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742B1 -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742B1
KR102617742B1 KR1020230044037A KR20230044037A KR102617742B1 KR 102617742 B1 KR102617742 B1 KR 102617742B1 KR 1020230044037 A KR1020230044037 A KR 1020230044037A KR 20230044037 A KR20230044037 A KR 20230044037A KR 102617742 B1 KR102617742 B1 KR 10261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generating device
vibration generating
shaf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8291A (ko
Inventor
아키히로 이이노
마사오 가스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5/00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converting oscillatory to rotary motion in time-pieces, i.e. electric or magnetic escapements
    • G04C5/005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 H02K5/167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around a fixed spindle;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direct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around a fixed spindle;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direct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rust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이 진동 발생 장치는,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선에 대해 편심된 무게 중심을 갖는 무게추를 구비한 로터와, 상기 로터에 삽입 통과 되어,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무게추보다 경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제1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로터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년 2월 2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7-029687호와, 2017년 11월 2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7-222993호의 양쪽 모두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출원의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는, 착신이나 다양한 정보 등을 유저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진동이 이용되고 있다. 이 진동을 발생하기 위해 진동 발생 장치(진동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5921743호 공보 참조).
일본국 특허 제5921743호 공보의 진동 발생 장치는, 로터와, 로터의 회전을 지지하는 스테이터와, 이들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납하는 커버를 구비한다. 로터는, 스테이터가 갖는 샤프트에 삽입되어 있다. 로터는, 로터의 무게 중심을 편심시키는 편심추를 갖고 있다. 커버는, 커버의 내면이 샤프트의 일단에 접촉한 상태로, 적어도 축방향의 일방측 및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로터 및 스테이터를 덮고 있다.
일본국 특허 제5921743호 공보의 진동 발생 장치에서는, 로터가 회전함으로써 무게추의 원심력이 작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있다. 일본국 특허 제5921743호 공보의 진동 발생 장치에서는, 커버의 내면이 샤프트의 일단에 접촉함으로써 로터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여 로터가 샤프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제5921743호 공보의 진동 발생 장치에서는, 커버에 의해 로터가 샤프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진동 발생 장치의 두께(축방향의 치수)가 커버의 두께, 및 커버와 로터의 간극만큼 커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선에 대해 편심된 무게 중심을 갖는 무게추를 구비한 로터와, 상기 로터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무게추보다 경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로터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진동 발생 장치와 같은 커버를 이용하지 않고, 로터가 샤프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양태의 진동 발생 장치는,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에 비해, 커버가 없는 분만큼 두께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 상기 로터의 높이 이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는, 규제부가 로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분만큼 두께를 더욱 얇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의 박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은,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 상기 로터의 높이 이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의 진동 발생 장치는, 샤프트가 로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분만큼 두께를 더욱 얇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의 박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무게추가 부착된 백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의 일부는, 상기 백 요크와 상기 축방향에서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로터가 축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규제부에 백 요크가 직접 접촉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백 요크와 샤프트의 사이에 끼여 있는 베어링의 이동을 규제부에 의해 규제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진동 발생 장치는, 무게추에 대해 보다 가까운 위치(즉 경방향에서 샤프트로부터 보다 떨어진 위치)에서 로터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가 샤프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 상기 로터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무게추의 설치 범위가 넓어지므로, 무게추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회전하는 로터에 작용하는 무게추의 원심력이 커진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의 박형화 및 진동 증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경방향의 외측 단부까지의 치수가 상기 로터의 최대 반경보다 작은 소경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는, 경방향에서의 소경부의 외측에 다른 기기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장치가 탑재되는 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경방향의 외측 단부까지의 치수가 상기 로터의 최대 반경보다 큰 대경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는,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대경부가 로터보다 돌출되므로, 진동 발생 장치를 탑재처의 기기에 부착할 때에, 대경부를 쥠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를 용이하게 드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탑재처의 기기에 용이하게 부착하는 진동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대경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대경부를 쥘 때에, 돌기부가 손가락이나 핀셋 등에 걸리기 쉬워져, 진동 발생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드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탑재처의 기기로의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의 각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박형화된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므로, 전자기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한 시인부와, 상기 시인부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가,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전자기기는, 로터가 회전하고 있는 모습을 유저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유저에 대해 진동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함과 더불어 시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전자기기는, 유저에 대한 정보의 전달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른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로터 및 상기 샤프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일부는, 상기 시인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전자기기는, 로터 및 샤프트가 시인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로터 및 샤프트 중 시인부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가 작아지므로,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박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양태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그들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계(1)(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시계(1)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1)는, 손목시계형의 아날로그식 전자 시계이다. 시계(1)는, 시계 본체(11)와, 시계 본체(11)에 부착된 밴드(12)를 구비한다.
