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246B1 - 가이드차 - Google Patents

가이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246B1
KR102611246B1 KR1020197024221A KR20197024221A KR102611246B1 KR 102611246 B1 KR102611246 B1 KR 102611246B1 KR 1020197024221 A KR1020197024221 A KR 1020197024221A KR 20197024221 A KR20197024221 A KR 20197024221A KR 102611246 B1 KR102611246 B1 KR 102611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member
frame
guide
vertical
c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705A (ko
Inventor
야스히코 사사키
나오키 야마시타
고우키 와카마츠
고다이 아사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쥬기카이 프로세스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쥬기카이 프로세스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쥬기카이 프로세스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9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3/00Discharging devices; Coke guides
    • C10B33/14Coke guides

Abstract

가이드차는, 코크스로의 탄화실로부터 압출램으로 압출된 코크스를 안내하는 케이지를 구비하고, 압출램의 가동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차이다. 케이지는, 압출램의 가동방향연장선을 둘러싸며, 코크스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은, 안내로의 상측에서 제1 방향으로 뻗는 상측프레임과, 안내로의 하측에서 제1 방향으로 뻗는 하측프레임과,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세로프레임과, 상측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빔부재와, 하측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빔부재를 포함한다. 제1 빔부재와 제2 빔부재는, 제1 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마련된다.

Description

가이드차
본 발명은, 압출기에 의하여 노(爐) 외로 압출된 코크스를 가이드하는 코크스로(爐)의 가이드차에 관한 것이다.
압출기와 탄화실과 가이드차를 구비하는 코크스로설비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탄화실이 병설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탄화실의 요구(窯口)로부터 압출된 코크스를 버킷에 도입하는 코크스가이드차를 구비하는 코크스제조설비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66925호
탄화실의 요구로부터 압출된 코크스를 안내하는 코크스로의 가이드차에는 경량화의 요청이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차는 병설된 복수의 탄화실을 따라 뻗어 있는 레일 상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가 많다. 가이드차는, 강풍이나 지진 시에 수평방향의 하중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가이드차는, 코크스의 안내로(案內路)를 형성하는 중공(中空)구조를 가지므로, 특히, 레일의 연장방향으로 큰 하중을 받으면 가이드차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수평방향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보강부재를 추가하면, 가이드차가 무거워져, 경량화의 요청에 반한다. 가이드차가 무거워지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제는 레일 상을 이동하는 가이드차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단에 의하여 이동하는 코크스로의 가이드차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들로부터, 종래의 코크스로의 가이드차에는 경량화와 강도의 양립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개선해야 할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량화와 강도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는 코크스로의 가이드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가이드차는, 코크스로의 탄화실로부터 압출램으로 압출된 코크스를 안내하는 케이지를 구비하고, 압출램의 가동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차이며, 케이지는, 압출램의 가동방향연장선을 둘러싸고, 코크스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은, 안내로의 상측에서 제1 방향으로 뻗는 상측프레임과, 안내로의 하측에서 제1 방향으로 뻗는 하측프레임과,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세로프레임과, 상측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빔부재와, 하측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빔부재를 포함한다. 제1 빔부재와 제2 빔부재는, 제1 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마련된다.
다만,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화와 강도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는 코크스로의 가이드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이드차를 적용한 코크스로설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이드차의 지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이드차의 지지프레임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를 바탕으로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적절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치수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히 확대, 축소하여 나타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부재의 일부는 생략하여 표시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평행", "수직"은, 완전한 평행, 수직뿐만 아니라, 오차의 범위에서 평행, 수직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대략"은, 대략적인 범위라는 의미이다.
또, 제1, 제2 등의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지만, 이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할 목적으로만 이용되고, 이 용어에 의하여 구성요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이드차(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이드차(10)를 적용한 코크스로설비(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코크스로의 가이드차를 간단하게 가이드차라고 한다.
