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565B1 -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565B1
KR102632565B1 KR1020180089949A KR20180089949A KR102632565B1 KR 102632565 B1 KR102632565 B1 KR 102632565B1 KR 1020180089949 A KR1020180089949 A KR 1020180089949A KR 20180089949 A KR20180089949 A KR 20180089949A KR 102632565 B1 KR102632565 B1 KR 10263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lutch lever
fastener
spool
bear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611A (ko
Inventor
히토시 하라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4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과제]클러치 조작부를 클러치 레버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부(180)는, 스풀의 회전축 방향에 평행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러치 레버(170)에 취부된다. 클러치 조작부(180)는, 유저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1 부재(181)와 제1 부재(181)와 조합되고, 제1 부재(181)와 함께 클러치 레버(170)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제2 부재(18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CLUTCH OPERATING DEVICE AND 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을 회전시켜 낚시줄을 감는 양 베어링 릴이 알려져 있다. 양 베어링 릴은, 스풀로의 핸들의 회전의 전달/비전달을 전환하는 클러치 레버를 구비한다. 클러치 레버에는, 클러치 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부가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스풀 측으로부터 나사를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 레버에 고정되는 클러치 조작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216867호
특허 문헌 1의 클러치 조작부는, 스풀 측으로부터 나사가 취부(取付)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터넌스(maintenance) 등을 위하여 클러치 조작부를 클러치 레버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나사를 떼어낼 때, 스풀이 방해가 되고, 당해 클러치 조작부의 떼어내기가 곤란하다, 는 문제가 있다.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클러치 조작부를 클러치 레버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련되는 클러치 조작부는,
스풀(예를 들면, 스풀(140))의 회전축 방향에 평행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러치 레버(예를 들면, 클러치 레버(170))에 취부되는 양 베어링 릴(예를 들면, 양 베어링 릴(100))의 클러치 조작부(예를 들면, 클러치 조작부(180))에 있어서,
유저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1 부재(예를 들면, 제1 부재(181))와,
상기 제1 부재와 조합되고, 상기 제1 부재와 함께 상기 클러치 레버를 상기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제2 부재(예를 들면, 제2 부재(182))를
구비한다.
상기의 특징을 가지는 클러치 조작부에 의하면,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클러치 레버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조작부를 떼어낼 때, 스풀이 방해를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클러치 레버로부터 클러치 조작부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레버는, 플레이트상(狀)이고, 상기 스풀의 방향을 향한 제1면(예를 들면, 제1면(171))과 당해 제1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면(예를 들면, 제2면(172))을 가지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 레버가 비집고 들어가는 제1 오목부이고, 저면(底面)(예를 들면, 저면(182CA 및 182DA))이 상기 제2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오목부(예를 들면, 오목부(182C 및 182D))를 구비하고, 상기 제2면 측으로부터 상기 클러치 레버에 취부되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2 부재를 스풀의 반대측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 레버로부터 클러치 조작부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그 하면(下面)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를 수용하는 슬릿(예를 들면, 슬릿(181B))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가 비집고 들어가는, 하방향(下方向)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예를 들면, 오목부(S))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오목부의 저부(底部)(예를 들면, 저판(底板)(182A))이 조임구(예를 들면,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에 의하여 상기 제1 부재에 상향으로 단단히 조여지는 것(예를 들면, 제3 부재(183)를 통하여 단단히 조여진다)으로,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조임구를 하방(下方)으로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 조작부를 떼어낼 때, 스풀이 방해를 하는 일이 없고, 클러치 레버로부터 클러치 조작부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클러치 레버와 계합(係合)하여, 당해 제1 부재가 상기 클러치 레버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계합 수단(예를 들면, 볼록부(181BB))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부를 클러치 레버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에 상향으로 단단히 조이는 것으로 당해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에 고정하는 조임구(예를 들면,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조임구에 의하여 단단히 조여지는 개소보다도, 상기 양 베어링 릴을 낚싯대에 취부한 경우의 당해 낚싯대의 후단(後端)측의 위치에서 하측(下側)으로 돌출한 돌출부(예를 들면, 돌출부(182E))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2 부재가 낚싯대의 후단측의 위치에서 하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낚싯대의 후단측으로부터 조임구가 돌출부에 의하여 보기 어렵게 되고, 클러치 조작부의 미관이 좋아지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상기 클러치 조작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특징을 가지는 양 베어링 릴에 의하면, 클러치 조작부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클러치 레버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조작부를 떼어낼 때, 스풀이 방해를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클러치 레버로부터 클러치 조작부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 조작부를 클러치 레버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을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을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클러치 조작부를, 제1 조임구를 포함하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클러치 조작부의 제1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양 베어링 릴(100)의 구성)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100)의 구성을 도 1 ~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술의 스풀(140)의 회전축인 스풀축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핸들(130) 측을 「우(右)」, 그 반대측을 「좌(左)」라고 한다. 또한, 양 베어링 릴(100) 낚싯대에 취부하였을 때의, 낚싯대 측을 「하(下)」, 그 반대측을 「상(上)」, 낚싯대의 선단측(낚싯줄의 방출 방향)을 「전(前)」, 낚싯대의 후단측을 「후(後)」라고 한다.
