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844B1 -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844B1
KR102623844B1 KR1020197037700A KR20197037700A KR102623844B1 KR 102623844 B1 KR102623844 B1 KR 102623844B1 KR 1020197037700 A KR1020197037700 A KR 1020197037700A KR 20197037700 A KR20197037700 A KR 20197037700A KR 102623844 B1 KR102623844 B1 KR 10262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width direction
individual package
reg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911A (ko
Inventor
도시히사 하야시
유키 노다
아유미 구라사코
사에코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5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each item packaged si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6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ctivating means, e.g. elastic, heat or chemical activata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9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es containing more than one kind of item, e.g. tampon and napkin, or diaper and an exchangeable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층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기능층의 기능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한다.
개별 포장체(K)는, 포장 시트(29)와 흡수성 물품(1)을 구비하고, 흡수성 물품이 포장 시트와 함께 접어 개켜져 있다. 개별 포장체는,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길이 방향의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선 제 1 절선(FL1) 및 제 2 절선(FL2)을 가지며, 제 1 절선 및 제 2 절선으로 구획되어, 길이 방향의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늘어선 제 1 영역(S1), 제 2 영역(S2) 및 잔부 영역(S3+S4)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소정 기능을 갖는 기능층(13)을 포함한다. 개별 포장체는, 폭 방향의 양단부가 밀봉되거나 또는 접어 개켜지고, 두께 방향에서, 제 1 영역 및 잔부 영역이 제 2 영역의 측으로 접어 개켜져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본 발명은 기능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에게 피부를 통해 온감이나 냉감 등을 지각시키는 등, 소정의 기능을 갖는 기능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착용자에 의해 지각되는 외부 조건을 만들어 낼 필요 없이 착용자에게 지각을 전할 수 있는 제(劑)(기능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그 제의 예로서, 착용자의 신체면상에서의 온도 변화를 만들어 낼 필요 없이, 피부의 온도 수용기(온열 또는 한랭 지각 수용기)를 자극하는 가온제(온감제) 또는 청량제(냉감제)를 들 수 있다.
일본국 특표2004-528090호 공보
기능제는, 온감 성분이나 냉감 성분과 같은 기능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기능 성분이나 용매 성분은, 기체나 액체의 형태로, 배치된 장소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제를 갖는 기능층을 설치한 흡수성 물품을 포장 시트로 포장하여 개별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생각한다. 이 경우, 개별 포장체의 포장 시트 내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기능층을 배치한 영역으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그 후에 다른 부적절한 영역에 부착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기능층을 배치했을 때, 그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그 후에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부착할 우려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배설구 맞닿음 영역은 약제 등에 민감한 배설구에 맞닿기 때문에, 그 유체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는 착용자에게 불쾌감 등을 줄 우려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이동했을 때에, 부적절한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별 포장체의 포장 시트 내를 열 시일이나 엠보스 시일에 의해 구분짓는 것은 곤란하다. 또, 유체 성분의 양을 줄이거나, 기능층의 영역을 작게 하거나 하면, 기능 성분의 효과가 저감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층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기능층의 기능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개별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개별 포장체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포장 시트와,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포장 시트 상에 재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함께 접어 개켜져 포장된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개별 포장체는,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선 제 1 절선 및 제 2 절선을 가지며, 상기 제 1 절선 및 상기 제 2 절선으로 구획되어,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한쪽측에서 상기 다른쪽측으로 늘어선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잔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소정 기능을 갖는 기능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층은,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제를 갖고 있고, 상기 개별 포장체는,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가 밀봉(封止)되거나 또는 접어 개켜져 있으며, 상기 제 2 절선에서 상기 제 잔부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의 한쪽 또는 다른쪽의 면의 측으로 접어 개켜지고, 상기 제 1 절선에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한쪽의 면의 측으로 접어 개켜져 있는, 개별 포장체.
본 발명에 의해, 기능층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기능층의 기능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전개된 개별 포장체의 구성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개별 포장체의 구성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접어 개켜진 개별 포장체의 구성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개별 포장체의 포장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개별 포장체의 포장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전개된 개별 포장체의 다른 구성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접어 개켜진 개별 포장체의 다른 구성예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포장 시트와,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포장 시트 상에 재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함께 접어 개켜져 포장된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개별 포장체는,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선 제 1 절선 및 제 2 절선을 가지며, 상기 제 1 절선 및 상기 제 2 절선으로 구획되어,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한쪽측에서 상기 다른쪽측으로 늘어선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잔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소정 기능을 갖는 기능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층은,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제를 갖고 있고, 상기 개별 포장체는,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가 밀봉되거나 또는 접어 개켜져 있으며, 상기 제 2 절선에서 상기 잔부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의 한쪽 또는 다른쪽의 면의 측으로 접어 개켜지고, 상기 제 1 절선에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한쪽의 면의 측으로 접어 개켜져 있는,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제 1 영역(앞쪽의 단부 또는 뒤쪽의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 및 제 2 영역(제 1 영역에 인접하는 대체로 중앙부의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제를 갖고 있다. 이때,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제 2 영역측의 단부는, 제 1 절선의 위치에서 접혀 있다. 따라서, 개별 포장체의 제 1 영역의 길이 방향의 제 2 영역측의 단부는, 유체 성분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틈새가 흡수성 물품 내를 포함하여 거의 없어, 어느 정도 폐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제 1 영역측의 단부는, 제 1 절선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고, 잔부 영역측의 단부는, 제 2 절선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다. 따라서, 개별 포장체의 제 2 영역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유체 성분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틈새가 흡수성 물품 내를 포함하여 거의 없어, 대부분 폐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은, 대체로 폐쇄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기능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그들 기능층으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흡수성 물품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기능층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기능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태 2]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잔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양태 1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제 1 영역이 제 2 영역과 잔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제 2 영역과 반대의 측의 단부는, 두께 방향으로 제 2 영역과 잔부 영역의 사이에 끼여 폐색적인 상태에 있고, 제 2 영역측의 단부는, 제 1 절선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다. 따라서, 개별 포장체의 제 1 영역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유체 성분이 외부 또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틈새가 흡수성 물품 내를 포함하여 거의 없어, 대부분 폐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제 1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은, 보다 폐쇄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영역에 기능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그들 기능층으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외부로 산일(散逸)하거나, 흡수성 물품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즉, 기능층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기능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태 3]
상기 개별 포장체는,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선에 대하여 상기 제 1 절선과 반대측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선 제 3 절선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잔부 영역이 상기 제 3 절선으로 구획되어,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한쪽측에서 상기 다른쪽측으로 늘어선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 및 상기 제 4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소정 기능을 갖는 다른 기능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른 기능층은, 다른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다른 기능제를 갖고 있고, 상기 개별 포장체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4 영역이 상기 제 3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양태 1 또는 2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추가로, 제 3 영역(제 2 영역에 인접하는 대체로 중앙부의 영역) 및 제 4 영역(뒤쪽의 단부 또는 앞쪽의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다른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다른 기능제를 갖고 있다.