이하, 주로 XYZ직교좌표계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X축방향은, 도 1에 있어서 지면(紙面) 좌우방향에 대응한다. Y축방향은, 도 1에 있어서 지면 상하방향에 대응한다. Z축방향은, 도 1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응한다. Y축방향 및 Z축방향은 각각 X축방향에 직교한다. X축, Y축, Z축의 각각의 정(正)의 방향은, 각 도면에 있어서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규정되고, 부(負)의 방향은, 화살표와 역방향의 방향으로 규정된다. 또, X축의 정방향측을 "우측", X축의 부방향측을 "좌측"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 Z축의 정방향측을 "전측", Z축의 부방향측을 "후측", Y축의 정방향측을 "상측", Y축의 부방향측을 "하측"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방향의 표기는 가이드차(10)의 사용자세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차(10)는, 용도에 따라 임의의 자세로 사용될 수 있다.
(코크스로설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크스로설비(100)는, 가이드차(10)와, 코크스로(50)와, 압출기(70)와, 한 쌍의 레일(54)과, 한 쌍의 레일(56)과, 버킷차(58)와, 후드(16)를 주로 포함한다. 코크스로(50)는, 제1 방향으로서 예시되는 Z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화실(52)을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Z축방향은 복수의 탄화실(52)의 배열방향과 일치한다. 레일(54, 56)은, 복수의 탄화실(52)을 따라 Z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다. 압출기(70)는, 탄화실(52)에서 건류(乾溜)하여 생성된 코크스(80)를 압출하기 위하여, 탄화실(52)의 노구(爐口)(51)측에 마련된다.
압출기(70)는, 각 탄화실(52)로부터 코크스(80)를 압출하는 장치이다. 압출기(70)는, 각각의 탄화실(52)의 앞을 Z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압출기(70)는, 탄화실(52)의 코크스를 압출하는 압출램(74)을 구비한다. 압출램(74)은, 압출기(70)에 의하여, 가동방향으로서 예시되는 X축방향으로 출입한다. 특히, 압출램(74)은,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동력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어가 축부에 마련된 랙기어(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림으로써, X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X축방향은 코크스(80)의 압출방향과 일치한다. 압출램(74)은, 각 탄화실(52)의 노구(51)로부터 진입하여, 코크스(80)를 노구(51)의 반대측에 마련된 배출구(53)로부터 가이드차(10)를 향하여 압출한다. 가이드차(10)는, 압출된 코크스(80)를 버킷차(58)로 안내하는 케이지(14)를 구비한다. 각 탄화실(52)의 배출구(53)는, 코크스 생성 시에는 덮개부재에 의하여 폐색되어 있다. 코크스(80)를 압출할 때, 덮개부재는 가이드차(10)에 마련되는 덮개분리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분리된다.
가이드차(10)는, 코크스로(50)의 배출구(53)측에 마련된다. 가이드차(10)는, Z축방향으로 뻗는 한 쌍의 레일(54) 상을 Z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이드차(10)는, 각 탄화실(52)로부터 압출된 코크스(80)를 버킷차(58)로 안내하는 케이지(14)를 구비한다. 케이지(14)는, 지지프레임(20)과, 가이드부재(18)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8)는, 코크스(80)의 안내로(14b)를 형성한다. 일례로서, 가이드부재(18)는, X축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고, 안내로(14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판상의 부재여도 된다. 지지프레임(20)은, 압출램(74)의 X축방향의 연장선(La)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지지프레임(20)은, 가이드부재(18)를 지지한다. 지지프레임(2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버킷차(58)는, Z축방향으로 뻗는 한 쌍의 레일(56) 상을 Z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버킷차(58)는, 수용한 코크스(80)를 소화용 설비(도시하지 않음)로 반송한다. 버킷차(58)는, 대차부(臺車部)(58b)와, 버킷(58c)을 구비한다. 대차부(58b)는, 레일(56) 상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대차로서 기능한다. 버킷(58c)은, 대차부(58b) 상에 마련되고, 가이드차(10)의 안내로(14b)로부터 배출된 코크스(80)를 수용한다. 버킷(58c)은, 상면이 개구된 용기로서 기능한다.