양 베어링 릴(100)은, 도 1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풋(110)과 제1 본체부(120)와 핸들(130)과 스풀(140)과 제2 본체부(150)와 연결부(160)와 클러치 레버(170)(도 2 및 도 3 등)와 클러치 조작부(180)를 구비한다. 양 베어링 릴(100)은, 릴 풋(110)에 의하여, 낚싯대에 취부된다. 양 베어링 릴(100)은, 스풀(140)에 균일하게 실을 감아 돌리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 등도 구비한다. 제1 본체부(120)와 핸들(130)과 스풀(140)과 제2 본체부(150)와 연결부(160)는, 양 베어링 릴(100)의 릴 본체(M)(릴 풋(110), 클러치 레버(170) 및 클러치 조작부(180) 이외의 부분)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본체부(120)는, 스풀(14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1 본체부(120)에는, 핸들(130)이 취부되어 있다. 제1 본체부(120)는, 회전 전달 기구, 클러치 기구, 메커니컬 브레이크, 드래그 기구 등을 구비한다.
회전 전달 기구는, 핸들(130)의 회전을 스풀(140)에 전달하여 스풀(140)을 회전시킨다. 클러치 기구는, 회전 전달 기구에 의한, 스풀(140)로의 핸들(130)의 회전의 전달/비전달(핸들(130)과 스풀(140)과의 연동/비연동)을 전환한다. 이것들 기구로서는, 공지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회전 전달 기구는, 예를 들면, 핸들(130)과 함께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와, 드라이브 기어와 직접 맞물리거나, 드라이브 기어와 1 이상의 기어를 통하여 연동하는 피니언 기어를 가진다. 피니언 기어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는, 스풀(140)의 회전축인 스풀축에 설치된 핀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오목부를 구비한다.
피니언 기어가 좌측에 위치할 때에는, 핀이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 피니언 기어와 스풀(140)이 계합한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130)의 회전이, 드라이브 기어 및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스풀(140)에 전달되고, 스풀(140)이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가 우측에 위치할 때에는, 핀이 오목부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고, 피니언 기어와 스풀(140)은 계합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130)의 회전이 스풀(140)에 전달되지 않고, 스풀(140)은 회전하지 않는다.
클러치 기구는, 예를 들면, 피니언 기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핸들(130)의 회전의 전달/비전달을 전환한다. 클러치 기구는, 클러치 플레이트(C1)(도 3)와 클러치 캠과 클러치 요크를 구비한다. 클러치 플레이트(C1)는, 연결부(C2)를 통하여 클러치 레버(170)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C1)는, 클러치 레버(17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따라 회전한다. 클러치 캠은, 클러치 플레이트(C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한다. 클러치 캠은, 회전하는 것으로, 클러치 요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클러치 요크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클러치 기구는, 클러치 레버(170)에 의하여 조작된다. 클러치 레버(170)는, 상하 방향으로 원호상(圓弧狀)의 궤적으로 이동한다. 클러치 레버(170)에는, 클러치 조작부(180)가 장착되어 있고, 클러치 레버(170)는, 클러치 조작부(180)를 통하여 조작된다.
