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76B1 - 벽돌과 탄성 브래킷을 가지는 건식 벽체 - Google Patents

벽돌과 탄성 브래킷을 가지는 건식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76B1
KR102620076B1 KR1020220180468A KR20220180468A KR102620076B1 KR 102620076 B1 KR102620076 B1 KR 102620076B1 KR 1020220180468 A KR1020220180468 A KR 1020220180468A KR 20220180468 A KR20220180468 A KR 20220180468A KR 102620076 B1 KR102620076 B1 KR 102620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s
brackets
heads
neck
dry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재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이앤씨 filed Critical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8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10)들과 브래킷(20)들로 구성된 건식 벽체를 제공한다. 상기 브래킷들은 시공 벽면에 상하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공되어 사이 각각에 상기 벽돌들이 삽입되는 벽돌 배열 공간(20S)을 제공하고, 상기 벽돌들은 상기 벽돌 배열 공간 각각에 삽입되어 상면(11)과 하면(12)이 상기 브래킷들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브래킷들은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한 헤드(20H)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 각각은 상기 벽돌들에 의해 상하로 압착되어 상기 벽돌들의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과 밀착된다. 상기 벽돌들은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에 각각 상기 헤드들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 후방 단턱(13)과 제2 후방 단턱(1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벽돌과 탄성 브래킷을 가지는 건식 벽체 {DRY WALL HAVING BRICKS AND ELASTIC BRACKET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건식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구조물을 구성하는 벽체는 모르타르(mortar)를 이용하여 벽돌 쌓기를 일정한 패턴(pattern)으로 수행하는 단계 등을 거쳐 구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벽체는, 작업자의 숙련 정도, 시공 현장의 여건 등에 따라 품질이 결정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벽돌 쌓기, 모르타르 경화 시간 등으로 인해 시공에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벽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구축하는 건식 벽체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건식 벽체는 주로 마감 또는 장식을 목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건식 벽체는 벽돌들과 브래킷(bracket)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벽돌들은 벽면의 전방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브래킷들은, 벽면에 제공되고, 벽돌들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건식 벽체는, 벽돌들을 브래킷들에 의해 지지하는 작업이 대체로 복잡하거나 어려운 데다, 브래킷들에 의한 벽돌들의 지지 구조가 불안정한 편이므로 벽돌들이 외력 등에 의해 쉽게 탈락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건식 벽체는, 수분(예를 들어, 빗물 등)이 벽돌들 사이의 틈을 통해 벽돌들의 후방으로 다량으로 침투되거나 유입되는 현상을 적극적으로 저지할 수 없기 때문에, 벽돌들의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물 등이 수분 또는 수분과 함께 침투되거나 유입되는 각종의 이물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염될 수 있다. 물론, 이 같은 수분 유입의 문제는 벽돌들 사이의 틈을 차단하는 밀봉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벽돌들 사이의 틈을 일일이 차단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결코 바람직하다 할 수 없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종래의 건식 벽체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17499호(1999.04.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15404호(2021.09.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다 간단하고 편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건식 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빗물 등 수분이 침투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건식 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돌(10)들과; 시공 벽면(5)에 대해 상기 벽돌(10)들을 지지하는 브래킷(20)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20)들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횡단면이 일정한 레일 타입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이 각각에 상기 벽돌(10)들이 삽입되는 벽돌 배열 공간(20S)을 제공하며,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 각각에 일렬로 삽입되어 상면(11)과 하면(12)이 각각 상기 브래킷(20)들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브래킷(20)들은 각각 네크(neck, 20N) 및 상기 네크(20N)에 확대된 선단을 제공하는 헤드(head, 20H)를 구비하되, 상기 헤드(20H) 각각은 탄성 변형 가능하여 상기 벽돌(10)들에 의해 상하로 압착됨과 아울러 상기 벽돌(10)들의 상기 상면(11)과 상기 하면(12)에 밀착되며,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상면(11) 각각으로부터 상기 헤드(20H)들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제1 후방 단턱(13)을 구비하고, 상기 하면(12) 각각으로부터 상기 헤드(20H)들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제2 후방 단턱(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들은 각각 상기 헤드(20H)를 좌우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2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식 벽체는, 상기 관통 구멍(21)에 