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878B1 - 분할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분할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878B1
KR102615878B1 KR1020160102270A KR20160102270A KR102615878B1 KR 102615878 B1 KR102615878 B1 KR 102615878B1 KR 1020160102270 A KR1020160102270 A KR 1020160102270A KR 20160102270 A KR20160102270 A KR 20160102270A KR 102615878 B1 KR102615878 B1 KR 102615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dy
door
fixed
cutting line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264A (ko
Inventor
타츠아키 남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7002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E06B3/4415Double-hung, i.e. with two vertical slid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2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with rectilinearly-moving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5Sectional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 승강 시의 구동 부하의 변동을 저감하고, 적은 구동 토크로 원활한 승강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 도어 구조를 제공한다.
좌우의 프레임체(2) 각각에 부착된 상하 1쌍의 풀리(7)와, 상기 상하 1쌍의 풀리(7)에 권취된 제 1 삭조(8)와, 상기 제 1 삭조(8)에 고정되고 상기 풀리(7)의 회전에 의해 제 1 안내 부재(10)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1 도어체(3)와, 상기 제 1 도어체(3)에 중첩하도록 배치된 제 2 안내 부재(11)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2 도어체(4)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체(2)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도어체(3)에 고정된 제 2 삭조(9)와, 상기 제 2 삭조(9)로 지지되고 상기 제 2 도어체(4)에 고정된 활차(14)와, 상기 상하 1쌍의 풀리(7)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부(16)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분할 도어 구조{DIVIDED DOOR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 등의 출입구나 통로 등에 설치되는 도어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도어가 연동해서 승강함으로써 개폐 상태가 스위칭되는 분할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홈의 상부에 설치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서로 슬라이딩해서 포개진 상태에서 수납되는 상하 복수단의 도어로 이루어지고, 최하단의 도어의 선단부에는 상승시에 상단의 도어의 하단에 결합이 가능한 스토퍼가 부착됨과 아울러, 최하단의 도어를 구동시킴으로써 각 도어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플랫폼에 적용되는 가드 펜스가 개시되어 있다.
통상은 상하 복수단의 도어가 하강해서 플랫폼의 열차 승강측 단부가 폐쇄되고 있고, 열차의 입선 정지 후에, 상기의 각 상하 복수단의 도어가 상승해서 격납 상자내에 수납됨으로써 플랫폼의 열차 승강측이 개방된다.
최하단의 도어의 선단부에는 상단의 도어의 하단에 결합이 가능한 스토퍼가 부착되고, 게다가 최하단의 도어를 구동시킴으로써 각 도어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최하단의 도어를 상승시키면 그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스토퍼가 상단의 도어의 하단부에 결합해서 상단의 도어를 동시에 끌어 올리고, 이것을 함께 격납 상자내에 격납하는 것이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통로를 막는 규제 부재를, 그 통로의 통행을 저지하는 하강 위치와 저지하지 않는 상승 위치의 사이를 상하로 승강시켜서 이루어지는 게이트 장치이고, 상기 규제 부재의 좌우 양 단부를 상하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각 가이드 부재의 상방에 각각 체인 또는 톱니형 벨트(toothed belt)로 이루어지는 장척상 연결 지지체가 걸어 맞춰 돌아가는 전동 기어를 설치하고, 각 연결 지지체의 일단측에, 상기 규제 부재를 연결시킴과 아울러 각 연결 지지체의 타단측에 밸런스 웨이트를 설치하고, 좌우의 전동 기어를 서로 연계해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규제 부재를 복수단의 분할 부재로 구성하고, 하측의 분할 부재가 상승해서 상측의 분할 부재와 겹치는 위치에서, 상기 상측의 분할 부재에 결합하여 서로 일체화하는 록킹편을 설치한 구성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효과로서, 규제 부재를 복수단의 분할 부재로 구성하고, 하측의 분할 부재가 상승해서 상측의 분할 부재와 겹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의 분할 부재에 결합해서 서로 일체화하는 록킹편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폐쇄 상태에 있어서는 복수단의 분할 부재에 의해 일정 높이의 진입 규제 효과가 얻어지과 동시에, 상승한 개방 상태에 있어서는 겹친 상태에서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규제 부재를 대피시킬 수 있고, 상방에 공간이 없는 통로에 있어서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거론되고 있다.
