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617B1 -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617B1
KR102614617B1 KR1020210134440A KR20210134440A KR102614617B1 KR 102614617 B1 KR102614617 B1 KR 102614617B1 KR 1020210134440 A KR1020210134440 A KR 1020210134440A KR 20210134440 A KR20210134440 A KR 20210134440A KR 102614617 B1 KR102614617 B1 KR 10261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monomer
resin
molecula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804A (ko
Inventor
김명종
손정순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6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0/00Copolymers of hydrocarbons and mineral oils, e.g. petroleum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2/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12/06Hydrocarbons
    • C08F1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10/0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 C08F2810/4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taking place solely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polymer backbone, i.e. not in the side or lateral cha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된 석유수지의 양 말단 중 적어도 일 말단에 분자량 조절제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개질된 석유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가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가드너 색도가 10 이하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A resin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paint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도료 조성물, 및 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료는 주 재료인 수지, 경화제, 용제, 안료, 그 밖의 첨가제 등을 배합하여 제조된다. 잘 알려진 도료용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아크릴계 수지 등이 있으며, 용도, 사용 방법에 따라 적절한 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료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벽 도색, 트래픽 라인 작업, 선박 코팅, 금속 골재의 코팅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적용 분야에 따라 도공시의 온도변화 및 도공 후 내후성이 요구되며, 특히 선박용 도료의 경우 무기입자, 예를 들어 활석, 세라믹 입자가 첨가제로 포함됨에 따라 점도가 높아지고, 그 결과 도료의 유연성이 낮아져서 도공 후 코팅막이 균열 또는 분리되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희석제가 연구되어 왔으나, 도료의 점성을 충분히 낮추며 점착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는 희석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희석제 용도로 개발된 저점도 수지는 색을 띠고 있어, 페인트 제조시에 수지로 인한 색변화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페인트에 저점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색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색상이 개선된, 실질적으로 투명한 저점성 수지의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점도이고, 이와 동시에 가드너 색도가 10 이하인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도료 및 타이어 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된 석유수지의 양 말단 중 적어도 일 말단에 분자량 조절제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개질된 석유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가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가드너 색도가 10 이하인,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가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도료를 포함하는 페인트가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C5 단량체, C5 혼합 유분, C9 단량체, C9 혼합 유분,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 및 선형 올레핀 단량체 중 하나 이상, 및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중합촉매 또는/및 열을 부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중합반응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가드너 색도가 10 이하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는, 가드너 색도가 10 이하인 저점도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함에 의하여, 페인트에 저점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색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타이어 용 고무와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타이어의 제동, 연비, 마모성 개선이라는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석유수지'는 C5 단량체, C5 혼합 유분, C9 단량체, C9 혼합 유분,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 및 선형 올레핀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이 중합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석유수지는 호모폴리머, 코폴리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석유수지의 호모폴리머의 예로는 C5 단량체가 중합된 중합체, C5 혼합 유분이 중합된 중합체, C9 단량체가 중합된 중합체, C9 혼합유분이 중합된 중합체,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가 중합된 중합체, 선형 올레핀 단량체가 중합된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의 코폴리머의 예로는 서로 다른 2종의 C5 단량체가 중합된 공중합체, 서로 다른 2종의 C9 단량체가 중합된 공중합체, 서로 다른 2종의 환형 디올레핀 단랑체가 중합된 공중합체, 서로 다른 2종의 선형 올레핀 단량체가 중합된 공중합체, C5 유분과 C5 단량체의 공중합체, C5 유분과 C9 단량체의 공중합체, C9 유분과 C5 단량체의 공중합체, C5 단량체와 C9 단량체의 공중합체, C9 유분과 C9 단량체의 공중합체, C5 유분과 선형 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C9 유분과 선형 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C5 유분과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C9 유분과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C5 단량체와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C9 단량체와 선형 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와 선형 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첨 