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542B1 - 코크가이드 - Google Patents

코크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542B1
KR101500542B1 KR1020130095495A KR20130095495A KR101500542B1 KR 101500542 B1 KR101500542 B1 KR 101500542B1 KR 1020130095495 A KR1020130095495 A KR 1020130095495A KR 20130095495 A KR20130095495 A KR 20130095495A KR 101500542 B1 KR101500542 B1 KR 101500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rame
channel file
frames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096A (ko
Inventor
나유상
강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9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5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3/00Discharging devices; Coke guides
    • C10B33/14Coke gu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는 하우징, 내벽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채널파일, 그리고 채널파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직선 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코크가이드의 내벽이 채널파일로 형성됨으로써, 적열 코크스에 의한 코크가이드의 열변형이 복원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크가이드{COKE GUIDE}
본 발명은 코크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변형이 복원될 수 있는 코크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코크스 공정에서 트랜스퍼카(Transfer Car)는 코크가이드(Coke guide)를 탄화실 측으로 밀착시켜, 적열 코크스가 소화차 측으로 원활하게 압출되도록 하는 설비이다. 예를 들어, 트랜스퍼카는 탄화실 입구가 탈착된 상태에서 코크가이드를 전진함으로써, 탄화실 내의 적열 코크스가 소화차에 유도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준다.
하지만, 적열 코크스를 압출시키는 과정에서 코크가이드가 장시간 고열(약 1100°C)에 노출됨에 따라, 열변형 및 마모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시트파일(Sheet Pile)로 구성된 코크가이드의 내벽은 장시간 동안 적열 코크스에 마찰 및 접촉되므로, 극심한 온도변화(0°C ~ 약 1100°C)로 인해 가로 방향으로 약 38 ~ 44mm까지 팽창한다. 이때 발생한 열변형은 시트파일이 H-빔(H-Beam)에 볼트와 너트로 강제구속되는 구조로 인해 복원되지 못하며, 시트파일에 누적된 열변형은 H-빔의 굴곡 변형을 촉진시킴으로써, 결국 복원이 불가능한 상태를 초래한다.
이처럼, 코크가이드의 열변형 및 마모 현상으로 인해, 코크 가이딩(Coke Guiding) 및 블로킹(Blocking) 불량이 발생하여 설비장애가 수시로 발생하는 등 조업이 불안정해지며, 다량의 낙 코크스 발생에 따른 처리비용 지출 및 코크가이드의 정비물량이 급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마모된 시트파일을 교환하는 작업은 비계틀 설치, 방열판 제거, 중량물 줄걸이 및 다량의 볼트 해체 등 복잡한 절차가 요구되므로 정비시간 및 복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이 같은 작업은 협소한 고온의 장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환경이 안전상 열악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채널파일을 프레임에 슬립하게 삽입함으로써, 열변형이 복원될 수 있는 코크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화실에서 압출되는 적열 코크스를 안내하는 코크가이드에 있어서, 하우징; 내벽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채널파일; 및 상기 채널파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직선 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하는 코크가이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제1 프레임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채널파일;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채널파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채널파일과 제2 채널파일의 길이방향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채널파일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채널파일 간의 간격은 상기 채널파일의 최대 열팽창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채널파일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 간의 거리는 상기 탄화실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간의 유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제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채널파일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고정부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간에는 인접한 프레임과 결속되기 위한 클로즈 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파일의 일측에는 상기 채널파일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라운딩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채널파일의 일단에는 상기 채널파일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리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변형에 취약한 시트파일 대신 채널파일이 사용됨으로써, 코크가이드의 열변형이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코크가이드의 수명이 연장되고 낙 코크스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코크스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크가이드의 내벽으로 시트파일 대신 채널파일이 사용됨으로써, 코크가이드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을 확대배치하고 각 프레임 사이에 클로즈 바를 결속시킴으로써, 코크가이드의 구조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크가이드의 내벽의 교체가 용이해짐에 따라, 정비시간 및 비용이 감소하고 안전상 열악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의 내벽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병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파일과 프레임의 결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의 결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를 나타낸 도 5의 A-A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딩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 5의 B-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의 끝단 영역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가이드 부재(2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의 (b)는 가이드 부재(200)가 전진되어 탄화실 입구(11)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의 내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는 하우징(100), 배출구(110) 및 가이드 부재(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가이드 부재(200)를 수용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버킷(미도시) 측으로 적열 코크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적열 코크스에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고, 적열 코크스의 분진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전후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200)와 하우징(100) 사이에는 가이드 부재(200)의 전후 구동을 위한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롤러를 구동할 수 있는 기어박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00)가 전진됨으로써, 탄화실 입구(11)에 밀착될 수 있다.