일본실용신안등록 제259360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6-26601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가드 펜스는 최하단의 도어를 상승시키면, 그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스토퍼가 상단의 도어의 하단부에 결합해서 상단의 도어를 동시에 들어 올리고, 이것을 모두 격납 상자내에 격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토퍼가 상단의 도어의 하단부에 결합한 순간에, 상단의 도어의 하중이 구동 부하로서 가해져, 구동 부하가 불연속으로 크게 변동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게이트 장치도, 상기 규제 부재를 복수단의 분할 부재로 구성하고, 하측의 분할 부재가 상승해서 상측의 분할 부재와 겹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의 분할 부재에 결합해서 서로 일체화하는 로킹편을 설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하측의 분할 부재가 상승해서 상측의 분할 부재에 결합했을 때에, 구동 수단에 걸리는 구동 부하가 불연속으로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술의 가드 펜스 및 게이트 장치에서는 도어 또는 규제 부재의 상승 국면에 있어서, 구동 부하가 불연속으로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원활한 상승 동작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순간적으로 생기는 구동 부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서 필요 이상으로 구동 토크가 큰 구동 수단을 준비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어 승강시의 구동 부하의 변동을 저감하고, 작은 구동 토크로 원활한 승강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할 도어 구조의 제 1 특징 구성은 특허청구범위의 서류의 청구항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좌우의 프레임 각각에 부착된 상하 1쌍의 풀리와, 상기 상하 1쌍의 풀리에 권취된 제 1 삭조(索條)와, 상기 제 1 삭조에 고정되고 상기 풀리의 회전에 의해 제 1 안내 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1 도어체와, 상기 제 1 도어체에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안내 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2 도어체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도어체에 고정된 제 2 삭조와, 상기 제 2 삭조로 지지되고 상기 제 2 도어체에 고정된 활차와, 상기 상하 1쌍의 풀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풀리에 권취된 제 1 삭조에 고정된 제 1 도어체는 구동부가 구동하는 풀리의 회전에 의해 승강한다. 그리고, 제 2 도어체에 고정된 활차를 지지하고 일단이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1 도어체에 고정된 제 2 삭조의 타단이, 제 1 도어체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기 때문에 제 2 도어체는 제 1 도어체에 종동해서 승강한다.
그 때문에 도어 승강시의 제 1 도어체와 제 2 도어체에는 불연속인 움직임이 없고, 도어 승강시의 구동 부하의 변동이 작다. 따라서, 작은 구동 토크로 도어의 원활한 승강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도어체에 중첩하도록 배치된 제 2 도어체는 제 1 도어체가 상승하면 종동해서 상승하고, 제 1 도어체가 하강하면 종동해서 하강하기 때문에, 제 1 도어체와 제 2 도어체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의 어느 것에도 폐쇄 상태가 실현된다.
제 2 도어체에 고정된 활차는 가동 활차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승강시에 있어서의 제 2 도어체의 이동 거리는 제 1 도어체의 이동 거리의 1/2이 된다. 그 때문에 제 1 도어체와 제 2 도어체의 상하폭을 조정함으로써,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도어체와 제 2 도어체의 중첩을 작게 할 수 있다.
동 제 2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의 제 1 특징 구성에 더해서, 밸런스 웨이트가 상기 제 1 삭조에 고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밸런스 웨이트는 제 1 삭조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도어체 및 제 1 도어체에 종동하는 제 2 도어체와 밸런스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부에 필요한 구종 토크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중량이 큰 도어체이어도 도어의 승강이 용이해진다
동 제 3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의 제 2 특징 구성에 더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제 1 도어체의 중량과 상기 제 2 도어체의 1/2의 중량을 가산한 중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 2 도어체에 고정된 활차는 가동 활차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2 도어체에 고정된 활차를 지지하여 일단이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1 도어체에 고정된 제 2 삭조의 타단에는 제 2 도어체의 1/2의 중량이 가해진다. 그리고, 제 1 삭조에는 제 2 삭조의 타단이 고정된 제 1 도어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1 도어체의 중량과 제 2 도어체의 1/2의 중량을 가산한 중량이 가해진다. 따라서, 밸런스 웨이트를 제 1 도어체의 중량과 제 2 도어체의 1/2의 중량을 가산한 중량으로 설정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는 제 1 삭조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도어체 및 제 1 도어체에 종동하는 제 2 도어체와 밸런스하고, 구동부에 필요한 구동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동 제 4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의 제 1∼제 3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더해서, 상기 제 2 도어체의 승강시에 상기 활차가 상기 제 2 삭조의 상기 프레임체로의 고정 위치 및 상기 제 1 도어체로의 고정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도어체의 측부 하방으로 돌출하는 산형강의 측부에 상기 활차가 고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제 2 도어체의 상단 또는 하단을 소정의 위치에 설정하고,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도어체와 제 2 도어체의 중첩을 작게 설정하기 위한 제 2 도어체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동 제 5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의 제 1∼제 4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더해서, 상기 제 1 도어체 및 상기 제 2 도어체는 상하폭이 동 사이즈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도어체 및 제 2 도어체로 광범위한 폐쇄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제 1 도어체 및 제 2 도어체의 수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동 제 6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의 제 1∼제 5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더해서, 상기 제 1 도어체 및 상기 제 2 도어체는 개방 상태에서 상단 및/또는 하단이 동일 높이 면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 1 도어체 및 제 2 도어체의 수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동 제 7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의 제 1∼제 6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더해서, 상기 제 2 도어체는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제 1 도어체와 중첩하고,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 1 도어체와의 상대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제 1 도어체의 이동 속도의 1/2의 이동 속도로 상기 제 1 도어체에 종동해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 2 도어체는 제 1 도어체의 이동 속도의 1/2의 이동 속도로 제 1 도어체에 종동해서 승강하기 때문에, 제 2 도어체가 제 1 도어체와는 독립한 불연속인 움직임을 하는 경우가 없다. 