석유수지'는 전술한 석유수지 중 에틸렌과 같은 불포화 모이어티의 적어도 일부가 수소 첨가 반응에 의하여 포화 탄화수소로 개질된 석유수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C5 (혼합) 유분'은, 나프타의 분해로부터 유도된 지방족 C5 및 C6 파라핀, 올레핀 및 디올레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C5 유분은 펜텐, 이소프렌, 2-메틸-2-부텐, 2-메틸-2-펜텐, 사이클로펜타디엔, 및 피페릴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C5 단량체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C5 유분은 선택적으로 알킬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C5 단량체'는 전술한 C5 (혼합) 유분에 포함된 성분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C9 (혼합) 유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듯이, 석유 가공, 예컨대 분해로부터 유도된 조성물로서, 대기압 및 약 100 내지 300 ℃에서 비등하는 C8, C9 및/또는 C10 올레핀 종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스티렌,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인덴, 트랜스-베타-메틸스티렌, 및 메틸인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9 단량체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C9 유분은 선택적으로 알킬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C9 유분은 비닐톨루엔, 인덴, 스티렌,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및 이들 성분의 알킬화된 유도체, 예를 들어 α-메틸스티렌, 메틸인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C9 단량체'는 전술한 C9 유분에 포함된 성분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올레핀'은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성 불포화기(C=C) 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올레핀은 선형 올레핀, 환형 올레핀, α-올레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고리형-디올레핀'은 2개의 C=C 결합을 포함하는 고리형 불포화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고리형-디올레핀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트리시클로펜타디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C5 단량체, C5 혼합 유분, C9 단량체, C9 혼합 유분,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 및 선형 올레핀 단량체 중 하나 이상, 및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중합촉매 또는/및 열을 부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중합반응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반응 생성물은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가드너 색도가 10 이하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액은 점도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중합반응 생성물의 점도의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생성물인 중합체의 구조 형성에는 가담하지 않고 반응물과 생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C5 단량체, C5 혼합 유분, C9 단량체, C9 혼합 유분,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 및 선형 올레핀 단량체 중 하나 이상, 분자량 조절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중합촉매 또는/및 열을 부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얻어지는 중합반응 생성물은 개질 중합체 및 점도 조절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액은 스티렌 단량체 및 자일렌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티렌 단량체는 순수한(pure) 스티렌 단량체를 의미한다. 이에 의하여 얻어진 석유수지는 가드너 색도가 10 이하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가드너 색도는 0 내지 10, 1 내지 10, 1 내지 10, 3 내지 10 또는 4 내지 10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석유수지는 촉매 존재 하에서 수소화 처리되어 수첨 석유수지로 개질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화 처리에 사용되는 촉매는 석유수지 분야에서 잘 알려진 수첨 촉매가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d, Ni, Pt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자일렌 용매는 스티렌 단량체의 부가에 따른 단량체의 고밀도화에 의한 공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렌 단량체 및 상기 자일렌 용매는 중량 기준으로 4:1 내지 1:1로 용액 내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렌 단량체 및 상기 자일렌 용매는 중량 기준으로 3:1 내지 1:1, 3:1 내지 1.2:1, 2.5:1 내지 1.2:1 또는 2.3:1 내지 1.2:1로 용액 내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일렌 용매는 순수한 스티렌 단량체 부가에 의해 증가한 중합계 내의 모노머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서 첨가되고, 자일렌 용매의 부가를 통해 중합시 모노머 농도 증가에 의한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수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내지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수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내지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1 내지 2.5 중량부, 또는 1 내지 1.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도 조절제는 10 내지 30 중량부, 또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 및 점도 조절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료 원료와의 양호한 배합성을 갖는 저점도의 석유 수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고분자량 및 고점성의 석유수지가 얻어지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성이 과도하게 낮아져서 최종 제품(예, 페인트)의 도장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점도 조절제는 개질 석유수지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으나,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성이 과도하게 낮아져서 최종 제품(예, 페인트)에서 도장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 및 점도 조절제는 적절한 비율로 배합되어야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분자량 조절제(molecular weight regulator)는 연쇄이동제(chain transfer agent)로서, 싸이올류(thiols) 또는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와 같은 할로카본류(halocarbons)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싸이올류, 즉 하나 이상의 싸이올기(-SH)를 포함하는 유기 머캡탄계 분자량 조절제가 유용하며, 이에는 지방족 머캡탄류, 환형 지방족(cycloaliphatic) 머캡탄류 또는 방향족 머캡탄류가 포함된다.