클러치 레버(170)가 상방 위치에 있을 때에, 피니언 기어는 좌측의 위치에 위치하고, 피니언 기어와 스풀(140)은 계합하고 있다. 즉, 클러치 레버(170)가 상방 위치에 있을 때, 클러치 기구는, 핸들(130)의 회전을 스풀(140)에 전달하는 상태(이하, 클러치 기구가 온(on)의 상태라고도 한다)로 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가 온의 상태일 때에, 클러치 레버(170)를 하방으로 눌러 내리는 조작이 행해지면, 당해 눌러 내림 조작에 수반하여, 클러치 플레이트(C1) 및 클러치 캠이 회전하고, 클러치 요크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피니언 기어와 스풀(140)은 계합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 레버(170)가 하방 위치로 이동하면, 클러치 기구는, 핸들(130)의 회전을 스풀(140)에 전달하지 않는 상태(이하, 클러치 기구가 오프(off)의 상태라고도 한다)가 된다.
클러치 플레이트(C1) 등은 용수철 등에 의하여 압박되어 있고, 클러치 레버(170)로의 상기 눌러 내림 조작이 해제되면, 클러치 레버(170)는 상방 위치에 복귀한다(클러치 기구는, 온 상태로 복귀한다). 덧붙여, 클러치 레버(170)로의 상기 눌러 내림 조작이 해제되어도, 클러치 레버(170)는 하방의 위치에서 멈추고(클러치 기구는 오프 상태인 채로 된다), 재차 클러치 레버(170)로의 상기 눌러 내림 조작이 있었을 때에, 클러치 레버(170)를 상방 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클러치 기구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2 본체부(150)는, 스풀(140)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2 본체부(150)는, 스풀(140)의 회전을 받아, 레벨 와인드 기구의 웜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기어 등도 구비한다(모두 미도시). 덧붙여, 상기 복수의 기어는, 제1 본체부(120) 내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제2 본체부(150)는, 후술의 수심 카운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스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 등도 가진다.
연결부(160)는, 스풀(140)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 제1 본체부(120)와 제2 본체부(150)를 연결하고 있다. 양 베어링 릴(100)은,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 카운터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연결부(160)는, 수심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당해 수심 카운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 등을 구비한다.
(클러치 레버(170))
클러치 레버(170)는, 클러치 플레이트(C1)와 연결부(C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170)는, 구형(矩形)의 평판상(平板狀)(플레이트상)이고, 스풀(140)의 방향을 향한 제1면(171)과 제1면(171)의 반대측에 있는 제2면(172)를 구비한다. 클러치 레버(170)는, 그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73)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170)는, 핸들(130)의 회전의 스풀(140)로의 전달/비전달을 전환하기 위한 부재이다.
(클러치 조작부(180))
클러치 조작부(180)는, 도 2 ~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170)를 둘러싸도록 당해 클러치 레버(170)에 장착되고, 클러치 레버(17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유저에 의하여 눌러 내림 조작된다. 클러치 조작부(180)는, 제1 부재(181)와 제2 부재(182)와 제3 부재(183)와 제1 조임구(184)와 제2 조임구(185)를 구비한다. 제1 부재(181)에, 제2 부재(182)를,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에 의하여 제3 부재(183)를 통하여 단단히 조이는 것으로, 제1 부재(181)에 제2 부재(182) 및 제3 부재(183)가 고정되고, 클러치 조작부(180)가 구성되어 있다. 제1 조임구(184)와 제2 조임구(185)는, 예를 들면, 볼트이다.
제1 부재(181)는, 클러치 레버(170)에 상측으로부터 취부되고, 유저의 손가락, 예를 들면, 엄지가 접촉하는 부재이다. 즉, 제1 부재(181)는, 유저에 의하여 조작되는 부재이다. 제1 부재(181)의 상면은, 엄지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완만하게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의 세홈(細溝)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181)는, 본체부(181A)와 슬릿(181B)과 튀어나옴부(181C)와 제1 보스(181D)와 제2 보스(181E)를 구비한다.