이처럼 탄화실(10) 내에서 건류된 적열 코크스가 압출될 때 탄화실 입구(11)에 가이드 부재(200)가 밀착됨으로써, 적열 코크스가 배출구(110)로 유도될 수 있는 통로가 만들어진다. 이때 압출되는 적열 코크스는 배출구(110)의 하부에 배치된 버킷이나 소화차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적열 코크스와 접촉되는 가이드 부재(200)의 내벽은 복수 개의 채널파일(220)이 프레임(210)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200)는 제1 채널파일(220a) 및 제2 채널파일(220b)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됨으로써, 가이드 부재(200)의 내측벽(Inner wall)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채널파일(220a) 및 제2 채널파일(220b)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프레임(210a) 및 제2 프레임(210b)에 의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파일과 프레임의 결합 상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프레임(210)과 채널파일(220)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b)는 프레임(210)과 채널파일(220)이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의 결합 상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를 나타낸 도 7의 A-A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딩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의 끝단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는 프레임(210), 클로즈 바(230) 및 채널파일(220)을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채널파일(220)을 지지하며 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의 일 면에는 채널파일(220)이 결합될 수 있는 제2 체결부(211)가 형성될 수 있고, 일 측에는 프레임(210)에 체결된 채널파일(2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고정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2 체결부(211)는 프레임(210)의 일 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채널파일(220)의 폭에 맞게 일정 간격으로 용접 부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211)는 'ㄱ'자 형상의 꺾쇠로 제작되어, 복수 개의 채널파일(220)이 프레임(210)의 길이방향에 따라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이며, 제2 체결부(21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고정부(212)는 최외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에 용접 부착될 수 있고, 일 면에는 볼트(300)와 너트(400)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 홀(2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에는 필요에 따라, 제1 고정부(2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2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클로즈 바(230)는 복수 개로 구비된 프레임(210)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프레임(210)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 바(230)는 프레임(210)의 사이에 용접 부착됨으로써, 가이드 부재(200)의 구조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채널파일(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210)에 복수 개가 결합되어 가이드 부재(200)의 내측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채널파일(220)은 가이드 부재(200)의 양측 내벽으로 형성되어, 탄화실(10)에서 압출되는 적열 코크스와 접촉 및 마찰될 수 있다. 이때, 채널파일(220) 간의 간격은 채널파일(220)의 최대 열팽창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배치됨으로써, 채널파일(220)에 열변형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열팽창 폭은 열에 의해 팽창한 채널파일(220)의 폭(width)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파일(220)은 'ㄷ'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채널파일(2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프레임(21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채널파일(220)은 제1 체결부(221), 제2 고정부(222), 라운딩 플레이트(223) 및 그리드(2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7을 참고하면, 제1 체결부(221)는 채널파일(220)의 내측에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프레임(210)에 형성된 제2 체결부(211)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221)는 프레임(210)에 형성된 제2 체결부(211)에 가로방향으로 슬립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채널파일(220)의 열팽창량을 고려하여 제1 체결부(221)간의 거리는 탄화실(10)과 멀어질수록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221)와 제2 체결부(211)가 결합된 내부에 소정 간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체결부(221)의 형성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221)와 제2 체결부(211)간의 유격이 조절됨으로써, 프레임(210) 및 제2 체결부(211)에 간접적인 열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열변형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채널파일(220)은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다시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10)에 삽입 결합되는 채널파일(220)은 SS400 탄소강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10)에 형성된 제2 체결부(211)에 제1 체결부(221)가 삽입 결합될 때, 제1 체결부(221)와 제2 체결부(211)간의 유격이 2열부터 5열 순으로 a는 11mm, b는 24mm, c는 36mm, d는40mm 가 될 수 있도록, 제1 체결부(221)의 형성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채널파일(220)의 열팽창 폭을 고려하여 프레임(210)에 삽입 결합되는 채널파일(220)간의 간격은 2mm 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같은 수치는 SS400 탄소강으로 제작된 채널파일(220)의 최대 팽창량을 측정한 결과이며, 채널파일(220)의 재질이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채널파일(220)의 재질이나 제1 체결부(221)의 형성위치 및 채널파일(220)간의 간격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파일(220)은 열변형을 고려한 방법으로 프레임(210)에 결합되기 때문에 적열 코크스와의 접촉 및 마찰에 의한 열변형이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코크가이드의 열변형으로 인한 설비장애 및 낙 코크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비용 및 정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2 고정부(222)는 최외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에 형성된 제1 고정부(212)와 대응되게, 채널파일(2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222)는 채널파일(220)의 내측에 용접 부착될 수 있고, 일 면에 볼트(300)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 홀(222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222)는 볼트(300)와 너트(400)에 의해, 프레임(220)에 형성된 제1 고정부(212)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가이드는 제1 프레임(210a) 및 제2 프레임(210b)이 서로 마주보게 5열로 배치되고, 각각의 프레임(210)에는 복수 개의 제2 체결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화실(10)에 인접한 최외측 프레임(210)에는 제1 고정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 결합된 채널파일(220)은 최외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프레임(210)에 배치된 채널파일(220)이 어느 한 측에서 제1 고정부(212)와 제2 고정부(222)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채널파일(220)이 프레임(2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채널파일(220)은 소모품이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체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제1 고정부(212) 및 제2 고정부(222)에 체결된 볼트(300)만 해체한 후, 채널파일(220)을 빼내어 교체할 수 있으므로, 채널파일(220)을 교체하는 작업이 더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고온의 협소한 장소에서 채널파일(220)의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상 열악한 작업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고하면, 라운딩 플레이트(223)는 채널파일(22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고, 채널파일(220)에 발생하는 열변형을 차단시킬 수 있다. 즉, 라운딩 플레이트(223)는 채널파일(220)의 제2 고정부(222)가 형성된 위치부터 탄화실 입구(11)에 밀착되는 끝단 영역까지 용접 부착됨으로써, 채널파일(220)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운딩 플레이트(223)는 'V'자로 형성되어 채널파일(220)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드(224)는 채널파일(220)의 일단에 형성되어, 라운딩 플레이트(223)와 마찬가지로, 채널파일(220)의 제2 고정부(222)가 형성된 위치부터 탄화실 입구(11)에 밀착되는 끝단 영역까지의 열변형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224)는 채널파일(220)의 끝단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탄화실 11: 탄화실 입구
100: 하우징 110: 배출구
200: 가이드 부재 210: 프레임
210a: 제1 프레임 210b: 제2 프레임
211: 제1 체결부 212: 제1 고정부
212a: 볼트 홀 212b: 지지부
220: 채널파일 220a: 제1 채널파일
221b: 제2 채널파일 221: 제2 체결부
222: 제2 고정부 222a: 볼트 홀
223: 라운딩 플레이트 224: 그리드
230: 클로즈 바 300: 볼트
400: 너트

