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212B1 -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212B1
KR102624212B1 KR1020220069949A KR20220069949A KR102624212B1 KR 102624212 B1 KR102624212 B1 KR 102624212B1 KR 1020220069949 A KR1020220069949 A KR 1020220069949A KR 20220069949 A KR20220069949 A KR 20220069949A KR 102624212 B1 KR102624212 B1 KR 10262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shape
level
notifications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9602A (ko
Inventor
구송이
조윤진
박경태
나연경
국남규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9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212B1/ko
Priority to JP2023084807A priority patent/JP7488942B2/ja
Publication of KR2023016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알림 최적화 방법은,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알림 아이디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알림 아이디에 상기 알림의 중요도에 따른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설정하는 단계; 및 의해, 상기 알림 아이디를 이용한 알림 발송 요청에 대해 상기 알림 아이디에 설정된 상기 알림 등급과 상기 알림 형상에 따라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COMPUT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O OPTIMIZE NOTIFICATIONS}
아래의 설명은 사용자 활동과 관련된 알림(notification)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인터넷 등의 온라인 환경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온라인에서의 활동과 생활의 영역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온라인의 사이버 공간에서는 인간의 다양한 개별적 활동과 산업 활동은 물론이고, 정치, 경제, 사회 등에 국한되지 않은 다양한 영역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는 사용자와 관련된 중요 활동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5561호(등록일 2020년 04월 22일)에는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중요 알림을 단순 기록용 알림과 구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알림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부여된 알림 아이디에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알림 등급 별로 알림 세기를 설정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알림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최적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알림 아이디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알림 아이디에 상기 알림의 중요도에 따른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알림 아이디를 이용한 알림 발송 요청에 대해 상기 알림 아이디에 설정된 상기 알림 등급과 상기 알림 형상에 따라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에 대해 알림 텍스트와 알림 발송 대상 및 알림 발송 조건을 포함하는 알림 상세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코드로 상기 알림 아이디를 생성하여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의 종류 중 일부 알림에 대해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통해 알림의 중요도를 예측하여 예측 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알림 등급과 상기 알림 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의 종류 중 일부 알림에 대해 각 사용자에게 전달된 알림과 해당 알림에 대한 사용자 활동 이력에 기초한 학습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예측 모델을 통해 사용자 별로 알림의 중요도를 예측하여 예측 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알림 등급과 상기 알림 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림 등급은 알림 세기로 구분되는 등급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림 형상은 알림이 노출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 세기는 알림 수신을 인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 요소를 포함하는 등급과 푸시 알림이 차단된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알림 형상은 푸시 알림 형상, 알림 페이지에 노출되는 배지 알림 형상, 및 메인 페이지에 노출되는 메인 알림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등급은 알림 수신을 인지시키기 위한 팝업, 진동, 소리, 무음, 및 라이트닝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등급과 푸시 알림이 차단된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지 알림 형상은 상기 알림 페이지의 상단에 노출되는 중요 알림과 상기 알림 페이지의 하단에 노출되는 일반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지 알림 형상은 중요 알림과 일반 알림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중요 알림의 타이틀 문구가 사전에 등록되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형상을 통해 상기 중요 알림으로 설정된 상기 알림 아이디에 대해 상기 타이틀 문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형상을 통해 중요 알림으로 설정된 상기 알림 아이디에 대해 상기 알림을 알림 페이지의 상단 영역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상단 영역에 노출된 상기 알림이 읽음 처리되거나 닫기 버튼이 실행되면 상기 알림을 상기 알림 페이지의 하단 영역으로 이동하여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중요 알림의 유형에 따라 상기 알림을 상기 알림 페이지의 하단 영역으로 이동하는 규칙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최적화 방법을 상기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알림 아이디를 등록하는 과정; 상기 알림 아이디에 상기 알림의 중요도에 따른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알림 아이디를 이용한 알림 발송 요청에 대해 상기 알림 아이디에 설정된 상기 알림 등급과 상기 알림 형상에 따라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요 알림을 단순 기록용 알림과 구별하여 제공함으로써 정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알림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알림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부여된 알림 아이디에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설정함으로써 