이러한 머캡탄류 물질은 한 분자당 1 내지 4개의 싸이올기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싸이올기당 1 내지 20 개의 탄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개의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화수소기와 싸이올기 외에 다른 치환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치환기의 예에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실산기, 이써(ether)기, 에스터(ester)기, 설파이드기, 아민기, 아마이드기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분자량 조절제로 유용한 머캡탄류는 싸이올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에틸 머캡탄, 부틸 머캡탄, 헥실 머캡탄, 옥틸 머캡탄 또는 도데실 머캡탄 등의 알킬 머캡탄류; 페닐 머캡탄 또는 벤질 머캡탄 등의 싸이올페놀류; 2-머캡토에탄올, 싸이올글리콜산(thioglycolic acid) 또는 3-머캡토 프로피온산 등의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산기 함유 머캡탄류; 또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등과 같이 기능기를 두 개 이상 갖는 머캡탄류;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머캡탄류의 구체적인 예에는 메틸 머캡탄, 에틸 머캡탄, 부틸 머캡탄, 옥틸 머캡탄, 라우릴(lauryl) 머캡탄, 머캡토에탄올, 머캡토프로판올, 머캡토부탄올, 머캡토아세트산, 머캡토프로피온산, 벤질 머캡탄, 페닐 머캡탄, 사이클로헥실 머캡탄, 1-싸이오글리세롤, 2.2'-디머캡토디에틸 이써, 2,2'-디머캡토디프로필 이써, 2,2'-디머캡토디이소피로필 이써, 3,3'-디머캡토디프로필 이써, 2,2'-디머캡토디에틸 설파이드, 3,3'-디머캡토디프로필 설파이드, 비스(β-머캡토에톡시) 메탄, 비스(β-머캡토에틸싸이오)메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싸이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싸이오글리콜레이트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분자량 조절제에는 에틸 머캡탄, 부틸 머캡탄, 헥실 머캡탄, 옥틸 머캡탄, 도데실 머캡탄; 페닐 머캡탄, 벤질 머캡탄; 머캡토에탄올, 싸이올글리콜산, 머캡토 프로피온산;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분자량 조절제로서 아래 화학식 1의 n-도데실 머캡탄이나 화학식 2의 2-머캡토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분자량 조절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점도 조절제로서 점도(25 ℃)가 20 내지 500 cps인 저점도 액상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점도를 만족하는 액상 수지라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 용 점도 조절제로서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점도 액상 수지는 수첨 DCPD-C9 공중합체 수지(hydrogenated DCPD-C9 copolymer resins), 수첨 DCPD (hydrogenated DCPD resins)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수첨 DCPD-C9 공중합체 수지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의 중합과 수첨을 통해 얻어지는 백색의 열가소성 수지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수첨 DCPD-C9 공중합체 수지로서 SUKOREZ 수지와 같은 상용(commercial)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점도 조절제로서 하기 구조를 갖는 수첨 DCPD-C9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점도 조절과 내공기투과도 향상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화학식 3]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촉매로서 루이스산 촉매, 할로하이드릭산(halohydric acid), AlCl3, BF3 및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촉매로서 AlCl3, BF3, SnCl4, TiCl4, AgClO4, I2 및 2종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루이스산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열 부가는 100 내지 300 ℃로 승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된 석유수지의 양 말단 중 적어도 일 말단에 분자량 조절제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개질된 석유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가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가드너 색도가 10 이하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석유수지 또는 수첨 석유수지는 중합 원료로 스티렌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티렌 단량체는 순수한 스티렌 단량체를 의미하며, 이러한 순수한 스티렌 단량체를 중합 원료로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석유수지의 색상 개선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는 가드너 색도가 0 초과 10 이하, 또는 1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수지 조성물을 배합한 도료의 색변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색화를 위해 첨가되는 안료의 함량을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는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내지 10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는 상기 개질된 석유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 내지 95 중량부, 15 내지 90 중량부, 20 내지 85 중량부 또는 27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개질 석유수지는 상기 C5 단량체, C5 혼합 유분, C9 단량체, C9 혼합 유분,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 및 선형 올레핀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이 중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된 석유수지가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 개질된 형태의 개질 석유수지인데,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기존의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석유수지에 비하여 낮은 가드너 색도, 예를 들어 10 이하의 가드너 색도를 갖는 석유수지가 얻어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개질 석유수지는 부가중합(addition polymerization) 또는 사슬중합(chain polymerization) 반응에 의한 상기 C5 단량체, C5 혼합 