그 때문에 구동 부하가 불연속으로 증감하지 않아 안정하므로, 구동부의 구동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동 제 8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의 제 1∼제 7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더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와, 감속 기구를 통하여 상기 샤프트를 구동하는 구동기를 구비해서 구성되고, 상기 상하 1쌍의 풀리 중 구동측의 풀리가 상기 샤프트에 감입 고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동측의 풀리가 샤프트에 감입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의 프레임체의 각각에 부착된 좌우의 구동측의 풀리는 샤프트를 통하여 연동한다. 그리고, 좌우의 구동측의 풀리는 좌우의 제 1 삭조를 권취하고, 좌우의 제 1 삭조에 고정된 제 1 도어체를 승강한다. 그 때문에 좌우의 구동측의 풀리에 걸리는 하중 부하는 균등해지고, 감속 기구를 통하여 샤프트를 구동하는 구동기의 구동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동 제 9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의 제 8 특징 구성에 더해서, 상기 샤프트 또는 상기 구동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도어체를 승강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제어부는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도어체 또는 제 2 도어체의 부하 변동을 검지하면, 상기 구동기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 1 도어체의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제 1 도어체 또는 제 2 도어체에 사람이나 물체가 접촉하는 것에 의한 부하 변동의 검지도 가능하다. 그 때문에 부하 변동을 검지한 경우에 즉시 구동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제 1 도어체 및 제 2 도어체의 승강 동작을 정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한다.
동 제 10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의 제 1∼제 9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더해서,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 1 도어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삭조에 고정되고 상기 풀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안내 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3 도어체와, 상기 제 3 도어체에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안내 부재와는 다른 안내 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4 도어체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3 도어체에 고정된 제 3 삭조와, 상기 제 3 삭조로 지지되고 상기 제 4 도어체에 고정된 제 2 활차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제 1 도어체∼제 4 도어체의 수납부의 하방이 제 1 도어체와 제 2 도어체에 의하여 폐쇄 상태가 되어 있는 때에는 제 3 도어체와 제 4 도어체를 중첩해서 수납부에 수납하여 수납부의 상방을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제 1 도어체와 제 2 도어체가 중첩해서 수납부에 수납되어 수납부의 하방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때에는 수납부의 상방을, 제 3 도어체와 제 4 도어체에 의하여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수납부의 상방과 하방의 개폐 상태를 연동해서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 제 11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 1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술의 제 1 또는 제 2 특징 구성에 더해서, 상기 제 2 도어체에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제 3 안내 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5 도어체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도어체에 고정된 제 4 삭조와, 상기 제 4 삭조로 지지되고 상기 제 5 도어체에 고정된 제 3 활차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제 1 도어체, 제 2 도어체 및 제 5 도어체의 3개의 도어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5 도어체에 고정된 제 3 활차는 가동 활차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5 도어체는 제 2 도어체의 이동 속도의 1/2의 이동 속도로 제 2 도어체에 종동해서 승강하고, 제 5 도어체의 이동 거리는 제 2 도어체의 이동 거리의 1/2이 된다. 그 때문에 제 2 도어체 및 제 5 도어체 상하폭을 제 1 도어체 상하폭의 1/2로 설정함으로써,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도어체, 제 2 도어체 및 제 5 도어체에 의해 광범위한 폐쇄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밸런스 웨이트를 제 1 도어체의 중량과 제 2 도어체의 1/2의 중량과 제 5 도어체의 1/4의 중량을 가산한 중량으로 설정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는 제 1 도어체, 제 2 도어체 및 제 5 도어체와 밸런스하고, 구동부에 필요한 구동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승강시의 구동 부하의 변동을 저감하고, 작은 구동 토크로 원활한 승강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 도어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개방 상태의 정면도이고, (b)는 동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개방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폐쇄 상태의 정면도이고, (b)는 동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폐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 도어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개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b)는 동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중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c)는 동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폐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개방 상태의 정면도이고, (b)는 동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개방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폐쇄 상태의 정면도이고, (b)는 동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폐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개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b)는 동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중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c)는 동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폐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2세트의 분할 도어로 구성된 상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3분할의 분할 도어로 구성된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개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b)는 동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중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c)는 동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의 폐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분할 도어 구조의 일례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b)는 프레임체(2)가 좌우에 있고, 프레임체(2)에 끼워진 상부측에는 제 1 도어체(3)과 제 2 도어체(4)가 수납되는 수납부(5)가 있고, 하부측은 직사각형상으로 개구하고 있다. 개방 상태에서는 수납부(5)에는 제 1 도어체(3)와 제 2 도어체(4)가 중첩하도록 하여 수납된다. 하부측의 개구부(6)의 상하폭은, 제 1 도어체(3)의 상하폭에 제 2 도어체(4)의 상하폭을 가한 것보다 약간 작아지고 있고, 또한 하부측의 개구부(6)의 좌우 폭은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의 좌우폭보다 약간 작아져 있다.
