압이 필요하고, 수명 등으로 점등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점등전원의 개방전압, 약 4㎸가 가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의 전극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 상태로 방치되는 일이 없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운전상태를 가리키는 표시부를 설치하고, 이 표시부에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하지 않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표시에 의해서 상기 자외선램프가 수명이나 단락 등의 원인으로 점등하고 있지 않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트러블 해소에 재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램프검지수단이 상기 자외선램프의 비점등을 검지했을 때,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하지 않는 것을, 소리 또는 음성으로 통보하는 통보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하지 않게 된 때, 예를 들면, 경보음 「삐삐」, 또는 음성「램프가 점등되지 않았습니다.」가 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되지 않는 것을 소리에 의해서 인식할 수 있고, 트라블 해소에 재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램프점등전원이 장착되는 램프기판을 설치하고, 상기 자외선램프는, 가시광이 발광되는 다른 면측을 상기 램프기판의 한 면에 접촉시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램프기판과 상기 자외선램프를 일체화해서, 리드선, 커넥터 등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기판면에 가시광을 발광시키는 면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자외선이 상기 램프기판에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램프기판이나, 이 기판상에 장착되는 전자부품 등이 열화되지 않는다. 또한, 자외선이 발광되는 한 면측은 노출되어 있어서, 자외선 조사면적이 줄어드는 일 없이 상기 램프기판과 상기 자외선램프를 일체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기판에 상기 램프검지수단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램프검지수단과 상기 자외선램프와의 간격이 짧아지고, 상기 자외선램프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의 한 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광촉매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의 한 면으로부터 발광된 자외선에 의해서, 상기 광촉매필터의 광촉매층이 여기(勵起)하고, 상기 흡기구에서부터 흡입된 공기 의 악취성분을 산화분해시킬수 있고, 상기 자외선램프의 살균효과에 더해서, 탈취 및 곰팡이의 번식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통풍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기판과, 상기 자외선램프와, 상기 광탈취필터가 수납되는 수납케이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램프기판, 상기 자외선램프, 상기 광탈취필터의 3개 부품을 유니트화할 수 있고, 설치나 유지보수(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슬릿은, 갑옷형상으로 잘라 세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슬릿에 의해서 차단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외측에 자외선이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흡기구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내에 포함된 세균이나 악취성분이, 상기 증발기나 상기 응축기의 상류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 상기 응축기의 표면에 세균이나 악취성분이 부착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습기를 예시로 도면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습기를 전방 경사방향에서 본 본체 외관사시도, 도 2는 동 제습기의 앞 커버를 떼어냈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동 제습기의 측면단면도, 도 4는 동 제습기의 상면단면도, 도 5는 동 평면살균램프의 기본적 구성과 원리를 가리키는 설명도, 도 6은 동 제습기의 수납케이스에 평면살균램프, 광촉매필터, 램프기판이 수납된 때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배면파단도, 도 8은 도 6의 횡단면도, 도 9는 도 6의 요부확대도, 도 10은 본 실시예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실시예의 동작을 가리키는 플로우차트이다.
(1)은, 전후방향과 비교하여 좌우방향이 짧게 형성된 공기조화기본체로, 이 본체(1)의 외면은, 합성수지제의 좌케이스(2)와 우케이스(3)와 바닥판(4)으로 구성되어 있다.
(5)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전면 측위쪽에 장착된 탈착이 가능한 앞커버로, 이 앞커버(5)는, 원호상으로 형성되고,상기 본체(1)의 전면으로부터 좌우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6), (7)은, 상기 앞커버(5)의 양측과 상기 좌케이스(2), 상기 우케이스(3)와의 사이에 형성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폭이 좁은 전면 흡기구이다.
