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442B1 -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 Google Patents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442B1
KR102628442B1 KR1020207016304A KR20207016304A KR102628442B1 KR 102628442 B1 KR102628442 B1 KR 102628442B1 KR 1020207016304 A KR1020207016304 A KR 1020207016304A KR 20207016304 A KR20207016304 A KR 20207016304A KR 102628442 B1 KR102628442 B1 KR 10262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dditive
dialkanolamine
hydraulic
hydraul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708A (ko
Inventor
아키하로 후루타
타쿠야 오이시
타로 미즈노
카즈히사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C04B24/20Sulfonated arom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조제한 수경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체의 초기 재령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를 제공한다. 수경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수경성 조성물에 사용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에 있어서, 디알카놀아민 및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Description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본 발명은 수경성(水硬性) 조성물용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제한 수경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체의 초기 재령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수경성 조성물은 수경성 결합재와 물 등의 재료를 혼련한 후에 몰드에 충전하고, 경화시킨 후에 몰드를 탈형하여 경화체를 얻는다. 그 중에서도, 콘크리트 제품은 시멘트, 물, 골재, 분산제 등의 재료를 혼련하여, 몰드에 타설하여 경화시켜 제품화한 것이다. 초기 재령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동일한 몰드를 사용하여, 보다 많은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후에 탈형할 수 있는 강도에 이르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다양한 첨가제가 검토되고 있으며, 염화 칼슘, 아초산염이나 질산염 등의 무기염(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이나 글리세린, 알칸올아민 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특허 문헌 1 JP2009-256201 A 특허 문헌 2 JP2011-236127 A
토모사와사기 외 , 「콘크리트 혼화제의 개발과 최신 기술」주식회사 씨엠씨 출판, 1995년
염화 칼슘은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의 부식의 문제로부터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아초산염이나 질산염에서는 첨가량이 많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알칸올아민이나 글리세린으로도 초기 재령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초기 재령의 강도 향상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수경성 조성물의 경화체의 1∼2주 재령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탈형에 필요한 강도를 보다 단시간에 얻는 것이다. 즉, 조강성(早强性)을 향상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0℃ 하에서, 주수(注水)로부터 24시간 후의 압축 강도나 가열 양생에 있어서의 5시간 후의 압축 강도 등과 같은 단시간의 양생에 있어서의 높은 압축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연구한 결과, 특정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가 올바르고 매우 적합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가 제공된다.
[1]수경성 결합재를 포함한 수경성 조성물에 사용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에 있어서, 디알카놀아민 및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2]상기 디알카놀아민이, 디에탄올 아민 및/또는 디이소프로판올아민인,[1]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3]상기 디에틸렌글리콜에 대한, 상기 디알카놀아민의 질량비(디알카놀아민/디에틸렌글리콜)가 0.2∼100의 범위 내인,[1]또는[2]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4]황산 및/또는 설폰산 화합물을 더욱 함유하는,[1]∼[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5]상기 설폰산 화합물이 톨루엔 설폰산 또는 메탄 설폰산인,[4]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6]상기 황산 및 상기 설폰산 화합물의 산에 대한, 상기 디알카놀아민의 아민의 몰비(디알카놀아민의 아민/(황산 및 설폰산 화합물의 산))가, 0.1∼2의 범위 내인,[4]또는[5]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7]분산제를 더욱 함유하는,[1]∼[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본 발명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조제한 수경성 조성물은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체의 초기재령의 강도가 증진하고, 경화체의 1∼2주 재령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탈형에 필요한 강도를 보다 단시간에 얻는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근거하여 이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적당 변경, 개량 등이 더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등에 대해, 별도로 기재하지 않는 한, %는 질량%를, 또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수경성 결합재를 포함한 수경성 조성물에 사용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이며, 디알카놀아민 및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이다.
본 실시 형태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이하,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라고도 한다)에 제공하는 디알카놀아민으로서는,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N-알킬디에탄올아민, N-알킬디이소프로판올아민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디에탄올 아민 및 디이소프로판올아민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에 있어서의 디알카놀아민의 사용량은, 시멘트 등의 수경성 결합재 100 질량부에 대해서, 0.01∼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2∼0.8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에 제공하는 디에틸렌글리콜은 일반의 공업제품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에 있어서의 디에틸렌글리콜의 사용량은, 시멘트 등의 수경성 결합재 100 질량부에 대해서, 0.001∼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02∼0.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디에틸렌글리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효과가 없고, 너무 많으면 1∼4주 정도의 재령의 압축 강도가 저하해 버린다.