이 예에서는, 후드(16)는, 버킷차(58)의 상방을 덮으면서, 버킷차(58)와 동기하여 Z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코크스(80)로부터 발생하는 함진(含塵)가스를 제진처리설비(도시하지 않음)로 유도한다.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프레임(2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도이다. 이 도면은, 도 1의 A-A선 및 B-B선에서 본 지지프레임(20)을 나타내고 있다. 지지프레임(2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2개의 지지프레임(20b, 20c)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지지프레임(20b, 20c)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일방의 지지프레임(20b)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프레임(20b)은, 압출램(74)의 연장선(La) 및 안내로(14b)를 둘러싸는 복수의 프레임부재나 빔부재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0b)은, 상측프레임(22)과, 하측프레임(24)과, 세로프레임(26)과, 제1 빔부재(28)와, 제2 빔부재(30)를 포함한다. 상측프레임(22)은, 안내로(14b)의 상측에서 Z축방향으로 뻗는 봉상의 프레임부재이다. 상측프레임(22)에는, 예를 들면 덮개분리장치 등 도시하지 않은 부대장치가 배치되어도 된다. 하측프레임(24)은, 안내로(14b)의 하측에서 Z축방향으로 뻗는 봉상의 프레임부재이다. 하측프레임에는, 레일(54) 상을 이동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이동기구가 마련된다. 세로프레임(26)은, 상측프레임(22)과 하측프레임(24)을 연결하는 봉상의 프레임부재이다. 이 예에서는, 상측프레임(22), 하측프레임(24), 세로프레임(26), 제1 빔부재(28) 및 제2 빔부재(30)는, Y-Z평면 상에 뻗어 있다.
제1 빔부재(28)는, 상측프레임(22)과 세로프레임(26)을 연결하는 봉상의 프레임부재이다. 제2 빔부재(30)는, 하측프레임(24)과 세로프레임(26)을 연결하는 봉상의 프레임부재이다. 제1 빔부재(28)와 제2 빔부재(30)는, Z축방향 및 상하방향인 Y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마련된다. 상측프레임(22), 하측프레임(24), 세로프레임(26), 제1 빔부재(28) 및 제2 빔부재(30)는, H형강 등의 형강으로 형성되고, 각각 볼트체결이나 용접 등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도 된다.
상측프레임(22)과 하측프레임(24) 각각은, Z축방향으로 연속하는 일체의 소재로 형성되어도 되고, 복수로 분할되어 불연속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상측프레임(22)은 연속하는 일체형상을 갖고, 하측프레임(24)은, 서로 Z축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하측프레임(24b, 24c)을 포함한다.
세로프레임(26)은, 상측프레임(22)과 하측프레임(24)의 사이에서 대략 Y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세로프레임(26)은, Z축방향으로 이간하여 안내로(14b)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26b, 26c)을 포함한다. 세로프레임(26b)의 상단은, 상측프레임(22)의 Z축방향의 일방의 단부(22d) 근방에 연결되고, 세로프레임(26b)의 하단은, 하측프레임(24b)의 도중에 연결된다. 세로프레임(26c)의 상단은, 상측프레임(22)의 Z축방향의 타방의 단부(22e) 근방에 연결되고, 세로프레임(26c)의 하단은, 하측프레임(24c)의 도중에 연결된다.
제1 빔부재(28)는, 상측프레임(22)과 하측프레임(24)의 사이에서 Y축방향 및 Z축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1 빔부재(28)는, Z축방향으로 이간하여 안내로(14b)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제1 빔부재(28b, 28c)를 포함한다. 제1 빔부재(28b)의 상단은, 상측프레임(22)의 일방의 단부(22d)로부터 Z축방향 중앙으로 치우친 위치에 연결되고, 제1 빔부재(28b)의 하단은, 세로프레임(26b)의 Y축방향 중앙 부근에 연결된다. 즉, 제1 빔부재(28b)는, 세로프레임(26b)과 상측프레임(22)과 삼각구조(20h)를 구성한다. 제1 빔부재(28c)의 상단은, 상측프레임(22)의 타방의 단부(22e)로부터 Z축방향 중앙으로 치우친 위치에 연결되고, 제1 빔부재(28c)의 하단은, 세로프레임(26c)의 Y축방향 중앙 부근에 연결된다. 즉, 제1 빔부재(28c)는, 세로프레임(26c)과 상측프레임(22)과 삼각구조(20m)를 구성한다.