이때, 또한, 제 3 영역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는, 제 2 절선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고, 다른쪽의 단부는, 제 3 절선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다. 따라서, 개별 포장체의 제 3 영역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유체 성분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틈새가 흡수성 물품 내를 포함하여 거의 없어, 대부분 폐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제 4 영역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는, 제 3 절선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고, 다른쪽의 단부는, 두께 방향으로 제 1 영역과 제 3 영역의 사이에 끼여 있다. 따라서, 개별 포장체의 제 4 영역의 양단부는, 유체 성분이 외부 또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틈새가 흡수성 물품 내를 포함하여 거의 없어, 대부분 폐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은, 대체로 폐쇄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다른 기능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그 기능층으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외부로 산일하거나, 흡수성 물품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거나, 다른 영역의 기능층의 기능 성분과 혼합되어 기능 저하나 기능 변화를 일으키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기능층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기능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태 4]
상기 포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긴,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포장 시트가 흡수성 물품보다도 길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양단부보다도 외측에서는 포장 시트끼리가 밀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는, 포장 시트끼리가 밀착하면서, 제 2 영역과 잔부 영역의 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제 1 영역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보다 폐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 1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기능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그 기능층으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외부로 산일하거나, 흡수성 물품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양태 5]
상기 포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제 1 영역측의 단부는 밀봉되어 있는, 양태 4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포장 시트의 제 1 영역측의 단부가 열 시일이나 엠보스 시일 등으로 밀봉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는, 밀봉되면서, 제 2 영역과 잔부 영역의 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제 1 영역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보다 폐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적어도 제 1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기능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그 기능층으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외부로 산일하거나, 흡수성 물품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양태 6]
상기 개별 포장체는,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선 왼쪽 절선 및 오른쪽 절선을 가지며, 상기 왼쪽 절선 및 상기 오른쪽 절선으로 구획된 왼쪽 영역, 중앙 영역 및 오른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포장체는, 상기 왼쪽 영역 및 상기 오른쪽 영역이 상기 중앙 영역에 겹쳐져 있는, 양태 4 또는 5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왼쪽 영역 및 오른쪽 영역이 중앙 영역 상에 접어 개켜짐으써, 유체 성분이 폭 방향의 양단부를 통해 외부 또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폭 방향의 양단부가 폐색되어 있다. 즉, 폭 방향의 양단부는 열 시일 등에 의한 밀봉 공정에 따라서는 폐색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밀봉 공정의 열에 의해 유체 성분이 휘발하여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산일하거나, 흡수성 물품 내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태 7]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 시트와, 상기 비(非)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체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흡수체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의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상기 기능층을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기능층이, 흡수체보다도 길이 방향의 앞쪽 또는 뒤쪽의 제 1 영역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부 또는 등부에 대하여 기능제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경우라도, 개별 포장체는, 배설구 맞닿음 영역이 위치하는 흡수체, 즉 제 2 영역 또는 잔부 영역과, 제 1 영역의 사이에서 접혀 있으므로, 제 1 영역 내의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제 2 영역 또는 잔부 영역 내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태 8]
상기 기능층은, 시트 형상을 갖는 액체 홀딩성 또한 액체 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며,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체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양태 7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기능층이, 시트 형상을 갖고, 즉 액체 투과성 시트나 액체 불투과성 시트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체 성분의 양이나 기능층의 영역이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기능층의 효과를 보다 적확하게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는 것을 보다 적확하게 억제할 수 있다.
[양태 9]
상기 포장 시트는 비(非)투액성의 시트인, 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포장 시트가 비투액성이다. 그 때문에, 기능층으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포장 시트를 빠져나가 외부로 산일하거나, 흡수성 물품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즉, 기능층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기능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양태 10]
상기 기능층은, 일시적 수용체 전위(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기능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제를 갖고, 상기 유체 성분은, 상기 기능 성분 및 상기 용매 성분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기능층이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기능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제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신체면상에서의 온도 변화를 만들어 낼 필요 없이, 피부의 수용기를 자극하여, 기능제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기능층의 효과를 보다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태 11]
상기 기능층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온감제를 갖는 온감층, 또는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냉감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냉감제를 갖는 냉감층인, 양태 10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기능층이 온감층 또는 냉감층이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흡수성 물품을 발열 또는 냉각시키지 않아도, 착용자가, 따뜻함 또는 차가움을 느낄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온감층 또는 냉감층의 효과를 보다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태 12]
상기 온감제가 일시적 수용체 전위 바닐로이드 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TRPV1)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이며, 상기 냉감제가 일시적 수용체 전위 멜라스타틴 8(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8, TRPM8)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인, 양태 11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온감제가 TRPV1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이며, 냉감제가 TRPM8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이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흡수성 물품을 발열 또는 냉각시키지 않아도, 착용자가, TRPV1 리셉터의 활성화 온도 역치(threshold)인 43℃ 초과의 온도를 느낄 수 있거나, 또는 TRPV8 리셉터의 활성화 온도 역치인 25∼28℃의 온도를 느낄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온감층 또는 냉감층의 효과를 보다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태 13]
상기 기능층이, 발열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발열제를 갖는 발열층이며, 상기 유체 성분은, 상기 발열 성분 및 상기 용매 성분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개별 포장체.
상기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기능층이 발열 성분을 포함하는 발열제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를 따뜻하게 할 수 있어, 착용자가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발열층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흡수성 물품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의 일례로서, 생리용 패드의 개별 포장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흡수성 물품이 갖는 소정 기능의 일례로서, 온감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온감 기능은, 착용자에게 피부를 통해 온감을 지각시키는 기능이며, 예를 들면 시트 등에 홀딩된 온감 용액에 의해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개별 포장체(K)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전개된 개별 포장체(K)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은 그 착용 상태의 모식도를 나타내고, 도 4는 접어 개켜진 개별 포장체(K)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개별 포장체(K)는,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고, 폭 방향(W)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가지며, 생리용 패드(1)와, 생리용 패드(1)를 싸는 포장 시트(29)를 구비한다. 개별 포장체(K)의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은, 생리용 패드(1), 그 각 자재 및 포장 시트(29)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 생리용 패드(1)의 착용 시를 상정했을 때, 생리용 패드(1)나 그 각 자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피부에 가까운 측을 피부측이라고도 하고, 상대적으로 피부로부터 먼 측을 비피부측이라고도 한다.
포장 시트(29)는, 길이 방향(L)의 양단부가, 생리용 패드(1)의 길이 방향(L)의 양단부보다도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길고, 또한, 폭 방향(W)의 양단부가,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의 양단부보다도 폭 방향(W)의 외측으로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생리용 패드(1)를 포장 시트(29) 상에 재치할 때, 평면도로 보아, 즉 두께 방향(T)의 위쪽에서 생리용 패드(1)를 본 경우, 포장 시트(29)의 외측으로 생리용 패드(1)가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재치할 수 있다.