디에틸렌글리콜에 대한, 디알카놀아민의 질량비(디알카놀아민/디에틸렌글리콜)는, 0.2∼100의 범위 내의 것이 바람직하고, 1∼50의 범위 내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는 황산 및/또는 설폰산 화합물을 더욱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설폰산 화합물로서는, 파라톨루엔설폰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도데실벤젠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황산, 파라톨루엔설폰산 및 메탄설폰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라는 경우는, 「A 및 B」와「A 또는 B」의 쌍방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는, 황산을 더욱 함유한 것일 수도 있고, 설폰산 화합물을 더욱 함유한 것일 수도 있으며, 황산 및 설폰산 화합물을 더욱 함유한 것일 수도 있다.
디알카놀아민과 황산 및/또는 설폰산 화합물을 조합하는 것은, 디알카놀아민을 황산 및/또는 설폰산 화합물로 중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알카놀아민과 황산 및 설폰산 화합물의 산과의 몰비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다만, 황산 및 설폰산 화합물의 산에 대한, 디알카놀아민의 아민의 몰비(디알카놀아민의 아민/(황산 및 설폰산 화합물의 산))은, 0.1∼2가 바람직하고, 0.5∼1.5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는 분산제를 더욱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산제로서는, 나프탈렌계 분산제, 페놀계 분산제, 리그닌계 분산제 등의 방향족 설폰산계 분산제, 폴리카르본산계 분산제, 및 인산 에스테르계 분산제 등의 분산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산제로서는, 조강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나프탈렌계 분산제, 멜라민계 분산제의 방향족 설폰산계 분산제, 및 폴리카르본산계 분산제가 바람직하고, 나프탈렌계 분산제, 및 폴리카르본산계 분산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나프탈렌계 분산제로서는, 나프탈렌설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카오 코포레이션 제조의 마이테이 150(상품명), 타케모토 오일 앤 팻 컴퍼니 리미티드 제조의 폴 파인 510-AN(상품명)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멜라민계 분산제로서는, 멜라민 설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타케모토 오일 앤 팻 컴퍼니 리미티드 제조의 폴 파인 MF(상품명), 닛산 케미칼 코포레이션 제조의 아크세리트 100(상품명)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페놀계 분산제로서는, 페놀설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특개소 46-104919호 공보에 기재된 화합물 등), 페놀인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특개 2012-504695호 공보에 기재된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리그닌계 분산제로서는, 리그닌 설폰산염(닛폰 페이퍼 인더스트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제조의 SANX(상품명), 바니렉스(상품명), 팔렉스(상품명)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로서는, 폴리알킬렌글리콜과 (메타)아크릴산과의 모노에스테르와 (메타)아크릴산 등의 카르본산의 공중합체; 폴리알킬렌글리콜을 갖는 불포화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 등의 카르본산과의 공중합체(예를 들면, 특개 2007-119337호 공보);폴리알킬렌글리콜을 갖는 불포화 알코올과 말레인산 등의 디카르본산과의 공중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는, 하기 식(1)로 나타내는 단량체와 카르본산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식 (1)에서,
R1은 탄소수 2∼5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3 또는 4의 불포화 아실기를 나타낸다.
R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22의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낸다.
X는 탄소 원자수 2∼4의 옥시 알킬렌기로 구성된 평균 부가 몰수 1∼300개의 (폴리)옥시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식 (1) 중의 R1의 탄소수 2∼5의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 알릴기, 메타릴기, 3-부테닐기, 2-메틸-1-부테닐기, 3-메틸-1-부테닐기, 2-메틸-3-부테닐기, 3-메틸-3-부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R1의 탄소수 3또는 4의 불포화 아실기로서는, 아크릴로일기와 메타크릴로일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릴기, 메타릴기, 3-메틸-1-부테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리로일기가 바람직하다. 이들 식(1)로 나타내는 단량체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사용할 수도 있다.
식 (1) 중의 R2로서는, 1) 수소 원자, 2) 탄소수 1∼22의 알킬기, 3) 탄소수 1∼22의 지방족 아실기를 들 수 있다.