최적화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알림 등급 별로 알림 세기를 달리 설정함으로써 알림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알림 최적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알림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알림 등급 별 알림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알림 형상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요 알림 그룹 관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요 알림의 노출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활동과 관련된 알림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알림을 식별하기 위한 알림 아이디와 중요도를 나타내는 알림 등급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알림을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최적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최적화 방법은 알림 최적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최적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알림 최적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최적화 시스템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림은 사용자와 관련된 활동에 대해 알림 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모든 알림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으며, 일례로 서버(150) 상의 쇼핑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업자가 고객이 되는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마케팅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50)는 사용자가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개별 서비스에 접속하지 않고도 사용자에 대한 모든 알림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200)는 클라이언트(client)를 대상으로 클라이언트 상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컴퓨터 장치(20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 접속을 통해 알림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알림 최적화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알림 최적화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이하의 알림 최적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0)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0)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이하의 알림 최적화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0)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0)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설명될 알림 최적화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은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알림 최적화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은 서버(15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가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알림 최적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310)에서 프로세서(220)는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코드를 알림 아이디로 부여하여 알림의 종류 별 알림 아이디를 등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코드를 나타내는 알림 아이디, 그리고 해당 알림 종류의 서비스명과 설명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220)는 알림을 알림 아이디를 기준으로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프로세서(220)는 알림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알림 아이디에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등급은 알림의 중요도에 따라 설정된 등급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림의 중요도를 복수 개의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례로, 최상위 등급은 사용자가 무조건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의 알림으로, 알림을 수신한 후 과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손해가 발생하는 알림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최하위 등급은 사용자를 전혀 방해하지 않는 수준의 알림으로, 푸시(push)나 배지(badge) 카운트 없이 사용자 활동과 관련된 내역을 단순 기록하는 용도의 알림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림 아이디에 알림의 중요도를 정의할 수 있는 요소로서 알림을 노출하는 방식이나 타입 등의 형상(이하, '알림 형상'이라 칭함)과 함께 알림 등급이 사전 매칭될 수 있다. 이때, 알림 형상은 알림 노출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크게 배지 알림, 푸시 알림, 메인 알림으로 구분될 수 있고, 배지 알림 형상의 경우 중요 알림과 일반 알림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알림 형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알림 등급의 경우 알림 등급에 따라 알림을 전달하는 강도(이하, '알림 세기'라 칭함)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알림 등급은 푸시 알림의 세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알림 수신을 인지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푸시 요소를 포함하는 등급은 물론이고, 푸시 알림이 없는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알림을 알림 아이디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때 알림 아이디에 해당 알림의 중요도에 따른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연관시켜 관리할 수 있다. 중요한 알림일수록 강력한 알림 형상과 알림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알림의 종류 중 서비스에서 직접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는 알림은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고정해주고, 컨텐츠 추천성 알림과 같이 서비스에서 중요도를 판단하기 어려운 알림의 경우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통해 알림의 중요도를 예측하여 예측 결과에 대응되는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자동 설정할 수 있다. 