생리용 패드(1)는, 흡수 본체(3)와, 흡수 본체(3)보다 길이 방향(L)의 앞쪽에 배치된 온감 본체(5)를 구비한다. 생리용 패드(1)는, 흡수 본체(3)에 있어서,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액체 투과성 시트(7)와, 착용 시에 착의(着衣)(19)에 맞닿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9)와, 액체 투과성 시트(7)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9)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11)를 구비한다. 또, 생리용 패드(1)는, 온감 본체(5)에 있어서,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액체 투과성 시트(7)와, 착용 시에 착의(19)에 맞닿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9)와, 액체 투과성 시트(7)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9)의 사이에 배치된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와,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보다도 액체 불투과성 시트(9)측에 배치된 형상 유지 부재(15)를 구비한다. 형상 유지 부재(15)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를 지지하는 동시에, 온감 본체(5)의 형상을 유지하는 시트이다. 그리고,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는, 흡수체(11)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보다도 길이 방향(L)의 앞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패드(1)는 형상 유지 부재(15)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기능층)는, 부직포와 같은 액체를 홀딩 가능한 시트로 구성되어 있고, 온감 용액(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온감 용액(기능제)은, 생리용 패드(1)의 착용자의 신체 또는 그 근방을 가열 등을 하는 일 없이, 피부의 온도 수용기(온열 지각 수용기)를 자극하여, 착용자에게 온감을 지각시키는 온감제(온감 성분)와, 용매(용매 성분)를 포함하고 있다. 온감 용액은, 기체나 액체의 형태로, 온도, 기압, 외력 등의 영향에 의해, 배치된 장소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성분을 포함하고 있고, 예를 들면 온감제 및 용매의 적어도 한쪽이 유체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평면도로 보아, 온감 용액은,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전체에 포함되어 있다.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폭 방향(W)의 길이는, 흡수체(11)의 폭 방향(W)의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온감 용액의 효과가, 흡수체(11)보다도 폭 방향(W)으로 넓은 영역에 미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도로 보아, 온감 용액은,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전체가 아니라, 소정의 부분, 예를 들면 주연부(周緣部)를 제외한 내측의 중앙부에 포함되어 있다.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액체 투과성 시트(7)와, 온감 본체(5)에 있어서의 액체 투과성 시트(7)는 일체의 시트이다. 또,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9)와, 온감 본체(5)에 있어서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9)는 일체의 시트이다. 또,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흡수체(11)와, 온감 본체(5)에 있어서의 형상 유지 부재(15)는 다른 부재이다. 흡수체(11)의 일부와 형상 유지 부재(15)의 일부가, 중복부(17)에 있어서, 두께 방향(T)으로 서로 중복되어 있고, 중복부(17)에 있어서, 흡수체(11)가, 형상 유지 부재(15)보다도 액체 투과성 시트(7)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11)와 형상 유지 부재(15)는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지 않고, 중복부(17)는 없어도 된다.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시트(7)의 피부측의 표면은, 생리용 패드(1)의 피부 맞닿음면이라고 할 수 있고, 액체 불투과성 시트(9)의 비피부측의 표면은, 피부 맞닿음면과 반대측의 면이므로, 생리용 패드(1)의 비피부 맞닿음면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용 패드(1)는, 비피부 맞닿음면보다도 피부 맞닿음면의 측에, 피부 맞닿음면을 따라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 흡수 본체(3)는, 통상의 생리용 패드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고, 흡수 본체(3)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폭 방향(W)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한 쌍의 플랩부(23, 23)를 구비하고 있다. 생리용 패드(1)는, 흡수 본체(3) 및 온감 본체(5)의 양쪽에 있어서, 생리용 패드(1)를 착용자의 착의(19)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부(21)(점착층)를 구비하고 있다. 점착부(21)의 한쪽의 면은, 액체 불투과성 시트(9)에 고정되고, 다른쪽의 면은, 생리용 패드(1)의 포장 시트(29)에 가고정되어 있다. 이 중, 흡수 본체(3)에는, 평면도로 보아, 흡수체(11)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며, 폭 방향(W)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점착부(21-1)와, 플랩부(23)의 폭 방향(W)의 대략 중앙부에,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점착부(21-2)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온감 본체(5)에는, 폭 방향(W)의 양단부의 영역에 점착부(21-3)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점착부(21) 및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적어도 일부가 점착부(21)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지 않고, 또한 점착부(21)의 적어도 일부가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점착부(21-3) 및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적어도 일부가 점착부(21-3)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지 않고, 또한 점착부(21-3)의 적어도 일부가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와 점착부(21-3)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서로 일부가 중복되거나, 또는 서로 전혀 중복되지 않는다. 점착부(21-1, 21-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부(21-1∼21-3)와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는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점착부(21-3)가,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적어도 중앙부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중앙부는, 온감 기능을 높이는 관점에서, 길이 방향 중심선(CL)으로부터, 폭 방향(W)의 양측으로, 각각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폭 방향(W)의 폭의 30%까지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40%까지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까지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는, 중앙부뿐만 아니라 전체가, 점착부(21-3)와는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개별 포장체(K)(생리용 패드(1)+포장 시트(2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제 1 절선(FV1)(예시: 왼쪽 절선) 및 길이 방향 제 2 절선(FV2)(예시: 오른쪽 절선)과, 폭 방향 제 1 절선(FL1)(예시: 제 1 절선), 폭 방향 제 2 절선(FL2)(예시: 제 2 절선) 및 폭 방향 제 3 절선(FL3)(예시: 제 3 절선)을 갖고 있다. 단, 길이 방향 제 1 절선(FV1) 및 길이 방향 제 2 절선(FV2)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고, 폭 방향(W)의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 있다. 폭 방향 제 1 절선(FL1), 폭 방향 제 2 절선(FL2) 및 폭 방향 제 3 절선(FL3)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고, 길이 방향(L)의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 있다. 또한, 폭 방향 제 1 절선(FL1)은, 생리용 패드(1)의 앞쪽에 배치되고, 폭 방향 제 2 절선(FL2)은, 생리용 패드(1)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며, 폭 방향 제 3 절선(FL3)은, 생리용 패드(1)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개별 포장체(K)는, 폭 방향 제 1 절선(FL1), 폭 방향 제 2 절선(FL2) 및 폭 방향 제 3 절선(FL3)으로 구획되며, 길이 방향(L)의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늘어선 폭 방향 제 1 영역(S1)(예시: 제 1 영역), 폭 방향 제 2 영역(S2)(예시: 제 2 영역), 폭 방향 제 3 영역(S3)(예시: 제 3 영역) 및 폭 방향 제 4 영역(S4)(예시: 제 4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폭 방향 제 3 영역(S3)과 폭 방향 제 4 영역(S4)을 합쳐서 잔부 영역이라고도 한다. 또, 개별 포장체(K)는, 폭 방향 제 1 영역(S1) 및 폭 방향 제 2 영역(S2)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온감 기능을 갖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 제 3 영역(S3) 및 폭 방향 제 4 영역(S4)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다른 기능을 갖는 다른 기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기능층은, 다른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다른 기능제를 갖는다.
또, 개별 포장체(K)는, 길이 방향 제 1 절선(FV1) 및 길이 방향 제 2 절선(FV2)으로 구획되며, 폭 방향(W)의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늘어선 길이 방향 제 1 영역(P1)(예시: 왼쪽 영역), 길이 방향 제 2 영역(P2)(예시: 중앙 영역) 및 길이 방향 제 3 영역(P3)(예시: 오른쪽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길이 방향 제 1 영역(P1) 및 길이 방향 제 3 영역(P3)은 길이 방향 제 2 영역(P2)에 겹쳐져 있다. 즉, 폭 방향(W)의 양단부는 접어 개켜져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용 패드(1)는, 사용 전에 있어서, 포장 시트(29)와 함께, 길이 방향 제 1 절선(FV1) 및 길이 방향 제 2 절선(FV2)과, 폭 방향 제 1 절선(FL1), 폭 방향 제 2 절선(FL2) 및 폭 방향 제 3 절선(FL3)을 기축으로 하여 각각 접어 개켜져, 생리용 패드(1)의 개별 포장체(K)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개별 포장체(K)에서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폭 방향 제 1 영역(S1)이 폭 방향 제 2 영역(S2)과 폭 방향 제 4 영역(S4)의 사이에 위치하고, 폭 방향 제 4 영역(S4)이 폭 방향 제 3 영역(S3)과 폭 방향 제 1 영역(S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폭 방향 제 1 영역(S1)과 폭 방향 제 4 영역(S4)은 점착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 제 1 절선(FL1)은, 생리용 패드(1) 및 포장 시트(29)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길이 방향 제 1 절선(FV1) 및 길이 방향 제 2 절선(FV2)은, 생리용 패드(1) 및 포장 시트(29)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흡수체(11)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지 않지만,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생리용 패드(1)는, 시일부(25), 엠보스부(27)를 구비한다. 시일부(25)는, 액체 투과성 시트(7)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9)를 그들의 외연(外緣) 부분에서, 열 시일 등의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접합·밀봉하고 있다. 엠보스부(27)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배설구 맞닿음 영역을 둘러싸도록,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그 길이 방향(L)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배설구 맞닿음 영역은, 흡수체(11)의 형상 등에 의해 바뀔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길이 방향(L)에서는 대략 플랩부(23)의 범위 또는 흡수체(11)의 중앙 1/3의 범위, 폭 방향(W)에서는 흡수체(11)의 중앙 1/3의 범위로 규정되는 영역이다.
