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695B1 -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695B1
KR102597695B1 KR1020210169448A KR20210169448A KR102597695B1 KR 102597695 B1 KR102597695 B1 KR 102597695B1 KR 1020210169448 A KR1020210169448 A KR 1020210169448A KR 20210169448 A KR20210169448 A KR 20210169448A KR 102597695 B1 KR102597695 B1 KR 10259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terminal
chatbot
service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409A (ko
Inventor
최경호
구인회
이효천
이수향
이민환
이윤호
홍주현
최병용
김기엽
최규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Priority to KR102021016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95B1/ko
Priority to JP2022161575A priority patent/JP7489569B2/ja
Priority to TW111138283A priority patent/TW202324255A/zh
Publication of KR2023008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32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챗봇을 이용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위하여, 챗봇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는 서비스 생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생성 입력을 기초로 상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질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 입력을 기초로 상기 질문 입력에 대응하는 응답 출력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of providing service by using chatbot,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chatbot,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챗봇을 이용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편의점 유통망을 통해서 비상 약품이 제공되고 있다. 약국과 병원을 이용하기 어려운 심야 시간대나 주말에 365일 24시간 운영되는 편의점을 통해서 고객이 비상 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특히, 심야 시간대나 주말에 편의점에 비치되어 있는 비상 약품을 찾는 고객이 많은데 비해 고객센터는 주중 근무 시간대에만 운영이 되고 있어 고객이 비상 약품을 보유하고 있는 최인접 점포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고객이 비상 약품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점포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어 응급 시간 내에 비상 약품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챗봇을 이용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챗봇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는 서비스 생성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생성 입력을 기초로 상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 입력을 기초로 상기 질문 입력에 대응하는 응답 출력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챗봇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챗봇 서비스 방법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이 상기 챗봇의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이 상기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근무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챗봇 서비스 방법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근무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미리 결정된 반경의 거리 내에 포함되는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근무자 단말기의 응답 이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단말기와 상기 근무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스코어, 및 상기 응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스코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챗봇 서비스 방법은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을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 중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회신 출력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 중 상기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근무자 단말기로 상기 회신 출력을 제외한 회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챗봇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는 서비스 생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생성 입력을 기초로 상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질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질문 입력을 기초로 상기 질문 입력에 대응하는 응답 출력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는, 챗봇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이 상기 챗봇의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이 상기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을 근무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점포를 선정하고, 선정된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미리 결정된 반경의 거리 내에 포함되는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근무자 단말기의 응답 이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와 상기 근무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스코어, 및 상기 응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스코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을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 중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회신 출력을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 중 상기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근무자 단말기로 상기 회신 출력을 제외한 회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술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챗봇을 이용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시스템과 고객 단말기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챗봇 서비스 시스템이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및 신호 흐름의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및 신호 흐름의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이나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일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또는 모듈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또는 모듈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또는 모듈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또는 모듈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영역, 구성요소, 부, 블록 또는 모듈들 중간에 다른 영역, 구성 요소, 부, 블록 또는 모듈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 '앱'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시스템과 고객 단말기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챗봇 서비스 시스템(1)은 데이터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챗봇 서비스 시스템(1)은 근무자 단말기(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챗봇 서비스 시스템(1)은 고객 단말기(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물론 챗봇 서비스 시스템(1)의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서버(30), 근무자 단말기(20), 및/또는 고객 단말기(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챗봇 서비스 시스템(1)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챗봇 서비스 시스템(1)의 일부 구성요소는 복수의 장치로 분리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장치로 병합될 수도 있다.