각각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강성 로드(rigid rod, 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하면(12) 각각으로부터 상기 헤드(20H)들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20H)들의 전방으로의 변형을 제한하는 전방 단턱(1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 각각은 상기 네크(20N)가 고무 등의 탄성 물질에 의해 상기 헤드(20H)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 각각은 상기 네크(20N)의 기단 부분에 상기 네크(20N)의 탄성 변형을 억제하는 코어(core, 22)가 내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는,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들에 삽입된 각 열의 상기 벽돌(10)들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금속의 결속 로드(예를 들어, 중공 구조 강봉)(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열의 상기 벽돌(10)들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고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된 결속 구멍을 가질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간편한 시공에 의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들에 의한 벽돌들의 안정적 지지 구조에 의해 향상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브래킷들의 탄성 변형 가능의 헤드가 상기 벽돌들에 의해 상하로 압착되어 상기 벽돌들의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브래킷들에 의한 상기 벽돌들의 지지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빗물 등의 수분이 열을 이루는 상기 벽돌들 사이의 상하 틈을 통해 상기 벽돌들의 후방으로 침투되거나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후방 구조물이 수분이나 수분과 함께 침투되거나 유입되는 이물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효과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의 일부를 옆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의 브래킷을 옆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유사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기에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용어에 대해서는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하는 때, 이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된다고 하는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서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는 벽돌(10)들 및 브래킷(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는, 상기 브래킷(20)들이 시공 벽면(5)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벽돌(10)들이 상기 시공 벽면(5)의 전방에 상기 브래킷(20)들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공 벽면(5)은 구조물의 벽면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는 상기 구조물의 상기 벽면(상기 시공 벽면)에 정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브래킷(20)들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를 매개로 상기 구조물의 상기 벽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구조물의 상기 벽면(상기 시공 벽면)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표면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에,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표면이 상기 시공 벽면(5)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는 그 표면이 상기 시공 벽면(5)으로 되는 경우에 벽체의 토대로서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벽돌(10)들은, 일반적인 벽돌(예를 들어, 보통 벽돌)일 수도 있으나, 경량화 처리가 이루어진 벽돌인 것이 시공성의 향상 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벽돌(10)들은, 경량화가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이루어진 유사 벽돌일 수 있고, 나아가 너비(도면에서 전후 방향의 크기)가 표준 벽돌에 비해 축소된 슬림 벽돌(slim brick)일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들은 레일(rail) 타입일 수 있다. 즉, 상기 브래킷(20)들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횡단면이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브래킷(20)들은 상기 벽돌(10)들의 높이(도면에서 상하 방향의 크기)에 비해 다소 작은 거리만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이 각각에 상기 벽돌(10)들이 삽입되는 벽돌 배열 공간(20S)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 각각에 좌우 방향(상기 벽돌(10)들의 길이에 대응)을 따라 일렬로 삽입되어 상면(11)과 하면(12)이 각각 상기 브래킷(20)들의 상부와 하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벽돌(10)들의 상기 상면(11)을 상기 브래킷(20)들의 상기 하부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벽돌(10)들의 상기 하면(12)을 상기 브래킷(20)들의 상기 상부로 지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브래킷(20)들은 각각 네크(20N)와 헤드(20H)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 각각에서, 상기 헤드(20H)는 상기 네크(20N)의 선단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네크(20N)에 확대된 선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20H)들은 상기 네크(20N)에 비해 확대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20H)들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20H)들은 우레탄(urethane), 실리콘(silicone) 등의 탄성 물질로 이루어져 탄성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헤드(20H)들은 상기 벽돌(10)들의 하중으로 인해 상방과 하방의 상기 벽돌(10)들에 의해 상하로 압착되어 상방의 상기 벽돌(10)들의 상기 하면(12) 및 하방의 상기 벽돌(10)들의 상기 상면(11)과 밀착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헤드(20H)들이 