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477B1 -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477B1
KR102608477B1 KR1020190068610A KR20190068610A KR102608477B1 KR 102608477 B1 KR102608477 B1 KR 102608477B1 KR 1020190068610 A KR1020190068610 A KR 1020190068610A KR 20190068610 A KR20190068610 A KR 20190068610A KR 102608477 B1 KR102608477 B1 KR 10260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ng
tube
bumper
pressure
sens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729A (ko
Inventor
박병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4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차량용 압력감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는: 범퍼 백빔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범퍼 업소버; 범퍼 업소버와 범퍼 백빔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프로파일부; 고정 프로파일부에 결합되는 압력 감지 튜브; 및 압력 감지 튜브에 연결되고, 범퍼 업소버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압력감지장치{PRESSURE SENS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압력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감지 튜브의 손상을 방지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측에는 전방 범퍼가 설치된다. 전방 범퍼에는 보행자의 충돌을 감지할 수 있또록 충돌측정부가 설치된다. 충돌측정부는 전방 범퍼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 튜브와, 압력 튜브의 단부에 연결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압력 튜브와 압력 센서가 전방 범퍼에 직접 조립되므로, 센서 조립을 위해 전방 범퍼의 설계 자유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압력 튜브와 압력 센서가 범퍼 백빔에 직접 조립되므로, 조립성이 저하되고, 압력 튜브와 압력 센서의 이탈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운반 및 조립 과정에서 압력 튜브의 손상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감지 튜브의 손상을 방지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는: 범퍼 백빔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범퍼 업소버; 상기 범퍼 업소버와 상기 범퍼 백빔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프로파일부;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에 결합되는 압력 감지 튜브; 및 상기 압력 감지 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범퍼 업소버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는 상기 범퍼 업소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로파일 바디부; 및 상기 압력 감지 튜브가 구속되도록 상기 프로파일 바디부에 형성되는 튜브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 구속부는 상기 압력 감지 튜브가 삽입되도록 상기 프로파일 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구속홈부; 및 상기 구속홈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압력 감지 튜브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 돌기부의 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압력 감지 튜브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는 상기 프로파일 바디부에서 연장되고, 체결 볼트부에 의해 상기 범퍼 백빔에 체결되는 체결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리브는 상기 프로파일 바디부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는 상기 프로파일 바디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범퍼 백빔의 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 후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는 쿠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압력 감지 튜브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연결관부가 형성되는 센서 하우징; 상기 연결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압력 감지 튜브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공기가 통과되는 멤브레인부; 상기 멤브레인부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압력 감지 튜브의 단부를 상기 연결관부에 구속하도록 상기 압력 감지 튜브에 설치되는 튜브 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는 상기 범퍼 백빔의 양측에 각각 조립되고, 상기 압력 감지부가 결합되는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감지 튜브가 고정 프로파일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운반 및 조립되므로, 압력 감지 튜브가 고정 프로파일부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감지 튜브가 운반되거나 범퍼 백빔에 조립될 때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나 진동 등의 외부 환경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 구속부가 압력 감지 튜브를 프로파일 바디부에 구속하므로, 압력 감지 튜브가 프로파일 바디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속홈부가 프로파일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므로, 압력 감지 튜브가 프로파일 바디부의 길이방향 전체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파일 바디부의 길이방향 전구간에 압력 감지 튜브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바디부의 길이방향 전구간에서 보행자의 충돌 압력이 감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에서 고정 프로파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에서 압력 감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에서 고정 프로파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에서 압력 감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는 범퍼 업소버(30), 고정 프로파일부(40), 압력 감지 튜브(50) 및 압력 감지부(60)를 포함한다.