생리용 패드(1)에서는, 액체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면과 흡수체(11) 및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예시: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고, 흡수체(11) 및 형상 유지 부재(15)의 비피부측의 면과 액체 불투과성 시트(9)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된다. 또, 액체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면의 주연부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9)의 피부측의 면의 주연부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된다.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비피부측의 면과 형상 유지 부재(15)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A)가 생리용 패드(1)를 착용하는 경우, 우선, 폭 방향 제 1 영역(S1)과 폭 방향 제 4 영역(S4) 사이의 점착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접합을 해제하여, 개별 포장체(K)를 전개 상태로 한다(도 1). 이어서, 흡수 본체(3)는 통상의 생리용 패드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흡수 본체(3)의 흡수체(11)가 착용자(A)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도록, 포장 시트(29)를 떼어내면서, 생리용 패드(1)를 착의(19)(예시: 속바지)에 고정한다. 그것에 의해, 온감 본체(5), 특히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착용자(A)의 하복부에 대응하도록 생리용 패드(1)가 착의(19)에 고정된다. 그리고, 온감 본체(5)의 피부 맞닿음면이 착용자(A)의 하복부의 피부에 접한 상태로, 생리용 패드(1)가 사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생리용 패드(1)는, 흡수체(11)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도시하지 않음)이 착용자(A)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맞닿도록 흡수 본체(3)가 착의(19)에 배치되었을 때,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착용자(A)의 하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흡수 본체(3)의 흡수체(11)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도시하지 않음)과 온감 본체(5)의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와의 거리는, 착용자의 배설구와 하복부와의 거리(피부면상의 거리)와 대체로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온감 용액(기능제)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제(온감 성분)와, 용매(용매 성분)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생리용 패드(1)가 착의(19)에 고정되어, 사용되면,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에 포함되는 온감 용액이 액체 투과성 시트(7)을 투과하여, 착용자(A)의 피부에 접촉하고, 착용자(A)의 피부의, 온감제가 접촉하고 있는 온감제 접촉 부분의 TRP 채널을 효율 좋게 활성화하여, 착용자의 하복부에 온감을 효율 좋게 부여할 수 있다.
착용자의 하복부에 온감을 부여함으로써, 착용자의 하복부의 피부의, 온감제에 접하고 있던 온감제 접촉 부분의 TRP 채널이 활성화되는 결과, 교감 신경계를 통해, 온감제 접촉 부분으로부터 열이 발생하여, 착용자의 피부의, 온감제 접촉 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의 자궁에 가까운 부위를 따뜻하게 하여, 통증 물질 프로스타글란딘을 배출시켜, 착용자의 생리통을 완화하는 것이 기대된다. 또, 착용자의 자궁에 가까운 부위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월경 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냉한 체질, 갱년기 장애 등을 경감하는 것이 기대된다. 또, 혈행 촉진(림프의 흐름의 촉진)에 의해 노폐물 배출과 냉증 개선, 지방 연소 향상, 면역력 향상 등이 기대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개별 포장체(K)의 포장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개별 포장체(K)의 포장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우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용 패드(1)를 포장 시트(29) 상에 재치한다. 이어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용 패드(1) 및 포장 시트(29)에 대해서, 길이 방향 제 1 절선(FV1)을 기축으로 하여, 길이 방향 제 1 영역(P1)을, 길이 방향 제 2 영역(P2) 상에 접어 개킨다. 이어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제 2 절선(FV2)을 기축으로 하여, 길이 방향 제 3 영역(P3)을, 길이 방향 제 2 영역(P2) 상에 접어 개킨다. 단, 길이 방향 제 1 영역(P1) 및 길이 방향 제 3 영역(P3)을 접어 개키는 순서는 반대여도 된다. 이어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제 1 절선(FL1)을 기축으로 하여, 폭 방향 제 1 영역(S1)을, 폭 방향 제 2 영역(S2) 상에 접어 개키는 동시에, 폭 방향 제 3 절선(FL3)을 기축으로 하여, 폭 방향 제 4 영역(S4)을, 폭 방향 제 3 영역(S3) 상에 접어 개킨다. 그 후,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제 2 절선(FL2)을 기축으로 하여, 폭 방향 제 1 영역(S1)을, 폭 방향 제 4 영역(S4) 상에 접어 개킨다. 단, 폭 방향 제 4 영역(S4)을, 폭 방향 제 1 영역(S1) 상에 접어 개켜도 된다. 그것에 의해, 생리용 패드(1)가 포장 시트(29)에 포장된 생리용 패드(1)의 개별 포장체(K)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온감 용액을 갖는 생리용 패드를 포장 시트로 포장하여 개별 포장체를 형성하는 경우, 개별 포장체의 포장 시트 내에 있어서, 생리용 패드의 온감 용액을 배치한 영역으로부터 온감 용액의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그 후에 생리용 패드 내의 다른 부적절한 영역에 부착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생리용 패드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온감 용액을 배치했을 때, 그 온감 용액의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그 후에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부착할 우려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배설구 맞닿음 영역은 약제 등에 민감한 배설구에 맞닿기 때문에, 그 유체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는 착용자에게 불쾌감 등을 줄 우려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온감 용액의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이동했을 때에, 부적절한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별 포장체의 포장 시트 내를 부분적으로 열 시일이나 엠보스 시일에 의해 구분짓는 것은 곤란하다. 또, 유체 성분의 양을 줄이거나, 온감 용액의 영역을 작게 하거나 하면, 온감 성분의 효과가 저감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개별 포장체(K)에서는, 폭 방향 제 1 절선(FL1)∼폭 방향 제 2 절선(FL2)에 의해 구획된 폭 방향 제 1 영역(S1) 및 폭 방향 제 2 영역(S2)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생리용 패드(1)의 영역에,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를 갖고 있다. 이때, 폭 방향 제 1 영역(S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폭 방향 제 2 영역(S2)측의 단부는, 폭 방향 제 1 절선(FL1)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다. 따라서, 개별 포장체(K)의 폭 방향 제 1 영역(S1)의 길이 방향(L)의 폭 방향 제 2 영역(S2)측의 단부는, 유체 성분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틈새가 생리용 패드(1) 내를 포함하여 거의 없어, 어느 정도 폐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폭 방향 제 2 영역(S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폭 방향 제 1 영역(S1)측의 단부는, 폭 방향 제 1 절선(FL1)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고, 폭 방향 제 3 영역(S3)(잔부 영역)측의 단부는, 폭 방향 제 2 절선(FL2)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다. 따라서, 개별 포장체(K)의 폭 방향 제 2 영역(S2)의 길이 방향(L)의 앞쪽 및 뒤쪽의 단부는, 모두 유체 성분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틈새가 생리용 패드(1) 내를 포함하여 거의 없어, 대부분 폐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폭 방향 제 1 영역(S1) 및 폭 방향 제 2 영역(S2)에서의 생리용 패드(1)의 영역은, 모두 대체로 폐쇄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폭 방향 제 1 영역(S1) 및 폭 방향 제 2 영역(S2)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생리용 패드(1)의 영역에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배치되어 있어도, 그들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생리용 패드(1)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를 구비하는 생리용 패드(1)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온감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유체 성분이 생리용 패드(1)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개별 포장체(K)에서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폭 방향 제 1 영역(S1)이 폭 방향 제 2 영역(S2)과 잔부 영역(예시: 폭 방향 제 3 영역(S3) 또는 폭 방향 제 4 영역(S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폭 방향 제 1 영역(S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폭 방향 제 2 영역(S2)과 반대의 측의 단부는, 두께 방향(T)으로 폭 방향 제 2 영역(S2)과 잔부 영역의 사이에 끼여 폐색적인 상태에 있고, 폭 방향 제 2 영역(S2)측의 단부는, 제 1 절선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다. 