본체부(181A)는, 개략으로 직방체 형상이고,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그 좌우 방향의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본체부(181A)의 하면(181AA)은, 제2 부재(182)의 후술의 저판(182A)에 면 접촉하도록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하면(181AA)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181B)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81B)은, 본체부(181A)의 좌우의 측면까지 도달하고 있고, 클러치 레버(170)를 수용한다. 본체부(181A)의 하면(181AA)은, 슬릿(181B)에 의하여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슬릿(181B)의 저면(181BA)에는, 볼록부(181BB)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81BB)는, 슬릿(181B)의 저면(181BA)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클러치 레버(170)의 오목부(173)와 계합한다. 볼록부(181BB)는, 예를 들면, 오목부(173)와 감합(嵌合)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73)와 볼록부(181BB)가 계합하는 것으로, 제1 부재(181)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튀어나옴부(181C)는, 본체부(181A)의 상부로부터 스풀(1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튀어나와 있다. 튀어나옴부(181C)는, 전체적으로 스풀(1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하도록 만곡하고 있다. 튀어나옴부(181C)의 형상은, 제2 부재(182)의 형상에 맞춘 형상으로 되어 있다. 튀어나옴부(181C)는, 하방으로 돌출한 판상(板狀)의 돌출부(181CA)를 가진다.
제1 보스(181D)와 제2 보스(181E)는, 각각, 원통 형상을 가진다. 제1 보스(181D)와 제2 보스(181E)는, 각각, 그 일부가 본체부(181A)에 박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스(181D)와 제2 보스(181E)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스(181D) 및 제2 보스(181E)는, 각각, 그 하단부가 본체부(181A)의 하면(181AA)보다도 하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스(181D)는, 제1 조임구(184)와 나합(螺合)하는 나합 구멍(암(雌) 나사부)(181DA)을 가지고, 제2 보스(181E)는, 제2 조임구(185)와 나합하는 나합 구멍(암 나사부)(181EA)을 가진다.
제2 부재(182)는, 클러치 레버(170)의 대체로 하측으로 취부되는 부재이다. 제2 부재(182)는, 제1 부재(181)와 조합되는 것으로, 제1 부재(181)와 협동하여 클러치 레버(170)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운다. 제2 부재(182)는, 저판(182A)과 당해 저판(182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한 측벽(182B)과 측벽(182B)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된 오목부(182C 및 182D)와 저판(182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돌출부(182E)와 저판(182A)에 설치된 제1 관통 구멍(182F) 및 제2 관통 구멍(182G)을 구비한다.
저판(182A)은, 판상 부분이다. 저판(182A)에는, 제1 부재(181)의 본체부(181A)의 하면(181AA)이 닿고, 저판(182A)은, 슬릿(181B)을 아래로부터 막는다. 저판(182A)은, 제1 부재(181)와 함께 슬릿(181B)에 수용된 클러치 레버(170)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운다.
측벽(182B)은, 저판(182A)의 스풀(140) 측의 부분 이외에 배치되어 있고, 그 상단부는, 제1 부재(181)의 형상에 맞추어, 좌우 중앙부가 오목하게 되어 있고, 제1 부재(181)와 제2 부재(182)가 조합되었을 때에 간극을 생기게 하지 않는 형상이다. 또한, 측벽(182B)과 저판(182A)에 의하여, 제2 부재(182)의 좌우 중앙에 위치하고, 또한,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S)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오목부(S)에는, 제1 부재(181)의 하부가 비집고 들어간다. 덧붙여, 측벽(182B)의 내측에는, 제1 부재(181)의 튀어나옴부(181C)의 돌출부(181CA)가 비집고 들어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부재(181)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오목부(S)는, 튀어나옴부(181C)에 의하여 덮이지만, 그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도 4).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부(180)는 경량화되어 있다.