(8)은, 상기 본체(1)의 후면에 설치된 실내의 공기를 취입하는 그릴구조의 후면 흡기구이며, 다시, 이 후면 흡기구(8)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우케이스(3)에 그릴구조의 측면 흡기구(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기구를 상기 본체(1)의 전후면과, 일측 면측에 3곳 설치함으로서, 벽장의 측벽과 이불과의 틈새나 가구와 가구와의 틈새 등, 폭이 좁은 공간에 설치해도, 3곳의 흡기구 전부가 막히는 일이 없게 되어, 흡기량의 감소에 의한 제습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0)은, 상기 앞커버(5)의 하측에 탈착이 가능하게 배치된 ハ자 모양의 필터로, 상기 전면 흡기구(6), (7)로부터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11)은, 원심송풍기(12)의 모터(13)와 날개(14)를 빙 둘러싼 팬케이싱으로, 이 팬케이싱(11)은, 상향케이싱(15)과 하향케이싱(16)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향케이싱(15)의 개구부는, 상기 본체(1)의 상면에 형성된 상취출구(17)에 연통되고, 또한, 상기 하향케이싱(16)의 개구부는, 상기 좌케이스(2)의 아래쪽에 형성된 하취출구(18)에 연통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원심송풍기(12)가 회전하면, 상기 전면 흡기구(6), (7), 상기 후면 흡기구(8), 상기 측면 흡기구(9)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후술하는 증발기(22)와 응축기(23)로 제습, 가열된 후, 상기 상취출구(17)와 상기 하취출구(18)에서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19)는, 상기 상취출구(17)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편향시키는 루버로, 양단에 형성된 지지축(미도시)을 상기 상취출구(19)의 측벽면에 지지시켜,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20)은, 상기 하취출구(18)를 상하로 개폐하는 개폐셔터로, 이 개폐셔타(20)를 열고 있을 때에는, 흡입한 공기를 상기 하취출구(18)와 상기 상취출구(17)의 양쪽에서 분출하고, 닫혀있을 때에는, 상기 상취출구(17)로부터 분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1)은, 상기 본체(1)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는 칸막이판으로, 이 칸막이판(21)의 상부에는 상기 우케이스(3)로부터 증발기(22), 응축기(23), 상기 원심송풍기(12)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24)는, 상기 증발기(22)나 상기 응축기(23) 등과 함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로, 이 압축기(24)는, 상기 본체(1) 하부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25)는, 상기 본체(1)의 전면 아래쪽에 탈착이 자유롭게 수납되는 배수탱크로, 이 배수탱크(25)는, 위쪽을 개구해서 상자모양으로 형성해서, 상기 증발기(22)에서 생긴 결로수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탱크(25)의 위쪽 측벽에는, 결로수의 상승과 함께 부상하는 플로트(미도시)가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26)은, 상기 배수탱크(25)의 전면에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패이게 하여 형성되어, 상기 배수탱크(25)를 전방으로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된 손거는부이다.
(27)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외선을 발광하는 평면살균램프로, 이 평면살균램프(27)는, 한 면 측에서는 살균효과가 최대로 되는 253.7nm의 파장의 자외 선을, 다른 면측에서 452nm의 파장의 가시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살균램프(27)는, 후술하는 광촉매필터(29)와 함께 상기 전면 흡기구(6), (7)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기본적 구성과 원리를 나타낸다. 상기 평면살균램프(27)는, 한 면측이 자외선을 통과하는 UV투과유리(바륨소다유리)(27a)로 형성되고, 다른 면측이 자외선은 투과하지 않고 가시광을 투과하고 내면측에 형광체 (27b)가 도포된 통상의 소다유리(27c)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은증기와 아르곤가스가 봉입되고, 양측에 방전전극(27d), (27e)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방전전극(27d), (27e)에 약 1㎸의 전압을 가하면 글로우방전이 생기고, 상기 방전전극(27d), (27e) 사이를 흐르는 전자(27f)가 아르곤원자(27g)나 수은원자(27h)와 충돌한다. 수은원자(27h)와 충돌한 것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27i)은, 한 면측의 상기 UV투과유리(27a)를 투과하고, 다른 면측의 상기 소다유리(27c)측에서는 상기 발광체(27b)에 부딪힌 가시광(27j)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평면살균램프(27)는, 상기 UV투과유리 (27a)측이 자외선 발광면(27k)이 되고, 상기 소다유리(27c)측이 가시광 발광면(27m)으로 되어 있다.
(28)은, 상기 평면살균램프(27)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로, 이 수납케이스(28)의 양측의 측벽에는, 외측으로 향해서 갑옷형상으로 잘라 세운 복수의 외측 슬릿(28a)이 형성되서, 통풍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평면살균램프(27)는, 상기 수납케이스(28)의 전면측에 형성된 세로로 긴 개구부(28b)로부터, 상기 가시광 발광면(27m)이 보이도록 하여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가시광(27j)은 상기 개구부(28b)를 통해서 상기 전면 커버(5)측에 조사되고, 자외선(27i)은 상기 수납케이 스(28)의 내측으로 향해서 조사된다. 상기 외측 슬릿(28a)이 갑옷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27i)을 차단해서 상기 수납케이스(28)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9)는, 이산화티탄계 등의 무기분체로 된 허니컴구조의 광촉매필터로, 이 광촉매필터(29)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상면 개구의 상자모양 반사판(30)의 바닥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자외선 발광면(27k)과 마주하도록 해서 상기 상자모양 반사판(30)과 함께 상기 수납케이스(28) 안에 수납된다.