시계 본체(11)는, 케이스(13)와, 케이스(13)의 표면에 설치된 유리(14)와, 유리(14)의 내측에 설치된 문자판(15)(시인부)과, 케이스(13) 내에 설치된 시계용의 부품을 구비한다. 문자판(15)은, 외부로부터 유리(14)를 통해 시인 가능하다. 문자판(15)에는, 시각을 표시하기 위한 숫자 등이 명시되어 있다. 문자판(15) 상에는, 복수의 바늘(16)(시침, 분침 및 초침)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문자판(15)에는, 구멍(17)(개구부)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3) 내에는, 시계용의 부품으로서 무브먼트 및 진동 발생 장치(2)가 수용되어 있다. 무브먼트는, 구동 유닛 및 배터리 등을 구비하며, 복수의 바늘(16)의 구동을 제어한다. 진동 발생 장치(2)는, 후술하는 로터(3)가 구멍(17)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진동 발생 장치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2)는, 브러시리스의 진동 발생 장치(브러시리스 모터)이다. 진동 발생 장치(2)는, 로터(3)와, 스테이터(4)와, 규제부(5)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로터(3)의 회전축선(C) 방향을 축방향이라고 칭함과 더불어 부호 Z를 붙이고, 축방향(Z)에 직교하여 회전축선(C)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즉 로터(3)의 경방향)을 경방향이라고 칭함과 더불어 부호 R을 붙인다. 회전축선(C) 둘레의 원주방향을 간단히 원주방향이라고 칭한다.
로터(3)는, 베어링(31)과, 백 요크(32)와, 자석(33)과, 무게추(34)를 구비한다. 로터(3)는, 경방향(R)에서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문자판(15)의 구멍(17) 내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3)는, 문자판(15)으로부터 유리(14)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멍(17)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베어링(31)은, 예를 들면 함유(含油) 베어링 등의 미끄럼 베어링이다. 베어링(3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축선(C)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백 요크(32)는, 환상으로 형성된 요크 본체(35)와, 요크 본체(35)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끼워맞춤 통부(36)와, 요크 본체(35)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부착부(37)를 구비하며,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요크 본체(35)는, 축방향(Z)에 직교하는 원환판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축선(C)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크 본체(35)는, 베어링(31)보다 축방향(Z)에서의 일방측(도 2에서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끼워맞춤 통부(36)는, 요크 본체(35)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Z)의 타방측(도 2에서의 하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끼워맞춤 통부(36)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통부(36) 내에는, 축방향(Z)에서의 베어링(31)의 일방측의 단부가 끼워맞춰져 있다. 부착부(37)는, 요크 본체(35)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경방향(R)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부착부(37)는, 무게추(34)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중심각이 약 180°인 부채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석(33)은, 백 요크(32)의 요크 본체(35)에서의 축방향(Z)의 타방측을 향하는 주면(37a) 상에 설치되어 있다.
무게추(34)는, 백 요크(32)의 부착부(37)에서의 축방향(Z)의 타방측을 향하는 주면(37a) 상에서, 자석(33)보다 경방향(R)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무게추(34)는,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무게추(34)는, 축방향(Z)에서 본 중심각이 예를 들면 약 18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게추(34)의 무게 중심은, 회전축선(C)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무게추(34)의 축방향(Z)에서의 치수는, 자석(33)의 축방향(Z)에서의 치수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무게추(34)의 재질로서는, 비중이 높은 금속인 텅스텐이 사용되고 있다. 무게추(34)는, 부착부(37)의 주면(37a)에 대해, 예를 들면 접착제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4)는, 샤프트(41)와, 베이스부(42)(지지판)와, 코일(43)과, 구동부(44)를 구비한다.