유분, C9 단량체, C9 혼합 유분,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 및 선형 올레핀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이 중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된 석유수지의 양 말단 중 적어도 일 말단에 상기 분자량 조절제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석유수지는 C9 혼합 유분 유래 단위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또는 C9 혼합 유분 유래 반복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9 혼합 유분 유래 단위 구조는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스티렌,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인덴, 및 메틸인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석유수지는 하기 화학식 4a, 화학식 4b, 또는 화학식 4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시 되지는 않으나, 상기 석유 수지는 스티렌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가 석유 수지에 포함된 반복 단위의 60% 내지 95%, 예를 들어, 75% 내지 95%를 차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석유수지는 하기 화학식 4a와 같은 반복단위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석유수지는 상기 C9 혼합 유분에 포함되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인덴, 메틸인덴,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및 α-메틸스티렌이나 메틸인덴과 같이 이들 성분의 알킬화된 유도체 단량체가 중합 반응에 참여하여 형성된 하기와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a]
상기 화학식 4a는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에 불과할 뿐이어서, 위 구조에 추가해서 표시되지 않은 다른 C5 단량체, C9 단량체, 고리형-디올레핀 단량체 및 선형 올레핀 단량체가 반복단위로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유수지는 상기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체이고, 상기 중합체가 랜덤 중합체를 의미하나,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블록 공중합체 또는 교호(alternating) 공중합체 등도 포함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석유수지는 상기 화학식 4a에 표시된 반복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소화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석유수지는 하기와 같은 반복단위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유수지의 양 말단 중 적어도 하나가 이중결합을 지니는 구조를 가지며, 양 말단 모두 이중결합을 가지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하기 화학식 4b에 표시하였다.
[화학식 4b]
이렇게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위치하는 이중결합과 분자량 조절제가 결합되어 분자량 조절제로 개질된 석유수지(예를 들어, C9 단량체의 중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분자량 조절제는 양 말단 모두에 결합될 수도 있고, 예시적으로 표현한 하기 화학식 4c와 같이 어느 하나의 말단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 석유수지는 화학식 4b 또는 4c에 표시된 반복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소화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c]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수평균분자량(Mn)이 200 내지 400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가 400 내지 700이고, Z-평균분자량(Mz)가 650 내지 5000이고, 분산도(MWD)는 1 내지 3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 조성물은 수평균분자량(Mn)이 200 내지 350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가 400 내지 570이고, Z-평균분자량(Mz)가 650 내지 5000이고, 분산도(MWD)는 1.5 내지 3일 수 있다.
수평균분자량이 200보다 낮으면 배합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400보다 높으면 배합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낮은 범위의 분자량으로 인해, 가공성이 우수하여 저점성 도료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우수한 도막의 도공이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25℃에서 점도가 5,000 내지 50,000 cps이고,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25 ℃이다.
유리전이온도가 -40 ℃보다 낮으면 수지 조성물의 휘발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저점성으로 인해 도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25 ℃보다 높으면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도료의 점도가 충분히 낮지 않아서 가공성이 저하되고 충분한 유연성이 확보되지 않아 도장에 균열이 야기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점도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점도 조절제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개질된 석유수지가 점도 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C5 단량체, C5 혼합 유분, C9 단량체, C9 혼합 유분,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 및 선형 올레핀 단량체 중 하나 이상, 분자량 조절제,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중합촉매 또는/및 열을 부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얻어질 수 있는데, 점도 조절제는 생성물인 개질 석유수지의 구조 형성에는 가담하지 않고 반응물과 생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중합반응 생성물은 개질 중합체 및 점도 조절제의 혼합물일 수 있다.
C5 단량체, C5 혼합 유분, C9 단량체, C9 혼합 유분,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 선형 올레핀 단량체, 및 순수한 스티렌 단량체는 전술한 바를 참고하고, 분자량 조절제, 점도 조절제 등의 여러 구현예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25℃에서 측정된 점도가 5,000 내지 50,000 cps, 예를 들어, 5,000 내지 17,000 cps 또는 5,000 내지 15,000 cps 이다.
방향족성(aromaticity)이 25% 내지 70%, 예를 들어 30% 내지 60% 또는 35% 내지 50%이다.