오목부(182C 및 182D)는, 측벽(182B)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82C 및 182D) 각각의 하측의 측벽면은, 저판(182A)의 상면과 면일(面一)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의 각 측벽면 및 저판(182A)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클러치 레버(170)의 하면에 닿아 있다. 오목부(182C 및 182D)에는, 전방(前方)(스풀(140) 측)으로부터 클러치 레버(170)가 삽입되어 있다. 즉, 오목부(182C 및 182D)는, 스풀(140)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182C 및 182D)는, 그 각 저면(182CA 및 182DA)이 클러치 레버(170)의 제2면(17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대략 コ자상(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82E)는, 도 4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의 하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길이로 하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특히, 돌출부(182E)는, 낚싯대를 파지하고 있는 유저가,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시인할 수 없는 길이로, 하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부(182E)는, 후방(後方)(스풀(140)의 반대측) 및 좌우 양측으로부터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둘러싸도록, 하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대략 U자상(狀)으로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182E)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 조작부(180)에 있어서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의 머리부가 돌출부(182E)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U) 내에 배치되고(도 4), 낚싯대를 파지하고 있는 유저로부터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숨길 수 있다. 특히, 돌출부(182E)가,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의 조임 개소보다도 후방(양 베어링 릴(100)을 낚싯대에 취부한 경우의 당해 낚싯대의 후단측)의 위치에서 하측으로 돌출한 부분을 구비하는 것으로, 당해 부분에 의하여 낚싯대 및 양 베어링 릴(100)을 사용하는 유저로부터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숨길 수 있다.
제1 관통 구멍(182F) 및 제2 관통 구멍(182G)에는, 제1 부재(181)의 제1 보스(181D) 및 제2 보스(181E)가 각각 비집고 들어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부재(181)와 제2 부재(182)와의 위치 결정이 되어 있다.
제3 부재(183)는, 평판상의 부재이고, 제2 부재(182)의 저판(182A)에 닿는다. 제3 부재(183)는,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가 각각 통과하는 관통 구멍(183A 및 183B)을 가진다.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 각각이, 관통 구멍(183A 및 183B)을 통하여 제1 보스(181D) 및 제2 보스(181E) 각각에 나합하는 것으로, 제3 부재(183)가 제2 부재(182)에 꽉 눌리고, 제2 부재(182)(특히 저판(182A))가 제1 부재(181)에 단단히 조여진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레버(170)는, 제1 부재(181) 및 제2 부재(182)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어진다. 제2 부재(182)(특히 저판(182A))가 제1 부재(181)에 단단히 조여지는 것에 의하여, 제1 부재(181)에 제2 부재(182)가 제3 부재(183)와 함께 고정되고, 클러치 조작부(180)가 조립된다. 제3 부재(183)는,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에 의한 조임에 의하여, 제2 부재(182)가 손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3 부재(183)는,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에 의한 조임력을 제3 부재(183) 전체에서 균일화한다.
(클러치 조작부(180)의 취부 및 떼어냄)
클러치 조작부(180)를 클러치 레버(170)에 취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2 부재(182)를 클러치 레버(170)의 후방(제2면(172) 측)으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부재(182)를 클러치 레버(170)에 장착한다. 이 때, 오목부(182C 및 182D)의 저면(182CA 및 182DA)이 클러치 레버(170)의 제2면(172)에 접촉하도록, 제2 부재(182)를 클러치 레버(170)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제1 부재(181)를 상방으로부터 클러치 레버(170)에 씌우고, 제1 부재(181)를 클러치 레버(170)의 위로부터 장착한다. 이 때, 클러치 레버(170)는, 제1 부재(181)의 슬릿(181B)에 수용되고, 제1 부재(181)가 제2 부재(182)와 조합된다. 다음으로, 제2 부재(182)의 하면에 제3 부재(183)를 하방으로부터 꽉 누르고,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관통 구멍(183A 및 183B)을 통하여 제1 보스(181D) 및 제2 보스(181E)와 나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 레버(170)를 제1 부재(181)(특히, 슬릿(181B)의 저면(181BA)) 및 제2 부재(182)(특히, 저판(182A))로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부재(181) 및 제2 부재(182) 등이 클러치 레버(170)에 고정된다. 이 때, 제1 부재(181)의 슬릿(181B)에 클러치 레버(170)가 수용되고, 제2 부재(182)의 오목부(182C 및 182D)의 각 저면(182CA 및 182DA)이 클러치 레버(170)의 제2면(172) 측으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부재(181) 및 제2 부재(182)가 클러치 레버(17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는 일이 없다. 이상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부(180)의 클러치 레버(170)로의 취부가 종료된다.