샤프트(41)는, 회전축선(C)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41)는, 베어링(31)에 삽입 통과되어, 베어링(31)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41)는, 로터(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샤프트(41)는, 축방향(Z)의 일방측의 제1 단부(41a)(일단)와, 축방향(Z)의 타방측의 제2 단부(41b)(타단)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41)의 제1 단부(41a)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3)의 높이 이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축방향(Z)에 있어서, 샤프트(41)의 제1 단부(41a)는, 로터(3)의 일방측의 단부와 같은 위치, 또는 로터(3)의 일방측의 단부보다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41)의 제1 단부(41a)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3)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즉, 샤프트(41)의 제1 단부(41a)는, 로터(3)에서의 축방향(Z)의 일방측의 단부보다 축방향(Z)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부(42)는, 축방향(Z)에서의 자석(33)을 사이에 두고 백 요크(32)의 요크 본체(35)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부(42)는, 케이스(13)(도 1 참조) 내에 배치된 회로 기판(비도시) 등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부(42)는, 축방향(Z)에 직교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42)는, 소경부(45) 및 대경부(46)를 구비하고 있다. 소경부(45)는, 베이스부(42)에서의 원주방향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소경부(45)는, 회전축선(C)으로부터 경방향(R)의 외측 단부까지의 치수가, 로터(3)의 최대 반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46)는, 베이스부(42)에서의 원주방향의 일부로서, 소경부(45)와는 다른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대경부(46)는, 회전축선(C)으로부터 경방향(R)의 외측 단부까지의 치수가, 로터(3)의 최대 반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42)의 중앙부에는, 샤프트 지지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지지구멍(47)은, 회전축선(C)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지지구멍(47)에는, 샤프트(41)에서의 축방향(Z)의 타방측의 제2 단부(41b)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코일(43)은, 베이스부(42)에서의 로터(3)의 자석(33)과 대향하는 주면(42a) 상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44)는, 베이스부(42)의 주면(42a) 상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44)는, 외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부(44)는, 코일(4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동부(44)는, 도시 생략의 홀 소자를 갖는다. 구동부(44)는, 그 홀 소자에 의해 로터(3)에 설치된 자석(33)의 극성을 검지하고, 검지한 극성에 따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제어하여 코일(43)에 공급한다. 코일(43)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43)에 자력이 발생한다. 코일(43)에 발생한 자력과, 자석(33)의 자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로터(3)가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에 따라 로터(3)에는, 무게추(34)의 원심력이 작용하여 진동이 발생한다.
규제부(5)는, 로터(3)의 축방향(Z)의 이동을 규제한다. 규제부(5)는, 예를 들면 너트 등이다. 규제부(5)는, 샤프트(41)의 제1 단부(41a)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규제부(5)는, 로터(3)의 축방향(Z)에서의 일방측(스테이터(4)와는 반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규제부(5)는, 로터(3)의 무게추(34)보다 경방향(R)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5)는, 백 요크(32)의 끼워맞춤 통부(36)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5)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3)의 높이 이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축방향(Z)에 있어서, 규제부(5)의 일방측의 단부는, 로터(3)의 일방측의 단부와 같은 위치, 또는 로터(3)의 일방측의 단부보다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5)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3)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즉, 규제부(5)는, 로터(3)에서의 축방향(Z)의 일방측의 단부보다 축방향(Z)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5)와 베어링(31)의 사이, 및 베어링(31)과 베이스부(42)의 사이에는, 각각 슬라이딩 링(6)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링(6)은,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링(6)의 외경은, 베어링(31)에서의 슬리이딩 링(6)에 대향하는 단면의 외경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슬라이딩 링(6)은 샤프트(41)에 삽입 통과되어, 샤프트(41)와 서로 끼워맞춰져 있다. 슬라이딩 링(6)은, 베어링(31)의 회전을 매끄럽게 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링(6)은, 폴리아세탈이나 나일론 등의 미끄럼성을 갖는 수지 재료 단체, 또는 상기 수지에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나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등의 고체 윤활제가 첨가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는, 무게추(34)보다 경방향(R)의 내측에 배치되고, 샤프트(41)의 제1 단부(41a)에 부착되어, 로터(3)의 축방향(Z)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5)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진동 발생 장치와 같은 커버를 이용하지 않고, 로터(3)가 샤프트(4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는,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에 비해 커버가 없는 분만큼 두께(축방향(Z)의 치수)를 