상기 방향족성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료와의 충분한 상용성이 얻어짐으로써,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도장의 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도료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상기 수지 조성물, 경화제, 경화 촉진제, 안료, 첨가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료 조성물은 저점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 가소제를 미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수지는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제는 공지의 열 경화성 경화제, 광 경화성 경화제, 또는 UV 경화성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 촉진제는 경화제의 경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술폰산류, 카바메이트류 경화 촉매를 포함하여 공지의 경화 촉진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안료는 도료 조성물에 유색을 제공하거나 백색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무기 안료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안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가드너 색도가 10 이하, 예를 들어 1 이상 10 이하인 것에 의하여 안료의 첨가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향상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는 경화제, 경화 촉진제, 안료, 용매를 제외한, 도료에 배합 가능한 모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표면 조정제, 광안정제, 내후성 첨가제, 방부제, 외관 조절제, 소포제, 레벨링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공지의 재료들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도료 원료들과의 혼화성이 양호한 용매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도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원료들은 통상의 기술자가 사용 목적, 희망하는 점도, 색상 등을 고려하여 공지의 조성을 참고하여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료 및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원료 고무 및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무 조성물은 상기 개질 석유수지 및 상기 점도 조절제 외에, 원료 고무, 보강제, 실란 커플링제, 가황제 및 가황촉진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 고무는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 고무는 올레핀성 이중 결합(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료 고무는 천연 고무,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실리콘 고무, 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이소프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할로겐화 이소프렌 고무, 할로겐화 이소부틸렌 공중합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및 할로겐화 이소부틸렌-p-메틸스티렌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제는 카본 블랙과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카본 블랙을 포함함으로써, 내마모성의 향상, 회전 저항 특성의 향상, 자외선에 의한 균열이나 균열의 방지(자외선 열화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카본 블랙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카본 블랙은 파네스 블랙, 아세틸렌 블랙, 서멀 블랙, 채널 블랙, 그래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본 블랙의 입자 직경, 세공 용적, 비표면적 등의 물리적 특성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 고무 공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카본 블랙, 예를 들면, SAF, ISAF, HAF, FEF, GPF, SRF(모두, 미국의 ASTM 규격 D-1765-82a로 분류된 카본 블랙의 약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는 고무용 보강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건식법 화이트 카본, 습식법 화이트 카본, 합성 규산염계 화이트 카본, 콜로이드성 실리카, 침강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카의 비표면적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40 내지 600 ㎡/g의 범위, 예를 들어 70 내지 300 ㎡/g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1차 입자 직경은 10 내지 100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보강제로서, 상기 카본블랙 및 실리카 이외에 클레이, 활석 등의 광물의 분말류,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등의 탄산염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나 수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실리카를 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디설파이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트리설파이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비스(2-트리에톡시실릴에틸)테트라설파이드, 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비스(2-트리메톡시실릴에틸)테트라설파이드,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메르캅토에틸트리메톡시실란, 2-메르캅토에틸트리에톡시실란,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설파이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설파이드, 2-트리에톡시실릴에틸-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설파이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벤조티아졸릴테트라설파이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벤졸릴테트라설파이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모노설파이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모노설파이드, 비스(3-디에톡시메틸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3-메르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설파이드, 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벤조티아졸릴테트라설파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고무의 