Claims (9)

  1. 탄화실에서 압출되는 적열 코크스를 안내하는 코크가이드에 있어서,
    하우징;
    내벽을 형성하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채널파일;
    상기 채널파일의 상기 제1 체결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직선 운동가능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와의 거리는 상기 탄화실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가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 개의 제1 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제1 프레임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채널파일;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채널파일;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채널파일과 제2 채널파일의 길이방향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코크가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파일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채널파일 간의 간격은 상기 채널파일의 최대 열팽창 폭과 동일하거나 큰 코크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에 삽입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가이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제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채널파일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고정부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되는 코크가이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간에는 인접한 프레임과 결속되기 위한 클로즈 바가 구비되는 코크가이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파일의 일측에는 상기 채널파일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라운딩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코크가이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파일의 일단에는 상기 채널파일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리드가 더 구비되는 코크가이드.
KR1020130095495A 2013-08-12 2013-08-12 코크가이드 KR101500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495A KR101500542B1 (ko) 2013-08-12 2013-08-12 코크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495A KR101500542B1 (ko) 2013-08-12 2013-08-12 코크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096A KR20150019096A (ko) 2015-02-25
KR101500542B1 true KR101500542B1 (ko) 2015-03-09

Family

ID=5257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495A KR101500542B1 (ko) 2013-08-12 2013-08-12 코크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0090B1 (ja) * 2018-02-09 2019-06-12 住友重機械プロセス機器株式会社 ガイド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8750U (ko) * 1973-06-20 1975-03-01
JPS52111750U (ko) * 1976-02-20 1977-08-25
KR20130050808A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8750U (ko) * 1973-06-20 1975-03-01
JPS52111750U (ko) * 1976-02-20 1977-08-25
KR20130050808A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096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4305B1 (en) Grate bar for a furnace comprising engaging means
JP4493559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KR20010020174A (ko) 미립자로 된 재료용 냉각기
KR101500542B1 (ko) 코크가이드
KR20030001311A (ko) 선형 구동 장치
KR101106840B1 (ko) 팔레트 보수용 푸싱지그
KR20060074450A (ko) 대형 임펠러의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
KR101466386B1 (ko) 고강도 금속 용접을 위한 열교환용 패널의 고정 지그장치
KR101102858B1 (ko) 석탄취급설비계통의 슈트 내 투웨이 댐퍼를 위한 세라믹 라이너 조립방법
KR101080369B1 (ko) 가열로 대차
CN102506581B (zh) 环冷机及其单元静密封装置
CN108006660A (zh) 一种垃圾焚烧炉边墙炉排片
KR101215075B1 (ko)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 및 이를 구비한 소각로
KR100544502B1 (ko) 코크스오븐 불완전연소 감시 및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14907B1 (ko) 전기온돌판넬용 보강판
EP3586076B1 (en) Cooling panel for metallurgical furnace
KR101433588B1 (ko) 파형강판 벤딩장치
CN205990022U (zh) 一种用于卸料漏斗的活动衬板
EP2504623B1 (en) Waste disposal plant with movable frame and guide assembly
JP6323413B2 (ja) グレートバーの押え治具及び押え方法並びにサイドウォール交換方法
CN220468025U (zh) 一种转炉下料装置及炼钢系统
KR101938583B1 (ko) 가열로용 대차
CN219829462U (zh) 一种可调节稳固机构及加热装置
CN113329825A (zh) 轧机机架的弯曲和移位系统
CN205346034U (zh) 一种减少传动链条与支撑导向条之间磨损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