고객 단말기(10)는 고객이 휴대하여 앱을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또한, 근무자 단말기(20)는 편의점 점포의 근무자가 휴대하여 앱을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이거나, 편의점 점포 내에 비치되어 앱을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앱(App)은 편의점 서비스(예를 들어, 회원 가입 및 조회, 포인트 적립, 현금 영수증 발행)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다. 또는, 앱은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앱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컨대, 앱은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챗봇 서비스 시스템(1)의 근무자 단말기(20)는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21, 22, 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근무자 단말기(20)는 각 점포의 근무자가 휴대하여 앱을 구동할 수 있는 장치 거나, 각 편의점 점포 내에 비치되어 앱을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30)는 복수의 점포에서 각각 근무하고 있는 복수의 근무자가 휴대하고 있는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21, 22, 23)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고객 단말기(10) 또는 근무자 단말기(20)는, 통상적인 휴대 전화 또는 태블릿PC 일 수도 있다. 즉, 앱에서 구동되는 대화 창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전자장치라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고객 단말기(10) 또는 근무자 단말기(20)라 할 수 있다. 근무자 단말기(20)의 경우 필요하다면 편의점 점포 내에 비치되어 앱을 구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데이터 서버(30)는 챗봇 서비스 시스템(1)에 대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30)는 챗봇 서비스 앱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챗봇 서비스 앱을 구동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서버(30)는 앱 서버 일 수 있다. 데이터 서버(30)는 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서버(3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는 서비스 생성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는 서비스 생성 입력을 기초로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는 질문 입력을 기초로 질문 입력에 대응하는 응답 출력에 대한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출력은 데이터 서버(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전자 장치 및/또는 서버들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는 다양한 사용자 선택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는 인터넷,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또는 울트라와이드밴드 (Ultra Wide Band, UWB)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네트워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시스템(1)은, 고객이 비상 약품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최인접 점포의 현황을 24시간 확인함으로써,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도 1의 챗봇 서비스 시스템이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챗봇 서비스 시스템은 데이터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장치는 데이터 서버(30)를 도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서버(3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신모듈(31), 프로세서(32) 및 메모리(3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31)은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30)의 통신모듈(31)은 네트워크에 의해 다른 장치의 통신모듈에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메모리(33)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메모리를 구비하는 각 장치 또는 서버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33)는 각 메모리를 구비하는 각 장치 또는 서버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데이터 서버(30)는 프로세서(32)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 매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데이터 서버(3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버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그리고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데이터 서버(3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데이터 서버(3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32)에 의하여 데이터 서버(3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챗봇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포함된 각 모듈이나 부(unit)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일 수 있고,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챗봇 서비스 시스템과 이에 포함된 각 모듈이나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fi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챗봇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의 통신모듈(31), 프로세서(32) 및 메모리(33) 등은 데이터 서버(3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서로 독립적으로 구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는 챗봇 서비스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등에 대해, 챗봇 서비스 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단계 S110에서,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는 서비스 생성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생성 입력은 챗봇의 서비스를 개시하는 명령일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생성 입력은 고객 단말기의 앱에서 입력되는 명령일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생성 입력은 고객 단말기의 앱에서 입력 또는 선택되는 고객의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고객 단말기의 앱을 통해 질문을 입력하는 경우 챗봇의 서비스가 생성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데이터 서버는 서비스 생성 입력을 기초로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생성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로 챗봇의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 단말기에는 챗봇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챗봇의 서비스는 비상약품, 할인상품, 상품재고, 및 포인트와 관련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챗봇의 서비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편의점 운영과 관련된 서비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서버는 챗봇의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는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질문 입력은 챗봇의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질문일 수 있다. 예컨대, 비상약품에 대응하는 질문은 고객이 선택한 비상약품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 단말기에 인접한 미리 결정된 수의 점포의 현황에 대한 질문일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데이터 서버는 질문 입력을 기초로 질문 입력에 대응하는 응답 출력에 대한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는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질문 입력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응답 출력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질문 입력에 대하여 질문 입력에 대응하는 응답 출력을 고객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이 선택한 비상약품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 단말기에 인접한 7개의 점포의 현황에 대한 질문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에 인접하고 고객이 선택한 비상약품을 보유하고 있는 7개의 점포의 현황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이 고객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은 챗봇 서비스 앱에서 구현되는 대화 창일 수 있다. 