작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2)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진동 발생 장치와 같은 커버의 배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에 비해, 로터(3)의 경방향(R)의 외측에 커버가 없는 분만큼, 축방향(Z)에서 본 진동 발생 장치(2)의 외형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의 배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2)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자석(33)이나 코일(43)을 크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2)의 고토크화가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는, 진동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의 배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부품 비용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고,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의 규제부(5)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3)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규제부(5)가 로터(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분만큼 진동 발생 장치(2)의 두께를 더욱 얇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2)의 박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의 샤프트(41)의 제1 단부(41a)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3)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41)가 로터(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분만큼 진동 발생 장치(2)의 두께를 더욱 얇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2)의 박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의 베이스부(42)는, 회전축선(C)으로부터 경방향(R)의 외측 단부까지의 치수가 로터(3)의 최대 반경보다 작은 소경부(45)를 갖는다. 이에 따라, 경방향(R)에서의 소경부(45)의 외측에, 다른 기기(시계용 부품)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장치(2)가 탑재되는 시계(1)(시계 본체(1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의 베이스부(42)는, 회전축선(C)으로부터 경방향(R)의 외측 단부까지의 치수가 로터(3)의 최대 반경보다 큰 대경부(46)를 갖는다. 이에 따라, 축방향(Z)에서 볼 때 대경부(46)가 로터(3)보다 돌출되므로, 진동 발생 장치(2)를 시계(1)에 부착할 때에, 대경부(46)를 쥠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2)를 용이하게 드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2)의 시계(1)로의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에서는, 샤프트(41)의 규제부(5)와 로터(3)의 사이에는 로터(3)의 회전을 매끄럽게 하는 슬라이딩 링(6)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2)는, 로터(3)의 회전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진동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베어링(31)과 베이스부(42)의 사이에 부착된 슬라이딩 링(6)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슬라이딩 링(6)의 외경은, 베어링(31)에서의 슬라이딩 링(6)에 대향하는 단면의 외경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링(6)이 로터(3)에서의 베어링(31) 이외의 부재(예를 들면 백 요크(32))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로터(3)의 회전 시에 로터(3)와 슬라이딩 링(6)의 사이에 발생하는 슬라이딩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계(1)는, 박형화된 진동 발생 장치(2)를 구비하므로, 시계(1)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시계(1)는, 종래 기술에서의 진동 발생 장치의 커버의 배치가 생략됨으로써, 시계(1)의 내부에서 로터(3)의 주위에 스페이스가 발생하므로, 이 스페이스에 시계용의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계(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3)가 문자판(15)의 구멍(17)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로터(3)가 회전하고 있는 모습을 유저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저에 대해 진동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함과 더불어 시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시계(1)는 유저에 대한 정보의 전달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계(1)에서는, 구멍(17)을 형성함으로써 내부 기구의 일부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시계(1)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3)는, 경방향(R)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문자판(15)의 구멍(17)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경방향(R)에서 볼 때 로터(3)와 문자판(15)이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로터(3)가 문자판(15)의 구멍(17) 내에 배치되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축방향(Z)에 있어서 문자판(15)과 진동 발생 장치(2)가 차지하는 영역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계(1)를 박형화할 수 있다.
로터(3)는, 바늘(16)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문자판(15)으로부터 바늘(16)측(유리(14)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에 따라, 로터(3)가 문자판(15)으로부터 바늘(16)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로터(3) 중 문자판(15)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가 작아지므로, 시계(1)를 더욱 박형화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02)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2)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102)는, 브러시리스의 진동 발생 장치이다. 진동 발생 장치(102)는, 로터(103)와, 스테이터(4)(도 2 참조)와, 규제부(5)를 구비한다.
