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265B1 - 광촉매필터,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촉매필터,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265B1
KR102615265B1 KR1020220020630A KR20220020630A KR102615265B1 KR 102615265 B1 KR102615265 B1 KR 102615265B1 KR 1020220020630 A KR1020220020630 A KR 1020220020630A KR 20220020630 A KR20220020630 A KR 20220020630A KR 102615265 B1 KR102615265 B1 KR 102615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lete delete
frame
weight
photocatalytic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4127A (ko
Inventor
최장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Priority to KR102022002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265B1/ko
Publication of KR2023012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8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2Boron or 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4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8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32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34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2Copper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64Impregn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촉매필터, 이를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되며, 활성탄(CO2)을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에 제공되는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조성물은, 이산화티타늄(TiO2) 1 내지 10 중량%, 질산은(AgNO3) 0.01 내지 0.5 중량%, 및 용매 잔량을 포함하는, 광촉매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촉매필터,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제조 방법{PHOTOCATALYTIC FILTER,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CATALYTIC FILTER}
본 발명은 광촉매필터, 이를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제조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처리장치는 실내 공기를 정화, 살균, 냉난방 또는 제습하여 실내 공기를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공기처리장치 중 제습기는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제습기 내부로 흡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공기의 습도를 낮춘 후, 실내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습기는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하여 실내 공기를 제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희망 습도에 따라 자유롭게 실내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제습기가 실내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 벽지 또는 바닥 등에서 배출되는 화학 물질, 담배 연기 등의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기에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습기의 경우 공기 중 오염 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채로 필터에 계속 남아있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제습기는 필터가 오염 물질을 소멸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필터에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이 남아있게 된다. 이 경우 오랜 기간 사용된 필터를 교환해주지 않으면, 제습기의 여과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필터에 남아있는 오염 물질이 제습기 사용 중 또는 필터 교환 작업 중에 다시 공기 중으로 퍼져나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습기가 내의 필터에 잔류하는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사멸시킴으로써 필터의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 및 이러한 필터가 구비된 공기처리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필터에 잔류하는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사멸시킴으로써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외선과 같은 광이 조사될 때, 공기 중의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는 광촉매 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되며, 활성탄(CO2)을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에 제공되는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조성물은, 이산화티타늄(TiO2) 1 내지 10 중량%, 질산은(AgNO3) 0.01 내지 0.5 중량%, 및 용매 잔량을 포함하는, 광촉매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조성물은 산화구리(CuO) 및 이산화망간(MnO2)을 포함하는 동산화물 0.5 내지 3 중량%를 더 포함하는, 광촉매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조성물은 실리카(SiO2) 및 알루미나(Al2O3)를 포함하는 바인더 5 내지 2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광촉매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는 상기 용매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에탄올 10 내지 15 중량%, 이소프로필알코올 30 내지 35 중량% 및 물 잔량을 포함하는, 광촉매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펄프(pulp)를 포함하는, 광촉매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공은 0.5mm 이상 10.0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광촉매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된 기재층을 제공하는 기재층 제공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된 기재층에 활성탄을 침탄시키는 침탄 단계; 및 상기 활성탄이 침탄된 상기 기재층에 광촉매 조성물을 코팅하는 코팅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조성물은, 이산화티타늄(TiO2) 1 내지 10 중량%, 질산은(AgNO3) 0.01 내지 0.5 중량%, 및 용매 잔량을 포함하는, 광촉매필터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조성물은 산화구리(CuO) 및 이산화망간(MnO2)을 포함하는 동산화물 0.5 내지 3 중량%를 더 포함하는, 광촉매필터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조성물은 실리카(SiO2) 및 알루미나(Al2O3)를 포함하는 바인더 5 내지 2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광촉매필터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는 상기 용매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에탄올 10 내지 15 중량%, 이소프로필알코올 30 내지 35 중량% 및 물 잔량을 포함하는, 광촉매필터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펄프(pulp)를 포함하는, 광촉매필터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기공은 0.5mm 이상 10.0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광촉매필터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공기처리유닛;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유닛은, 광촉매필터; 및 상기 광촉매필터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하나 이상의 UV LED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UV LED는 350nm 이상 380nm 이하의 파장(UVA) 또는 260nm 이상 280nm 이하의 파장(UVC)을 가지는 자외선을(Ultraviolet ray)를 조사하는,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촉매필터로부터 1.5cm 이상 2.5cm 이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조성물은,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상기 광이 조사되는 영역 및 상기 조사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코팅된, 공기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터에 잔류하는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사멸시킴으로써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외선과 