예컨대,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은 챗봇과 고객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대화하는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는 고객 단말기(10)에 설치된 챗봇 서비스 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챗봇 서비스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생성 입력을 기초로 생성되어,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이 고객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시지(101)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메시지(101)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고객 단말기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시지(101)는 챗봇의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챗봇의 서비스는 비상약품, 할인상품, 상품재고, 및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는 제1 메시지(101)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메시지(102)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의 앱 상에서 제1 메시지(101)의 텍스트 상자를 클릭하거나 제1 메시지(101)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경우, 제2 메시지(102)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단말기(10)는 데이터 서버로 제2 메시지(102)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는 제2 메시지(102)에 대한 응답으로 제3 메시지(103)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는 제2 메시지(102)에 대한 응답으로 고객 단말기(10)로 제3 메시지(103)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고객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는 GP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는 제2 메시지(102)에 대한 응답으로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버는 제2 메시지(102)에 대한 응답으로 고객이 입력한 비상 약품을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점포에 대한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메시지(103)는 고객이 입력한 비상 약품을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점포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고객 단말기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고객 단말기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3개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고객 단말기로부터 미리 결정된 반경의 거리 내에 포함되는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결정된 반경 100미터 이내의 거리 내에 있는 점포 3개를 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이 고객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근무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는 고객 단말기에 입력된 제4 메시지(104)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제4 메시지(104)에 대한 데이터를 근무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고객 단말기(10)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고객 단말기(10)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7개의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선정된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로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버는 7개의 근무자 단말기로 제4 메시지(104)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이 챗봇의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이 챗봇의 미리 결정된 서비스(예를 들어, 비상약품, 할인상품, 상품재고, 및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서버는 제2 메시지(102)는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고, 제4 메시지(104)는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이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근무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버는 제4 메시지(104)가 미리 결정된 챗봇의 서비스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4 메시지(104)를 근무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및 근무자 단말기의 응답 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자 단말기의 응답 이력 정보는 근무자 단말기가 기존에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에 응답한 이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응답 이력 정보는 응답 내용 및 응답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와 근무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스코어, 및 응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스코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코어는 고객 단말기(10)와 근무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점수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코어는 고객 단말기(10)와 근무자 단말기 또는 점포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클 수 있다. 또한, 제2 스코어는 근무자 단말기의 응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점수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스코어는 근무자 단말기의 응답 횟수가 많을수록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는 제1 스코어 및 제2 스코어의 합이 큰 순서대로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는 제1 스코어 및 제2 스코어의 합이 큰 순서대로 7개의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을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가 수신하는 경우,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 중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로부터 고객 단말기(10)로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회신 출력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버는 제4 메시지(104)를 7개의 근무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7개의 근무자 단말기 중 1개의 근무자 단말기로부터 제4 메시지(104)에 대한 회신으로 제5 메시지(105)를 수신하여, 제5 메시지(105)를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근무자 단말기에도 도 5에 도시된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메시지(105)는 근무자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근무자의 회신 내용과 근무자 단말기 또는 점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 중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근무자 단말기로 회신 출력을 제외한 회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는 7개의 근무자 단말기 중 제5 메시지(105)를 송신한 1개의 근무자 단말기를 제외한 6개의 근무자 단말기로 제5 메시지(105)를 제외한 회신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로만 제5 메시지(105)를 송신하고, 제5 메시지(105)를 송신한 근무자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근무자 단말기로는 회신 완료 사실만을 통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이 고객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메시지(106)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제6 메시지(106)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고객 