각 사용자에게 전달된 알림과 해당 알림에 대한 사용자 활동 이력 등을 기초로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셋을 구축할 수 있고, 해당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예측 모델을 통해 사용자 별로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알림의 종류 중 일부 알림의 경우 동일한 알림이더라도 사용자마다 알림 등급이나 알림 형상이 다르게 지정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프로세서(220)는 알림 아이디가 포함된 알림 발송 요청이 수신되면 알림 아이디에 설정된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으로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알림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쿠폰, 링크 등의 컨텐츠)(즉, 알림의 내용)와 해당 알림의 종류를 해당되는 알림 아이디를 알림 플랫폼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때 알림 플랫폼에서 알림 아이디에 설정되어 있는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적용하여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220)는 특정 알림에 대하여 해당 알림의 종류에 따른 알림 아이디를 이용한 알림 발송 요청이 수신되면 알림 아이디를 기준으로 해당 아이디에 설정된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으로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알림 아이디에 기초한 알림 최적화로서 알림 아이디에 알림 형상과 알림 등급을 설정할 수 있으며, 알림 아이디에 설정된 알림 형상과 알림 등급(알림 세기)대로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알림 형상 중 중요 알림의 경우 알림의 타이틀 문구를 사전 등록할 수 있고, 알림 아이디에 매칭된 알림 형상이 중요 알림인 경우 해당 알림의 타이틀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타이틀 문구는 중요 알림으로 설정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림의 종류 별로 중요 알림의 타이틀 요소를 지정해 놓을 수 있고, 알림 아이디에 해당되는 종류의 타이틀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알림에 고유한 알림 아이디를 부여하여 알림 아이디를 기준으로 알림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220)는 알림 아이디에 해당 알림이 얼마나 중요한 알림인지 알림 형상과 알림 세기로 구분된 등급을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알림 아이디를 해당 알림의 중요도에 따른 알림 등급/알림 형상과 연관시켜 관리함으로써 알림 등급에 따라 최적화된 형상과 세기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알림 아이디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알림 등록 화면(400)을 통해 알림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알림 텍스트, 발송 대상, 발송 조건 등의 알림 상세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해당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알림 아이디(401)와 알림 종류명(402)을 지정할 수 있다. 알림 상세 정보는 알림 관리자에 의해 등록되거나 혹은 알림을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사업자 등에 의해 직접 등록될 수 있다. 알림 아이디(401)와 알림 종류명(402)은 사업자 또는 알림 관리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혹은 알림 상세 정보를 기초로 자동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20)는 알림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각 알림 별로 해당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알림 아이디(401)를 부여하여 알림 아이디(401)를 기준으로 알림을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알림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알림 아이디(401)에 알림 등급(403)과 알림 형상(404)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알림 아이디(401)를 알림 등급(403) 및 알림 형상(404)과 연관시켜 관리할 수 있다. 알림 등급(403)은 알림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등급으로 알림의 중요도를 복수 개의 등급으로 분류한 것이며, 중요한 알림일수록 높은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알림 등록 화면(400)은 알림 아이디(401) 각각에 대하여 알림 아이디(401)에 설정된 알림 등급(403)과 알림 형상(404)을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1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알림 등급 별 알림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알림 등급(403)은 알림의 중요도가 복수 개의 등급으로 분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알림의 중요도를 6개의 등급으로 나눌 수 있다. 6개의 등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알림 등급의 개수는 추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알림 등급(403) 중 최상위 등급인 1등급은 사용자가 무조건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의 알림으로, 사용자가 알림을 수신한 후 과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손해가 발생하는 알림에 해당될 수 있다(예를 들어, 선물 수신, 송금 수신 등). 2등급은 알림 확인 후 사용자 액션이 필요하거나 혹은 알림을 확인하지 않으면 손해가 발생하는 알림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돈과 관련되어 있으며 읽으면 효용을 다하는 거래/고지성 알림(예를 들어, 예약일 안내 등), 사용자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피드백을 포함하는 활동 알림(예를 들어, 댓글, 답글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등급은 중요하지는 않지만 적시에 안내가 필요한 알림으로, 예를 들어 쇼핑몰 소식, 카페 가입 승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등급은 푸시 발송이 필요한 알림으로, 사용자가 기대한 결과와 동일한 내용의 알림(예를 들어, 자동 입금 등록 완료 등)에 해당될 수 있다. 5등급은 푸시 발송이 필요 없는 알림으로, 푸시 없이 알림 페이지에 누적되는 알림, 최근 액션이 완료된 알림,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없는 사용자 활동에 대한 알림(예를 들어, 구매 확정 완료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최하위 등급인 6등급은 사용자를 전혀 방해하지 않는 수준의 알림으로, 푸시는 물론이고 배지 카운트도 없이 알림 페이지에 단순 누적되는 알림, 사용자 활동과 관련된 내역을 단순 기록하는 용도의 알림(예를 들어, 포인트 적립 등)에 해당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알림 등급 관리 화면(500)을 통해 알림 등급(403) 별로 등급에 맞는 알림 환경(501)을 설정할 수 있다. 알림 환경(501)은 배지 알림 설정 무시, 푸시 알림 설정 무시, 푸시 알림 중요도, 배지 카운트 제외, 푸시 알림 발송 차단 등의 설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알림 등급 관리 화면(500)은 알림 등급(403) 각각에 대하여 알림 등급(403)에 설정된 알림 환경(501)을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1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알림 등급(403) 별로 알림 환경(501) 중 하나로 알림 세기(601)가 달리 매칭될 수 있다.