상기 광촉매필터(29)는, 상기 자외선 발광면(27k)으로부터 발광된 자외선(27i)에 의해서, 광촉매층이 여기하고 암모니아 등의 냄새성분을 산화분해해서 탈취 한다. 흡착된 냄새성분은 산화분해되어 재생되기 때문에, 교환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0a)는, 상기 상자모양 반사판(30)의 양측의 측벽 및 바닥면에, 내측을 향해서 갑옷모양으로 잘려 세워진 내측 슬릿으로, 이 내측 슬릿(30a)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슬릿(28a)과 마찬가지로 상기 자외선 발광면(27k)으로부터 발광하는 자외선(27i)을 차단해서 상기 수납케이스(28)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상자모양 반사판(30)의 양측의 측벽의 상기 내측 슬릿(30a)은, 상기 상자모양 반사판(30)이 상기 수납케이스(28)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외측 슬릿(28a)과 같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납케이스(28) 안을 통과하는 공기가 원활히 흐르도록 하고 있다.
(31)은, 상기 평면살균램프(27)를 점등시키는 램프점등전원(32) 등의 전자 부품이 장착된 램프기판으로, 상기 수납케이스(28)의 위쪽에 설치된 기판수납실(30b)에 수납되고, 이 기판수납실(30b)의 개구부를 막는 덮는뚜껑(33)과 함께 나사(3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평면살균램프(27)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시광 발광면(27m)을 상기 램프기판(31)의 한 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방전전극(23d), (23e)을 L자 모양으로 구부려 용접해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측벽(27n)에는,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가시광(27j)을 검지해서 점등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수단, 즉, 포토센서(35)가 근접해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시광 발광면(27m)으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27j)은, 상기 램프기판(31)에 반사해서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측벽(27n)으로부터 투과하기 때문에 상기 포토센서(35)를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측벽(27n)에 장착해도,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점등 유무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가시광 발광면(27m)으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27j)을 상기 포토센서(35)로 검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점 등 유무를 간단하게 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별도의 리드선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램프점등전원(32)으로부터 상기 방전전극(27d), (27e)에 간단하게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광 발광면(27m)이 상기 램프기판(31)의 한 면에 접촉해 있기 때문에, 자외선(27i)이 상기 램프기판(31), 상기 포토센서(35), 상기램프점등전원(32) 등의 전자부품에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27i)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자외선(27i)가 발광되는 상기 자외선 발광면(27k)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조사면적이 감소하고, 살균능력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램프기판(31), 상기 평면살균램프(27), 상기 광탈취필터(29)의 3개의 부품을 상기 수납케이스(28)에 수납함으로서, 유니트화할 수 있고, 설치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36)은, 상기 수납케이스(28)의 개구부(28b)측을 덮도록 하여 배치되는 렌즈로, 이 렌즈(36)는, 상기 가시광 발광면(27m)으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27j)을 편향해서, 상기 앞커버(5)에 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7)은, 상기 본체(1)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1)의 상면에 형성된 홈(38)에 쓰러질 수 있도록 수납되는 손잡이로, 이 손잡이(37)를 세워서 손으로 들어 상기 본체(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9)는, 상기 본체(1)의 전면 위쪽에 설치된 조작부로, 이 조작부(39)에는 상기 본체(1)를 구동, 정지하기 위한 전원스위치(40)와, 후술하는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점등스위치(50)와, 상기 배수탱크(25)의 만수를 알리는 만수램프(41)와,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점등상태나 상기 본체(1)의 운전설정 및 운전상태를 액정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4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9)에는,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점등하지 않는 것을 통보하는 통보수단, 즉, 소리와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43)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10에 근거해서, 본 실시예의 제어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44)는, 압축기(24)나 상기 원심송풍기(12)나 상기 평면살균램프(27) 등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즉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고 한다)로, 이 마이컴(44)은, 상기 조작부(39) 하측에 배치된 제어회로취부판(45)에 장착되어 있다.