한편, 클러치 조작부(180)를 클러치 레버(170)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 우선,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느슨하게 하여 제1 부재(181) ~ 제3 부재(183)로부터 떼어 낸다. 그 후, 제1 부재(181) ~ 제3 부재(183)를 클러치 레버(170)로부터 떼어 낸다.
(실시 형태 상의 효과)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부재(181)와 제2 부재(182)로, 클러치 레버(170)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하였기 때문에, 클러치 조작부(180)를 떼어낼 때, 스풀(140)이 떼어냄의 방해를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 아래로부터 볼트를 떼어내면 되기 때문에, 스풀(140)의 존재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 클러치 레버(170)로부터 클러치 조작부(180)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제2 부재(182)는, 저면(예를 들면, 저면(182CA 및 182DA))이 클러치 레버(170)의 제2면(17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82C 및 182D)를 구비하고, 후방(제2면(172) 측)으로부터 클러치 레버(170)에 취부되기 때문에, 제2 부재(182)를 스풀(140)의 반대측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클러치 레버(170)로부터 클러치 조작부(180)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제1 부재(181)는, 슬릿(181B)을 구비하고, 제2 부재(182)는, 오목부(S)를 구비하고, 저판(182A)이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에 의하여 제1 부재(181)에 상향으로 제3 부재(183)를 통하여 단단히 조여지는 것으로, 제1 부재(181)에 고정되기 때문에, 클러치 조작부(180)를 떼어낼 때,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하방으로 떼어낼 수 있고, 스풀(140)이 떼어냄의 방해를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 아래로부터 볼트를 떼어내면 되기 때문에, 스풀(140)은 방해가 되지 않는다), 클러치 레버(170)로부터 클러치 조작부(180)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제1 부재(181)는, 클러치 레버(170)의 오목부(173)와 계합하는 볼록부(181BB)를 구비하기 때문에, 클러치 조작부(180)가 클러치 레버(17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고, 클러치 조작부(180)를 클러치 레버(17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2 부재(182)는,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에 의하여 단단히 조여지는 개소보다도 양 베어링 릴(100)을 낚싯대에 취부한 경우의 당해 낚싯대의 후단측의 위치에서 하측으로 돌출한 부분을 적어도 가지는 돌출부(182E)에 의하여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숨길 수 있기 때문에, 이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조작부(180)의 미관이 좋다. 덧붙여, 돌출부(182E)의 높이는 낮아도 무방하다.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의 적어도 일부를 숨길 수 있으면, 클러치 조작부(180)의 미관은 어느 정도 좋아진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하여 이하에 말하는 변형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부재(181)를 클러치 레버(170)의 상방으로부터 클러치 레버(170)에 취부하고, 제2 부재(182)를 클러치 레버(170)의 제2면(172) 측으로부터 클러치 레버(170)에 취부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재(181) 및 제2 부재(182)를 모두 블록상(狀)의 부재로 하고, 제1 부재(181)의 하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형성하고, 제2 부재(182)의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형성하여, 제1 부재(181) 및 제2 부재(182)로 클러치 레버(170)를 상하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부재(181)가 슬릿(181B)을 구비하고, 제2 부재(182)가 오목부(182C 및 182D)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재(181)가 클러치 레버(170)를 받아들이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제2 부재(182)가 클러치 레버(170)를 받아들이는 슬릿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부재(182)의 저판(182A)과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의 머리부와의 사이에 제3 부재(183)가 배치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부재(182)의 저판(182A)과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의 머리부와의 사이에 와셔를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의 머리부가 제2 부재(182)의 관통 구멍(182G 및 182F)보다도 큰 구멍 직경을 가지는 경우, 제2 부재(182)의 저판(182A)과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의 머리부를 직접 접촉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로서 볼트(머리를 가지는 볼트)가 이용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재(181)에 훅(hook)을 설치하고, 제2 부재(182)에 훅을 착탈 가능하게 계지(係止) 가능한 계지 구멍을 설치하고, 제1 부재(181)와 제2 부재(182)를 조합하였을 때에 훅이 계지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계지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부재(181)의 제1 보스(181D) 및 제2 보스(181E)에 나합 구멍(181DA 및 181EA)이 형성되고, 제2 부재(182)에 나합 구멍(181DA 및 181EA)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182F 