좌우의 프레임체(2)에는 각각 상하 1쌍의 풀리(7)가 부착되어 있다. 상하 1쌍의 풀리(7)에는 제 1 삭조(8)가 권취되어 있다. 또한, 제 1 삭조(8)로서는 벨트 또는 톱니상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하 1쌍의 풀리(7)를 구동하는 구동부(16)(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지만 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좌우의 프레임체(2)에는 제 1 안내 부재(10)(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 1 안내 부재(10)를 따라 제 1 도어체(3)가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우의 프레임체(2)에는 제 2 안내 부재(11)(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 2 안내 부재(11)를 따라 제 2 도어체(4)가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도어체(3)는 금속제의 직사각형의 평판상이고, 평면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도어체(3)의 좌우의 측면 상방에는 제 1 삭조(8)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2)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도어체(3)의 고정판(12)에 고정된 제 1 삭조(8)가 풀리(7)의 회전에 의해 권취됨으로써 제 1 도어체(3)는 제 1 안내 부재(10)를 따라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 1 도어체(3)는 상방의 수납부(5)로부터 하방의 개구부(6) 하단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도어체(4)는 금속제로 제 1 도어체(3)와 상하폭이 동 사이즈의 대략 동일 형상이다. 제 2 도어체(4)는 제 1 도어체(3)와 마찬가지로, 평면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개방 상태에서는 제 1 도어체(3)와 중첩하도록 하여 수납부(5)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는 개방 상태에서 하단이 동일 높이 면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도어체(4)의 좌우에는 측부 하방으로 돌출하는 산형강(13)이 설치되어 있고, 산형강(13)의 측부에는 활차(14)가 고정되어 있다. 활차(14)에는 활차(14)를 지지하도록 제 2 삭조(9)가 권취되어 있다. 제 2 삭조(9)의 일단은 프레임체(2)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1 도어체(3)의 고정판(1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도어체(4)의 승강시에 활차(14)는 제 2 삭조(9)의 프레임체(2)로의 고정 위치 및 제 1 도어체(3)로의 고정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도어체(3)의 승강에 따라서, 제 1 도어체(3)의 고정판(12)에 고정된 제 2 삭조(9)의 타단이 승강하면, 제 2 삭조(9)에 지지된 활차(14)가 부착된 제 2 도어체(4)는 제 1 도어체(3)에 종동해서 승강한다. 제 2 삭조(9)로 지지된 활차(14)는 가동 활차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2 도어체(4)의 이동 거리는 제 1 도어체(3)의 이동 거리의 1/2이 된다.
밸런스 웨이트(15)가 제 1 삭조(8)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삭조(8)에 고정된 밸런스 웨이트(15)와, 동일하게 제 1 삭조(8)에 고정된 제 1 도어체(3) 및 제 1 도어체(3)에 종동하는 제 2 도어체(4)가 상부의 풀리(7a)를 통하여 밸런스하도록 되어 있다. 즉, 밸런스 웨이트(15)는 제 1 도어체(3)의 중량과 제 2 도어체(4)의 1/2의 중량을 가산한 중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2(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b)의 폐쇄 상태에서는 제 1 도어체(3)는 제 1 도어체(3)의 하단이 개구부(6) 하단보다 약간 하방이 되도록 하강하고 있다. 제 2 도어체(4)의 이동 거리는 제 1 도어체(3)의 이동 거리의 1/2이므로, 제 2 도어체(4)의 하단과 제 1 도어체(3)의 상단이 개구부(6) 중앙부에서 약간 중첩하도록 제 2 도어체(4)는 하강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도어체(3)와 제 2 도어체(4)로 개구부(6) 전면이 폐쇄되어 있다.
도 5(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a)에서는 프레임체(2)에 끼워진 하부측에, 제 1 도어체(3)와 제 2 도어체(4)가 수납되는 수납부(5)가 있고, 상부측이 직사각형상으로 개구하고 있는 점에서, 상술의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b)와 다르다. 그리고,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는 개방 상태에서 상단이 동일 높이 면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5)를 하부측에 배치한 경우에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제 2 도어체(4)의 하방의 스페이스가 작아지므로, 제 2 도어체(4)의 좌우의 측부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산형강(13)의 돌출부(13a)를 작게 한 상에서 산형강(13)의 측부에 활차(14)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제 1 삭조(8) 및 제 2 삭조(9)를 고정하는 제 1 도어체(3)의 고정판(12)은 제 1 도어체(3)의 좌우의 측면 상방이 아닌 측면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단,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b)와 같이, 제 2 도어체(4)의 승강시에 활차(14)는 제 2 삭조(9)의 프레임체(2)로의 고정 위치 및 제 1 도어체(3)로의 고정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6(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a)의 폐쇄 상태에서는 제 1 도어체(3)가 제 2 도어체(4)의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 1 도어체(3)의 하단과 제 2 도어체(4)의 상단이 개구부(6) 중앙부에서 약간 중첩하도록하고, 제 1 도어체(3)와 제 2 도어체(4)가 개구부(6) 전면을 폐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샤프트(17a)는 좌우의 프레임체(2)에 고정된 베어링(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 샤프트(17a)에는 좌우의 양 단부 근방에 상부의 풀리(7a)가 감입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샤프트(17a)에는 피구동 기어(19)가 감입 고정되어 있다. 구동기(22)로서의 모터(22)를 구비한 구동부(16)가 있고, 모터(22)에는 회전축에 구동 기어(20)가 감입 고정되어 있다. 톱니수가 많은 피구동 기어(19)와 톱니수가 적은 구동 기어(20)가 맞물림으로써 감속 기구(21)가 구성되어 있다.