식 (1) 중의 X로서는 1∼300개의 (폴리)옥시알킬렌 단위로 구성된 폴리옥시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160개의 옥시 에틸렌 단위 및/또는 옥시 프로필렌 단위로 구성된 (폴리)옥시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카르본산 단량체로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디카르본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호박산 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등 및 이들의 염이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메타)아크릴산염, 말레인산염이 바람직하다.
카르본산 단량체의 염으로서는, 나트륨염이나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이나 마그네슘염 등의 알칼리토류B 금속염, 암모늄염, 디에탄올아민염이나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의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증합체를 제조할 때,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예를 들면, 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메타)알릴설폰산(염) 등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는 수경성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시멘트를 함유하는 수경성 결합재, 물, 세골재, 조골재, AE제 등을 사용하여 수경성 조성물을 조제할 경우에 사용한다.
수경성 결합재로서는, 시멘트, 고로 슬러그 미분말, 플라이어쉬, 실리카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멘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로서는,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조강 포틀랜드시멘트,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등의 각종 포틀랜드 시멘트 외에, 고로 시멘트, 플라이어쉬 시멘트, 실리카흄 시멘트 등의 각종 혼합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세골재로서는, 모두 공지의 천사(川砂), 산사(山砂), 해사(海砂), 쇄사(碎砂), 슬러그모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골재로서는, 모두 공지의 강자갈, 쇄석, 경량 골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수경성 조성물을 조제 시에, 1) 로진 비누, 알킬 방향족 설폰산염, 지방족 알킬(에테르) 유산염, 알킬인산 에스테르 등의 공기량 조절제, 2) 디메틸폴리실록산계,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계, 광유계, 유지계, 옥시알킬렌계, 알코올계, 아미드계 등의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의 사용시에는, 목적의 범위 내에서, 응결 촉진제, 응결 지연제, 방청제, 방수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의 사용 방법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조제 시에 혼합하여 물과 함께 첨가하는 방법, 혼합 직후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후 첨가하는 방법 등, 어느 것이라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는 여러 가지 성분을 미리 혼합하여 1액형의 다기능성 혼화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첨가제를 사용한 수경성 조성물을 몰드에 충전하여 양생하고 경화시키는 공정에서는, 얻어진 수경성 조성물을 몰드에 충전하여 양생한다. 몰드로서는, 건축물의 몰드, 및 콘크리트 제품용 몰드 등을 들 수 있다. 수경성 조성물을 몰드에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믹서로부터 직접 투입하는 방법이나, 수경성 조성물을 펌프로 압송하여 몰드에 도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수경성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가열 양생을 할 수 있다. 가열 양생은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로 수경성 조성물을 유지하여 실시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실시예 등을 들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된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등에서, 별도로 기재하지 않는 한, %는 질량%를, 또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조제(실시예 1∼14):
디알카놀아민, 디에틸렌글리콜(DEG) 및 이온 교환수 등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에 따라 배합하여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의 수용액을 조제했다.
표 1에서 하기 용어는 이하의 의미를 나타낸다.
DEA:디에탄올아민.
DIPA:디이소프로판올아민.
DEG:디에틸렌글리콜.
MSA:메탄 설폰산.
PTS:파라톨루엔설폰산·일수화물.
TEA:트리에탄올아민(시약).
TIPA: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시약).
A/B:디알카놀아민/디에틸렌글리콜의 질량비.
A/C:디알카놀아민의 아민/(황산 및 설폰산 화합물의 산)의 몰비.
이하의 예에 나타내는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분산제)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크로마트그래피로 측정했다.
(측정 조건)
장치:Shodex GPC-101(쇼와덴코 제조).
컬럼:OHpak SB-G+SB-806M HQ+SB-806 MHQ(쇼와덴코 제조).
검출기:시차굴절계(RI).
용리액:50mM초산나트륨 수용액.
유량:0.7mL/분.
컬럼 온도:40℃.
시료 농도:시료 농도 0.5중량%의 용리액 용액.