(46)은, 상기 표시부(41)의 액정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회로로, 이 표시회로 (46)는, 상기 전원스위치(40)를 온(on) 한 신호가 상기 마이컴(44)에 입력된 때에, 상기 마이컴(44)으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47)은, 상기 원심송풍기(12)의 모터(13)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회로로, 상기 표시부(41)로 설정되는 운전상태의 설정치에 근거해서 동작한다.
(48)은, 상기 압축기(24)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회로로, 이 압축기 구동 회로(48)로부터는, 상기 표시부(42)에서 설정된 운전시간만 구동신호가 출력되어 운전되도록 되어 있다.
(49)는, 상기 배수탱크(25) 안이 그 제습수로 가득차면, 플로트가 동작하여 플로트의 동작을 검지하는 플로트검지센서로, 이 플로트검지센서(49)가 검지하면 상기 마이컴(44)에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본체(1)의 운전, 즉 상기 압축기(24)와 상기 모터(13)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상기 만수 램프(41)가 상기 마이컴(44)의 출력에 의해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만수램프(41)의 점등을 보고, 상기 손거는부(26)에 손을 걸어서 상기 배수탱크(25)를 상기 본체(1) 안으로부터 꺼내 상기 배수탱크(25) 안의 물을 버린 후, 다시 상기 본체(1) 안에 상기 배수탱크(25)를 장착하면 만수 상태가 해소되고, 다시 상기 본체(1)의 제습동작이 개시된다.
(50)은, 상기 평면살균램프(27)를 점등시키는 점등스위치로, 이 점등스위치(50)를 온 하면 상기 마이컴(43)에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마이컴(44)으로부터 상기 램프점등전원(32)에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램프점등전원(32)으로부터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방전전극(27d), (27e)에 약 1㎸의 전압이 인가되어 점등한다.
(51)은, 상기 스피커(43)로부터 경보음과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성회로로, 상기 포토센서(35)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마이컴(44)에 입력되지 않게 된 때, 즉,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점등하지 않는 때에, 상기 마이컴(44)으로부터 상기 음성회로 (51)에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스피커(43)로부터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점등하지 않는 상태,「삐삐, 램프가 점등되지 않습니다.」의 경보음과 음성이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마이컴(44)은, 상기 표시부(42)에 상기 평면살균램프(27)는 점등하지 않는 것을 표시시키는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램프점등전원(32)으로 출력하는 신호를 정지하고, 상기 방전전극(27d), (27e)에 상기 램프점등전원(32)의 개방전압 약 4㎸의 고전압이 인가된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42)의 표시와, 상기 스피커(43)로부터의 경보음과 음성에 의해서,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점등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인식 할 수 있어, 트러블 해소에 재빠르게 대응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원스위치(40)를 온 해서 표시부(42)로 운전을 설정하면, 송풍기(12)와 압축기(24)가 작동하고, 실내공기가 도 4의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흡기구 (6), (7), 후면 흡기구(8), 측면 흡기구(9)부터 흡입된다. 그리고, 점등스위치(50)를 온 하면 평면살균램프(27)가 점등하고, 주로 전면 흡기구(6), (7)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외측 슬릿(28a)과 내측 슬릿(30a)으로부터 수납케이스(28) 안으로 들어오고, 수납케이스(28) 안을 통과할 때에, 공기중에 포함된 세균이 평면살균램프(27)의 자외선 발광면(27k)으로부터 발광되는 자외선(27i)에 의해서 살균됨과 동시에, 악취성분이 광촉매필터(29)로 탈취된다. 그리고, 살균, 탈취된 공기는, 증발기(22)를 통과할 때에 제습된 후, 응축기(23)로 가열되고, 건조된 따뜻한 청정한 공기가 상취출구(17)와 하취출구(18)로부터 분출된다. 평면살균램프(27)와 광촉매필터(29)가 전면 흡기구(6), (7)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된 공기내에 포함된 세균이나 악취성분은, 증발기(22)나 응축기(23)의 상류에서 제거되고, 증발기(22), 응축기(23)의 표면에 세균이나 악취성분이 부착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증발기(22)를 통과함으로서, 실내공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은 배수구멍(미도시)을 따라 이동되어 배수탱크(25)에 흘러 내리고, 배수탱크(25) 안 이 그 제습수로 가득차면, 플로트가 동작하여 플로트의 동작을 검지하는 플로트검지센서(49)가 만수를 검지하고, 운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만수램프(41)가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만수램프(41)의 점등을 보고, 손거는부(26)에 손을 걸어서 배수탱크(25)를 본체(1) 안에서 꺼낸다. 그리고, 배수탱크(1) 안의 물을 버린 후 다시 본체(1) 안에 배수탱크(25)를 장착한다. 이렇게 하여, 만수상태가 해소되고, 다시 제습동작이 개시된다.