로터(103)는, 베어링(31)과, 백 요크(132)와, 자석(33)과, 무게추(134)를 구비한다. 백 요크(132)는, 요크 본체(35)와, 끼워맞춤 통부(36)와, 요크 본체(35)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부착부(137)를 구비하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요크 본체(35)는, 경방향(R)에 있어서, 베어링(31)과의 사이에 단차가 없도록 배치되어 있다. 부착부(137)는, 요크 본체(35)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축방향(Z)의 일방측(도 3에서의 상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부착부(137)는, 무게추(134)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중심각이 약 180°인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무게추(134)는, 자석(33) 및 부착부(137)보다 경방향(R)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무게추(134)는,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무게추(134)는, 축방향(Z)에서 본 중심각이 예를 들면 약 18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게추(134)의 무게 중심은, 회전축선(C)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무게추(134)는, 부착부(137)의 외주면에 대해, 예를 들면 접착이나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무게추(134)는, 부착부(137)보다 축방향(Z)의 일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무게추(134)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도 2 참조)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103)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무게추(134)의 설치 범위가 넓어지므로, 무게추(134)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하는 로터(103)에 작용하는 무게추(134)의 원심력이 커진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102)는, 박형화 및 진동 증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무게추(134)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무게추(134)의 재질로서 텅스텐보다 비중이 가볍고, 염가이며 또한 가공이 용이한 구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규제부(5)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103)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축방향(Z)에 있어서, 규제부(5)의 일방측의 단부는, 로터(103)의 일방측의 단부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규제부(5)가 로터(10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분만큼, 진동 발생 장치(102)의 두께를 얇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102)의 박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샤프트(41)의 제1 단부(41a)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103)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축방향(Z)에 있어서, 샤프트(41)의 제1 단부(41a)는, 로터(103)의 일방측의 단부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41)가 로터(10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분만큼 진동 발생 장치(102)의 두께를 더욱 얇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102)의 박형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02)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202)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202)는, 브러시리스의 진동 발생 장치이다. 진동 발생 장치(202)는, 로터(203)와, 스테이터(4)(도 2 참조)와, 규제부(5)를 구비한다.
로터(203)는, 베어링(31)과, 백 요크(232)와, 자석(33)과, 무게추(234)를 구비한다. 백 요크(232)는, 요크 본체(35)와, 끼워맞춤 통부(36)를 구비하고,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요크 본체(35)는, 경방향(R)에 있어서, 베어링(31)과의 사이에 단차가 없도록 배치되어 있다.
무게추(234)는, 요크 본체(35)에서의 축방향(Z)의 일방측(도 4에서의 상방측)을 향하는 주면(237a) 상에 설치되어 있다. 무게추(234)는,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무게추(234)는, 축방향(Z)에서 본 중심각이 예를 들면 약 18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게추(234)의 무게 중심은, 회전축선(C)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무게추(234)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도 2 참조)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203)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무게추(234)의 설치 범위가 넓어지므로, 무게추(234)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하는 로터(203)에 작용하는 무게추(234)의 원심력이 커진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202)는, 박형화 및 진동 증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그 외의 작용 효과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302)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302)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302)는 브러시리스의 진동 발생 장치이다. 진동 발생 장치(302)는, 로터(303)와, 스테이터(4)(도 2 참조)와, 규제부(5)를 구비한다.
로터(303)는, 베어링(31)과, 백 요크(232)와, 자석(33)과, 무게추(334)를 구비한다. 무게추(334)는, 제1 추부(334a)와, 제2 추부(334b)를 구비한다. 제1 추부(334a)는, 자석(33) 및 백 요크(232)보다 경방향(R)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추부(334a)는,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추부(334a)는, 축방향(Z)에서 본 중심각이 예를 들면 약 18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추부(334a)는, 백 요크(232)에 대해 축방향(Z)의 일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추부(334b)는, 요크 본체(35)에서의 축방향(Z)의 일방측(도 5에서의 상방측)을 향하는 주면(337a)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추부(334b)는,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추부(334b)는, 축방향(Z)에서 본 중심각이 예를 들면 약 18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추부(334b)는, 제1 추부(334a)와 경방향(R)에서 겹치도록 배치되며, 제1 추부(334a)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게추(334)의 무게 중심은, 회전축선(C)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무게추(334)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도 2 참조)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303)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이에 따라 무게추(234)의 설치 범위가 넓어지므로, 무게추(334)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하는 로터(303)에 작용하는 무게추(334)의 원심력이 커진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302)는, 박형화 및 진동 증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그 외의 작용 효과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진동 발생 장치(402)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402)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402)는, 브러시가 달린 진동 발생 장치(브러시가 달린 진동 모터)이다. 진동 발생 장치(402)는, 로터(403)와, 스테이터(404)와, 규제부(5)를 구비한다.
로터(403)는, 베어링(31)과, 회로 기판(432)과, 코일(439)과, 무게추(434)를 구비한다.