가교에 통상 사용되는 것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고무 성분 및 이소부틸렌계 중합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로는 유황, 모르폴린디설파이드, 알킬페놀디설파이드 등의 유황 가교제; 사이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퍼옥사이드, 3급-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3급-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디3급-부틸퍼옥사이드, 1,3-비스(3급-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등의 유기 과산화물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은 가류 촉진제나 가류 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성가 가류촉진제나 가류 조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무 조성물이 함유하는 고무 성분,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가교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류」란 유황 원자를 적어도 1개 개재하는 가교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가류 촉진제로는 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 테트라에틸티우람디설파이드 등의 티우람계 촉진제; 2-머캅토벤조티아졸, 디벤조티아질디설파이드 등의 티아졸계 촉진제; N-사이클로헥실-2-벤조티아질설펜아미드, N-옥시디에틸렌-2-벤조티아졸릴설펜아미드 등의 설펜아미드계 촉진제; n-부틸알데히드-아닐린 축합품, 부틸알데히드-모노부틸아민 축합품 등의 알데히드-아민계 촉진제;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등의 알데히드-암모니아계 촉진제; 티오카르바닐리드 등의 티오요소계 촉진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류 촉진제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류 조제로서는 산화아연(아연화), 산화마그네슘 등의 금속산화물; 수산화칼슘 등의 금속수산화물; 탄산아연, 염기성 탄산아연 등의 금속탄산염;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지방산;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의 지방족 금속염; n-부틸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등의 아민류; 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N,N-m-페닐렌디말레이미드,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류 조제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또한 고무 공업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노화 방지제, 가류 지연제, 풀림제, 프로세스유, 가소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필요에 따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무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고무 성형품은 타이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무 성형품은 타이어 트레드일 수 있다. 상기 타이어 트레드는 타이어 용도 및 물성을 고려하여 원료들의 적절한 배합비를 선택하여 공지의 방법을 거쳐 타이어로 제조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상기의 각 성분을, 예를 들면 플라스토밀(plastomill),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롤, 인터널 믹서 등의 혼련기를 이용하여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각 성분 중, 가교제 및 가황촉진제 이외의 성분을 혼련하고, 그 후, 얻어진 혼련물에 가교제 및 가황 촉진제를 첨가하여 추가로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무 조성물은 노면과 접하는 트레드부(및 트레드부를 포함하는 캡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제조방법을 보면, 상기 고무 조성물을 형성해야 할 타이어의 형상(구체적으로는, 트레드의 형상)에 따라서 압출 가공하고, 타이어 성형기 상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타이어용 미가교 성형체를 제조한다. 이 타이어용 미가교 성형체를 예를 들면 가황기 중에서 가열 가압함으로써, 타이어 트레드를 제조하고, 이 타이어 트레드와 다른 부품을 조립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타이어는 타이어로서 가져야 할 기계적 물성(경도, 인장강도, 모듈러스 등), 칩절단내성 및 점착 성능이 우수하다. 특히, 그립성(wet/dry)이 높아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 및 브레이크 제동성이 우수하고, 구름 저항이 낮아 자동차의 저연비화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은, 저연비 타이어, 및 고성능 타이어 등의 타이어의 트레드를 얻기 위한 고무 조성물로서 적합하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정제 C9 유분(YNCC사) 12.52 중량부와 점도 조절제 LP-A180 (코오롱인더스트리사) 20.0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 n-도데실 머캡탄 1.34 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45.61 중량부, 용매 자일렌 20.52 중량부를 추가한 후, 중합 촉매 BF3 0.15 중량부를 부가하고, 150 ℃에서 중합반응을 2.5 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중합이 완료된 중합물은 탈기 과정을 거쳐 미반응 반응물을 제거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비교예 1 및 2: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정제 C9 유분, 점도 조절제, 분자량 조절제, 스티렌 단량체 및 자일렌 용매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개질되 석유수지 개질된 석유 수지 중 스티렌 함량(%) 자일렌 스티렌/자일렌 점도
조절제
정제 유분 스티렌 단량체 분자량
조절제
실시예 1 12.52 45.61 1.34 76.7% 20.53 2.22 20
실시예 2 42.06 16.1 1.34 27.1% 20.5 1.27 20
실시예 3 8.25 46.75 5 77.9% 20 2.33 20
비교예 1 80.09 0 1.25 0% 0.03 0 18.63
비교예 2 70.7 10 1.3 12.2% 18 0.55 0
평가예 1: 점도 측정
Brookfield社 점도계를 사용하였다. Spindle No.27을 사용하였고 챔버에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5g의 시료를 각각 투입했다. 25℃에서 30분간 안정화 시간을 가진 후 교반 축 RPM값을 조정하여 Torque가 50% 값을 가질 때의 점도 값을 각각 하기 표 2에 기록하였다.
평가예 2: 가드너 색상 측정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색상 측정은 ASTM D1544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지 조성물을 직사각형 석영 Cell(가로 20mm, 세로 40mm 및 경로길이 10mm)에 투입하였다. 이 셀을 PFX195 COLORMETER 장착한 후 가동하여 가드너 색상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록하였다.