따라서, 개별 포장체(K)의 폭 방향 제 1 영역(S1)의 길이 방향(L)의 양단부는, 유체 성분이 외부 또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틈새가 생리용 패드(1) 내를 포함하여 거의 없어, 대부분 폐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폭 방향 제 1 영역(S1)에 있어서의 생리용 패드(1)의 영역은, 보다 폐쇄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폭 방향 제 1 영역(S1)에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배치되어 있어도, 그들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외부로 산일하거나, 생리용 패드(1)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즉,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를 구비하는 생리용 패드(1)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기능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유체 성분이 생리용 패드(1)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 가까운 폭 방향 제 2 영역(S2)의 온감 용액의 양(量) 쪽이, 배설구 맞닿음 영역에서 먼 폭 방향 제 1 영역(S1)의 온감 용액의 양보다도 적다. 배설구로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배설구 맞닿음 영역으로의 유체 성분의 이행을 보다 확실히 억제하는 관점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일례로서,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폭 방향 제 1 영역(S1)과 폭 방향 제 2 영역(S2)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폭 방향 제 1 영역(S1) 및 폭 방향 제 2 영역(S2) 중 어느 한쪽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일례로서, 생리용 패드(1)를 세 군데에서 접어, 넷으로 접은 개별 포장체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폭 방향 제 1 절선(FL1) 및 폭 방향 제 2 절선(FL2)의 적어도 폭 방향 제 2 절선(FL2)의 위치를 길이 방향(L)의 뒤쪽으로 옮기는 등에 의해, 폭 방향 제 3 영역(S3) 및 폭 방향 제 4 영역(S4)을 통합하여 잔부 영역으로 하고, 생리용 패드(1)를 폭 방향 제 1 절선(FL1) 및 폭 방향 제 2 절선(FL2)의 두 군데에서 접어, 셋으로 접은 개별 포장체여도 된다. 또, 예를 들면, 폭 방향 제 1 절선(FL1)∼폭 방향 제 3 절선(FL3)의 길이 방향(L)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폭 방향 제 3 절선(FL3)보다도 길이 방향(L)의 뒤쪽에 추가로 1개 이상의 폭 방향 절선(FL)을 배치하여, 개별 포장체의 접음 수를 추가로 5개 이상으로 늘려도 된다.
그와 같은 개별 포장체(K)의 다른 구성예의 평면도를 도 7에 나타낸다. 개별 포장체(K)는, 폭 방향 제 1 절선(FL1) 및 폭 방향 제 2 절선(FL2)의 양쪽의 위치를 길이 방향(L)의 뒤쪽으로 옮김으로써, 폭 방향 제 3 영역(S3) 및 폭 방향 제 4 영역(S4)을 통합하여 잔부 영역(여기에서는 폭 방향 제 3 영역(S3))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개별 포장체(K)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제 1 절선(FV1) 및 길이 방향 제 2 절선(FV2)과, 폭 방향 제 1 절선(FL1) 및 폭 방향 제 2 절선(FL2)을 갖고 있다. 개별 포장체(K)는, 폭 방향 제 1 절선(FL1) 및 폭 방향 제 2 절선(FL2)으로 구획되며, 길이 방향(L)의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늘어선 폭 방향 제 1 영역(S1), 폭 방향 제 2 영역(S2) 및 폭 방향 제 3 영역(S3)(잔부 영역이라고도 한다)을 포함하고 있다. 단, 폭 방향 제 1 절선(FL1)은, 예를 들면,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와 흡수체(11)의 사이에 배치되고, 폭 방향 제 2 절선(FL2)은, 생리용 패드(1)의 뒤쪽(배설구 맞닿음 영역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생리용 패드(1)를 폭 방향 제 1 절선(FL1) 및 폭 방향 제 2 절선(FL2)의 두 군데에서 접어, 셋으로 접은 개별 포장체(K)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별 포장체(K)의 접어 개켜진 상태의 사시도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용 패드(1)는, 포장 시트(29)와 함께, 길이 방향 제 1 절선(FV1) 및 길이 방향 제 2 절선(FV2)을 기축으로 하여 각각 접어 개켜지고, 그리고 폭 방향 제 1 절선(FL1) 및 폭 방향 제 2 절선(FL2)을 기축으로 하여 각각 접어 개켜져, 개별 포장체(K)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개별 포장체(K)에서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폭 방향 제 2 절선(FL2)에서 폭 방향 제 3 영역(S3)이 폭 방향 제 2 영역(S2)의 한쪽의 면의 측으로 접어 개켜지고, 폭 방향 제 1 절선(FL1)에서 폭 방향 제 1 영역(S1)이 폭 방향 제 2 영역(S2)의 한쪽의 면의 측으로 접어 개켜져 있다. 그리고, 폭 방향 제 1 영역(S1)과 폭 방향 제 3 영역(S3)은 점착부(예시: 리드 테이프;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단, 도 8에서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폭 방향 제 3 영역(S3)이 폭 방향 제 1 영역(S1)보다도 폭 방향 제 2 영역(S2)의 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폭 방향 제 1 영역(S1)이 폭 방향 제 3 영역(S3)보다도 폭 방향 제 2 영역(S2)의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폭 방향 제 1 영역(S1)의 길이 방향(L)의 외측의 단부를 폭 방향 제 3 영역(S3)과 폭 방향 제 2 영역(S2)으로 끼울 수 있어, 그곳에서부터 온감 용액의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 제 2 절선(FL2)에서 폭 방향 제 3 영역(S3)이 폭 방향 제 2 영역(S2)의 다른쪽의 면의 측으로 접어 개켜져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일례로서, 온감 본체(5) 또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앞쪽에 설치된 생리용 패드(1)에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온감 본체(5) 또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뒤쪽에 설치된 생리용 패드(1)에 대해서도, 앞뒤의 관계를 반대로 하는 것만으로,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추가로, 폭 방향 제 2 절선(FL2)∼폭 방향 제 3 절선(FL3)에 의해 구획된 폭 방향 제 3 영역(S3) 및 폭 방향 제 4 영역(S4)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생리용 패드(1)의 영역에, 다른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다른 기능제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 온감 본체(5) 또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앞쪽에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뒤쪽에도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또한, 폭 방향 제 3 영역(S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앞쪽의 단부는, 폭 방향 제 2 절선(FL2)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고, 뒤쪽의 단부는, 폭 방향 제 3 절선(FL3)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다. 따라서, 개별 포장체(K)의 폭 방향 제 3 영역(S3)의 길이 방향(L)의 앞쪽 및 뒤쪽의 단부는, 모두 유체 성분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틈새가 생리용 패드(1) 내를 포함하여 거의 없어, 대부분 폐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폭 방향 제 4 영역(S4)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앞쪽의 단부는, 폭 방향 제 3 절선(FL3)의 위치에서 접혀져 있고, 뒤쪽의 단부는, 두께 방향(T)으로 폭 방향 제 1 영역(S1)과 폭 방향 제 3 영역(S3)의 사이에 끼여 있다. 따라서, 개별 포장체(K)의 폭 방향 제 4 영역(S4)의 앞쪽 및 뒤쪽의 단부는, 모두 유체 성분이 외부 또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틈새가 생리용 패드(1) 내를 포함하여 거의 없어, 대부분 폐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폭 방향 제 3 영역(S3) 및 폭 방향 제 4 영역(S4)에서의 생리용 패드(1)의 영역은, 대체로 폐쇄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폭 방향 제 3 영역(S3) 및 폭 방향 제 4 영역(S4)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생리용 패드(1)의 영역에 다른 기능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그 외의 기능층으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외부로 산일하거나, 생리용 패드(1)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거나, 다른 영역의 기능층의 기능 성분과 혼합되어 기능 저하나 기능 변화를 일으키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나 다른 기능층을 구비하는 생리용 패드(1)의 개별 포장체(K)에 있어서, 기능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기능층의 유체 성분이 생리용 패드(1)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양태로서, 포장 시트(29)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양단부는,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양단부보다도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길다.