제2 빔부재(30)는, 상측프레임(22)과 하측프레임(24)의 사이에서 Y축방향 및 Z축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2 빔부재(30)는, Z축방향으로 이간하여 안내로(14b)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제2 빔부재(30b, 30c)를 포함한다. 제2 빔부재(30b)의 하단은, 하측프레임(24b)에 연결되고, 제2 빔부재(30b)의 상단은, 세로프레임(26b)의 Y축방향 중앙 부근에 연결된다. 즉, 제2 빔부재(30b)는, 세로프레임(26b)과 하측프레임(24)과 삼각구조(20j)를 구성한다. 제2 빔부재(30c)의 하단은, 하측프레임(24c)에 연결되고, 제2 빔부재(30c)의 상단은, 세로프레임(26c)의 Y축방향 중앙 부근에 연결된다. 즉, 제2 빔부재(30c)는, 세로프레임(26c)과 하측프레임(24)과 삼각구조(20n)를 구성한다.
제1 빔부재(28)와 제2 빔부재(30)는,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제1 빔부재(28b)의 하단과, 제2 빔부재(30b)의 상단은, 세로프레임(26b)의 도중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1 빔부재(28b)와, 제2 빔부재(30b)의 접속영역(Ja1)은 세로프레임(26b)의 Y축방향의 중점(C1)의 근방에 마련된다. 도 2의 예에서는, 제1 빔부재(28b)의 상단 및 제2 빔부재(30b)의 하단은, 세로프레임(26b)으로부터 Z축방향에서 부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빔부재(28b) 및 제2 빔부재(30b)는, 옆을 향한 V자형상을 나타낸다.
제1 빔부재(28c)의 하단과, 제2 빔부재(30c)의 상단은, 세로프레임(26c)의 도중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1 빔부재(28c)와, 제2 빔부재(30c)의 접속영역(Ja2)은 세로프레임(26c)의 Y축방향의 중점(C2)의 근방에 마련된다. 도 2의 예에서는, 제1 빔부재(28c)의 상단 및 제2 빔부재(30c)의 하단은, 세로프레임(26c)으로부터 Z축방향에서 정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빔부재(28c) 및 제2 빔부재(30c)는, 가로방향의 V자형상을 나타낸다.
제1 빔부재(28)와 제2 빔부재(30)는, 서로 접속된 빔부재세트(34)를 복수 구성한다. 특히, 제1 빔부재(28b) 및 제2 빔부재(30b)는, 서로 접속된 빔부재세트(34b)를 구성한다. 제1 빔부재(28c) 및 제2 빔부재(30c)는, 서로 접속된 빔부재세트(34c)를 구성한다. 즉, 빔부재세트(34)는, Z축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빔부재세트(34b, 34c)를 포함한다. 한 쌍의 빔부재세트(34b, 34c)는, 비대칭이어도 되고, 안내로(14b)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특히, 한 쌍의 빔부재세트(34b, 34c)는, 안내로(14b)의 Z축방향범위의 이등분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지지프레임(20)이 고강도를 발휘하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빔부재(28)는, 상측프레임(22), 하측프레임(24) 및 세로프레임(26)과 삼각구조(20h, 20j, 20m, 20n)를 구성한다. 지지프레임(20)이 강풍이나 지진 시에 수평방향의 하중을 받았을 때, 이 하중은 삼각구조(20h, 20j, 20m, 20n)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로 인하여, 이 하중에 의한 삼각구조(20h, 20j, 20m, 20n)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은 주로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이며, 이들 빔부재는 상술한 수평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발휘한다. 특히, 빔부재세트(34)는, 가로방향의 V자상의 구조를 구성하기 때문에, 안내로(14b)를 위한 개구를 차단하는 일 없이, 지지프레임(20)에 입력되는 하중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발휘한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프레임(20)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가이드차(10)의 지지프레임(20)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도이며, 도 2에 대응한다. 이 예는,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제3 빔부재(32)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고,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로 인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프레임(20)은, 제1 빔부재(28)와 제2 빔부재(30)를 연결하고 Y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3 빔부재(32)를 더 포함한다. 제3 빔부재(32)는, Z축방향으로 이간하여 안내로(14b)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제3 빔부재(32b, 32c)를 포함한다. 제3 빔부재(32b)의 상단은, 제1 빔부재(28b)의 도중에 연결되고, 제3 빔부재(32b)의 하단은, 제2 빔부재(30b)의 도중에 연결된다. 