범퍼 업소버(30)는 범퍼 백빔(20)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범퍼 백빔(20)은 차량의 프레임부(미도시)에 연결된다. 범퍼 업소버(30)의 전방에는 범퍼 업소버(30)의 외측을 감싸도록 범퍼 커버(10)가 설치된다. 범퍼 업소버(30)는 범퍼 커버(10)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 쿠션재질로 형성된다. 범퍼 업소버(30)는 에너지 흡수폼, 팽창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압축된 스티로폼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범퍼 업소버(30)는 차량의 충돌시 범퍼 백빔(20)이 변형되기 이전에 먼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고정 프로파일부(40)는 범퍼 업소버(30)와 범퍼 백빔(20)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 프로파일부(40)는 쿠션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정 프로파일부(40)는 고무 재질이나 우레탄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감지 튜브(50)는 고정 프로파일부(40)에 결합된다. 압력 감지 튜브(50)는 실리콘 재질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내열성, 내한성 및 반영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압력 감지 튜브(50)이 내부에는 공기가 수용된다. 또한, 압력 감지 튜브(50)가 고정 프로파일부(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운반 및 조립되므로, 압력 감지 튜브(50)가 고정 프로파일부(4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감지 튜브(50)가 운반되거나 범퍼 백빔(20)에 조립될 때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나 진동 등의 외부 환경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압력 감지 튜브(50)는 고정 프로파일부(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량에 의해 변형되고, 압력 감지 튜브(50)가 변형됨에 따라 압력 감지 튜브(50)의 내부 압력이 변화된다. 압력 감지 튜브(50)에는 대기압과 동일한 내부 압력이 형성된다.
압력 감지부(60)는 압력 감지 튜브(50)의 단부에 연결되고, 범퍼 업소버(30)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한다. 즉, 압력 감지 튜브(50)가 변형됨에 따라 압력 감지 튜브(50)의 내부 압력이 변화되면, 압력 감지부(60)가 압력 감지 튜브(50)의 내부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압력 감지부(60)가 압력 변화를 감지함에 의해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보행자의 충돌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고정 프로파일부(40)는 프로파일 바디부(41) 및 튜브 구속부(42)를 포함한다. 프로파일 바디부(41)는 범퍼 업소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프로파일 바디부(41)는 범퍼 백빔(20)에 밀착되도록 폭이 좁고 긴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프로파일 바디부(40)의 길이는 범퍼 백빔(2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튜브 구속부(42)는 압력 감지 튜브(50)가 구속되도록 프로파일 바디부(41)에 형성된다. 튜브 구속부(42)가 압력 감지 튜브(50)를 프로파일 바디부(41)에 구속하므로, 압력 감지 튜브(50)가 프로파일 바디부(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 튜브(50)가 운반되거나 범퍼 백빔(20)에 조립될 때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나 진동 등의 외부 환경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튜브 구속부(42)는 구속홈부(42a) 및 구속 돌기부(42b)를 포함한다. 구속홈부(42a)는 압력 감지 튜브(50)가 삽입되도록 프로파일 바디부(4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구속 돌기부(42b)는 구속홈부(42a)의 폭방향 양측에 압력 감지 튜브(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구속 돌기부(42b)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압력 감지 튜브(50)가 구속홈부(42a)에 삽입되므로, 압력 감지 튜브(50)를 용이하게 프로파일 바디부(41)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구속 돌기부(42b)가 구속홈부(42a)에서 압력 감지 튜브(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속홈부(42a)가 프로파일 바디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므로, 압력 감지 튜브(50)가 프로파일 바디부(41)의 길이방향 전체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파일 바디부(41)의 길이방향 전구간에 압력 감지 튜브(50)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바디부(40)의 길이방향 전구간에서 보행자의 충돌 압력이 감지될 수 있다.
튜브 구속부(42)의 개방부는 범퍼 업소버(30)에 대향되고, 압력 감지 튜브(50)는 범퍼 업소버(30)에 접촉되도록 구속 돌기부(42b)의 단부보다 약간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압력 감지 튜브(50)가 범퍼 업소버(30)에 선접촉 또는 면접촉되므로, 압력 감지 튜브(50)의 내부 압력이 보다 정확하고 민감하게 변경될 수 잇다. 따라서, 압력 감지부(60)에서는 보행자의 충돌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구속 돌기부(42b)의 단부 사이의 간격은 압력 감지 튜브(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압력 감지 튜브(50)의 직경이 8mm 정도로 형성되는 경우, 구속 돌기부(42b)의 단부 사이의 간격이 4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감지 튜브(50)의 양측이 구속 돌기부(42b)의 단부에 걸려 구속됨에 따라 압력 감지 튜브(50)가 구속홈부(42a)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프로파일부(40)는 프로파일 바디부(41)에서 연장되고, 체결 볼트부(44a)에 의해 범퍼 백빔(20)에 체결되는 체결 리브(44)를 더 포함한다. 이때, 체결 리브(44)는 프로파일 바디부(41)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체결 리브(44)는 프로파일 바디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체결 리브(44)에는 체결 볼트부(44a)가 삽입되도록 체결홀부(44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범퍼 백빔(20)에는 체결홀부(44b)에 대응되도록 고정홀부(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홀부(44b)를 고정홀부(22)에 대응시킨 후 체결 볼트부(44a)를 체결홀부(44b)와 고정홀부(22)에 체결함에 따라 고정 프로파일부(40)가 범퍼 백빔(2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고정 프로파일부(40)는 프로파일 바디부(41)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범퍼 백빔(20)의 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 후크부(46)를 더 포함한다. 걸림 후크부(46)가 프로파일 바디부(41)의 상측으로 연장되므로, 걸림 후크부(46)를 범퍼 백빔(20)의 상단에 걸어놓은 상태에서 체결 볼트부(44a)를 체결 리브(4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프로파일부(4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력 감지부(60)는 센서 하우징(61), 멤브레인부(64), 실링부재(65), 압력 센서(66) 및 커넥터부(67)를 포함한다.