따라서, 생리용 패드(1)의 양단부보다도 외측에서는 포장 시트(29)끼리가 밀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폭 방향 제 1 영역(S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한쪽의 단부는, 포장 시트(29)끼리가 밀착하면서, 폭 방향 제 2 영역(S2)과 폭 방향 제 4 영역(S4)의 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폭 방향 제 1 영역(S1)의 길이 방향(L)의 단부를 보다 폐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폭 방향 제 1 영역(S1)에서의 생리용 패드(1)의 영역에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배치되어 있어도, 그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외부로 산일하거나, 생리용 패드(1)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포장 시트(29)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폭 방향 제 1 영역(S1)측의 단부, 즉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있는 측의 단부는 밀봉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단부가 열 시일이나 엠보스 시일 등으로 밀봉되어 있어도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폭 방향 제 1 영역(S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한쪽의 단부는, 밀봉되면서, 폭 방향 제 2 영역(S2)과 폭 방향 제 4 영역(S4)(또는 잔부 영역)의 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폭 방향 제 1 영역(S1)의 길이 방향(L)의 단부를 보다 폐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적어도 폭 방향 제 1 영역(S1)에서의 생리용 패드(1)의 영역에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배치되어 있어도, 그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외부로 산일하거나, 생리용 패드(1)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양태로서, 개별 포장체(K)에서는, 길이 방향 제 1 절선(FV1) 및 길이 방향 제 2 절선(FV2)을 기축으로 하여, 길이 방향 제 1 영역(P1) 및 길이 방향 제 3 영역(P3)이 길이 방향 제 2 영역(P2) 상에 접어 개켜짐으로써, 유체 성분이 폭 방향(W)의 양단부를 통해 외부 또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폭 방향(W)의 양단부가 폐색되어 있다. 즉, 폭 방향(W)의 양단부는 열 시일 등에 의한 밀봉 공정에 의해서는 폐색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밀봉 공정의 열에 의해 유체 성분이 휘발하여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산일하거나, 생리용 패드(1) 내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개봉 시의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W)의 양단부는 열 시일 등에 의해 밀봉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양태로서, 개별 포장체(K)에서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흡수체(11)보다도 길이 방향(L)의 앞쪽 또는 뒤쪽의 폭 방향 제 1 영역(S1)에서의 생리용 패드(1)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부 또는 등부에 대하여 온감 용액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경우라도, 개별 포장체(K)는, 배설구 맞닿음 영역이 위치하는 흡수체(11), 즉 폭 방향 제 2 영역(S2) 또는 폭 방향 제 3 영역(S3)(또는 잔부 영역)과, 폭 방향 제 1 영역(S1)의 사이에서 접혀 있으므로, 폭 방향 제 1 영역(S1) 내의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유체 성분이 폭 방향 제 2 영역(S2) 또는 폭 방향 제 3 영역(S3)이나 폭 방향 제 4 영역(S4)(또는 잔부 영역) 내의 배설구 맞닿음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양태로서, 개별 포장체(K)에서는,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가, 시트 형상을 갖고, 즉 액체 투과성 시트(7)나 액체 불투과성 시트(9)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체 성분의 양이나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영역이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효과를 보다 적확하게 유지하면서,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유체 성분이 생리용 패드(1)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는 것을 보다 적확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양태로서, 개별 포장체(K)에서는, 포장 시트(29)가 비투액성이다. 그러므로,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로부터 유체 성분이 휘발 또는 유동하여, 포장 시트(29)를 빠져나가, 외부로 산일하거나, 생리용 패드(1) 내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즉,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를 구비하는 생리용 패드(1)의 개별 포장체(K)에 있어서, 기능 성분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온감 용액 홀딩 시트(13)의 유체 성분이 생리용 패드(1)의 다른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각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능제에 포함되는 기능 성분은 온감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능제에 포함되는 기능 성분 및 용매 성분의 적어도 한쪽이 친유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기능 성분의 종류는 다른 종류여도 되며, 예를 들면, 냉감제나 발열제여도 된다. 냉감제를 이용하는 경우, 기능층은, 예를 들면, 냉감제와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냉감 용액을 갖고 있다. 발열제를 이용하는 경우, 기능층은, 예를 들면, 발열제와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발열 용액을 갖고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각 자재 등)
다음으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각 자재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능층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기능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제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온감 용액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제와, 용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온감제로는,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TRPV1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 TRPV3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 등을 들 수 있고, TRPV1에 대한 아고니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TRPV1 리셉터는, 활성화 온도 역치가 43℃ 초과로 높아, 착용자에게 높은 온감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온감제는, 착용자의 안심감의 관점에서, 식물 유래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감제로는, 예를 들면, 캡시코시드, 캡사이신, 캡사이시노이드류(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노니바미드 등), 캡산틴, 니코틴산 벤질,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 N-아실바닐아미드, 노난산 바닐릴아미드, 다가 알코올, 고추 분말, 고추 팅크, 고추 엑기스, 노난산 바닐릴에테르, 바닐릴알코올알킬에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펜틸에테르, 바닐릴헥실에테르), 이소바닐릴알코올알킬에테르, 에틸바닐릴알코올알킬에테르, 베라트릴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알코올알킬에테르, 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에틸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생강 엑기스, 진저 오일, 진저롤, 진저론, 헤스페리딘 및 피롤리돈카르본산,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제는, 착용자가 아픔을 느끼기 어려운 관점에서, 캡사이신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고, 바닐릴알코올알킬에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펜틸에테르, 바닐릴헥실에테르, 생강 엑기스, 진저 오일, 진저롤 및 진저론,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냉감 용액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냉감제와 용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냉감제로는,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TRPM8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 TRPA1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 등을 들 수 있고, TRPM8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에게 과도한 냉감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냉감제로는, 예를 들면 멘톨(예를 들면, l-멘톨)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유산 멘틸, 멘틸글리세릴에테르, 예를 들면 l-멘틸글리세릴에테르), 살리실산 메틸, 캠퍼, 식물(예를 들면, 민트, 유칼리) 유래의 정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상기 온감제 및 냉감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친유성 용매 및 친수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온감제 및 냉감제를, 예를 들면, 용해, 분산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친유성 용매로는, 유지, 예를 들면, 천연유(예를 들면, 트리글리세리드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야자유, 아마인유 등), 탄화수소(예를 들면, 파라핀,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용매로는, 물 및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저급 알코올, 카프릴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휘발성을 제어하기 쉬운, 특히 휘발성을 낮추기 쉬운 관점에서는, 유지(친유성 용매) 또는 알코올(친수성 용매)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성을 저해하기 어려운 관점에서, 상기 용매는 친유성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감 용액 또는 냉감 용액은, 상기 온감제 또는 냉감제를, 바람직하게는 0.0001∼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 질량%,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3∼0.7 질량% 포함한다. 온감 또는 냉감의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온감 용액 또는 냉감 용액을, 온감제 또는 냉감제의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0.001∼10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5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2.5g/㎡,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05∼1.5g/㎡가 되는 것과 같은 평량으로 포함한다. 착용자에게 온감 또는 냉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온감 용액 또는 냉감 용액은, 상술의 온감제 또는 냉감제 및 용매 이외에, 착용자에게 온감 또는 냉감을 부여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냉각제, 예를 들면, 기화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를 내리는 냉각제를 들 수 있고, 당해 냉각제로서, 예를 들면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및 에탄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 실리콘, 실리콘계 레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예를 들면 BHT(2,6-디-t-부틸-p-크레졸), BHA(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비타민, 예를 들면 천연 비타민 또는 합성 비타민을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으로는, 예를 들면 수용성 비타민, 예를 들면 비타민 B군, 예를 들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B6, 비타민 B7, 비타민 B9, 비타민 B12 등, 비타민 C를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으로는, 예를 들면 지용성 비타민, 예를 들면 비타민 A군, 비타민 D군, 비타민 E군 및 비타민 K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에는 또한, 그들의 유도체도 포함된다.