회로 기판(432)은, 베어링(31)에서의 축방향(Z)의 타방측(도 6에서의 하방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코일(439)은, 회로 기판(432)에서의 축방향(Z)의 일방측(도 6에서의 상방측)을 향하는 주면(437a) 상에 설치되어 있다. 코일(439)은, 회로 기판(4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무게추(434)는, 코일(439)보다 경방향(R)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무게추(434)는,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무게추(434)는, 축방향(Z)에서 본 중심각이 예를 들면 약 180°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게추(434)의 무게 중심은, 회전축선(C)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무게추(434)는, 회로 기판(432)에 대해, 예를 들면 접착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무게추(434)는, 샤프트(41)의 제2 단부(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로터(403)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스테이터(404)는, 샤프트(41)와, 베이스부(42)와, 자석(445)과, 브러시(446)를 구비한다. 자석(445)은, 베이스부(42)에서의 로터(403)와 대향하는 주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브러시(446)는, 베이스부(42)와 회로 기판(4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브러시(446)는, 정류자 및 회로 기판(432)을 통해 코일(43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브러시(446)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원으로부터 브러시(446), 정류자 및 회로 기판(432)을 통해 코일(439)에 전류가 공급되면 로터(403)가 회전축선(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에 따라 회전하는 로터(403)에는, 무게추(434)의 원심력이 작용하여 진동이 발생한다.
진동 발생 장치(402)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와 동일하게 로터(403)의 축방향(Z)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진동 발생 장치(402)는, 종래 기술의 진동 발생 장치와 같은 커버를 이용하지 않고, 로터(403)가 샤프트(4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장치(402)는,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에 비해 커버가 없는 분만큼 두께(축방향(Z)의 치수)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402)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외의 작용 효과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2)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502)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제6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505)와 베어링(31)의 사이에 슬라이딩 링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또, 제6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505)가 백 요크(32)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502)는 브러시리스의 진동 발생 장치이다. 진동 발생 장치(502)는, 로터(3)와, 스테이터(504)와, 규제부(505)를 구비한다.
스테이터(504)는, 샤프트(541)와, 베이스부(542)와, 코일(43)과, 구동부(44)를 구비한다. 샤프트(541)는, 회전축선(C)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541)는, 베어링(31)에 삽입 통과되어, 베어링(31)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541)는, 로터(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샤프트(541)는, 축방향(Z)의 일방측(도 7에서의 상방측)의 제1 단부(541a)(일단)와, 축방향(Z)의 타방측(도 7에서의 하방측)의 제2 단부(541b)(타단)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541)의 제1 단부(541a)는, 샤프트(541)의 제2 단부(5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적어도 백 요크(32)의 끼워맞춤 통부(36)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즉, 축방향(Z)에 있어서, 샤프트(541)의 제1 단부(541a)는, 적어도 백 요크(32)의 끼워맞춤 통부(36)보다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부(542)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베이스부(42)에 돌기부(548)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돌기부(548)는, 대경부(46)로부터 베이스부(542)의 두께 방향(축방향(Z))을 따라 로터(3)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548)는, 대경부(46)가 설치된 범위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축방향(Z)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대경부(46)가 설치된 범위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돌기부(548)는, 대경부(46)가 설치된 범위에서 단편적(斷片的)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돌기부(548)와 회전축선(C)의 최소 이격 거리는, 로터(3)의 최대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502)는, 로터(3)의 최대 반경부가 원주방향에 있어서 돌기부(548)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여도, 축방향(Z)에서 보았을 때에 로터(3)와 돌기부(54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규제부(505)는, 로터(3)의 축방향(Z)의 이동을 규제한다. 규제부(505)는, 예를 들면 너트 등이다. 규제부(505)는, 샤프트(541)의 제1 단부(541a)에 고정되어 있다. 규제부(505)는, 로터(3)의 축방향(Z)에서의 일방측(스테이터(4)의 코일(43)과는 반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규제부(505)는, 로터(3)의 무게추(34)보다 경방향(R)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505)는, 샤프트(541)의 제2 단부(541b)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백 요크(32)의 요크 본체(3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505)는, 백 요크(32)의 끼워맞춤 통부(36)의 내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505)의 일부는, 백 요크(32)와 축방향(Z)에서 대향한다. 규제부(505)는, 백 요크(32)의 요크 본체(35)에 대해 축방향(Z)에서 이격하여, 로터(3)의 회전 시에 백 요크(32)에 슬라이딩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진동 발생 장치(502)는, 로터(3) 및 샤프트(541)의 일부가 문자판(15)으로부터 유리(14)(도 1 참조)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멍(17)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진동 발생 장치(502)는, 바늘(16)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502)는, 로터(3) 및 샤프트(541)가 문자판(15)으로부터 유리(14)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로터(3) 및 샤프트(541) 중 문자판(15)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가 작아지므로, 진동 발생 장치(502)를 구비하는 시계를 더욱 박형화할 수 있다.