평가예 3: 분자량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휴렛패커드사 제품, 모델명 HP-1100)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Mw), 수평균분자량(Mn), Z-평균분자량(Mz) 및 분산도(MWD)를 구하였다. 측정 중합체는 4000 ppm의 농도가 되도록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켜 GPC에 100 ㎕를 주입하였다. GPC의 이동상은 테트라히드로퓨란을 사용하고 1.0 mL/분의 유속으로 유입하였으며, 분석은 30 ℃에서 수행하였다. 컬럼은 에이질런트사 PIgel(1,000+500+100Å) 3개를 직렬로 연결하였다. 검출기로는 RI 검출기(휴렛팩커드사 제품, HP-1047A)를 이용하여 30 ℃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서 보여진다.
평가예 4: 방향족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수지 조성물에 대한 방향족성을 NMR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서 보여진다.
점도(cps@25℃) 가드너
색상
방향족성 수평균분자량(Mn) 중량평균분자량(Mw) Z-평균분자량(Mz) 분산도(MWD)
실시예 1 7,050 6.7 43.2 273 564 4872 2.07
실시예 2 9,650 7.8 40.1 269 420 664 1.56
실시예 3 16,800 5.4 45.6 394 577 1393 1.47
비교예 1 29,000 10.3 35.3 256 380 556 1.48
비교예 2 82,000 10.5 47.7 302 425 625 1.41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수한 스티렌 단량체를 중합 성분으로 이용하여 합성하고, 가드너 색상이 10 이하인 실시예 1 내지 3의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의 수지 조성물에 비해 적절한 점도 범위를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26)

  1.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된 석유수지의 양 말단 중 적어도 일 말단에 분자량 조절제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개질된 석유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가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는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7 이상 10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며;
    분산도가 1 내지 3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570 g/mol이고,
    가드너 색도가 4 내지 10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는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7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 포함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는 C9 혼합 유분 유래 단위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9 혼합 유분 유래 단위 구조는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스티렌,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인덴, 트랜스-베타-메틸스티렌 및 메틸인덴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는 양 말단에 분자량 조절제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수평균분자량(Mn)이 200 내지 400이고,
    Z-평균분자량(Mz)가 650 내지 4000이고,
    25 ℃에서 측정된 점도가 5,000 내지 50,000 cps이고,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25 ℃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하나 이상의 싸이올기를 함유하는 머캡탄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머캡탄류 화합물은 에틸 머캡탄, 부틸 머캡탄, 헥실 머캡탄, 옥틸 머캡탄, 도데실 머캡탄; 페닐 머캡탄, 벤질 머캡탄; 머캡토에탄올, 싸이올글리콜산, 머캡토 프로피온산;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머캡토)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점도 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25℃에서 점도가 20 내지 500 cps인 저점도 액상 수지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액상 수지는 수첨 DCPD-C9 공중합체 수지(hydrogenated DCPD-C9 copolymer resins), 수첨 DCPD (hydrogenated DCPD resins),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수지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수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고,
    상기 점도 조절제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된,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25℃에서 측정된 점도가 5,000 내지 17,000 cps이고,
    방향족성(aromaticity)이 25% 내지 70%이고,
    상기 방향족성은 상기 수지 조성물에 대한 NMR 측정 결과 중 방향족성 수소 면적 비율인, 수지 조성물.
  14. C5 단량체, C5 혼합 유분, C9 단량체, C9 혼합 유분,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 및 선형 올레핀 단량체 중 하나 이상, 스티렌 단량체, 분자량 조절제 및 자일렌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중합촉매 또는/및 열을 부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중합반응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중합반응 생성물은 스티렌 단량체 유래 단위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 단량체 및 상기 자일렌 용매는 중량 기준으로 4:1 내지 1:1로 용액 내에 첨가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이 가드너 색도가 4 내지 10인,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C9 혼합 유분을 포함하고, 상기 C9 혼합 유분은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스티렌,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인덴, 및 메틸인덴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적어도 하나의 티올기를 함유하는 머캡탄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점도 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25℃에서 점도가 20 내지 500 cps인 저점도 액상 수지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수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수지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된,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 중합촉매를 부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며,
    상기 중합촉매는 AlCl3, BF3, SnCl4, TiCl4, AgClO4, I2, 및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루이스산 촉매인,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 열을 부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며,
    상기 열 부가는 100 내지 300 ℃로 승온함으로써 수행되는,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반응 생성물은 개질된 석유수지와 점도 조절제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개질된 석유수지는 중합 반응에 의하여 상기 C5 단량체, C5 혼합 유분, C9 단량체, C9 혼합 유분, 환형 디올레핀 단량체 및 선형 올레핀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이 중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된 석유수지의 양 말단 중 적어도 일 말단에 상기 분자량 조절제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2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26. 제25항에 따른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페인트 조성물.