및 182G)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합 구멍 및 관통 구멍은, 각각 제1 부재(181) 및 제2 부재(182)에, 3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서로 다르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레버(170)의 오목부(173)와 제1 부재(181)의 볼록부(181BB)가 계합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클러치 레버(170)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제1 부재(181)에 오목부를 설치하여, 양자가 계합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클러치 레버(170) 및 제1 부재(181)의 일방(一方)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縱)홈을 설치하고, 타방(他方)에 종홈 내를 접동(摺動) 가능한 볼록부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클러치 레버(170)와 제1 부재(181)를 계합하는 계합 수단은 1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계합 수단을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놓아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182E)에 의하여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숨기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부재(182)의 저판(182A)을 덮는 커버를 취부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는 제2 부재(182)로부터 제1 부재(181)를 향하여 단단히 조여져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조임구(184) 및 제2 조임구(185)가 제1 부재(181)로부터 제2 부재(182)를 향하여 단단히 조여지도록, 제1 부재(181)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제2 부재(182)의 대응하는 위치에 나합 구멍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 형태는 예시이고,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각 실시 형태나 변형예로 기재한 구성 요소는 자유롭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과 균등한 발명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00   양 베어링 릴
110   릴 풋
120   제1 본체부
130   핸들
140   스풀
150   제2 본체부
160   연결부
170   클러치 레버
171   제1면
172   제2면
173   오목부
180   클러치 조작부
181   제1 부재
181A   본체부
181AA  하면
181B   슬릿
181BA  저면
181BB  볼록부
181C   튀어나옴부
181CA  돌출부
181D   제1 보스
181DA  나합 구멍
181E   제2 보스
181EA  나합 구멍
182   제2 부재
182A   저판
182B   측벽
182C   오목부
182CA  저면
182D   오목부
182DA  저면
182E   돌출부
182F   제1 관통 구멍
182G 제2 관통 구멍
183   제3 부재
183A   관통 구멍
183B   관통 구멍
184   제1 조임구
185   제2 조임구
C1    클러치 플레이트
C2    연결부
M    릴 본체
S    오목부
U    공간

Claims (6)

  1. 스풀의 회전축 방향에 평행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러치 레버에 취부되는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부에 있어서,
    유저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조합되고, 상기 제1 부재와 함께 상기 클러치 레버를 상기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제2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레버는, 플레이트상이고, 상기 스풀의 방향을 향한 제1면과 당해 제1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면을 가지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 레버가 비집고 들어가는 제1 오목부이며, 저면이 상기 제2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면 측으로부터 상기 클러치 레버에 취부되고,
    상기 제1 부재는, 그 하면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를 수용하는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가 비집고 들어가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오목부의 저부가 조임구에 의하여 상기 제1 부재에 상향으로 단단히 조여지는 것으로, 상기 제1 부재에 고정되는,
    클러치 조작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클러치 레버와 계합하여, 당해 제1 부재가 상기 클러치 레버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계합 수단을 구비하는,
    클러치 조작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에 상향으로 단단히 조이는 것으로 당해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에 고정하는 조임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조임구에 의하여 단단히 조여지는 개소보다도, 상기 양 베어링 릴을 낚싯대에 취부한 경우의 당해 낚싯대의 후단측의 위치에서 하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는,
    클러치 조작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클러치 조작부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
  5. 삭제
  6. 삭제
KR1020180089949A 2017-10-25 2018-08-01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 KR102632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6293 2017-10-25
JP2017206293A JP6924116B2 (ja) 2017-10-25 2017-10-25 クラッチ操作部及び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611A KR20190046611A (ko) 2019-05-07