배지 알림, 푸시 알림, 메인 알림, 중요 알림과 같은 알림 형상(404)은 알림 등급(403)과 고정적으로 매칭되어 있지 않고 알림의 종류에 따라 해당 알림 아이디(401)에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알림 형상은 알림이 노출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크게 세가지 형상,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지 알림(410), 푸시 알림(420), 메인 알림(4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지 알림(410)은 사용자에 대한 모든 알림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알림 영역으로서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알림 서비스의 전용 페이지('알림 페이지'라 칭함)(700)에서 노출되는 알림 형상을 의미한다.
배지 알림(410)은 알림 페이지(700)의 상단 영역(710)에 카드형으로 노출되는 중요 알림 형상과, 상단 영역(710) 이외의 나머지 하단 영역(이하 '알림 더 보기 영역'이라 칭함)(720)에 목록형으로 노출되는 일반 알림 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배지 알림(410) 중 중요 알림 형상으로 지정된 알림 아이디(401)에 대해 해당 알림을 알림 페이지(700)의 상단 영역(710)에 노출하는 한편, 일반 알림 형상으로 지정된 알림 아이디(401)에 대해 해당 알림을 알림 페이지(700)의 알림 더 보기 영역(720)인 하단 목록에 노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푸시 알림(420)은 푸시 방식의 알림으로 알림이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 등)의 기기 화면(800) 상에 노출되는 알림 형상을 의미한다.
프로세서(220)는 푸시 알림(420)으로 지정된 알림 아이디(401)의 경우 해당 알림이 사용자 단말의 기기 화면(800) 상에 노출되도록 푸시 형태의 알림으로 발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알림 아이디(401)에 설정된 알림 등급(403)에 따라 알림 등급(403)의 푸시 알림 세기로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메인 알림(430)은 알림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인 서비스의 화면, 다시 말해 서버(150)와 관련된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용 웹/모바일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900)에 노출되는 알림 형상을 의미한다.
프로세서(220)는 메인 알림(430)으로 지정된 알림 아이디(401)의 경우 해당 알림을 메인 페이지(900)에 노출할 수 있다.
알림 형상을 구분하는 배지 알림(410), 푸시 알림(420), 메인 알림(430)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알림이 노출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알림 형상을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알림 아이디(401) 별로 알림 등급(403)과 함께 배지 알림(410), 푸시 알림(420), 및 메인 알림(430)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조합하여 매칭할 수 있다. 등급이 높을수록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많은 알림 형상이 매칭될 수 있고, 등급이 낮을수록 최소한의 알림 형상이 매칭될 수 있다. 배지 알림(410)의 경우 알림 중 일부 종류의 알림에 중요 알림 형상이 매칭되고 나머지 종류의 알림에 대해서는 배지 알림(410)으로 일반 알림 형상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물 도착 알림의 경우 배지 알림(410)인 중요 알림 형상과 푸시 알림(420) 및 메인 알림(430)으로 노출되도록 지정할 수 있고, 포인트 적립 알림의 경우 푸시 알림(420)과 메인 알림(430) 없이 배지 알림(410) 중 일반 알림 형상만으로만 노출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푸시 알림(420)은 알림의 중요도에 따라 각기 다른 세기로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알림 등급(603)은 알림 형상 중 하나인 푸시 알림(420)의 세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알림 등급(403) 별로 다른 알림 세기(601)가 매칭될 수 있다.