즉, 제3 빔부재(32b)는, 제1 빔부재(28b)와 제2 빔부재(30b)와 삼각구조(20p)를 구성한다. 제3 빔부재(32c)의 상단은, 제1 빔부재(28c)의 도중에 연결되고, 제3 빔부재(32c)의 하단은, 제2 빔부재(30c)의 도중에 연결된다. 즉, 제3 빔부재(32c)는, 제1 빔부재(28c)와 제2 빔부재(30c)와 삼각구조(20q)를 구성한다. 제3 빔부재(32)는, H형강 등의 형강으로 형성되고, 각각 볼트체결이나 용접 등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빔부재(32)는, 제1 빔부재(28) 및 제2 빔부재(30)와 삼각구조(20p, 20q)를 구성함으로써, 빔부재세트(34)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제3 빔부재(32)는 빔부재세트(34)와 가로방향의 A자상의 구조를 구성하기 때문에, 상측프레임(22)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가이드차는, 코크스로의 탄화실로부터 압출램으로 압출된 코크스를 안내하는 케이지를 구비하고, 압출램의 가동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차이다. 케이지는, 압출램의 가동방향연장선을 둘러싸며, 코크스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은, 안내로의 상측에서 제1 방향으로 뻗는 상측프레임과, 안내로의 하측에서 제1 방향으로 뻗는 하측프레임과,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세로프레임과, 상측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빔부재와, 하측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빔부재를 포함한다. 제1 빔부재와 제2 빔부재는, 제1 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지지프레임에 제1 빔부재와 제2 빔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 프레임이 삼각구조를 형성하고, 강풍이나 지진 시의 수평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개선된다.
제1 빔부재와 제2 빔부재는,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빔부재와 제2 빔부재가 가로방향의 V자상의 구조를 구성하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발휘한다.
제1 빔부재와 제2 빔부재와의 접속영역은, 세로프레임의 상하방향의 중점 근방에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접속영역이 상하의 일방으로 치우쳐져 있는 경우에 비하여, 상하에 구성되는 삼각구조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하중에 대한 강도가 개선된다.
지지프레임은, 제1 빔부재와 제2 빔부재를 연결하고 상하방향으로 뻗는 제3 빔부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제3 빔부재는 빔부재세트와 가로방향의 A자상의 구조를 구성하기 때문에, 상측프레임(22)의 휨을 억제한다.
지지프레임은, 서로 접속된 제1 빔부재와 제2 빔부재로 이루어지는 빔부재세트를 복수 포함해도 된다. 복수의 빔부재세트는, 안내로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빔부재세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일방만의 빔부재세트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강풍이나 지진 시의 수평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개선된다.
한 쌍의 빔부재세트는, 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내(耐)하중성능의 언밸런스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바탕으로 설명했다.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가능한 점, 또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도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있는 점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기술 및 도면은 한정적이 아니라 예증적으로 취급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의 도면 및 설명에서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변형예)
각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차(10)가 레일(54) 상을 주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차는 타이어나 무한궤도에 의하여 주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지지프레임(20)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프레임부재나 빔부재를 포함해도 된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지지프레임(20b, 20c)을 포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지프레임은, 1개 또는 3 이상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해도 된다.