상부 샤프트(17a) 및 상부 샤프트(17a)에 감입 고정된 상부의 풀리(7a)는 감속 기구(21)를 통해서 모터(22)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즉, 상부의 풀리(7a)는 구동측의 풀리(7)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피구동 기어(19)의 톱니수와 구동 기어(20)의 톱니수의 비(감속비)를 변경함으로써 모터(22)에 걸리는 구동 부하, 또는 모터(22)에 필요한 구동 토크를 변경할 수 있다.
좌우 상부의 풀리(7a)는 상부 샤프트(17a)에 감입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샤프트(17a)와 일체가 되어서 회전한다. 그리고, 좌우 상부의 풀리(7a)는 좌우의 제 1 삭조(8)를 권취하고, 좌우의 제 1 삭조(8)에 고정된 제 1 도어체(3)를 승강시킨다. 그 때문에 좌우 상부의 풀리(7a)에 걸리는 하중 부하는 균등해지고, 감속 기구(21)를 통해서 샤프트(17)를 구동하는 구동기(22)의 구동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의 풀리(7)가 아닌 하부의 풀리(7b)(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에는 하부 샤프트(17b)(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하부의 풀리(7b)를 하부 샤프트(17b)없이 좌우의 프레임체(2)에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하부 샤프트(17b)를 설치한 경우에도, 하부의 풀리(7b)와 하부 샤프트(17b)가 반드시 일체가 되어서 회전할 필요는 없고, 하부 샤프트(17b)에 하부의 풀리(7b)를 감입 고정시켜야 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상부 샤프트(17a) 및 상부 샤프트(17a)에 감입 고정된 상부의 풀리(7a)가 감속 기구(21)를 통한 모터(22)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의 설명을 해왔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부 샤프트(17b) 및 하부 샤프트(17b)에 감입 고정된 하부의 풀리(7b)가 감속 기구(21)를 통한 모터(22)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상하 양방의 샤프트(17) 및 샤프트(17)에 감입 고정된 풀리(7)가 감속 기구(21)를 통한 모터(22)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b)에 있어서, 개방 상태에서는 제 2 도어체(4)는 개방 위치에서 제 1 도어체(3)와 중첩하고 있다.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가 하강하기 시작한 중간 상태에서는 제 2 도어체(4)는 제 1 도어체(3)와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격리되고, 제 1 도어체(3)에 늦게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폐쇄 상태에 이르면, 제 2 도어체(4)는 폐쇄 위치에서 제 1 도어체(3)와 상하 방향으로 거의 완전하게 격리한다. 즉, 제 2 도어체(4)는 폐쇄 위치에서 제 1 도어체(3)와의 상대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이동한다.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이행은 상술의 움직임과 완전히 반대의 움직임으로 실현된다.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혹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할 때, 제 2 도어체(4)는 제 1 도어체(3)의 이동 속도의 1/2의 이동 속도로 제 1 도어체(3)에 종동해서 승강한다. 그 때문에 제 2 도어체(4)가 제 1 도어체(3)와 독립적인 불연속인 움직임을 하지 않고, 제 1 도어체(3)와 제 2 도어체(4)는 원활한 승강 동작을 행한다. 또한, 구동 부하가 불연속으로 증감하지 않고, 그 때문에 구동부(16)(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의 구동 토크를 불필요하게 크게 할 필요없이 작게 할 수 있다.