베이스부(542)는, 대경부(46)로부터 베이스부(542)의 두께 방향을 따라 로터(3)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돌기부(548)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대경부(46)를 잡을 때에, 돌기부(548)가 손가락이나 핀셋 등에 걸리기 쉬워져, 진동 발생 장치(502)를 보다 용이하게 드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진동 발생 장치(502)의 시계로의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로터(3)의 최대 반경부가 원주방향에 있어서 돌기부(548)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여도, 축방향(Z)에서 보았을 때에 로터(3)와 돌기부(548)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로터(3)의 위치에 상관없이, 돌기부(548)보다 회전축선(C)측으로 손가락이나 핀셋 등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장치(502)를 보다 용이하게 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규제부(505)의 일부는, 백 요크(32)와 축방향(Z)에서 대향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3)가 축방향(Z)으로 이동했을 때에, 규제부(505)에 백 요크(32)가 직접 접촉한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502)는, 규제부에 의해 베어링(31)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무게추(34)에 대해 보다 가까운 위치(즉 경방향에서 샤프트(541)로부터 보다 떨어진 위치)에서 로터(3)의 축방향(Z)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3)가 샤프트(541)로부터 빠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502)는, 브러시리스 모터이므로, 자석(33)과 코일(43)의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로터(3)가 스테이터(504)에 흡인된다. 이 때문에, 진동 발생 장치(502)는, 로터(3)를 사이에 두고 스테이터(504)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로터(3)에 직접 또는 슬라이딩 링을 통해 항상 접촉하는 규제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단, 진동 발생 장치(502)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등에 로터(3)가 샤프트(54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평상시에는 로터(3)로부터 이격된 규제부(50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을 정도의 설계적 변경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5)로서 너트를 샤프트(41)의 일단에 고정하고 있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규제부를 환상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샤프트(41)를 삽입하여 접착이나 용접 등으로 고정해도 되고, 규제부를 샤프트(41)와 일체 구조로 해도 된다. 또, 규제부를 C링에 의해 구성하여 샤프트(41)에 코킹해도 되고, 샤프트(41)에 나사 결합된 나사의 머리에 의해 규제부를 구성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링(6)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슬라이딩 링(6)을 사용하지 않고 규제부(5)에 미끄럼성을 갖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규제부(5)를 수지로 형성하거나, 금속제의 규제부(5)에 미끄럼성을 갖는 도금(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니켈 도금 등)을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여도, 규제부(5)의 외경을, 베어링(31)에서의 규제부(5)에 대향하는 단면의 외경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로터의 회전 시에 로터와 규제부(5)의 사이에 발생하는 슬라이딩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케이스(13)나 문자판(15)을 투명한 부재로 형성하고, 내부 구조를 시인할 수 있도록 시계(1)을 구성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시계(1)에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를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휴대전화, 스마트 워치, 태블릿, VR용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휴대 게임기 등의 전자기기에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를 적용해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고,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1 : 시계(전자기기)
2, 102, 202, 302, 402, 502 : 진동 발생 장치
3, 103, 203, 303, 403 : 로터
5 : 규제부
15 : 문자판(시인부)
17 : 구멍(개구부)
32 : 백 요크
34, 134, 234, 334, 434 : 무게추
41, 541 : 샤프트
41a, 541a : 제1 단부(일단)
41b, 541b : 제2 단부(타단)
42 : 베이스부(지지판)
45 : 소경부
46 : 대경부
548 : 돌기부
C : 회전축선
R : 경방향
Z : 축방향

Claims (10)

  1.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선에 대해 편심된 무게 중심을 갖는 무게추를 구비한 로터와,
    슬라이딩 링과,
    상기 로터 및 상기 슬라이딩 링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무게추보다 경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부착되어, 상기 로터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 및 상기 샤프트의 일단은,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 상기 로터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평탄한 상면에, 상기 로터의 베어링이, 상기 슬라이딩 링을 통해 상기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진동 발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무게추가 부착된 백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의 일부는, 상기 백 요크와 상기 축방향에서 대향하는, 진동 발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 상기 로터에서의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 발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경방향의 외측 단부까지의 치수가 상기 로터의 최대 반경보다 작은 소경부를 갖는, 진동 발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경방향의 외측 단부까지의 치수가 상기 로터의 최대 반경보다 큰 대경부를 갖는, 진동 발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대경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돌기부를 구비하는, 진동 발생 장치.