다음,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1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조작부(39)의 전원스위치(40)를 온 하면(S1), 표시부(41)의 액정화면에 본체(1)의 운전상태를 설정하는 메뉴화면이 표시되고, 운전상태를 설정하면 상기 본체(1)의 운전을 개시한다(S2).
다음, 점등스위치(50)를 온 하면(S3), 마이컴(44)으로부터 램프점등전원 (32)에 신호가 출력되고, 램프점등전원(32)으로부터 평면살균램프(27)의 방전전극 (27d), (27e)에 약 1㎸의 전압이 인가되어 점등한다(S4).
다음, 평면살균램프(27)가 수명 또는 단락 등에 의해 점등하지 않는 경우, 포토센서(35)가 가시광(27j)을 검지하지 않기 때문에(S5), 마이컴(44)은, 램프점등전원(32)에 출력하는 신호를 정지하고, 램프점등전원(32)으로부터 방전전극(27d), (27e)으로의 급전을 정지함(S6)과 동시에, 표시부(42)에 「점등되지 않았습니다.」를 표시시킨다(S7).
다음, 음성스피커(43)로부터 「삐삐, 램프가 점등되지 않았습니다.」의 경보음과 음성이 소정시간 발표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점등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포토센서(35)가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가시광 발광면(27m)으로부터 발광하는가시광(27j)을 검지하고,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점등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포토센서(35)가 가시광(27j)을 검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수명 혹은 단락 등에 의해 점등하지 않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점등하지 않을 때, 상기 마이컴(44)은, 상기 램프점등전원(32)으로부터 평면살균램프(27)로의 급전을 정지시킴으로서, 점등전압에 약 1㎸의 전압을 필요로 하는 냉음극관형의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수명 등으로 점등하지 않게 되면, 상기 램프점등전원(32)의 개방전압 약 4㎸의 고전압이 상기 방전전극(27d), (27e)에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방전전극(27d), (27e)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 상태 그대로 방치되지 않게 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점등하지 않을 때에, 상기 표시부(42)에 「점등 되지 않았습니다.」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표시에 의해서,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수명이나 단락 등의 원인으로 점등하고 있지 않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트러블 해소에 재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점등하지 않을 때에, 상기 스피커(43)로부터 「삐삐, 램프가 점등되지 않았습니다.」의 경보음과 음성이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소리에 의해,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수명이나 단락 등의 원인으로 점등하고 있지 않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트러블 해소에 재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평면살균램프(27)는, 가시광(27j)이 발광되는 가시광 발광면(27m)을 상기 램프기판(31)의 면에 접촉시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램프기판(31)과 상기 평면살균램프(27)가 일체화 돼서, 리드선, 커넥터 등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자외선(27i)이 상기 램프기판(31)에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램프기판(31)이나, 이 기판상에 장착되는 상기 램프점등전원(32)이나 상기 포토센서(35) 등의 전자부품이 열화되지 않고, 또한, 상기 자외선 발광면(27k) 측을 노출시킴으로서, 자외선 조사면적이 감소되지 않고 상기 램프기판(31)과 상기 자외선램프(27)를 일체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램프기판(31)에 상기 포토센서(35)를 장착했기 때문에, 상기 포토센서(35)와 상기 평면살균램프(27)와의 간격이 짧아지고,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가시광(27i)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자외선 발광면(27k)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광촉매필터(29)를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27)의 자외선 발광면(27k)으로부터 발광된 자외선(27i)에 의해서, 상기 광촉매필터(29)의 광촉매층이 여기하고, 상기 전면 흡기구(6), (7)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악취성분을 산화분해시킬 수 있고, 상기 평면살균램프(27)의 살균효과에 더해서, 탈취 및 곰팡이의 번식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28)에 상기 램프기판(31)과, 상기 평면살균램프 (27)와, 상기 광탈취필터(29)를 수납했기 때문에, 상기 램프기판(31), 상기 평면살균램프(27), 상기 광탈취필터(29)의 3개의 부품을 유니트화할 수 있고, 설치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28)의 외측 슬릿(28a)은, 갑옷형상으로 잘려 세워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평면살균램프(27)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27i)이 상기 외측 슬릿(28a)에 의해 차단되고, 자외선(27i)이 상기 수납케이스(28)의 외측에 누설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평면살균램프(27)는, 상기 전면 흡기구(6), (7) 측에 배치했기 때문에, 상기 전면 흡기구(6), (7)로부터 흡입된 공기내에 포함되는 세균이나 악취성분은, 상기 증발기(22)나 상기 응축기(23)의 상류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22), 상기 응축기(23)의 표면에 세균이나 악취성분이 부착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자외선을 공기에 조사하고 살균하는 