샤프트(17) 또는 구동기(22)(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인코더(23)(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와, 인코더(23)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제 1 도어체(3)를 승강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24)(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중간 상태에서,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가 승강 동작을 하고 있을 때에, 제 1 도어체(3) 또는 제 2 도어체(4)에 사람이나 물체가 접촉한 경우, 안전을 위해 승강 동작을 즉시 정지할 필요가 있다. 통상, 이러한 경우, 샤프트(17) 또는 구동기(22)의 회전수에 불연속인 변화가 발생한다. 인코더(23)는 검출한 회전수의 정보를 승강 제어부(24)에 상시 출력하고 있으므로, 승강 제어부(24)는 인코더(23)가 출력한 회전수의 불연속인 변화로부터, 제 1 도어체(3) 또는 제 2 도어체(4)에 부하 변동이 발생한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승강 제어부(24)는 안전을 위해 구동기(22)를 정지시키고, 제 1 도어체(3) 및 제 1 도어체(3)에 종동하는 제 2 도어체(4)의 승강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7(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a)에서는 개방 상태에서, 제 2 도어체(4)는 개방 위치에서 제 1 도어체(3)와 중첩하고,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가 상승하기 시작한 중간 상태에서는 제 2 도어체(4)는 제 1 도어체(3)와 상하 방향으로 일부 격리되고, 제 1 도어체(3)에 늦게 상승한다. 그리고, 폐쇄 상태에 이르면, 제 2 도어체(4)는 폐쇄 위치에서 제 1 도어체(3)와 상하 방향으로 거의 완전하게 격리된다. 즉, 제 2 도어체(4)는 폐쇄 위치에서 제 1 도어체(3)와의 상대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이동한다.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이행은 상술의 움직임과 완전히 반대의 움직임으로 실현된다.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a)에 있어서도,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또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할 때, 제 2 도어체(4)는 제 1 도어체(3)의 이동 속도의 1/2의 이동 속도로 제 1 도어체(3)에 종동해서 승강한다. 그 때문에 제 2 도어체(4)가 제 1 도어체(3)와 독립한 불연속인 움직임을 하지 않고, 구동 부하가 불연속으로 증감하는 경우도 없다. 그 때문에, 구동부(16)(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의 구동 토크를 불필요하게 크게 할 필요가 없이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술의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를 구비한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b)에, 수납부(5)를 공통으로 하는 제 3 도어체(25) 및 제 4 도어체(26)를 구비한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a)를 더욱 가한 분할 도어 구조가 있다. 상기 분할 도어 구조에는 제 1 도어체(3)∼제 4 도어체(26)를 수납하는 공통의 수납부(5)가 있고, 수납부(5)의 상방과 하방에는 각각 상부 개구부(6a)와 하부 개구부(6b)가 있다.
제 3 도어체(25)는 제 1 도어체(3)의 상방에 위치하고, 제 1 도어체(3)와 마찬가지로 제 1 삭조(8)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3 도어체(25)는 제 1 도어체(3)와 마찬가지로 풀리(7)의 회전에 의해 제 1 안내 부재(10)(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를 따라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다.
제 4 도어체(26)에는 제 2 활차(28)가 고정되어 있고, 제 2 활차(28)는 일단이 프레임체(2)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3 도어체(25)에 고정된 제 3 삭조(2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4 도어체(26)는 수납부(5)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제 3 도어체(25)에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제 3 도어체(25)가 승강 동작을 행하면, 안내 부재를 따라 종동해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안내 부재는 제 2 안내 부재(11)(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를 이용하여 제 2 도어체(4)와의 공용으로 하여도 되고, 또한 새로운 안내 부재를 설치하여도 된다.
제 3 도어체(25)는 제 1 도어체(3)의 상방에 제 1 도어체(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 1 삭조(8)에 고정되어 있고, 그 때문에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가 하부 개구부(6b)를 폐쇄 상태로 했을 때에는 제 3 도어체(25) 및 제 4 도어체(26)가 상부 개구부(6a)를 개방 상태로 하고, 또한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가 하부 개구부(6b)를 개방 상태로 했을 때에는 제 3 도어체(25) 및 제 4 도어체(26)가 상부 개구부(6a)를 폐쇄 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풀리(7)를 사이에 두고 제 1 도어체(3)와 반대측의 제 1 삭조(8)에 제 3 도어체(25)를 고정하고, 제 1 도어체(3)와 제 2 도어체(4)가 중첩해서 수납부(5)에 수납될 때에, 동시에 제 3 도어체(25)와 제 4 도어체(26)도 중첩해서 수납부(5)에 수납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상부 개구부(6a)와 하부 개구부(6b)를, 동시에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로 할 수 있고, 게다가 밸런스 웨이트(15)는 불요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술의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를 구비한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b)에 제 5 도어체(29)를 더 구비한 경우가 있다. 제 5 도어체(29)에는 제 3 활차(31)가 고정되어 있고, 제 3 활차(31)는 일단이 프레임체(2)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도어체(4)에 고정된 제 4 삭조(30)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 5 도어체(29)는 제 3 안내 부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를 따라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개방 상태에서는 제 5 도어체(29)는 수납부(5)에 수납되고, 제 1 도어체(3) 및 제 2 도어체(4)에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도어체(3)가 하강하기 시작하면, 제 1 도어체(3)에 종동해서 제 2 도어체(4)가 하강하기 시작하고, 또한 제 2 도어체(4)에 종동해서 제 5 도어체(29)가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도어체(3)가 폐쇄 위치까지 도달하면, 제 1 도어체(3), 제 2 도어체(4) 및 제 5 도어체(29)가 하부 개구부(6b)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역동작에 의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이행도 가능하다.