KR102632565B1 true KR102632565B1 (ko) 2024-02-02

Family

ID=6616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949A KR102632565B1 (ko) 2017-10-25 2018-08-01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94727B2 (ko)
JP (1) JP6924116B2 (ko)
KR (1) KR102632565B1 (ko)
CN (1) CN109699601B (ko)
MY (1) MY194706A (ko)
TW (1) TWI7639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2167B2 (ja) * 2018-06-11 2022-08-19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1705338S (ja) * 2021-10-29 2022-01-18 釣用リールのドラグ操作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5831A (ja) 2001-05-21 2002-11-2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ノブカバー
US20150327527A1 (en) 2014-05-16 2015-11-19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0371U (ja) * 1984-07-27 1986-02-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JPH08858Y2 (ja) * 1990-02-06 1996-01-17 島野工業株式会社 両軸受リール
US5318244A (en) * 1991-05-23 1994-06-07 Shimano, Inc. Clutch control mechanism for a baitcasting reel
JPH0548671U (ja) * 1991-12-02 1993-06-2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クラッチ装置
JP2553977Y2 (ja) * 1992-02-05 1997-11-12 リョービ株式会社 両軸受リール
US5598983A (en) * 1993-05-25 1997-02-04 Shimano Inc. Baitcasting reel having a clutch mechanism for transmitting a drive from a handle to a spool
JP2002084936A (ja) * 2000-09-18 2002-03-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02125542A (ja) * 2000-10-27 2002-05-08 Ken Matsuura Lacing Service:Kk 両軸受型リール
TW528576B (en) * 2000-12-08 2003-04-21 Strike Technology Ltd Fishing reel
JP4934358B2 (ja) * 2006-06-22 2012-05-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291904B2 (ja) * 2007-08-20 2013-09-1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のキャストコントロール機構
JP5746841B2 (ja) * 2010-09-22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6389609B2 (ja) * 2013-12-27 2018-09-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及び両軸受リール
JP6368525B2 (ja) * 2014-04-16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6726522B2 (ja) * 2016-05-10 2020-07-22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5831A (ja) 2001-05-21 2002-11-2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ノブカバー
US20150327527A1 (en) 2014-05-16 2015-11-19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611A (ko) 2019-05-07
TWI763910B (zh) 2022-05-11
TW201916799A (zh) 2019-05-01
JP6924116B2 (ja) 2021-08-25
JP2019076036A (ja) 2019-05-23
MY194706A (en) 2022-12-15
US10694727B2 (en) 2020-06-30
US20190116772A1 (en) 2019-04-25
CN109699601B (zh) 2021-12-03
CN109699601A (zh)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565B1 (ko) 클러치 조작부 및 양 베어링 릴
KR101327391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4934358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KR102101240B1 (ko) 구동 기어
KR102430714B1 (ko) 낚시용 전동 릴
KR20140090082A (ko) 스피닝 릴
KR102095759B1 (ko) 낚시용 릴
KR101553704B1 (ko) 하이브리드 클러치 수단을 구비한 낚시 릴
JP2010172203A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KR200473502Y1 (ko) 텐션 노브의 이탈이 방지되는 베이트 캐스팅 릴
KR102148720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및 그 로터 제동 장치의 제동 조작 레버
KR20140080405A (ko) 릴 본체, 및 스피닝 릴
JP5713500B2 (ja) 引手
EP2617285B1 (en) Spinning reel and drag switching device thereof
CN110786297B (zh) 钓鱼用双轴承渔线轮
EP3170389B1 (en) Fishing reel
KR101184602B1 (ko)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
CN211949964U (zh) Led显示屏、锁的限位装置和用于led显示屏的锁
KR200279004Y1 (ko) 양베어링형 릴의 스풀구동용 핸들의 너트캡
KR102207977B1 (ko) 낚시용 스피닝 릴 및 그 로터 제동 장치의 제동 조작 레버
JP2007117045A (ja) 魚釣用リール
JP6405254B2 (ja) 魚釣用リールおよび魚釣用リールの操作ノブ
KR200189421Y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스풀제동절환 장치
JP2006075050A (ja) 魚釣り用リールのドラグ力調節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り用リール
CN201759105U (zh) 防止滑移的把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