냉음극관형의 자외선램프는,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면에서 자외선을, 다른 면에서는 가시광을 발광하고, 상기 다른 면에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을 검지해서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등 유무를 검지하는 램프검지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램프검지수단이 상기 자외선램프의 다른 면에서부터 발광하는 가시광을 검지하고,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램프검지수단이 검지하지 않으므로, 상기 자외선램프가, 수명 또는 단락 등에 의하여 점등하고 있지 않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상기 램프검지수단이 상기 자외선램프의 비점등을 검지했을 때,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램프점등전원으로부터 상기 자외선램프 로의 급전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점등전압에 약 1㎸의 전압을 필요로 하는 냉음극형의 자외선램프를 사용한 경우, 수명 등으로 점등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점등전원의 개방전압, 약 4㎸의 고전압이 상기 자외선램프의 전극에 인가된 상태 그대로 방치되지 않게 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운전상태를 가리키는 표시부를 설치하고, 이 표시부에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하지 않는 것을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표시에 의해, 상기 자외선램프가 수명이나 단락 등의 원인으로 점등하고 있지 않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트러블 해소에의 재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상기 램프검지수단이 상기 자외선램프의 비점등을 검지했을 때,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하지 않는 것을, 소리 또는 음성으로 통보하는 통보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되지 않았을 때, 예를 들면, 경보음「삐삐」, 또는 음성「램프가 점등되지 않았습니다.」가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하지 않는 것을 소리에 의해 인식할 수 있어, 트러블 해소에의 재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상기 자외선램프는, 가시광이 발광되는 다른 면을 상기 램프점등전원이 장착되는 램프기판의 한 면에 접촉시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램프기판과 상기 자외선램프가 일체화해서, 리드선, 커넥터 등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이 상기 램프기판에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램프기판이나, 이 기판상에 장착되는 전자부품 등이 열화하는 일이 없고, 또한, 자외선이 발광되는 한 면측은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 조사면적이 감소하지 않고 상기 램프기판과 상기 자외선램프를 일체화할 수 있는 등이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하면, 상기 램프기판에 상기 램프검지수단을 장착했기 때문에, 상기 램프검지수단과 상기 자외선램프와의 간격이 짧아지고, 상기 자외선램프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는 등이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하면, 상기 자외선램프의 한 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광촉매필터를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의 한 면에서 발광된 자외선에 의해서, 상기 광촉매필터의 광촉매층이 여기하고, 흡입된 공기중의 악취성분을 산화분해시킬 수 있고, 상기 자외선램프의 살균효과에 더해서, 탈취 및 곰팡이의 번식을 저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하면, 통풍이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기판과, 상기 자외선램프와, 상기 광탈취필터가 수납되는 수납케이스를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램프기판, 상기 자외선램프, 상기 광탈취필터의 3개의 부품을 유니트화할 수 있고, 설치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의하면, 상기 슬릿은, 갑옷형상으로 잘려 세워져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슬릿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외측에 자외선이 누설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의하면,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흡기구측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내에 포함된 세균이나 악취성분이, 상기 증발기나 상기 응축기의 상류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 상기 응축기의 표면에 세균이나 악취성분이 부착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등이 효과를

Claims (10)

  1. 본체내에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송풍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사이클을 내장하고,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냉동사이클로 제습한 후, 배기구로서 분출하는 송풍로와, 상기 송풍로중에 자외선을 공기에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본체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제어부와, 이 운전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자외선램프를 점등시키는 램프점등전원을 구비하며, 상기 자외선램프는,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한 면에서 자외선을, 다른 면에서는 가시광을 발광하여, 상기 다른 면에서 조사되는 가시광을 검지하고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등 유무를 검지하는 