제 2 도어체(4)의 이동 속도는 제 1 도어체(3)의 이동 속도의 1/2이고, 제 5 도어체(29)의 이동 속도는 제 2 도어체(4)의 이동 속도의 1/2이므로, 제 5 도어체(29)의 이동 속도는 제 1 도어체(3)의 이동 속도의 1/4이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도어체(4)의 이동 거리는 제 1 도어체(3)의 이동 거리의 1/2이고, 제 5 도어체(29)의 이동 거리는 제 2 도어체(4)의 이동 거리의 1/2이므로, 제 5 도어체(29)의 이동 거리는 제 1 도어체(3)의 이동 거리의 1/4이 된다. 따라서, 제 2 도어체(4) 및 제 5 도어체(29) 상하폭을 제 1 도어체(3) 상하폭의 1/2로 설정함으로써 폐쇄 상태가 효율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밸런스 웨이트(15)를 제 1 도어체(3)의 중량과 제 2 도어체(4)의 1/2의 중량과 제 5 도어체(29)의 1/4의 중량을 가산한 중량으로 설정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15)와, 제 1 도어체(3), 제 1 도어체(3)에 종동하는 제 2 도어체(4) 및 제 5 도어체(29)가 상부의 풀리(7a)를 통해서 밸런스하게 된다.
또한, 제 2 도어체(4) 및 제 5 도어체(29) 상하폭을 제 1 도어체(3) 상하폭의 1/2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의 제 1 도어체(3)와 제 2 도어체(4)만을 구비한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b)로 사용되는 밸런스 웨이트(15)보다도 가벼운 밸런스 웨이트(15)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보다 작은 구동 토크에 의한 승강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b)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1a)이어도 동일하다.
또한, 제 1 삭조(8)에 한하지 않고, 제 2 삭조(9)∼제 4 삭조(30)는 벨트 또는 톱니형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풀리(7)를 변경하여 스프로킷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벨트, 톱니형 벨트를 변경해서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분할 도어 구조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지나지 않고, 상기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발휘나는 범위에서 각 부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크기, 재료 등은 적당하게 변경 설계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a: 상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 1b: 하부 개구 분할 도어 구조
2: 프레임체 3: 제 1 도어체
4: 제 2 도어체 5: 수납부
6: 개구부 6a: 상부 개구부
6b: 하부 개구부 7: 풀리
7a: 상부 풀리 7b: 하부 풀리
8: 제 1 삭조 9: 제 2 삭조
10: 제 1 안내 부재 11: 제 2 안내 부재
12: 고정판 13: 산형강
13a: 돌출부 14: 활차
15: 밸런스 웨이트 16: 구동부
17: 샤프트 17a: 상부 샤프트
17b: 하부 샤프트 18: 베어링
19: 피구동 기어 20: 구동 기어
21: 감속 기구 22: 구동기(모터)
23: 인코더 24: 승강 제어부
25: 제 3 도어체 26: 제 4 도어체
27: 제 3 삭조 28: 제 2 활차
29: 제 5 도어체 30: 제 4 삭조
31: 제 3 활차

Claims (11)

  1. 좌우의 프레임체 각각에 부착된 상하 1쌍의 풀리와,
    상기 상하 1쌍의 풀리에 권취된 제 1 삭조와,
    상기 제 1 삭조에 고정되고 상기 풀리의 회전에 의해 제 1 안내 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1 도어체와,
    상기 제 1 도어체에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안내 부재를 따라서 승강 가능한 제 2 도어체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도어체에 고정된 제 2 삭조와,
    상기 제 2 삭조로 지지되고 상기 제 2 도어체에 고정된 활차와,
    상기 상하 1쌍의 풀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도어체의 승강시에 상기 활차가 상기 제 2 삭조의 상기 프레임체로의 고정 위치 및 상기 제 1 도어체로의 고정 위치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도어체의 측부 하방으로 돌출하는 산형강의 측부에 상기 활차가 고정되어 있는 분할 도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밸런스 웨이트가 상기 제 1 삭조에 고정되어 있는 분할 도어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제 1 도어체의 중량과 상기 제 2 도어체의 1/2의 중량을 가산한 중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분할 도어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체 및 상기 제 2 도어체는 상하폭이 동 사이즈로 구성되어 있는 분할 도어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체 및 상기 제 2 도어체는 개방 상태에서 상단 및/또는 하단이 동일 높이 면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할 도어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체는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제 1 도어체와 중첩하고,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 1 도어체와의 상대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제 1 도어체의 이동 속도의 1/2의 이동 속도로 상기 제 1 도어체에 종동해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할 도어 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와, 감속 기구를 통해서 상기 샤프트를 구동하는 구동기를 구비해서 구성되고, 상기 상하 1쌍의 풀리 중 구동측의 풀리가 상기 샤프트에 감입 고정되어 있는 분할 도어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또는 상기 구동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도어체를 승강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제어부는 상기 인코더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도어체 또는 제 2 도어체의 부하 변동을 검지하면, 상기 구동기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할 도어 구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 1 도어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삭조에 고정되고 상기 풀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안내 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3 도어체와,
    상기 제 3 도어체에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안내 부재와는 다른 안내 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4 도어체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3 도어체에 고정된 제 3 삭조와,
    상기 제 3 삭조로 지지되고 상기 제 4 도어체에 고정된 제 2 활차를 더 구비하고 있는 분할 도어 구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체에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제 3 안내 부재를 따라 승강 가능한 제 5 도어체와,
    일단이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도어체에 고정된 제 4 삭조와,
    상기 제 4 삭조로 지지되고 상기 제 5 도어체에 고정된 제 3 활차를 더 구비하고 있는 분할 도어 구조.