단말기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제6 메시지(106)는 챗봇의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챗봇의 서비스는 비상약품, 할인상품, 상품재고, 및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는 제6 메시지(106)에 대한 응답으로 제7 메시지(107)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의 앱 상에서 제6 메시지(106)의 텍스트 상자를 클릭하거나 제6 메시지(106)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경우, 제7 메시지(107)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단말기(10)는 데이터 서버로 제7 메시지(107)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7 메시지(107)는 상품의 재고 조회를 포함하나 질문 입력일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은 제7 메시지(107)를 이용하여 실시간 상품의 재고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는 고객의 실시간 상품 재고 조회에 대한 응답으로 제8 메시지(108)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고객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의 실시간 상품 재고 조회에 대한 응답으로 고객 단말기(1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예컨대, 고객 단말기로부터 반경 100미터 내의 거리) 내의 점포들을 선정하여 해당 점포들의 상품 재고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획득한 상품 재고에 대한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는 고객이 조회한 상품의 재고가 없는 경우 재고가 없다는 제8 메시지(108)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는 제8 메시지(108)에 대한 응답으로 조회가 요청된 상품에 대응하는 발주 요청에 대한 제9 메시지(109)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의 앱 상에서 제8 메시지(108)에 대한 명령어 상자를 클릭하거나 제8 메시지(108)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경우, 발주 요청에 대한 제9 메시지(109)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단말기(10)는 데이터 서버로 제9 메시지(109)에 대한 데이터, 즉 발주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상품의 발주 요청을 기초로 고객 단말기(1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예컨대, 고객 단말기로부터 반경 100미터 내의 거리) 내의 점포들의 근무자 단말기로 상품의 발주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는 제9 메시지(109)에 대한 응답으로 제10 메시지(1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는 제9 메시지(109)에 대한 응답으로 고객 단말기(10)로 제10 메시지(110)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서버는 상품 발주 요청을 수신한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 중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로부터 발주 완료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상품을 발주 완료한 점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인 회신 출력을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0 메시지(110)는 그러한 회신 출력과 관련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는 회신 출력에 대응하여, 상품 발주 요청을 수신한 복수의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 중 발주 완료를 회신한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로 발주 완료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는 고객이 발주 요청한 상품이 점포에 입고되면 입고 완료에 대한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한 입고 완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1 메시지(111)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도 6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는 제14 메시지(114)에 대한 응답으로 제15 메시지(115)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고객 단말기(10)의 앱 상에서 제14 메시지(114)에 대한 명령어 상자를 클릭하거나 제14 메시지(114)에 대한 명령어를 입력하는 경우, 제15 메시지(115)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단말기(10)는 데이터 서버로 제15 메시지(115)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상품 주문을 기초로 주문한 상품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결제는 고객 단말기(10)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품 결제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는 고객의 상품 주문과 상품 결제에 대한 응답으로 제16 메시지(116)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는 고객의 상품 주문을 기초로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최인접 점포를 목적지로 하여 상품을 자동 발주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서버는 고객의 상품 주문을 기초로 고객이 미리 지정해둔 점포를 목적지로 하여 상품을 자동 발주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서버는 고객 단말기(10)에 대응하는 상품 수령 점포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점포에 입고되면 입고 완료에 대한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한 입고 완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7 메시지(117)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및 신호 흐름의 예이다.
단계 S210에서, 고객 단말기(10)는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생성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10)는 챗봇 서비스의 생성에 대한 명령 또는 질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컨대, 고객 단말기(10)는 고객 단말기(10)에 설치되어 고객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챗봇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 생성에 대한 명령 또는 질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S215에서, 고객 단말기(10)는 서비스 생성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서비스 생성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데이터 서버(30)는 챗봇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30)는 서비스 생성 입력에 기초하여 챗봇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25에서, 데이터 서버(30)는 챗봇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챗봇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는 챗봇 서비스 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10)는 챗봇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단말기(10)의 챗봇 서비스 앱에는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고객 단말기(10)는 고객으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질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10)는 편의점 서비스에 대한 질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컨대, 고객 단말기(10)는 고객 단말기(10)에 설치되어 고객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챗봇 서비스 앱을 통해 편의점 서비스에 대한 질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S235에서, 고객 단말기(10)는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데이터 서버(30)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30)는 질문 입력에 기초하여 응답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245에서, 데이터 서버(30)는 응답 출력에 대한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출력에 대한 데이터는 챗봇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및 근무자 단말기 또는 점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10)는 응답 출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단말기(10)의 챗봇 서비스 앱에는 응답 출력에 대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및 신호 흐름의 예이다.