알림 세기(601)는 알림 수신을 인지시키기 위한 팝업, 진동, 소리, 무음 등의 푸시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푸시 요소를 결합하거나 단일 푸시 요소의 강도(예를 들어, 진동 세기, 소리 세기 등)로도 알림 세기(601)를 표현할 수 있다. 알림 등급(603)은 알림 수신을 인지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푸시 요소를 포함하는 등급(예를 들어, 1~4 등급)은 물론이고, 푸시 알림이 없는 등급(예를 들어, 5~6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 알림(420)에 있어 중요도가 높은 알림의 경우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용 웹/모바일 사이트의 알림 설정을 무시하는 형태의 강력한 알림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푸시 알림(420)으로 지정된 알림 아이디(401)의 경우 해당 알림이 사용자 단말의 기기 화면(800) 상에 노출되도록 푸시 형태의 알림으로 발송하게 되는데, 이때 알림 아이디(401)에 지정된 알림 등급(403)에 따라 푸시 알림(420)에 대한 알림 세기(601)가 결정될 수 있다.
푸시 알림(420)의 경우 알림 등급(403) 별로 푸시 세기 이외에도 푸시 스타일을 달리하여 중요도 높은 알림을 강조한 스타일의 알림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도가 높은 알림의 경우 헤드업 방식의 팝업을 적용하거나 혹은 팝업과 동시에 기기의 엣지 패널이 켜지는 엣지 라이트닝(edge lighting)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알림 관리 환경으로서 알림 등급(403) 별 알림 환경(501)을 관리하는 환경(도 5)과, 알림 아이디(401) 별 알림 등급(403)과 알림 형상(404)을 관리하는 환경(도 4, 도 6) 이외에도, 알림 형상(404) 중 하나인 중요 알림 그룹을 관리하는 환경, 푸시 알림 형상을 관리하는 환경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요 알림 그룹 관리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중요 알림 그룹 관리 화면(1000)은 중요 알림의 종류 목록(1010)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중요 알림 그룹 관리 화면(1000)을 통해 중요 알림의 종류 목록(1010)에 포함된 각 알림 종류에 대하여 중요 알림의 타이틀 요소(예를 들어, 타이틀 문구, 문구 컬러 등)(1001)를 지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중요 알림 이외에도 알림 형상(404) 중 푸시 알림에 대해 알림 아이디(401) 별로 푸시 알림 형상(예를 들어, 푸시 알림 그룹핑, 푸시 알림 그룹명, 푸시 알림 그룹 색상 등)을 지정하기 위한 푸시 그룹 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알림 아이디(401)에 알림 등급(403)과 알림 형상(404)을 설정할 수 있고, 알림 아이디(401)에 설정된 알림 등급(403)에 따라 알림 세기(601)를 결정할 수 있으며, 알림 아이디(401)에 지정된 알림 형상과 알림 등급(즉, 알림 세기)대로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알림 아이디(401)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알림 형상과 알림 등급(알림 세기)을 다르게 매칭하여 중요도 기반의 최적화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요 알림의 노출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알림 형상(404)을 통해 중요 알림 형상으로 지정된 알림(1101)의 경우 해당 알림(1101)을 알림 페이지(700)의 상단 영역(710)에 카드 형태로 노출할 수 있다.