같은 광이 조사될 때, 공기 중의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처리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프레임커버를 제외한 공기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살균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광촉매필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체결', '유동', '유입', '토출', '흡입', '배출' 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체결, 유동, 유입, 토출, 흡입, 배출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하 방향은 도 1 내지 도 3의 상하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장치(1)는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유입된 실내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처리장치(1)가 실내공기를 처리하는 것의 의미는 실내 공기를 정화, 살균, 탈취, 냉방 또는 제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처리장치(1)가 실내 공기를 제습하는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처리장치(1)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천장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처리장치(1)는 프레임(100), 공기처리유닛(200), 팬유닛(300) 및 살균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공기처리유닛(200), 팬유닛(300) 및 살균유닛(400)을 수용할 수 있으며, 건물의 천장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프레임바디(110) 및 프레임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바디(110)는 공기처리유닛(200), 팬유닛(300) 및 살균유닛(4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바디(110)에는 공기가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111) 및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프레임(10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는 천장면을 기준으로 하측의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프레임커버(120)는 프레임바디(110)를 커버할 수 있으며, 프레임바디(110)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차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커버(120)는 프레임바디(110)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커버(120)에는 공기가 프레임(100) 내부로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121) 및 프레임(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토출구(1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21)와 토출구(122)는 천장면을 기준으로 상측의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처리유닛(200)은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처리유닛(200)은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처리유닛(200)은 압축기(210), 응축기(220), 증발기(230)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10)는 냉매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210)는 저압의 냉매를 고압의 냉매로 압축할 수 있다.
응축기(220)는 압축기(2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기(220)는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냉매를 액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220)를 통과하는 공기는 소정 온도로 가열된다. 또한, 흡입구(121)를 통해 흡입되어 토출구(122)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응축기(220)에서 소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증발기(230)는 팽창밸브에서 소정 압력으로 조절된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230)는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냉매를 기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230)는 공기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키고, 공기를 응결시켜 제습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증발기(230)에서 제습될 수 있다.
팽창밸브는 응축기(220)를 통과한 냉매를 소정 압력으로 강하시킬 수 있다.
팬유닛(300)은 실내 공기가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습된 공기가 실내도 토출되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팬유닛(300)은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되며, 흡입팬(310) 및 배출팬(32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팬(310)은 프레임(100) 외부 공기가 흡입구(121)를 통해 프레임(100) 내부로 흡입되고, 프레임(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122)를 통해 프레임(100) 외부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팬(310)은 공기가 흡입구(121), 응축기(220) 및 토출구(122)를 따라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가 흡입구(121), 응축기(220) 및 토출구(122)를 따라 유동하는 경로는 제1 경로로 정의될 수 있다.
배출팬(320)은 프레임(100) 외부 공기가 유입구(111)를 통해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되고,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구(112)를 통해 프레임(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팬(320)은 공기가 유입구(111), 증발기(230) 및 배출구(112)를 따라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가 유입구(111), 증발기(230) 및 배출구(112)를 따라 유동하는 경로는 제2 경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살균유닛(400)은 공기처리장치(1)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유닛(400)은 광촉매 반응을 통하여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이러한 살균유닛(400)은 광원부(410) 및 광촉매필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410)는 광촉매필터(420)를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410)는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광원부(410)는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을 살균할 수 있는 250 nm 내지 400 nm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광원부(410)는 350nm 이상 380nm 이하의 파장(UVA) 또는 260nm 이상 280nm 이하의 파장(UVC)을 가지는 자외선을 광촉매필터(420)를 향하여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410)는 기판(411) 및 광원(41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1)은 광원(412)을 지지할 수 있으며, 광원(4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원(412)은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412)이 복수 개로 제공될 경우, 복수 개의 광원(412)은 동일한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거나,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광원(412)은 일 예로, UV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광원(412)은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광촉매필터(42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광원(412)은 광촉매필터(420)로부터 1.5cm 이상 2.5cm 이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촉매필터(420)는 광원부(410)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광촉매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필터(420)는 광원부(410)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활성화되어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광촉매필터(420)와 접촉하는 공기를 살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촉매필터(420)에 광원부(410)로부터 광이 조사되면, 공기 중의 물과 산소로부터 수산기라디칼(HydroxyRadical)과 초과산화이온(Superoxide Ion)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산기라디칼 및 초과산화이온은 공기 내의 유기 오염 물질을 분해함으로써 탈취 효과를 발생시키며, 공기 내의 오염 물질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세균과 같은 오염원들을 살균한다.