램프검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검지수단이 상기 자외선램프의 비점등을 검지했을 때, 상기 운전제어부는, 상기 램프점등전원으로부터 상기 자외선램프로의 급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운전상태를 가리키는 표시부를 설치하고, 이 표시부에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되지 않은 것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검지수단이 상기 자외선램프의 비점등을 검지했을 때, 상기 자외선램프가 점등하지 않은 것을, 소리 또는 음성으로 통보하는 통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점등전원이 장착되는 램프기판을 설치하고, 상기 자외선램프는 가시광이 발광되는 다른 면측을 상기 램프기판의 한 면에 접촉시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기판에 상기 램프검지수단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의 한 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광촉매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통풍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기판과, 상기 자외선램프와, 상기 광탈취필터가 수납되는 수납케이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갑옷형상으로 잘라 세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흡기구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2-0083173A 2001-12-27 2002-12-24 공기조화기 KR100467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95512A JP3717847B2 (ja) 2001-12-27 2001-12-27 空気調和機
JPJP-P-2001-00395512 2001-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342A true KR20030057342A (ko) 2003-07-04
KR100467855B1 KR100467855B1 (ko) 2005-01-25

Family

ID=1918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173A KR100467855B1 (ko) 2001-12-27 2002-12-2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17847B2 (ko)
KR (1) KR100467855B1 (ko)
CN (1) CN1174192C (ko)
TW (1) TW5710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135B1 (ko) * 2020-09-14 2021-04-06 주식회사 리텍 IoT 기반 멸균 열회수 환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6982A1 (en) * 2007-04-12 2008-10-23 Chi Kook Ha A air-cleaning device for evaporato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WO2013073758A1 (en) * 2011-11-17 2013-05-23 Coway Co., Ltd. Dehumidification-type air cleaner
CN104515243A (zh) * 2013-09-26 2015-04-15 建准电机工业股份有限公司 气流交换装置
TWI507647B (zh) * 2013-09-26 2015-11-1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氣流交換裝置
KR101592462B1 (ko) 2013-11-20 2016-02-05 주식회사 그린기술 제습기 및 제어방법
CN106052081A (zh) * 2016-07-28 2016-10-26 梁力中 紫外线空气杀菌净化仪
JP6353561B2 (ja) * 2017-01-10 2018-07-0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11744047A (zh) * 2020-07-03 2020-10-09 成都派斯光学有限公司 一种板式杀菌系统
GB2601529A (en) * 2020-12-03 2022-06-08 Rocco Tulino Rosario Electrostatic device with high hourly capacity for indoor air sanitization
KR102615265B1 (ko) * 2022-02-17 2023-12-20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광촉매필터,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135B1 (ko) * 2020-09-14 2021-04-06 주식회사 리텍 IoT 기반 멸균 열회수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855B1 (ko) 2005-01-25
CN1430022A (zh) 2003-07-16
JP2003194367A (ja) 2003-07-09
TW200301812A (en) 2003-07-16
TW571058B (en) 2004-01-11
CN1174192C (zh) 2004-11-03
JP3717847B2 (ja)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5668B2 (ja) 冷蔵庫用殺菌及び脱臭装置
KR100467855B1 (ko) 공기조화기
KR100899473B1 (ko) 공기 조절 장치
JP5192745B2 (ja) 表示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20180010824A (ko) 공기 조화기
JP3160820U (ja) 照明兼用オゾン発生器
JP5569017B2 (ja) 空気調和機
JP2003269745A (ja) 空気調和機
JP2003240260A (ja) 空気調和機
CN211551328U (zh) 照明装置
JP2008221159A (ja) 機器のドレン水浄化装置
KR100491767B1 (ko) 공기조화기
JP2003207165A (ja) 空気調和機
KR200419106Y1 (ko) 의류관리기
JP2003207164A (ja) 空気調和機用紫外線ランプ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2003207166A (ja) 空気調和機用紫外線ランプ収納ケース、紫外線ランプ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2003269744A (ja) 空気調和機
JP2008025912A (ja) 加湿装置
JP2004325039A (ja) 冷蔵庫
JP3588157B2 (ja) 脱臭殺菌装置
CN216536212U (zh) 吸顶灯
JP2003339844A (ja) 空気清浄機
KR950000706Y1 (ko) 냉장고용 살균·탈취장치
CN109432476B (zh) 一种除臭机
KR20220022574A (ko) 공간 살균 및 탈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