원상인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상기 헤드(20H)들이 상기 벽돌(10)들의 하중에 의해 압착되어 변형되고 상기 벽돌(10)들과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헤드(20H)들이 상하의 상기 벽돌(10)들과 밀착되는 구성에 의하면, 수분(예를 들어, 빗물 등)이 열을 이루는 상기 벽돌(10)들 사이의 상하 틈을 통해 상기 벽돌(10)들의 후방으로 침투되거나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후방 구조물(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40) 등)이 수분이나 수분과 함께 침투되거나 유입되는 이물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상면(11) 각각으로부터 상방의 브래킷(20)들의 상기 헤드(20H)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고 좌우 방향(상기 벽돌(10)들의 길이에 대응)을 따라 연장된 제1 후방 단턱(13)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하면(12) 각각으로부터 하방의 상기 브래킷(20)들의 상기 헤드(20H)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되고 좌우 방향(상기 벽돌(10)들의 길이에 대응)을 따라 연장된 제2 후방 단턱(14)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벽돌(10)들의 상기 상면(11)의 제1 후방 단턱(13)과 상기 하면(12)의 상기 제2 후방 단턱(14)에 의하면, 상기 벽돌(10)들이 외력 등으로 인해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으로부터 전방으로 이탈되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벽돌(10)들이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으로부터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상기 헤드(20H)들에 대한 상기 제1 후방 단턱(13)과 상기 제2 후방 단턱(14)의 걸림 작용에 의해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 가능의 상기 헤드(20H)들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각 열의 상기 벽돌(10)들의 자중에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상기 벽돌(10)들과 밀착되는 구성에 의하면, 상기 브래킷(20)들에 의한 상기 벽돌(10)들의 지지 구조(상기 헤드(20H)들에 대한 상기 제1 후방 단턱(13)과 상기 제2 후방 단턱(14)의 걸림 작용을 포함한다.)를 강화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하면(12) 각각으로부터 하방의 상기 브래킷(20)들의 상기 헤드(20H)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좌우 방향(상기 벽돌(10)들의 길이에 대응)을 따라 연장된 전방 단턱(1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단턱(15)들은, 상기 헤드(20H)들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상기 헤드(20H)들을 전방의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상기 헤드(20H)들의 전방으로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전방 단턱(15)들에 의하면, 상기 헤드(20H)들이 상기 벽돌(10)들에 의해 상하로 압착되는 과정에서 전방으로의 변형 제한에 따라 주로 상하로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헤드(20H)들을 상기 벽돌(10)들과 보다 긴밀히 밀착시킬 수 있고, 상기 벽돌(10)들에 대한 상기 헤드(20H)들의 밀착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브래킷(20)들에 의한 상기 벽돌(10)들의 지지 구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에 측방에서 삽입되고 레일 타입의 상기 브래킷(20)들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요구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에 전방에서 삽입되고 상기 브래킷(20)들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요구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벽돌(10)들을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에 전방에서 삽입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벽돌(10)들의 상단 부분을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에 먼저 진입시키고 상기 벽돌(10)들의 하단 부분을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으로 밀어 넣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브래킷(20)들은 각각 상기 헤드(20H)를 좌우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2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는, 상기 관통 구멍(21)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헤드(20H)들을 보강하고 상기 헤드(20H)들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강성 로드(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강성 로드(30)들에 의하면, 상기 헤드(20H)들이 뒤틀리거나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H)들이 상하로 과도하게 압착되어 상기 벽돌(10)들에 대한 상기 헤드(20H)들의 밀착도가 약화되거나 상기 벽돌(10)들에 대한 상기 헤드(20H)들의 밀착 면적이 축소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브래킷(20) 각각은, 상기 네크(20N)가 상기 탄성 물질에 의해 상기 헤드(20H)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네크(20N)의 기단 부분에 상기 네크(20N)의 탄성 변형을 억제하는 코어(22)가 내재될 수 있다.
상기 코어(22)들은 기단이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상기 코어(22)들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일체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네크(20N)들은 코어(22)들에 의해 처짐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상기 네크(20N)들은 헤드(20H)와 코어(22) 사이의 부분이 상하로 휘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벽돌(10)들을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에 전방에서 삽입하는 경우, 상기 네크(20N)들의 상하 휨을 유도하여 상기 벽돌(10)들을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45는 정착 요소들이다.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상기 정착 요소(45)들에 의해 시공 표면(5)에 정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정착 요소(32)들은 앵커 볼트(anchor bolt)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5: 시공 벽면