단계 S310에서, 고객 단말기(10)는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생성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10)는 챗봇 서비스의 생성에 대한 명령 또는 질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컨대, 고객 단말기(10)는 고객 단말기(10)에 설치되어 고객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챗봇 서비스 앱을 통해 서비스 생성에 대한 명령 또는 질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S315에서, 고객 단말기(10)는 서비스 생성 입력에 대한 데이터 및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서비스 생성 입력에 대한 데이터 및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데이터 서버(30)는 챗봇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30)는 서비스 생성 입력에 기초하여 챗봇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25에서, 데이터 서버(30)는 챗봇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챗봇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는 챗봇 서비스 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10)는 챗봇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단말기(10)의 챗봇 서비스 앱에는 챗봇 서비스의 대화 창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고객 단말기(10)는 고객으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질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기(10)는 편의점 서비스에 대한 질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컨대, 고객 단말기(10)는 고객 단말기(10)에 설치되어 고객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챗봇 서비스 앱을 통해 편의점 서비스에 대한 질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S335에서, 고객 단말기(10)는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데이터 서버(3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질문이 챗봇 서비스의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챗봇 서비스는 비상약품, 할인상품, 상품재고, 및 포인트와 관련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서버(3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질문이 챗봇 서비스의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경우,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단계 S240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서버(3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질문이 챗봇 서비스의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이어서 단계 S345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345에서, 데이터 서버(30)는 점포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30)는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질문의 송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근무자 단말기는 고객 단말기와의 거리, 고객의 질문 내용, 또는 근무자 단말기의 응답 이력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데이터 서버(30)는 단계 S345에서 선정된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로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30)는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로 고객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에 설치된 챗봇 서비스 앱은 대화 창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355에서, 근무자 단말기(20)는 점포에서 근무하는 근무자로부터 질문에 대한 회신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자 단말기(20)는 챗봇 서비스 앱을 통해 회신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근무자 단말기(20)는 질문에 대한 회신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근무자 단말기(20)는 회신 출력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30)를 통해 고객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10)는 회신 출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단말기(10)의 챗봇 서비스 앱의 대화 창에는 근무자 단말기(20)의 회신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일 근무 시간에만 운영되는 고객센터의 기능을 챗봇과 근무자가 대체하여 심야 시간대나 주말에 비상약품이 필요한 경우, 고객이 챗봇 서비스 앱을 통해서 현재 고객 위치를 기반으로 비상약품을 보유한 최인접 점포를 쉽고 정확하게 확인함으로써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점포의 매출 또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챗봇 서비스의 종류 또는 서비스 제공 점포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자동으로 고객의 질문 또는 고객의 위치에 대응하는 점포 근무자에게 고객의 질문을 전달함으로써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근무자 단말기의 응답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챗봇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챗봇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켜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 및/또는 시스템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고객 단말기
20: 근무자 단말기
30: 데이터 서버

Claims (15)

  1. 데이터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챗봇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는 서비스 생성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생성 입력을 기초로 상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품의 재고 조회를 포함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점포에 상기 상품의 재고가 없는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발주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로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 중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발주 완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발주 완료한 점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회신 출력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회신 출력의 송신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 중 상기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근무자 단말기로 발주 완료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챗봇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이 상기 챗봇의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이 상기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근무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챗봇 서비스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인, 챗봇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미리 결정된 반경의 거리 내에 포함되는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인, 챗봇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근무자 단말기의 응답 이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단말기와 상기 점포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스코어, 및 상기 응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스코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챗봇 서비스 방법.
  7. 삭제
  8. 챗봇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는 서비스 생성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생성 입력을 기초로 상기 챗봇의 서비스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품의 재고 조회를 포함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점포를 선정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점포에 상기 상품의 재고가 없는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발주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로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는 복수의 근무자 단말기 중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발주 요청에 대한 발주 완료 데이터를 수신하고, 발주 완료한 점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회신 출력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회신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점포의 근무자 단말기 중 상기 하나의 근무자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근무자 단말기로 발주 완료 사실을 통지하는, 챗봇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질문 입력이 상기 챗봇의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이 상기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질문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근무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챗봇 서비스 시스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하는, 챗봇 서비스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미리 결정된 반경의 거리 내에 포함되는 점포를 선정하는, 챗봇 서비스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근무자 단말기의 응답 이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와 상기 근무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1 스코어, 및 상기 응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스코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숫자의 점포를 선정하는, 챗봇 서비스 시스템.