한편, 광촉매필터(420)는 기재층(421) 및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421)에는 광촉매 조성물이 코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421)은 펄프(pul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기재층(421)에는 복수 개의 기공(4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기공(421a)의 크기는 0.5mm 이상 10.0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기공(421a)은 원형 또는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기공(421a)은 허니컴(Honeycomb)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기재층(421)은 활성탄(CO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활성탄을 침탄시켜 제조할 수 있다. 앞서, 기재층(421)에는 광촉매 조성물이 코팅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광촉매 조성물은 하나의 필름으로 기재층(421)에 부착될 수도 있다.
광촉매 조성물은 광원부(410)로부터 광이 되사되면 광촉매가 활성화되어 광촉매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 조성물은 기재층(421)에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촉매 조성물은 이산화티타늄(TiO2) 1 내지 10 중량%, 질산은(AgNO3) 0.01 내지 0.5 중량%, 동산화물 0.5 내지 3 중량%, 바인더 5 내지 20 중량% 및 용매 잔량을 포함할 수 있다.
광촉매 조성물의 이산화티타늄은 자외선이 조사되면 과산소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으며, 과산소 라디칼은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은 분해 능력이 우수하고, 환경 변화에도 지속적인 내구성 및 안정성을 가지며, 반영구적인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1 내지 10 중량%로 광촉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광이 조사될 때, 자외선 광에 의한 광촉매 반응이 없어 주변 물질의 산화 작용이 나타나지 못한다. 또한, 이산화 티타늄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하면, 광촉매 조성물이 기재층(421) 표면에 제대로 접착되지 못하여 가루 상태로 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광촉매 반응에 의한 산화 작용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광촉매 조성물의 질산은(AgNO3)은 자체적으로 항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질산은은 광원부(410)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더라도 항균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촉매필터(420)는 질산은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도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질산은은 0.01 내지 0.5 중량%로 광촉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산은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광촉매 반응에 의한 살균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질산은의 함량이 0.5 중량% 초과하면, 재료 단가 상승 대비 살균 효과의 증대가 미미하다.
한편, 광촉매 조성물의 동산화물은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등의 생활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동산화물은 산화구리(CuO) 및 이산화망간(MnO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산화물은 광원부(410)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더라도 산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촉매필터(420)는 동산화물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도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동산화물은 0.5 내지 3 중량%로 광촉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산화물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광촉매 반응에 의한 살균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동산화물의 함량이 3 중량% 초과하면, 재료 단가 상승 대비 살균 효과의 증대가 미미하다.
광촉매 조성물의 바인더는 실리카(SiO2) 및 알루미나(Al2O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는 5 내지 20 중량%로 광촉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더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기재층(421) 표면에 제대로 코팅 또는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바인더의 함량이 20 중량% 초과하면, 실질적 살균제의 함량이 떨어져 광촉매 작용과 산화 살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용매는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는 용매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에탄올 10 내지 15 중량%, 이소프로필알코올 30 내지 35 중량% 및 물 잔량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조성물은 기재층(421) 뿐만 아니라 프레임(100)의 내면에도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촉매 조성물은 프레임(100)의 내면 중 광원부(410)로부터 조사된 광이 도달하는 영역에 코팅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조성물은 프레임(100)의 내면 중 광원부(410)로부터 조사된 광이 도달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부(410)로부터 조산된 광에 의해 프레임(100)의 성질이 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필터(420)는 공기 중의 세균 및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광촉매필터(420)는 은산화물 및 동산화물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도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필터(420)를 제조하는 광촉매필터 제조 방법(S10)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촉매필터 제조 방법(S10)은 기재층 제공 단계(S100), 침탄 단계(S200) 및 코팅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 제공 단계(S100)는 복수 개의 기공(421a)이 형성된 기재층(421)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층(421)은 펄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기공(421a)이 허니컴 구조를 가지도록 기재층(421)이 제공될 수 있다.