10: 벽돌
11: 벽돌의 상면
12: 벽돌의 하면
13: 제1 후방 단턱
14: 제2 후방 단턱
15: 전방 단턱
20: 브래킷
20H: 헤드
20N: 네크
20S: 벽돌 배열 공간
21: 브래킷의 관통 구멍
22: 코어
30: 강성 로드
40: 베이스 플레이트

Claims (4)

  1. 벽돌(10)들과; 시공 벽면(5)에 대해 상기 벽돌(10)들을 지지하는 브래킷(20)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20)들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횡단면이 일정한 레일 타입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이 각각에 상기 벽돌(10)들이 삽입되는 벽돌 배열 공간(20S)을 제공하며,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벽돌 배열 공간(20S) 각각에 일렬로 삽입되어 상면(11)과 하면(12)이 각각 상기 브래킷(20)들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브래킷(20)들은 각각 네크(20N) 및 상기 네크(20N)에 확대된 선단을 제공하는 헤드(20H)를 구비하되, 상기 헤드(20H) 각각은 탄성 변형 가능하여 상기 벽돌(10)들에 의해 상하로 압착됨과 아울러 상기 벽돌(10)들의 상기 상면(11)과 상기 하면(12)에 밀착되고 탄성 물질로 이루어져 부분별로 다르게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상면(11) 각각으로부터 상기 헤드(20H)들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제1 후방 단턱(13)을 구비하고, 상기 하면(12) 각각으로부터 상기 헤드(20H)들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제2 후방 단턱(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0)들은 각각 상기 헤드(20H)를 좌우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21)을 구비하고,
    상기 건식 벽체는, 상기 관통 구멍(21)에 각각 삽입되는 강성 로드(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돌(10)들은 상기 하면(12) 각각으로부터 상기 헤드(20H)들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20H)들의 전방으로의 변형을 제한하는 전방 단턱(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0) 각각은,
    상기 네크(20N)가 상기 탄성 물질에 의해 상기 헤드(20H)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네크(20N)의 기단 부분에 상기 네크(20N)의 탄성 변형을 억제하는 코어(22)가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KR1020220180468A 2022-12-21 2022-12-21 벽돌과 탄성 브래킷을 가지는 건식 벽체 KR102620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468A KR102620076B1 (ko) 2022-12-21 2022-12-21 벽돌과 탄성 브래킷을 가지는 건식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468A KR102620076B1 (ko) 2022-12-21 2022-12-21 벽돌과 탄성 브래킷을 가지는 건식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076B1 true KR102620076B1 (ko) 2024-01-04

Family

ID=8954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0468A KR102620076B1 (ko) 2022-12-21 2022-12-21 벽돌과 탄성 브래킷을 가지는 건식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3457A (ja) * 1990-08-07 1992-11-12 Kajima Corp タイル支持具、タイル貼り壁構造及びタイル貼り帳壁
JPH11117499A (ja) 1997-10-08 1999-04-27 Inax Corp タイル取付金具
KR20210115404A (ko) 2020-03-13 2021-09-27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슬림벽돌 레일시스템
KR20220102022A (ko) * 2021-01-12 2022-07-1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클립고정부재가 구성된 박벽돌 건식시공 단위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3457A (ja) * 1990-08-07 1992-11-12 Kajima Corp タイル支持具、タイル貼り壁構造及びタイル貼り帳壁
JPH11117499A (ja) 1997-10-08 1999-04-27 Inax Corp タイル取付金具
KR20210115404A (ko) 2020-03-13 2021-09-27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슬림벽돌 레일시스템
KR20220102022A (ko) * 2021-01-12 2022-07-1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클립고정부재가 구성된 박벽돌 건식시공 단위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707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119604B1 (ko)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JP2019529747A (ja) 防波堤/突堤構造物のためのコンクリート製被覆エレメント、並びに当該エレメントを複数設けた防波堤/突堤構造物
KR102620076B1 (ko) 벽돌과 탄성 브래킷을 가지는 건식 벽체
KR20110007666U (ko)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KR101336663B1 (ko) 트러스 장치
KR100983930B1 (ko) 티형 pc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101079267B1 (ko) 티형 pc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100860422B1 (ko) 수평,수직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장치
KR200439943Y1 (ko) 점자 보도블록
KR102598025B1 (ko) 벽돌과 텐셔너를 가지는 건식 벽체
CN207567577U (zh) 一种减震轨枕
JP3768356B2 (ja) 型枠用セパレーター
JP2005213852A (ja) ガードレール用の基礎ブロック
KR102330324B1 (ko) 에이피씨 거더
KR20050105768A (ko)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JP3242273U (ja) 支持具
KR100974672B1 (ko) 절곡강판을 이용하여 댑단부가 보강된 피씨 보
KR102420049B1 (ko) 와이드보의 전도방지 구조를 갖는 기둥-보 접합부 구조
KR101251308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임베드 브라켓
KR101284435B1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JP5559854B2 (ja) 柱脚部構造及び柱脚部と横架材との連結装置
KR100644029B1 (ko) 수직 전단보강근의 기능을 가진 철근 받침대
KR101914232B1 (ko) 건축물의 보강구조 및 설치방법
KR200231222Y1 (ko)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간격 유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