2개의 지지프레임(20b, 20c)이 동일한 구성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프레임(20b, 20c)은 다른 구성을 구비해도 된다.
이들 변형예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변형예의 임의의 조합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유용하다. 조합에 의하여 발생하는 새로운 실시형태는, 조합되는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 각각의 효과를 겸비한다.
10··가이드차
14··케이지
16··후드
18··가이드부재
20··지지프레임
22··상측프레임
24··하측프레임
26··세로프레임
28··제1 빔부재
30··제2 빔부재
32··제3 빔부재
34··빔부재세트
50··코크스로
52··탄화실
56··레일
58··버킷차
70··압출기
74··압출램
80··코크스
100··코크스로설비
본 발명은, 압출기에 의하여 노 외로 압출된 코크스를 가이드하는 코크스로의 가이드차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코크스로의 탄화실로부터 압출램으로 압출된 코크스를 안내하는 케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압출램의 가동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차로서,
    상기 케이지는, 상기 압출램의 가동방향연장선을 둘러싸며, 상기 코크스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안내로의 상측에서 제1 방향으로 뻗는 상측프레임과,
    상기 안내로의 하측에서 제1 방향으로 뻗는 하측프레임과,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하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빔부재와,
    상기 하측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빔부재와 상기 제2 빔부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부재와 상기 제2 빔부재는,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부재와 상기 제2 빔부재와의 접속영역은,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하방향의 중점 근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 빔부재와 상기 제2 빔부재를 연결하고 상하방향으로 뻗는 제3 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차.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서로 접속된 상기 제1 빔부재와 상기 제2 빔부재로 이루어지는 빔부재세트를 복수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빔부재세트는, 상기 안내로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빔부재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빔부재세트는,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차.
KR1020197024221A 2018-02-09 2019-02-07 가이드차 KR102611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21684 2018-02-09
JP2018021684A JP6530090B1 (ja) 2018-02-09 2018-02-09 ガイド車
PCT/JP2019/004370 WO2019156147A1 (ja) 2018-02-09 2019-02-07 ガイド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705A KR20200119705A (ko) 2020-10-20
KR102611246B1 true KR102611246B1 (ko) 2023-12-06

Family

ID=6682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221A KR102611246B1 (ko) 2018-02-09 2019-02-07 가이드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30090B1 (ko)
KR (1) KR102611246B1 (ko)
CN (1) CN111655820B (ko)
WO (1) WO201915614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6074B (de) 1961-06-03 1966-10-06 Still Fa Carl Vorrichtung zur Temperaturmessung des Kokskuchens waehrend des Ausdrueckens aus einem Horizontalkokskammerofen
JP2009046651A (ja) 2007-07-24 2009-03-05 Jfe Engineering Kk コークガイド車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820472Y1 (ko) * 1958-06-14 1963-10-03
SU685572A1 (ru) * 1974-01-16 1979-09-15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Гипромашуглеобогащени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бора проб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DE3011781C2 (de) * 1980-03-27 1984-02-23 Gewerkschaft Schalker Eisenhütte, 4650 Gelsenkirchen Einrichtung für die Koksofenbedienung
DE3342234A1 (de) * 1983-11-23 1985-05-30 Hölter, Heinz, Dipl.-Ing., 4390 Gladbeck Kokereihalle
JPS61199543U (ko) * 1985-06-03 1986-12-13
FR2656662B1 (fr) * 1989-12-29 1992-04-10 Cdf Ingenierie Coreal Machine pour l'entretien et la reparation des pilons des enfourneuses de cokerie.