  7. 청구항 1에 기재된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한 시인부와,
    상기 시인부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터 및 상기 샤프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일부는, 상기 시인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전자기기.
  10. 삭제
KR1020230044037A 2017-02-21 2023-04-04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 KR102617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9687 2017-02-21
JPJP-P-2017-029687 2017-02-21
JPJP-P-2017-222993 2017-11-20
JP2017222993A JP7232572B2 (ja) 2017-02-21 2017-11-20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0180017751A KR20180096514A (ko) 2017-02-21 2018-02-13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51A Division KR20180096514A (ko) 2017-02-21 2018-02-13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291A KR20230048291A (ko) 2023-04-11
KR102617742B1 true KR102617742B1 (ko) 2023-12-27

Family

ID=633661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51A KR20180096514A (ko) 2017-02-21 2018-02-13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
KR1020230044037A KR102617742B1 (ko) 2017-02-21 2023-04-04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51A KR20180096514A (ko) 2017-02-21 2018-02-13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7232572B2 (ko)
KR (2) KR2018009651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704A (ja) * 1999-08-31 2001-03-16 Seiko Instruments Inc 電動機及びそのロータのバランス調整方法
JP2006094571A (ja) * 2004-09-21 2006-04-06 Tokyo Parts Ind Co Ltd 振動モータ
US20110298320A1 (en) * 2010-06-07 2011-12-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lat type vibration mo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37Y2 (ja) * 1989-02-13 1995-04-19 セイコー電子工業株式会社 振動アラーム付腕時計
JPH02107089A (ja) * 1988-10-15 1990-04-19 Sony Corp 画像表示の補正波形データ移相処理装置
JP3229560B2 (ja) * 1997-02-27 2001-11-19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扁平な外転型コアード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2002317816A (ja) * 2001-04-19 2002-10-31 Ngk Spark Plug Co Ltd セラミック動圧軸受、軸受付きモータ、ハードディスク装置、ポリゴンスキャナ及びセラミック動圧軸受の製造方法
JP2002219409A (ja) 2001-01-24 2002-08-06 Victor Co Of Japan Ltd 振動型コア付ブラシレスモ−タ
JP2006094644A (ja) * 2004-09-24 2006-04-06 Nidec Copal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WO2012008248A1 (ja) 2010-07-12 2012-01-19 三洋精密株式会社 扁平形振動モータ
JP6247113B2 (ja) * 2014-02-20 2017-12-13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6470552B2 (ja) * 2014-11-19 2019-02-13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704A (ja) * 1999-08-31 2001-03-16 Seiko Instruments Inc 電動機及びそのロータのバランス調整方法
JP2006094571A (ja) * 2004-09-21 2006-04-06 Tokyo Parts Ind Co Ltd 振動モータ
US20110298320A1 (en) * 2010-06-07 2011-12-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lat type vibration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514A (ko) 2018-08-29
JP7241135B2 (ja) 2023-03-16
JP2021183335A (ja) 2021-12-02
KR20230048291A (ko) 2023-04-11
JP7232572B2 (ja) 2023-03-03
JP2018137973A (ja)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3707B2 (en) Motor having an encoder to detect rotation of a rotating body
US8378539B2 (en) Flat vibration motor
US9979258B2 (en) Vibration motor
KR101022945B1 (ko)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JP2008172994A (ja) ファン及びそのモーター
CN108462306B (zh) 振动产生装置和电子设备
JP2017034865A (ja) 振動モータ
KR102617742B1 (ko)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
JP2011211840A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
JP7062412B2 (ja) 電子機器および振動発生装置
JP7109948B2 (ja)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385846B1 (ko)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기기
US10320264B2 (en) Brushless motor
TWI364903B (ko)
JP2019068524A (ja) モータ
JP7058109B2 (ja) 電子機器
JP2019068525A (ja) モータ
KR100489830B1 (ko) 브러쉬리스타입 진동모터
KR101665014B1 (ko) 진동 발생장치
KR100631881B1 (ko) 회전부하를 감소시킨 편평형 진동모터
JP2501767Y2 (ja) 負荷付き秒針の電力供給装置
JP2019132684A (ja) 電波時計
JP2017044539A (ja) ムーブメントおよび時計
KR20130015871A (ko) 편평형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