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아미노산, 예를 들면, 알라닌,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등, 그리고 펩티드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예를 들면, 천연 제올라이트, 예를 들면, 방비석, 능비석, 휘비석, 나트롤라이트, 속비석 및 톰소나이트, 그리고 합성 제올라이트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히알루론산, 레시틴, 세라미드, 플라센타, 콜라겐, 엘라스틴, 스쿠알란, 바셀린, 트레할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약제, 예를 들면, 피부 수렴제, 항여드름제, 항주름제, 항셀룰라이트제, 미백제, 항균제, 항곰팡이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부 수렴제로는, 예를 들면, 산화아연, 황산알루미늄, 타닌산 등, 유용성(油溶性) 피부 수렴제, 예를 들면, 유용성 폴리페놀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용성 폴리페놀로는, 천연의 유용성 폴리페놀, 예를 들면, 황백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광대수염 엑기스, 캐모마일 엑기스, 우엉 엑기스, 샐비어 엑기스, 참피나무 엑기스, 서양보리수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쇠뜨기 엑기스, 세이지 엑기스, 샐비어 엑기스, 수타호두 엑기스, 하이비스커스 엑기스, 비파 잎 엑기스, 보리수 엑기스, 홉 엑기스, 마로니에 엑기스, 의이인(薏苡仁)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여드름제로는, 예를 들면, 살리실산, 과산화벤조일, 레조르시놀, 유황, 에리트로마이신,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주름제로는, 예를 들면, 유산, 살리실산, 살리실산 유도체, 글리콜산, 피틴산, 리포산, 리소포스파티드산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셀룰라이트제로는, 예를 들면, 크산틴 화합물, 예를 들면, 아미노필린, 카페인, 테오필린, 테오브로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미백제로는, 예를 들면, 나이아신아미드, 코지산, 알부틴, 글루코사민 및 유도체, 피토스테롤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및 그 유도체, 그리고 뽕나무 추출물 및 태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항염증 성분, pH 조정제, 항균제, 보습제, 향료, 색소, 염료, 안료, 식물 추출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염증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천연 유래의 항염증제, 예를 들면, 모란, 황금(黃芩), 고추나물, 캐모마일, 감초, 도엽, 쑥, 차조기 엑기스 등, 합성 항염증제, 예를 들면,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는,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 예를 들면, 사과산, 호박산, 구연산, 주석(酒石)산, 유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 및 상기 온감 용액은, 발열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저온 화상을 일으키기 어려워진다. 또, 흡수성 물품 자체가 발열하지 않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착의, 피부 맞닿음면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부가 연화하기 어려워, 흡수성 물품의 사용을 끝내고, 흡수성 물품을 착의, 착용자의 피부 등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흡수성 물품의 점착부가 착의나 피부에 남기 어렵다. 상기 발열제로는, 발열제 자체가 발열하고, 그 물질, 그 용매 또는, 그 물질이나 용매를 시트 등에 고정하는 제(劑)에 친유성 성분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 분말(예를 들면, 철분)의 산화열, 산 및 알칼리의 중화열, 무기염의 수화열 등의 화학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시트의 소재로는, 액체 투과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물(布帛)(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편물), 개공(開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직물로는, 흡수성 물품의 제법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로는, 예를 들면, 에어레이드 펄프,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니들펀치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및 이들의 조합(예를 들면, SMS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로는, 예를 들면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반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섬유로는, 펄프 섬유 및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레이온 섬유, 예를 들면, 비스코스로부터 얻어지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및 모달, 셀룰로오스의 동(銅)암모니아염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동암모니아 레이온 섬유(「큐프라」라고도 불린다); 유기 화합물 및 물의 혼합 용액인 유기 용제를 이용한 유기 용제 방사법에 의해 얻어지고,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거치지 않는 리오셀 및 텐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합성 섬유로는,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섬유, 예를 들면 트리아세테이트 섬유 및 디아세테이트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로는, 예를 들면 열 융착성 섬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예를 들면 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펜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계 폴리머, 예를 들면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또는 그들의 변성물, 또는 그들의 조합 등으로부터 형성된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개공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의 시트에, 복수의 개공부를 설치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10∼100g/㎡,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g/㎡의 평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성 시트의 소재로는, 액체 불투과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필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필름, 통기성을 갖는 수지 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을 갖는 수지 필름을 접합한 것, SMS 등의 복층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체 불투과성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10∼50g/㎡,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g/㎡의 평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추가 부재, 예를 들면 중간 시트(예를 들면, 온감 용액 홀딩 시트), 흡수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시트의 소재로는, 액체 투과성 시트의 소재로서 열거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 시트는, 온감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즉, 온감 용액 홀딩 시트여도 되며, 그리고 온감 용액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중간 시트를 온감 용액 홀딩 시트로서 이용하는 경우로서, 온감 용액의 용매가 친유성 용매인 때에는, 상기 중간 시트는, 합성 섬유로 형성된 직물, 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편물 등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합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일 수 있다. 또, 상기 중간 시트를 온감 용액 홀딩 시트로서 이용하는 경우로서, 온감 용액의 용매가 친수성 용매인 때에는, 상기 중간 시트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구성되는 직물, 예를 들면 부직포, 직포, 편물 등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펄프 섬유로 구성되는 티슈, 에어레이드 펄프 등일 수 있다.
상기 흡수체로는, 코어 랩이 펄프 섬유 및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덮고 있는 것, 코어 랩이 고분자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 또는 고분자 흡수제로 이루어지는 흡수 코어를 덮고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코어 랩으로는, 상술의 중간 시트를 들 수 있다. 상기 흡수체를 구비하는 온감 물품으로는, 흡수성 물품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10∼200g/㎡,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50g/㎡의 평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당해 흡수성 물품을 착의,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하는 점착부를 구비할 수 있고, 당해 점착부로는, 핫멜트 접착제,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등의 고무계를 주체로 한,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를 주체로 한 감압형 접착제 또는 감열형 접착제; 수용성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로 이루어지는 감수성(感水性)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사용되기 전에 포장 시트로 포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이 홀딩하는 온감 용액을 보호하는 관점, 흡수성 물품이 홀딩하는 온감 용액을 외부로 누설하지 않는 관점 등에서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 또는 복수의 흡수성 물품이 포장 시트로 포장된 포장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1개의 흡수성 물품이 포장 시트로 포장된 개별 포장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 시트의 소재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개별 포장체의 기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기밀층을 포함해도 되며, 그리고 당해 기밀층의 소재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알코올 코폴리머, 염화 비닐리덴계 폴리머, 예를 들면 염화 비닐리덴메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나일론, 예를 들면 나일론 6, 알루미늄박, 기재(基材)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상에 알루미나, 실리카 등이 증착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온감 용액을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 온감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흡수체를 구비하는 것, 예를 들면 생리용 패드, 속바지형 생리용 패드, 팬티 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실금 패드, 음순간 패드, 탐폰, 산욕 패드, 모유 패드, 치질용 패드, 땀받이 패드, 욕창 시트(드레싱 시트), 애완동물용 기저귀, 애완동물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온감 용액은, 흡수체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 흡수체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위치 등이며, 두께 방향으로 점착부와 서로 부분적으로는 겹쳐졌다고 해도, 서로 전면적으로는 겹쳐지지 않는 것과 같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온감 용액은, 액체 투과성 시트, 상술의 중간 시트, 흡수체 등에 홀딩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와,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 사이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온감 시트로는, 예를 들면, 착의 고정 타입의 온감 시트(예를 들면, 액체 불투과성 시트의 착의 맞닿음면에, 착용자의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부를 착의의 내면에 첩부(貼付)하여 사용하는 것), 피부 고정 타입의 온감 시트(예를 들면, 액체 투과성 시트의 피부 맞닿음면(예를 들면, 온감 시트의 주연부)에,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부를 착용자의 피부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것)를 들 수 있다.