  11. 삭제
KR1020160102270A 2015-08-12 2016-08-11 분할 도어 구조 KR102615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59522 2015-08-12
JP2015159522A JP6524403B2 (ja) 2015-08-12 2015-08-12 分割扉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264A KR20170020264A (ko) 2017-02-22
KR102615878B1 true KR102615878B1 (ko) 2023-12-20

Family

ID=5804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270A KR102615878B1 (ko) 2015-08-12 2016-08-11 분할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24403B2 (ko)
KR (1) KR102615878B1 (ko)
CN (1) CN106437395B (ko)
TW (1) TWI6976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2845A (zh) * 2018-04-02 2018-08-24 江苏六维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重叠式气动提升门
WO2019229990A1 (ja) * 2018-06-01 2019-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ドア装置
CN111173396A (zh) * 2018-11-12 2020-05-19 宋延军 一种新型自动门
JP7232687B2 (ja) * 2019-03-27 2023-03-03 株式会社Lixil 建具
CN112943046B (zh) * 2021-01-25 2024-03-19 安徽海瑞德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单组或多组垂直滑动窗传动结构
KR102356680B1 (ko) * 2021-10-13 2022-02-08 영진앵글 주식회사 조작의 편의성을 강화한 슬라이딩 게이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378A (ja) * 2001-11-30 2003-06-13 Itoki Crebio Corp ドラフトチャン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7684U (ko) * 1989-02-13 1990-08-27
JP2593605B2 (ja) 1992-02-10 1997-03-26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分解整水器
JPH0743417Y2 (ja) * 1992-08-20 1995-10-09 扶桑電機工業株式会社 扉の開閉装置
AUPP371998A0 (en) * 1998-05-27 1998-06-18 Cassar, Frank Solid high speed door
TW410890U (en) * 1998-12-01 2000-11-01 Long Yih Aluminum Co Ltd Ventilation window
US6860311B1 (en) * 2003-07-02 2005-03-01 Robert L Minor Telescopic door and panel forming apparatus
JP2006266014A (ja) 2005-03-25 2006-10-05 C T Mach Kk ゲート装置
JP2007056581A (ja) * 2005-08-25 2007-03-08 Nippon Yunitekku:Kk 開口扉
FR2968344B1 (fr) * 2010-12-07 2015-04-10 Perrier Sa Bloc porte coulissante pour machine d'embouteillage
CN201991381U (zh) * 2011-01-13 2011-09-28 廊坊马钢高新智能立体停车设备有限公司 塔库自动门
ITVR20110040A1 (it) * 2011-03-01 2012-09-02 Silvio Taddei Portone sezionale particolarmente per garage
CN202544698U (zh) * 2012-01-16 2012-11-21 吴光兴 升降式手动电动多功能一体化门窗
US9109386B2 (en) * 2012-12-03 2015-08-18 Marvin Lumber And Cedar Company Window sash counterbalance with independently operable sashes
KR20150002208U (ko) * 2015-03-11 2015-06-10 주식회사 코아드 자동문의 추락방지장치
CN104790824A (zh) * 2015-05-06 2015-07-22 蒲阳 一种折叠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378A (ja) * 2001-11-30 2003-06-13 Itoki Crebio Corp ドラフトチャン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08685A (zh) 2017-03-01
KR20170020264A (ko) 2017-02-22
JP6524403B2 (ja) 2019-06-05
CN106437395B (zh) 2019-10-11
TWI697609B (zh) 2020-07-01
JP2017036628A (ja) 2017-02-16
CN106437395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5878B1 (ko) 분할 도어 구조
JP427598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WO2011024612A1 (ja) ゲート装置
JP2018521244A (ja) モータ作動式垂直移動型ゲート
CN207226954U (zh) 一种带延伸平台的升降机
JP6407585B2 (ja) エレベータ
JP6930298B2 (ja) 乗客コンベアの進入防止装置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JP4837488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乗降用ステージ
JP6161383B2 (ja) 機械式駐車設備
JP461862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472654B2 (ja) ホーム柵
JP6435186B2 (ja) ホーム柵
JP6716736B1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CN102267475A (zh) 斜巷自动挡车栏
TWM547504U (zh) 月台門裝置
CN214006923U (zh) 一种具有移平结构的竖开重叠车库门
JP4980442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
JP2017132566A (ja) エレベーターにおける搬器扉の開閉装置
EP3505483A1 (en) An elevator car
RU172573U1 (ru) Подъемник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ы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фасадов зданий
JPS6242966Y2 (ko)
JP2017019641A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
JP2007138665A (ja) 昇降開閉式多段扉装置
JP2017002548A (ja) 多段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