센서 하우징(61)은 압력 감지 튜브(50)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연결관부(62a)가 형성된다. 센서 하우징(61)은 연결관부(62a)가 형성되고, 커넥터부(67)가 결합되는 하우징 바디(62)와, 하우징 바디(62)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결합홀부(63b)가 형성되는 연장리브(63)를 포함한다. 연장리브(63)가 범퍼 백빔(20)의 양측에 배치된 후 결합 볼트부(63a)가 결합홀부(63b)에 체결됨에 따라 센서 하우징(61)이 범퍼 백빔(20)에 고정된다.
멤브레인부(64)는 연결관부(62a)에 결합되고, 압력 감지 튜브(50)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공기가 통과되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된다. 공기가 멤브레인부(64)를 통해 압력 감지 튜브(5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압력 감지 튜브(50)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멤브레인부(64)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멤브레인부(64)는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먼지나 수분과 같은 이물질의 침투는 방지한다.
실링부재(65)는 멤브레인부(64)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실링부재(65)는 멤브레인부(64)와 압력 센서(66) 사이를 밀봉시킨다.
압력 센서(66)는 멤브레인부(64)에 접촉되도록 센서 하우징(61)의 내부에 배치된다. 압력 센서(66)로는 멤브레인부(64)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한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다.
커넥터부(67)는 압력 센서(66)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제어부에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에 연결된다. 커넥터부(67)는 하우징 바디(6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압력 감지부(60)는 압력 감지 튜브(50)의 단부를 연결관부(62a)에 구속하도록 압력 감지 튜브(50)에 설치되는 튜브 홀더부(68)를 더 포함한다. 튜브 홀더부(68)는 양측 단부가 서로 삽입되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튜브 홀더부(68)가 공구에 의해 벌려진 후 압력 감지 튜브(50)의 단부 외측에 끼워지고, 공구의 외력이 해제되면 튜브 홀더부(68)가 복원력에 의해 압력 감지 튜브(50)의 단부를 연결관부(62a)에 가압하여 구속한다.
차량용 압력감지장치는 범퍼 백빔(20)의 양측에 조립되고, 압력 감지부(60)가 결합되는 장착 브라켓(70)을 더 포함한다. 장착 브라켓(70)에는 체결 볼트부(44a)가 결합되도록 장착홀부(73)가 형성된다. 압력 감지부(60)가 장착 브라켓(70)을 매개로 범퍼 백빔(20)에 조립되므로, 압력 감지부(60)의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압력 감지 튜브(50)는 냉열성, 내한성 및 반영구성을 갖는 압출성형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압력 감지 튜브(50)의 원재료는 60 정도의 경도로 형성되고, 압력 감지 튜브(50)는 55-65의 경도로 형성죈다.