표준 물질: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산제(PC-1)의 제조:
우선, 이온 교환수 165.5g,α-메타크릴로일-ω-메톡시-폴리(n=45) 옥시에틸렌 133.4g, 메타크릴산 22.2g,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1.6g을 온도계, 교반기, 적하 로트,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이하,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에 넣어,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그 후, 상술한 각 성분을 용해시킨 반응계의 분위기를 질소 치환하고, 반응계의 온도를 워터 배스(water bath)에서 65℃로 했다. 이어서, 1.0% 과산화 수소수 27.3g을 더하고, 그 후, 6시간 65℃를 유지하여 중합 반응을 종료했다. 그 후,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더하여 pH 6으로 조정하고, 이온 교환수에서 농도를 40%로 조정하여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의 질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면 35000이었다. 이 반응 혼합물을 분산제(PC-1)로 했다.
·분산제(PC-2)의 제조:
이온 교환수 41.4g을 온도계, 교반기, 적하 로트,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넣어 교반하면서 분위기를 질소 치환하고, 반응계의 온도를 온수 배스에서 70℃로 했다. 이온 교환수 188.0g에,α-메타크릴로일-ω-메톡시-폴리(n=130) 옥시에틸렌 188.0g, 메타크릴산 12.0g, 메타릴설폰산나트륨 2.0g,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4.0g을 용해한 수용액을 3시간 들여 적하하였다. 동시에, 과황산암모늄 3.0g를 이온 교환수 26.0g으로 용해한 수용액을 4시간 걸쳐 적하하고, 그 후, 1시간 70℃를 유지하여 중합 반응을 종료했다. 그 후,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더하여 pH 6으로 조정하고, 이온 교환수에서 농도를 40%로 조정하여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의 질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면 45000이었다. 이 반응 혼합물을 분산제(PC-2)로 했다.
·분산제(PC-3)의 제조:
이온 교환수 72.0g, 온도계, 교반기, 적하 로트,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넣어 분위기를 질소 치환하고 반응계의 온도를 온수 배스에서 70℃로 했다. 이어서,α-메타크릴로일-ω-히드록시-옥시프로필렌폴리(n=68) 옥시에틸렌 147.7 g과 이온 교환수 135.0g과 메타크릴산 16.4g과 메르캅토에탄올 1.0g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3시간 걸쳐 적하하였다. 동시에, 과황산나트륨 2.5g을 이온 교환수 22.9g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4시간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1시간 70℃을 유지하여 중합 반응을 종료했다. 그 후, 3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더하여 pH 6으로 조정하고, 이온 교환수에서 농도를 40%로 조정하여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의 질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면 50000이었다. 이 반응 혼합물을 분산제(PC-3)로 했다.
·분산제(PC-4)의 제조:
이온 교환수 117.0g에 α-(3-메틸-3-부테닐)-ω-히드록시-폴리(n=53) 옥시에틸렌 98.2g을 온도계, 교반기, 적하 로트,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넣어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했다. 그 후, 상술한 각 성분을 용해시킨 반응계의 분위기를 질소 치환하여 반응계의 온도를 온수 배스에서 70℃로 했다. 이어서, 3.5% 과산화수소수 7.9g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그것과 동시에 이온 교환수 47.2g에 아크릴산 9.5g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3시간 걸쳐 적하하고, 그것과 동시에 이온 교환수 5.0g에 L-아스코르빈산 0.6g과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0.6g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4시간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2시간 70℃을 유지하여 중합 반응을 종료했다. 그 후,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더하여 pH 6으로 조정하여 이온 교환수에서 농도를 40%로 조정하여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의 질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면 46000이었다. 이 반응 혼합물을 분산제(PC-4)로 했다.
·수경성 조성물의 조제(실시예 15∼28및 비교예 1∼6):
수경성 조성물의 조제를,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55L의 강제 이축믹서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타이헤이요우 시멘트사, 우베 미츠비시 시멘트사, 스미토모오사카 시멘트사 제조, 3종목 등량 혼합, 비중=3.16), 세골재(오오이가와 수계 모래, 비중=2.58) 및 조골재(오카자키산 쇄석, 비중=2.66)을, 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차례차례 투입하여 10초간 드라이 믹싱(dry mixing)하였다. 그 후, 목표 슬럼프가 18±2.0 cm 및 공기량이 2.0% 이하가 되도록, 분산제와 소포제(타케모토 오일 앤 팻 컴퍼니 리미티드 제조의 AFK-2(상품명))를 시멘트에 대해서 0.005%가 되는 양을 혼합하여 물에 더하고, 상기 분산제 및 소포제를 넣어 혼합하여 물의 일부로 간주하고, 섞어 물과 함께 투입하여 90초 혼합했다. 결과를 표 3에 정리해 나타냈다.