착의 고정 타입의 온감 시트가 고정되는 착의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부분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에게 피트하여 이용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의로는, 예를 들면, 속옷(예를 들면, 속바지, 셔츠, 브래지어 등), 겉옷(예를 들면, 상의, 하의), 양말, 장갑, 머플러, 페이스 마스크, 아이 마스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 시트가 온감을 부여할 수 있는 부위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머리(예를 들면, 얼굴부, 예를 들면, 눈부), 목, 상지(上肢)(예를 들면, 흉부, 복부, 서혜부, 등부, 요부(腰部), 상완부, 전완부, 수부(手部), 하지(下肢)(예를 들면, 대퇴부, 종아리부, 족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 시트에서는, 온감 용액은, 액체 투과성 시트, 상술의 중간 시트 등에 홀딩될 수 있다. 상기 온감 시트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와, 액체 투과성 시트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생리용 패드 13: 온감 용액 홀딩 시트
29: 포장 시트 FL1: 폭 방향 제 1 절선
FL2: 폭 방향 제 2 절선 S1: 폭 방향 제 1 영역
S2: 폭 방향 제 2 영역 S3: 폭 방향 제 3 영역
S4: 폭 방향 제 4 영역

Claims (13)

  1.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포장 시트와, 흡수성 물품을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포장 시트 상에 재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 시트와 함께 접어 개켜져 포장된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개별 포장체는,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측에서 다른쪽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선 제 1 절선 및 제 2 절선을 가지며,
    상기 제 1 절선 및 상기 제 2 절선으로 구획되어,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한쪽측에서 상기 다른쪽측으로 늘어선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잔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소정 기능을 갖는 기능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층은,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제를 갖고 있고,
    상기 개별 포장체는,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가 밀봉되거나 또는 접어 개켜져 있으며,
    상기 제 2 절선에서 상기 잔부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의 한쪽 또는 다른쪽의 면의 측으로 접어 개켜지고, 상기 제 1 절선에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한쪽의 면의 측으로 접어 개켜져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 시트와,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체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흡수체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의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상기 기능층을 포함하는, 개별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잔부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개별 포장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체는,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선에 대하여 상기 제 1 절선과 반대측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선 제 3 절선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잔부 영역이 상기 제 3 절선으로 구획되어,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한쪽측에서 상기 다른쪽측으로 늘어선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 및 상기 제 4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영역에 소정 기능을 갖는 다른 기능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른 기능층은, 다른 유체 성분을 포함하는 다른 기능제를 갖고 있고,
    상기 개별 포장체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4 영역이 상기 제 3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개별 포장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부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으로 긴, 개별 포장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제 1 영역측의 단부는 밀봉되어 있는, 개별 포장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체는,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선 왼쪽 절선 및 오른쪽 절선을 가지며,
    상기 왼쪽 절선 및 상기 오른쪽 절선으로 구획된 왼쪽 영역, 중앙 영역 및 오른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포장체는, 상기 왼쪽 영역 및 상기 오른쪽 영역이 상기 중앙 영역에 겹쳐져 있는, 개별 포장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시트 형상을 갖는 액체 홀딩성 또한 액체 투과성의 시트 부재이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체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별 포장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는 비(非)투액성의 시트인, 개별 포장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기능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제를 갖고,
    상기 유체 성분은, 상기 기능 성분 및 상기 용매 성분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개별 포장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온감제를 갖는 온감층, 또는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냉감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냉감제를 갖는 냉감층인, 개별 포장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가 TRPV1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이고, 상기 냉감제가 TRPM8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인, 개별 포장체.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이, 발열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발열제를 갖는 발열층이고,
    상기 유체 성분은, 상기 발열 성분 및 상기 용매 성분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개별 포장체.
  13. 삭제
KR1020197037700A 2017-09-01 2018-08-31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KR102623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8902 2017-09-01
JPJP-P-2017-168902 2017-09-01
PCT/JP2018/032502 WO2019045080A1 (ja) 2017-09-01 2018-08-31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911A KR20200050911A (ko) 2020-05-12
KR102623844B1 true KR102623844B1 (ko) 2024-01-10

Family

ID=6552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700A KR102623844B1 (ko) 2017-09-01 2018-08-31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21040B2 (ko)
KR (1) KR102623844B1 (ko)
CN (1) CN111031979B (ko)
TW (1) TWI767047B (ko)
WO (1) WO2019045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7429B (zh) * 2019-06-20 2023-03-2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短裤型吸收性物品和短裤型吸收性物品制造方法
JP7431635B2 (ja) 2020-03-26 2024-02-15 大王製紙株式会社 包装吸収性物品
JP7275070B2 (ja) * 2020-05-20 2023-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包装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4602A (ja) 2006-10-25 2008-05-08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3208318A (ja) * 2012-03-30 2013-10-10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2015097709A (ja) * 2013-11-20 2015-05-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193B2 (ja) * 1993-06-29 2000-10-03 小林製薬株式会社 体液吸収用当て材
JP2001087306A (ja) * 1999-09-21 2001-04-03 Zuiko Corp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DE60140994D1 (de) 2001-04-17 2010-02-25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Einwegartikel mit einem Wirkstoff zur Übertragung einer Sensation
EP1941852B1 (en) * 2006-12-21 2012-07-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dividually packag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A2733472C (en) * 2009-09-29 2017-10-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roducts having improved packaging efficiency
JP5697342B2 (ja) * 2010-02-03 2015-04-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及び包装構造の製造方法
JP2012075569A (ja) * 2010-09-30 2012-04-19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947582B2 (ja) * 2012-03-23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4602A (ja) 2006-10-25 2008-05-08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3208318A (ja) * 2012-03-30 2013-10-10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2015097709A (ja) * 2013-11-20 2015-05-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1979A (zh) 2020-04-17
KR20200050911A (ko) 2020-05-12
TW201919554A (zh) 2019-06-01
JP6821040B2 (ja) 2021-01-27
WO2019045080A1 (ja) 2019-03-07
JPWO2019045080A1 (ja) 2020-01-23
TWI767047B (zh) 2022-06-11
CN111031979B (zh)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3494U (ja) 機能性物品
JP7085836B2 (ja)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用の温感部材、及び温感部材の吸収性物品に貼付しての使用
KR102623844B1 (ko)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CN109419586B (zh) 温感物品
KR102611290B1 (ko) 흡수성 물품
CN110520085B (zh) 温感物品
JP6765356B2 (ja) 温感物品
JP7357452B2 (ja) 吸収性物品
KR102414416B1 (ko) 온감 시트
JP6637001B2 (ja) 温感物品
JP2020146458A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KR102221311B1 (ko) 온감 시트
JP2020141873A (ja) 吸収性物品
JP3229293U (ja) 温感物品の個包装体
JP6692331B2 (ja) 温感物品
JP2020039965A (ja) 温感物品
CN111902114A (zh) 吸收性物品
JP2020141872A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これを収容した包装体
JP2019068945A (ja) 温感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