중요 알림을 여러 건 수신한 경우 가장 최근에 수신한 중요 알림을 상단 영역(710)의 전면에 노출하고 노출 중인 중요 알림이 제거되면 이전에 수신한 중요 알림을 노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알림(1101)이 읽음 처리되거나(예를 들어, 알림을 클릭한 경우, 알림 상세 정보가 노출된 경우 등), 알림(1101)의 닫기 버튼이 실행되면 알림 페이지(700)에서 중요 알림이 노출되는 상단 영역(710)을 제거하고 해당 알림(1101)이 알림 더 보기 영역(7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중요 알림의 유형에 따라 알림 더 보기 영역(720)으로 이동하는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 알림 형상으로 지정된 알림(1101) 중 선물 수신 알림의 경우 해당 알림의 클릭 시 알림 더 보기 영역(720)으로 이동하는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배송 알림이 중요 알림으로 노출된 경우에는 알림 페이지(700)의 재진입 시점에 해당 알림이 알림 더 보기 영역(7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쇼핑몰 혜택 알림이 중요 알림으로 노출된 경우에는 알림의 상세 내용이 노출되게 되면 이후 알림 더 보기 영역(7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요 알림을 단순 기록용 알림과 구별하여 제공함으로써 정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알림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알림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부여된 알림 아이디에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설정함으로써 최적화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알림 등급 별로 알림 세기를 달리 설정함으로써 알림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알림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최적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알림 아이디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알림 아이디에 상기 알림의 중요도에 따른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알림 아이디를 이용한 알림 발송 요청에 대해 상기 알림 아이디에 설정된 상기 알림 등급과 상기 알림 형상에 따라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형상은 상기 알림이 노출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형상은 상기 컴퓨터 장치에서 제공하는 알림 서비스의 전용 페이지인 알림 페이지에 노출되는 배지 알림 형상, 상기 알림이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의 기기 화면에 노출되는 푸시 알림 형상, 및 상기 알림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인 서비스 화면인 메인 페이지에 노출되는 메인 알림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 아이디에 설정된 상기 알림 형상에 따라 상기 알림이 노출되는 위치가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에 대해 알림 텍스트와 알림 발송 대상 및 알림 발송 조건을 포함하는 알림 상세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코드로 상기 알림 아이디를 생성하여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의 종류 중 일부 알림에 대해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통해 알림의 중요도를 예측하여 예측 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알림 등급과 상기 알림 형상을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의 종류 중 일부 알림에 대해 각 사용자에게 전달된 알림과 해당 알림에 대한 사용자 활동 이력에 기초한 학습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예측 모델을 통해 사용자 별로 알림의 중요도를 예측하여 예측 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알림 등급과 상기 알림 형상을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등급은 알림 세기로 구분되는 등급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등급은 알림 수신을 인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 요소를 포함하는 등급과 푸시 알림이 차단된 등급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등급은 알림 수신을 인지시키기 위한 팝업, 진동, 소리, 무음, 및 라이트닝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등급과 푸시 알림이 차단된 등급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알림 형상은 상기 알림 페이지의 상단에 노출되는 중요 알림과 상기 알림 페이지의 하단에 노출되는 일반 알림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알림 형상은 중요 알림과 일반 알림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중요 알림의 타이틀 문구가 사전에 등록되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형상을 통해 상기 중요 알림으로 설정된 상기 알림 아이디에 대해 상기 타이틀 문구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형상을 통해 중요 알림으로 설정된 상기 알림 아이디에 대해 상기 알림을 상기 알림 페이지의 상단 영역에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상단 영역에 노출된 상기 알림이 읽음 처리되거나 닫기 버튼이 실행되면 상기 알림을 상기 알림 페이지의 하단 영역으로 이동하여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중요 알림의 유형에 따라 상기 알림을 상기 알림 페이지의 하단 영역으로 이동하는 규칙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최적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알림 최적화 방법을 상기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14.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알림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알림 아이디를 등록하는 과정;
    상기 알림 아이디에 상기 알림의 중요도에 따른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알림 아이디를 이용한 알림 발송 요청에 대해 상기 알림 아이디에 설정된 상기 알림 등급과 알림 형상에 따라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과정
    을 처리하고,