·슬럼프:혼합 직후의 수경성 조성물에 대해서, JIS-A1150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공기량:혼합 직후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해서, JIS-A1128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압축 강도:JIS-A1132에 근거해, 원주형 양철제의 콘크리트공시체 성형 몰드(상품명 「서미트 몰드」, 스미토모 코포레이션 제조, 몰드의 저면 직경:100 mm, 몰드의 높이:200mm)의 몰드 3개에, 각각 2층 패킹 방식에 의해 콘크리트를 충전했다. 그 후, 20℃의 실내에서 기중(20℃) 양생을 실시하여 콘크리트를 경화시켰다. 콘크리트의 조제로부터 24시간 후에, 경화한 공시체를 몰드로부터 탈형하고 공시체를 얻었다. 공시체의 24시간 강도를, JIS-A1108에 근거하여 측정하고, 공시체 3개의 평균값을 구했다. 또한, 다른 공시체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여 똑같이 탈형한 후, 20℃의 수중에서 14일 양생하고, 그 공시체의 14일 강도를 JIS-A1108에 근거하여 측정하고, 공시체 3개의 평균값을 구했다.
·가열 양생 압축 강도:JIS-A1132에 근거하여 원주형 양철(blik)제의 콘크리트공시체 성형 몰드(상품명 「서미트 몰드」스미토모 코포레이션 제조, 몰드의 저면 직경:100mm, 몰드 높이:200mm)의 몰드 3개에, 각각 2층 패킹 방식에 의해 콘크리트를 충전했다. 그 후, 충전한 콘크리트의 상부를 평균화하여 폴리에틸렌 랩으로 캡했다. 공시체를 주수로부터 2시간, 기중(20℃) 양생을 실시하고, 그 후, 65℃로 가온하여 둔 항온기로 옮겨, 다시 3시간 양생했다. 소정의 양생 시간 후, 경화한 공시체를 몰드로부터 탈형하여 공시체를 얻었다. 공시체의 5시간 강도를 JIS-A1108에 근거하여 측정하고 공시체 3개의 평균값을 구했다. 각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서 하기 용어는, 이하의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용어와 중복되는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비교예 2∼6에서 각 첨가제는 시약 그대로 사용했다.
첨가율:시멘트에 대한 본연의 첨가율(%).
NA:나프탈렌설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타케모토 오일 앤 팻 컴퍼니 리미티드 제조의 폴 파인 510-AN(상품명), 농도 40%).
(결과)
실시예 15∼28에서는, 디알카놀아민 및 디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예 1∼6에 비교하여 24시간 강도, 14일 강도, 5시간 강도 모두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는 수경성 조성물을 조제할 때의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수경성 결합재를 포함한 수경성 조성물에 사용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에 있어서, 디알카놀아민 및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알카놀아민이, 디에탄올 아민 및/또는 디이소프로판올아민이며,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에 대한, 상기 디알카놀아민의 질량비(디알카놀아민/디에틸렌글리콜)가, 0.2∼100의 범위 내이며,
    황산 및/또는 설폰산 화합물을 더욱 함유하며,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시에 혼합하여 물과 함께 첨가하거나, 또는 혼합 직후의 콘크리트 조성물에 후 첨가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폰산 화합물이 톨루엔설폰산 또는 메탄설폰산인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6.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황산 및 상기 설폰산 화합물의 산에 대한, 상기 디알카놀아민의 아민의 몰비(디알카놀아민의 아민/(황산 및 설폰산 화합물의 산))가 0.1∼2의 범위 내인,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7.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분산제를 더욱 함유하는,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KR1020207016304A 2017-12-14 2018-10-05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KR102628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9965A JP7037170B2 (ja) 2017-12-14 2017-12-14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
JPJP-P-2017-239965 2017-12-14
PCT/JP2018/037437 WO2019116694A1 (ja) 2017-12-14 2018-10-05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708A KR20200097708A (ko) 2020-08-19
KR102628442B1 true KR102628442B1 (ko) 2024-01-23

Family

ID=6681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304A KR102628442B1 (ko) 2017-12-14 2018-10-05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37170B2 (ko)