침탄 단계(S200)는 복수 개의 기공(421a)이 형성된 기재층(421)에 활성탄을 침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421)에 활성탄을 침탄시키는 공정은 활성탄 액체에 펄프를 마치 염색을 하듯이 침지시킴으로써 펄프에 활성탄을 침탄시키는 공정 및 침탄된 펄프를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단계(S300)에서는 앞서 설명한 광촉매 조성물을 활성탄이 침탄된 기재층(421)에 코팅할 수 있다. 여기서 광촉매 조성물을 기재층(421)에 코팅하는 것의 의미는 기재층(421)에 광촉매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프레이 등을 통해 분사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공기처리장치
100: 프레임 110: 프레임바디
111: 유입구 112: 배출구
120: 프레임커버 121: 흡입구
122: 토출구 200: 공기처리유닛
210: 압축기 220: 응축기
230: 증발기 300: 팬유닛
310: 흡입팬 320: 배출팬
400: 살균유닛 410: 광원부
411: 기판 412: 광원
420: 광촉매필터 421: 기재층
421a: 기공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공기처리유닛;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유닛은,
    광촉매필터; 및
    상기 광촉매필터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필터는,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되며, 활성탄을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에 제공되는 광촉매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조성물은,
    상기 프레임의 내면이 상기 광에 의해 성질이 변하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상기 광이 조사되는 영역과, 상기 프레임 중 상기 광이 조사되는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 더 코팅되고,
    상기 광촉매 조성물은,
    이산화티타늄(TiO2) 2.99 내지 29.85중량%, 질산은(AgNO3) 0.03 내지 1.49중량%, 산화구리(CuO) 및 이산화망간(MnO2)을 포함하는 동산화물 1.50 내지 8.95중량%, 실리카(SiO2) 및 알루미나(Al2O3)를 포함하는 바인더 14.93 내지 59.70중량% 및 잔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접한 영역으로 상기 광이 조사되지 않더라도 상기 인접한 영역 상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공기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하나 이상의 UV LED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UV LED는 350nm 이상 380nm 이하의 파장(UVA) 또는 260nm 이상 280nm 이하의 파장(UVC)을 가지는 자외선을(Ultraviolet ray)를 조사하는,
    공기처리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촉매필터로부터 1.5cm 이상 2.5cm 이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처리장치.
  16. 삭제
KR1020220020630A 2022-02-17 2022-02-17 광촉매필터,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제조 방법 KR10261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630A KR102615265B1 (ko) 2022-02-17 2022-02-17 광촉매필터,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630A KR102615265B1 (ko) 2022-02-17 2022-02-17 광촉매필터,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127A KR20230124127A (ko) 2023-08-25
KR102615265B1 true KR102615265B1 (ko) 2023-12-20

Family

ID=8784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630A KR102615265B1 (ko) 2022-02-17 2022-02-17 광촉매필터,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2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367A (ja) * 2001-12-27 2003-07-09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102080097B1 (ko) * 2019-09-06 2020-04-16 김근희 광촉매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979B1 (ko) * 2015-02-25 2021-06-08 (주)엘지하우시스 탈취 필터용 가시광 활성 광촉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 필터
KR101930709B1 (ko) * 2016-06-13 2018-12-20 (주)엘지하우시스 광촉매 기능성 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367A (ja) * 2001-12-27 2003-07-09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102080097B1 (ko) * 2019-09-06 2020-04-16 김근희 광촉매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127A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7436B2 (en) Purified hydrogen peroxide gas microbial control methods and devices
RU27678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AU2010213703A1 (en) UV air treatment method and device
KR20060106031A (ko) 제습,가습 및 공기정화 겸용 복합기
US11629872B2 (en) Single pass kill air purifier system and process of operation
KR102615265B1 (ko) 광촉매필터, 공기처리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제조 방법
KR100565775B1 (ko) 광촉매 필터유닛 및 이를 채용한 공기조화장치
CN212720012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210091072A (ko) 공기청정기
JP2003126227A (ja) 汚染空気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0499315B1 (ko) 광촉매가 코팅된 금속 플레이트 및 실리카겔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JP2005342142A (ja) 空気清浄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2593516B1 (ko) 광촉매를 이용한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환기 모듈
US11992573B2 (en) Purified hydrogen peroxide gas microbial control methods and devices
KR102521268B1 (ko) 살균 기능 구비의 복합 공기 청정 장치
KR200318792Y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KR20210135411A (ko) 세라믹 필터를 활용한 공기 청정기
KR20220146724A (ko) 에어컨 탈부착용 공기정화살균기
PL245060B1 (pl) Urządzenie do dezynfekcji powietrza i powierzchni
CN112807996A (zh) 一种消灭新冠病毒的家用空气净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