  14. 삭제
  15.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69448A 2021-11-30 2021-11-30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9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48A KR102597695B1 (ko) 2021-11-30 2021-11-30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2022161575A JP7489569B2 (ja) 2021-11-30 2022-10-06 チャットボットサービス方法、チャットボッ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該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に、記録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111138283A TW202324255A (zh) 2021-11-30 2022-10-07 智能助理服務方法、智能助理服務系統以及儲存在記錄媒體中用以執行智能助理服務方法的電腦程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48A KR102597695B1 (ko) 2021-11-30 2021-11-30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409A KR20230081409A (ko) 2023-06-07
KR102597695B1 true KR102597695B1 (ko) 2023-11-02

Family

ID=8665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448A KR102597695B1 (ko) 2021-11-30 2021-11-30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89569B2 (ko)
KR (1) KR102597695B1 (ko)
TW (1) TW2023242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2948A (ja) * 2016-02-25 2017-08-31 株式会社三菱東京Ufj銀行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2197A (ja) 2005-06-13 2006-12-28 Synclayer Inc 介護支援システム
JP2007179397A (ja) 2005-12-28 2007-07-12 Taka:Kk 顧客サポートシステム
KR101129247B1 (ko) * 2009-11-18 2012-03-26 주식회사 케이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 따른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478011B1 (ko) * 2010-10-12 2015-01-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기반 가맹점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7750A (ko) *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하나아이앤에스 상담사 매칭 장치 및 그 방법
CN109416695B (zh) 2017-05-08 2022-05-27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在自动聊天中提供本地服务信息
JP6531138B2 (ja) 2017-07-31 2019-06-12 株式会社L is B コールセンタ支援システムおよびオペレータのクライアント
JP6875270B2 (ja) 2017-12-27 2021-05-19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自動応答装置および自動応答方法
JP6954178B2 (ja) 2018-02-26 2021-10-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処理方法
WO2020031249A1 (ja) 2018-08-07 2020-0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ーバ装置、車両、および方法
KR102187686B1 (ko) * 2018-11-16 2020-12-07 주식회사 깃플 챗봇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807414B2 (ja) 2019-01-21 2021-01-06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方法、通信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20154559A (ja) 2019-03-19 2020-09-24 Nttテクノクロ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060391A1 (ja) 2019-09-27 2021-04-01 Tradfit株式会社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1114116A (ja) 2020-01-17 2021-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設備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205543A1 (ja) 2020-04-07 2021-10-14 富士通株式会社 会話制御プログラム、会話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2948A (ja) * 2016-02-25 2017-08-31 株式会社三菱東京Ufj銀行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409A (ko) 2023-06-07
TW202324255A (zh) 2023-06-16
JP2023081290A (ja) 2023-06-09
JP7489569B2 (ja)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2684B2 (en) Distributed task execution
US8639792B2 (en) Job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US10346784B1 (en) Near-term delivery system performance simulation
KR102369238B1 (ko) 웹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 및 관리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00138876A (ko) 가격 통제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N104025144A (zh) 高吞吐量全球订单承诺系统
US9489241B2 (en) Guaranteed response pattern
CN102523242A (zh) 计算机群集中的目标状态通信
US1112039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harmacy inventories
US10771555B2 (en) Re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2017138721A (ja) 自動販売機検量システム、管理サーバ、自動販売機、自動販売機の検量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767127A (zh) 一种业务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102597695B1 (ko) 챗봇 서비스 방법, 챗봇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N108604319B (zh) 混合电子库存
GB2550642A (en) Systems and methods of enabling forecasting
JP6696946B2 (ja) 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988665A (zh) 基于原子服务的标准业务流程的生成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KR20200070192A (ko)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재고 상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01868A (ko) 경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비 관리 방법
CN111275557A (zh) 资管风险控制方法和装置
KR102604035B1 (ko) 모바일 창고를 이용한 즉시배송을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24212B1 (ko)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21405B1 (ko) 열처리 설비용 사용자 맞춤형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220162990A (ko) 블록체인 기반 품질이력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157092A (ko) 소비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쇼핑 플랫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