튜브 홀더부(68)의 체결시 압력 감지 튜브(50)의 인장강도는 8.0-12.5kgf 정도로 형성되고, 튜브 홀더부(68)의 미체결시 압력 감지 튜브(50)의 인장강도는 2.5-5.5kgf 정도로 형성되며, 압력 감지 튜브(50)의 자체 인장강도는 18-20kgf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 튜브(50)는 내경이 0.4mm, 외경이 0.8mm 정도로 형성되고, 압력 감지 튜브(50)이 길이는 범퍼 업소버(30)의 길이에 따라 변경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범퍼 커버 20: 범퍼 백빔
22: 고정홀부 30: 범퍼 업소버
40: 고정 프로파일부 41: 프로파일 바디부
42: 튜브 구속부 42a: 구속홈부
42b: 구속 돌기부 44: 체결 리브
44a: 체결 볼트부 44b: 체결홀부
46: 걸림 후크부 50: 압력 감지 튜브
60: 압력 감지부 61: 센서 하우징
62: 하우징 바디 62a: 연결관부
63: 연장리브 63a: 결합 볼트부
63b: 결합홀부 64: 멤브레인부
65: 실링부재 66: 압력 센서
67: 커넥터부 68: 튜브 홀더부
70: 장착 브라켓 73: 장착홀부

Claims (11)

  1. 범퍼 백빔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범퍼 업소버;
    상기 범퍼 업소버와 상기 범퍼 백빔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프로파일부;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에 결합되는 압력 감지 튜브; 및
    상기 압력 감지 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범퍼 업소버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는,
    상기 범퍼 업소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로파일 바디부; 및
    상기 압력 감지 튜브가 구속되도록 상기 프로파일 바디부에 형성되는 튜브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는 상기 프로파일 바디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범퍼 백빔의 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구속부는,
    상기 압력 감지 튜브가 삽입되도록 상기 프로파일 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구속홈부; 및
    상기 구속홈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압력 감지 튜브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돌기부의 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압력 감지 튜브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는 상기 프로파일 바디부에서 연장되고, 체결 볼트부에 의해 상기 범퍼 백빔에 체결되는 체결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리브는 상기 프로파일 바디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는 쿠션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9. 범퍼 백빔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범퍼 업소버;
    상기 범퍼 업소버와 상기 범퍼 백빔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프로파일부;
    상기 고정 프로파일부에 결합되는 압력 감지 튜브; 및
    상기 압력 감지 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범퍼 업소버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압력 감지 튜브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연결관부가 형성되는 센서 하우징;
    상기 연결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압력 감지 튜브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공기가 통과되는 멤브레인부;
    상기 멤브레인부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
    상기 센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압력 감지 튜브의 단부를 상기 연결관부에 구속하도록 상기 압력 감지 튜브에 설치되는 튜브 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백빔의 양측에 각각 조립되고, 상기 압력 감지부가 결합되는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KR1020190068610A 2019-06-11 2019-06-11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KR10260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10A KR102608477B1 (ko) 2019-06-11 2019-06-11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10A KR102608477B1 (ko) 2019-06-11 2019-06-11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29A KR20200141729A (ko) 2020-12-21
KR102608477B1 true KR102608477B1 (ko) 2023-12-01

Family

ID=7409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610A KR102608477B1 (ko) 2019-06-11 2019-06-11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4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3579A (ja) * 2013-11-12 2015-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2016016747A (ja) * 2014-07-08 2016-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2017124643A (ja) * 2016-01-11 2017-07-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3579A (ja) * 2013-11-12 2015-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2016016747A (ja) * 2014-07-08 2016-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2017124643A (ja) * 2016-01-11 2017-07-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29A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4976B2 (en) Pressure sensor for a vehicle
KR102642568B1 (ko) 보행자 충돌 감지장치
US7331415B2 (en) Pedestrian impact sensing apparatus for a vehicle bumper
US10668881B2 (en) Collision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US7331238B2 (en) Pressure detection device
KR101430196B1 (ko) 승객식별장치
KR102413739B1 (ko) 에어백용 압력감지장치
KR102637239B1 (ko)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JP5093198B2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2007078461A (ja) 圧力センサ
KR20200055323A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JP2014111421A (ja) 外装エアバッグ装置
US11491936B2 (en) Collision detection device
JP2009190568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KR102608477B1 (ko)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EP3674148A1 (en) Vehicle bumper
JP2006298321A (ja) 車両の衝突検知装置
JP4844819B2 (ja) 衝突検知手段の異常検知方法
JP5041171B2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2015113022A (ja) 歩行者衝突検知装置
KR102661667B1 (ko) 보행자 충돌감지장치
JP2007261307A (ja) 衝突検知手段
JP5765243B2 (ja) 車両側面衝突検出機構及び乗員保護システム
WO2017017902A1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KR960011397B1 (ko) 다용도 쇼크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