CN2210895Y (zh) * 1994-11-25 1995-10-25 首钢总公司 外跨式除尘拦焦机
TWI299359B (en) * 2004-12-28 2008-08-01 Jfe Steel Corp Coke pushing method and coke pusher machine
JP4464307B2 (ja) * 2005-03-31 2010-05-19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軽量鉄骨住宅の制震構造
CN2808908Y (zh) * 2005-08-01 2006-08-23 大连华宇冶金设备有限公司 顶装改侧装煤焦炉捣固装煤车
CN2868959Y (zh) * 2005-08-12 2007-02-14 刘秉东 矿山斜井牵引导向车
JP4966869B2 (ja) * 2006-01-31 2012-07-04 住友重機械プロセス機器株式会社 圧力容器用のベロー
CN201245599Y (zh) * 2008-05-14 2009-05-27 大连华宇冶金设备有限公司 捣固除尘拦焦机一次定位机构
CN201241079Y (zh) * 2008-05-22 2009-05-20 大连华锐股份有限公司 导焦装置
JP5380046B2 (ja) * 2008-11-14 2014-01-08 住友重機械プロセス機器株式会社 コークガイド車
JP5688307B2 (ja) 2011-02-16 2015-03-25 住友重機械プロセス機器株式会社 ベルトリフティング装置及び移動装置
CN102181297B (zh) * 2011-03-15 2013-10-23 南京梅山冶金发展有限公司 重型机械走行轮组纠偏调整装置
CN202369544U (zh) * 2011-12-22 2012-08-08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焦炉用除尘拦焦车
JP5930468B2 (ja) * 2012-12-17 2016-06-08 住友重機械プロセス機器株式会社 コークス排出装置
KR101500542B1 (ko) * 2013-08-12 2015-03-09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가이드
CN203513569U (zh) * 2013-11-08 2014-04-02 攀钢集团西昌钢钒有限公司 一种焦炉拦焦车
CN204022752U (zh) * 2014-07-16 2014-12-17 攀钢集团西昌钢钒有限公司 熄焦车轨道组件
CN206091502U (zh) * 2016-09-30 2017-04-12 天津大学 一种应用钢板网的混凝土框架抗震加固结构
CN106520147B (zh) * 2016-11-28 2022-03-22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炼焦炉导焦车
CN106978908B (zh) * 2017-05-12 2022-08-26 东南大学 带剪切软钢阻尼器的内嵌预应力装配式框架加固结构
CN206814693U (zh) * 2017-06-08 2017-12-29 大连一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推焦机用推焦杆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6074B (de) 1961-06-03 1966-10-06 Still Fa Carl Vorrichtung zur Temperaturmessung des Kokskuchens waehrend des Ausdrueckens aus einem Horizontalkokskammerofen
JP2009046651A (ja) 2007-07-24 2009-03-05 Jfe Engineering Kk コークガイド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37766A (ja) 2019-08-22
JP6530090B1 (ja) 2019-06-12
KR20200119705A (ko) 2020-10-20
CN111655820A (zh) 2020-09-11
WO2019156147A1 (ja) 2019-08-15
CN111655820B (zh)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0033B1 (en) Vehicle floor structure
US9988089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9090266B2 (en) Railway vehicle
US10737729B2 (en) Vehicle
US8707872B2 (en) Railway vehicle
CN108146512B (zh) 用于车辆的中央部结构
CN109278868B (zh) 车体前部结构
CN101844565A (zh) 列车贯通道
US8689702B2 (en) Railway vehicle
KR102611246B1 (ko) 가이드차
US20180362094A1 (en) Front pillar for a vehicle body
JP5244503B2 (ja) 鉄道車両用車体
KR102645056B1 (ko) 차량용 센터필러 조립체
KR102611277B1 (ko) 압출기
US10106198B2 (en) Vehicle upper body structure
US11400979B2 (en) Frame of vehicle
EP0227310A1 (en) Flexible communication passage between vehicle bodies
CN116096621A (zh) 用于能移动的车辆座椅的结构组件
US20080257654A1 (en) Counterweight With Partially Imbedded Buffer
CN102464028B (zh) 发动机室构造
JP2016175740A (ja) 乗客コンベア
CN218232966U (zh) 一种轨道梁系统
DE102020118018B3 (de) Frontsäulenstruktur für einen Kraftwagen und Kraftwagen
KR101463912B1 (ko) 자동차용 범퍼빔
KR20140048635A (ko)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강성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