    상기 알림 형상은 상기 알림이 노출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형상은 상기 컴퓨터 장치에서 제공하는 알림 서비스의 전용 페이지인 알림 페이지에 노출되는 배지 알림 형상, 상기 알림이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의 기기 화면에 노출되는 푸시 알림 형상, 및 상기 알림 서비스를 포함하는 메인 서비스 화면인 메인 페이지에 노출되는 메인 알림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 아이디에 설정된 상기 알림 형상에 따라 상기 알림이 노출되는 위치가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의 종류 중 일부 알림에 대해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을 통해 알림의 중요도를 예측하여 예측 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알림 등급과 상기 알림 형상을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등급은 알림 수신을 인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 요소를 포함하는 등급과 푸시 알림이 차단된 등급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등급은 알림 수신을 인지시키기 위한 팝업, 진동, 소리, 무음, 및 라이트닝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등급과 푸시 알림이 차단된 등급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알림 형상은 중요 알림과 일반 알림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중요 알림의 타이틀 문구가 사전에 등록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형상을 통해 상기 중요 알림으로 설정된 상기 알림 아이디에 대해 상기 타이틀 문구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형상을 통해 중요 알림으로 설정된 상기 알림 아이디에 대해 상기 알림을 상기 알림 페이지의 상단 영역에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중요 알림의 유형에 따라 상기 알림을 상기 알림 페이지의 하단 영역으로 이동하는 규칙을 적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20069949A 2022-06-09 2022-06-09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2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949A KR102624212B1 (ko) 2022-06-09 2022-06-09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3084807A JP7488942B2 (ja) 2022-06-09 2023-05-23 通知最適化の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949A KR102624212B1 (ko) 2022-06-09 2022-06-09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602A KR20230169602A (ko) 2023-12-18
KR102624212B1 true KR102624212B1 (ko) 2024-01-11

Family

ID=8930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949A KR102624212B1 (ko) 2022-06-09 2022-06-09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88942B2 (ko)
KR (1) KR1026242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112A (ja) 2003-07-28 2005-02-24 Sony Corp 時間情報送受信システム,メッセージ送信端末,メッセージ中継サーバ,メッセージ受信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時間情報送受信方法
KR101552864B1 (ko) * 2010-12-02 2015-09-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벤트 알림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6485B1 (ko) * 2013-05-09 2019-1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신 메시지 특성에 따른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및 장치
KR20160129460A (ko) * 2015-04-30 2016-11-0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자료 수신 알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3416034A4 (en) 2016-02-08 2019-03-1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4220393A3 (en) 2016-11-26 2023-12-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94020B1 (ko) * 2016-12-09 2018-08-31 백남욱 메시지 내용에 따른 푸쉬 알림 제공 방법
KR101993614B1 (ko) * 2017-02-03 2019-06-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20190009202A (ko) * 2017-07-18 201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602A (ko) 2023-12-18
JP2023181104A (ja) 2023-12-21
JP7488942B2 (ja)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1765B (zh) 用于生成应用的方法、系统和计算机存储介质
CN107820701B (zh) 开发者交换系统
US10338796B2 (en) Event services modeling framework for computer systems
US20180308128A1 (en) Intelligent location based knowledge
JP7455252B2 (ja) セグメンテーション・アズ・ア・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352564B1 (ko) 사용자의 할일 목록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8292383B (zh) 与通信相关联的任务的自动提取
CN105009070A (zh) 计算机应用促进
JP6830528B2 (ja) ユーザ活動情報を共有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7545018A (zh) 在基于反馈的系统效能确定中的时延降低
JP6353935B2 (ja) コンテンツサービスで個人化された通知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829809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managing event messages and system for presenting conversation thread
US10528965B2 (en) Bundl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KR102560784B1 (ko) 태스크 트래킹 방법 및 시스템
US116099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mage based on interworking face image and messenger account
US11893383B2 (en) Configuration properties management for software
KR102624212B1 (ko)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2061497A (ja) コンピュータ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39249B2 (ja) コンテンツサービスで通知時間を個人化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40066619A (ko) 데이터 마켓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22327A1 (en) Method, computer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manage content for user account
KR20240075433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240062243A1 (en) Method, computer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information as temporary message
KR20230111873A (ko)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에서의 실시간 인스펙터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12804A (ko) 결제 정보 공유 및 정산을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