KR (1) KR102628442B1 (ko)
CN (1) CN111448172B (ko)
TW (1) TW201930227A (ko)
WO (1) WO201911669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677A (ja) * 2011-07-11 2013-01-31 Kao Corp 水硬性粉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7428B2 (ja) * 1993-10-26 2002-11-20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高流動性セメントの製造方法
CN1934049A (zh) * 2004-03-16 2007-03-21 株式会社日本触媒 用于水硬材料的添加剂
US8519028B2 (en) 2008-03-26 2013-08-27 Kao Corporation Early strengthening agent for hydraulic composition
KR100893585B1 (ko) * 2008-07-07 2009-04-17 명흥식 분쇄효율과 조기압축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시멘트 첨가제
JP5798395B2 (ja) * 2010-07-16 2015-10-21 花王株式会社 水硬性粉体の製造方法
EP2527307A1 (de) * 2011-05-26 2012-11-28 Sika Technology AG Dialkanolamine als Additive zum Mahlen von Feststoffen
JP5473997B2 (ja) 2011-07-06 2014-04-16 株式会社日本触媒 セメント混和剤
ES2675323T3 (es) * 2012-01-13 2018-07-10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gente de dispersión para partículas inorgánicas
US20150336848A1 (en) * 2012-06-25 2015-11-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ement grinding aid composition
CN103539376B (zh) * 2012-07-12 2016-05-11 宁波市中达利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无氯水泥助磨剂
KR101668809B1 (ko) * 2013-12-31 2016-10-24 한국화학연구원 수용성이 우수한 시멘트 클링커 활성화 화합물을 함유하는 시멘트 클링커 분쇄조제용 조성물
KR20150093938A (ko) * 2014-02-10 2015-08-19 한국화학연구원 시멘트 클링커 분쇄조제용 조성물
KR101713828B1 (ko) * 2014-11-04 2017-03-10 (주)에스엠테크 무시멘트 촉진형 혼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시멘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677A (ja) * 2011-07-11 2013-01-31 Kao Corp 水硬性粉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37170B2 (ja) 2022-03-16
CN111448172A (zh) 2020-07-24
RU2020123076A (ru) 2022-01-14
WO2019116694A1 (ja) 2019-06-20
CN111448172B (zh) 2022-08-16
KR20200097708A (ko) 2020-08-19
JP2019104665A (ja) 2019-06-27
TW201930227A (zh) 2019-08-01
RU2020123076A3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34142A1 (ja) セメント混和剤、セメント組成物及びセメント混和剤用ポリカルボン酸系共重合体
JP6359772B2 (ja) セメント用添加剤、セメント組成物、およびセメント用添加剤用原料
JP2006282414A (ja) セメント用強度向上剤、ポリカルボン酸系共重合体水溶液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JP6001357B2 (ja) 水硬性組成物
JP6514806B2 (ja) セメント組成物
JP2012162434A (ja) 水硬性材料用収縮低減剤
JP5801695B2 (ja) セメント混和剤用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5887094B2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JP4877691B2 (ja) セメント混和剤及びセメント組成物の施工方法
JP2013082904A (ja) 親水性共重合体の製造方法
KR102628442B1 (ko) 수경성 조성물용 첨가제
JP2010006701A (ja) セメント混和剤の製造方法
JP7055338B2 (ja)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および水硬性組成物
JP2008115371A (ja) 不飽和単量体、共重合体、それを用いた分散剤およびセメント混和剤
JP6200319B2 (ja) 水硬性組成物の硬化体の製造方法
RU2772920C2 (ru) Добавки для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композиций
JP7020668B2 (ja) 水硬性組成物用添加剤、および水硬性組成物の調製方法
JP2003212622A (ja) セメント混和剤及びセメント組成物の施工方法
WO2014148549A1 (ja) 水硬性組成物
JP5965305B2 (ja) 水硬性組成物
JP2004244253A (ja) セメント用添加剤
JP5427685B2 (ja) 親水性重合体の製造方法
JP2020050580A (ja) セメント用添加剤、セメント混和剤、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JP2013076030A (ja) セメント混和剤用共重合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