KR1020210134440A 2020-11-20 2021-10-08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KR102614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933 2020-11-20
KR20200156933 2020-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804A KR20220069804A (ko) 2022-05-27
KR102614617B1 true KR102614617B1 (ko) 2023-12-19

Family

ID=8170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440A KR102614617B1 (ko) 2020-11-20 2021-10-08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92922A1 (ko)
EP (1) EP4141070A4 (ko)
JP (1) JP2023535030A (ko)
KR (1) KR102614617B1 (ko)
CN (1) CN115698167A (ko)
TW (1) TWI805066B (ko)
WO (1) WO2022108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1718B2 (en) * 2008-05-08 2015-11-10 Wellington Invest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mold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07B1 (ko) * 1994-10-19 2002-12-31 이스트만 케미칼 레진즈 인코포레이티드 열중합된디사이클로펜타디엔/비닐방향족수지
CN1594383A (zh) * 2004-06-28 2005-03-16 河北工业大学 具有阻垢性能的水溶性c9石油树脂三元共聚物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2766A (en) * 1986-12-01 1990-02-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Liquid aliphatic resins
JP3379448B2 (ja) * 1998-09-30 2003-02-24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水素化c9系石油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水素化c9系石油樹脂
KR100449368B1 (ko) * 2002-03-28 2004-09-22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터셔리-도데실머캅탄을 분자량 조절제로 사용한 지도장용합성 유동성 조절제의 제조방법
JP5787624B2 (ja) * 2011-06-01 2015-09-30 出光興産株式会社 水添石油樹脂ペレットの製造方法
KR101919398B1 (ko) * 2012-12-28 2018-11-1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석유수지 제조용 분자량 조절제 및 이를 이용한 석유수지의 제조방법
KR102188079B1 (ko) * 2014-06-27 2020-12-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석유수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테이프
KR102003451B1 (ko) * 2016-06-30 2019-07-2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경화 가능한 석유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07B1 (ko) * 1994-10-19 2002-12-31 이스트만 케미칼 레진즈 인코포레이티드 열중합된디사이클로펜타디엔/비닐방향족수지
CN1594383A (zh) * 2004-06-28 2005-03-16 河北工业大学 具有阻垢性能的水溶性c9石油树脂三元共聚物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5066B (zh) 2023-06-11
KR20220069804A (ko) 2022-05-27
US20230192922A1 (en) 2023-06-22
EP4141070A1 (en) 2023-03-01
WO2022108144A1 (ko) 2022-05-27
CN115698167A (zh) 2023-02-03
TW202229382A (zh) 2022-08-01
JP2023535030A (ja) 2023-08-15
EP4141070A4 (en)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7293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6039008A1 (ja) 空気入りタイヤ
TWI763190B (zh) 氫化石油樹脂及其製備方法以及包括其之橡膠組成物及用於輪胎面的橡膠組成物
US11028255B2 (en) Composition for tire tread comprising resin alternative to process oil
KR102614617B1 (ko)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KR102640216B1 (ko)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995924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2477254B1 (ko) 고무 조성물
EP4086289B1 (en) Resin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2020132822A (ja) シラン化合物および石油樹脂を含んでなるゴム組成物
KR20180001872A (ko) 로진 변성 테르펜 페놀 수지를 포함하는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2563213B1 (ko)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가스 배리어 필름, 및 상기 가스 배리어 필름을 포함한 타이어
JP7484174B2 (ja) 重荷重用タイヤのキャップ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重荷重用タイヤのキャップトレッドおよび重荷重用タイヤ
KR20210037341A (ko) 타이어 이너라이너용 고무 조성물
WO2022255314A1 (ja) 石油樹脂、ゴム用添加剤、未架橋ゴム組成物及び架橋ゴム
KR20230051232A (ko) 유기 규소 화합물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당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